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443B1 -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443B1
KR100260443B1 KR1019980010845A KR19980010845A KR100260443B1 KR 100260443 B1 KR100260443 B1 KR 100260443B1 KR 1019980010845 A KR1019980010845 A KR 1019980010845A KR 19980010845 A KR19980010845 A KR 19980010845A KR 100260443 B1 KR100260443 B1 KR 10026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connector
voic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146A (ko
Inventor
이기태
가쯔미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4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뿐만 아니라 데이터 및 문자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제1송수신기 및 제2송수신기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이 본체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이 본체의 제2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휴대장치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본 발명은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본체와 이 본체에 장착 및 탈착되어 사용되어 음성 뿐만 아니라 데이터 및 문자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형태의 개인 휴대 통신장치로 휴대폰(cellular telephone)을 들 수 있다. 사용자들은 이 휴대폰을 이용함으로써 실내에서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이동중에도 다른 사용자들과 통화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개인 휴대 통신장치(Personal Communication Apparatus)는 휴대폰의 기능 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기능들을 서비스할 수 있는 형태로 변모되고 있다. 요즈음에 제안되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휴대폰 기능 뿐만 아니라 전자수첩 기능, 팩스(FAX) 기능, 컴퓨터(PC)통신 기능 등을 서비스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LG전자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PDA 멀티 X"와, 일본국(日本國) 송하전기산업주식회사(松下電器産業株式會社, Panasonic)에서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Pinocchio ALA-P1"와 같은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휴대폰 기능 뿐만 아니라 전자수첩 기능, 팩스 기능, PC통신 기능 등을 서비스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각각의 기능을 서비스하는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장치내에 모두 구현되기 때문에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DA 멀티 X"의 크기는 153mm(W)×65.8mm(D)×33mm(H)이고 무게는 310g이며, "Pinocchio ALA-P1"의 크기는 160mm(W)×80mm(D)×20mm(H)이고 무게는 270g이다. 실제로 많은 휴대폰의 사용자들은 휴대폰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는데, 상기 개인 휴대 통신장치들은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흥하지 못한다는 단점, 즉 상기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은 상기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대신에 가방에 넣고 다니거나 손에 들고 다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가방에 넣고 다니다가 사용자가 상기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는 기능중 어느 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매번 가방에서 상기 장치를 직접 꺼내어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장치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상기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손에 직접 들고 다니는 경우에는 이동시에 사용자가 취급상 부주의를 하게 되면 상기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분실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을 행하는 개인 휴대 통신장치의 크기를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을 행하는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주머니에 넣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무선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을 행하는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무선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을 행하는 개인 휴대 통신장치의 분실 우려를 방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aspect)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앞면에 구조되고, 제1송수신기 및 제2송수신기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휴대폰과; 상기 통신장치의 뒷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통신장치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이 휴대폰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무선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 휴대폰의 제2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보조 통신유니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제1송수신기 및 제2송수신기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이 본체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이 본체의 제2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휴대장치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의 뒷면에 장착될 각종 유니트들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다이아그램.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휴대폰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전자수첩 유니트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PC유니트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장치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휴대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휴대장치가 본체에 장착된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다이아그램.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본체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휴대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휴대장치의 액정표시기(LCD)상에 표시되는 각종 기능에 따른 화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2가지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두는 바이다.
제1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전면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휴대폰이 구조되고, 뒷면에는 전자수첩용 유니트, 팩스용 유니트 또는 컴퓨터용 유니트가 장착 및 탈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폰의 내부에는 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기기(일반전화기, 휴대폰, 팩시밀리, 컴퓨터, 무선호출수신기)와의 연결을 위한 제1송수신부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휴대폰과 통신기기간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자수첩용 유니트, 팩스용 유니트 또는 컴퓨터용 유니트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의 뒷면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유니트들은 휴대폰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이 휴대폰에 구비된 제1송수신부를 통해 통신기기에 연결되어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전자수첩용 유니트, 팩스용 유니트 또는 컴퓨터용 유니트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로부터 탈착되어 이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유니트들은 휴대폰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이 휴대폰에 구비된 제1송수신부를 통해 통신기기에 연결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상기 휴대폰의 내부와 전자수첩용 유니트, 팩스용 유니트 또는 컴퓨터용 유니트의 내부에는 이들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제2송수신부가 더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된 통신기기들과 무선 음성 송수신 뿐만 아니라 데이터 및 문자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음성 송수신이라 함은 휴대 통신장치의 휴대폰과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일반전화기, 휴대폰 및 무선호출수신기의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말한다. 이러한 무선 음성 송수신은 일반적인 휴대폰에 의한 통신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라 함은 휴대 통신장치의 컴퓨터유니트, 팩시밀리유니트와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팩시밀리의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말한다. 무선 문자 송수신이라 함은 휴대 통신장치의 전자수첩 유니트와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팩시밀리 또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말한다. 