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072B1 - 종합정보통신망(isdn)용복합인터페이스카드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isdn)용복합인터페이스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072B1
KR100268072B1 KR1019970049747A KR19970049747A KR100268072B1 KR 100268072 B1 KR100268072 B1 KR 100268072B1 KR 1019970049747 A KR1019970049747 A KR 1019970049747A KR 19970049747 A KR19970049747 A KR 19970049747A KR 100268072 B1 KR100268072 B1 KR 10026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
unit
protocol
outpu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217A (ko
Inventor
이제욱
Original Assignee
이재철
주식회사아이앤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주식회사아이앤티텔레콤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1997004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072B1/ko
Publication of KR97007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42Exchange access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57Connec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71Terminal access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ISDN)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는 U 포트, 망 종단부, S 출력 포트, S 입력 포트, 선택 스위치 및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를 포함한다. U 포트에는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의 U 신호 라인이 접속된다. 망 종단부는, U 포트로부터의 U 신호를 분류하여 사용자 터미널에서 수용 가능한 S 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S 신호를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U 포트에 전송한다. S 출력 포트에는 망 종단부로부터의 S 신호 라인이 접속된다. S 입력 포트에는 외부로부터의 상기 S 신호 라인이 접속된다. 선택 스위치는 사용자가 S 출력 포트와 S 입력 포트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는 S 출력 포트 또는 S 입력 포트로부터의 S 신호와 외부 신호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ISDN)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Complex interface card for ISDN}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용 인터페이스 카드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하여, 음성, 데이터, 화상 등의 다양한 멀티 미디어가 통합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종합정보통신망을 구축하려면,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 사용자측으로 종합 통신 라인이 설치되어야 하고, 사용자측에서는 종합 통신 라인과 단말기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한다. 왜냐하면, 종합정보통신망의 프로토콜과 단말기의 프로토콜이 서로 다르므로, 이들을 해독하여 각 방향으로의 신호들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국제 전신전화 자문위원회(CCITT)에서 규정한 종합정보통신망의 프로토콜은, 전기/물리적인 조건이 규정된 제1 레이어(layer), 데이터 통신 실행을 위한 조건이 규정된 제2 레이어, 및 호/부가 서비스의 제어를 위한 조건이 규정된 제3 레이어 등으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망 종단 장치(NT1, Network Termination 1), 멀티 잭(multi-jack), S 카드, U 카드 등이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U"는 종합정보통신망과 망 종단 장치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부호이다. 또한, "S"는 망 종단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부호이다. 따라서, 망 종단 장치란, U 인터페이스와 S 인터페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가리킨다. 통상적인 U 인터페이스에서 규정된 전송 속도는 160 Kbps(Kilobits per decond)이고, 통상적인 S 인터페이스에서 규정된 전송 속도는 192 Kbps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종합정보통신망용 S 카드에 대한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합정보통신망(11)으로부터의 U 신호(U) 라인은 망 종단 장치(12)에 연결된다. 여기서, U 신호(U) 대신에 BRI(Basic Rate Interface) 신호라고 부를수도 있다. 망 종단 장치(12)로부터의 S 신호(S) 라인은 멀티 잭(13)에 연결되고, 멀티 잭(13)에서 분기된 S 신호 라인들(S1, S2, S3)은 각 사용자 터미널(141, 15, 16)에 연결된다.
망 종단 장치(12)는, 종합정보통신망(11)으로부터의 U 신호(U)를 분류하여 사용자 터미널에서 수용 가능한 S 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멀티 잭(13)으로부터의 S 신호를 통합하여 종합정보통신망(11)에 전송한다. 여기서, S 카드(141)는 PC(Personal Computer, 142)에 장착되어, PC(142)와 망 종단 장치(12) 사이에서 멀티 잭(13)을 통하여 접속된다. 따라서, 종래의 종합정보통신망용 S 카드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망 종단 장치(12)가 필요하다.
