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388B1 - Nonwoven cloth of ultrafine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Nonwoven cloth of ultrafine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388B1
KR100223388B1 KR1019930020738A KR930020738A KR100223388B1 KR 100223388 B1 KR100223388 B1 KR 100223388B1 KR 1019930020738 A KR1019930020738 A KR 1019930020738A KR 930020738 A KR930020738 A KR 930020738A KR 100223388 B1 KR100223388 B1 KR 10022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iber
composite long
composite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09409A (en
Inventor
무라세시게미츠
구보에이이치
나가오카고이치
미야하라요시키
Original Assignee
다구찌 게이따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구찌 게이따,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구찌 게이따
Publication of KR94000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3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와 성분 A에 대해 비상용성인 동시에 융점이 성분 A의 융점보다 30 내지 180℃ 높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가 복합되는 동시에, 적어도 성분 A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복합형 장섬유로 형성된 극세섬유 부직포로서, 복합형 장섬유 속의 성분 A만을 연화 또는 용융시킴으로써,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에 융착되어 이루어진 융착구역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융착구역 이외의 비융착구역에는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긴 성분 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A,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긴 성분 B 및 섬유 분할되지 않은 복합형 장섬유가 실질적으로 삼차원 교락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ilament in which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and component A and whose melting point is 30 to 180 ° 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component A, is compounded, and at least component A is exposed on the surface. The formed microfibre nonwoven fabric is softened or melted only in the component A in the composite filament, whereby fusion zones formed by fusion between the composite filaments are provided at intervals.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 A consisting only of component A formed by the splitting of fibers, the component B resulting from the splitting of the fiber of the composite filament, and the non-divided composite filament are substantially three-dimensionally entangled and mixed. And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ption

극세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Microfiber nonwoven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형 장섬유의 횡단면의 한 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e long fi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형 장섬유의 횡단면의 한 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e long fi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형 장섬유의 횡단면의 한 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e long fi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형 장섬유의 횡단면의 한 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one example of a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e fila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서 마찰가공에 사용하는 장치의 한 가지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5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one example of an apparatus used for friction proces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예에 관한 극세섬유 부직포의 평면도이며,6 is a plan view of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극세섬유 부직포의 X-X선 단면도이다.FIG. 7 is an X-r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fiber nonwoven fabric shown in FIG.

본 발명은 의료용 충전솜이나 의약용 위생재료 등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벌크성, 보온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극세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use as a medical filling cotton or a medical hygiene material, etc., and relates to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bulk property, heat retention property and tensile strength,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부직포는 의료용, 산업자재용, 토목 건축자재용, 농업원예자재용, 생활 관련자재용, 의료 위생재료용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부직포 중에서도 장섬유 부직포는 단섬유 부직포보다도 성능면에서 인장강도가 크거나 부직포의 제조면에서도 생산성이 높다는 각종 이점이 있다. 이러한 장섬유 부직포가 갖는 이점을 살리면서 보온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부직포를 수득하기 위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하려고 여러번 시도하여 왔다.Nonwoven fabrics are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including medical, industrial, civil, building, agricultural, horticultural, and living-related materials. Among the nonwoven fabrics, the long fiber nonwoven fabric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greater tensile strength in performance than the short fiber nonwoven fabric or higher productivity in the production of the nonwoven fabric. In order to obtain a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heat retention and tensile strength while taking advantage of such a long fiber nonwoven fabric,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as small as possible.

종래부터 극세섬유를 사용하는 부직포에 관해서는 분할형 2성분계 복합섬유를 각종 방법, 예를들면, 니들 펀칭으로 분할하는 방법, 약제로 처리하여 한 성분을 팽윤, 용해시켜 다른 성분을 독립시키는 방법 또는 고압 액체 수주류(水柱流)를 작용시켜 분할하는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Conventionally, in the nonwoven fabric using microfine fibers, the split type bicomponent conjugate fiber is divided into various methods, for example, by needle punching, by treating with a medicine to swell and dissolve one component, and to separate other components, or The method of dividing by operating a high pressure liquid water column is widely known.

그러나, 제안되어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니들 펀치를 작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실용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400 내지 800g/㎡인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이것은 단위면적당 섬유량이 적으면 니들 펀치용 바늘로써 충분한 교락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직포는 단위면적당 중량이 높으며 또한 유연성이 현저하게 떨어진 것 밖에 수득할 수 없다.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with the proposed method. That is,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needle punch, it is effective only when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nonwoven fabric provided practically is 400 to 800 g / m 2. This is because if the amount of fibers per unit area is small, sufficient entanglement cannot be given by the needle punch needle. Therefore, the nonwoven fabric can only be obtained by having a high weight per unit area and a marked drop in flexibility.

또한, 약제로 처리하여 한 성분을 팽윤, 용해시켜 다른성분을 독립시키는 방법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제(소)44-24699호, 제(소)52-30629호, 제(소)62-41316호 및 제(평)1-47579호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한 가지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용해제거하므로 대단히 비경제적이며, 또한 용해제거에 기인하는 공정의 복잡화, 용제의 회수 내지 무공해화 등의 공정상의 문제점이 있다.Moreover, the method of swelling and dissolving one component and making another component independent by treating with a chemical | medical agent, for example, is Unexamined-Japanese-Patent No. 44-24699, 52-30629, and (small) No. 62-41316 and No. 1-47579, although this method dissolves some or all of one component, which is very economical, and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due to dissolution removal, There are problems in the process such as recovery or pollution-free.

한편, 고압 액체 수주류를 작용시켜 분할하는 방법은,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제(평)1-4758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코어-시이드형 복합 장섬유를 사용하여 웹화한 후, 고압 액체 수주류를 사용하여 0.5d 이하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필라멘트가 서로 3차원적으로 교락되어 있는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56-219653호에는, 주로 0.1d 이하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극세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0.3d 이상 9.0d 이하의 멀티필라멘트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 부직포로서, 당해 멀티필라멘트가 주로 랜덤한 방향으로 교차되어 서로 교락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 멀티필라멘트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기술은, 코어-시이드형 복합 장섬유의 시이드 성분을 파쇄함으로써 코어 성분 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진 극세 멀티필라멘트로 구성된 장섬유 부직포를 수득하는 기술이므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시이드 성분 중합체를 이용할 수 없거나 시이드 성분 중합체의 파쇄 조각에서 먼지 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dividing the high-pressure liquid water liquor by acting is, for example, after web-forming using a core-seed composite long fiber as described in JP-A-1-47585, A nonwoven fabric of filaments of 0.5 d or less using high pressure liquid columnar and filaments intertwined three-dimensionally with each other has been proposed. In additio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56-219653 is a non-woven fabric mainly composed of 0.3 d or more and 9.0 d or less multifilament mainly composed of substantially continuous ultrafine filaments of 0.1 d or less. Ultrafine multifilament nonwoven fabrics have been proposed, characterized in that are mainly intersected in a random direction and entangled with each other. However, the former technique is a technique of obtaining a long-fiber nonwoven fabric composed of ultrafine multifilaments composed only of the core component polymer by crushing the seed component of the core-side composite long fibers, so that the seed component polymer as a fiber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s not available or causes dust generation in the crushed pieces of the seed component polymer.

