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180B1 - 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 - Google Patents

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180B1
KR100282180B1 KR1019980016118A KR19980016118A KR100282180B1 KR 100282180 B1 KR100282180 B1 KR 100282180B1 KR 1019980016118 A KR1019980016118 A KR 1019980016118A KR 19980016118 A KR19980016118 A KR 19980016118A KR 100282180 B1 KR100282180 B1 KR 10028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bridge
ba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원
Original Assignee
이수근
주식회사하이콘엔지니어링
백옥자
대한건설품질검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근, 주식회사하이콘엔지니어링, 백옥자, 대한건설품질검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수근
Priority to KR101998001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1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180B1/en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기 설치되어 있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지진 등의 영향으로부터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추락되지 않게 그 상면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낙교를 방지하기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교각의 상단부 전후 측벽의 표면을 거칠게 치핑한 다음, 일정위치에 앵커공들을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는 앵커공들의 천공단계와; b) 상기 앵커공들의 내부로 적절한 직경 및 정착길이를 갖는 앵커철봉들을 삽입시켜 그 틈 사이를 그라우트재로 충진 고정시키되, 앵커철봉의 일측은 상기 앵커공의 내부로 매설 정착시키고, 타측은 교각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시키는 앵커철봉의 앵커단계와; c) 상기 정착 고정된 앵커철봉에 PC블록을 거치시키되 상기 PC블록의 일정위치에 뚫린 끼움공들을 앵커철봉의 돌출부에 끼우는 PC블록의 거치단계와; d) 상기 거치된 PC블록의 끼움공들 외부로 돌출된 앵커철봉의 돌출부들에 체결너트들을 끼우고 소정의 체결력을 얻을 때까지 토크렌치로 측정하면서 체결하여 상기 PC블록을 교각의 전후 측벽상에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단계와; e) 상기 교각 측면상에 PC블록이 밀착되어진 접합면 틈 사이와, 앵커철봉의 끝단부에 체결너트로 체결된 PC블록의 끼움공과 너트삽입부의 공간부에 각각 그라우트재를 충진시켜 마감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PC블록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부위에 조립 설치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기하고, 또한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시킴으로써 경제성·시공성등이 좋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repair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upper structure by all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o be installed over the upper surface so as not to fall off from the bridge pier or alternating top surface from the impact of the earthquake, etc. a) perforating the anchor holes to roughly chip the surface of the sidewalls before and after the upper end of the piers, and then drill the anchor holes to a predetermined depth; b) inserting anchor rods having an appropriate diameter and fixing length into the anchor holes to fill and fix the gaps between the gaps, and one side of the anchor rods embedded in the anchor hole, and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hole; Anchoring the anchor bar to protrude from the predetermined length; c) mounting the PC block to the anchor anchor bar fixed to the fixing step of the PC block for fitting the holes dri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C block to the protrusion of the anchor bar; d) Insert the fastening nuts into the projections of the anchor iron bar protruding out of the mounting holes of the mounted PC block, and fasten while measuring with a torque wrench until a predetermined tightening force is obtained to fasten the PC block on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of the piers. A fastening step of tightly fixing; e) filling and grouting the grout material between the gap between the joint surface where the PC block is tightly adhered on the side of the pier and the space between the fitting hole of the PC block fastened to the end of the anchor bar and the space of the nut insert; It is composed of a PC block, which is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necessary parts on site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and als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so it is economical and constructive.

Description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본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지진 등의 영향으로부터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추락되지 않게 그 상면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교량 상부구조물의 낙교를 방지하기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repair method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by all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o be installed so that it does not fall and fall from the bridge pier or alternating top surface from the impact of an earthquake or the like. will be.

최근 한반도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상황을 볼 때, 지진에 대한 안전지대였던 우리나라도 이제는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지진이 발생되면 구조물들은 균열·붕괴 등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구조물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피해를 입게 되므로 구조물들에 대하여 내진 설계에 따른 시공이 요구되어진다.In view of the recent occurrence of earthquakes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now clear that Korea, which was a safe zone for earthquakes, is no longer a safe zone.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structures are affected by cracks and collapses, which causes damage that prevents the structures from performing their original functions.

그런데, 이미 설치되어 있는 교량들은 지진발생에 충분히 대비한 설계 및 그에 따른 시공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정 강도의 지진이 일어나게 되면 교각 또는 교대 상부에 설치된 교좌장치를 거쳐 지지되고 있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바닥으로 추락되어 붕괴될 위험이 있다.However, since the bridges already installed are not designed and prepared for the earthquake sufficiently, if an earthquake of a certain intensity occur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supported by the bridge or the bridge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is pier or There is a risk of falling from the top of the shift, falling to the floor and collapse.

또한, 홍수시 범람하는 물의 흐름이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때에도 역시 연단거리가 짧은 교량의 경우에는 교각 또는 교대로부터 상부구조물이 이탈될 염려가 있다.In addition, the flooding of the water flow affect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even in the case of a bridge short short distance there is a fear that the upper structure from the bridge or alternating deviate.

이와 같이, 교각의 상면으로부터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이탈되는 것은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에 설치된 교좌장치의 지점과 교각 또는 교대상의 선단부 사이에 일정한 거리(이하 "연단거리"라 한다)를 두고 있는데, 바로 이 연단거리가 짧기 때문이다.Thus, the devia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is a certain dist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nd distance") between the point of the bridge device installed on the bridg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and the tip of the bridge or the object. This is because the podium is short.