여기서 휴대 통신장치의 전자수첩 유니트, 컴퓨터유니트, 팩시밀리유니트와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팩시밀리의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은 휴대 통신장치의 휴대폰을 거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있어서 휴대폰은 무선 데이터 및 문자 송수신시 중계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본체와 휴대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제1송수신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구비된 송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본체는 통신기기에 무선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제2송수신부가 더 구비되는데, 이 구비된 송수신부를 통해서는 휴대장치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휴대장치는 휴대폰, 전자수첩, 컴퓨터 및 팩시밀리의 기능을 지원하며, 이중 어느 한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탈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장치가 본체로부터 탈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휴대장치는 본체의 제2송수신부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이 본체의 제1송수신부를 통해 통신기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해당하는 기능에 대한 무선통신이 수행되게 된다. 상기 휴대장치가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휴대장치는 유선으로 본체에 연결되고, 이 본체의 제1송수신부를 통해 무선통신망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해당하는 기능에 대한 무선통신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충전회로가 내장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휴대장치가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이 휴대장치는 상기 내장된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된 통신기기들과 무선 음성 송수신 뿐만 아니라 무선 데이터, 문자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음성 송수신이라 함은 휴대장치의 휴대폰과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일반전화기, 휴대폰 및 무선호출수신기의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말한다. 이러한 무선 음성통신은 일반적인 휴대폰에 의한 통신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장치의 휴대폰은 본체를 통해서 무선통신망에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라 함은 휴대장치의 컴퓨터 기능부, 팩시밀리 기능부와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팩시밀리의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말한다. 무선 문자 송수신이라 함은 휴대장치의 전자수첩 기능부와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팩시밀리 및 무선호출수신기의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말한다. 여기서 휴대 통신장치의 전자수첩 기능, 컴퓨터 기능, 팩시밀리 기능과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팩시밀리의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도 본체를 거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는 휴대장치의 무선 음성통신 및 무선 데이터통신시 중계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모두 본 발명의 목적, 즉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제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휴대 통신장치 10은 일반전화기, 휴대폰(HHP: Hand Held Phone), 팩시밀리(FAX: Facsimile),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무선호출수신기(PAGER) 등과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전화기, 휴대폰 등은 개인 휴대 통신장치와 무선 음성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기기이고, 팩시밀리, 컴퓨터 등은 개인 휴대통신장치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기기이다. 그리고 개인 휴대통신장치와 컴퓨터간의 무선 데이터통신은 구체적으로 말하면, PC통신, 인터넷(INTERNET)통신, 전자우편(E-MAIL)통신이 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통신장치 10의 외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2a는 휴대 통신장치 10의 전면(앞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 및 도 2c는 상기 휴대 통신장치 10의 배면(뒷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 10의 앞면에는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 118, 키입력부 116, 스피커(SPK: Speaker), 마이크(MIC: Microphone), 안테나 ANT11로 이루어지는 휴대폰이 구성된다. 이와 달리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장치 10의 뒷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유형의 보조 통신유니트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통신장치 10의 뒷면에 장착될 수 있는 유니트로는 전자수첩의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수첩용 유니트, 팩시밀리와의 통신을 위한 팩스용 유니트,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컴퓨터용 유니트 등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통신장치 10의 뒷면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의 유니트가 장착될 수도 있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유니트가 장착될 수도 있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접기 플립타입(flip type)의 유니트가 장착될 수도 있고,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타입(card type)의 유니트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니트들은 도 2c에 도시된 휴대 통신장치 10의 컨넥터 128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탈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통신장치 10이 중계기지국 20을 거쳐 무선통신망(네트워크) 30에 접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무선통신망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전화기, 휴대폰, 무선호출수신기, FAX, PC 등이 연결되게 된다. 상기 휴대 통신장치 10의 내부를 살펴보면, 휴대폰 100은 중계기지국 20과 무선 음성 송수신을 행할 수 있으며,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FAX유니트 40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100에 유선으로 접속된 후 이 휴대폰 100을 통해 중계기지국 20과 무선 문자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FAX유니트 400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100에 무선으로 접속된 후 이 휴대폰 100을 통해 중계기지국 20과 무선 문자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수첩 유니트 200은 전화번호부, 달력, 시계, 계산기, 메모장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PC유니트 300은 적외선통신(IrDA: Infrared Data Access) 또는 RS232C와 같은 케이블을 통해 PC(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될 수 있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휴대폰 1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으로, 안테나 ANT11,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110, 송수신부 112, 메모리 114, 키입력부 116, 표시부 118, 베이스밴드처리부 120, 모뎀 122, 음성처리부 124, 마이크(MIC: Microphone), 스피커(SPK: Speaker) 및 배터리 130은 통상의 휴대폰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휴대폰 10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위해 송수신부 126, 안테나 ANT12, 컨넥터 12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송수신부 126, 안테나 ANT12, 컨넥터 128은 휴대 통신장치 10의 뒷면에 장착되어 사용되거나 탈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과의 무선 문자 및 데이터 송수신시 문자 및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CPU 110은 휴대폰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폰 100은 컨넥터 128에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FAX유니트 400중의 어느 유니트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결과에 따라 CPU 110은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으로부터 제공되는 문자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모뎀 122를 통해 제공받거나, 컨넥터 128을 통해 제공받는다.
안테나 ANT11은 송수신부 112로부터 제공되는 무선(RF: Radio Frequency)신호를 공기중으로 방사하고, 공기중에 방사된 RF신호가 송수신부 112에 수신되도록 한다. 송수신부 112는 CPU 110의 제어하에 송신모드 동작시에는 베이스밴드처리부 120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베이스밴드처리부 120로부터 송수신부 112에 인가되는 신호는 변조(modulation), 주파수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sion), 필터링(filtering) 및 전력증폭(power amplification) 등의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RF신호로서 변환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와 달리 송수신부 112는 수신모드 동작시에는 안테나 ANT11에 수신된 RF신호를 증폭(low noise amplification), 주파수 하강변환(fequency down conversion), 필터링(filtering) 및 복조(demodulation)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 베이스밴드처리부 120으로 출력한다. 이때 송수신부 112로부터 출력되거나 송수신부 112에 수신되는 RF신호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송수신 주파수인 900MHz대역의 신호이다.
베이스밴드처리부 120은 CPU 1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데이터 및 모뎀 122로부터 CPU 110을 거쳐 인가되는 음성신호, 데이터신호 및 문자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송수신부 112에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밴드처리부 120은 송수신부 1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 결과가 제어데이터의 경우에는 CPU 110으로 출력하고, 음성신호, 데이터신호 및 문자신호의 경우에는 CPU 110을 거쳐 모뎀 122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모뎀 122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부 124에 의해 처리된 후 스피커(SPK)로 출력되고, 데이터신호 및 문자신호는 송수신부 126 및 안테나 ANT12를 통해 RF신호로서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으로 송출된다.
