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470B1 - A coding apparatus and a ruled lines gen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coding apparatus and a ruled lines gen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470B1
KR100252470B1 KR1019920021381A KR920021381A KR100252470B1 KR 100252470 B1 KR100252470 B1 KR 100252470B1 KR 1019920021381 A KR1019920021381 A KR 1019920021381A KR 920021381 A KR920021381 A KR 920021381A KR 100252470 B1 KR100252470 B1 KR 10025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ordinate
ruled line
data
ru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9782A (en
Inventor
고보리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0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4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계표를 데이타로서 프린터의 포지션 빔을 이용하여 읽어들이거나,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한 계표 또는 키이보오드 입력에 의해 작성한 계표를 코드화하여 그 계표에 인쇄함으로써, 예를 들면 이와같은 계표용지만 있으면 코드를 읽어들이는 것만으로 표시부에 계표를 표시하여 키이보오드에 의해 데이타를 입력하고, 계표의 프레임내에 정확히 데이타를 인자시키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d an existing statement as data using a position beam of a printer, or to code a statement generated by an image input unit or a statement generated by a key board input and print it on the statement, for example. If there is only such a tabular form, the c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simply reading the code so that the data can be input by the key board and the data can be accurately printed in the frame of the tabular line.

본 발명의 구성은, 계표정보를 기억하는 독해정보 메모리(20)와, 이것에 기억한 계표정보의 x 및 y방향의 괘선위치를 CPU(10), 버스(11), ROM(12), RAM(13), x좌표 검출회로(17), y좌표 검출회로(18)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CPU(10), 버스(11), ROM(12), RAM(13)에서 분할하고, 이 분할정보 및 검출된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x 및 y방향의 괘선정보를 CPU(10)의 좌표/바코드 변환부(10b)에 의해 바코드화하도록 구성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reading information memory 20 which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ruled line positions in the x and y directions of the stored schedule information in the CPU 10, the bus 11, the ROM 12, and the RAM. (13), the x-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7 and the y-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8 detect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ruled line position of the CPU 10, the bus 11, the ROM 12, and the RAM. In step (13), the ruled line information in the x and y directions is bar coded by the coordinate / barcode conversion unit 10b of the CPU 10 based on the divided information and the detected length information.

Description

코드화장치 및 계표정보 작성장치Coding device and accounting information writing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블록선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providing an explanation of an example of a printer-attached word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메인 플로우챠트이다.2 is a main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서브루틴(S1)의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of the subroutine S1 used to explain an example of a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서브루틴(S2)의 플로우챠트이다.4 is a flowchart of the subroutine S2 provided in the description of an example of a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서브루틴(S3)의 플로우챠트이다.5 is a flowchart of the subroutine S3 provided in the description of an example of a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서브루틴(S4)의 플로우챠트이다.6 is a flowchart of the subroutine S4 provided in the description of an exampl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7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ampl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ampl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9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ampl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10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10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ampl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1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1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ampl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1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12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ampl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1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다른 사용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1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use exampl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1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다른 사용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1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계표용지 1a : 계표1: Table paper 1a: Table

2 : 고무롤러 3 : y방향모터2: Rubber roller 3: Motor in y direction

4 : x방향모터 5,7 : 풀리4: x direction motor 5,7: pulley

6 : 벨트 8 : 헤드 및 리본6: belt 8: head and ribbon

9 : 포지션 빔 10 : CPU9: position beam 10: CPU

11 : 버스 12 : ROM11: bus 12: ROM

13 : RAM 14 :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3: RAM 14: position beam drive and barcode reading unit

15 : 구동회로 16 : 키보드15: drive circuit 16: keyboard

17 : x좌표 검출회로 18 : y좌표 검출회로17: x 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8: y 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9 : 화상입력부 20 : 독해정보 메모리19: Image input unit 20: Reading information memory

21 : 화상출력 메모리 22 : LCD 구동회로21: image output memory 22: LCD driving circuit

23 : LCD 디스플레이23: LCD displa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프린터, 프린터부착용 워드프로세서 등에 적용하기 적합한 코드화장치 및 계표정보 작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ing apparatus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tag information suitable for use in, for example, a printer, a word processor for a printer.

종래 프린터는 워드프로세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데이터를 종이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printers are widely used as devices for displaying data such as word processors and personal computers on paper.

프린터의 일반적인 사용에 관하여 크게 분류하면, 디스플레이 상에서 작성한 데이터를 백지상태인 소위 프린터 용지에 인쇄하는 경우와, 이미 괘선이 인쇄되어 있는 종이를 프린터에 세트하고, 디스플레이 상에서 작성한 데이터를 괘선 내에 잘 들어가도록 항목마다 프린터의 캐리지(Carriage)를 키보드등으로 이동시켜 인쇄하는 경우가 있다.The general use of the printer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e case of printing the data created on the display on a so-called printer paper which is in a blank state, and setting the paper on which the ruled line is already printed on the printer, so that the data created on the display fits within the ruled line. Each item may be printed by moving a carriage of the printer with a keyboard or the like.

전자에 있어서는 단지 인쇄할 뿐이므로 문제는 없지만, 후자의 경우, 즉 계표용지의 괘선 내에 디스플레이 상에서 작성한 데이터 등을 인쇄하기 때문에, 위치맞춤이 어렵고 또 디스플레이 상에는 그 계표자체를 표시할 수 없다.In the former case, there is no problem because it only prints, but in the latter case, that is, since data created on the display is printed in the ruled line of the tabular paper, alignment is difficult and the mark itself canno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이 해결책으로서는 인자(印字)위치의 마진(margin)설정을 항목마다 행하는 방법이 있다.As a solution to this, there is a method in which margin setting of printing positions is performed for each item.

제일 간단한 방법으로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개표를 작성하거나 이미지 리더(image reader)로 개표를 읽어 들이게 하여, 그 계표데이터를 플로피디스크나 메모리카드 등에 저장하여 두고, 사용할 때에 그 계표데이터를 독출하고, 이것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켜, 이 표시된 계표의 괘선 내에 데이터를 집어넣고, 디스플레이상의 계표를 데이터와 함께 인쇄하는 방법이 있다.The simplest method is to write a count on the display or read the count on an image reader, store the count data on a floppy disk or memory card, etc., and read out the count data when using it. There is a method in which data is displayed in the ruled line of the displayed timeline, and the timeline on the display is printed together with the data.

그런데, 인자위치의 마진설정을 항목마다 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움을 준다고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re is an unreasonable point that it is very troublesome for the user to set the margin of the printing position for each item.

또, 계표를 키보드 입력에 의해 작성하거나, 이미지 리더로 계표용지의 계표를 독해시키도록 한 경우는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줌과 동시에, 코스트 상승(이미지 리더사용의 경우)이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n unreasonable point in that when a statement is generated by keyboard input or when the statement of the report sheet is read by the image reader, the user is troubled and the cost increases (in the case of using the image reader).

또, 플로피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등에 계표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한 경우는, 본래 종이에 인쇄된 계표에 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해 기록매체라고 하는 불필요한 것을 개재시키게 된다.When the schedule data is to be stored in a floppy disk, a memory card, or the like, an unnecessary thing called a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to the user who wants to print the data on the schedule printed on the original paper.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술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코드화장치 및 계표정보 작성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n encoding device and a statement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that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코드화장치는 예를 들면 제1도 ~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표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20)과, 이 기억수단(20)에 기억한 계표정보의 한쪽 및 다른쪽의 방향의 괘선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과, 이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의 방향에서 각각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분할하는 분할처리수단(10, 11, 12, 13)과, 이 분할처리수단(10, 11, 12, 13)에서의 분할정보 및 상기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서의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한쪽 및 다른쪽 방향의 괘선정보를 코드화하는 변환수단(10, 11, 12, 13)을 갖는 것이다.In the enco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14, one or the other of the storage means 20 for storing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20 is shown. Detection means (10, 11, 12, 13, 17, 18) for detecting the ruled line position in the direction and the detection means (10, 11, 12, 13, 17, 18)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respectively; Division processing means (10, 11, 12, 13) for divi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ed ruled line position, division information in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10, 11, 12, 13) and the detection means (10). And converting means (10, 11, 12, 13) for encoding ruled line information in the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based on the length information in (11, 12, 13, 17, 18).

