KR100283249B1 -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249B1
KR100283249B1 KR1019980034345A KR19980034345A KR100283249B1 KR 100283249 B1 KR100283249 B1 KR 100283249B1 KR 1019980034345 A KR1019980034345 A KR 1019980034345A KR 19980034345 A KR19980034345 A KR 19980034345A KR 100283249 B1 KR100283249 B1 KR 10028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maged
sector
data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773A (ko
Inventor
이의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24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80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involving specific measures to prevent a buffer overflow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서 연속되는 손상영역의 간격이 좁으면 그 연속되는 손상영역 사이의 전체 영역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설정된 손상영역의 데이터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 기록해 놓음으로써 손상영역이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된 경우 데이터의 독출 재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록매체내에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손상된 영역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물리적 간격을 확인하여, 상기 물리적 간격이 좁으면 그 손상영역내에 위치한 정상영역도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좁은 영역내에서 손상영역과 정상 영역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영역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재설정되므로, 재생시 빈번한 트랙 점프를 피할 수 있으므로 재생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매체에서 연속되는 손상영역의 간격이 좁으면 그 연속되는 손상영역 및 그들 사이의 영역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는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의 일종인 광디스크는 시디(CD: Compact Disc)가 보급되면서 사용이 일반화되었으며, DVD(Digital Versatile Disc) 규격이 나오게 됨에 따라 앞으로 그 사용이 더욱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에는 재생 전용의 CD-ROM, 1회에 한하여 기록이 가능한 CD-R 및 DVD-R, 자기디스크와 마찬가지로 반복하여 재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CD-RW 및 DVD-RAM 등의 규격이 제안되어 있으며, VDR 등에 관한 규격도 곧 제정될 예정이다.
상기 다수의 광디스크 중에서 특히 DVD-RAM 등과 같이 수회에 걸쳐 기록/재생이 가능한 기록매체에서는, 기록/재생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록매체의 기본 단위섹터(sector) 중에서 기록/재생시 오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발생하는 물리적인 섹터에는 기록을 하지 않아야 되며, 이를 위하여 이러한 손상섹터가 검출확인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관리테이블에 기록하여 두고, 기록/재생시 마다 이를 확인하여 이러한 기록/재생 지점에의 데이터 접근(access)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DVD-RAM 디스크의 기록가능한 전 물리적 영역(Physical Area)은 재생전용 디스크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인(Lead-In) 영역, 데이터(Data) 영역 및 리드아웃(Lead-Out)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그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보호 영역(Guard Area)이 할당되어 있는 24개의 연속적인 그룹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각의 그룹들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영역(User Area)과 상기 사용자 영역의 손상으로 인해 사용자 영역에 기록되지 못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예비 영역(Spare Area)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 블록(Block) 단위로 구성되고, 각 블록은 모두 16개의 단위섹터로 구성되며, 각 단위섹터들은 고유의 물리적 섹터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받으며, 기록시에는 손상섹터를 제외한 정상섹터에 한하여 논리적 섹터번호(LSN: Logical Sector Number)가 순차적으로 부여된다.
한편,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에는 실제 데이터가 기록/재생되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있는 다수의 물리적 단위섹터 중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손상섹터의 물리적인 어드레스를 기록관리하기 위한 손상섹터 관리영역(DMA:Defect Management Area, 이하 "DMA"라 함.)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손상섹터 정보는 데이터의 기록재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므로 상기 리드인 영역 및 상기 리드아웃 영역에 동일 정보가 각각 2쌍씩 모두 4쌍(DMA0 ~ DMA3)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 DMA영역은 모두 32개의 단위섹터, 즉 2개의 ECC(에러정정) 블록(block)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제1 ECC 블록은 한 개의 디스크정의구조(DDS: Disc Definition Structure, 이하 "DDS"라 함.) 기록용 섹터와, 15개의 초기손상목록(PDL: Primary Defect List, 이하 "PDL"이라 함.) 기록용 섹터로 이루어져 있고, 제2 ECC 블록은 모두 16개의 재생손상목록(SDL : Secondary Defect List, 이하 "SDL"이라 함.) 섹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DDS, PDL, SDL 각각의 구성은 다음의 표 1내지 표 3과 같다.