또한, 전자 및 후자의 기술은 공통된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고압 액체 수주류를 작용시켜 수득한 부직포는 미분할 필라멘트 또는 분할된 극세필라멘트가 고압 액체 수주류의 충격에 의해 3차원적 교락이 부여되기 때문에, 당해 부직포의 벌크도가 커서, 유연성과 보온성이 떨어진다. 즉, 고압 액체 수주류를 작용시키면, 섬유 분할과 3차원적 교락이 동시에 부여되어 3차원적 교락만을 회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당해 부직포의 적용 범위가 협소해지며 광범위한 용도로 전개시키는 것이 방해받는다는 결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ormer and the latter have common fatal problems. That is, since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 action of such a high pressure liquid columnar has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due to the impact of the high pressure liquid columnar of the finely divided filament or the divided microfine filament, the bulk of the nonwoven fabric is large, resulting in flexibility and Insulation is poor. In other words, when the high-pressure liquid water column is applied, fiber splitting and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are simultaneously applied, and it is impossible to avoid only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For this reason,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narrow and it is prevented from developing for a wide range of uses.

따라서, 소위 스펀 본드 공정처럼 장섬유 부직포 제조기술의 합리성, 고강도성, 낮은 먼지 발생성을 활용하는 극세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보온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장섬유 부직포가 요망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long fiber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heat retention and flexibility, which is made of an ultrafine filament that utilizes the rationality, high strength, and low dust generation of the long fiber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technology as a so-called spun bond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은 섬유 분할을 할 수 있는 동시에 감열접착성 복합형 장섬유를 사용하며 이러한 복합형 장섬유를 집적시켜 이루어진 섬유 웹에, 예를들면, 열 엠보싱법에 따라 열을 가하여 복합형 장섬유의 감열접착성을 발현시켜서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융착된 융착구역을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다음, 마찰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융착구역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비융착구역에 존재하는 복합형 장섬유를 실질적으로 3차원 교락시키지 않으면서 분할시킴으로써, 벌크성, 보온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plitting the fiber and at the same time uses heat-adhesive composite long fibers and heats the composite web by integrating such composite long fibers, for example, by applying a heat embossing method. By expressing the heat-sensitive adhesiveness of the fibers to form a fusion zone in which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fused at intervals, the friction processing is carried out to remove the composite long fibers present in the non-fusion zone without destroying or damaging the fusion zone. By dividing without substantially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it is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excellent in bulkiness, heat retention, and flexibility.

즉,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와 당해 성분 A에 대하여 비상용성이고 또한 융점이 당해 성분 A의 융점보다 30 내지 180℃ 높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가 복합되는 동시에 적어도 성분 A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복합형 장섬유로 형성된 극세섬유 부직포로서, 당해 복합형 장섬유중의 성분 A만이 연화되거나 용융됨으로써, 당해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융착되어 이루어진 융착구역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융착구역 이외의 비융착구역에서는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긴 성분 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A,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긴 성분 B 및 섬유 분할되지 않은 복합형 장섬유가 실질적으로 3차원 교락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섬유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와 성분 A에 대하여 비상용성이고 또한 융점이 성분 A의 융점보다 30 내지 180℃ 높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가 복합되는 동시에 적어도 성분 A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복합형 장섬유를 집적시켜 섬유 웹을 형성시킨 다음, 섬유 웹의 간격을 둔 소정의 구역에서 두께 방향에 걸쳐 열을 가하여 성분 A만을 연화시키거나 용융시킴으로써, 당해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을 융착시킨 융창구역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섬유 플리스(fleece)를 수득한 다음, 섬유 플리스에 마찰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비융착구역에 존재하는 복합형 장섬유를 섬유분할하여 성분 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A 및 성분 B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B를 생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and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component A and whose melting point is 30 to 180 ° 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An ultrafine fibrous nonwoven fabric formed of a composite filament, wherein only the component A in the composite filament is softened or melted so that fusion zones in which the composite filaments are fus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at intervals,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usion zone, fiber A consisting only of component A resulting from the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component B resulting from the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and non-divided composite long fibers are not substantially three-dimensionally mixed. It relates to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type in which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and component A and whose melting point is 30 to 180 ° 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component A is compounded and at least component A is exposed on the surface. By fusing the long fibers to form a fibrous web, and then applying a heat across the thickness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spaced interval of the fibrous web to soften or melt only the component A, After obtaining the fiber fleece formed at intervals, the fiber fleece is subjected to friction processing to split the composite long fibers present in the non-fusion zone into fibers A and B composed only of component A and fiber B.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ion of B.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형 장섬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복합형 장섬유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와 성분 A에 대하여 비상용성이고 또한 융점이 성분 A의 융점보다 30 내지 180℃ 높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가 복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성분 A는 적어도 복합형 장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성분 A로서 열가소성을 나타내는 중합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성분 A를 용융시키거나 연화시킴으로써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을 융착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성분 A는 또한 적어도 이의 일부가 복합형 장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으면 안된다. 성분 A가 노출되지 않으면, 이의 융착에 따라 다른 복합형 장섬유와 결합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성분 B는 이의 융점이 성분 A보다 3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6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40℃ 높은 것이다. 두 성분의 융점 차이가 30℃ 미만이면, 성분 A를 용융시키거나 연화시키는 경우, 성분 B도 연화되거나 약화되기 쉬워지며,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형태가 파괴되는 경우가 생겨, 형성된 융착구역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두 성분의 융점 차이가 180℃를 초과하면 복합형 장섬유 자체를 복합 용융방사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성분 A나 성분 B의 융점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즉, 시차주사열량계(퍼킨 엘머사 제품, DSC-2C형)를 사용하고, 승온속도 20℃/min으로 실온에서 승온시켜 수득한 융해 흡수곡선의 극한값을 부여하는 온도를 융점으로 한다. 또한, 성분 A와 성분 B는 비상용성의 중합체여야만 한다. 이것은, 성분 A와 성분 B와의 친화성을 저하시키고 성분 A와 성분 B를 쉽게 박리시키기 위함이다. 즉, 복합형 장섬유에서 섬유 분할의 기술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성분 A 및 성분 B 모두 복합형 장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쪽이 섬유 분할의 기능이 보다 향상된다.First, the composite fila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mposite long fiber is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A and whose melting point is 30 to 180 ° 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The component A is at least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filament. The reason for using a polymer exhibiting thermoplasticity as component A is to fuse the composite long fibers together by melting or softening component A. Thus, component A must also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at least a portion thereof. If component A is not exposed, it cannot bond with other composite long fibers due to its fusion. In addition, component B has a melting point of 30 to 180 캜, preferably 40 to 160 캜, most preferably 50 to 140 캜 higher than component A. If the melting poi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ponents is less than 30 ° C., when component A is melted or softened, component B is also softened or weakened, and the fiber form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may be broken, thereby causing the mechanical formation of the formed fusion zone. This is because the strength is lowered. On the contrary, when the melting point difference of two components exceeds 180 degreeC, it becomes difficult to manufacture composite long fiber itself by the composite melt spinning method. In addition, melting | fusing point of component A or component B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at is, the melting point is a temperature at which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erkin Elmer Co., DSC-2C type) is used to give an extreme value of the melting absorption curve obtain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at room temperature at a heating rate of 20 ° C / min. In addition, components A and B must be incompatible polymers. This is to lower the affinity between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and to easily peel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That is, to give a technique of fiber splitting in the composite long fibers. In addition,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ar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filament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 of fiber splitting.