또, 본 발명의 계표정보 작성장치는 예를 들면 제1도 ~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입력부(19)에서 독출된 계표(1a)의 정보나, 키보드(16)를 이용하여 LCD(23)상에서 작성한 계표정보나,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독취부(14)에서 독취한 계표정보가 기억수단(20)에 기억된 계표정보의 한쪽 및 다른쪽 방향의 괘선위치를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 의해 한쪽 및 다른쪽의 방향에서 각각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분할처리수단(10, 11, 12, 13)에 의해 분할하고, 이 분할처리수단(10, 11, 12, 13)에서의 분할정보 및 상기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서의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코드화한 한쪽 및 다른쪽의 괘선정보를 한쪽 및 다른쪽의 괘선정보로 변환하는 변환수단(10, 11, 12, 13)과, 이 변환수단(10, 11, 12, 13)에서의 한쪽 및 다른쪽의 괘선정보 및 분할정보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작성하는 계표정보 작성수단(10, 11, 12, 13)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14,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toke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formation of the account 1a read o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9 and the LCD 16 by using the keyboard 16. 23 means for detecting ruled line position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20 in the schedule information created on the reading means 14 or by using the position beam 9. 10, 11, 12, 13, 17, 18 an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uled line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10, 11, 12, 13, 17, 18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By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10, 11, 12, 13), the division information in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10, 11, 12, 13) and the detection means (10, 11, 12, 13). Conversion means (10, 11, 12, 13) for converting one and the other ruled line information coded on the basis of the length information in (17, 18) into one and the other ruled line information; , 11, 12, 13, which has the ticket information creating means 10, 11, 12, 13 for generating the ticket information based on the ruled line information and the split information on the other side.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입력부(19)에서 독출되거나, 키보드(16)를 이용하여 LCD(23)상에서 작성하거나,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독취부(14)에서 독취하여 기억수단(20)에 기억된 계표정보의 한쪽 및 다른쪽 방향의 괘선위치를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 의해 한쪽 및 다른쪽의 방향에서 각각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분할처리수단(10, 11, 12, 13)에 의해 분할하고, 이 분할처리수단(10, 11, 12, 13)에서의 분할정보 및 상기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서의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한쪽 및 다른쪽의 괘선정보를 코드화하도록 하였으므로, 코드정보로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여러 가지의 출력기기에 의해 다양한 매체상에 있어서 계표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종이에 계표 및 코드를 인쇄한 경우에는, 이 종이에 인쇄된 코드를 독해함으로써 계표정보를 기기에 입력하고, 예를 들면 이 기기의 모니터의 관면(管面)상에 계표정보를 화상으로 표시시키고, 이 관면상에 표시된 계표의 프레임내에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그 입력데이터를 기기에 세트한 종이의 계표의 소정의 프레임내에 입력한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 등이 간단히 행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read o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9, written on the LCD 23 using the keyboard 16, or read from the reading unit 14 using the position beam 9 to store the memory means ( The ruled positions of one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account information stored in 20 are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10, 11, 12, 13, 17, 18, and the detecting means 10, 11, 12, 13, 17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uled line detected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by the reference numeral 18, the table information is divided by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10, 11, 12, 13, and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10, 11, The ruled line information of one side and the other is coded based on the split information in 12 and 13 and the length information in the detection means 10, 11, 12, 13, 17 and 18. In addition to shortening, various information devices can display the account information on various media, for example, In the case of printing the codes and codes on the paper, reading the codes printed on this paper is inputted to the equipment, for example,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as images on the surface of the monitor of the equipment. After inputting the desired data into the frame of the tabular displayed on this plane, printing the data input into the predetermined frame of the tabular of the paper in which the input data is set in the apparatus can be performed easily.

또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입력부(19)에서 독출되거나, 키보드(16)를 이용하여 LCD(23)상에서 작성하거나,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독취부(14)에서 독취하여 기억수단(20)에 기억된 계표정보의 한쪽 및 다른쪽방향의 괘선위치를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 의해 한쪽 및 다른쪽의 방향에서 각각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분할처리수단(10, 11, 12, 13)에 의해 분할하고, 이 분할처리수단(10, 11, 12, 13)에서의 분할정보 및 상기 검출수단(10, 11, 12, 13, 17, 18)에서의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코드화한 한쪽 및 다른쪽의 괘선정보를 변환수단(10, 11, 12, 13)에 의해 한쪽 및 다른쪽의 괘선정보로 변환하고, 이 변환수단(10, 11, 12, 13)에서의 한쪽 및 다른쪽의 괘선정보 및 분할정보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종이에 계표 및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종이에 인쇄된 코드를 독해함으로써 계표정보를 기기에 입력하고, 예를 들면 이 기기의 모니터의 관면상에 계표정보를 화상으로서 표시시키고, 이 관면상에 표시된 계표의 프레임내에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그 입력데이터를 기기에 세트된 종이의 계표를 소정의 프레임내에 입력한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 등이 간단히 행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reading means is read o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9, written on the LCD 23 using the keyboard 16, or read out from the reading unit 14 using the position beam 9,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detection means 10, 11, 12, 13, 17, 18 detects the ruled line position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account information stored in the 20, and the detection means 10, 11, 12, 13, Based on the positions of ruled lines detected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by 17 and 18, the account information is divided by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10, 11, 12, and 13, and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10, 11 12 and 13 and one or the other ruled line information encoded based on the length information in the detection means 10, 11, 12, 13, 17, and 18, and the conversion means 10, 11, 12 and 13 to convert the ruled information to one and the other, and based on the ruled information and the split information of one and the other in the converting means 10, 11, 12 and 13, For example, when a ticket and a code are printed on paper, the accoun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evice by reading the code printed on the paper, for example, on the face of the monitor of the device. After displaying the image as an image and inputting the desired data into the frame of the tabularity displayed on this plane, printing the data of the tabular paper of the paper in which the input data is set in the apparatus into the predetermined frame and the like can be easily performed.

[실시예]EXAMPLE

이하,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코드화장치 및 계표정보 작성장치를 예를들면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에 적용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the example which applied the encoding apparatus and the stationary information preparation apparatus of this invention to the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for example is demonstrated in detail.

이 제1도에 있어서, 1은 계표(1a)가 인쇄되어 있는 계표용지이고, 이 계표용지(1)는 고무롤러(2)에 의해 안내된다.In this FIG. 1, 1 is a sheet of paper on which the table 1a is printed, and the sheet of paper 1 is guided by the rubber roller 2.

이 고무롤러(2)는 y방향모터(3)에 의해 구동된다.This rubber roller 2 is driven by the y-direction motor 3.

5 및 7은 각각 풀리이고, 이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벨트(6)가 감겨져 있다.5 and 7 are pulleys, respectively, and the belt 6 is wound as shown in this figure.

풀리(5)는 x방향모터(4)에 접속되고, 이 x방향모터(4)의 구동 동력이 풀리(5)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The pulley 5 is connected to the x-direction motor 4, and the driving power of this x-direction motor 4 is transmitted to the pulley 5. As shown in FIG.

풀리(5)가 회전하면 그 구동 동력이 벨트(6)에 의해 풀리(7)에 전달되고, 풀리(7)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pulley 5 rotates, the driving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ulley 7 by the belt 6,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ulley 7.

이리하여, 이 벨트(5)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헤드 및 리본(8) 그리고 포지션 빔(9)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Thus, the head and ribbon 8 and the position beam 9 which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belt 5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 포지션 빔(9)은 발광부 및 수광부를 지니고, 포지션 빔 구동부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의해 구동된다.The position beam 9 has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and is driven by the position beam driving portion and the barcode reading portion 14.

이 포지션 빔(9)은 3개의 기능을 담당한다.This position beam 9 is responsible for three functions.

하나의 발광부로부터 광을 출사(出射)하여, 이 광을 계표용지(1)에 입사(入射)하게 하고, 그 입사광에 의해 사용자가 인자개시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며, 하나는 계표용지(1)로 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괘선이 있는지 없는지 검출하여 계표정보를 얻는 기능이며, 하나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계표용지(1)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계표용지(1)에 인자된 바코드로부터 괘선정보를 독해하는 기능이다.The light is emitted from on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sheet of paper 1, and the incident light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printing start position. It is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ruled line by the reflected light from 1) and obtaining the schedule information. One of them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nd the ruled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rcode printed on the report paper 1 by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report paper 1. It is a function of reading.

10은 계표/좌표 변환부(10a) 및 좌표/바코드 변환부(10b)를 갖는 CPU이고, 이 CPU(10)는 버스(어드레스, 데이터, 콘트롤 버스로 구성된다)(11)에 의해 각 회로 등에 접속된다.10 is a CPU having a coordinate / coordinate conversion unit 10a and a coordinate / barcode conversion unit 10b, which are each circuit or the like by a bus (consisting of an address, data, and control bus) 11. Connected.

12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OM, 13은 워크용 RAM, 15는 y방향 모터(3) 및 x방향모터(4)를 구동하는 구동회로, 16은 키보드이다.12 is a ROM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13 is a RAM for work, 15 is a drive circuit for driving the y-direction motor 3 and the x-direction motor 4, and 16 is a keyboard.

17은 x좌표 검출회로이고, 예를 들면 x방향모터(4)가 엔코더 부착용이면 그 펄스의 계수에 의해 x좌표를 검출하고, x방향 모터(4)가 스테핑 모터이면 구동펄스를 계수함으로써 x좌표를 검출한다.17 is an x-coordinate detection circuit. For example, if the x-direction motor 4 is for encoder attachment, the x-coordinate is detected by the coefficient of the pulse. If the x-direction motor 4 is a stepping motor, the x-coordinate is counted by counting the driving pulse. Detect.

18은 y좌료 검출회로이고, 예를 들면 y방향 모터(3)가 엔코더 부착용이면 그 펄스의 계수에 의해 y좌표를 검출하고, y방향모터(3)가 스테핑 모터이면 구동펄스를 계수함으로써 y좌표를 검출한다.18 is a y coordinate detection circuit. For example, if the y direction motor 3 is for encoder attachment, the y coordinate is detected by the coefficient of the pulse. If the y direction motor 3 is a stepping motor, the y coordinate is counted by counting the driving pulse. Detect.

19는 예를들면 이미지 스캐너 등의 화상입력부이고,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정보를 독해한다.19 is an image input unit such as an image scanner, for example, and as shown in FIG. 9, information of the schedule 1a of the schedule sheet 1 is read.

20은 독해정보 메모리이고, 화상입력부(19)에서 독해된 계표(1a)의 정보나, 키보드(16)를 이용하여 LCD디스플레이(23) 상에서 작성한 계표정보나 후술하는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의해 독해된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정보가 기억된다.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reading information memory, which uses the information of the schedule 1a read by the image input unit 19, the schedule information created on the LCD display 23 using the keyboard 16, or the position beam 9 described later. The information of the system 1a of the report sheet 1 read by the position beam drive and barcode reading unit 14 is stored.

21은 화상출력 메모리이고, 여기에 기억된 화상정보가 버스(11) 및 LCD구동회로(22)를 거쳐 LCD 디스플레이(23)에 공급되고, 그 표시면 상에 표시된다.21 is an image output memory,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therein is supplied to the LCD display 23 via the bus 11 and the LCD driving circuit 22,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다음, 상술한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의 동작을 설명하나, 워드프로세서로서의 동작설명은 생략하고, 본 예 특유의 동작에 관하여만 설명한다.Nex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printer attachment word processor will be described. However,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as a word processor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operation specific to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본 예 특유의 동작으로서는 대략적으로 분류하면, 다음의 동작을 들 수 있다.As an operation peculiar to this example, roughly categorized, the following operation can be given.