한편, 이 연단거리가 짧기 때문에 발생하는 다른 문제점으로서, 교량의 유지관리에 있어, 교좌장치의 노후화로 인한 파손으로 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때 연단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교좌장치의 지점과 교각 또는 교대상의 선단부 사이에 잭을 설치할 만한 공간부를 충분히 확보하기가 곤란하여 교체작업을 하기가 불가능하므로 별도의 가 시설물을 설치하여 교체보수작업을 하여야만 하고 이를 제거해야만 하는 시공작업의 불편함과 추가적인 공사비용의 소요 등 비효율적인 문제점들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shortcoming caused by the short distance is that in maintenance of the bridge, it is necessary to replace it due to the aging of the bridge device. It is difficult to secure enough space to install jacks between the piers or the ends of bridges, so it is impossible to replace them. Therefore, the inconvenience of the construction work that requires th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additional temporary facilities and the removal of them must be eliminated. Inefficient problems such as the cost of construction work occur.

이렇게 별도의 가 시설물들을 설치하여 교좌장치의 교체 등 보수작업을 하더라도 연단거리는 계속 부족한 상태로 있어 상부구조물이 추락할 여지를 남겨 두게 될 뿐만 아니라, 일정기간이 지난 후 교좌장치를 다시 교체할 때에는 다시 가 시설물을 재가설하여 보수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등이 발생하게 된다.Even if repair work such as replacement of the device is installed by installing additional temporary facilities, the distance is still insufficient, leaving room for the superstructure to fall, and when the device is replaced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convenient problem that needs to be rebuilt and repaired.

따라서, 교량을 처음부터 시공할 때,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 단면적을 비교적 넓게 확보하여 연단거리를 크게 하여 주는 방법이 제일 좋은 방법이기는 하나, 기 설치된 교량들은 지진 등에 대비한 연단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구조로 시공되어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교량의 하부구조물인 교각 또는 교대 상면에 설치된 교좌장치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부구조물들이 지진 등에 의하여 이탈되어 교량의 상판이 바닥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비책이 강구되어야만 한다.Therefore, when constructing a bridge from the beginning, the best method is to secure a relatively wide upp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bridge or piers to increase the podium distance. Since it is not constructed by the bridge, the superstructures supported by the bridge or the bridge system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 top plate of the bridge from falling to the ground due to earthquake.

따라서, 기 설치된 교량에 대한 지진대비책으로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에 교량 상부구조물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교좌장치가 설치된 지점과 교각 선단부 사이의 거리, 즉 연단거리를 넓혀 줌으로써 상부구조물을 지지하여 주는 보수공법으로서 교각 상단부의 전후 측벽에 별도의 구조물들을 설치하는 공법이 제시될 수 있다.Therefore, as an earthquake preparedness for the pre-installed bridge, the bridge superstructure should be covered on the bridg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by supporting the superstructure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where the bridge device is installed and the bridge tip, that is, the podium distance. As a main repair method, a method of installing separate structures on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of the pier upper part may be proposed.

상기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도1a 및 도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량하부구조물인 교각(1)의 상면 전후단부에 폭방향 전체의 길이에 걸쳐 기존의 교각(1)과 일체로 하는 별도의 콘크리트구조물(6)을 설치하는 기술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교좌장치 교체공사의 경우 가 시설물을 설치하여 교좌장치의 교체후 이를 해체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교각(1) 상면의 전후 측벽(2)상에 구멍을 뚫어 철근(3)을 앵커시키고, 이 앵커링된 철근에 철근조립체(4)를 용접 고정시켜 비계·거푸집 및 동바리들을 설치한 후, 교각(1)의 폭방향 전체의 길이에 걸쳐 교각(1)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성형되는 콘크리트구조물(6)을 교각(1)과 일체화시키는 공법이 있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as related arts above, a separate part integrated with an existing bridge 1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ridge 1, which is a bridge substructure, is provided. The technology for installing the concrete structure 6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of bridge device replacement construction, there is a known technology for installing a temporary facility and dismantling it after replacement of the bridge device. A hole is drilled on the anchor to anchor the reinforcing bar 3, and the steel assembly 4 is fixed to the anchored bar by welding to fix the scaffolding, formwork, and clubs. There is a method of integrating the concrete structure 6, which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on the spot to coincid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1, with the pier 1.

상기의 종래기술은 현장 타설에 의하여 콘크리트구조물(6)을 교각(1) 상단부의 전후 측벽(2)상에 설치함으로써 연단거리를 넓혀서 교량의 상부구조물(5)을 지지 가능케 하여 지진 등의 영향에 따른 교량의 낙교를 방지하는 기술이기는 하나, 현장타설공법에 의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경제성·시공성 등과 관련되어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이 발생된다.The prior art is to install the concrete structure (6) on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2) of the upper end of the pier (1) by site casting to increase the podium distance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5) of the bridge to the impact of earthquakes, etc. Although it is a technology to prevent the fall of bridges, it is constructed by on-site casting method, which causes various problems related to structural st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constructability.

즉, 첫째, 별도의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신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표면과 이미 설치된 교각의 구 콘크리트 표면사이에 부착력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며, 또한 그에 따른 부착력을 측정할 수가 없어 차량통과시 새로 성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분리되어 낙하되어지는 위험이 수반되며,That i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formed of new concrete and the old concrete surface of the bridge piers already installed in order to install a separate concrete structure. Is accompanied by the risk that the concrete structure will fall apart and fall,

둘째, 현장 타설되는 일반콘크리트로는 소정의 강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값비싼 초속경성시멘트나 폴리머시멘트를 첨가하여야 하며,Second, since ordinary concrete cannot be given strength, it is necessary to add expensive superhard cement or polymer cement.