성분 A와 성분 B의 구체적인 조합(성분 A/성분 B)으로서는 폴리아미드계 중합체/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중합체/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중합체/폴리아미드계 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중합체로서는 나일론 6, 나일론 4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서는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분 A 또는 성분 B 속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윤활제, 안료, 광택 제거제, 열안정화제, 내광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전기전도제 및 축열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As a specific combination (component A / component B)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 polyamide type polymer / polyester type polymer, a polyolefin type polymer / polyester type polymer, a polyolefin type polymer / polyamide type polymer, etc. can be used. As the polyester polym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or copolyester having these as main components can be used. As the polyamide polymer, nylon 6, nylon 46, nylon 66, nylon 610 or copolymerized nylon having these as main components can be used. As the polyolefin polymer, polyprop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in component A or component B, lubricants, pigments, gloss removers, heat stabilizers, light resistant agent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electrical conductive agents and heat storage agents and the like may be added as desired.

복합형 장섬유에 있어서 성분 A와 성분 B의 복합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지장이 없다. 구체적으로는, 복합형 장섬유의 횡단면이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형태가 되도록 복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는 적어도 복합형 장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며, 또한 성분 A와 성분 B 모두 복합형 장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면에서 사선 부분으로 나타낸 부분이 성분 B이고 산포된 점 부분이 성분 A이다. 또한, 제2도에서 사선도 산포된 점도 아닌 중심 부분은 공동(空洞)일 수 있으며(중공섬유), 또한 성분 A 및 성분 B 이외의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복합형 장섬유는 단면이 거의 원형이며 점대칭형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형 단면으로 비대칭형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성분 A와 성분 B를 복합시킬 때의 양적 비율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지만, 일반적으로 성분 A/성분 B는 20 내지 80/80 내지 20(중량부)이다. 성분 A가 20중량부 미만으로 되면, 융착에 의한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수득한 부직포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부여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생긴다. 반대로, 성분 A가 80중량부를 초과하면,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의 융착이 심해져서 융착구역에 커다란 구멍이 생성되며, 결과적으로 수득한 부직포의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The composite method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in a composite long fiber does not interfere with any form as long as the above requirements are satisfied.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compoun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a composite filament becomes the form shown in FIG. 1 thru | or FIG. Component A needs to be exposed at least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long fiber, and both component A and component B may be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long fiber.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iagonal line in the figure is component B and the scattered point portion is component A. In addition, in FIG. 2, the non-scattered central portion may be hollow (hollow fiber), and may also be formed of a polymer component other than component A and component B. The composite filament shown in the figure is almost circular in cross-section and point symmetric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symmetrical in cross-section. Although the quantitative ratio at the time of combining component A and component B can also be determined arbitrarily, component A / component B is generally 20-80 / 80-20 (weight part). When the component A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composite long fibers due to fusion decreases, which tends to make it difficult to impart sufficient tensile strength to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On the contrary, when the component A exceeds 80 parts by weight, the fusion between the composite long fibers becomes severe and large holes are formed in the fusion zone, resulting in a tendency for the tensile strength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to decrease.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형 장섬유의 섬도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d인 것이 양호하다. 복합형 장섬유의 섬도가 2d 미만이면, 복합형 장섬유가 너무 가늘어져 제조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생긴다. 반대로, 섬도가 12d를 초과하면, 복합형 장섬유가 너무 굵어지므로, 낮은 단위면적당 중량으로 품질이 양호한 섬유 웹을 수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발생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neness of the composite fila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it is preferably 2 to 12 d. If the fineness of the composite filament is less than 2d, the composite filament becomes too thin and tends to be difficult to manufacture. Conversely, if the fineness exceeds 12d, the composite long fibers become too thick, which tends to make it difficult to obtain high quality fibrous webs at low weight per unit area.

상기한 바와 같이 복합형 장섬유를 사용하여 이것을 집적시켜 섬유 웹이 형성된다. 복합형 장섬유의 제조 및 섬유 웹의 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우선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를 준비한다. 그리고 성분 A에 대하여 비상용성이고 융점이 성분 A의 융점보다 30 내지 180℃ 높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를 준비한다. 그리고, 두 성분 A 및 B를 복합 방사구금을 구비한 용융방사장치에 도입하여, 종래 공지된 복합 용융방사법에 따라 복합형 장섬유를 수득한다. 복합 방사구금에 성분 A와 성분 B를 도입할 때, 적어도 성분 A의 일부가 수득된 복합형 장섬유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성분 A와 성분 B를 용융방사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융점보다 20 내지 60℃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양호하다. 따라서, 성분 A와 성분 B의 융점차이가 180℃를 초과하면, 용융 상태인 성분 B의 열적 영향에 의하여 성분 A가 이의 융점보다 매우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성분 A가 분해되거나 약화될 염려가 있다. 방사온도가 상기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면, 방사속도를 고속도로 하기 어려워지며, 또한 세데니어의 복합형 장섬유를 수득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방사온도가 상기한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높으면, 성분 A와 성분 B의 유동성이 커져서 용융방사시에 사절(絲切)이 빈발하는 경향이 생긴다. 사절이 일어나면, 절단 끝부분이 구슬모양의 덩어리로 되며, 수득한 부직포 속에 이러한 덩어리가 혼재되어 부직포의 품위가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성분 A와 성분 B의 유동성이 커지면, 방사구멍 부근이 오염되기 쉬워져서 일정한 시간마다 방사 구멍의 세정이 필요해지고 조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brous web is formed by integrating it using a composite long fiber.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and the formation of the fibrous web are preferably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method. That is, first,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such as the polyolefin polymer described above is prepared. And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which is incompatible with component A and whose melting point is 30 to 180 ° 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component A. Then, the two components A and B are introduced into a melt spinn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mposite spinneret to obtain a composite long fib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ly known composite melt spinning method. When introducing component A and component B into the composite spinneret, at least part of component A must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obtained composite filament. In melt-spinning component A and component B, it is good to heat at the temperature which is 20-60 degreeC higher than each melting | fusing point. Thus,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exceeds 180 ° C., component A is heated to a temperature much higher than its melting point due to the thermal effect of component B in a molten state, and component A may be decomposed or weakened. If the spinn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range, it is difficult to speed up the spinning speed, and it is also difficult to obtain a composite long fiber of cedenier. On the contrary, when the spinning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range, the fluidity of the components A and B becomes large, resulting in a tendency of frequent trimming during melt spinning. When trimming occurs, the cutting end becomes a bead-like lump, and such agglomerates are mixed in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which tends to reduce the quality of the nonwoven fabric. Moreover, when the fluidity | liquidity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becomes large, it becomes easy to be polluted in the vicinity of a spinning hole, and it requires a washing | cleaning of a spinning hole every fixed time, and there exists a tendency for operation property to fall.