즉, 시판 등의 기존 계표용지(1)의 계표정보를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얻는 동작과, 키보드(16)의 입력에 의해 계표정보를 작성하여 동작과, 이미지 스캐너 등의 화상입력부(19)에 의해 화상으로서 계표용지(1)의 계표정보를 독해하는 동작과,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계표정보를 바코드 등으로 코드화하여 계표용지(1)의 소정위치에 인쇄하는 동작과, 바코드 등의 코드화된 계표정보가 인쇄된 계표용지(1)의 계표정보를 독해하고 그 계표정보에 의거하여 괘선 내에 데이터를 인쇄하는 동작이다.That is, an operation of obtaining the ticket information of the existing ticket paper 1 such as commercially available using the position beam 9, the operation of creating the ticket information by input of the keyboard 16, and an image input unit such as an image scanner ( 19) operation of reading the ticket information of the ticket paper 1 as an image, encoding the ticket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way with a barcode or the like and printing it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icket paper 1, and encoding the barcode. This is an operation of reading the ticket information of the ticket paper 1 on which the ticket information is printed and printing the data within the ruled line based on the ticket information.

또한 본예에 있어서는 화상입력부(19)를 이미지 스캐너로써 설명하나, 보다 다양한 타입의 기기와의 호환을 목적으로 하여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라도 좋고, 메모리카드 독해장치나 전자스틸 카메라 등이라도 좋다.In this example, the image input unit 19 is described as an image scanner. However, a floppy disk driver may be used for compatibility with various types of devices, or a memory card reading device or an electronic still camera may be used.

그리고, 이하 상술한 동작을 제2도~제6도의 플로우챠트 및 제7도~제10도의 설명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2 to 6 and the explanatory diagrams of FIGS. 7 to 10.

우선, 제2도의 메인 플로우챠트부터 설명한다.First, the main flowchart of FIG. 2 will be described.

제1도에 나타낸 프린터부착용 워드프로세서에 전원이 투입되면, 워드프로세서의 다양한 기능과 함께 상술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기능의 표시가 LCD 디스플레이(23)상에 행해진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ord processor for a printer shown in FIG. 1, the display of the functions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ogether with various functions of the word processor is performed on the LCD display 23. FIG.

그리고 스텝(100)에 있어서는, 이 화면상에 있어서 계표입력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500)으로 이행하고, 「NO」이면 스텝(110)으로 이행한다. 이 선택은 사용자가 키보드(16)를 조작함으로써 행하게 한다.In step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chedule input mode is selected on this screen. If YES,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500, and if NO,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110. This selection is made by the user operating the keyboard 16.

스텝(500)에서는 서브루틴(S4)이 실행되고, 이후 종료한다.In step 500, the subroutine S4 is executed, and then ends.

스텝(110)에서는 상술한 화면 상에 있어서 계표작성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120)으로 이행하고 「NO」이면 다시 스텝(100)으로 이행한다.In step 11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ccount creation mode is selected on the above-described screen. If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0, and if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0 again.

스텝(120)에서는 거듭 LCD 디스플레이(23)상에 선택화면이 표시되고, 선택키보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YES」이면 스텝(200)으로 이행하고, 「NO」이면 스텝(130)으로 이행한다.In step 120, the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23 again,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the selection keyboard. If YES, the flow advances to step 200, and if NO, the flow goes to step 130. .

스텝(200)에서는 서브루틴(S1)이 실행되고, 이후 스텝(150)으로 이행한다.In step 200, the subroutine S1 is executed, an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50.

스텝(130)에서는 화상입력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이며 스텝(300)으로 이행하고, 「NO」이면 스텝(140)으로 이행한다.In step 13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mage is input, and the process proceeds to "YES" in step 300, and in step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40.

스텝(300)에서는 서브루틴(S2)이 실행되고, 이후 스텝(150)으로 이행한다.In step 300, the subroutine S2 is executed, an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50.

스텝(140)에서는 직접 읽어들임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400)으로 이행하고 「NO」이면 다시 스텝(120)으로 이행한다.In step 14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read directly. If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0, and if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0 again.

여기서, 스텝(150)이하의 설명을 하기 전에 상술한 각 서브루틴(S1-S3)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 each of the above-described subroutines S1-S3 will be described before the description of step 150 and below.

우선, 제3도를 참조하여 서브루틴(S1)부터 설명한다.First, the subroutine S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스텝(210)에서는 키보드 입력에 의한 계표를 표시한다. 그리고 스텝(220)으로 이행한다.First, in step 210, a schedule by keyboard input is displayed.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220.

즉, 일단 워드프로세서로서의 기능에 따라 키보드(16)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LCD 디스플레이(23)상에서 계표를 작성한다. 그리고 이 계표데이타가 화상출력 메모리(21)에 기억됨과 동시에, 이 화상출력 메모리(21)로부터 계표데이타가 독출되고, 이것이 버스(11) 및 LCD 구동회로(22)를 거쳐 LCD 디스플레이(23)에 공급되어, 그 표시면 상에 화상으로 표시된다.In other words, the user prepares a schedule on the LCD display 23 by the input of the keyboard 16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as a word processor. The time data is stored in the image output memory 21, and the time data are read out from the image output memory 21, and these are read through the bus 11 and the LCD driving circuit 22 to the LCD display 23. It is supplied and displayed as an image on the display surface.

스텝(220)에서는 계표입력 모드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240)으로 이행하고, 「NO」이면 스텝(230)으로 이행한다.In step 2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ystem is in the table input mode, and if it is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0; if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30.

스텝(230)에서는 다른 처리를 행한다.In step 230, another process is performed.

스텝(240)에서는 메모리의 상태를 스캔하고, 이것을 독해정보 메모리(20)에 기억한다. 그리고 이 서브루틴(S1)을 통과한다.In step 240, the state of the memory is scanned and stored in the reading information memory 20. And it passes this subroutine S1.

즉, 화상출력 메모리(21)에 기입된 계표데이타를 스캔한다.That is, the report data written in the image output memory 21 is scanned.

다음으로 제4도를 참조하여 서브루틴(S2)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ubroutine S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 서브루틴(S2)의 스텝(310)에서는 예를 들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표용지(1)의 계표(1a)를 예를 들면 스캐너등의 화상입력부(19)에서 독해하고, 이것을 독해정보메모리(20)에 기억함과 동시에, 화상출력메모리(21)에 기입한다. 따라서, LCD 디스플레이(23)의 표시면상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표(1a)가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이 서브루틴(S2)을 통과한다.In step 310 of this subroutine S2, as shown in FIG. 9, for example, the table 1a of the report sheet 1 is read by an image input unit 19 such as a scanner, for example. The data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memory 20 and written in the image output memory 21. Therefore, on the display surface of the LCD display 23, the schedule 1a is displayed as an image as shown in FIG. Then, this subroutine S2 passes.

다음으로 제5도를 참조하여 서브루틴(S3)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ubroutine S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 서브루틴(S3)에 있어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판등의 기존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정보를 프린터에 세트하여 포지션 빔(9) 그리고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의해 독해하는 동작이 행해진다.In this subroutine S3, as shown in FIG. 9, the information of the system 1a of the existing system paper 1 such as commercially available is set in the printer, the position beam 9, the position beam drive and the barcode reading unit ( The rea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14).

우선 스텝(410)에서는 용지의 싸이즈설정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용지의 싸이즈를 키보드(16)의 입력에 의해 지정(A4라든가 B5라든가의 지정)한다.First, in step 410, the paper size is set. For example, the user designates the size of the paper by the input of the keyboard 16 (designation of A4 or B5).

스텝(415)에서는 계표용지 세트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420)으로 이행한다.In step 415, the count sheet paper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420.

즉,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도에 나타낸 계표용지(1)를 프린터에 세트하고, 예를 들면 키보드(16)의 도시를 생략한 y방향키를 조작하여 y방향모터(3)를 구동회로(15)에 의해 구동하여 고무롤러(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도시를 생략한 키보드(16)의 x방향키를 조작하여 x방향모터(4)를 구동회로(15)에 의해 구동시켜 풀리(5)를 회전시켜 포지션 빔(9)을 이동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tab paper 1 shown in FIG. 9 is set in the printer, and the y-direction motor 3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y-direction key, for example, not shown in the keyboard 16. FIG. By driving by the drive circuit 15 to rotate the rubber roller 2, and by operating the x direction key of the keyboard 16 (not shown) to drive the x direction motor 4 by the drive circuit 15 The pulley 5 is rotated to move the position beam 9.

그리고, 계표용지(1)상의 포지션 빔(9)의 스포트위치가 제9도에 나타낸 계표(1a)의 좌표괘선지점(c)에 겹쳐지게 한다.Then, the spot position of the position beam 9 on the sheet of paper 1 overlaps with the coordinate ruled line point c of the table 1a shown in FIG.

그리고 이후, x방향키를 조작하여 x방향모터(4)를 구동회로(15)에 의해 구동하여 풀리(5)를 회전시켜 포지션 빔(9)을 계표(1a)의 우측종점(d)에 겹쳐지게 한다.Subsequently, by operating the x direction key, the x direction motor 4 is driven by the driving circuit 15 to rotate the pulley 5 so that the position beam 9 overlaps the right end point d of the grid 1a. do.

스텝(420)에서는 수평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여 「YES」이면 스텝(425)으로 이행하고, 「NO」이면 다시 스텝(415)으로 이행한다.In step 420,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horizontal, and if it is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5, and if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5 again.

즉, 포지션 빔의 스포트가 계표(1a)의 우측종점(d)에 겹쳐지지 않은 경우는 예를 들면 LCD 디스플레이(23)상에 계표용지(1)가 수평하게 세트되어 있지 않는 뜻의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That is, when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does not overlap the right end point d of the gage 1a, for exampl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gage paper 1 is not set horizontally on the LCD display 23 is displayed. Display.