셋째, 교각의 폭길이만큼 부재의 전면적을 타설 시공하게 됨으로써 사하중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으로 인한 비계 및 거푸집을 가설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가설자재비와, 철근 및 시멘트 등의 자재가 많이 소요되어 공사비가 전반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과,Third, the dead weight is increased by laying the entire area of the member as much as the width of the pier, and it is essential to install the scaffolding and formwork by the cast-in-place concrete method, so that the construction materials costs, rebar and cement materials And a lot of problems that the overall cost of construction,

넷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시키므로 전반적으로 공사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에 시간이 소요됨으로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량에 대한 교통통제가 필수적으로 요청되며,Fourth,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because the concrete is cast at the site, and the construction time is long. Also, because the concrete is time-consuming to cure concrete, traffic control is required for the bridge to secure a certain quality.

다섯째,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여 용접하여야만 하고,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하기 위해서는 비계·거푸집 및 동바리 등이 가설되어야 하며, 성형후에는 이를 해체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운 작업과,Fifth, it is necessary to install reinforcing bars at the site and weld them, and also to install concrete, scaffolding, formwork, and copper bars should be installed.

여섯째, 현장타설에 따른 비계 및 거푸집의 가설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보수하고자 하는 교량이 고가교량인 경우에는 이에 따른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교량하부로 운행되는 차량통행에 불편을 주게 되어 교통체증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등이 있다.Sixth, since the construction of scaffolding and formwork due to site casting is essential, if the bridge to be repaired is a high-priced bridge, the working space must be secured accordingly,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traffic that runs under the bridge. There are problems to be caused.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지진 등의 영향으로부터 하부구조물인 교각 또는 교대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추락되지 아니하고 교대 또는 교각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낙교를 방지하는 기능과, 또한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시 잭으로 상부구조물을 상향으로 들어올릴 때 잭받침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PC블록을 교각 상단부의 전후 측벽상에 접합 고정시키는 본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fall apart from the pier or alternating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ructure from the impact of the earthquake or the like so as not to fall without falling down from the impact of the earthquake or the like, so a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 to prevent and to connect the PC block on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of the top of the pier to be used as a jack support when lifting the upper structure upward by the jack when replacing the bridge device of the bridge.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연단거리를 넓혀주기 위해 교각상부의 전후 측벽에 접합되는 PC블록을 공장제작하여, 이 PC블록을 현장에서 고장력의 앵커철봉으로 교각 상단부의 전후 측벽상에 접합 고정시킴으로써, 일정한 품질확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착강도를 증대시켜 주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PC block bonded to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of the pier to increase the distance of the bridge, by fixing the PC block on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of the pier upper end with high-strength anchor bar in the field, Not only is it possible to secure a certain quality, but also to provide a bridge repair method to prevent falling, which increases the strength of attachment.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이 아닌 공장제품인 PC블록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전반적인 공사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교량 상부의 교통 통제를 하지 않고서도 전천후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PC block, which is a factory product, not a cast-in-place concrete method, which not only shortens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but also prevents falling rain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ll weather without controlling traffic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To provide a repair method for bridges.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계·거푸집 및 동바리 등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거나 용접하지 않고서도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능률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perform construction without installing scaffolding, formwork and copper bars, as well as to perform work without reinforcing or welding reinforcing bars in the field, thereby efficiently and efficiently constructing work. It is to provide a bridge repair method to prevent falling.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계·거푸집 및 동바리 등을 가설하지 않고서도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량하부의 차량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repair method for preventing falling traffic by allowing work to be carried out without installing scaffolding, formwork, and ridges.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계·거푸집 및 동바리 등을 전혀 가설하지 아니하고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pair method for bridges to prevent falling, by allowing construction work without scaffolding, formwork, and moving parts at all.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좌장치가 설치된 교각부위의 필요한 위치에만 PC블록을 설치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시켜 주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pair method for bridges to prevent falling, by installing a PC block only in the required position of the bridge portion where the bridge device is installed.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교량보수공법에 의해 시공되어진 교각 상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portion of a pier constructed by a conventional bridge repair method

도2는 본발명에 따라 시공되어진 교각 상부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ier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발명의 시공에 따라 PC블록이 접합되는 접합부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portion bonded to the PC block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 내지 도4d는 본발명 시공시 사용되는 PC블록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4a to 4d are view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C bloc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도4a는 본발명 시공시 사용되는 PC블록의 제1실시예에 대한 도면Figure 4a is a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PC bloc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도4b는 본발명 시공시 사용되는 PC블록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도면Figure 4b is a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C bloc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도4c는 본발명 시공시 사용되는 PC블록의 제3실시예에 대한 도면Figure 4c is a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C bloc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도4d는 본발명 시공시 사용되는 PC블록의 단면도Figure 4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 bloc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도5a 내지 도5d는 본발명의 시공단계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5a to 5d ar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는 교각 상단부 측벽에 앵커공을 천공하는 천공단계의 단면도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lling step for drilling the anchor hole in the pier top side wall

도5b는 앵커공들내에 앵커철봉을 앵커시키는 앵커단계의 단면도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chor step of anchoring the anchor bar in the anchor holes