DDS 구성
위치(BP) 길이(byte) 내용
0 ~ 1 2 DDS 인식자(0A0Ah)
2 1 예비(Reserved)(00h)
3 1 Disc Certification flag
4 ~ 7 4 DDS/PDL
8 ~ 9 2 그룹 수
10 ~ 2047 2038 예비(Reserved)(00h)
PDL 구성
위치(RBP) 길이(byte) 내용
0 ~ 1 2 PDL 인식자(0001h)
2 ~ 3 2 PDL 기입(Entry) 갯수
4 ~ 7 4 최초 기입 PDL
8 ~ 11 4 두 번째 기입 PDL
... ... ...
SDL 구성
위치(RBP) 길이(byte) 내용
0 ~ 1 2 SDL 인식자(0002h)
2 ~ 3 2 예비(00h)
4 ~ 7 4 SDL 갱신 횟수
8 ~ 15 8 예비영역 풀 플래그
16 ~ 21 6 예비(00h)
22 ~ 23 2 SDL 기입 갯수
24 ~ 31 8 최초 기입 SDL
... ... ...
DVD-RAM에 있어서, 상기 PDL 및 SDL의 생성과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DL 생성과정(기록시)
먼저, 광디스크 제작과정에서 최초로 디스크를 초기화할 경우, 각 물리적인 단위섹터에 임의의 정보를 기록한 후 즉시 재생하여 오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검출되면, 해당 손상섹터의 위치정보(address)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L 표상에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실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영역은 물리적 섹터 어드레스 31000h부터 시작되고, 논리적 섹터 어드레스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를 0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영역에 대한 초기화 작업시 물리적 섹터 어드레스중 손상섹터가 발견되면 이를 기초로 하여 PDL표를 작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광디스크에 사용자가 소정 정보를 기록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기록명령이 입력되면 기록하여야 할 정보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영역의 사용자 영역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되, 최초 제작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PDL표를 독출하면서 해당 손상섹터에는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그 손상섹터에 가장 인접한 정상섹터에 기록하는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Slipping Replacement)를 행한다.
이에 따라 손상섹터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2의 상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영역의 제일 후미 영역까지만 기록되고, 예비 영역에는 데이터가 전혀 기록되지 않게 되는 반면, 최초 PDL표에 손상섹터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거나, 순차적 기록도중 상기 오류검출과정에서 특정 단위섹터가 손상섹터임이 확인되면, 도 2의 하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영역에서 발견된 손상섹터의 크기만큼 상기 예비영역을 이용하여 기록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최초 제작시에는 정상섹터였던 것이 유통과정이나 반복적인 재생과정에서 열화하여 손상섹터화 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PDL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상영역에의 기록시에도 단위섹터마다 손상여부를 다시 확인하면서 손상섹터임이 확인되면 그 섹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를 행하여 기록하는 한편, 해당 손상섹터의 어드레스를 상기 PDL표에 추가하여 추후 기록시 그 영역에 대해서는 별도의 손상여부 확인과정 없이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를 수행하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기록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상기 PDL 표에 기록된 손상섹터의 어드레스 개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에서, 손상섹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오류검출방식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ECC 단위섹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13개의 로우(row)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섹터의 앞부분에는 그 섹터를 물리적으로 구별하기 위한 물리적 위치값(PID: Physical Identification, 이하 "PID"라 함)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PID값은 그 중요성으로 인해 섹터당 동일한 값을 4개씩 기록해 놓고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만일 하나의 섹터에서 상기 PID 값이 3개 이상의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섹터는 손상섹터로 판별하며, 또한 단위섹터의 구성부분인 단위로우에서 4개 이상의 오류 바이트(Byte)가 검출되거나, 하나의 ECC 블록에서 6개 이상의 오류바이트가 검출될 경우에도 역시 손상섹터 및 손상블록으로 판별하는 것이다.