도 2에는 종래의 종합정보통신망용 U 카드에 대한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합정보통신망(11)으로부터의 U 신호(U) 라인은 U 카드(21)에 연결된다. 이 U 카드(21)는 상기 망 종단 장치(도 1의 12) 및 S 카드(도 1의 141)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직접 PC(142)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S 카드(도 1의 141)를 사용하는 경우, 망 종단 장치(도 1의 12)를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U 카드(21)를 사용하는 경우, 망 종단 장치(도 1의 12)의 기능을 별도로 수행하지 못하므로 멀티 잭(13)을 사용하여 포트를 증설할 수 없다. 즉, 망 종단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종합정보통신망의 표준 단말기인 S 단말기 예를 들어, 종합정보통신망용 전화기, G4(Group 4) 팩시밀리 및 S 카드 등을 사용할 수 없고, U 카드만을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망 종단 장치, S 카드 및 U 카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종합정보통신망용 S 카드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종합정보통신망용 U 카드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용 US 카드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US 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망 종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종합정보통신망, U...U 신호,
NT1...망 종단 장치, S, S1, S2, S3...S 신호,
13, 32...멀티 잭, 141...S 카드,
142, 33...PC, 15, 34...전화기,
16, 35...팩시밀리, 21...U 카드,
31...US 카드, 311...U 포트,
312...망 종단부, 313...S 출력 포트,
314...S 입력 포트, 317...선택 스위치,
315...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 316...전원 공급부,
51...U 라인 접속부, 52...코드 변환부,
53, 63...S 라인 접속부, 521...U 코드 변환부,
512, 532, 632...직류 절연용 변압기,
511, 513, 531, 631...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
522...S 코드 변환부, 533, 633...임피던스 정합 회로,
SI...시스템 정보, 61...외부 버스 접속부,
62...프로토콜 해독부, 621...제3 레이어 프로토콜 해독부,
64...P&P 설정 회로, 622...제2 레이어 프로토콜 해독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는 U 포트, 망 종단부, S 출력 포트, S 입력 포트, 선택 스위치 및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U 포트에는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의 U 신호 라인이 접속된다. 상기 망 종단부는, 상기 U 포트로부터의 U 신호를 분류하여 사용자 터미널에서 수용 가능한 S 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S 신호를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U 포트에 전송한다. 상기 S 출력 포트에는 상기 망 종단부로부터의 S 신호 라인이 접속된다. 상기 S 입력 포트에는 외부로부터의 상기 S 신호 라인이 접속된다. 상기 선택 스위치는, 사용자가 상기 S 출력 포트와 S 입력 포트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S 신호와 외부 신호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택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S 출력 포트와 S 입력 포트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S 출력 포트를 사용하여 망 종단 장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S 입력 포트를 사용하여 S 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S 출력 포트와 S 입력 포트가 연결된 경우, 상기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를 사용하여 U 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망 종단부는 코드 변환부, U 라인 접속부 및 S 라인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 변환부는, 상기 U 포트로부터의 U 신호의 형식을 상기 S 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각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S 신호의 형식을 상기 U 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한다. 상기 U 라인 접속부는 상기 코드 변환부와 상기 U 포트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그리고, 상기 S 라인 접속부는 상기 코드 변환부와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상기 U 라인 접속부는 보호 회로, 직류 절연용 변압기 및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U 포트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킨다. 상기 직류 절연용 변압기는 상기 U 포트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의 신호를 직류(DC)적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U 포트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matching)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S 라인 접속부는 보호 회로, 직류 절연용 변압기 및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킨다. 상기 직류 절연용 변압기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직류 전압과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의 임피던스를 동일하게 한다.
