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949B1 -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949B1
KR100267949B1 KR1019970050248A KR19970050248A KR100267949B1 KR 100267949 B1 KR100267949 B1 KR 100267949B1 KR 1019970050248 A KR1019970050248 A KR 1019970050248A KR 19970050248 A KR19970050248 A KR 19970050248A KR 100267949 B1 KR100267949 B1 KR 100267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p
cover member
operation plate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446A (ko
Inventor
미즈타니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1998003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2Means for securing the members on rotatable spindl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ling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과제)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즙이 조작손잡이에서 축부재를 통하여 이것에 연결되는 제어수단으로 도달하는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부피가 크지않으며 콤팩트화를 목적으로 하는 조작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조작축(10)과, 조작축(10)의 일단부에 부착된 조작손잡이(20)와, 조작축(1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조작손잡이(20)를 가동시킴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30)과, 조작축(10)의 중간부에 외측끼움되고 이 외측끼움부를 실질상 폐색함과 아울러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캡(40)을 구비한 조작장치이다.

Description

조작장치
본 발명은 케이싱의 상판과 조작플레이트의 상면에 조작손잡이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장치로서, 예를 들어 조리남비등에서 끓어 흘러넘치는 액즙등이 조작손잡이부로 유입되기도 하는 조리기구등에 적합한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구의 상판 상면에 조작손잡이가 노출되는 형식의 기구조작장치에서는, 국물등이 흘러 내리는 것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7-116048호의 기구조작장치에서는, 상판부의 조작축부 삽입용 통공의 둘레가장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상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상 볼록부보다도 지름이 큰 원판부를 구비한 조작손잡이가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조작축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기구조작장치를 열기구에 이용한 것에서는 상판으로 흘러내린 국물등이 상기 환형상 볼록부에 의해서 차단됨과 아울러, 조작축부 외측둘레의 간격부가 조작손잡이의 원판부에 의해서 차단되기 때문에, 국물등이 조작축부 외측둘레의 간격을 통하여 기구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회피된다.
한편,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9-4904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에 대하여 장식링을 동일 축선상에 설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가 장식링에 형성되는 요함부(凹陷部)내로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형식의 것이 있다. 이 선행기술의 것은, 조작축부 및 이것에 부착되는 조작손잡이의 축선이 수평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조작손잡이가 요함부내로 수용되는 형식이어도 기구 앞면을 통하여 침입하는 액즙등이 상기 요함부에서 가스콕등의 열량조절장치의 설치부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전자의 형식의 기구조작장치에서는 상판부의 조작축부 삽입용 통공 둘레가장자리에 환형상 볼록부를 구비하고, 이것을 높게 형성함으로써 국물등의 침임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그러나, 이 환형상 볼록부를 상측의 조작손잡이측으로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가공상 한계가 있고, 특히 상판부가 유리로 된 상판인 경우에는 이것이 매우 곤란하다. 또, 후자의 형식의 기구조작장치를 드롭인(drop-in) 곤로등과 같은 기구의 상판부에 그대로 채용하고, 조작손잡이가 상판부의 상면에 상향의 자세로 배치되도록 한 경우, 요함부내에 저류된 액즙등이 환형상 볼록부를 타고 넘어서 하측에 배치된 가스콕이나 열량스위치 등의 열량조절장치에 도달하여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즙등이 조작손잡이에서 축부재를 통하여 이것에 연결되는 제어수단에 도달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제 1 목적에 부가하여 장치의 간소화와 이에 의한 조립작업성을 향상시켜 저렴한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작장치에 관한 실시형태의 요부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5 - 조작축 11, 12 - 환형상홈
20, 21, 22 - 조작손잡이 30 - 열량조절장치
40 - 캡 50, 51, 52 - O링