SDL 생성과정(재생시)
또한, 반복하여 기록재생작업을 수행하면 디스크의 열화에 따라 상기 PDL표에는 기록되지 않은 손상섹터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게 되는바, 기록시와 마찬가지로 재생시에도 손상섹터가 있는 지를 확인하다가 손상섹터가 발견되면, 해당 손상섹터(물리적인 섹터)를 포함하는 ECC 블록에 해당하는 16개의 논리적 섹터( PDL표에 기록되지 않은 물리적인 섹터)에 기록된 정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영역의 정상 단위블록으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Linear Replacement)를 수행하는 한편, 원래의 ECC 블록이 시작되는 섹터의 어드레스와 대체기록된 예비영영 섹터의 어드레스를 연관시켜 상기 SDL 표에 기록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를 수회 반복하여 수행함에 따라 해당 그룹내에는 더 이상의 예비블록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SDL 구성표(표3 참조)에 도시된 예비영역 풀 플래그에 그러한 사항을 기록하는 한편, 추가로 발견된 손상블록의 데이터는 다른 그룹에 할당된 예비영역 상의 정상 단위블록으로 이동기록한다.
상기 재생시의 손상블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오류검출 방식으로는 하나의 ECC 블록내에 PID 에러 섹터, 즉 하나의 섹터내에 기록된 4개의 ID 코드중 3개 이상이 검출되지 않는 섹터가 하나 이상일 경우와, 하나의 ECC 블록내에 에러가 8개 이상인 지의 여부에 따라 판별한다.
그러므로 DVD-RAM에 사용자가 정보를 기록할 때는 논리적인 어드레스로 지정하여 기록·재생하게 되지만, DVD-RAM 드라이브에서는 도 1과 같이 일련순서대로 손상영역의 어드레스가 기재된 PDL표와 SDL표에 근거하여, 기록하기 전에는 기록하려는 부분이 손상섹터인가를 PDL표에서 확인하여 손상섹터일 경우에는 다음 섹터로 이동하고, 또한 이동된 섹터가 손상섹터인지를 다시 확인하면서, 논리적인 어드레스를 물리적인 어드레스로 환산한 후 해당 섹터를 찾아 기록/재생하게 되며, 재생시에는 상기 SDL 표를 독출하여 손상영역일 경우에는 그 데이터가 대체기록되어 있는 예비영역의 주소로 이동하여 재생한 후, 다시 원 위치로 복귀하여 동일한 재생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상영역이 좁은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면, 데이터의 재생시 PDL을 참조하여 A섹터 블록을 점프하여 X섹터 블록을 탐색해서 X섹터 블록의 데이터를 독출 재생한 다음, B섹터 블록을 점프하여 Y섹터 블록을 탐색해서 Y섹터 블록의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고, 이어서 C섹터 블록을 점프하여 Z섹터 블록을 탐색해서 Z섹터 블록의 데이터를 독출 재생한 다음, D섹터 블록을 점프하여 다음의 섹터 블록을 탐색해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해야 한다.
이와 같이 광픽업의 트랙 점프 및 목표 섹터의 탐색과정과 짧은 데이터 독출 재생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데이터의 독출 재생이 지연되고, 심지어 독출 재생된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메모리가 언더플로우(underflow)될 우려가 있다.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재생 화면이 끊어지면서 재생될 수도 있고, 또한 퍼스널 컴퓨터에서 작업하는 데이터인 경우에도 데이터 독출시간이 현저히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상영역이 좁은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면, 데이터의 재생시 사용자 영역을 재생하는 도중에 SDL을 참조하여 A섹터 블록의 데이터가 이동한 예비영역의 A'섹터 블록으로 점프하여 해당 블록을 탐색해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한 다음, 사용자 영역의 X섹터 블록으로 점프하여 X섹터 블록을 탐색해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고, 이어서 SDL을 참조하여 B섹터 블록의 데이터가 이동한 예비영역의 B'섹터 블록으로 점프하여 해당 블록을 탐색해서 독출 재생한 다음, 사용자 영역의 Y섹터 블록으로 점프하여 Y섹터 블록을 탐색해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한다. 그후, 마찬가지로 SDL을 참조하여 사용자 영역과 예비 영역을 점프하여 해당 섹터를 탐색해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광픽업의 트랙 점프 및 목표 섹터의 탐색과정과 짧은 데이터 독출 재생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데이터의 독출 재생이 지연되고, 심지어 독출 재생된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메모리가 언더플로우(underflow)될 우려가 있다. 특히,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재생 화면이 끊어지면서 재생될 수도 있고, 또한 퍼스널 컴퓨터에서 작업하는 데이터인 경우에도 데이터 독출시간이 현저히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기록매체에서 연속되는 손상영역의 간격이 좁으면 그 연속되는 손상영역 및 그들 사이의 영역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설정된 손상영역의 데이터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 기록해 놓음으로써 손상영역이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된 경우 데이터의 독출 재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록매체에서 손상영역 관리자료의 영역 및 포맷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시의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종래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시의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단위 ECC 