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710B1 -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710B1
KR100230710B1 KR1019970027805A KR19970027805A KR100230710B1 KR 100230710 B1 KR100230710 B1 KR 100230710B1 KR 1019970027805 A KR1019970027805 A KR 1019970027805A KR 19970027805 A KR19970027805 A KR 19970027805A KR 100230710 B1 KR100230710 B1 KR 100230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id
treatment
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843A (ko
Inventor
이성구
김진
이은미
Original Assignee
전기영
블록 드럭 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영, 블록 드럭 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기영
Priority to KR1019970027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710B1/ko
Priority to IDP980898A priority patent/ID22378A/id
Priority to CNB981027288A priority patent/CN1229104C/zh
Priority to SG1998001518A priority patent/SG65766A1/en
Priority to MYPI98002924A priority patent/MY155222A/en
Publication of KR1999000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모마일 틴크 5-30 중량부; 라타니아 틴크 5-30 중량부, 몰약 틴크 2.5-1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00-1500 중량부; 글리시레틴산 1-50 중량부;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 0-50 중량부; 약용비누 및 유화제 10-50 중량부; 글리세린 20-100 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기닌산, 카라기난, 한천 및 젤라틴에서 선택된 증점제 적량; 및 물 적량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잇몸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탁원한 효능을 가진다.

Description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에 형성되는 세균으로 인한 치석은 치은염과 치주염을 일으키는 물질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질환들을 치료함에 있어 치석의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치석은 대부분 미생물과 이들이 배출한 다당체, 기타 다른 물질과의 복합체이다.
현미경으로 치석을 보면 세균들이 군락을 이루며 나란히 정돈되어 있는 모습이 보인다. 초기 단계에서 치아의 표면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형태는 주로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 (Actinomyces israelii)와 같은 그람 양성(Gram positive) 세균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rococcus mutans) 등이다(Socranscky, S.S.,(1977) Microbiology of periodontal disease - Present status and future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iodontology 48, 497-504). 그리고 후기에 수많은 그람 음성(Gram negative)미생물들이 치주질환과 관련된다(Moor, W. E. C., Holdeman, L. V., cate, E. P., Smibert, R. M. Burmeister, J. A. Ranney, R. R. (1983) Bacteriology of moderate(chronic) periodontitis 1 in mature adult humans, Journal of Periodontal Research 12, 120-128). 그 종류는 다음의 악티노바실루스 (Actinobacillus),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ctinomycemtecomitans), 박테로이데스 기기발리스(Bacteroidesgigivalis), 박테로이데스 인터미디우스(Bacteroides intermedius)등이다.
치은염이나 치주염의 치료를 실시할 때 가장 중요시 여겨지는 부분은 개개인이 구강 위생을 통해 규칙적으로 치석을 제거하여 미생물로 인해 야기되는 감염증을 항균제로 치료하는 것이다. 여러 항균제들이 치주염을 치료하기 위해 검색되고 있지만 이들중 치석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은 거의 없다. 가능성이 있는 약물들로는 식물의 추출물, 금속염, 페놀 그리고 비스비구아나이드류(bisbiguanides) 등이 있다(Lander, P. E. Newcomb, G. M., Seymour, G. J., Powell R. N. (1986) The antimacrobial and clinical effects of a single subgingival irrigation of chlorhexidine in advanced periodontal lesions, J. Clin. Periodontal. 13:74-80). 그러나, 다른 약물들보다 식물의 추출물인 생약제제들은 화학물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 즉 치아변색, 자극감 및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물질로 평가받고 있고, 치은 출혈이나 부종과 같은 치주질환의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있다(Yankell, L.L., Dolan, M.M., Emling, R. C. (1988) Laboratory Evaluation of an herbal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J. Clin. Dent. 1:A6-A8; Kitagaki, K., Matsumae, A., Ghoda, A. (1983) Efficacy of therapeutic agent against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J. Antibact. Antifung. Agents 11:451-61).