60 - 조작플레이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목적에 대응하는 것으로, 『조작플레이트의 축구멍을 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외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부착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내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플레이트와 상기 제어수단 사이에서 상기 축부재에 외측끼움되어 상기 외측끼움부를 실질상 폐색함과 아울러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였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을 채용한 것에서는, 예를 들면 액즙등이 조작플레이트의 축구멍을 통하여 유입되어 제어수단을 향하여 흘러내리더라도 조작손잡이와 제어수단 사이에 커버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커버부재는 액즙등이 제어수단으로 도달하는 것을 저지한다. 즉 커버부재는 축부재에 외측끼움되는 외측끼움부가 실질상 폐색되어 있으므로, 축구멍에서 축부재를 통하여 흘러내린 액즙등은 상기 폐색에 의하여 제어수단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 커버부재는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커버부재로 흘러내린 액즙등이 커버부재의 돌출부분의 존재에 의하여 제어수단을 피하여 흘러내리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목적에 대응하여,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즙등이 제어수단으로 직접 흘러내리거나 또는 액즙등이 제어수단으로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는 축부재의 중간부에 외측끼움하는 것만으로 부착되므로, 상기 제 2 목적에 대응하여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액즙등」이라고 하는 것은, 피조리부재에서 국물이 끓어 흘러넘치는 글자 그대로의 액즙 이외에 어떠한 이유에 의하여 조작플레이트 위에 넘쳐흐른 액체등도 포함되고, 그리고 여기에 먼지나 고체물 등이 포함된 경우라도 상관없다. 또, 이 해결수단에서는 축부재의 자세상태가 연직방향인 것 외에 경사진 자세상태이어도 된다. 그리고 커버부재는 축부재에 대하여 둘레전체에 돌출 형성된 것 이외에 소정의 반지름방향으로만 돌출형성되도록 하여도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의 커버부재의 형상을 한정한 것으로, 『커버부재는, 제어수단을 연직방향에서 본 투영형상보다도 큰 돌출형상으로 하였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이 액즙등의 하류측 즉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즙등이 흘러내리는 하류측에 부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커버부재가 제어수단을 피복할 수 있는 크기의 돌출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커버부재에 의하여 액즙등이 제어수단으로 직접 흘러내리거나 또는 제어수단에 도달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 커버부재는 제어수단을 연직방향에서 본 투영형상보다도 큰 돌출형상이므로, 조작손잡이와 축부재와 제어수단이 연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조작장치 이외에, 조작손잡이와 축부재와 제어수단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열된 조작장치에 대해서도 액즙등이 제어수단으로 도달하는 것을 저지한다. 그리고 커버부재를 축부재에 대하여 둘레전체에 돌출형성한 것 이외에, 소정의 반지름방향으로만 돌출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복수의 커버부재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개개의 커버부재의 돌출형상이 제어수단보다 작더라도 축부재에 외측끼움된 상태로 구성되는 합성된 커버부재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크므로(예를 들면, 축부재가 경사진 경우 등), 제어수단을 연직방향에서 본 투영형상보다 크면 된다. 이와 같이 이 해결수단에 있어서도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액즙등이 제어수단으로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되고 또한 장치가 간소화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의 커버부재의 부착을 한정한 것으로,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축하는 탄성걸림부재를 축부재에 외측끼움시키고, 이 탄성걸림부재에 의하여 커버부재를 축방향으로 눌러 축부재에 고정시켰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축부재에 외측끼움된 탄성걸림부재를 이용하여 커버부재를 축부재에 고정시킨 것으로, 이 경우 탄성걸림부재 자체가 가지는 반지름방향 내측으로의 수축성을 이용하여 탄성걸림부재의 축부재에 대한 부착작업의 용이성과 외측끼움부의 폐색성 모두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걸림부재에 의하여 축선방향으로 눌려져 고정되므로 간단하게 부착되고, 따라서 부피가 커지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장치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해결수단에서는, 상기 제 1 목적에 부가하여 제 2 목적인 조립작업성의 향상이 이루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의 커버부재를 한정한 것으로, 『축부재에 외측끼움되는 커버부재의 적어도 관통구멍 둘레가장자리부는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축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었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커버부재의 관통구멍 둘레가장자리부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축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워맞춤부위에 맞닿는 축부재의 외측지름을 관통구멍 내측지름과 동일 또는 그보다 작게 설정하면, 커버부재를 축부재에 용이하게 외측끼움시킬 수 있고 또한 이 외측끼움부의 폐색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한 제 1 및 제 2 목적이 달성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의 커버부재를 한정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일부에 의해서 축선방향으로 눌려 상기 축부재에 고정되었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커버부재가 축부재에 외측끼움된 상태에서 조작손잡이의 일부를 