섹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종래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시의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종래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시의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시의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시의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의 데이터 기록시 동작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의 데이터 재생시 동작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의 다른 동작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픽업 20: 기록신호처리부
30: 검출신호처리부 40: PID검출부
50: 재생처리부 60: 손상판별부
70: 메모리 70a: PDL저장부
70b: SDL저장부 80: 갱신처리부
90: 기록제어부 110: 서보
120: 인터페이스 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은,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가진 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영역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물리적 간격을 확인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는,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가진 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기록매체의 재생데이터로부터 해당 영역의 손상 여부를 판별하는 손상판별수단; 및 상기 판별된 손상영역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이전 손상영역의 물리적 간격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손상영역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정보갱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고 구성된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서는, 손상영역들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이들 사이의 정상 영역도 포함시켜 이들 영역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이들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뒤따르는 영역 또는 예비영역에 이동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좁은 영역내에서 손상영역과 정상 영역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영역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재설정되므로, 재생시 빈번한 트랙 점프를 피할 수 있으므로 재생시간 지연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시의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상영역이 좁은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면, 데이터의 기록시 PDL을 참조하여 손상영역 사이의 간격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간격이 소정치 보다 작으면 이들 손상영역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정상역역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이후 영역부터 기록을 계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7에서 A섹터블록과 C섹터블록이 PLD에 기 등록된 손상영역이고, B섹터블록과 D섹터블록이 기록 도중에 PID검출 등을 통해 손상 섹터로 판정되는 손상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도중에 PDL을 참조하여 A섹터블록에 도달하면 X섹터블록으로 점프하고 X섹터블록을 탐색후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그후, B섹터블록의 기록도중에 PID검출을 통해 B섹터 블록이 손상 섹터로 판정되면, A섹터블록과 B섹터블록 사이의 간격을 산출하여 그 간격이 소정치 보다 작으면(즉, 간격이 좁으면), A섹터블록, X섹터블록 및 B섹터블록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PDL을 갱신한다. 그후, PDL을 참조하여 그 다음의 손상영역(즉, C섹터블록)과의 간격을 산출하고, 그 간격이 소정치 보다 작으면, A섹터블록, X섹터블록, B섹터블록, Y섹터블록 및 C섹터블록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PDL을 갱신한다. 그후, Z섹터블록으로 점프하고 Z섹터블록을 탐색후 상기 X섹터블록에 기록한 데이터부터 Z섹터블록, D섹터블록의 순으로 기록한다. 그후, D섹터블록의 기록도중에 PID검출을 통해 D섹터 블록이 손상 섹터로 판정되면, 이전 손상영역(즉, C섹터블록)과의 간격을 산출하여 그 간격이 소정치 보다 작으면, A,X,B,Y,C,Z,D섹터블록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PDL을 갱신한 다음에, D섹터블록 이하에서부터 상기 X섹터블록에 기록한 데이터부터 재기록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슬립핑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에 의해서는, 기록매체의 저장용량은 다소 줄어들지만, 재생시에는 A,X,B,Y,C,Z,D섹터블록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짧은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트랙 점프 및 탐색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함에 따라 종래 방식과 같은 재생 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시의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상영역이 