도5c는 돌출된 앵커철봉에 PC블록을 거치시키는 거치단계의 단면도Figure 5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step for mounting the PC block on the protruding anchor bar

도5d는 앵커철봉의 단부를 체결너트로 고정시킨 후 접합부를 마감 처리하는 마감단계의 단면도Figure 5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ing step of finishing the joint after fixing the end of the anchor bar with a fastening nut

도6은 본발명의 교량보수공법에 대한 단계별 시공작업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tep-by-step construction work for the bridg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교각 11:측벽 12:앵커공10: pier 11: side wall 12: anchor ball

20:교좌장치 30:상부구조물 40:PC블록20: Bridge device 30: Upper structure 40: PC block

41:끼움공 42:단턱부 43:너트삽입부41: fitting hole 42: step 43: nut insertion portion

44:관통구멍 45:철근조립체 46:중공부44: through-hole 45: rebar assembly 46: hollow part

50:앵커철봉 51:돌출부 60:체결너트50: anchor bar 51: protrusion 60: tightening nut

70:그라우트재70: grout materi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발명은 도2 내지 도5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각(10)의 전후 측벽(11)상에 앵커철봉(50)을 선시공하여 정착시키고, 이 정착된 앵커철봉(50)의 일단에 공장제품인 PC블록(40)을 접합시켜 교각(10)과 일체화시키는 기술로서, a) 교각(10)의 상단부 전후 측벽(11)의 표면을 거칠게 치핑한 다음, 일정위치에 앵커공(12)들을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는 앵커공(12)들의 천공단계와;2 to 5D, the anchor iron bar 50 is fixed on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piers 10 to be fixed, and a factory produc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nchor iron bar 50. As a technique of joining the PC block 40 to integrate with the piers 10, a) roughly chipping the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upper end of the piers 10, and then anchoring the anchor holes 12 to a predetermined position. Drilling step of anchor holes 12 to drill to a depth;

b) 상기 앵커공(12)들의 내부로 적절한 직경 및 정착길이를 갖는 앵커철봉 (50)들을 삽입시켜 그 틈사이(s1)를 그라우트재(70)로 충진 고정시키되 앵커철봉 (50)의 일측은 상기 앵커공(12)의 내부로 매설 정착시키고, 타측은 교각(10)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시키는 앵커철봉(50)들의 앵커단계와;b) inserting anchor rods 50 having an appropriate diameter and fixing length into the anchor holes 12 so as to fill and fix the gaps s 1 with grout material 70 and to one side of the anchor rod 50. And anchored buried in the anchor hole 12, the other side anchor step of protruding anchor bar (50)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iers (10);

c) 상기 정착 고정된 앵커철봉(50)들에 PC블록(40)을 거치시키되 상기 PC블록(40)의 일정위치에 뚫린 끼움공(41)들을 앵커철봉(50)들의 돌출부(51)에 끼우는 PC블록(40)의 거치단계와;c) Mounting the PC block 40 to the anchoring anchor bar 50 fixed to the fixing fitting holes (41) dri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C block 40 to the protrusions 51 of the anchor bar 50 (50) Mounting step of the PC block 40;

d) 상기 거치된 PC블록(40)의 끼움공(41)들 외부로 돌출된 앵커철봉(50)의 돌출부(51)들에 체결너트(60)들을 끼우고 소정의 체결력을 얻을 때까지 토크렌치로 측정하면서 체결하여 상기 PC블록(40)을 교각(10)의 전후 측벽(11)상에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단계와;d) Torque wrench until the predetermined fastening force is obtain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nuts 60 into the protrusions 51 of the anchor iron bar 50 protruding out of the fitting holes 41 of the mounted PC block 40. A fastening step of fastening and measuring the PC block 40 on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piers 10 by fastening the same while measuring the fastening;

상기 교각(10) 측면상에 PC블록(40)이 밀착되어진 접합면 틈사이(s2)와, 앵커철봉(50)과 체결너트(60)가 위치하는 PC블록(40)의 끼움공(41)의 공간부들에 각각 그라우트재(70)를 충진시켜 마감 처리하는 마감단계; 로 완료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itting hole 41 of the PC block 40 in which the connection surface gap s 2 between which the PC block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ier 10 and the anchor bar 50 and the fastening nut 60 is located. A finishing step of filling and finishing the grout material 70 into the spaces of the respective ones; Characterized by the completion of.

본발명의 기술구성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2 내지 도4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PC블록(40)은 공장에서 미리 성형되어 제작된 일정 품질의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압축강도 280∼400㎏/㎠의 고강도를 가지며, 그 단면형상은 내측면이 외측면보다 넓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o 4D, the PC block 4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cast product of a predetermined quality that is pre-molded in the factory, and has a high compressive strength of 280 to 400 kg / cm 2,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side is wider than the outer side.

이러한 PC블록(40)은 철근조립체(45)가 적정두께의 콘크리트내에 매설되어 피복되어 있으며, 전후벽을 관통하는 끼움공(41)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끼움공(41)들의 일측은 체결너트(60)가 수용되는 너트삽입부(43)와 단턱부(42)가 형성되며, 타측은 폭전체 길이에 걸쳐 앵커철봉(50)이 끼워지는 관통구멍(44)들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41)들의 사이사이마다 일정한 위치에 중공부(46)들이 형성되며, 상기 교각(10)과 접합되는 내측면은 거친 표면으로 성형된다.The PC block 40 is coated with a reinforcing bar assembly 45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appropriate thickness, the fitting holes 41 are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walls, one side of each of the fitting holes 41 is fastening nut The nut insertion part 43 and the stepped part 42 which receive the 60 are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the through-holes 44 into which the anchor bar 50 is fitte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width, and the fitting hole ( Hollow portions 4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between the portions 41, and the inner side of the bridge 10 is formed into a rough surface.