용융방사된 복합형 장섬유는 그 후 냉각되어 에어 서커로 도입된다. 에어 서커는 통상적으로 에어 제트라고도 하며 공기의 흡인과 송출작용으로 섬유의 반송과 섬유의 연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에어 서커에 도입된 복합형 장섬유들은 연신되면서 에어 서커의 출구로 반송된다. 그리고, 에어 서커의 출구에 설치된 개섬장치를 사용하여 복합형 장섬유들을 개섬시킨다. 개섬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방법, 예를들면, 코로나 방전법이나 마찰 대전법 등이 채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섬된 복합형 장섬유는 이동하는 금속망 등의 포집 컨베이어 위에 집적되어 섬유 웹이 형성된다.The melt spun composite long fibers are then cooled and introduced into the air circus. An air circulator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n air jet, which carries out the conveyance of the fibers and the stretching of the fibers by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The composite long fibers introduced to the air circl are drawn and conveyed to the outlet of the air circus. Then, the composite filaments are opened using a carding machine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air circus. As the opening method,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such as a corona discharge method, a triboelectric charging method, or the like is adopted. In addition, the composite long fibers thus opened are integrated on a collecting conveyor such as a moving metal net to form a fibrous web.

이러한 섬유 웹의 소정 구역에서 두께 방향으로 상호간에 열을 가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의 성분 A만을 연화시키거나 용융시키고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을 융착시켜 융착구역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소정 구역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예를들면, 섬유 웹 속에 산포된 점 모양 또는 격자상 등의 형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소정 구역에서 열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 거의 동일한 정도의 온도로 되도록 가해진다. 열이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제공되지 않고 섬유 웹의 표면 또는 이면(裏面)에만 가해지면, 섬유 웹의 중간층에서 복합형 장섬유의 성분 A가 충분하게 연화되거나 용융되지 않으며,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충분하게 융착되지 않고, 수득된 부직포의 인장강도의 향상이 도모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열의 부여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요철 롤과 평활 롤로 이루어진 엠보싱 장치 또는 한 쌍의 요철 롤로 이루어진 엠보싱 장치를 사용하며, 요철 롤을 가열하고 섬유 웹에 볼록 부분을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 양호하다. 이때, 요철 롤은 성분 A의 융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 롤이 성분 A의 융점을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되어 있으면, 섬유 웹에 압력을 가하여 누른 볼록 부분 이외의 구역에서도 성분 A가 융착되며, 융착구역의 면적이 소정 비율보다도 많아져서, 수득된 부직포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요철 롤의 볼록 부분의 선단면 형상은 환형, 타원형, 능형(菱形), 삼각형, T형, 우물정자형(井字形) 또는 격자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융착구역은 초음파 용착장치를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초음파 용착장치는 섬유 웹의 소정의 구역에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이러한 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의 상호간의 마찰열로 성분 A를 용융시키는 것이다.Heat is applied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such a fibrous web. In this zone, only the component A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s softened or melted and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fused to each other to form a fusion zone. These predetermined zones are spaced apart, for example, arranged in the form of dots or grids scattered in the fibrous web. In addition, heat is applied in such a predetermined zone so that the temperature is approximately equal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heat is applied only to the surface or back side of the fibrous web without providing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component A of the composite long fiber does not sufficiently soften or melt in the middle layer of the fibrous web, and the composite long fiber mutual is sufficien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not fused, and improvement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is not intended. As a method of applying such heat, for example, an embossing device composed of an uneven roll and a smooth roll or an embossing apparatus composed of a pair of uneven rolls is used, and the uneven roll is heated and pressed by applying a convex portion to the fibrous web.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neven | corrugated roll is heated to the temperature below melting | fusing point of component A. When the uneven roll is heated to a temperature exceeding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the component A is fus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convex portion press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fibrous web, and the area of the fusion zon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atio, so that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There is a tendency for the flexibility to deteriorate. Moreover, the shape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convex part of the uneven roll can adopt any shape such as annular shape, elliptical shape, ridge shape, triangle shape, T shape, well sperm shape or lattice shape. The fusion zone may also be formed using an ultrasonic welding device. The ultrasonic welding device melts component A by frictional heat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n such a zone by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to a predetermined zone of the fibrous web.

융착구역은 섬유 웹 내에 원하는 비율로 형성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득된 부직포의 전체 면적에 대해 5 내지 50%로 되는 비율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융착구역이 5% 미만이면, 부직포의 인장강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 반대로, 융착구역이 50%를 초과하면, 복합형 장섬유가 융착되어 있는 구역이 많지 않아, 수득된 부직포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The fusion zone can be formed in the fibrous web at a desired ratio,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t a ratio of 5 to 50% of the total area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If the fusion zone is less than 5% of the total area of the nonwoven fabric, the tensil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tends to be lowered. On the contrary, when the fusion zone exceeds 50%, there are not many zones in which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fused, so that the flexibility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tends to be lowered.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융착된 섬유 플리스를 수득한다. 그리고, 이러한 섬유 플리스에 마찰가공을 실시한다. 마찰가공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섬유 플리스를 롤에 도입시킬 때, 도입속도를 방출속도보다 빠르게 하여 섬유 플리스를 굴곡시키는 좌굴 압축법(座屈 壓縮法), 섬유 플리스에 고압 액체류를 보내는 고압 액체류 처리법(Jet current method)을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복합형 장섬유를 섬유 분할시키는 마찰작용을 섬유 플리스에 가하는 방법이라면 임의의 방법을 적용시킬 수 있다. 좌굴 압축법을 채용하는 경우, 마이크렉스사의 마이크로크레이퍼기나 우에노야마키고사의 캠피트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압 액체류 처리법을 채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고압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액체류 처리법의 경우, 섬유 플리스가 물을 흡수하므로, 처리 후에 건조시킬 필요가 있지만, 좌굴 압착법의 경우, 이러한 경우가 없으므로, 건조공정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하다.As described above, a fiber fleece is obtained in which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fused together in a predetermined region. Then, the fiber fleece is subjected to friction processing. As the friction processing method, for example, when the fiber fleece is introduced into a roll, the buckling compression method of bending the fiber fleece by introducing the fiber at a higher speed than the discharge rate, and a high pressure liquid which sends a high pressure liquid stream to the fiber fleece. Jet current method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such a method, any method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is a method of applying the friction action for splitting the fiber of the composite long fiber to the fiber fleece. In the case of employing the buckling compression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a microcracker machine of a MLEXEX company, a camfit machine of Ueno Yamaki Kogyo Co., Ltd., and the like. Moreover, when employ | adopting the high pressure liquids process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high pressure liquid dyeing machine generally used. In the case of the high pressure liquids treatment method, the fiber fleece absorbs water, so it is necessary to dry it after the treatment, but in the case of the buckling crimping method, there is no such case, so the drying step is unnecessary and economically advantageous.