스텝(425)에서는 1행분 좌에서 우로 수평방향을 읽는다. 그리고, 스텝(430)으로 이행한다.In step 425,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ad from left to right for one row.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430.

즉,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제9도에 나타내는 시점(C)에 겹쳐지도록 포지션 빔을 x방향 모터(4)를 구동회로(15)를 구동함으로써 이동시키고, 이 시점(C)으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포지션 빔(9)을 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at is, the position beam is moved by driving the drive circuit 15 to move the x-direction motor 4 so that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overlaps the viewpoint C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position beam 9 is manually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또한, 수동의 경우는 키보드(16)의 상하의 커서키(도시를 생략함)가 y방향키로 되고, 키보드(16)의 좌우의 커서키(도시를 생략함)가 x방향키로 되고, 이들 키의 조작에 의해 고무롤러(2) 및 포지션 빔(9)을 구동하게 한다.In the manual case, the upper and lower cursor keys (not shown) of the keyboard 16 become y direction keys, and the left and right cursor keys (not shown) of the keyboard 16 become x direction keys. The rubber roller 2 and the position beam 9 are driven by the operation.

이리하면, 포지션 빔(9)으로부터는 괘선이 있는 경우는 로우레벨 "0"의 신호가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공급되고, 괘선이 없는 경우는 하이레벨 '1"의 신호가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공급된다.Thus, when there is a ruled line from the position beam 9, a signal of low level "0" is supplied to the position beam driver and barcode reading unit 14, and when there is no ruled line, a signal of high level "1" is provided. The position beam drive and the barcode reading unit 14 are supplied.

그리고, 이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로부터의 괘선정보는 버스(11)를 거쳐 독해정보메모리(20)에 공급되고, 이 독해정보메모리(20)에 기입된다.Ruled line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 beam driving and bar code reading section 14 is supplied to the reading information memory 20 via the bus 11 and written in the reading information memory 20.

또, 이 스캔동작과 병행하여 x좌표검출회로(17)가 x방향모터(4)로부터의 펄스의 계수에 의해 x좌표데이터를 얻고 이것을 예를 들면 워크 RAM(13)에 기억한다.In parallel with this scanning operation, the x-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7 obtains x-coordinate data by counting pulses from the x-direction motor 4 and stores it in the work RAM 13, for example.

스텝(430)에서는 x도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435)으로 이행하고, 「NO」이면 다시 스텝(425)으로 이행한다.In step 43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x dots. If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35, and if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5 again.

즉, x방향의 소정 도트수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number of dots in the x direction has been reached.

스텝(435)에서는 y좌표에 1을 가산하여 고쳐 행한다. 그리고, 스텝(440)으로 이행한다. 이 y좌표데이터는 예를 들면 워크 RAM(13)에 기억된다. 즉, 구동회로(15)에 의해 y방향모터(3)를 구동하여 고무롤러(2)를 1스텝(예를 들면 1도트분)회전시킨다.In step 435, 1 is added to the y-coordinate and corrected.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440. This y-coordinate data is stored in the work RAM 13, for example. That is, the y-direction motor 3 is driven by the drive circuit 15 to rotate the rubber roller 2 by one step (for example, one dot).

또, 이것과 병행하여 y좌표검출회로(18)가 y방향모터(3)로부터의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y좌표데이터를 얻고, 이것을 워크 RAM(13)에 기억한다.In parallel with this, the y-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8 obtains y-coordinate data by counting pulses from the y-direction motor 3 and stores it in the work RAM 13.

스텝(440)에서는 1행분 우에서 좌로 수평방향을 읽는다. 그리고, 스텝(445)으로 이행한다.In step 440,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ad from the right by one row to the left.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445.

즉,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제9도에 나타낸 종점(d)에 겹쳐지도록 포지션 빔을 x방향모터(4)를, 구동회로(15)를 구동함으로써 이동시키고, 이 종점(d)으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포지션 빔(9)을 좌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at is, the position beam is moved by driving the drive circuit 15 so that the position beam 9 overlaps the end point d shown in FIG. 9, and from this end point d. The position beam 9 is moved to the left by automatic or manual.

이리하면, 포지션 빔(9)으로부터는, 괘선이 있는 경우는 로우레벨 "0"의 신호가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공급되고, 괘선이 없는 경우는 하이레벨 '1"의 신호가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공급된다.Thus, from the position beam 9, when there is a ruled line, a low level "0" signal is supplied to the position beam driver and barcode reading unit 14, and when there is no ruled line, a signal of a high level "1". Is supplied to the position beam driving and barcode reading section 14.

그리고, 이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로부터의 괘선정보는 버스(11)를 거쳐 독해정보메모리(20)에 공급되고, 이 독해정보메모리(20)에 기입된다.Ruled line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 beam driving and bar code reading section 14 is supplied to the reading information memory 20 via the bus 11 and written in the reading information memory 20.

또, 이 스캔동작과 병행하여 x좌표검출회로(17)가 x방향모터(4)로부터의 펄스의 계수에 의해 x좌표데이터를 얻고 이것을 예를 들면 워크 RAM(13)에 기억한다.In parallel with this scanning operation, the x-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7 obtains x-coordinate data by counting pulses from the x-direction motor 4 and stores it in the work RAM 13, for example.

스텝(445)에서는 x도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YES」이면 스텝(450)으로이행하고, 「NO」이면 다시 스텝(425)으로 이행한다.In step 44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x dots. If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50, and if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5 again.

즉, x방향의 소정 도트수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number of dots in the x direction has been reached.

스텝(450)에서는 y좌표에 1을 가산하여 고쳐 행한다. 그리고, 스텝(445)으로 이행한다. 이 y좌표데이터는 예를 들면 워크 RAM(13)에 기억된다. 즉, 구동회로(15)에 의해 y방향모터(3)를 구동하여 고무롤러(2)를 1스텝(예를 들면 1도트분)회전시킨다.In step 450, 1 is added to the y-coordinate and corrected.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445. This y-coordinate data is stored in the work RAM 13, for example. That is, the y-direction motor 3 is driven by the drive circuit 15 to rotate the rubber roller 2 by one step (for example, one dot).

또, 이 동작과 병행하여 y좌표검출회로(18)가 y방향모터(3)로부터의 펄스의 계수에 의해 y좌표데이터를 얻고, 이것을 예를 들면 워크 RAM(13)에 기억한다.In parallel with this operation, the y-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8 obtains y-coordinate data by the coefficient of the pulse from the y-direction motor 3, and stores it in the work RAM 13, for example.

스텝(455)에서는 규정 도트수가 y좌표데이터의 수치와 일치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YES」이면 이 서브루틴(S3)을 통과하고, 「NO」이면 다시 스텝(425)으로 이행한다.In step 45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specified dots matches the numerical value of the y-coordinate data. If "YES", this subroutine S3 is passed. If "NO", the flow proceeds to step 425 again.

즉, 종방향의 도트수가 y좌표의 수치와 같은지 아닌지를 판단한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do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qual to the value of the y coordinate.

그리고, 이하와 마찬가지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션 빔(9)에 의해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괘선을 도트(h)단위로 i방향에서 스캔하여 괘선정보를 얻는다.As shown in FIG. 11, the ruled line of the mark 1a of the note sheet 1 is scanned in the i-direction in units of dots h, as shown in FIG. 11, to obtain ruled line information.

또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읽어들인 계표데이터는 CPU(10)기능의 하나인 계표/좌표 변환부(10a)에 의해 좌표정보로 변환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ad data of the coordinates is converted into coordinate information by the coordinate / coordinate conversion unit 10a, which is one of the CPU 10 functions.

그리고, 이와 같은 서브루틴(S1~S3)을 통과한 후는 제2도에 나타낸 메인 루틴으로서의 플로우챠트의 스텝(150)으로 이행한다.After passing through such subroutines S1 to S3, the flow proceeds to step 150 of the flowchart as the main routine shown in FIG.

본 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 서브루틴(S1~S3)에서 얻어진 괘선정보를 바코드로 변환하고, 그 바코드정보를 계표의 예를 들면 상부에 인쇄하도록 한다.In this example, ruled line information obtain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subroutines S1 to S3 is converted into a bar code, and the bar code information is printed on,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schedule.

이와 같이 하면, 프린터의 포지션 빔(9),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의해 계표용지(1)에 인쇄된 바코드를 독해하고, 이 독해한 바코드 정보를 원래의 괘선 정보로 변환하고, 예를 들면 계표의 화상으로서 LCD 디스플레이(3)에 표시시키고, 이 계표의 괘선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내에 키보드(16)로 데이터를 기입한 후에, 프린터에 세트되어 있는 계표(1a)의 프레임 내에 정확히 표시 면상에 있어서 입력한 데이터를 인쇄할 수가 있다.In this way, the barcode printed on the tabular paper 1 is read by the position beam 9, the position beam drive and the barcode reading unit 14 of the printer, and the read barcod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the original ruled lin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3 as an image of a schedule, and after data is written by the keyboard 16 in a frame formed by the ruled line of the schedule, the data is accurately set within the frame of the schedule 1a set in the printer. Input data can be printed on the display surface.

제10도에 계표(1a)의 정보가 바코드로서 인쇄된 계표용지(1)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계표(1a)의 괘선 정보를 바코드 표시에어리어(e)에 바코드(bc)로서 인쇄하는 포맷으로 하면, 프린터 부착용 워드프로세서로 그 정보를 독해함으로써 번거로운 마진 설정을 행하거나 계표(1a)의 항목마다의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나서 데이터가 인쇄되어 버리지는 않는다.In FIG. 10, the information sheet 1a shows a sheet of paper 1 printed with a bar code. In this manner, when the ruled line information of the table 1a is printed in the bar code display area e as a bar code bc, a troublesome margin setting is performed by reading the information with a word processor for printer attachment or for each item of the table 1a. The data is not printed out of the frame.