또한 렝글리(Renggli, H. H. (1988) Comparative clinical trial with natural herbal mouthwash versus chlorhexidine in gingivitis: J. Clin. Dent., 1:A34)등은 키모마일(Camomile), 세이지(Sage), 라타니아(Rhatany), 몰약(Myrrh)이 함유된 양치 약이 세균억제와 치은 연하 세균의 변화에 효과가 있으며, 암시야 현미경의 계속적인 연구에서 백악질표면의 탈독현상으로 치근활택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더욱이 이 등 연구그룹(이만섭, 장영명, 최상묵, (1989) 초기 치주염에 대한 생약제제의 임상효과 및 세균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7 : 385-95)이 카모마일, 라타니아, 몰약이 함유된 치주질환 처방(예 : 파로돈탁스)를 초기 치주염 환자에게 사용하게 한 후 임상적 관찰과 치태세균의 구성변화를 암시야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치태치수, 치은지수, 치은 출혈지수가 시험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 파로돈탁스 제품에 다른 항균물질들을 병용 투여시 치주질환 치료제로써 약효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파로돈탁스 조성물에 여러 종류의 성분을 배합하여 항균력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파로돈탁스 조성물에 글리시레틴산을 첨가하면 항균력이 크게 증가하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파로돈탁스의 조성물인 카모마일 틴크 ; 라타니아 틴크 ; 몰약 틴크 ; 탄산수소나트륨 ; 세이지유 ; 약용비누 및 유화제 ; 글리세린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기닌산, 카라기산, 한천 및 젤라틴에서 선택된 증점제 ; 및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글리시레틴산 ; 및 필요하면 토코페롤(또는 초산토코페롤) 및 일불소인산나트륨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항균력이 크게 증강된 천연의 잇몸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모마일 틴크 5-30 중량부 ; 라티아니아 틴크 5-30 중량부 ; 몰약 틴크 2.5-15중량부 ; 탄산수소나트륨 300-1500 중량부 ; 글리시레틴산 1-50 중량부 ; 토코페롤 0-50 중량부 ; 양용비누 및 유화제 10-50 중량부 ; 글리세린 20-100 중량부 ; 카르복시메틸셀를로오스나트륨, 알기닌산, 카라기난, 한천 및 젤라틴에서 선택된 증점제 적량 ; 및 물 적량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실시예 및 실험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파로돈탁스(기존제품)) :
1) 처방 및 배합량
성분 및 함량(제품 1g 중)
카모마일 틴크 : 12.5mg
라타니아 틴크 : 12.5mg
몰약 틴크 : 6.2mg
탄산수소나트륨 : 679.0mg
세이지유 : 10.5mg
약용비누 및 유화제 : 19.8mg
글리세린 : 62.6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적량
정제수 : 적량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
* 코드번호 : BK 200
성분 및 함량(제품 1g 중)
카모마일 틴크 : 12.5mg
라타니아 틴크 : 12.5mg
몰약 틴크 : 6.2mg
탄산수소나트륨 : 679.0mg
세이지유 : 16.5mg
글리시레틴산 : 30mg
초산토코페롤 : 25mg
약용비누 및 유화제 : 19.8mg
글리세린 : 62.6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적량
정제수 : 적량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
* 코드번호 : BK-201
상분 및 함량(제품 1g 중)
카모마일 틴크 : 12.5mg
라타니아 틴크 : 12.5mg
몰약 틴크 : 6.2mg
탄산수소나트륨 : 679.0mg
세이지유 : 16.5mg
글리시레틴산 : 30mg
약용비누 및 유화제 : 19.8mg
글리세린 : 62.6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적량
정제수 : 적량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
* 코드번호 : BK 202
상분 및 함량(제품 1g 중)
카모마일 틴크 : 10.0mg
라타니아 틴크 : 10.0mg
몰약 틴크 : 6.2mg
글리시레틴산 : 35.0mg
탄산수소나트륨 : 670.0mg
세이지유 : 20.0mg
초산토코페롤 : 30mg
약용비누 및 유화제 : 20.0mg