메모리 114는 CPU 110에 의해 제어되며 휴대 통신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RAM: 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진다. 키입력부 116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통신장치 10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며, 다이얼링 동작을 위한 키들(예를 들어, 0∼9, #, *)과, 휴대 통신장치 100가 지원하는 각종 기능의 선택을 위한 키들(예를 들어, SEND, END, CLR, RCL, PWR)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키입력부 116상에 구비된 특정키를 누르게 되면 그에 따른 키데이터가 발생하여 CPU 110으로 출력된다. 표시부 118은 휴대 통신장치 100의 사용상태를 문자나 숫자의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휴대 통신장치 100의 사용상태를 점등의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모뎀 122는 송수신부 126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 또는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후 음성처리부 124에 의해 처리된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복조 및 복호화 처리한 후 CPU 110으로 출력한다. 또한 모뎀 122는 CPU 110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부호화 및 변조 처리한 후 CPU 110의 제어하에 상기 처리된 신호가 데이터 및 문자신호인 경우에는 송수신부 126으로 출력하고 음성신호인 경우에는 음성처리부 124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 124는 통상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MIC)는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음성처리부 124로 인가한다. 스피커(SPK)는 휴대 통신장치 100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 사용자에게 송출하여 준다.
송수신부 126은 모뎀 12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 ANT12로 출력하고, 안테나 ANT12에 수신된 RF신호를 변환하여 모뎀 122로 출력한다. 이때 송신동작시 송수신부 126은 주파수 상승변환, 필터링 및 증폭의 동작을 수행하고, 수신동작시 송신부 126은 증폭, 주파수 하강변환, 필터링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송수신부 126에 수신되는 RF신호는 250MHz의 주파수가 될 수 있으며, 송수신부 126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는 380MHz의 주파수가 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ANT12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루프패턴형(Loop Pattern) 안테나 등이 될 수 있다.
컨넥터 128은 휴대 통신장치 100의 뒷면에 장착될 수 있는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과 휴대 통신장치 100의 전면에 구성된 휴대폰을 유선으로 접속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휴대 통신장치 100의 컨넥터 128에 장착될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FAX유니트 400의 컨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수의 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컨넥터 128에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FAX유니트 400중의 어느 한 유니트가 장착되더라도 CPU 110은 어느 유니트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130은 휴대 통신장치 100의 전면에 구성된 휴대폰의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일예로 이 배터리 130은 3.6볼트(V)의 동작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100은 2개의 송수신부(TX/RX) 112, 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송수신부 112는 안테나 ANT11을 통해 중계기지국 20의 안테나 AT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중계기지국 20과 휴대폰 100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달리 송수신부 126은 안테나 ANT12에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이 무선으로 접속되어 휴대폰 100과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자수첩 유니트 200 및 PC유니트 3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전자수첩 유니트 200은 전자수첩 데이터를 휴대폰 100을 통해 무선통신망에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수첩 데이터로는 전화번호부, 달력, 시계, 계산기 또는 메모장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PC유니트 300은 PC데이터를 휴대폰 100을 통해 무선통신망에 송신하고, 이 무선통신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휴대폰 100을 통해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PC데이터는 PC유니트 300이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PC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 또는 적외선통신(IrDA)을 통해 PC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수첩 유니트 200은 휴대폰 100에 무선으로 연결될 시 CPU 214의 제어하에 휴대폰 1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ANT20, 송수신부 210, 모뎀 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 ANT20은 공기중에 방사된 휴대폰 100의 안테나 ANT12로부터의 RF신호를 수신하고, 송수신부 210으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공기중으로 방사한다. 이때 안테나 ANT20에 수신된 후 송수신부 210에 수신되는 RF신호는 380MHz의 주파수를 가지며, 송수신부 210으로부터 출력된 후 안테나 ANT20을 통해 송출되는 RF신호는 250MHz의 주파수를 갖는다. 그리고 이 안테나 ANT20은 내장형 안테나로서 루프패턴형 안테나 등이 될 수 있다.
송수신부 210은 상기 안테나 ANT20에 수신된 RF신호에 대하여 증폭(low noise amplification), 주파수하강변환(fequency down conversion) 및 필터링(filtering)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 이 수행결과에 따른 신호를 모뎀 21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 210은 모뎀 2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대해 주파수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sion), 필터링(filtering) 및 전력증폭(power amplification)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 이 수행결과에 따른 신호를 안테나 ANT20으로 인가한다. 모뎀 212는 송수신부 210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대해 복조 및 복호화 동작을 수행하고 이 수행결과에 따른 신호를 CPU 21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모뎀 212는 CPU 21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대해 부호화 및 변조 동작을 수행하고 이 수행결과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부 21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전자수첩 유니트 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뎀 212, 송수신부 210 및 안테나 ANT20과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휴대폰 100에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수첩 유니트 200은 컨넥터 240이 휴대폰 100의 컨넥터 128에 장착되는 경웨 휴대폰 100에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CPU 214는 전자수첩 유니트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화번호부 231, 달력 232, 시계 233, 계산기 234, 메모장 235와 같은 구성요소들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수첩 데이터를 입력하여 컨넥터 240을 통해 휴대폰 100으로 유선 송신하거나 모뎀 212, 송수신부 210 및 안테나 ANT20을 통해 휴대폰 100으로 무선 송신한다. 이때 전화번호부 231, 달력 232, 시계 233, 계산기 234, 메모장 235는 메모리의 형태로 CPU 214에 연결되는 것으로, CPU 214가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제공한다는 내용은 LCD 218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LCD 218상에 표시되는 내용으로부터 전자수첩의 구성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구성요소를 터치패널 216을 이용하여 조작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touch panel) 216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218은 전자수첩 유니트 200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터치패널 216은 사용자가 전자수첩 유니트 200의 기능선택을 가능하도록 하고 LCD 218은 전자수첩 유니트 200의 동작에 따른 상태를 화면의 형태로 표시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패널 216과 LCD 218은 각각 별도로 구현될수도 있지만, 효율성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 220은 전자수첩 유니트 200의 동작수행에 요구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과, 어느 한 전자수첩 기능이 수행될 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으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250은 전자수첩 유니트 2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배터리 250은 예를 들어 1.2V∼3.6V의 동작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PC유니트 300은 PC(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데이터를 적외선통신(IrDA: Infrared Data Access)부 331 또는 케이블접속부 332를 통해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PC데이터는 모뎀 312, 송수신부 310 및 안테나 ANT30을 통해 휴대폰 100으로 송신될 수도 있고, PC유니트 300의 컨넥터 340이 휴대폰 100의 컨넥터 128에 장착된 경우에는 이 컨넥터 340을 통해 휴대폰 100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접속부 332에는 RS232C케이블과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어, PC와 PC유니트 3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CPU 314는 PC유니트 300이 휴대폰 100에 장착된 경우에는 적외선통신부 331 또는 케이블접속부 332로부터의 PC데이터가 모뎀 312에 의해서 처리된 후 컨넥터 340을 통해 휴대폰 100의 컨넥터 128로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달리 PC유니트 300이 휴대폰 100에 탈착된 경우에는 CPU 314는 적외선통신부 331 또는 케이블접속부 332로부터의 PC데이터가 모뎀 312에 의해서 처리된 후 송수신부 310과 안테나 ANT30을 거쳐 송신되어 휴대폰 100의 안테나 ANT12에 수신되도록 제어한다.