축선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커버부재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조작손잡이를 이용하여 커버부재를 누름고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따로 부착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목적에 대응하여, 제어수단으로 액즙등이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됨과 아울러 장치가 간소화되고 작업성도 향상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커버부재를 한정한 것으로, 『커버부재에는 커버의 표리면을 관통하는 결손부를 구비하였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액즙등이 만약 커버부재에 떨어졌을 경우 커버부재 표면의 액즙등은 그 무게에 의하여 결손부를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미리 장치내부의 특정부위에 액즙등이 배출되도록 커버부재에 결손부를 형성해 두면 커버부재 떨어진 액즙등은 이 결손부로 유도되어 결손부로부터 배출되므로, 액즙등이 제어수단으로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조작플레이트의 축구멍을 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외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부착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내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축구멍의 가장자리부에서 고정되며 상기 축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외부측으로 돌출한 벽형상을 이루는 커버부재를 구비하였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커버부재는 축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조작플레이트의 외부측으로 돌출된 벽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버부재는 조작플레이트의 축구멍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부재가 되고, 축구멍의 트인구멍 위치는 조작플레이트의 표면보다 실질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액즙등이 조작플레이트의 외부측에서 축구멍을 통하여 침입하려고 해도 이 커버부재를 타고넘는 것이 곤란하므로 축구멍으로의 침입이 저지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 1 목적에 대응하여 액즙등이 축구멍을 통하여 조작플레이트 내부측의 제어수단에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청구항 7에 있어서의 상기 커버부재를 한정한 것으로, 『커버부재는, 상기 축구멍의 가장자리부를 축선방향으로 끼움장착하여 고정되었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축구멍을 이용하여 그 가장자리부를 커버부재로 끼움장착함으로써 커버부재가 조작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축구멍의 가장자리부가 커버부재에 의해서 고정됨과 아울러 가장자리부에 돌출벽이 형성됨으로써 액즙등의 침입이 저지된다. 한편, 커버부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착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또 커버부재를 예를 들면 휘게함으로써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목적에 대응하여, 조작플레이트 내부로 액즙등의 침입이 저지되면서 장치가 간소화되고 조립작업성도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롭인 곤로의 조작부에 본 발명을 실시한 것으로, 조리대(70)에 형성된 트인구멍(71)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본체케이스(73)가 끼워지고, 이 본체케이스(73) 상단의 지지플랜지(74)가 상기 트인구멍(71)의 둘레가장자리에 의하여 지지됨과 아울러, 본체케이스(73)의 개방부를 상판(63)으로 피복한 것이다. 상판(63)의 앞측 가장자리부에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진 조작플레이트(60)가 형성되고, 이 조작플레이트(60)에 열량조절장치(3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케이스(73)의 둘레가장자리부에서 돌출되는 지지플랜지(74)와 상판(63)의 둘레가장자리는, 패킹(72)을 통하여 조리대(70)의 트인구멍 둘레가장자리부에 지지되어 있다. 본체케이스(73)에는 열량조절장치(30)를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31)이 상판(63)의 앞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조작플레이트(6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양 단부가 본체케이스(73)의 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브래킷(31)이 본체케이스(73) 개방부의 앞측 가장자리부에 가교(架橋)형상으로 부착된다.
조작플레이트(60)는, 도 1에 단면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측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플레이트(60) 위에 있어서 조작손잡이(20)가 위치하는 부위에 압출가공에 의해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환형상벽(61)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31)의 상면에는 열량조절장치(30)가 고정되며 이 열량조절장치(30)에 조작축(10)이 연결고정되어 있다. 조작축(10)은 조작플레이트(60)에 대하여 실질상 직교하도록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에 비접촉상태로 끼워져서 설치되며, 조작플레이트(60)측에는 조작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열량조절장치(30)로서는, 예를 들면 가스곤로의 경우에는 가스량조절용 가스콕이 채용되고, 전기곤로의 경우에는 히터로의 통전량을 제어하기 위한 열량스위치등이 채용된다.
조작손잡이(20)는 최대 외측지름을 이루는 원판부(26)와, 조작손잡이부(27)와, 조작축이 끼워맞춰져서 고정되는 축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손잡이(20)와 조작축(10)은 축선방향으로 나사고정되거나 또는 압입등에 의하여 양자가 고정된다.