상기에서 내측면이 거친 표면으로 성형됨은 교각(10)과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며, 중공부(46)들이 형성됨은 PC블록(40)을 경량화시켜 교각(10)에 적재되는 사하중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이다.The inner surface is formed into a rough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pier 10, the hollow portion 46 is formed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dead loaded on the pier 10 by reducing the PC block 40 To suppress it.

한편, 도4a 내지 도4c에서 도시된 도면은 PC블록(40)들에 대한 실시예들인데, 도4a는 중공부가 없는 실시예이고, 도4b 및 도4c는 중공부(46)가 형성된 PC블록들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로서, 도4b에서와 같이 중공부(46)의 형상은 원형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4c에서와 같이 사각공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삼각공 등으로 뚫려져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s 4a to 4c is an embodiment of the PC block 40, Figure 4a is an embodiment without a hollow portion, Figures 4b and 4c is a PC block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46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B, the hollow portion 46 may be formed in a circular hole, may also be formed in a square hole as in FIG. 4C, or may be drilled into other triangle holes. .

여기에서 이들 중공부(46)들은 PC블록(40)내 일정한 피복두께로 매설된 철근조립체(45)가 노출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매설된 철근들의 사이사이로 관통되게 성형되어진다.Here, the hollows 46 are molded to penetrate between the embedded bars within a rang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45 embedded in the PC block 40 with a predetermined coating thickness is not exposed.

이와 같이 PC블록(40)의 일정위치에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의 중공부(46)들을 형성시킴으로써 경량화와 외적인 미관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As such, by forming the plurality of hollow parts 46 having various shape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C block 40,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ight weight and an external appearance.

본발명의 PC블록(40)을 이용한 교량보수공법의 시공순서에 대하여 도5a 내지 도6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bridge repair method using the PC block 4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

도5a 내지 도5d는 단계별 시공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6은 전체적인 단계별 시공작업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5A to 5D are diagrams showing construction work in stages, and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construction work in stages.

먼저, 도5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교각(10)의 상단부 전후 측벽(11)의 표면을 거칠게 치핑한 다음, 설치하고자 하는 교각(10)의 상단부 전후 측벽(11)의 일정위치에 앵커공(12)들을 소정의 깊이와 직경으로 전후 측벽(11)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드릴로 천공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5A, roughly chipping the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upper end of the pier 10, and then anchoring the anchor ho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upper end of the pier 10 to be installed. 12) are dri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diameter.

상기 앵커공(12)들이 천공되는 위치는 상부로부터 하중을 전달하는 부위인 교좌장치(20)를 중심선상으로 하여 교각(10)의 상단부 전후 측벽(11)의 표면에서 수평으로 일정한 깊이로 천공되는데, 이 천공되는 구멍의 깊이 및 직경들은 교량의 교각 단면형태에 따라 정해지는 것임을 밝혀 둔다.The anchor holes 12 are drilled in a horizontally constant depth on the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upper end of the piers 10 with the center of the cross-linking device 20 which is a portion for transmitting load from the top. It is to be noted that the depth and diameters of these perforated holes are determined by the bridg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ridge.

한편, 앵커공(12)들의 천공깊이는 상측부는 깊게 천공하고, 하측부는 그보다 짧은 깊이로 천공을 하며, 천공되는 구멍의 직경도 상측부는 큰 직경으로 천공되며, 하측부는 그보다 작은 직경으로 천공된다. 또한, 앵커공(12)들간의 간격은 PC블록(40)에 뚫려져 있는 끼움공(41)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져서 PC블록(40)을 끼울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lling depth of the anchor holes 12, the upper side is drilled deeper, the lower side is drilled to a shorter depth than that, the diameter of the hole to be drilled also the upper side is a large diameter, the lower side is drilled to a smaller diameter. In addition, the spacing between the anchor holes 12 has the same spacing as the spacing of the fitting holes 41 that are drilled in the PC block 40 to enable the PC block 40 to be fitted.

앵커공(12)들의 위치를 교좌장치(20)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는 것은 교좌장치(20)의 위치에서 상부하중이 크게 재하되기 때문이며, 또한 추후 설치될 PC블록(4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교좌장치(20)를 통하여 상부하중이 전달되기 때문에 하중을 많이 받는 부위에서 상부구조물(30)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경제적으로 시공하기 위해서이다.The position of the anchor holes 12 as a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teaching device 20 is installed is because the upper load is greatly loaded at the location of the teaching device 20, and the location of the PC block 40 to be installed later is determined. In order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30 at the site under heavy load because the upper load is transmitted through the chair apparatus 20, and also to construct economically.

한편, PC블록(40)이 접합되어지는 교각(10)의 상단부 전후 측벽의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후, 교각(10)의 상단부 전후 측벽(11)의 표면을 치핑하여 거칠게 표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PC블록(40)과 상기 교각(10)의 전후 측벽 (11)이 서로 맞닿는 접합면이 각각 거칠게 성형됨으로써 충진되는 그라우트재(70)의 부착력을 높여 주고, 충진되는 그라우트재(70)에 의하여 상기 PC블록(40)과 상기 교각(10)의 전후 측벽(11)이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clean the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of the pier 10 to which the PC block 40 is bonded, and then roughly surface the surface by chipping the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pier 10. In addition, the joint surface where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PC block 40 and the piers 10 abut each other is roughly formed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grout material 70 to be filled, and the grout material 70 to be filled. This is to allow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PC block 40 and the bridge 10 to be integrated.