이러한 마찰가공에 의한 섬유 분할처리는 니들 펀칭법이나 고압 수주류법(Water-Jet needle method)에 의한 처리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즉, 니들 펀칭법이나 고압 수주류법에 의한 처리는 니들 침이나 수주류가 관통하는 곳에서는 양호하게 섬유 분할되지만, 관통하지 않는 곳에서는 섬유 분할되기 어려워서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 비율이 낮은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마찰가공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실시되므로, 섬유 분할을 고비율로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니들 펀칭법이나 고압 수주류법에 의한 처리의 경우, 니들 침이나 고압 수주류가 융착구역을 관통하여 융착구역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마창가공은 고충격력을 발휘하는 이물질을 관통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융착구역이 파괴되거나 손상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니들 펀칭법이나 고압 수주류법에 의한 처리의 경우, 커다란 운동 에너지를 섬유에 제공하므로, 분할된 섬유끼리 3차원 교락되어 벌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마찰가공은 커다란 운동 에너지를 섬유에 제공하지 않으므로, 분할된 섬유끼리 실질적으로 3차원 교락되지 않으며 섬유 분할된 당초의 벌크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Fiber-dividing treatment by such friction processing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reatment by needle punching method or water-jet needle method. That is, when the needle punching method or the high-pressure water liquor treatment is used, the fiber splits well in the place where the needle needle or the liquor penetrates, but it is difficult to divide the fiber where it does not penetrate. There is. On the other hand, since fri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uniformly as a whole,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fiber division can be performed in high ratio. In addition, in the case of treatment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or the high pressure water liquor method, there is a fear that the needle needle or the high pressure water liquor penetrates the fusion zone and destroys or damages the fusion zone. On the contrary, since the horseshoe processing does not penetrate foreign materials exhibiting high impact, the welding area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stroy or damage the fusion zo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reatment by the needle punching method or the high pressure water liquor method, since a large kinetic energy is provided to the fibers, the divided fibers tend to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and the bulkiness tends to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since friction processing does not provide a large kinetic energy to the fi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vided fibers are not substantially three-dimensionally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the bulkiness of the originally divided fiber is not greatly reduced.

이상과 같은 마찰가공에 의해 융착구역 이외의 구역, 즉 비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가 섬유 분할되어 성분 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A 및 성분 B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B가 생성된다. 비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의 정도, 즉 할섬율(割纖率)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9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섬율은 비융착구역에 존재하는 복합형 장섬유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길이가 섬유 분할되는가로 결정되는 것이며, 예를들면, 10m의 복합형 장섬유 중에서 7m가 섬유 분할되고 3m가 섬유 분할되지 않은 미분할 섬유의 복합형 장섬유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 할섬율는 70%로 된다. 복합형 장섬유의 섬도보다도 미세한 섬도인 섬유 A 및 섬유 B가 생성됨으로써, 비융착구역은 유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벌크화 되므로 보온성도 향상된다. 한편, 융착구역에 존재하는 복합형 장섬유는 상호간이 성분 A의 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섬유 분할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As a result of the above frictional processing,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divid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fusion zone, that is, the non-fusion zone, to thereby produce a fiber A composed only of the component A and a fiber B composed only of the component B. The degree of fiber splitting, i.e., the splitting rate,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n the non-fused zone is preferably 70% or more, particularly 95% or more. The splitting rate is determined by how long the fiber is divided with respect to the total length of the composite filaments present in the non-fused zone. For example, among 10 m of the composite filament, 7 m is split and 3 m is fibrous. When the composite long fibers of the undivided fine fibers remain, the splitting ratio is 70%. By producing the finer finer fibers A and B than the fineness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the non-fused zone is improved in flexibility and bulked, thereby improving heat reten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site filaments present in the fusion zone are bonded to each other by fusion of component A, the fiber is rarely divided.

이렇게 하여 수득한 부직포는 제6도와 제7도를 토대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이러한 극세섬유 부직포(6)는 융착구역(11)과 비융착구역(12)으로 이루어지고, 융착구역(11)에서는 복합형 장섬유가 성분 A의 융착으로 인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비융착구역(12)에서는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성된 섬유 A 및 섬유 B가 실질적으로 결합되거나 실질적으로 교락되지 않고 집적되어 벌크하게 되어 있다.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성된 성분 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A의 섬도로서는 0.05 내지 2.0d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성분 B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B의 섬도로서는 0.02 내지 0.8d가 바람직하다. 섬유 A와 섬유 B의 섬도는 동일할 수도 있지만, 섬유 A의 편이 상대적으로 굵은 데니어인 경우(섬유 B의 섬도의 1.5 내지 3배 정도의 굵기)가 많다. 이는, 제1도 또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복합형 장섬유, 즉 성분 B는 복합형 장섬유의 표면에 다수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는 반면, 성분 A는 복합형 장섬유의 중심부에 분할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복합형 장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nonwoven fabric thus obtained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6 and FIG. That is, the microfiber nonwoven fabric 6 is composed of a fusion zone 11 and a non-fusion zone 12, and in the fusion zone 11,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due to the fusion of component A, non-fusion Zone 12 has the fibers A and Fiber B produced upon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being integrated and bulked without being substantially bonded or substantially entangled. As fineness of fiber A which consists only of component A produced | generated by the fiber division of a composite long fib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05-2.0d. On the other hand, as fineness of fiber B which consists only of component B, 0.02-0.8d is preferable. The fineness of the fiber A and the fiber B may be the same,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fiber A is relatively thick denier (a thickness of about 1.5 to 3 times the fineness of the fiber B). This means that the composite long fibers as shown in FIGS. 1 or 4, that is, component B is arranged in large numbers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while component A is divided in the center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This is because the composite long fibers may be used without being disposed.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길이는 무한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긴 것이며, 따라서 복합형 장섬유는 융착구역(11)과 비융착구역(12)에 걸쳐있다. 즉, 융착구역(11)에서는 복합형 장섬유는 성분 A의 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합형 장섬유가 비융착구역(12)에 이르러 섬유 분할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6)는 다수의 복합형 장섬유가 집적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복합형 장섬유는 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융착구역(11)에 존재하는 부위는 성분 A의 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비융착구역(12)에 존재하는 부위는 섬유 분할되어 섬유 A 및 섬유 B를 생성시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6)는 비융착구역(12)의 섬유와 융착구역(11)의 섬유가 연속되어 고인장강도를 실현하는 것이다.The fiber length of the composite fila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o long that it can be said to be infinite, and thus the composite filament spans the fusion zone 11 and the non-fusion zone 12. That is, in the fusion zone 11,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fusion of component A, and the composite long fibers reach the non-fusion zone 12 and are divided into fibers. As described above, the microfiber nonwoven fabric 6 obtain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site long fibers, and each composite long fiber is present in the fusion zon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sites that are joined together by fusion of component A and are present in non-fusion zone 12 are those that are split into fibers to produce fibers A and B. Therefore, the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6 obtain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fibers of the non-fused region 12 and the fibers of the fused region 11 are continuous to realize high tensile strength.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의 전체로서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지만, 일반적으로 10 내지 250g/㎡ 정도이다. 이 중에서 비교적 단위면적당 중량이 작은 극세섬유 부직포는 침대 시트, 베개 커버 등의 침구류, 생리용 냅킨이나 1회용 기저귀 등의 위생재료의 흡수재, 가정용 또는 공업용의 기름 흡착재 등의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한, 비교적 단위면적당 중량이 큰 극세섬유 부직포는 필터재, 침대나 침구의 내부 솜, 증량재, 카펫이나 인공 피혁용 기포(基布), 원예나 묘포의 비료 흡수재, 건축물이나 벽 속의 보온재 등의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된다.The weight per unit area as a whole of the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but is generally about 10 to 250 g / m 2. Among these, microfiber nonwoven fabrics having a relatively small weight per unit area are suitably used for bed sheets, pillow covers, beddings, sanitary napkins, sanitary napkins, disposable diapers, and home or industrial oil absorbers. . In addition, the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per unit area includes a filter material, an inner pad of a bed or bedding, an extender, a foam for carpet or artificial leather, an absorber for horticulture or seedlings, and an insulating material for a building or a wall. It is suitably used for the purpose.