조작축(10)의 조작플레이트(60) 내부측에는 커버부재로서의 캡(40)이 고정되어 있다. 캡(40)은 조리남비등으로부터 끓어 흘러넘치는 국물등의 액즙이나 액체(예를 들면, 조작플레이트(60) 위에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흘러넘친 물등)가 트인구멍부(62)를 통하여 본체케이스(73)내로 침입하여 열량조절장치(30)에 도달하는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캡(40)은 얇은 원판형상을 이루며, 조작축(10)과 동일 축선상에 형성된 관통구멍(46)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축(10)의 외측둘레부가 상기 관통구멍(46)에 끼워 짐으로써 캡(40)은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된다. 이에 의하여 캡(40)은 조작축에서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에 의하면, 관통구멍(46)의 내측지름은 조작축(10)의 외측지름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캡(40)과 조작축(10)의 고정은 탄성걸림부재로서 예를 들면 O링(50, 51)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캡(40)의 회전저지구를 조작축(10)에 설치하는 것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조작축(10)에 대한 캡(40)의 고정상태는, 본 실시예에 의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O링(50, 51)이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됨으로써, 캡(40)이 이들 O링(50, 51)의 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협착력에 의해서 유지고정된다. O링(50, 51)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이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되면 이 외측끼움부가 폐색된다. 즉, 조작축의 축선(상하)방향을 폐색한다. 그리고, O링(50, 51)에 의해서 캡(40)이 협착됨으로써 축선방향으로 수축하는 반력이 작용하여 캡(40)이 조작축(10)에 꼭맞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축(10)에 있어서 축선과 동일한 축선상에 환형상홈(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환형상홈(11)이 O링(50, 51)의 부착위치를 규정하는 축선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고, 또한 이 환형상홈(11)이 캡(40)의 높이방향의 부착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 환형상홈(11)에 의해서 O링(50, 51)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국물에 의한 액즙이 조작플레이트(60)측으로 흘러내려 트인구멍부(62)과 조작손잡이(20)와의 간격을 통하여 본체케이스(73)로 침입하였을 경우, 액즙은 조작손잡이(20)의 축부(23)에서 조작축(10)을 통하여 흘러내리거나 또는 이 간격에서 연직방향으로 낙하한다. 그러나, 조작손잡이(20)와 열량조절장치(30) 사이에는 조작축에 외측끼움되는 캡(4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캡(40)에 의해서 액즙이 열량조절장치(30)로 도달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캡(40)은, 조작축(10)과의 외측끼움부가 O링(50, 51)에 의하여 실질상 폐색되어 있고, 조작손잡이(20)측에서 조작축(10)으로 부착되어 이를 통하여 흘러내린 액즙은 상기 폐색에 의하여 열량조절장치(3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 캡(40)은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캡(40)으로 흘러내린 액즙은 이 돌출에 의하여 받쳐짐과 아울러 도면상 캡(40)의 우측 위에서 좌측 아래를 향하여 흘러내림으로써 열량조절장치(30)를 피하여 흘러내리도록 칸막이된다. 그리고 본체케이스의 저부에 형성된 액즙받이부(도시 생략)로 흘러내린 액즙을 받아서 수용하거나 또는 케이스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렇게 하여 조작손잡이(20)측에서 유입된 액즙이 열량조절장치(30)로 직접 흘러내리거나 또는 도달하여 손상을 미치는 문제점이 회피된다. 열량조절장치(30)의 배치나 경사상태 또는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의 크기 등에 대응하여, 캡(40)의 형상이나 크기 등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조작손잡이(20)에서 조작축(10)에 연이어 설치된 열량조절장치(30)가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즙이 트인구멍부(62)와 축부(23)와의 간격을 통하여 흘러내리거나 또는 떨어지더라도 캡(40)이 이를 받아낼 수 있는 배치나 크기, 형상이면 된다. 또, 조작축(10)에서의 캡(40)을 부착하는 높이위치를 조정하여 소정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트인구멍부(62)측으로 근접하여 배치해도 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캡(40)에 있어서 반지름방향으로 돌출되는 크기는 열량조절장치(30)를 연직방향에서 본 투영형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캡(40)의 조작축(10)으로의 부착순서는, 조작축(10)의 환형상홈(11)내에 일측의 O링(50)을 외측끼움하고, 그 후 캡(40)을 도 1에 있어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조작축(10)으로 끼워통하게 하고, 그리고 타측의 O링(51)을 환형상홈(11)으로 외측끼움하면 된다. 이들 양 O링의 반지름방향으로의 수축력과 캡(40)에 대한 협착력에 의해서 캡(40)은 조작축(10)에 확실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외측끼움부가 폐색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이와 같은 캡(40)은 조작축(10)의 중간부에 외측끼움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조립작업성이 향상되고, 최소한의 부착공간으로 캡(40)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부피가 커지지 않아 장치의 간소화 및 콤팩트화가 이루어진다. 또 열량조절장치(30)로서는, 예를 들면 가스곤로의 경우에는 가스량조절용 가스콕이 채용되고, 전기곤로의 경우에는 히터로의 통전량을 제어하기 위한 열량스위치등이 채용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가스콕의 점화기구부가 가스콕 본체의 상면에 장비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상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점화기구부로의 국물등의 흘러내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시예에 있어서는 열량조절장치(30)에는 가스버너나 히터가 접속되지만 그들에 관해서는 도시생략하였다. 