모뎀 312는 적외선통신부 331 또는 케이블접속부 332로부터의 PC데이터를 수신하여 부호화 및 변조 처리하고, CPU 314의 제어하에 상기 처리된 PC데이터가 송수신부 310으로 출력되도록 하거나 CPU 314를 거쳐 컨넥터 34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모뎀 312는 송수신부 310 또는 컨넥터 34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 및 복호화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터를 CPU 314로 출력한다.
메모리 320은 PC유니트 300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PC유니트 300의 동작 수행중에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으로 이루어진다. 터치패널 316 및 LCD 318은 PC유니트 300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터치패널 316은 사용자가 PC유니트 300의 기능선택을 가능하도록 하고 LCD 318은 PC유니트 300의 동작에 따른 상태를 화면의 형태로 표시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패널 316과 LCD 318은 각각 별도로 구현될수도 있지만, 효율성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100은 2개의 송수신부(TX/RX) 112, 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송수신부 112는 안테나 ANT11을 통해 중계기지국 20의 안테나 AT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중계기지국 20과 휴대폰 100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달리 송수신부 126은 안테나 ANT12에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이 무선으로 접속되어 휴대폰 100과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100은 일반적인 휴대폰과 같이 무선 음성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 휴대폰 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이 휴대폰 100을 통해서 무선 데이터 및 문자 송수신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휴대 통신장치는 휴대폰 100과 이 휴대폰 100에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중의 어느 한 유니트만이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에 비해 그 통신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이 휴대폰 100으로부터 탈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통신장치의 크기를 더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전자수첩 유니트 200, PC유니트 300 또는 FAX유니트 400이 휴대폰 100으로부터 탈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도 휴대폰 100의 내부 및 각 유니트의 내부에 구비된 송수신부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은 보다 작은 크기의 통신장치를 보다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휴대 통신장치는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휴대장치 600은 본체 500을 통해 일반전화기, 휴대폰(HHP), 팩시밀리(FAX), 컴퓨터(PC), 무선호출수신기(PAGER)에 연결되게 된다. 즉, 본체 500은 일반전화기, 휴대폰, 팩시밀리, 컴퓨터 또는 무선호출수신기와 휴대장치 600과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체 500은 휴대장치 600과 일반전화기, 휴대폰, 무선호출수신기와의 무선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휴대장치 600과 팩시밀리, 컴퓨터와의 무선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휴대장치 600은 일반적으로는 본체 500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되지만, 본체 50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본체 500에 휴대장치 600이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휴대장치 600은 본체 500의 내부에 구비된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장치 600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휴대장치 600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장치 600은 하우징(housing) 60과 커버(cover) 61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 60의 표면에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와, 터치패널(touch panel) 616과, 액정표시기(LCD) 618과, 통화키(SEND) 681과, 통화종료키(END) 682가 구조된다. 상기 하우징 60의 상측면에는 본체와의 접속을 위한 컨넥터 670이 구조되고, 좌측면에는 리콜키(RCL: Recall Key) 683과, 볼륩 업/다운 키(Volume Up/Down Key) 684,685가 구조되며, 우측면은 입력펜(input pen) 690이 장착될 수 있는 홈의 형태로 구조된다. 상기 커버 61은 통화중의 경우에는 열리는 형태로 구조되고,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닫히는 형태로 구조된다. 상기 커버 61에는 표시창 62가 구조되고, 커버 61이 하우징 60에 닫힐 시 그 닫힘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63이 구조된다. 상기 입력펜 690의 상단에는 안테나 ANT40이 구조되고 이 안테나 ANT40을 도 16에 도시된 휴대장치의 송수신부 610을 접속시켜 주는 접속부 610이 구조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펜 690이 휴대장치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경우에 안테나 ANT40이 본체 500으로부터의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테나 ANT40이 포함된 입력펜 690의 상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는 형태로 구조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장치 600의 상부에는 커버 61이 닫힌 경우 커버 61이 위치하게 된다. 휴대장치 600의 내부는 크게 2단으로 구조되는데, 내부 상단에는 터치패널 616 및 LCD 618이 구조되고, 내부 하단에는 컨넥터 670과, 송수신부 610이 구조된다. 상기 컨넥터 670은 휴대장치 600의 하단부에 구조되고, 송수신부 610은 상단부에 구조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 600의 상단부에는 스피커(SPK) 및 배터리 674가 구조되고, 하단부에는 마이크(MIC)가 구조된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된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본체 500의 하단부에는 배터리 524가 구조되는데, 이 배터리 524는 전원플러그 540을 통한 교류(AC: Alternative Current)전원이 도 15에 도시된 충전회로 526으로 공급됨에 따라 충전되게 된다. 