[실시예 1]Example 1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로서, 융점이 130℃에서 용융지수값[ASTM D1 238(E)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측정]이 20g/10min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준비한다. 한편,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로서 융점이 258℃이며 테트라클로로에탄과 페놀의 등량 혼합 용매로 용해시킬 때 20℃에서의 상대 점도가 1.38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준비한다. 그리고 성분 A와 성분 B를 사용하여 복합 용융방사시킨다. 이때, 노즐 구금 구멍수가 162개인 방사구금을 구비하는 동시에 추(錐)수가 4개인 복합 방사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단일 구멍 토출량이 1.20g/min이고, 또한 성분 A의 토출량이 0.60g/min으로, 성분 B의 토출량이 0.60g/min으로 되도록 복합 용융방사한다. 또한, 방사온도는 성분 A에 대해서는 230℃로 하고 성분 B에 대해서는 285℃로 한다.As the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a high-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melting point of 130 g / min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ASTM D1 238 (E)) at 20 ° C is prepared. On the other hand, as the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melting point of 258 ° C and a relative viscosity at 20 ° C of 1.38 when dissolved in an equivalent mixed solvent of tetrachloroethane and phenol is prepared. And composite melt spinning is carried out using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t this time, a spinneret having 162 nozzle detention holes is provided and a composite spinner having four additional weights is used. The single hole discharge amount is 1.20 g / min, the component A is discharged at 0.60 g / min, and the composite melt spinning is performed so tha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mponent B is 0.60 g / min. The spinning temperature is 230 ° C for component A and 285 ° C for component B.

복합 용융방사한 다음, 방사구금 밑에서 120cm의 위치에 배치된 1추당 6개의 에어 서커를 통하여 복합형 장섬유를 견인하고 4000m/min의 속도로 권취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복합형 장섬유는 이의 횡단면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태이며, 이의 섬도가 2.70d이다. 이어서, 견인된 복합형 장섬유들을 코로나 방전으로 개섬하고, 이동하는 컨베이어 네트 위에 퇴적시켜 섬유 웹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섬유 웹을 120℃로 가열된 요철 롤과 120℃로 가열된 평활 롤 사이에 도입시킨다. 그 결과, 요철 롤의 볼록 부분에 접한 섬유 웹의 구역이 두께 방향에 걸쳐 가열되고 복합형 장섬유의 폴리에틸렌이 연화되어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융착된다. 요철 롤의 볼록 부분에 대응하는 융착구역은 산포된 점 모양으로 배치되며, 이의 총 면적은 부직포 표면적에 대하여 14%이다.After the composite melt spinning, the composite filaments are pulled out and wound at a speed of 4000 m / min through six air circulators per head placed 120 cm below the spinneret. The composite filament thus obtained has a form whose cross section is shown in FIG. 1, and its fineness is 2.70 d. The pulled composite long fibers are then opened with corona discharge and deposited on a moving conveyor net to form a fibrous web. This fibrous web is introduced between the uneven roll heated to 120 ° C. and the smoothing roll heated to 120 ° C. As a result, the region of the fibrous web in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of the uneven roll is heated over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polyethylene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s softened to fuse the composite long fibers together. The fusion zones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s of the uneven rolls are arranged in a scattered dot shape, the total area of which is 14% of the nonwoven surface area.

상기한 바와 같이, 융착구역에서는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결합되며 비융착 구역에서는 복합형 장섬유가 단순하게 집적된 섬유 플리스를 수득한다. 이러한 섬유 플리스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마찰가공을 실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마이크렉스사 제품인 마이크로크레이퍼(11)이며, 그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즉, 가공속도를 10m/min, 공급 롤(1 및 2)의 닢 압력을 6kg/㎠, 상부 리타더(3)의 압력을 3kg/㎠, 공급 롤(1 및 2)의 온도를 50℃, 하부 리타더(4)의 압력을 5kg/㎠, 공급 롤(1 및 2) 사이의 접압 중심점과 상부 리타더(3)의 거리를 5mm, 공급 롤(1 및 2) 사이의 접압 중심점과 하부 리타더(4)의 거리를 10mm로 한다. 또한, 제5도에서 (5)는 섬유 플리스이고 (6)은 수득된 극세섬유 부직포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usion zone, the composite filaments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in the non-fusion zone, the fiber fleece is obtained in which the composite filaments are simply integrated. The fiber fleece is subjected to friction processing using an apparatus as shown in FIG. Such a device is a microcraper 11 manufactured by MICLEX Corporation, and the conditions are set as follows. That is, the processing speed is 10 m / min, the pressure of the feed rolls 1 and 2 is 6 kg / cm 2, the pressure of the upper retarder 3 is 3 kg / cm 2, the temperature of the feed rolls 1 and 2 is 50 ° C., The pressure of the lower retarder 4 is 5 kg / cm 2, the contact center point between the supply rolls 1 and 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retarder 3 is 5 mm, and the contact center point between the supply rolls 1 and 2 and the lower rita The distance of the blade 4 is 10 mm. In Fig. 5, (5) is a fiber fleece and (6) is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obtained.

위와 같이 하여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는, 비융착구역에서 마찰가공에 의해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로 생성된 0.17d의 극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1.4d의 폴리에틸렌 섬유가 혼재되어 집적되어 있고, 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 중에서 폴리에틸렌의 융착에 의해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비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의 할섬율은 95%이다. 그리고, 이러한 극세섬유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0g/㎡이다.The ultrafine fibrous nonwoven fabric obtained as above is a mixture of 0.17d ultrafi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and 1.4d polyethylene fiber, which are formed by the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 by friction processing in the non-fusion zone, and are integrated and fused. In the zone,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fusion of polyethylene in the composite long fibers. At this time, the splitting rate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n the non-fusion zone is 95%. In addition,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is 50 g / m 2.