또 열량조절장치(30)로서는, 상기와 같이 조작손잡이가 조작플레이트의 상면에 노출된 여러가지 장치에 있어서, 조절기능 이외에 여러가지 절환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캡(40)이 조작축(10)에 고정되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도로서,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실시형태는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된 2개의 O링(50, 51)에 의해서 협착되는 구성이지만, 도 3의 실시형태는 1개의 O링(52)에 의해서 캡(40)이 조작축(15)에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예에 있어서 조작축(15)의 하부에는 지름이 확대된 단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13)에 의해서 캡(40)의 하면이 받쳐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캡(40)의 관통구멍(46)의 내측지름은 조작축(15)의 외측지름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조작축(15)에 있어서 단부(13)의 상측에는 조작축(15)과 동일 축선상의 환형상홈(12)이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있어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캡(40)을 조작축(15)에 끼워통하게 한 후 O링(52)을 환형상홈(12)에 외측끼움한다. 이에 의하여 O링(52)은 환형상홈(12)에 맞닿음과 아울러 캡(40)의 상면에도 맞닿게 되고, O링(52)의 반지름방향으로의 수축력은 이 외측끼움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캡(40)을 축선방향 하측으로 누름작용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O링(50, 51, 52)으로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네오부틸렌고무, 네오프렌고무 및 실리콘고무 등)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O링 대신에 예를 들면 피아노선이나 스프링강 등에 의한 환형상의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시하는 도 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손잡이(21)와 조작축(10)과 이것에 연이어 형성되는 열량조절장치(30)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캡(41)은 그 외측둘레 가장자리부가 수하(垂下)되어 우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과 조작손잡이(21)의 축부(24)와의 간격부를 통하여 액즙이 하측으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낙하하였을 경우, 액즙이 상기 열량조절장치(30)에 직접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캡(41)을 소정으로 규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캡(41)의 외측지름(D1)을 열량조절장치(30)의 외측지름(D2)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즉 캡(41)의 형상과 크기를 열량조절장치(30)를 축선방향에서 본 투영형상보다 큰 형상, 즉 열량조절장치(30)를 피복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하였다. 따라서, 액즙이 흘러내리거나 또는 낙하하는 영역은 캡(41)에 의하여 받쳐지므로 액즙이 직접 열량조절장치(30)로 도달하는 것이 회피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미 설명한 O링과 같은 탄성걸림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조작축(10)에 대하여 캡(42)을 직접 외측끼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42)의 관통구멍(49)의 내측지름을 조작축(10)의 외측지름과 동일한 치수로 설정하거나 그보다 작게 설정하였다. 캡(42)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축하는 탄성부재, 예를 들면 상기 여러가지 고무재 이외에 폴리비닐카르바졸(PVC)등의 합성수지재료등이 이용된다. 그리고 캡(42)을 조작축(10)에 외측끼움할 때 조작축(10)이 관통구멍(49)을 눌러 넓히는 반작용에 의해서 캡(42)이 조작축(10)에 고정된다. 또 도시한 바와 같이, 캡(42)이 외측끼움되는 조작축(10) 부위에는 축선과 동일 축선상의 환형상홈(14)이 형성됨으로써 캡(42)의 부착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부착위치도 결정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로 형성된 캡(42)은 형상이 대형화됨에 따라서 그 자체의 강성은 저하된다. 또, 캡(42)을 도시한 바와 같은 우산형상 이외에 단면형상을 파도형상등으로 하여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45)에 있어서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는 내측(44)만 상기 탄성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그 외측둘레는 수지재료나 금속재료 등을 일체로 형성한 것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나타낸 도 7의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축(10)에 2장의 캡(47, 48)을 겹쳐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도 1의 실시형태와 같이 경사진 상태이고,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이 커서 트인구멍부(62)과 조작손잡이(23) 축부(25)와의 간격부도 비교적 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캡의 돌출치수, 즉 반지름방향으로 돌출되는 치수에 제약이 있을 경우, 도시예와 같은 비교적 작은 돌출형상의 캡을 복수 사용하면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도시예와 같이 조작축(10)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고, 캡(47, 48)의 돌출치수가 작더라도 조작축(10)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함으로써, 그 간격치수와 조작축(10) 경사각도와의 관계에 의해서 2개의 캡(47, 48)을 연직방향에서 본 합성의 투영치수를 열량조절장치(30)보다 실질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캡(47, 48)은 각각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반드시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만족할 필요가 없고, 이들이 합쳐져서 소정의 형상과 크기가 되면 된다. 