또한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된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휴대장치 600의 배터리는 본체 500의 전원플러그 540을 통한 AC전원이 충전회로 526으로 공급됨에 따라 충전되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 10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도 13은 휴대 통신장치 10의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이 유선으로 접속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도 14는 휴대 통신장치 10의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이 무선으로 접속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휴대장치 600은 본체 5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휴대장치 600은 안테나 AT 및 중계기지국 20을 거쳐 무선통신망(네트워크) 30에 접속되어 무선통신망 30에 접속된 통신기기들과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무선통신망 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전화기, HHP, FAX, PC, 무선호출수신기 등이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장치 600은 휴대폰 기능부 630과, 전자수첩 기능부 640과, 컴퓨터(PC) 기능부 640과, 팩시밀리(FAX) 기능부 6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휴대장치 600은 본체 500과, 중계기지국 20을 거쳐 일반전화기, HHP와 무선 음성 송수신을 행할 수 있으며, 휴대장치 600은 본체 500과, 중계기지국 20을 거쳐 FAX, PC, 무선호출수신기와 무선 데이터 및 문자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휴대장치 600의 휴대폰 기능부 630은 본체 500과, 중계기지국 20을 거쳐 일반전화기, HHP와 무선 음성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장치 600의 전자수첩 기능부 640과, PC기능부 640과, FAX기능부 660은 본체 500과, 중계기지국 20을 거쳐 FAX, PC와 무선 데이터 및 문자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장치 600의 PC기능부 640을 통해서 사용자는 무선통신망 30에 연결된 PC와 PC통신, 인터넷(INTERNET)통신, 전자우편(E-MAIL)통신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본체 5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본체 500은 크게 무선통신망 30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제1구성요소와, 충전동작을 위한 제2구성요소와, 휴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제3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성요소에는 안테나 ANT 31, 송수신부(TX/RX) 512, 베이스밴드처리부 516이 포함된다. 상기 제2구성요소에는 배터리 524, 충전회로 526, 충전단자 528, 전원플러그 540이 포함된다. 상기 제3구성요소에는 모뎀 518, 음성처리부 520, 송수신부 522, 안테나 ANT32, 컨넥터 530이 포함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510, 메모리 514는 상기 제1구성요소 내지 제3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는 본체 500은 휴대장치 600이 무선통신망 30에 연결되어 무선 음성, 데이터, 문자 송수신을 수행할 시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중계하는 중계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5에서 안테나 ANT31은 송수신부 512로부터 제공되는 무선(RF: Radio Frequency)신호를 공기중으로 방사하고, 공기중에 방사된 RF신호가 송수신부 512에 수신되도록 한다. 송수신부 512는 CPU 510의 제어하에 송신모드 동작시에는 베이스밴드처리부 516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베이스밴드처리부 516으로부터 송수신부 512에 인가되는 신호는 변조(modulation), 주파수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sion), 필터링(filtering) 및 전력증폭(power amplification) 등의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RF신호로서 변환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와 달리 송수신부 512는 수신모드 동작시에는 안테나 ANT31에 수신된 RF신호를 증폭(low noise amplification), 주파수 하강변환(fequency down conversion), 필터링(filtering) 및 복조(demodulation)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 베이스밴드처리부 516으로 출력한다. 이때 송수신부 512로부터 출력되거나 송수신부 512에 수신되는 RF신호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송수신 주파수인 900MHz대역의 신호이다.
베이스밴드처리부 516은 CPU 5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데이터 및 모뎀 518로부터 CPU 510을 거쳐 인가되는 음성신호, 데이터신호 및 문자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송수신부 512에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밴드처리부 516은 송수신부 5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 결과가 제어데이터의 경우에는 CPU 510으로 출력하고, 음성신호, 데이터신호 및 문자신호의 경우에는 CPU 510을 거쳐 모뎀 518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CPU 510으로부터의 음성신호는 모뎀 518 및 음성처리부 520에 의해 처리된 후 송수신부 522 및 안테나 ANT12를 거쳐 RF신호로서 휴대장치 600으로 송신되거나, 컨넥터 530을 거쳐 휴대장치 600으로 송신된다. 이와 달리 CPU 510으로부터의 데이터 및 문자신호는 모뎀 518에 의해 처리된 후 송수신부 522 및 안테나 ANT12를 거쳐 RF신호로서 휴대장치 600으로 송신되거나, 컨넥터 530을 거쳐 휴대장치 600으로 송신된다. 여기서 음성신호는 휴대장치 600의 휴대폰 기능부 630과 무선통신망 30의 일반전화기, HHP와의 무선 음성 송수신시 이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이다. 그리고 데이터 및 문자신호는 휴대장치 600의 전자수첩 기능부 640, PC기능부 650, FAX기능부 660부와 무선통신망의 PC, FAX, 무선호출수신기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시 이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신호이다.
메모리 514는 CPU 510에 의해 제어되며 본체 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RAM: 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진다.