[실시예 2]Example 2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로서 융점이 225℃이고 96%의 진한 황산을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한 상대 점도가 2.57인 나일론 6을 준비한다. 한편,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준비한다. 그리고, 성분 A와 성분 B를 사용하여 복합 용융방사한다. 이때, 방사 구멍으로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을 갖는 복합형 장섬유를 수득할 수 있는 16분할용 중공방사형 복합 방사구멍을 사용하고 성분 A의 방사온도를 270℃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용융방사를 실시한다.As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nylon 6 is prepared having a melting point of 225 ° C. and a relative viscosity of 2.57 measured at 25 ° C. using 96% concentrated sulfuric acid. On the other hand, the sam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that used in Example 1 was prepared as the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Then, composite melt spinning is performed using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t this time, Example 1 was used as the spinning hole using a 16-slot hollow spinning composite spinning hole for obtaining a composite long fiber having a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2 and setting the spinning temperature of component A to 270 ° C. Composite melt spinning i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ollowing.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에어 서커로 견인하고 이의 횡단면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이며 이의 섬도가 2.7d인 복합형 장섬유를 수득한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웹을 형성시키고 요철 롤과 평활 롤의 온도를 210℃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플리스를 수득한다 .이러한 섬유 플리스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마찰가공을 실시하여 극세섬유 부직포를 수득한다.The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composite filament having a shape drawn as shown in FIG. 2 and having a fineness of 2.7 d with a cross section thereof is obtained. Subsequently, a fibrous fleec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brous web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temperature of the uneven roll and the smoothing roll was set to 210 ° C. The processing is carried out to obtain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는, 비융착구역에서 마찰가공에 의해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성된 0.17d의 극세 나일론 6 섬유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혼재되어 집적되어 있으며, 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 중의 나일론 6의 융착에 의해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비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의 할섬율은 82%이다. 그리고 이러한 극세섬유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0g/㎡이다.The obtained microfiber nonwoven fabric is a mixture of 0.17d ultrafine nylon 6 fib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produced by the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by friction processing in the non-fusion zone, and is mixed in the fusion zone. Composite long fi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fusion of nylon 6 in the long fibers. At this time, the splitting rate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n the non-fusion zone is 82%. And the weight per unit area of such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is 50g / ㎡.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섬유 플리스에 로코형 액류 염색기(호쿠리쿠가코키 제품)를 사용하여 마찰가공을 실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가공과 동시에 섬유 플리스 속의 나일론 6 성분과 마찰가공으로 생성되는 나일론 6 극세섬유에 염색을 실시한다 .염색조건은 산성 염료로서 Blue FFB(스미토모가가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0.2% o.w.f., 균염제로서 미그레갈 WA-10(셀카 제품) 0.5g/ℓ 및 아세트산을 pH 5로 되도록 용해시킨 2000ℓ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또한, 섬유 플리스에 액류를 가하는 조건은 온도 100℃, 섬유 플리스의 속도 100m/min, 노즐 압력 3kg/㎤ 및 시간 1시간으로 한다. 로코형 액류 염색기로 마찰 가공과 염색가공을 실시한 다음, 탈수, 건조시켜 극세섬유 부직포를 수득한다.The fiber fleece obtained in Example 2 was subjected to friction processing by using a Rocco type liquid dyeing machine (manufactured by Hokuriku Chemical Co., Ltd.). At the same time, dyeing is performed on nylon 6 components in the fiber fleece and nylon 6 microfibers produced by friction processing. The dyeing condition is an acid dye, which is 0.2% of Blue FFB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It is carried out using owf, an aqueous solution of 2000 g in which 0.5 g / l of Migregal WA-10 (Selka) and acetic acid are dissolved to pH 5 as a leveling agent. In addition, the conditions which apply liquid flow to a fiber fleece are made into temperature 100 degreeC, the speed of a fiber fleece 100m / min, nozzle pressure 3kg / cm <3>, and time 1 hour. After rubbing and dyeing with a Roco type dyeing machine, dehydration and drying are performed to obtain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는, 비융착구역에서 마찰가공에 의해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성된 0.17d의 극세 나일론 6 섬유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혼재되어 집적되어 있으며, 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 중의 나일론 6의 융착에 의해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비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의 할섬율은 88%이다. 그리고, 이러한 극세섬유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0g/㎡이다.The obtained microfiber nonwoven fabric is a mixture of 0.17d ultrafine nylon 6 fib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produced by the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by friction processing in the non-fusion zone, and is mixed in the fusion zone. Composite long fi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fusion of nylon 6 in the long fibers. At this time, the splitting rate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n the non-fusion zone is 88%. In addition,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is 50 g / m 2.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을 준비한다. 방사 구멍으로서 제2도에 도시한 유형의 단면을 갖는 복합형 장섬유가 수득되도록 48분할용(각각 24분할로 이루어진다) 중공방사형 복합 방사 구멍을 사용한다. 이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의 토출량의 비를 1.5/1로 한다. 그리고, 성분 A의 방사온도를 270℃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용융방사를 실시한다.Prepare the sam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as used in Example 1. As the spinning hole, a hollow spinning composite spinning hole for 48 divisions (each consisting of 24 divisions) is used so that a composite long fiber having a cross section of the type shown in FIG. 2 is obtained. 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shall be 1.5 / 1. And composite melt spinning is performed like Example 1 except having set the spinning temperature of the component A to 270 degreeC.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에어 서커로 견인하고, 이의 단면도가 제2도에 도시한 형태인 섬도 2.0d의 복합형 장섬유를 수득한다. 이어서, 컨베이어벨트 속도를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웹을 형성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플리스를 수득한다. 이러한 섬유 플리스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마찰가공을 실시하여 극세섬유 부직포를 수득한다.The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resultant was pulled by an air circus, and a composite long fiber having a fineness of 2.0 d having a cross sectional view shown in FIG. 2 was obtained. Subsequently, the fiber web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veyor belt speed is changed, and the fiber fleece i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fiber fleece was subjected to the same friction processing as in Example 1 to obtain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는 비융착구역에서 마찰가공에 의해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성된 0.03d의 극세 폴리에틸렌 섬유와 0.05d의 극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혼재되어 집적되어 있으며, 융착구역에서 복합형 장섬유 중의 폴리에틸렌의 융착으로 인해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비융착구역에서의 복합형 장섬유의 할섬율은 73%이다. 그리고, 이러한 극세섬유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25g/㎡이다.The obtained microfiber nonwoven fabric is a mixture of 0.03d ultrafine polyethylene fibers and 0.05d ultrafi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produced by the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by friction processing in the non-fusion zone. Due to the fusion of polyethylene in the composite long fibers,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plitting rate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n the non-fusion zone is 73%. In addition,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is 25 g / m 2.

[실시예 1 내지 4에 관한 극세섬유 부직포의 특성][Characteristics of the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실시예 1내지 4에 관한 방법으로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에 대해서 다음의 특성치를 측정한다. 그리고, 표 1에 이의 결과를 기재한다.The following characteristic values were measured about the microfiber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Examples 1-4. And Table 1 shows the result.