따라서, 소요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장치가 간소화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손잡이(20∼23)의 가동에 의해서 조작축(10, 15)을 개재하여 열량조절장치(30)등의 제어수단을 조작하는 것이라면 여러가지 조작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조작손잡이는, 회전운동동작 이외에 축선방향으로의 동작, 요동동작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에는 압출가공등에 의하여 조작플레이트(6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환형상홈(61)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조작플레이트가 예를 들면 두꺼운 유리재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환형상홈(61)과 같이 돌출형상의 부재를 형성할 수 없거나 형성이 곤란한 것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조작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a)는 조작손잡이(120) 부분을 중심으로 한 요부단면도이고, 도면의 (b)는 조작축(110)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두꺼운 유리재로 된 조작플레이트(160)에 트인구멍부(162)가 형성되고, 이 트인구멍부(162)에 조작손잡이(120)의 축부(123)가 끼워져 통한다. 조작손잡이(120)와 조작축(110)의 연결고정은, 조작손잡이(120)의 축부(123)내에 동일한 축선상의 구멍부(125)가 형성되어 조작축(110)이 압입등에 의하여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조작축(110)은, 제어장치(130)측은 지름이 큰 대경부(大徑部;114)이고 조작손잡이(120)측은 그보다 지름이 축소된 축경부(縮徑部;112)로, 축경부(112)측이 조작손잡이(120)의 축부(123)로 삽입된다. 축경부(112)에는 외측둘레면이 밀링(milling)되어 단면이 'D'자형상인 D커트부가 형성되어 조작손잡이(120)측과 걸어맞춤됨으로써, 조작손잡이(120)에 대하여 요동방지 및 회전고정되게 된다.
트인구멍(162)을 통하여 침입하는 액즙이 제어장치(130)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캡(140)은 조작축(110)의 축경부(112)에 외측끼움된다. 캡(140)의 하면은 조작축(110)의 단부(113)에 의해서 받침고정되는 한편, 그 상면은 캡(140)을 향하여 설치되는 조작손잡이(120)의 축부(123) 하단(129)에 의해서 눌리게 된다. 즉, 캡(140)은 조작손잡이(120)와 조작축(110)의 단부(113) 사이에서 협착고정된다. 따라서, 캡(140)은 조작손잡이(120)를 조작축(110)으로 압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조작축(110)에 고정되므로,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착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a)는 조작손잡이(120) 부분을 중심으로 한 요부단면도이고, (b)는 조작축(110a)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조작축(110a)은, 제어장치(130)측에서 조작손잡이(120)측을 향하여 일정한 외측지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손잡이(120) 축부(123)의 구멍부(125)로 삽입되는 부위에는 D커트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캡(140)은 조작손잡이(120)에 의해 눌림으로써 조작축(110a)에 고정되지만, 도 8과 다른 것은 캡(140)은 D커트(111a)로 형성된 단부(113a)에 의해서만 받침고정된다는 점이다. 즉, 캡(140)은 조작축(110a)의 단부(113a)와 조작손잡이(120)의 하단(129a)에 의해서 협착고정된다. 따라서, 조작축(110a)에 D커트부(113a)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조작손잡이(120)에 대한 요동방지와 회전고정을 할 수 있고, 또 도 8과 같이 조작축(110a)을 단부착형상으로 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조작손잡이(120)를 조작축(110a)으로 압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캡(140)을 조작축(110a)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와 같이 도면의 (a)는 단면도, (b)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시예에서는, 캡(140)이 외측끼움되는 조작축(110b)의 대응부에는 그 외측둘레면에 환형상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상홈(115)에는 e링이나 c링 등의 걸림부재(151)가 외측끼움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캡(140)은 걸림부재(151)에 의해서 받침고정됨과 아울러 조작손잡이(120)의 단부(129b)에 의해서 눌림으로써 협착되어 조작축(110b)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축(110b)은 도 9와 같이 동일한 외측지름 치수로서 가공의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음과 아울러, 걸림부재(151)를 사용함으로써 조작축(110b)의 축지름이 비교적 짧아도 된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회전고정을 위하여 D커트부(111b)를 형성할 수도 있음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지만 널링(knurling)을 조작축(110b)의 외측둘레면에 실시해도 된다.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로서, 조작축(110c)에 회전고정을 위하여 D커트부(111c)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서 형성된 단부(113c) 위에 예를 들면 와셔(washer;151c)를 올려놓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조작축(110c)의 축지름이 비교적 작어도 그 위에 놓인 와셔(151c)에 의해서 캡(140)을 받침고정하는 부위가 실질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조작손잡이 축부(123c)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협착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조작축(110c)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도 조작손잡이(120c)를 압입하는 것만으로 캡(140)을 용이하게 조작축(110c)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한 도 8 내지 도 11에 있어서의 캡(140)은 그 돌출형상이 열량조절장치(30)보다 크게 설정되어 트인구멍(162)을 통하여 침입한 액즙이 열량조절장치(30)에 도달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캡(140)은 이미 설명한 여러가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 금속부재등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다음의 도 12는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캡(240)으로서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도면의 (a)는 그 요부단면도, (b)는 캡(240)의 외측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시예에서는, 캡(240)의 외측둘레벽(241)이 조작손잡이측으로 돌출되어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에 결손부(242)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210)에 대한 캡(240)의 고정은, 조작축(210)에 큰 지름부(214)와 작은 지름부(212)가 형성되고 그 단부(213)에 캡(240)이 받침고정됨과 아울러, 조작손잡이의 축부(223)가 압입됨으로써 협착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트인구멍(262)으로 침입한 액즙을 캡(240)이 일단 받아서 캡(240)에 형성된 결손부(242)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즉, 캡(240)은 액즙이 열량조절장치(30)로 도달하는 것을 저지함과 아울러, 결손부위(242)를 형성하여 액즙을 특정부위로 배출시킨다는 점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다르다. 