좁은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면, 데이터의 재생시 SDL을 참조하여 손상영역 사이의 간격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간격이 소정치 보다 작으면 이들 손상영역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정상역역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새로운 손상영역에 위치한 데이터를 예비영역에 이동시키고 나서 재생을 계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8에서 A섹터블록과 C섹터블록이 SLD에 기 등록된 손상영역이고, B섹터블록과 D섹터블록이 기록 도중에 PID검출 등을 통해 손상 섹터로 판정되는 손상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재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도중에 SDL을 참조하여 A섹터블록에 도달하면 A섹터블록의 데이터가 이동기록된 예비영역의 해당 블록으로 점프하여 그 블록을 재생한 다음, X섹터블록으로 점프하고 X섹터블록을 탐색후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그후, B섹터블록의 재생도중에 PID검출을 통해 B섹터 블록이 손상 섹터로 판정되면, A섹터블록과 B섹터블록 사이의 간격을 산출하여 그 간격이 소정치 보다 작으면(즉, 간격이 좁으면), A섹터블록, X섹터블록 및 B섹터블록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이들 영역에 위치한 데이터를 예비영역에 기록하고 SDL을 갱신한다(여기서, A섹터 및 C섹터블록의 데이터는 이미 예비 영역에 위치해 있으므로 C섹터블록의 데이터를 독출함 다음, A,X,B,C의 순으로 데이터를 재기록한다). 그후, SDL을 참조하여 그 다음의 손상영역(즉, C섹터블록)과의 간격을 산출하고, 그 간격이 소정치 보다 작으면, A섹터블록, X섹터블록, B섹터블록, Y섹터블록 및 C섹터블록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예비영역에서 C섹터블록의 데이터를 독출한 다음에 A, X, B, Y 및 C의 순으로 데이터를 정렬하여 기록한다. 이어서, Z섹터블록으로 점프하고 Z섹터블록을 탐색하여 데이터를 재생한다. 그후, D섹터블록의 재생도중에 PID검출을 통해 D섹터 블록이 손상 섹터로 판정되면, 이전 손상영역(즉, C섹터블록)과의 간격을 산출하여 그 간격이 소정치 보다 작으면, A,X,B,Y,C,Z,D섹터블록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Z 및 D섹터영역의 데이터를 예비영역에 기록하고 PDL을 갱신한 다음에, D섹터블록 이하의 섹터부터 재생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 과정에 의해서는, 기록매체의 저장용량은 다소 줄어들지만, 추후 재생시에는 A,X,B,Y,C,Z,D섹터블록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되어 예비영역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 영역과 예비영역을 짧은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트랙 점프 및 탐색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함에 따라 종래 방식과 같은 재생 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동 9의 기록매체의 기록장치는,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광픽업(10); 상기 광픽업(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부(110); 상기 광픽업(10)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를 그 종류에 따라 구분출력하는 검출신호처리부(30); 상기 검출신호처리부(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PID 오류여부를 검출하는 PID검출부(40); 상기 PID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PID 오류 갯수에 따라 섹터의 손상여부를 판별하는 손상판별부(60); 상기 손상판별부(60)에 의한 새로운 손상섹터의 물리적 주소를 SDL 및 PDL표에 기 저장된 손상섹터의 주소와 비교하여, 새로운 불략섹터와 그 직전의 손상영역의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간격이 소정의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새로운 손상섹터의 주소만을 상기 SDL 및 PDL표에 추가하고, 상기 산출된 간격이 소정의 설정치 이하인 경우 이들 비교된 손상섹터와 손상영역 및 그들 사이의 정상 영역을 손상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SDL 및 PDL표를 갱신하는 갱신처리부(80); 상기 검출신호처리부(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압축을 풀어 재생가능한 데이터로 변환처리하는 재생처리부(50); 상기 재생처리부(5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 호스트(host)로 출력할 때와, 외부 호스트에서 기록데이터를 기록신호처리부(20)로 전달할 때, 이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인터페이스 램(120); 상기 SDL 표 및 PDL표가 임시저장되는 메모리(70); 상기 입력되는 기록데이터를 광디스크상에 기록하기 위해 신호처리하고, 또한 상기 메모리(70)에 임시저장된 SDL 및 PDL표를 광디스크 상의 SDL 및 PDL표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처리부(30); 및 상기 갱신처리부(80)에 의해 새로 설정된 기록매체상의 손상영역을 다른 위치로 이동 기록하기 위한 위한 제어신호를 서보부(110) 및 기록신호처리부(20)로 출력하는 기록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의 데이터 기록 동작흐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기록모드가 설정되면(스텝 S10), 기록매체로부터 PDL 및 SDL데이터를 독출하여 메모리(70)에 저장하고(스텝 S11), 인터페이스 램(120)을 통해 입력되는 기록 데이터를 목표섹터에 기록한다(스텝 S12).