한편, 상기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는 프로토콜 해독부, 외부 버스 접속부 및 S 라인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는, 상기 외부 신호의 프로토콜을 해독하여 상기 S 신호의 프로토콜에 맞게 상기 외부 신호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S 신호의 프로토콜을 해독하여 상기 외부 신호의 프로토콜에 맞게 상기 S 신호를 제어한다. 상기 외부 버스 접속부는 외부로부터의 입출력 버스와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상기 S 라인 접속부는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와 상기 S 입력 포트 또는 상기 S 출력 포트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버스 접속부는 ISA 인터페이스 또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인터페이스로 될 수 있다. 상기 S 라인 접속부는 보호 회로, 직류 절연용 변압기 및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킨다. 상기 직류 절연용 변압기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로부터의 신호를 직류적으로 분리한다.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용 US 카드(31)에 대한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합정보통신망(11)으로부터의 U 신호(U) 라인은 US 카드(31)에 연결된다. US 카드(31)로부터의 S 신호(S) 라인은 멀티 잭(32)에 연결되고, 멀티 잭(32)에서 분기된 S 신호 라인들(S1, S2, ...)은 각 사용자 터미널(34, 35)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US 카드(31)는 상기 망 종단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US 카드(31)는 입출력 버스를 통하여 PC(33)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US 카드(31)는 망종단 장치 및 상기 U 카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별도의 망 종단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를 US 카드(31)에 연결하여 PC(33)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도 3의 US 카드(31)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 카드(31)는, U 포트(311), 망 종단부(312), S 출력 포트(313), S 입력 포트(314), 선택 스위치(317),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315) 및 전원 공급부(316)를 포함한다. U 포트(311)에는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의 U 신호(U) 라인이 접속된다. 망 종단부(312)는, U 포트(311)로부터의 U 신호(U)를 분류하여 사용자 터미널에서 수용 가능한 S 신호(S)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S 신호(S)를 인터페이싱하여 U 포트(311)에 전송한다. S 출력 포트(313)에는 망 종단부(312)로부터의 S 신호(S) 라인이 접속된다. S 입력 포트(314)에는 외부로부터의 S 신호(S) 라인이 접속된다. 선택 스위치(317)는, 사용자가 S 출력 포트(313)와 S 입력 포트(314)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315)는, S 출력 포트(313) 또는 S 입력 포트(314)로부터의 S 신호에 연결되어, 종합정보통신망용 프로토콜에 의하여 외부 입출력 신호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316)는 망 종단부(312) 및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315)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전원 공급부(316)에는 전원 제어 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US 카드(31)가 장착된 PC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망 종단 장치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317)에 의하여 S 출력 포트(313)와 S 입력 포트(314)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S 출력 포트(313)를 사용하여 망 종단 장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S 입력 포트(314)를 사용하여 S 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스위치(317)에 의하여 S 출력 포트(313)와 S 입력 포트(314)가 연결된 경우, 망 종단부(312)와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315)를 사용하여 U 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S 출력 포트(313)에 S 단말기를 연결하여 망 종단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도 4의 망 종단부(312)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망 종단부(312)는 코드 변환부(52), U 라인 접속부(51) 및 S 라인 접속부(53)를 포함한다. 코드 변환부(52)는, U 포트(도 4의 311)로부터의 U 신호(U)의 형식을 S 신호(S)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한편, 각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S 신호(S)의 형식을 U 신호(U)의 형식으로 변환한다. 이때, 전기/물리적인 조건이 규정된 제1 레이어(layer) 프로토콜이 적용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 변환부(52)는 U 코드 변환부(521)와 S 코드 변환부(522)로 대별된다. U 라인 접속부(51)는 코드 변환부(52)와 U 포트(311)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그리고, S 라인 접속부(53)는 코드 변환부(52)와 S 출력 포트(도 4의 313)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도 4의 314)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U 라인 접속부(51)는 제1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11), 제1 직류 절연용 변압기(512) 및 제2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13)를 포함한다. 제1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11)는, U 포트(311)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제1 직류 절연용 변압기(512)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한편, U 포트(311)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킨다. 제1 직류 절연용 변압기(512)는, 제1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11)로부터의 U 신호와, 제2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13)로부터의 U 신호를 직류적으로 분리한다. 제2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13)는, 제1 직류 절연용 변압기(512)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코드 변환부(52)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한편, 제1 직류 절연용 변압기(512)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S 라인 접속부(53)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533), 제2 직류 절연용 변압기(532), 및 제3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31)를 포함한다. 임피던스 정합 회로(533)는 S 출력 포트(도 4의 313) 또는 S 입력 포트(도 4의 314)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코드 변환부(52)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서로 정합시킨다. 제2 직류 절연용 변압기(532)는, 제3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31)로부터의 S 신호와, 임피던스 정합 회로(533)로부터의 S 신호를 직류적으로 분리한다. 제3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531)는, 제2 직류 절연용 변압기(532)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코드 변환부(52)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한편, 제2 직류 절연용 변압기(532)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킨다.