또, 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코드(bc)를 정확히 독해시킴과 동시에 계표(1a)의 항목마다의 프레임 내에 정확히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계표(1a)의 좌각(左角)의 시점(c)에 포지션 빔(9)의 스포트를 맞춘 후에, 예를 들면 키보드(16)로부터 리턴키(도시를 생략한다) 등을 누름으로써, 자동적으로 포지션 빔(9)이 이동(헤드 및 리본(8)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임)하고, 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점(c)~종점(d)까지 선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수동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시점(c)에 포지션 빔(9)의 스포트를 맞춘 후에 상술한 x방향 키를 조작하여 종점(d)까지 포지션 빔(9)을 이동시켜 선이 연속적으로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time c of the left angle of the schedule 1a is read so that the barcode bc can be read correctly and the data is accurately printed in the frame for each item of the schedule 1a. After the spot beam 9 has been spotted, the position beam 9 is automatically moved (for example, the head and ribbon 8) by pressing a return key (not shown) or the like from the keyboard 16,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re is a line from the start point c to the end point d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manual movement, the position beam 9 is moved to the end point d by operating the x direction key as described above after aligning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at the time point c as described above. You may make it detect whether it exists or no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단지 x방향 및 y방향의 괘선 정보를 바코드화하고, 이것을 인쇄하도록 한 경우에는 괘선 이외의 정보도 포함하게 되므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코드(bc)의 정보량이 커지게 되어 버린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uled line information in the x-direction and the y-direction is barcoded and printed, the information other than the ruled line is also included, so that the information amount of the barcode bc is large as shown in FIG. You lose.

따라서 본 예에 있어서는 단지 괘선 정보를 바코드화하지 않고, 괘선이외의 정보도 포함하는 괘선 정보를 압축한 정보를 바코드화하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xample, the bar code information is compressed instead of the ruled line information, but the ruled line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ther than the ruled line is barcoded.

즉, 계표(1a)를 영역분할하고, 그 분할영역마다 바코드화하고, 이 보조수단으로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각각의 괘선만의 정보를 분할 영역마다에 얻도록 한다.That is, the area | region 1a is divided | segmented, it is made into the bar code | segment for each division area, and as this auxiliary means, the information of each ruled line is obtained for every division area in an x direction and a y direction.

이하, 이것에 관하여 제2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스탭(150)에서는 계표데이타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기입한다. 그리고 스텝(160)으로 이동한다.The staff 150 compresses the schedule data and writes it to the memory. The process then moves to step 160.

스텝(160)에서는 계표의 바깥프레임과 x 및 y좌표의 출현회수의 많은 값을 2포인트 선택한다. 그리고 스텝(170)으로 이행한다.Step 160 selects two values of the outer frame of the system and a larg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x and y coordinates.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170.

이것에 관하여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7a도에는 계표(1a)가 인쇄된 계표용지(1)를 나타내고, 이 계표용지(10)의 계표(1a)의 x방향에 있어서의 선의 유무 및 y방향에 있어서의 선의 유무를 표시하는 선기호를 나타낸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7A, the tabular paper 1 on which the tabular paper 1a is printed is show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ine in the x direc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ine in the y direction of the tabular sheet 1a of the tabular paper 10 are shown. Represents a prefix.

우선 스텝(16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계표(1a)의 상부에 나타낸 것처럼 그 계표(1a)의 종방향의 괘선정보만을 독출한다.First, as shown in step 160, only the ruled line in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hedule 1a is read out, as shown at the top of the schedule 1a.

그리고 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계표(1a)의 바깥프레임(계표(1a)의 좌단 및 우단의 괘선) 및 x좌표의 출현회수가 많은 위치에 대하여 취출한 괘선정보에 관해서는 다른 괘선정보의 선기호보다 굵게 한다.As shown in FIG. 10, for example, the ruled line information extracted for the outer frame of the grid 1a (the ruled lines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grid 1a) an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x coordinate is different. It is thicker than the line symbol of ruled information.

한편, 마찬가지로, 스텝(16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계표(1a)의 바깥프레임(계표(1a)의 좌단 및 우단의 괘선) 및 y좌표의 출현회수가 많은 위치에 대하여 취출한 괘선 정보에 관해서는 다른 괘선 정보의 선기호보다 굵게 한다.On the other hand, similarly, as shown in step 160, for example, the ruled line information extracted for the outer frame of the grid 1a (the ruled lines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grid 1a) an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y-coordinate are many. For this reason, the ruler is made thicker than the other symbols of the ruled line information.

이들 정보는 예를 들면 워크RAM(13)에 기억된다.These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work RAM 13, for example.

또 이 처리에 의해 이 계표(1a)는 7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굵은 선기호에 의해 영역(Z1~Z9)으로 분할된다.In addition, by this process, this table 1a is divided into regions Z1 to Z9 by a thick line symbol as shown in FIG. 7B.

그리고 스텝(170)에서는 x좌표데이타를 바코드로 변환하고, 소정의 위치에 선기호와 함께 인쇄한다. 그리고 스텝(180)으로 이행한다.In step 170, the x-coordinate data is converted into a bar code and printed with a pre-symbo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180.

스탭(180)에서는 y좌표 데이터를 바코드로 변환하고, 소정의 위치에 선기호와 함께 인쇄한다. 그리고 종료한다.The step 180 converts the y-coordinate data into a bar code and prints it with a line symbo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exit.

이 좌표데이타를 바코드에 변환하는 처리는 CPU(10)의 기능의 하나인 좌표/바코드변환부(10b)에 의해 행해진다.The process of converting this coordinate data into a barcode is performed by the coordinate / barcode converting section 10b which is one of the functions of the CPU 10.

즉, 스탭(160)에 있어서 얻은 선기호, 즉 x좌표 데이터에 관해서 압축정보를 얻는다.That is, compressed information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line symbol obtained in the step 160, that is, the x-coordinate data.

이 압축방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This compression method is performed as follows.

예를 들면 영역(Z1)(x방향이 계표(1a)의 좌표 상에서 1번째의 굵은 선으로부터 2번째의 굵은 선)에 있어서는 제7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x좌표를 나타내는 선기호는 4줄, y좌표를 나타내는 선기호는 4줄이다.For example, in the area Z1 (where the x direction is the second thickest line from the first thickest line on the coordinate of the coordinate 1a), as shown in Fig. 7a, the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x coordinate is four lines; The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y coordinate is four lines.

그리고 우선 y좌표를 나타내는 가장 위의 선 기호(이 영역에 있어서 가장 값이 적다)에 있어서는 괘선이 x방향에 빠듯하게 존재한다.First, in the uppermost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y-coordinate (the smallest value in this area), the ruled lines exist in the x-direction as tightly.

따라서, 이 가장 위의 선기호로 나타내는 y좌표에 있어서의 x좌표상에 괘선에 대해서 "14"로 한다. 이 "14"의 "1"은 가장 위의 선 기호(y좌표)의 위치이고, 또 가장 좌측의 선기호(x좌표)를 나타내고, "4"는 "1"을 나타내는 선기호도 포함하여 4줄째의 선기호까지 괘선이 그려져 있는 것을 나타낸다.Therefore, the ruled line on the x-coordinate in the y-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uppermost line symbol is "14". "1" of "14" is the position of the top line symbol (y coordinate), the leftmost line symbol (x coordinate), and "4" is the fourth line including the line symbol representing "1". The ruled line is drawn up to the symbol of.

이 영역(Z1)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y좌표를 나타내는 위에서 2번째의 선기호(이 영역에 있어서 2번째로 값이 작다)에 있어서는 괘선이 x방향의 가장 좌측의 선기호로부터 가장 우측의 선기호(이 영역(Z1)에 있어서)까지 그려져 있다.Similarly in this area Z1, in the second line symbol (y.e., the second value is small in this area) representing the y-coordinate, the ruled line is the rightmost line symbol from the leftmost line symbol in the x-direction ( Up to this area Z1).

따라서, 이 위에서 2번째의 선기호로 나타내는 y좌표에 있어서의 x좌표상의 괘선에 관하여 "14"로 한다.Therefore, the ruled line on the x-coordinate in the y-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second line symbol above is set to "14".

마찬가지로, y좌표를 나타낸 3번째의 선기호(이 영역에 있어서 3번째로 값이 적다)에 있어서는, 괘선이 x방향의 좌측에서 2번째의 선기호로부터 가장 우측의 선기호(이 영역(Z1)에 있어서)까지 그려져 있다.Similarly, in the third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y-coordinate (the third is the smallest value in this area), the ruled line is the rightmost line symbol from the second line symbol from the left in the x direction (this area Z1). To).

따라서 이 위에서 4번째의 선기호로 나타내는 y좌표에 있어서의 x좌표상의 괘선에 관하여 "24"로 한다.Therefore, the ruled line on the x-coordinate in the y-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fourth line symbol above is "24".

즉, 이 영역(Z1)의 x축의 괘선정보로서는 "14, 14, 14, 24"가 된다.That is, the ruled line information on the x-axis of this area Z1 becomes "14, 14, 14, 24".

그리고, 이 영역(Z1)의 y축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The y-axis of this area Z1 is as follows.

우선, x좌표를 나타내는 가장 우측의 선기호(이 영역(Z1)에 있어서는 가장 값이 적다)에 있어서는, y좌표를 나타내는 가장 위의 선기호로부터 4번째(이 영역에 있어서 가장 아래)의 선기호까지 괘선이 그려져 있다.First, in the rightmost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x-coordinate (the smallest value in this region Z1), the fourth line symbol (the lowest in this region) from the top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y-coordinate. Ruled lines are drawn up to.

따라서, 이 가장좌측의 선기호로 나타낸 x좌표에 있어서의 y좌표상의 괘선에 대하여 "14"로 한다.Therefore, the ruled line on the y-coordinate in the x-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leftmost line symbol is "14".