글리세린 : 60.0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적량
정제수 : 적량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
* 코드번호 : BK 203
성분 및 함량(제품 1g 중)
카모마일 틴크 : 15.0mg
라타니아 틴크 : 15.0mg
몰약 틴크 : 6.2mg
탄산수소나트륨 : 670.0mg
일불소인산나트륨 : 7.6mg
세이지유 : 15.0mg
글리시레틴산 : 40mg
약용비누 및 유화제 : 20.0mg
글리세린 : 50.0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적량
정제수 : 적량
상기 실시예 1-5의 파로돈탁스, BK 200, BK 201, BK 202 및 BK 203의 제조방법은 상법의 파스타제 제조방법에 따라 진공유화기 (VM-12)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
1. 실험재료 및 방법
1) 사용균주 및 배지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ATCC 1598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ATCC 10449의 3가지였다. 이 균주들 중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 ATCC 15987과 칸디다 알비칸스 ATCC 10231은 YM배지(글루코스 10g/L, 효모 추출물 3g/L, 맥아 추출물 3g/L, 박토펩톤 5g/L)에,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10449는 TH배지(Todd Hewitt broth 30g/L, 수크로스 50g/L)에 배양하였다.
저장되었던 YM배지로부의 균주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 ATCC 15987과 칸디다 알비칸스 ATCC 10231, TH배지로부터의 균주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10499를 박토아가(bactoagar) 17g/L을 넣어서 만든 플레이트 3개에 각각 스트리킹(streaking)하여 균력을 키웠다.
그리고, 배양온도는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 ATCC 15987는 26℃, 칸디다 알비칸스 ATCC 10231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10449는 37℃로 각각 달리 설정하였고, 배양시간은 3가지 균주 모두 동일하게 배양기(incubator)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 항균효과의 검정방법
(M.I.C. 검정방법)
각 실험물질 파로돈탁스, BK200 및 BK201의 초기농도는 3가지 실험물질이 모두 동일하게 100㎍/L로 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물질들은 계속해서 2배식으로 16회 희석하여 최종농도가 0.002㎍/L(반올림)까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균주들을 107개의 세포/mL가 되도록 희석하여 각각의 희석된 튜브에 50μL씩 접종하여 18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였다.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가장 낮은 농도를 최소 균성장 억제농도(M.I.C.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로 결정하였다. 이때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 ATCC 15987와 칸디다 알비칸스 ATCC 10231는 YM배지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10449도 TH배지에서 각각 실험하였다.
3) 실험결과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에 대한 항균 활성 최소 농도 실험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BK200와 BK201이 12.5㎍/㎖의 농도에서 이 균체의 성장을 억제하여 좋은 항균 효과를 나타낸 반면, 파로돈탁스는 그 향균효과가 약하였다.
[표 ]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에 대한 MIC 값
(아가 희석법)
Figure kpo00001
표 2는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M.I.C.를 나타낸 것이다. BK200와 BK201아 균체성장을 잘 억제하였고 파로돈탁스의 균체성장 억제력은 약하였다.
[표 2]
칸다다 알비칸스에 대한 MIC값
(아가 희석법)
Figure kpo00002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에 대한 항균 활성 최소농도 실험은 표 3과 같고 BK200, BK201 및 파로돈 탁스의 항균력은 거의 같았다.