그후, 현재 기록된 목표섹터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PID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PID 오류 갯수에 따라 목표섹터의 손상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3). 여기서, 상기 PDL 저장부(70a) 및 SDL 저장부(70b)내에 기 기록된 주소목록에 기록을 하고자 하는 목표섹터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목표섹터는 손상이 있는 손상섹터로 판정한다. 또한, 만일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일지라도 그 후에 다시 손상섹터화 했을 수 있으므로 해당 섹터에 기록된 총 4개의 PID를 디코딩하여 오류검출되는 PID가 3개 이상인지의 여부를 다시 확인하여, 오류확인된 에러 PID가 3개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당 단위섹터를 손상된 손상섹터로 간주한다.
상기 스텝 S13에서 목표섹터가 손상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현재의 목표섹터와 바로 직전의 손상섹터의 간격(T)을 계산하고(스텝 S14), 상기 계산된 간격(T)이 소정의 설정치(T1)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스텝 S15). 상기 스텝 S15의 판단결과, 작은 경우에는 직전의 손상섹터에서 현재의 목표섹터까지의 영역을 손상섹터영역으로 설정하고(스텝 S17), PDL저장부(70a)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데이터를 기록할 목표섹터를 설정한 다음에 상기한 스텝 S12로 되돌아간다(스텝 S18). 한편, 상기 스텝 S15의 판단결과, 작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목표섹터를 손상섹터로 설정하고(스텝 S16), 상기한 스텝 S18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3에서 목표섹터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기록모드의 설정해제 또는 기록 대상 데이터의 기록완료에 따라 기록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19). 상기 스텝 S19의 확인 결과, 기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스텝 S21로 진행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다음의 목표섹터를 설정한 다음에 상기한 스텝 S12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스텝 S19의 확인 결과, 기록이 완료된 경우 상기 메모리(70)의 PDL저장부(70a) 및 SDL저장부(70b)에 저장된 PDL 및 SDL데이터를 독출하여 기록신호처리부(20)를 통해서 기록매체의 PDL 및 SDL목록을 갱신하고, 기록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16 및 S17에서 손상블럭의 설정은, 재생시 상기 기록매체상의 임의 이동중에도 끊임없는 실시간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완충데이터를 갖는 크기[예를 들면 100∼200 에러정정(ECC)블럭]를 고려하여, 상기 손상영역 및 그 주변의 정상 영역을 포함하여 설정하여도 된다.
상기한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동작흐름에 의해서는, 기록매체의 저장용량은 다소 줄어들지만, 재생시에는 간격이 밀집되어 있는 손상섹터블록들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짧은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트랙 점프 및 탐색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함에 따라 재생 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의 데이터 재생 동작흐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재생모드가 설정되면(스텝 S30), 기록매체로부터 PDL 및 SDL데이터를 독출하여 메모리(70)에 저장하고(스텝 S31), 목표섹터를 탐색하여 재생한다(스텝 S32).
그후, 현재 재생된 목표섹터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PID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PID 오류 갯수에 따라 목표섹터의 손상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3). 여기서, 해당 섹터에 기록된 총 4개의 PID를 디코딩하여 오류검출되는 PID가 3개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오류확인된 에러 PID가 3개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당 단위섹터를 손상된 손상섹터로 간주한다.