모뎀 518은 송수신부 522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 또는 음성처리부 520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복조 및 복호화 처리한 후 CPU 510으로 출력한다. 또한 모뎀 518은 CPU 510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부호화 및 변조 처리한 후 CPU 510의 제어하에 상기 처리된 신호가 데이터 및 문자신호인 경우에는 송수신부 522로 출력하고 음성신호인 경우에는 음성처리부 124로 출력한다. 이때 음성처리부 520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나 음성처리부 520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는 송수신부 522 및 안테나 ANT32를 거쳐 휴대장치 600과 송수신될 수도 있고, 컨넥터 530을 거쳐 휴대장치 600과 송수신될 수도 있다. 이때 음성신호가 송수신부 522 및 안테나 ANT32를 거쳐 휴대장치 600과 송수신되도록 하느냐, 아니면 컨넥터 530을 거쳐 휴대장치 600과 송수신되도록 하느냐 여부는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되었느냐 아니면 탈착되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즉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의 컨넥터 530에 장착된 경우 휴대장치 600과 본체 500 사이의 음성신호는 컨넥터 530을 통해 송수신되어 음성처리부 520에서 입출력되게 된다. 이와 달리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으로부터 탈착된 경우 휴대장치 600과 본체 500 사이의 음성신호는 송수신부 522 및 안테나 ANT32를 통해 송수신되어 음성처리부 520에서 입출력되게 된다. 상기 음성처리부 520은 통상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부 522는 모뎀 518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 및 음성처리부 52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 ANT32로 출력하고, 안테나 ANT32에 수신된 RF신호를 변환하여 데이터 및 문자신호인 경우에는 모뎀 518로 출력하고 음성신호인 경우에는 음성처리부 520으로 출력한다. 이때 본체 500에서 휴대장치 600으로의 송신동작시 송수신부 522는 주파수 상승변환, 필터링 및 증폭의 동작을 수행하고, 휴대장치 600으로부터 본체 500으로의 수신동작시 송신부 522는 증폭, 주파수 하강변환, 필터링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송수신부 522에 수신되는 RF신호는 250MHz의 주파수가 될 수 있으며, 송수신부 522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는 380MHz의 주파수가 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ANT32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루프패턴형(Loop Pattern) 안테나 등이 될 수 있다.
컨넥터 530은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을 접속하는 역할을 행하는 것으로, 휴대장치 600이 이 컨넥터 530에 장착되는 경우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은 유선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 컨넥터 530에 휴대장치 600이 장착되었느냐 여부는 CPU 510에 의해 판단가능하며, 이러한 판단에 의해 CPU 510은 데이터 및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어하게 된다. 즉, 본체 500에 휴대장치 600이 유선으로 접속되는 경우(본체 500에 휴대장치 600이 장착된 경우) CPU 510은 데이터 및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가 컨넥터 530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본체 500에 휴대장치 600이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본체 500에 휴대장치 600이 탈착된 경우) CPU 510은 데이터신호 및 음성신호가 송수신부 522 및 안테나 ANT32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한다.
배터리 524는 본체 500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일예로 이 배터리 524는 3.6볼트(V)의 동작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배터리 524는 충전회로 526에 의해 충전가능하다. 충전회로 526은 전원플러그 540을 통해 인가되는 교류(AC: Alternative Current)전원을 입력하여 충전전압을 생성하여 배터리 524를 충전시키게 된다. 또한 본체 500에 휴대장치 600이 유선으로 접속된 경우 충전회로 526은 충전전압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충전전압을 충전단자 528을 통해 휴대장치 600으로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 500은 2개의 송수신부(TX/RX) 512, 5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송수신부 512는 안테나 ANT31을 통해 중계기지국 20의 안테나 AT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중계기지국 20과 본체 5000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달리 송수신부 526은 안테나 ANT32에 휴대장치 600이 무선으로 접속되어 휴대장치 600의 휴대폰 630, 전자수첩 기능부 640, PC기능부 650, FAX기능부 660과 본체 500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휴대장치 600의 휴대폰 기능부 630, 전자수첩 기능부 640, PC기능부 650, FAX기능부 660은 중계기지국 20을 거쳐 무선통신망 30에 연결된 통신기기들과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휴대장치 6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휴대장치 600은 휴대폰 기능부 630, 전자수첩 기능부 640, PC기능부 650, FAX기능부 6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휴대장치 600은 휴대폰 기능, 전자수첩 기능, PC기능, FAX기능을 지원한다. 여기서 각 기능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며, 일예로 휴대폰 기능부 630이 선택되는 경우에 휴대장치 600의 액정표시기(LCD) 618상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PC기능부 650 또는 FAX기능부 660이 선택되는 경우에 휴대장치 600의 LCD 618상에는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수첩 기능부 650은 전화번호부, 달력, 시계, 계산기, 메모장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메모장의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에 휴대장치 600의 LCD 618상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에서 안테나 ANT40은 공기중에 방사된 본체 500의 안테나 ANT32로부터의 RF신호를 수신하고, 송수신부 610으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공기중으로 방사한다. 이때 안테나 ANT40에 수신된 후 송수신부 610에 수신되는 RF신호는 380MHz의 주파수를 가지며, 송수신부 610으로부터 출력된 후 안테나 ANT40을 통해 송출되는 RF신호는 250MHz의 주파수를 갖는다. 그리고 이 안테나 ANT40은 내장형 안테나로서 루프패턴형 안테나 등이 될 수 있다.
송수신부 610은 안테나 ANT40에 수신된 RF신호에 대하여 증폭(low noise amplification), 주파수하강변환(fequency down conversion) 및 필터링(filtering)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 이 수행결과에 따른 신호를 모뎀 612 또는 음성처리부 60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 610은 모뎀 612 또는 음성처리부 60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대해 주파수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sion), 필터링(filtering) 및 전력증폭(power amplification)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 이 수행결과에 따른 신호를 안테나 ANT40으로 출력한다. 상기 송수신부 610과 모뎀 612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이고, 송수신부 610과 음성처리부 602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음성신호이다.
음성처리부 602에는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MIC)는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처리부 124로 인가한다. 스피커(SPK)는 음성처리부 124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 사용자에게 송출하여 준다. 상기 음성처리부 602는 송수신부 610 또는 컨넥터 670을 통해 수신된 본체 500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고,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송수신부 610 또는 컨넥터 670을 통해 본체 500으로 송신한다. 이때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컨넥터 670을 통해서 이루어지느냐 아니면 송수신부 610을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느냐는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되어 사용되느냐 아니면 본체 500으로부터 탈착되어 사용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즉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 사이의 음성신호는 본체 500의 송수신부 522와 안테나 ANT32 및 휴대장치 600의 송수신부 610 및 안테나 ANT40을 통해서 송수신되게 된다. 이와 달리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으로부터 탈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 사이의 음성신호는 본체 500의 컨넥터 530 및 휴대장치 670을 통해서 송수신되게 된다.