[표 3]
스트렙토코켜스 뮤탄스에 대한 MIC값
(아가 희석법)
Figure kpo00003
4) 고찰
비록 치석이 치아 표면에 저절로 생길 수 있지만, 구강 위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어느 한계를 넘을 경우, 치주질환이나 충치가 발생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실시하고 있는 칫솔질 방법은 건강한 구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치석 상태를 유지하는 데는 부적당하다. 따라서 치석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을 감소하기 위해 치과용 제품에 안티프라그(Antiplaque)제나 항균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많은 항균제의 치석 조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외부적인 병원균이나 기회 감염에 의한 치주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감염 부위에 항생제가 가능한 한고 농도로 장시간 동안 존재해야 한다. 그러한 농도는 단순히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기보다는 그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최소살균농도(Mini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주어진 시간 내에 시험균주가 99% 이상 죽는농도)와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가장 최소의 농도)값이 일반적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MIC값은 치석 조절제로서의 강력한 효과의 일차적인 지표(Indicator)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MIC가 반드시 임상적 유효성의 지표로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구강내 미생물에 작용하는 약물들의 비교시 MIC값이나 작용 스펙트럼이 거의 비슷하더라도 임상적 유효성은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Gjermo P, Bastad K. L, Rolla G.(1970). The plaque-inhibiting capacity of 11 antibacterial compounds. J. Periodont Res. 5:102-109; Moran J., Addy M. (1984). The effect of surface adsorption and staining reactions don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some cationic antiseptic mouthwashes. J. Periodontol. 55:278-282). 그렇지만 MIC는 치주염 치료제로서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실험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실험 방법이다.
앞에서도 서술을 하였듯이 수많은 항균제들이 검색되고 있지만 이들중 치석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은 거의 없다. 가능성이 있는 약물들로는 식물의 추출물, 금속염, 페놀 그리고 비스비구아나이드류 등이 있다(Lander et al., 1980). 비스비구 아나이드류 제제중에는 가장 효과적인 제제로 알려진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이 있고, 이 물질은 사람에게서 치석과 치은염 등을 감소시킨다(Dolan M. M., Murphy C. V., Kavanagh B. J., Yankell S. L.(1972) Development of an in-vitro plaque model from human salivary sediment suspensions. Arch. Oral Biol.; 17:147-54). 그러나 클로르헥시딘은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지만 세포막에 손상을 주고 치아 조직의 변색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Grossman E, Reiter G, Sturzenberger O.P, De La Rosa M., Dickinson T. D., Ferretti G. A., Ludlam Ge, A. H.(1986). Six-month study of the effects of the effects of a chlorhexidine mouthrinse of gingivities in adults. J. Periodont Res.; 21(16 Suppl.):33-43; Lang N.P, Brecx M.C.(1986). Chlorhexidine digluconate-an agent for chemical plaque control and prevention of gingival inflammation. J Periodont Res;21(16Suppl)74-89). 이 외에도 많은 항균 물질을 이용하고자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데 대체로 장기간 사용해도 부작용이 없으면서 치아세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 추구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치주질환에 사용되는 파로돈탁스는 잇몸에 사용되는 약으로 치조농루와 출혈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있다. 파로돈탁스는 임상시험에서 아주 유효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교수팀은 (이만섭, 장영명, 최상묵, (1989) 초기 치주염에 대한 생약제제의 임상효과 및 세균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385-95)임상시험에서 35명의 초기 치주염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 25명은 생약제제 파로돈탁스를 4주 동안 국소도포하는 시험군으로, 나머지 10명은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초진시, 2주 및 4주후에 각각의 임상지수(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은출혈지수) 및 치주낭 깊이와 치은연하 치태세균의 형태학적 분포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로 치태지수, 치은지수 및 치은출혈지수는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2주와 4주째에 각각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둘째로 치주낭 깊이는 시험군에서 초진시에 비해 실험기간동안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치은연하 치태세균의 형태학적 분포에서는 구균이 시험군에서 초진시에 비해 각각 증가하였으나, 운동성 간균과 나선균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파로돈탁스와 같은 기존제제보다 더 항균력이 강한 제품(가칭 BK200)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제품에 항균력이 좋은 글리시레틴산과 필요하면 항산화성이 우수한 토코페롤(또는, 초산 토코페롤) 및 일불소인산나트륨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첨가하여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 칸디다 알비칸스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세가지 균들에 대하여 MIC 시험을 한 결과 이 새로운 제제는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와 칸디다 알비칸스 균에 있어서 기존 제제 보다 2-3배 이상 항균력이 좋았고,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균에 대해 비슷한 항균력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주염의 예방과 치료에 대단히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1)