도 6에는 도 4의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315)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315)는 프로토콜 해독부(62), 외부 버스 접속부(61), S 라인 접속부(63) 및 P&P (Plug & Play) 설정 회로(64)를 포함한다. 프로토콜 해독부(62)는, 외부 버스 신호를 S 신호(S)의 프로토콜에 맞게 제어하는 한편, S 신호(S)의 프로토콜을 해독하여 외부 버스 신호의 프로토콜에 맞게 S 신호(S)를 제어한다. 외부 버스 접속부(61)는 외부로부터의 입출력 버스와 프로토콜 해독부(62)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입출력 버스가 ISA 버스인 경우, 외부 버스 접속부(61)는 ISA 인터페이스로 된다. 또한, 입출력 버스가 PCI 버스인 경우, 외부 버스 접속부(61)는 PCI 인터페이스로 된다. S 라인 접속부(63)는 프로토콜 해독부(62)와 S 입력 포트(도 4의 314) 또는 S 출력 포트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한다. P&P (Plug & Play) 설정 회로는, 외부 버스 접속부(61)를 통하여 US 카드(도 3의 31)의 시스템 정보(SI)를 외부 시스템 예를 들어, PC(도 3의 33)에 알려줌으로써, 외부 시스템이 US 카드(31)에 대한 P&P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프로토콜 해독부(62)는 제2-레이어 프로토콜 해독부(622)와 제3-레이어 프로토콜 해독부(621)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합정보통신망용 제2 레이어 프로토콜은 데이터 통신 실행을 위한 조건이 규정되어 있고, 제3 레이어 프로토콜은 호/부가 서비스의 제어를 위한 조건이 규정되어 있다. 제2-레이어 프로토콜 해독부(622)는, 외부 버스 신호를 해독하여 S 신호(S)의 제2-레이어 프로토콜에 맞게 제어하는 한편, S 신호(S)의 제2-레이어 프로토콜을 해독하여 외부 버스 신호에 맞게 제어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3-레이어 프로토콜 해독부(621)는, 외부 버스 접속부(61)로부터의 입출력 신호를 제3-레이어 프로토콜에 맞게 제어하는 한편, 제2-레이어 프로토콜 해독부(622)로부터의 입출력 신호를 외부 버스 신호의 프로토콜에 맞게 제어한다.
S 라인 접속부(63)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633), 직류 절연용 변압기(632),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631)를 포함한다. 임피던스 정합 회로(633)는, S 출력 포트(도 4의 313) 또는 S 입력 포트(도 4의 314)로부터의 임피던스와 프로토콜 해독부(62)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직류 절연용 변압기(632)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633)로부터의 S 신호와,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631)로부터의 S 신호를 직류적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임피던스 정합 및 보호 회로(631)는, 직류 절연용 변압기(632)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제2-레이어 프로토콜 해독부(622)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한편, 직류 절연용 변압기(632)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선택 스위치(도 4의 317)에 의하여 S 출력 포트(도 4의 313)와 S 입력 포트(도 4의 314)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S 출력 포트(313)를 사용하여 망 종단 장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S 입력 포트(314)를 사용하여 S 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스위치(317)에 의하여 S 출력 포트(313)와 S 입력 포트(314)가 연결된 경우,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도 4의 315)를 사용하여 U 카드의 기능과 망 종단 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S 출력 포트(313) 또는 S 입력 포트(314)를 사용하여 S 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택 스위치(317)를 온(On) 시킨 경우, 망 종단 장치, U 카드 및 망종단/U카드의 기능들이 수행된다. 상기 망종단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U 포트(311) 〈-〉 망종단부(312) 〈-〉 S 출력 포트(313) 〈-〉 S 단말기의 신호 통로가 구성된다. 상기 U 카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U 포트(311) 〈-〉 망종단부(312) 〈-〉 선택 스위치(317) 〈-〉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315) 〈-〉 입출력 버스의 신호 통로가 구성된다. 상기 망종단/U카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두 통로가 동시에 구성된다. 한편, 선택 스위치(317)를 오프(Off) 시킨 경우, 망 종단 장치 및 S 카드의 기능들이 수행된다. 상기 망 종단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U 포트(311) 〈-〉 망종단부(312) 〈-〉 S 출력 포트(313) 〈-〉 S 단말기의 신호 통로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S 카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S 입력 포트(314) 〈-〉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315) 〈-〉 입출력 버스의 신호 통로가 구성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에 의하면, 망 종단 장치, S 카드 및 U 카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자원 절감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9)

  1.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의 U 신호 라인이 접속되는 U 포트;
    상기 U 포트로부터의 U 신호를 분류하여 사용자 터미널에서 수용 가능한 S 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S 신호를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U 포트에 전송하는 망 종단부;
    상기 망 종단부로부터의 S 신호 라인이 접속되는 S 출력 포트;
    외부로부터의 상기 S 신호 라인이 접속되는 S 입력 포트;
    사용자가 상기 S 출력 포트와 S 입력 포트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 및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S 신호와 외부 신호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종단부는,