모뎀 612는 송수신부 610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에 대해 복조 및 복호화 동작을 수행하고 이 수행결과에 따른 신호를 CPU 61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모뎀 612는 CPU 614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 동작을 수행하고 이 수행결과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부 610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CPU 614는 상기 모뎀 612, 송수신부 610 및 안테나 ANT40을 통해 본체 500과 데이터 및 문자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간의 데이터신호 송수신 경로는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탈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신호의 송수신 경로 이외에도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 사이의 데이터신호 송수신은 컨넥터 670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 500과 휴대장치 600 사이의 데이터 및 문자신호 송수신이 컨넥터 670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휴대장치 600의 컨넥터 670은 본체 500의 컨넥터 530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본체 500의 CPU 510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는 컨넥터 530 및 휴대장치 600의 컨넥터 670을 거쳐 휴대장치 600의 CPU 614에 수신되게 된다. 또한 휴대장치 600의 CPU 614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는 컨넥터 670 및 본체 500의 컨넥터 530을 거쳐 본체 500의 CPU 510에 수신되게 된다.
상기 안테나 ANT40 및 송수신부 610을 통해 또는 컨넥터 670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는 본체 50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로서 이 신호는 본체 500이 무선통신망 30에 연결된 통신기기들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데이터 및 문자신호이다. 예를 들어, 본체 500은 무선통신망 30에 연결된 PC, FAX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제공받아 휴대장치 600으로 제공하게 되며, 이 휴대장치 600은 PC데이터 및 FAX데이터를 제공받게 된다. 휴대장치 600으로부터 송신될 데이터신호는 모뎀 612, 송수신부 610 및 안테나 ANT40을 거쳐 본체 500으로 송신될 수도 있고, 컨넥터 670을 거쳐 본체 500의 컨넥터 530으로 송수신될 수도 있다. 휴대장치 600으로부터 송신될 데이터 및 문자신호는 전자수첩 기능부 640, PC기능부 650 또는 FAX기능부 660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로서 이 신호는 본체 500을 거쳐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PC, FAX로 송신될 수 있다.
터치패널(touch panel) 616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618은 휴대장치 600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터치패널 616을 통해서 사용자는 휴대장치 600의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LCD 618에는 휴대장치 600의 동작에 따른 상태가 화면의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휴대장치 600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 616과 LCD 618은 각각 별도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즉, LCD 618의 윗면에 터치패널 616이 구조되게 된다. 상기 LCD 618에는 휴대장치 60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일예로 휴대폰 기능부 630이 선택되는 경우에 LCD 618상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PC기능부 650 또는 FAX기능부 660이 선택되는 경우에 LCD 618상에는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수첩 기능부 640은 전화번호부, 달력, 시계, 계산기, 메모장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메모장의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에 LCD 618상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키입력부 68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SEND) 681, 통화종료키(END) 682, 볼륨 업/다운 키 684,685로 이루어진다. 입력펜 690은 LCD 618과 터치패널 616상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이 표시될 시 사용자가 이 화면내용중에서 원하는 내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수단이다. 예를 들어,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상의 키보드 화면상의 어느 한 기능을 이 입력펜 690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메모도 행할 수 있다. 이 입력펜 690의 상단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ANT40이 구조된다.
휴대폰 기능부 630, 전자수첩 기능부 640, PC기능부 650, FAX기능부 660은 CPU 614에 연결되어 휴대장치 600의 각 기능 - 휴대폰 기능, 전자수첩 기능, PC기능 및 FAX기능 - 을 제공한다. 실제적으로 각 기능부들은 메모리의 형태로 구현되며, 그 동작은 CPU 614에 의해 제어된다. 각 기능부를 위한 메모리에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면데이터들이 저장되게 되며, 어느 한 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대응하는 화면데이터가 LCD 618상에 표시될 시 사용자는 터치패널 616의 해당하는 부분을 누르거나 입력펜 690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휴대폰 기능부 630을 구현하기 위한 메모리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휴대폰 화면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휴대폰 기능부 630이 선택될 시 CPU 614는 이 저장된 휴대폰 화면데이터를 읽어들여 LCD 618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된 휴대폰 화면으로부터 어느 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CPU 614는 입력된 키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PC기능부 650을 구현하기 위한 메모리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키보드 화면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PC기능부 650이 선택될 시 CPU 614는 이 저장된 키보드 화면데이터를 읽어들여 LCD 618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키보드 화면으로부터 어느 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CPU 614는 입력된 키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LCD 618상에 표시된 PC기능부 65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가능하다.
또다른 예로, 전자수첩 기능부 640을 구현하기 위한 메모리에는 전화번호부, 달력, 시계, 계산기, 메모장에 관련된 화면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이중에서 전자수첩 기능부 640이 메모장으로서 그 기능이 선택될 시 메모리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장의 화면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전자수첩 기능부 640의 메모장이 선택될 시 CPU 614는 이 저장된 메모장의 화면데이터를 읽어들여 LCD 618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메모장 화면상에 입력펜 690을 이용하여 메모를 남길 시 이 남긴 메모를 읽어들이게 된다.