이후, 도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앵커철봉(50)을 천공된 앵커공(12)내로 삽입하는데, 일측은 앵커공(12)의 내부로 삽입하고, 타측은 교각(10)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끼운 후, 끼워진 앵커철봉(50)들을 교각(10)의 앵커공(12)들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앵커철봉(50)과 앵커공(12)의 틈사이(s1)에 그라우트재(70)를 충진시켜 앵커철봉(50)들을 앵커공내에 견고하게 정착시킨다.Then, as shown in Figure 5b, the anchor bar 50 is inserted into the drilled anchor hole 12,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 12, the other side is external from the surface of the piers 10 grout material to anchor horizontal bar 50 and the gap between (s 1) of the anchor hole 12 and then inserted to protrude, in order to fix the inserted anchor horizontal bar 50, the anchor hole 12 of the pier (10) with ( Filling 70) anchor steel bars 50 are firmly fixed in the anchor hole.

상기에서 앵커철봉(50)으로서는 철근 또는 앵커볼트 등이 사용되며, 노출되어지는 돌출부(51)에는 그 외면에 체결너트(60)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Reinforcing bar or anchor bolt is used as the anchor bar 50, and the exposed protrusions 51 is formed with a screw portion to fasten the fastening nut 60 on the outer surface.

상기 앵커공(12)들의 내부로 정착 고정되는 앵커철봉(50)들의 직경은 상측부 앵커철봉(50)의 직경(d1)이 하측부 앵커철봉(50)의 직경(d2)보다 더 크며, 또한 앵커철봉(50)들의 정착길이는 상측부 앵커철봉(50)의 정착길이(l1)가 하측부 앵커철봉 (50)의 정착길이(l2)보다 더 길다. 그 이유는 상측에 하중이 먼저 집중 전달되기 때문에 더 큰 강도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diameter of the anchor iron rods 50 fixed to the inside of the anchor hole 12, the diameter (d 1 ) of the upper anchor iron bar 5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 2 ) of the lower anchor iron bar (50) In addition, the anchoring length of the anchor bar 50, the fixing length (l 1 ) of the upper anchor bar 50 is longer than the fixing length (l 2 ) of the lower anchor bar (50). The reason is that the load is first concentr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it is supported with greater strength.

이후, 도5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착 고정된 앵커철봉(50)에 PC블록 (40)을 끼워 거치시키는데, 상기 PC블록(40)의 일정위치에 뚫린 끼움공(41)들을 교각(10)의 외면으로 돌출된 앵커철봉(50)의 돌출부(51)들에 끼워 PC블록(40)을 교각 (10)의 전후 측벽(11)에 밀착시킴으로써 임시적으로 거치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C, the PC block 40 is fitted to the anchor anchor bar 50 fixed and fixed, and the fitting holes 41 dri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C block 40 are pier 10. The PC block 40 is temporarily mount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11 of the piers 10 by being fitted to the protrusions 51 of the anchor bar 50 protru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ridge 10.

이후, 도5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된 PC블록(40)의 단턱부(42) 외부로 돌출된 앵커철봉(50)의 돌출부(51)에 체결너트(60)를 끼워 회전시키면서 PC블록(40)을 교각(10) 측면상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키는데, 체결너트(60)를 회전시킬수록 교각(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며, 이 체결너트(60)는 PC블록 (40)의 단턱부(42)가 형성된 너트삽입부(43)내로 완전히 수용되어진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5D, the PC block is rotat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nut 60 into the protrusion 51 of the anchor bar 50 protruding outside the stepped part 42 of the mounted PC block 40. 40 is firmly fixed on the side of the pier 10, the more the rotation of the fastening nut 6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pier 10, the fastening nut 60 is a PC block (40) ), The stepped portion 42 is completely received into the formed nut insert 43.

상기에서 PC블록(40)이 거치된 상기 앵커철봉(50)의 끝단부에 체결너트(60)를 조여줄 때에는 토크렌치로 체결력을 측정하면서 소정의 강도가 나타날 때까지 긴결(tensioning)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ightening the fastening nut 60 to the end of the anchor bar 50 is mounted on the PC block 40 is to tighten until the predetermined strength appears while measuring the tightening force with a torque wrench. desirable.

이후, 상기 교각(10) 측면상에 PC블록(40)이 밀착되어진 접합면 틈사이(s2)와, 앵커철봉(50)과 체결너트(60)가 위치된 PC블록(40)의 끼움공(41)의 공간부에 각각 그라우트재(70)를 충진시켜서 마감 처리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fitting hole between the connection surface gap (s 2 ), in which the PC block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iers 10, the anchor iron bar 50, and the fastening nut 60, is fitted. Each grout member 70 is filled in the space of 41 to finish the process.