상기 스텝 S33에서 목표섹터가 손상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현재의 목표섹터와 바로 직전의 손상섹터의 간격(T)을 계산하고(스텝 S34), 상기 계산된 간격(T)이 소정의 설정치(T1)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스텝 S35). 상기 스텝 S35의 판단결과, 작은 경우에는 직전의 손상섹터에서 현재의 목표섹터까지의 영역을 손상섹터영역으로 설정하고, 직전의 손상섹터의 다음 섹터부터 목표섹터까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영역으로 이동 기록한다(스텝 S37). 그후, SDL저장부(70b)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 후 재생할 다음의 목표섹터를 설정한 다음에 상기한 스텝 S32로 되돌아간다(스텝 S38). 한편, 상기 스텝 S35의 판단결과, 작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목표섹터를 손상섹터로 설정하고 현재의 목표섹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영역으로 이동 기록한 다음(스텝 S36), 상기한 스텝 S38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33에서 목표섹터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재생모드의 설정해제 또는 재생 대상 데이터의 재생완료에 따라 재생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39). 상기 스텝 S39의 확인 결과,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스텝 S41로 진행하여 다음의 목표섹터를 설정한 다음에 상기한 스텝 S32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스텝 S39의 확인 결과, 재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메모리(70)의 PDL저장부(70a) 및 SDL저장부(70b)에 저장된 PDL 및 SDL데이터를 독출하여 기록신호처리부(20)를 통해서 기록매체의 PDL 및 SDL목록을 갱신하고, 기록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36 및 S37에서 손상영역에 위치한 데이터를 예비영역으로 이동기록하는 데이터량은, 재생시 상기 기록매체상의 임의 이동중에도 끊임없는 실시간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완충데이터를 갖는 크기인 예를 들면 100∼200 에러정정(ECC)블럭 단위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손상영역 및 그 주변의 정상 영역에 기록된 기록데이터을 포함시켜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한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동작흐름에 의해서는, 기록매체의 저장용량은 다소 줄어들지만, 차후의 재생시에는 간격이 밀집되어 있는 손상섹터블록들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 영역과 예비영역 사이에서 짧은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트랙 점프 및 탐색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함에 따라 재생 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의 데이터 기록 동작흐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기록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먼저 기록매체의 리드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PDL 및 SDL데이터를 독출하여 메모리(70)에 저장하고(스텝 S50), 도시하지 않은 레지스터에 반복회수(N)를 1로 설정한 다음, 상기 메모리(70)에 저장된 PDL 및 SDL데이터들을 기초로 기록매체상의 손상영역들에 대하여 물리적 위치의 순서를 파악한다(스텝 S51).
그후, 기록매체상의 물리적 위치상으로 N번째 손상영역과 N+1번째 손상영역(여기서는 1번째 손상영역과 2번째 손상영역)의 간격(T)을 계산하고(스텝 S52), 상기 계산된 간격(T)이 소정의 설정치(T1)보다 작은지를 확인한다(스텝 S53).
상기 스텝 S53의 확인결과가 작으면, 기록매체상의 N번째 손상영역과 N+1번째 손상영역사이에 위치한 정상영역(손상되지 않은 영역)도 손상영역으로 간주하여 이들 영역들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스텝 S54), 상기 설정된 손상영역에 위치한 데이터를 예비영역으로 이동기록한다(스텝 S55). 여기서, 상기 예비영역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와 새로 기록될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시의 시간적 순서에 맞게 위치 이동시켜 기록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새로운 영역설정에 따라 PDL 및 SDL데이터들 갱신하여 메모리(70)에 저장하고(스텝 S56), 상기 레지스터에 격납된 반복회수(N)를 1만큼 증가시킨 다음, 이 증가된 반복회수(N)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PDL 및 SDL데이터의 개수 보다 큰지(즉, 기록매체상에서 물리적 위치상으로 볼 때 모든 손상영역에 대하여 상기한 스텝 S52∼S56의 흐름을 완료하였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58).