따라서, 배출시키고 싶지않은 부위가 장치내에서 특정될 때, 미리 이에 대응하는 결손부(242)를 캡(240)에 형성하면 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캡(240)은 도면에 있어서 수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액즙의 무게에 의해서 결손부(242)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도 있다. 그 경우, 조작손잡이의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미리 소정부위를 통하여 액즙이 배출되도록 설정된다. 또 결손부(242)는 도시예 이외에, 캡(240)의 저부(243)에 구멍을 뚫어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캡(240)의 부착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모든 부착구조에 적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은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형태와는 다른 것으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캡(240) 중 어느 것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플레이트(360)의 트인구멍(362)을 통하여 액즙이 열량조절장치(330)로 도달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트인구멍(362)에 환형상벽(390)을 장착하였다. 특히 조작플레이트(360)가 두꺼운 유리재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즉 상기의 실시형태와 같이 환형상벽(61;도 1 등)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의 환형상벽(390)은 이미 설명한 여러가지 고무재나 수지재료에 의한 가요성, 연성을 구비한 재료로 형성되고, 조작손잡이(320)측으로 돌출된 환형상의 돌출부(391)와 조작플레이트(360)를 축선방향으로 협착하기 위한 걸림편(392, 393)을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391)를 소정의 높이로 설정함으로써 액즙은 이를 타고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트인구멍(362)을 통하여 열량조절장치(330)로 도달하는 것이 저지된다. 환형상벽(390)은 탄성변형시켜 조작플레이트(360)의 트인구멍(362)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일단 장착후에는 걸림편(392, 393)들에 의해서 탈락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걸림편(392, 393)에 의해서 조작플레이트(360)에 밀착상태로 고정되므로, 액즙이 걸림편(392, 393)과 조작플레이트(390) 사이의 틈을 통하여 장착내부측으로 침입하는 것도 방지된다. 또한, 돌출부(391)와 조작손잡이(320)의 수하벽(328)을 인서트형상으로 함으로써 보다 한층 액즙의 장치내부로의 침입이 방지된다.
도 14의 환형상벽(390a)은 도 13의 환형상벽(390)과 비교하여 걸림편의 형상이 다르다. 즉, 조작플레이트(360)의 하면에 걸리는 도 13에 있어서의 걸림편(393) 대신에, 도 14에서는 돌기형상의 걸림편(393a)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환형상벽(390a)은 조작플레이트(360)의 트인구멍(362)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되고, 일단 장착후에는 상기 걸림구조에 의하여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도 8에서 도 14에 나타낸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손잡이(120 또는 320)의 가동에 의해서 조작축(110 또는 110a, 110b 등)을 통하여 열량조절장치(130 또는 230, 330 등)의 제어수단을 조작하는 것이라면 여러가지 조작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조작손잡이는 회전운동동작 이외에 축선방향으로의 동작, 요동동작,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조작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여러가지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서 조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주지 범위에서의 변형등도 자유롭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즙등은 제어수단으로 직접 흘러내리거나 또는 액즙등이 제어수단에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그리고 사용되는 커버부재는 축부재의 중간부에 외측끼움시키는 것만으로 부착되므로 그를 위한 부착공간이 최소한이 된다. 따라서,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콤팩트화할 수 있는 조작장치가 얻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부재가 제어수단을 실질적으로 피복할 수 있는 크기의 돌출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즙등은 커버부재에 의하여 제어수단으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제어수단으로 도달하는 것이 저지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걸림부재를 축부재에 외측끼움시킴으로써 커버부재를 축부재에 부착하는 부착작업이 용이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부재의 관통구멍 둘레가장자리부를 탄성부재로 하였으므로 커버부재를 축부재에 용이하게 외측끼움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과 걸어맞춤부의 폐색성도 높아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부재가 조작손잡이를 이용하여 축부재에 고정되도록 하였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만일 액즙등이 커버부재에 떨어지더라도 결손부를 통하여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부위로 배출되도록 하였으므로 제어수단으로 액즙등이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축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벽형상의 커버부재를 형성하였으므로, 액즙등이 축구멍으로 침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액즙등이 제어수단에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축구멍의 둘레가장자리에 커버부재를 고정시켰으므로, 장치가 간소화되고 또한 작업성이 향상된다.