따라서, 체결너트(60)를 체결한 후, 그 끼움공(41)들 내부에 에폭시수지 또는 에폭시몰탈 등과 같은 화학적 접착제의 그라우트재(70)를 밀실하게 마감하여 줌으로써, 부착강도가 증대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빗물 등의 유입이 방지되어 앵커철봉(50) 및 체결너트(60)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fastening nut 60 is fastened, the grout material 70 of a chemical adhesive such as epoxy resin or epoxy mortar, etc. is tightly closed in the fitting holes 41,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ve strength and structural stability. Not only this is secured, the inflow of rainwater is prevent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anchor bar 50 and the fastening nut 60.

한편,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에서와 같이 교통을 통제한 후, 비계를 설치하여 거푸집 및 동바리 등을 지지하여 별도의 구조물을 성형시키는 것과 달리, 본발명에서는 교량의 하부, 즉 차량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리프트카 등을 정차시켜 놓고, 이 리프트카를 PC블록의 운반 및 설치등의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대로 이용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용이하게 보수작업을 수행하여 시공함으로써 차량들을 대체로 원활하게 소통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controlling traffic as in the conventional cast-in-place concrete method, the scaffold is installed to support the formwork and the ridge, and to form a separate structure. By stopping the lift car at a location where it is not possible to use, and using the lift car as a work for carrying and installing the PC block, it is possible to easil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s by performing maintenance work easily in a short time. Will be.

상기와 같이 본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비계 및 거푸집등을 가설하여 미경화콘크리트로 현장 타설하여 낙교 방지 보수작업을 수행하였던 것과 달리, 첫째 연단거리를 넓혀 주기 위하여 접합되는 PC블록(40)들이 공장에서 제작되어지므로 일정한 품질의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정강도를 발현시키며, 이 PC블록(40)들을 고장력의 앵커철봉(50)으로 교각(10) 상단부 전후 측벽(11)상에 접합시킴으로써 부착강도가 증대됨으로 교량 상부구조물의 낙교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of scaffolding and formwork, and placed in unhardened concrete to perform a repair operation to prevent falling off, the first PC block 40 to be joined in order to widen the podium distance in the factory Since it is manufactur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certain quality, thus express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by adhering the PC blocks 40 to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11 of the upper end of the piers 10 with high-strength anchor bar 50, the adhesion strength is increased.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falling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둘째,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이 아닌 공장제품인 PC블록(40)을 이용하여 조립 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거나 용접하지 않고서도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거푸집설치 및 해체와 양생기간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전반적인 공사기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assembling and constructing using PC block 40, which is a factory product, not a cast-in-place concrete method, it is possible not only to work without reinforcing or welding reinforcing bars in the field, but also to install and dismantle and cure conventional molds. Since it can be omitted,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is greatly shortened.

셋째, 비계·거푸집 및 동바리 등을 전혀 가설하지 않고서도 리프트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능률적으로 시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공간이 크게 소요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작업중 교량하부의 차량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carried out easily and efficiently without using any scaffolding, formwork, or bundling, so that the work space is not greatly consumed, an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ffic passage under the bridge. It works.

넷째, 비계·거푸집 및 동바리 등을 전혀 가설하지 아니하고서도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교통통제가 필요치 않아 전천후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work without installing any scaffolding, formwork, and ridges at all,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traffic of the upper structure and can be constructed in all weather,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greatly reduced.

다섯째, 교좌장치(20)가 설치된 교각(10)의 필요한 부위에만 PC블록(40)을 설치해도 되기 때문에 철근, 시멘트 등의 자재절약으로 경제성이 증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Fifth, since the PC block 40 may be installed only on the necessary portion of the bridge 10 on which the bridge device 20 is installed, economical efficiency is increased by saving materials such as rebar and cemen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발명의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은 공장 제품인 PC블록(40)들을 교각(10)의 전후 측벽(11)상에 앵커철봉(50)으로 접합시켜 교각(10)과 일체화시킴으로써, 교량 상부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보수에 따른 시공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의 단축 및 그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시켜 주며, 기타 작업중 차량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서도 시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pair method of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o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join the PC block 40, which is a factory product by the anchor bar 50 on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11 of the bridge 10, the bridge 10 By integrating with the struct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can be achieved, and the construction work according to the repair is not only easy, but als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cost,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ffic passage during other work.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constructed.

Claims (7)