  1. (정정)카모마일 틴크 5-30 중량부 ; 라타니아 틴크 5-30 중량부 ; 몰약 틴크 2.5-15중량부 ; 탄산수소나트륨 300-1500 중량부 ; 글리시레틴산 1-50 중량부 ; 토코페롤 0-50 중량부 ; 양용비누 및 유화제 10-50 중량부 ; 글리세린 20-100 중량부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기닌산, 카라기산, 한천 및 젤라틴에서 선택된 증점제 적당량 ; 및 물 적량을 함유하고 통상의 파스타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잇몸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KR1019970027805A 1997-06-26 1997-06-26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23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805A KR100230710B1 (ko) 1997-06-26 1997-06-26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IDP980898A ID22378A (id) 1997-06-26 1998-06-22 Komposisi untuk mencegah dan mengobati penyakit gusi
CNB981027288A CN1229104C (zh) 1997-06-26 1998-06-25 预防和治疗牙龈病用组合物
SG1998001518A SG65766A1 (en) 1997-06-26 1998-06-25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ingival diseases
MYPI98002924A MY155222A (en) 1997-06-26 1998-06-26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ingival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805A KR100230710B1 (ko) 1997-06-26 1997-06-26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43A KR19990003843A (ko) 1999-01-15
KR100230710B1 true KR100230710B1 (ko) 1999-11-15

Family

ID=1951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805A KR100230710B1 (ko) 1997-06-26 1997-06-26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230710B1 (ko)
CN (1) CN1229104C (ko)
ID (1) ID22378A (ko)
MY (1) MY155222A (ko)
SG (1) SG65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37701B (es) * 2008-02-08 2016-02-15 Colgate Palmolive Co Composiciones que contienen aminoacido basico y sal carbonato soluble.
WO2011144439A1 (en) * 2010-05-18 2011-11-24 Indena S.P.A.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gynaecological disorders
WO2017081725A1 (ja) * 2015-11-09 2017-05-18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N107802641A (zh) * 2016-09-09 2018-03-16 李明典 口腔软组织(牙龈、粘膜)抗发炎酸痛剂
CN108042420B (zh) * 2017-12-20 2020-07-07 弘美制药(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保健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978355B1 (ko) * 2017-12-27 2019-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0478298A (zh) * 2019-09-23 2019-11-22 沈阳天然纳美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口腔保健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948A (en) * 1992-04-10 1995-06-20 Kemiprogress S.R.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utaneous and oral mucous membrane inflamm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948A (en) * 1992-04-10 1995-06-20 Kemiprogress S.R.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utaneous and oral mucous membrane inflamm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9104C (zh) 2005-11-30
CN1203806A (zh) 1999-01-06
MY155222A (en) 2015-09-30
KR19990003843A (ko) 1999-01-15
SG65766A1 (en) 1999-06-22
ID22378A (id) 199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76590A1 (en) Antibacterial toothpaste and mouthwash formulations
US20080031831A1 (en) Oral anti-calculu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0921784A1 (en) Antimicrobial agents for oral hygiene products
RU2699560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гель с фитопелоидной композицией
KR100230710B1 (ko)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EP3852872B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oral cavity
KR100519477B1 (ko) 트리크로산,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계 유도체 및 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JP2003012483A (ja) 口腔用組成物
KR20020082308A (ko)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051006A (ko) 이소프로필메틸페놀과 구강조직수렴제를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KR20170037230A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60061852A (ko) 금속이온 봉쇄제와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WO2010062933A1 (en) Methods for wound treatment and healing using limonene-based compositions
Scheie et al. Are antibacterials necessary in caries prophylaxis
KR100665891B1 (ko) 하이드록시타이로졸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JP3660169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7685B1 (ko) 파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037231A (ko) 퍼슬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Sharma et al.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Formulated Polyherbal Toothpaste “Oralis S” On Dental Caries In Rats
KR100287320B1 (ko) 구강감염질환예방 및 치료제
JPH1059832A (ja) 口腔用抗菌剤及び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