상기 스텝 S58의 확인결과,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한 스텝 S52로 되돌아가서 스텝 S52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 큰 경우에는 모든 손상영역에 대하여 상기한 동작을 완료한 것이므로 상기 메모리(70)의 PDL저장부(70a) 및 SDL저장부(70b)에 저장된 PDL 및 SDL데이터를 독출하여 기록신호처리부(20)를 통해서 기록매체의 PDL 및 SDL목록을 갱신 기록하고 상기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55에서 재설정된 손상영역에 위치한 데이터를 예비영역으로 이동기록하는 데이터량은, 재생시 상기 기록매체상의 임의 이동중에도 끊임없는 실시간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완충데이터를 갖는 크기인 예를 들면 100∼200 에러정정(ECC)블럭 단위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손상영역 및 그 주변의 정상 영역에 기록된 기록데이터을 포함시켜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한 도 1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흐름은, 기록매체의 재생모드가 설정된 경우 해당 모드를 수행하기 이전에, 기록매체의 PDL 및 SDL데이터를 기초로 손상영역들 사이의 물리적 간격이 좁으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재설정해 놓은 다음에 재생모드를 수행하도록 하여도 되고, 기록매체의 PDL 및 SDL데이터를 기초로 손상영역을 정렬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때에도 상기한 동작 흐름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한 도 12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저장용량은 다소 줄어들지만, 간격이 밀집되어 있는 손상섹터블록들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짧은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트랙 점프 및 탐색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함에 따라 재생 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저장용량은 다소 줄어들지만, 차후의 재생시에는 간격이 밀집되어 있는 손상섹터블록들이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영역내에서의 광픽업의 트랙 점프의 회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사용자 영역과 예비 영역간의 트랙 점프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데이터 독출 재생의 시간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독출 재생된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메모리가 언더플로우(underflow)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시 재생 화면의 끊김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가진 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영역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물리적 간격을 확인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손상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손상영역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기록된 손상영역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정보로부터 손상영역들 사이의 기록매체상의 물리적 간격과 소정의 기준간격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3.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가진 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영역에 대한 기록매체상의 물리적 간격을 확인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결과에 따라 기록할 데이터의 영역을 결정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기록할 영역을. 상기 물리적 간격을 갖는 손상영역중 후위의 손상영역에 뒤따르는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기록된 손상영역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정보로부터 손상영역들 사이의 기록매체상의 물리적 간격과 소정의 기준간격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기록할 영역을 예비영역내의 구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6.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가진 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기록매체의 재생데이터로부터 해당 영역의 손상 여부를 판별하는 손상판별수단; 및
    상기 판별된 손상영역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이전 손상영역의 물리적 간격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손상영역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정보갱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갱신수단은, 상기 물리적 간격이 소정의 기준간격 이상인 경우 상기 판별된 손상영역에 대한 정보만을 갱신하고, 소정의 기준간격 미만인 경우 상기 판별된 손상영역과 이전 손상영역 및 그들 사이의 정상 영역을 하나의 손상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KR1019980034345A 1998-08-22 1998-08-22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KR100283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345A KR100283249B1 (ko) 1998-08-22 1998-08-22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345A KR100283249B1 (ko) 1998-08-22 1998-08-22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773A KR20000014773A (ko) 2000-03-15
KR100283249B1 true KR100283249B1 (ko) 2001-03-02

Family

ID=1954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345A KR100283249B1 (ko) 1998-08-22 1998-08-22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2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773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2093B1 (ko)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자료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그리고 이에 의한 광기록매체
US7382705B2 (en)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method, recording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7817519B2 (en) Write-once read-many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US7031239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tion method
US7000152B1 (en) Method for tracking defective sectors in re-writable disk media
US6279118B1 (en) Recording medium stor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defect management and method for managing defects
US7400565B2 (en) Reproduction method, a program, a recording medium, and a drive apparatus
EP1553566B1 (en)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 device,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JP2005071599A (ja) 再生専用光ディスクと、その再生専用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JP4712112B2 (ja) 記録可能領域を探索する装置および方法、記録管理情報を更新する装置および方法、集積回路、追記型情報記録媒体
JPH08147879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100283249B1 (ko)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US20050201237A1 (en) Methods of defect management and reproduc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es for information recording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US6842411B2 (en) Optical disc driver and data recording method therefor
US20050235104A1 (en) Initialization method, reproduction method, computer-executable program product,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data structure,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e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100606517B1 (ko) 결함 특성을 고려한 데이타 기록방법
KR100513334B1 (ko)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 재생전용 광디스크 장치에서의재생방법
KR100283245B1 (ko)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자료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지점 억세스 방법
KR20010063165A (ko)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