a) 교각(10)의 상단부 전후 측벽(11)의 표면을 거칠게 치핑한 다음, 일정위치에 앵커공(12)들을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는 앵커공(12)들의 천공단계와;a) roughly chipping the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upper end of the pier 10, and then drilling the anchor holes 1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drill the anchor holes 12 to a predetermined depth; b) 상기 앵커공(12)들의 내부로 적절한 직경 및 정착길이를 갖는 앵커철봉 (50)들을 삽입시켜 그 틈사이(s1)를 그라우트재(70)로 충진 고정시키되, 앵커철봉 (50)의 일측은 상기 앵커공(12)의 내부로 매설 정착시키고, 타측은 교각(10)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시키는 앵커철봉(50)의 앵커단계와;b) inserting anchor rods 50 having an appropriate diameter and fixing length into the anchor holes 12 so as to fill and fix the gap s 1 with grout material 70, One side is embedded in the anchor hole 12, the anchoring step, the other side anchor step of the anchor bar 50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iers (10); c) 상기 정착 고정된 앵커철봉(50)에 PC블록(40)을 거치시키되, 상기 PC블록(40)의 일정위치에 뚫린 끼움공(41)들을 앵커철봉(50)의 돌출부(51)들에 끼우는 PC블록(40)의 거치단계와;c) Mounting the PC block 40 to the anchor anchor bar 50 fixed, the fitting holes 41 dri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C block 40 to the protrusions 51 of the anchor bar 50 Mounting step of fitting the PC block 40; d) 상기 거치된 PC블록(40)의 끼움공(41)들 외부로 돌출된 앵커철봉(50)의 돌출부(51)들에 체결너트(60)들을 끼우고 소정의 체결력을 얻을 때까지 토크렌치로 측정하면서 체결하여 상기 PC블록(40)을 교각(10)의 전후 측벽(11)상에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단계와;d) Torque wrench until the predetermined fastening force is obtain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nuts 60 into the protrusions 51 of the anchor iron bar 50 protruding out of the fitting holes 41 of the mounted PC block 40. A fastening step of fastening and measuring the PC block 40 on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11 of the piers 10 by fastening the same while measuring the fastening; e) 상기 교각(10) 측면상에 PC블록(40)이 밀착되어진 접합면 틈사이(s2)와, 앵커철봉(50)과 체결너트(60)가 위치하는 PC블록(40)의 끼움공(41)의 공간부들에 각각 그라우트재(70)를 충진시켜 마감 처리하는 마감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e) Fitting hole of the PC block 40 in which the connection surface gap (s 2 ) in which the PC block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ier 10, and the anchor iron bar 50 and the fastening nut 60 are located. A finishing step of filling and finishing the grout material 70 into the space portions of the 41; Bridge repair method for preventing fall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공(12)들의 내부로 정착 고정되는 앵커철봉(50)들의 직경은 상측부 앵커철봉(50)의 직경(d1)이 하측부 앵커철봉(50)의 직경(d2)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According to claim 1, The diameter of the anchor fixing bar 5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anchor hole 12 is the diameter (d 1 ) of the upper anchor iron bar 50 is the diameter of the lower anchor iron bar (50) d 2 ) bridge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eater th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공(12)들의 내부로 정착 고정되는 앵커철봉(50)들의 정착길이는 상측부 앵커철봉(50)의 정착길이(l1)가 하측부 앵커철봉(50)의 정착길이(l2)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choring length of the anchor fixing bar 50 is fixed to the anchor hole 12, the fixing length (l 1 ) of the upper anchor iron bar 50 of the lower anchor iron bar (50) Repair method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nger than the settling length (l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재(70)는 에폭시수지 또는 에폭시몰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out material 70 is any one of an epoxy resin or an epoxy mort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블록(40)과 상기 교각(10)간에 맞닿는 접합면은 각각 그 표면이 거칠게 성형됨으로써 충진되는 그라우트재(70)의 부착강도를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joining surface between the PC block 40 and the pier 10, respectively, to increase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grout material 70 is filled by roughly forming the surface of each of the joining surface. Bridge repair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10) 상단부에 접합되는 PC블록(40)은 교좌장치 (20)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 중심선상의 교각(10) 상단부의 전후 측벽(11)상에 1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C block 40 is bonded to the upper end of the bridge 10 is a pair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11 of the upper end of the bridge 10 on the same center line as the position where the bridge device 20 is installed. Repair method of bridge for prevention of falling off,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10) 상단부에 접합되는 PC블록(40)은 끼움공(41)들사이의 일정위치마다 중공부(46)들이 뚫려져서 경량화시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 방지를 위한 교량의 보수공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C block 40 is bonded to the upper end of the piers 10, the hollow portion 46 is dri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itting holes 41, the fall prevention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Bridge repair method.
KR1019980016118A 1998-05-06 1998-05-06 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 KR100282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118A KR100282180B1 (en) 1998-05-06 1998-05-06 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118A KR100282180B1 (en) 1998-05-06 1998-05-06 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180B1 true KR100282180B1 (en) 2001-02-15

Family

ID=7312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118A KR100282180B1 (en) 1998-05-06 1998-05-06 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18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5B1 (en) Precast truss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KR100837608B1 (en) J.K Bracket Method
KR10200913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Girder Bridge
KR102061224B1 (en) Sectionally devided precast box culvert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63370B1 (en) Precast end-block with girder connection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s same
CN110747754A (en) Shear-resisting reinforcing method for oblique section of wide hollow slab
CN113482308A (en) Construction method of assembled type adjustable overhanging I-steel rigid pull rod outer scaffold
US8627623B2 (en) Modular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KR100282180B1 (en) 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
KR100860592B1 (en) Temporary system for vertical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at block
JPH08135087A (en) Precast concrete column member and joint method thereof
KR200257289Y1 (en) The concrete form constructed basic concrete structure of pole in electric railroads
KR100324704B1 (en) Formwork method using no prop for the floor concrete of the bridge
KR200266040Y1 (en) Precast Concrete Base Structure for Soundproof Wall
JP2002030672A (en) Structure of joining foundation pile to pier bas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ructure
KR100456192B1 (en) Composition of precast concrete wall and precast concrete column for outdoor to sustain external force
KR20020094652A (en) A Method Repairing the Bridge for Preventing Fall thereof
KR20060117642A (en) Construction method of slab for bridge without support bar
KR102541549B1 (en) Expansion Footbridge for Bridge and Slope Installation
KR101189041B1 (en) Soundproofing walls using piles for constructing foundation and supporting pos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CN211714178U (en)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house frame
KR102615137B1 (en) Construction of Rahmen Bridge using Centrifugal Casting Squar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JP4093427B2 (en) High-strength reinforced concrete precast plate
KR101059539B1 (en) Block for road extension
KR101216389B1 (en)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column in 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