메모리 620은 휴대장치 600의 시스템 동작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과, 시스템 동작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으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674는 휴대장치 6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배터리 674는 예를 들어 1.2V∼3.6V의 동작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674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로서,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되는 경우 본체 500의 충전회로 526에 의해 생성된 충전전압을 본체 500의 충전단자 528 및 휴대장치 600의 충전단자 672를 통해 제공받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장치 10은 본체 500과, 휴대폰 기능부 630, 전자수첩 기능부 640, PC기능부 650, FAX기능부 660을 지원하는 휴대장치 6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휴대장치 600의 내부에 구비된 송수신부 610을 통해 본체 500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휴대장치 600과 본체 500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휴대장치 600의 내부에 구비된 컨넥터 670을 통해 본체 5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휴대장치 600과 본체 500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행하게 된다. 휴대장치 600이 본체 500에 장착된 경우에 휴대장치 600의 배터리 674는 본체 500으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휴대장치 600을 본체 500과 별도로 하여 또는 본체 5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휴대장치 600은 통상의 휴대폰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휴대장치 600을 통해 전자수첩 기능, PC 기능 및 FAX 기능도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 500에는 무선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 휴대장치 600과의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 그리고 충전을 위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장치 600은 본체 500과의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 및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동중에 주머니 등에 넣고 휴대할 수 있는 휴대장치 60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비해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의 간편성을 보장한다. 사용자가 휴대장치 600을 주머니 등에 넣고 휴대할 시 본체 500은 가방 등에 넣고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휴대의 간편성을 보장하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의 앞면에는 휴대폰이 구조되고 이 휴대폰에 대응하는 전자수첩 유니트, PC유니트 또는 FAX유니트가 뒷면에 장착되어 사용되거나 탈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비해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제2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는 본체와 휴대장치로 이루어지며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휴대장치만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휴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휴대장치의 내부에는 본체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들만이 구비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비해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앞면에 구조되고, 제1송수신기 및 제2송수신기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휴대폰과;
    상기 통신장치의 뒷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통신장치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이 휴대폰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무선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 휴대폰의 제2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보조 통신유니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신유니트로는 문자 송수신을 위한 전자수첩 유니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컴퓨터 유니트 및 팩시밀리 유니트중의 어느 한 유니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있어서:
    제1송수신기 및 제2송수신기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이 본체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이 본체의 제2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송수신을 수행하는 휴대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음성 송수신을 위한 휴대폰과,
    문자 송수신을 위한 전자수첩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컴퓨터부 및 팩시밀리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충전을 위한 직류전원으로 변환 생성하고,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경우 이 생성된 직류전원을 상기 휴대장치로 제공하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앞면에 구조되는 휴대폰과, 상기 통신장치의 뒷면에 장착 또는 탈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통신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폰은;
    무선통신망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송수신기와,
    상기 보조 통신유니트와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송수신기와,
    상기 보조 통신유니트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1컨넥터와,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보조 통신유니트가 상기 제1컨넥터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가 상기 제2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1컨넥터를 통해 상기 보조 통신유니트과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통신유니트는;
    상기 제2송수신기와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송수신기와,
    상기 제1컨넥터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되는 경우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제2컨넥터와,
    상기 제2컨넥터가 상기 제1컨넥터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장착된 경우에는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가 상기 제2컨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가 상기 제3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신유니트로는 문자 송수신을 위한 전자수첩 유니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컴퓨터 유니트 및 팩시밀리 유니트중의 어느 한 유니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개인 휴대 통신장치에 있어서:
    무선통신망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본체와, 이 본체에 장착 또는 탈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휴대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상기 무선통신망과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송수신기와,
    상기 휴대장치와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송수신기와,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처리부와,
    상기 휴대장치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1컨넥터와,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제1컨넥터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가 상기 제2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1컨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제2송수신기와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송수신기와,
    상기 제1컨넥터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되는 경우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제2컨넥터와,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제3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컨넥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제2음성처리부와,
    상기 제2컨넥터가 상기 제1컨넥터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장착된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가 상기 제2컨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신호가 상기 제3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음성 송수신을 위한 휴대폰과,
    문자 송수신을 위한 전자수첩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컴퓨터부 및 팩시밀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충전을 위한 직류전원으로 변환 생성하고,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경우 이 생성된 충전전원을 상기 휴대장치로 제공하는 충전회로와,
    외측에 구조되며 상기 충전회로에 의해 생성된 충전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제1충전단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장치는, 외측에 구조되며 상기 제2컨넥터가 상기 제1컨넥터에 장착될 시 상기 제1충전단자에 접속되는 제2충전단자와,
    상기 제2컨넥터가 상기 제1컨넥터에 장착될 시 상기 제2충전단자를 통해 입력는 충전전원에 따라 충전되며 상기 휴대장치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10845A 1998-03-28 1998-03-28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KR10026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45A KR100260443B1 (ko) 1998-03-28 1998-03-28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45A KR100260443B1 (ko) 1998-03-28 1998-03-28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46A KR19990076146A (ko) 1999-10-15
KR100260443B1 true KR100260443B1 (ko) 2000-07-01

Family

ID=1953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845A KR100260443B1 (ko) 1998-03-28 1998-03-28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05A (ko) * 2000-12-16 2002-06-22 최인규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단말기의 통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638B1 (ko) * 2000-08-16 2002-05-30 윤종용 입력 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의 하우징
KR100510249B1 (ko) * 2002-11-28 2005-08-26 전진규 다기능 통신장치
KR102225361B1 (ko) * 2014-01-08 2021-03-09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무선 제어 시스템과 그의 무선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05A (ko) * 2000-12-16 2002-06-22 최인규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단말기의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46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8964B2 (ja) 電話送受信ユニット及び移動体通信端末
US6192253B1 (en) Wrist-carried radiotelephone
KR100260443B1 (ko)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GB2365692A (en) Wireless speaker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010058800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 장치
JPH09224075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H1174951A (ja) 無線式携帯電話機に接続する子機
KR100339336B1 (ko)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KR20010011015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리형 무선 보조 단말장치
KR20080046948A (ko) 통신 서비스 시스템
AU719863B3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KR20010003177A (ko)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통신용 이동 전화기
KR100856071B1 (ko) 분리형 개인 단말기
KR20000018393U (ko)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H10308701A (ja) 無線通信装置
KR200184934Y1 (ko)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KR200176936Y1 (ko) 무선.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송수화기 장치
JP2002344587A (ja) 携帯電話無線機
JPH11150490A (ja) 無線通信装置
KR19990030879A (ko) 무선 전송 장치
JP3070063U (ja) 携帯電話のための無電受信器
KR200262235Y1 (ko) 전화가 용이한 정보 단말기 케이스 시스템
KR100297509B1 (ko)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WO2004110038A1 (en) Two-part radio communicatio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