다음, x좌표를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2번째의 선기호(이 영역에 있어서는 2번째의 값이 작다)에 있어서는, y좌표를 나타내는 가장 위의 선기호로부터 4번째(이 영역에 있어서 가장 아래)의 선기호까지 괘선이 그려져 있다.Next, in the second line symbol from the left indicating the x coordinate (the second value is small in this area), the fourth line from the top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y coordinate (the lowest in this area) Ruled lines are drawn to the symbol.

따라서, 이 좌측에서 2번째의 선기호로 나타내는 x좌표에 있어서의 y좌표상의 괘선에 대하여 "14"로 한다.Therefore, the ruled line on the y-coordinate in the x-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second line symbol from the left is "14".

다음에 x좌표를 나타내는 좌표에서 3번째의 선기호(이 영역에 있어서는 3번째로 값이 적다)에 있어서는, y좌표를 나타내는 위에서 3번째의 선기호로부터 4번째 (이 영역에 있어서 가장 아래)의 선기호까지 괘선이 그려져 있다.Next, in the third line symbol (the third value is small in this area) in the coordinates representing the x-coordinate, the fourth (the lowest in this area) from the third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y-coordinate. Ruled lines are drawn up to the symbol.

따라서, 이 위에서 3번째의 선기호로 나타내는 x좌표에 있어서의 y좌표상의 괘선에 대하여 "34"로 한다.Therefore, the ruled line on the y-coordinate in the x-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third line symbol is set to "34".

다음, x좌표를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4번째의 선기호(이 영역에 있어서는 종점이고, 가장 값이 크다)에 관해서는, y좌표를 나타내는 가장위의 선기호로부터 4번째(이 영역에 있어서 가장 아래)의 선기호까지 전혀 괘선이 그려져 있지 않다.Next, the fourth line symbol from the left indicating the x-coordinate (the end point in this area and the largest value) is the fourth from the top line symbol representing the y-coordinate (the lowest in this area). Ruled lines are not drawn at all up to the symbol.

따라서 이 좌측에서 4번째의 선기호로 나타내는 x좌표에 있어서의 y좌표상의 괘선에 관해서 예를 들면 "0"이나 "11"이나 "44"등 괘선이 전혀 그려져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값으로 한다.Therefore, the ruled line on the y-coordinate in the x-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fourth line symbol from the left is taken as a value indicating that no ruled line such as "0", "11", or "44" is drawn at all.

즉, 이 영역Z1의 y축의 괘선정보로서는 "14,14,34,00 또는 11 또는 44"가 된다.In other words, the ruled line information on the y-axis of this area Z1 is " 14, 14, 34,00 or 11 or 44 ".

이와같이하여, 이하 동일하게 이 예에 있어서는 영역 Z2~Z9까지의 x 및 y축의 괘선정보에 관해서 각각 수치를 얻는다.In this manner, in this example, numerical values are obtained for the ruled line information on the x and y axes from the regions Z2 to Z9 in the same manner.

그리고 이들 각 영역마다의 수치를 각각 바코드정보로 변환한다.The numerical values for each of these areas are converted into barcode information.

바코드에 관해서는 주지의 ITE(Interleaved Format), 소위 "2 of 5"나, CODE 39등의 포맷의 바코드를 사용한다.As for the bar code, a bar code of a format such as ITE (Interleaved Format), so-called "2 of 5" or CODE 39 is used.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x축 방향의 괘선정보 및 y축방향의 괘선정보를 선기호로한 정보 및 괘선정보를 바코드화한 정보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한다.In this way, the information in which the ruled line information in the x-axis direction, the ruled line information in the y-axis direction is indicated by a pre-symbol, and the information in which the ruled line information is bar coded are printed as shown in FIG.

즉, 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좌표 데이터로서의 선기호를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상부의 x좌표 데이터 인쇄 에어리어(e1)에 인쇄하고, y좌표 데이터로서의 선기호를 예를들면 70퍼센트 압축하여(또한, 계표의 종 및 횡의 관계에 의한다.)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상부의 y좌표 데이터 인쇄 에어리어(e2)에 인쇄하고, x축의 괘선정보로서의 바코드를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상부의 x축 바코드 인쇄 에어리어(e3)에 인쇄하고, y축의 괘선정보로서의 바코드를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상부의 y축 바코드 인쇄 에어리어(e4)에 인쇄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line symbol as the x-coordinate data is printed in the x-coordinate data print area e1 on the upper side of the grid 1a of the sheet of paper 1, and the line symbol as the y-coordinate data is printed. For example, it compresses 70% (and also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lines of the system), and prints it on the y coordinate data printing area e2 of the upper part of the system 1a of the report sheet 1, and the ruled line on the x-axis. The bar code as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x-axis bar code printing area e3 at the top of the tab 1a of the tab paper 1, and the bar as the ruled line information on the y-axis is y at the top of the tab 1a on the tab paper 1. It prints in the axis barcode printing area (e4).

이와같이 하여, 바코드 및 좌표데이타가 인쇄된 계표용지(1)의 계표(1a)는 제6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된다.In this way, the schedule 1a of the schedule sheet 1 on which the barcode and the coordinate data are printed is used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이하, 이 제6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서브루틴(S4)에 관하여 설명한다.The subroutine S4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이 서브루틴(S4)는 바코드 및 좌표데이타 인쇄된 계표용지(1)의 계표(1a)에 키보드(16)로부터 입력한 데이터를 항목마다의 프레임에 정확히 인쇄하기 위한 루틴이다.This subroutine S4 is a routine for accurately printing the data input from the keyboard 16 to the timetable 1a of the printed timesheet 1 on which barcodes and coordinate data are printed in the frames for each item.

스텝(510)에서는 계표용지(1)의 세트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515)으로 이행한다.In step 510, the set operation of the tabular paper 1 is performed.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515.

즉,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표용지(1)를 프린터에 세트하고, 수동의 경우는 예를들면 키보드(16)의 도시생략한 y방향키를 조작하여 y방향모터(3)를 구동회로(15)에 의해 구동하여 고무롤러(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도시를 생략한 키보드(16)의 x방향키를 조작하여 x방향모터(4)를 구동회로(15)에 의해 구동시켜 풀리(15)를 회전시켜 포지션 빔(9)을 이동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counting sheet 1 is set in the printer, and in the case of manual operation, the y direction motor 3 is operated by driving the y direction key of the keyboard 16, for example. 15, the rubber roller 2 is rotated, and the x direction key of the keyboard 16 (not shown) is operated to drive the x direction motor 4 by the drive circuit 15 to pulley 15. ) To move the position beam 9.

그리고 계표용지(1)위의 포지션 빔(9)의 스포트위치가 제8도에 나타낸 계표(1a)의 좌측의 기준점(a)에 겹쳐지게 한다.Then, the spot position of the position beam 9 on the tab paper 1 overlaps the reference point a on the left side of the tab 1 a shown in FIG.

그리고 이후, x방향키를 조작하여 x방향모터(4)를 구동회로(15)에 의해 구동하여 풀리(5)를 회전시켜 포지션 빔(9)을 좌측의 기준점(b)에 겹쳐지게 한다.Then, by operating the x direction key, the x direction motor 4 is driven by the drive circuit 15 to rotate the pulley 5 so that the position beam 9 overlaps the reference point b on the left side.

스텝(515)에서는 수평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YES」이면 스텝(520)으로 이행하고, 「NO」이면 다시 스텝(510)으로 이행한다.In step 51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horizontal. If YES, the flow advances to step 520, and if NO, the flow advances to step 510 again.

즉, 포지션 빔의 스포트가 계표용지(1)의 좌측기준점(b)에 겹쳐지지 않은 경우는 예를 들면 LCD 디스플레이(23)상에 계표용지(1)가 수평으로 세트되어 있지 않은 뜻의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That is, when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does not overlap the left reference point b of the counting sheet 1, for exampl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unting sheet 1 is not set horizontally on the LCD display 23, or the like. Is displayed.

한편, 자동으로 행하는 경우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계표용지(1)의 좌측기준점(a)에 겹쳐지도록 한 후에, 예를 들면 도시를 생략한 키보드(16)의 리턴키 등을 누른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utomatic operation, after returning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to the left reference point a of the count sheet 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return key of the keyboard 16, not shown, is omitted. Press the back.

이리하면, CPU(10)의 제어에 의해 구동회로(15)를 거쳐 x방향모터(4)가 구동되고 포지션 빔(9)이 헤드 및 리본(8)과 함께 제1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한다.Thus, the x-direction motor 4 is driven via the driving circuit 15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 and the position beam 9 together with the head and the ribbon 8 is right in the state shown in FIG. Go to.

이와 함께, 포지션 빔(9)에 의한 수광정보를 나타내는 전기신호가 포지션 빔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공급됨과 동시에, x좌표 검출회로(17)로부터의 좌표데이타 CPU(10)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횡방향의 도트수가 규정이상이 되고, 그리고 기준점(b)을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At the same time,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light reception information by the position beam 9 is supplied to the position beam driving and barcode reading unit 14 and supplied to the coordinate data CPU 10 from the x-coordinate detection circuit 17. By this, for example, the number of dots in the lateral direction becomes more than specifi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point b is detected.

검출한 경우는 스텝(51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CPU(10)가 수평하다고 판단하고, 검출하지 못한 경우는 CPU(10)가 수평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예를 들면 이 경우에는 LCD 디스플레이(23)상에 에러 메시지 등을 표시하게 한다.In the case of detection, the CPU 10 determines that it is horizontal, as indicated by step 515, and in the case of no detection, the CPU 10 determines that it is not horizontal, for example, in this case, on the LCD display 23. Display an error message, etc.

그리고, 스텝(520)에서는 바코드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스텝(525)으로 이행한다.In step 520, the barcode is read.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525.