Claims (8)

  1. 조작플레이트의 축구멍을 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외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부착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내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플레이트와 상기 제어수단 사이에서 상기 축부재에 외측끼움되어 상기 외측끼움부를 실질상 폐색함과 아울러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커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어수단을 연직방향에서 본 투영형상보다도 큰 돌출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에는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축하는 탄성걸림부재가 외측끼움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걸림부재에 의하여 축선방향으로 눌려 상기 축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에 외측끼움되는 상기 커버부재의 적어도 관통구멍 둘레가장자리부는,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축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일부에 의해서 축선방향으로 눌려 상기 축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커버의 표리면을 관통하는 결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7. 조작플레이트의 축구멍을 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외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부착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내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축구멍의 가장자리부에서 고정되며 상기 축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외부측으로 돌출한 벽형상을 이루는 커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축구멍의 가장자리부를 축선방향으로 끼움장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KR1019970050248A 1996-10-04 1997-09-30 조작장치 KR100267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433096A JP3519556B2 (ja) 1996-10-04 1996-10-04 操作装置
JP96-264330 1996-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446A KR19980032446A (ko) 1998-07-25
KR100267949B1 true KR100267949B1 (ko) 2000-10-16

Family

ID=1740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248A KR100267949B1 (ko) 1996-10-04 1997-09-30 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19556B2 (ko)
KR (1) KR100267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925A (ko) * 2002-10-12 2004-04-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기기용 노브 결합구조
JP5530303B2 (ja) * 2010-08-20 2014-06-25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こんろの点消火ボタン
JP5901307B2 (ja) * 2012-01-23 2016-04-06 株式会社ハーマン 操作装置
JP5651612B2 (ja) * 2012-01-30 2015-01-14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バルブ装置
JP6021857B2 (ja) * 2014-06-27 2016-11-09 リンナイ株式会社 火力調節装置
JP6207540B2 (ja) * 2015-02-26 2017-10-04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6567387B2 (ja) * 2015-10-12 2019-08-28 株式会社パロマ ガスコンロ
JP6912370B2 (ja) * 2017-12-22 2021-08-0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液切リング及びこれを備えるポンプ
JP2019138547A (ja) * 2018-02-09 2019-08-22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コンロ
JP7082911B2 (ja) * 2018-06-15 2022-06-09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バル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19556B2 (ja) 2004-04-19
KR19980032446A (ko) 1998-07-25
JPH10111726A (ja) 199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949B1 (ko) 조작장치
US5678721A (en) Device with jaws for locking/unlocking a lid on a vessel
US5571434A (en) Cooktop stamping having means for attaching heating elements and an integral trim ring
US4138606A (en) Cooking appliance
JP2005518896A (ja) 蓋体を有する食品用圧力調理装置
EP0964203A1 (en) Gas burner
KR100267946B1 (ko) 조작장치
EP3933272B1 (en) Gas stove
WO1999063789A1 (en) Liquid heating vessels
KR100232563B1 (ko)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KR200235168Y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결속감지장치
JP3348394B2 (ja) ガラス天板用保護リング
CN219126037U (zh) 盖体和烹饪器具
CN220546133U (zh) 盖体和烹饪器具
CN217488318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7039730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0540561B1 (ko) 가스 곤로
CN217039729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114732287B (zh) 一种锅盖和锅具
CN219126040U (zh) 盖体和烹饪器具
US4116363A (en) Securing means for cooking vessels
CN216984560U (zh) 一种电饭煲盖及电饭煲
CN219126039U (zh) 盖体和烹饪器具
JP3715264B2 (ja) ガス器具用の圧力調整器、振動膜部材及びダイヤフラム
KR200249769Y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전기보온 압력솥의 증기 배출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