    상기 U 포트로부터의 U 신호의 형식을 상기 S 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각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S 신호의 형식을 상기 U 신호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코드 변환부;
    상기 코드 변환부와 상기 U 포트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하는 U 라인 접속부; 및
    상기 코드 변환부와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하는 S 라인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 라인 접속부는,
    상기 U 포트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키는 보호 회로;
    상기 U 포트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의 신호를 직류적으로 분리하는 직류 절연용 변압기; 및
    상기 U 포트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 라인 접속부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키는 보호 회로;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의 신호를 직류적으로 분리하는 직류 절연용 변압기; 및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상기 코드 변환부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신호의 프로토콜을 해독하여 상기 S 신호의 프로토콜에 맞게 상기 외부 신호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S 신호의 프로토콜을 해독하여 상기 외부 신호의 프로토콜에 맞게 상기 S 신호를 제어하는 프로토콜 해독부;
    외부로부터의 입출력 버스와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하는 외부 버스 접속부; 및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와 상기 S 입력 포트 또는 상기 S 출력 포트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하는 S 라인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버스 접속부는,
    ISA 인터페이스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버스 접속부는,
    PCI 인터페이스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 라인 접속부는,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 전압을 감쇄시키는 보호 회로;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로부터의 신호를 직류적으로 분리하는 직류 절연용 변압기; 및
    상기 S 출력 포트 또는 상기 S 입력 포트로부터의 임피던스와 상기 프로토콜 해독부로부터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9. 제1항에 있어서,
    전원 제어 회로가 내장되어 상기 망 종단부 및 S 접속 및 프로토콜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인터페이스 카드.
KR1019970049747A 1997-09-29 1997-09-29 종합정보통신망(isdn)용복합인터페이스카드 KR10026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47A KR100268072B1 (ko) 1997-09-29 1997-09-29 종합정보통신망(isdn)용복합인터페이스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47A KR100268072B1 (ko) 1997-09-29 1997-09-29 종합정보통신망(isdn)용복합인터페이스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217A KR970078217A (ko) 1997-12-12
KR100268072B1 true KR100268072B1 (ko) 2000-10-16

Family

ID=1952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747A KR100268072B1 (ko) 1997-09-29 1997-09-29 종합정보통신망(isdn)용복합인터페이스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0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217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5190B2 (ja) 電話回線網に対する個人用コンピュータの接続装置
RU2136116C1 (ru) Адаптер данных
US6529743B1 (en) Universal wireless telephone to modem adapter
US63078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rnally incorporating automatic switching between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US5896512A (en) Modified network interface unit with terminal device access
US6272553B2 (en) Multi-services communications device
US6526288B1 (en) System for connecting a data communication device over wireless terminals to a communication network
US55110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concurrent voice and data and SVD communication endpoints
KR20020050578A (ko) 다양한 데이터 계층에 대해 지원 가능한 액세스 장치
KR100268072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용복합인터페이스카드
CA2100702C (en) Option bus
JPH09191451A (ja) ビデオ電話装置
US6285747B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JPH11239242A (ja) 複合器
JPH11136396A (ja) 通信装置
US6141414A (en) Data access arrangement having combined remote hang-up/ring detection circuitry
EP098873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ordinary telephones to connect to a data network
KR100244851B1 (ko)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화수행방법
US5905903A (en) PC card for an ISDN interface
KR100336511B1 (ko) 아이에스디엔 데이터 단말 장치
US5617291A (en) Compact modem system suitable for a notebook or other small computer
KR100437600B1 (ko) 부가통신 시스템에서의 문자 정보 변환 서비스 보드 및 방법
KR940005246B1 (ko) Isdn 전화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20056767A (ko) 허브의 lan전원을 이용한 ip시스템의 전원공급방법및 회로
KR20020089863A (ko) 인터넷폰 기능 부가용 전화기 어댑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