즉, 기준점(a)의 위치로부터 소정 도트분 하방의 x좌표 데이터인쇄 에어리어(e1)의 가장 좌측에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위치하도록 y방향 데이타를 구동회로(1)를 거쳐 구동하고, 이후 구동회로(15)를 거쳐 x방향모터(4)를 구동하여 포지션 빔(9)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That is, the y-direction data is driven via the drive circuit 1 so that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is located on the leftmost side of the x-coordinate data printing area e1 below a predetermined dot from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a, After that, the position direction 9 is moved to the right by driving the x-direction motor 4 through the driving circuit 15.

이리하면, x좌표 데이터인쇄 에어리어(e1)에 인쇄된 선기호가 포지션 빔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의해 독해된다.In this way, the preliminary symbol printed in the x-coordinate data printing area e1 is read by the position beam driving and barcode reading unit 14.

다음으로, 포지션 빔(9)의 위치가 x좌표 데이터인쇄 에어리어(e1)의 가장 우측에 도달한 후는, 구동회로(15)를 거쳐 y방향모터(3)를 구동하여 계표용지(1)의 소정 도트분 아래의 y좌표 데이터인쇄 에어리어(e2)의 가장 우측단에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위치하게 된다.Next, after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beam 9 reaches the rightmost side of the x-coordinate data printing area e1, the motor Y in the y direction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circuit 15 to drive the position sheet 1.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is located at the far right end of the y-coordinate data printing area e2 below a predetermined dot.

그리고 이후, 구동회로(15)를 거쳐 x방향모터(4)가 구동됨으로써, 포지션 빔(9)이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함께 y좌표 데이터 인쇄 에어리어(e2)에 인쇄된 선기호가 포지션 빔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의해 독해된다.Then, the x-direction motor 4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circuit 15, so that the position beam 9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pre-symbol printed on the y-coordinate data printing area e2 is moved to the position beam. It is read by the drive and barcode reading unit 14.

다음으로, 포지션 빔(9)의 위치가 y좌표 데이터인쇄 에어리어(e2)의 가장 좌측에 도달한 후는, 구동회로(15)를 거쳐 y방향 모터(3)를 구동하여 계표용지(1)의 소정 도트분 아래의 x축 바코드 인쇄 에어리어(e3)의 가장 좌측단에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위치되게 된다.Next, after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beam 9 reaches the leftmost side of the y-coordinate data printing area e2, the y-direction motor 3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circuit 15 to drive the sheet of paper 1 of the counting paper 1.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is located at the leftmost end of the x-axis barcode printing area e3 below a predetermined dot.

그리고 이후, 구동회로(15)를 거쳐 x방향모터(4)가 구동됨으로써, 포지션 빔(9)이 우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함께 x축 바코드인쇄 에어리어(e3)에 인쇄된 x축바코드가 포지션 빔 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독해된다.Then, the x-direction motor 4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circuit 15, so that the position beam 9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x-axis barcode printed on the x-axis barcode printing area e3 is positioned. It is read by the beam drive and barcode reading unit 14.

다음으로, 포지션 빔(9)의 위치가 x축 바코드인쇄 에어리어(e3)의 가장 우측에 도달한 후는, 구동회로(15)를 거쳐 y방향모터(3)를 구동하여 계표용지(1)의 소정의 도트분 아래의 y축 바코드인쇄 에어리어(e4)의 가장 우측단에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위치되게 된다.Next, after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beam 9 reaches the rightmost side of the x-axis bar code printing area e3, the y-direction motor 3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circuit 15 so that the position sheet 1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is located at the far right end of the y-axis barcode printing area e4 below the predetermined dot.

그리고 이후, 구동회로(15)를 거쳐 x방향모터(4)가 구동됨으로써 포지션 빔(9)이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함께 y축 바코드인쇄 에어리어(e4)에 인쇄된 y축 바코드가 포지션 빔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의해 독해된다.After that, the x-direction motor 4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circuit 15 to move the position beam 9 to the left, and the y-axis barcode printed on the y-axis barcode printing area e4 is positioned in the position beam. It is read by the drive and barcode reading unit 14.

스탭(535)에서는 바코드로부터 좌표로 변환한다. 그리고 스탭(530)으로 이행한다.The staff 535 converts the barcode into coordinates.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aff 530.

즉, 포지션 빔구동 및 바코드 독해부(14)에 의해 독해된 바코드가 CPU(10)기능의 하나인 좌표/바코드 변환부(10b)에 의해 좌표정보로 변환된다.That is, the bar code read by the position beam driving and bar code reading unit 14 is converted into coordinate information by the coordinate / bar code converting unit 10b, which is one of the CPU 10 functions.

또 이때, y좌표 데이터인쇄 에어리어(e2)에 인쇄된 선기호전체가 예를 들면 원래의 정보길이로 신장된다.At this time, the entire pre-symbol printed in the y-coordinate data print area e2 is extended to the original information length, for example.

스탭(530)에서는, x 및 y의 좌표정보로 된 바코드와, x 및 y의 좌표데이타의 선기호에 의해 계표(1a)의 화상으로서의 데이타를 얻고, 이 계표(1a)의 데이타를 화상출력용 메모리(21)에 기입한다. 그리고 스텝(535)으로 이행한다.The staff 530 obtains data as an image of the schedule 1a by a bar code of coordinate information of x and y and a pre-symbol of coordinate data of x and y, and stores the data of the schedule 1a in the image output memory. Fill in (21).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535.

스텝(535)에서는 표시용 메모리의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리고 스텝(540)으로 이행한다.In step 535, data of the display memory is output.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540.

즉, 화상출력메모리(21)에 기입한 계표데이타를 독출하고, 이 독출한 계표데이타를 버스(11) 및 LCD 구동회로(22)를 거쳐 LCD 디스플레이(23)에 공급하고, 그 표시면상에 계표(1a)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That is, the reading of the reading data written in the image output memory 21, the reading reading data is supplied to the LCD display 23 via the bus 11 and the LCD driving circuit 22, and the writing on the display surface. It is displayed as the image of (1a).

스탭(540)에서는 키보드(16)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스텝(545)으로 이행한다.The staff 540 accepts an input from the keyboard 16.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545.

즉, 여기서 사용자는 LCD 디스플레이(23)에 나타낸 계표(1a)의 괘선에 의해 형성된 항목마다의 프레임내에 원하는 데이타를 키보드(16)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가 있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 input the desired data using the keyboard 16 in the frame for each item formed by the ruled line of the table 1a shown on the LCD display 23.

이에 의해 화상출력메모리(21)의 소정위치에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타가 기입된다.As a result, data input by the user is written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memory 21.

스텝(545)은 키보드 입력문자를 표시한다. 그리고 스텝(550)으로 이행한다.Step 545 displays keyboard input characters.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550.

즉, 사용자가 키보드(16)에 의해 입력할 문자가 LCD 디스플레이(23)상에 표시된 계표(1a)의 괘선에 의해 형성된 항목마다의 프레임내에 표시된다.That is, the characters that the user inputs by the keyboard 16 are displayed in the frame for each item formed by the ruled line of the grid 1a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23.

또한, 하나의 항목을 키보드(16)로 입력한 후에 리턴키 등을 누르면, 커서가 다음 항목의 입력장소인 프레임 내에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when one item is input by the keyboard 16 and a return key or the like is pressed, the cursor may be moved within the frame that is the input position of the next item.

스텝(550)에서는 인쇄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555)으로 이행하고, 「NO」이면 다시 스텝(540)으로 이행한다.In step 55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printing is performed. If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55, and if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40 again.

또한,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x 및 y방향키의 조작 또는 자동에 의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표용지(1a)의 좌측각의 시점(c)에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위치하게 한다.Here,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is positioned at the time point c at the left angle of the tabular paper 1a as shown in FIG. 8 by the operation or automatic operation of the x and y direction keys by the user.

또, 거듭 x방향모터(4)가 구동회로(15)를 거쳐 구동되어 상술과 마찬가지로 수평인지 아닌지의 확인 및 위치맞춤이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x-direction motor 4 may be driven through the drive circuit 15 repeatedly so as to confirm or align whether or not it is horizontal as described above.

또 사용자가 모든 항목에 대응한 프레임 내에 데이타를 입력한 시점, 또는, 사용자가 종료를 나타낸 키(도시를 생략한다)를 누른 시점에서 LCD 디스플레이(23)상에 예를 들면 인쇄를 행하는지 아닌지를 표시하고, 여기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실행키(도시를 생략한다)를 누른 경우에, 상술과 같이 포지션 빔(9)의 스포트가 계표(1a)의 좌측각의 시점(c)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후, 화상출력메모리(21)로부터 사용자가 키보드(16)에 의해 입력한 데이타만이 직접 또는 일단 프린터의 도시생략한 인쇄용 메모리에 화상출력용 메모리(21)의 데이타로 이 사용자가 키보드(16)로 입력한 데이타만이 공급되고, 프린터에 세트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표용지(1)의 계표(1a)의 괘선에 의해 형성된 항목마다의 프레임내에 정확히 소정의 데이터가 인쇄된다.Whether or not, for example,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LCD display 23 at the time when the user inputs data in a frame corresponding to all items or when the user presses a key indicating end (not shown). In this case, when the user presses an execution key (not shown), for example, the spot of the position beam 9 is positioned at the start point c of the left angle of the table 1a as described above. Thereafter, only the data input by the user from the image output memory 21 by the keyboard 16 is directly or once the user inputs the data from the image output memory 21 to the printing memory not shown in the printer. Only the input data is supplied, and as shown in FIG. 8 set in the printer, predetermined data is printed exactly in the frame for each item formed by the ruled line of the schedule 1a of the schedule sheet 1.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기존의 계표를 데이터로서 프린터의 포지션 빔을 이용하여 읽어들이거나, 화상입력부(19)에 의해 입력한 계표 또는 키보드입력에 의해 작성한 계표를 코드화하여 그 계표에 인쇄하도록 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계표용지만 있으면, 코드를 읽어들이는 것만으로 표시부에 계표를 표시하여 키보드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후, 계표프레임내에 정확히 데이터를 인자시키게 할 수 있고, 더욱이 계표자체의 데이터를 보존하거나 하지 않고서도 완료하므로 코스트적인 메리트뿐만 아니라, 일반회사에 폭넓게 그리고, 다양한 이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ample, an existing schedule is read as data using a position beam of a printer, or a schedule input by the image input unit 19 or a schedule generated by keyboard input is coded and printed on the schedule. For example, if there is only a glyph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glyph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data can be input by the keyboard by simply reading the code, and then the data can be accurately printed in the glyph frame. This can be done without preserving the data of the company, and can provide not only costly merit but also a wide range of usage methods for general companies.

또, 단지 바코드뿐만 아니라, 계표를 영역으로 분할하고, x 및 y좌표의 데이터와 함께 바코드를 인쇄하도록 하였으므로, 정보량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not only the barcode but also the system is divided into regions, and the barcode is printed together with the data of the x and y coordinate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information.

거듭, 제12도~제14도에 다양한 사용예를 나타낸다.Again, various usage examples are shown in FIGS. 12 to 14.

제12도에 예를 들면 바코드(bc)를 계표용지(1)의 하부의 바코드 표시에어리어(e)에 인쇄하도록 한 경우이며, 제13도는 본 예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좌측에 나타낸 타이틀의 계표에 데이터를 각각 좌측의 바코드표시에어리어(e)에 각각 바코드(bc)로서 인쇄한 소위 계표데이터의 스톡(stock)방법을 나타낸 것이다.In FIG. 12, for example, the barcode bc is printed on the bar code display area e below the tabular paper 1. FIG. 13 is another example of this example, for example, the title shown on the left side. The so-called stock data method of the data printed on the tabs in the bar code display area e on the left as a bar code bc is shown.

제13도 및 제14도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데이터를 플로피디스크등의 비교적 고가인 미디어(media)에 기록하여 두지 않아도 좋으므로, 코스트적인 메리트가 크게됨은 물론,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양한 정보에 폭넓게 응용할수 있다.In FIG. 13 and FIG. 14, such data do not have to be recorded in a relatively expensive media such as a floppy disk. Therefore, the merit of cost increases and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information by the same method. hav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계표정보를 코드화하는데 있어서는 독해가능한 코드이면 어떠한 코드라도 좋다.Incidental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of using a bar code has been described. However, any code may be used as long as the code can be read in encoding the tag information.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기타 여러 가지의 구성을 취할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Of course, various other structures can be taken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입력부(19)에서 독출되거나, 키보드(16)를 이용하여 LCD(23)상에서 작성하거나,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독취부(14)에서 독취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된 계표정보의 한쪽 및 다른 쪽 방향의 괘선위치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수단에 의해 한 쪽 및 다른 쪽의 방향에서 각각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분할처리수단에 의해 분할하고, 이 분할처리수단으로부터의 분할정보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한쪽 및 다른 쪽의 괘선정보를 코드화하도록 하였으므로, 코드정보로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여러 가지의 출력기기에 의해 다양한 매체상에 있어서 계표정보를 표시할수 있고, 예를 들면 종이에 계표 및 코드를 인쇄한 경우에는, 이 종이에 인쇄된 코드를 독해함으로써 계표정보를 기기에 입력하고, 예를 들면 이 기기의 모니터의 관면상에 계표정보를 화상으로 표시시키고, 이 관면상에 계표정보를 화상으로 표시시키고, 이 관면상에 표시된 계표의 프레임내에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입력데이터를 기기에 세트한 종이의 계표의 소정의 프레임내에 입력한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 등이 간단히 행해질수 있는 이익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read o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9, written on the LCD 23 using the keyboard 16, or read from the reading unit 14 using the position beam 9,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uled line detected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 by the detecting means and detecting the ruled line position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stored report information, the schedu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And the ruled line information of one side and the other is coded on the basis of the division information from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and the length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so that the length as the code information can be shortened and various outputs can be made. The machine can display the accounting information on various media. For example, when printing the accounting codes and codes on paper, read the codes printed on the paper. Entering the counting information into the apparatus, for example, displaying the counting information as an image on the face of the monitor of the apparatus, displaying the counting information as an image on the face of the face, and desired data in the frame of the ticking displayed on this face. After inputting the data,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put data can be simply printed in a predetermined frame of the table of paper on which the input data is set in the apparatus.

또,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입력부(19)에서 독출되거나, 키보드(16)를 이용하여 LCD(23)상에서 작성하거나,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독취부(14)에서 독취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된 계표정보의 한쪽 및 다른쪽방향의 괘선위치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수단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의 방향에서 각각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분할처리수단에 의해 분할하고, 이 분할처리수단으로부터의 분할정보 및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코드화한 한쪽 및 다른쪽의 괘선정보를 변환수단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의 괘선정보로 변환하고, 이 변환수단으로부터의 한 쪽 및 다른 쪽의 괘선정보 및 분할정보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종이에 계표 및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종이에 인쇄된 코드를 독해함으로써 계표정보를 기기에 입력하고, 예를 들면 이 기기의 모니터의 관면상에 계표정보를 화상으로 표시시키고, 이 관면상에 표시된 계표의 프레임내에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그 입력데이터를 기기에 세트된 종이의 계표의 소정의 프레임내에 입력한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등이 간단히 행해질수 있는 이익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read o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9, written on the LCD 23 using the keyboard 16, or read out from the reading unit 14 using the position beam 9, and stored. The detection means detects ruled line positions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of the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ans, and divides the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ruled lines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ruled information of one and the other ruled information encoded on the basis of the division information from this division processing means and the length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and is converted into ruled information of one and the other by the conversion means. Since the tabular information is created based on the ruled line information and the split information of one side and the other from the means, for example, when a tabular and code are printed on paper, By reading the printed code, the accoun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evic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ace of the monitor of the device as an image, and the desired data is input into the frame of the mark displayed on this face, and then the input is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printing the data inputted within a predetermined frame of the table of paper set on the device can be performed simply.

Claims (2)

화상입력부(19)에서 독출된 계표(1a)의 정보나, 키보드(16)를 이용하여 LCD(23)상에서 작성한 계표정보나,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독취부(14)에서 독취한 계표정보가 기억되는 기억수단과,The information of the statement 1a read o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9, the statement information created on the LCD 23 using the keyboard 16, or the statement read from the reading unit 14 using the position beam 9. Storage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계표정보의 한 쪽 및 다른 쪽 방향의 괘선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ruled line position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 방향에서 각각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분할하는 분할처리수단과,Division processing means for divi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uled line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분할처리수단에서의 분할정보 및 상기 검출수단에서의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한쪽 및 다른 쪽 방향의 괘선정보를 코드화하는 변환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화장치.And conversion means for encoding ruled line information in the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based on the division information in the division processing means and the length information in the detection means. 화상입력부(19)에서 독출되거나, 키보드(16)를 이용하여 LCD(23)상에서 작성하거나, 포지션 빔(9)을 사용하여 독취부(14)에서 독취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된 계표 정보의 한쪽 및 다른쪽 방향의 괘선위치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수단에 의해 한쪽 및 다른 쪽의 방향에서 각각 검출된 괘선의 위치에 의거하여 게표정보를 분할처리수단에 의해 분할하고, 상기 분할처리수단에서의 분할정보 및 상기 검출수단에서의 길이정보에 의거하여 코드화한 한 쪽 및 다른 쪽의 괘선정보를 한쪽 및 다른 쪽의 괘선정보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One of the schedule information read o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9, written on the LCD 23 using the keyboard 16, or read from the reading unit 14 using the position beam 9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he ruler position in the other direction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the ticket information is divided by the divider processing mean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uled line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the divider processing means.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ruled information of one and the other coded on the basis of the divided information in the and the length information in the detecting means into ruled information of one and the other; 상기 변환수단에서의 한 쪽 및 다른 쪽의 괘선정보 및 상기 분할정보에 의거하여 계표정보를 작성하는 계표정보 작성수단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표정보 작성장치.And ticket information creating means for creating ticke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one or the other ruled information and said split information in said conversion means.
KR1019920021381A 1991-11-28 1992-11-13 A coding apparatus and a ruled lines generating apparatus KR1002524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15027 1991-11-28
JP3315027A JP3031002B2 (en) 1991-11-28 1991-11-28 Coding device, bar code conversion method of table information, and tabl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82A KR930009782A (en) 1993-06-21
KR100252470B1 true KR100252470B1 (en) 2000-04-15

Family

ID=1806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381A KR100252470B1 (en) 1991-11-28 1992-11-13 A coding apparatus and a ruled lines gener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31002B2 (en)
KR (1) KR10025247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47308A (en) 1993-06-15
KR930009782A (en) 1993-06-21
JP3031002B2 (en) 200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9167A (en) Visually interactive decoding of dataforms
US7639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handwritten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objects
US67074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 recognition and digitized image processing
EA004418B1 (en) Automatic barcode creation for data transfer and retrieval
US66004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 recognition and digitized image processing
JP2008305137A (en) Bar-code generation system, bar-code generation program and printer
CN114063938B (en) Print data processing apparatus, print system, and print data processing method
KR100252470B1 (en) A coding apparatus and a ruled lines generating apparatus
JP4725148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ogram
US5978552A (en) Ruled line generating apparatus and sheet for use therein
KR100210459B1 (en) Bar code transformation device
KR100210458B1 (en) Bar code transformation device
KR100210457B1 (en) Code decipherment device
CA2397151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form recognition and digitized image processing
JP2667091B2 (en) Label printing device
JP2724143B2 (en) Document processing method
JP3235214B2 (en) Business card recognition device
JP2552412Y2 (en) Word processor
JPS613239A (en) Pen plotter and plotting system
JPH04293185A (en) Filing device
JPH06222895A (en) Print format preparing device
JPS60231277A (en) Bar code printer and reader
JPS61100873A (en) Optical character/graphic reading device
JPH10340314A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therefor and record medium therefor
JPS6012675B2 (en) word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