(1) 인장강력(kg/5cm) : JIS L-1096에 기재된 스트립법에 준하여, 시료 길이 10cm, 시료 폭 5cm의 시료편을 10개 준비하고 각 시료편마다 부직포의 세로(MD) 및 가로(CD) 방향에 대해 정속 인장 시험기(도요볼드윈사 제품, 텐실론 UTM-4-1-100)를 사용하여 인장속도 10cm/min으로 신장시키며, 수득한 최대 하중치의 평균치를 100g/㎡의 단위면적당 중량으로 환산한 값을 인장강력으로 한다.(1) Tensile strength (kg / 5cm): In accordance with the strip method described in JIS L-1096, ten specimens having a sample length of 10 cm and a sample width of 5 cm were prepared, and the length (MD) and width ( CD) direction was extended at a tensile speed of 10 cm / min using a constant speed tester (Tylonlon UTM-4-1-100, manufactured by Toyoboldwi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aximum load values obtained was weight per 100 g / m 2. The value converted into is taken as the tensile strength.

(2) 인장신도(%) : 부직포의 세로 방향(MD)에 대하여 상기한 인장강력과 동시에 측정하고 최대 강력시의 신도를 읽고 그 평균값을 인장신도로 한다.(2) Tensile Elongation (%): Measure the longitudinal strength (MD) of the nonwoven fabric at the same time as the above tensile strength, read the elongation at maximum strength, and set the average value as the tensile elongation.

(3) 인열강력(kg) : JIS L-1096에 기재된 벤듈럼법에 준하여, 부직포의 세로 방향(MD)에 대해서 시료 길이 6.5cm, 시료 폭 10cm의 시료편을 3개 준비하고, 엘레멘도르프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료의 양쪽을 잡은 중앙에서 긴쪽 변의 거의 중앙에서 긴쪽 변과 직각으로 예리한 칼날을 사용해서 2cm의 금을 긋고 나머지 4.5cm가 인열될 때 나타내는 최대 하중을 각각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인열강도로 한다.(3) Tear strength (kg): According to the bendum method described in JIS L-1096, three sample pieces having a sample length of 6.5 cm and a sample width of 10 cm were prepar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elementdorf type Using a tensile tester, measure the maximum loa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sample from the center of the long side, using a sharp blade at right angles to the long side, and drawing the 2 cm gold and the remaining 4.5 cm of the tear. Heat strength

(4) 압축 강연도(剛軟度)(g) : 시료 길이 10cm, 시료 폭 5cm의 시료편을 5개 준비하고 각 시료편마다 횡방향으로 굴곡시켜 원통 모양으로 하고 이의 끝부분을 각각 접합시킨 것을 측정 시료로 하여 각 측정 시료마다 이의 축 중심 들뜸에 대해 정속 인장 시험기(도요볼드윈사 제품, 텐실론 UTM-4-1-100)를 사용하며 압축속도 5cm/min으로 압축하여 수득된 최대 하중치의 평균치를 압축 강연도로 한다. 이러한 압축 강연도는 값이 작을수록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4) Compressive stiffness (g): Prepare five specimens of 10 cm in length and 5 cm in width, b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r each specimen and make a cylindrical shape, and join the ends of the specimens. Of the maximum load obtained by compressing at a compression rate of 5 cm / min using a constant-speed tensile tester (Tylonlon UTM-4-1-100, manufactured by Toyoboldwin Co., Ltd.) The mean value is referred to as the compressive lecture. Such compressive stiffness means that the smaller the value, the better the flexibility.

(5) 통기도(cc/㎠/sec) : JIS 1-1096에 기재된 프라딜법에 준하여, 시료 길이 15cm, 시료 폭 15cm의 시료편을 3개 준비하고 프라딜형 시험기를 사용하며 원통의 한쪽 끝에 시료를 부착시킨 다음, 가감저항기를 사용하여 흡입 송풍기를 조정하고, 경사형 기압계가 물기둥 1.27cm를 나타내도록 공기를 흡입시키고, 이때 수직기압계가 나타내는 압력과 사용되는 공기 구멍의 종류로부터 시험기에 부속된 표로써 시료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구하고 공기량의 평균치를 통기도로 한다.(5) Air permeability (cc / cm 2 / sec): In accordance with the Pradil method described in JIS 1-1096, three sample pieces having a sample length of 15 cm and a sample width of 15 cm are prepared, and a sample is placed at one end of the cylinder using a pradil type tester. After attaching, adjust the suction blower using the rheostat and inhale the air so that the inclined barometer shows 1.27 cm of water column, using the table attached to the tester from the pressure indicated by the vertical barometer and the type of air hole used. Determine the amount of air that passes through the sample, and let the average value of the amount of air pass through it.

(6) 벌크 밀도(g/㎤) : JIS 1-1096에 기재된 두께 측정에 준하여, 직경이 50mm인 프렛서 푸트 측정기를 사용하며 부직포의 1mm 폭당 동일한 간격으로 다섯군데에 대하여 4g/㎠ 하중의 조건으로 10초 동안 방치하여 두께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두께로 하며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 값을 벌크 밀도로 한다.(6) Bulk density (g / cm 3):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measurement described in JIS 1-1096, using a fresser foot measuring device having a diameter of 50 mm, the conditions of 4 g / cm 2 load for five places at equal intervals per 1 mm width of the nonwoven fabric. The thickness is measured by leaving it for 10 seconds, and the average value is taken as the thickness. The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is used as the bulk density.

벌크 밀도(g/㎤)= 단위면적당 중량(g/㎡)/[두께(mm) × 1000]Bulk density (g / cm 3) = weight per unit area (g / m 2) / [thickness (mm) × 1000]

이러한 벌크 밀도는 값이 작을수록 벌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bulk density means that the smaller the value, the better the bulk property.

표 1Table 1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특정 복합형 장섬유는 감열접착성 섬유로서도, 분할형 섬유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에 착안하여 복합형 장섬유가 집적되어 이루어진 섬유 웹의 소정 구역에서는 감열접착성을 발현시켜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을 융착시키고 섬유 웹의 소정 구역 이외의 구역에서는 분할 섬유의 기능을 발현시켜 복합형 장섬유로부터 극세섬유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수득한 부직포는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융착된 융착 이외의 구역, 즉 비융착구역에서 극세 섬유가 생성되어 집적되어 있으므로, 벌크성이 우수한 동시에 보온성도 우수하고 또한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나타낸다.The specific composite fila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both a heat-sensitive adhesive fiber and a split fiber. In view of these functions, the heat-adhesive property is expres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brous web in which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integrated, and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fused to each other. Microfibers are produced from the composite long fibers. Therefore,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has the effect of excellent bulking properties,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and excellent flexibility because microfibers are produced and accumulat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fusion spliced composite filaments. .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에 있어서는 복합형 장섬유를 분할시키는 수단으로서 마찰가공을 채용한다. 따라서, 니들 펀치법이나 고압 수주류법에 의한 섬유분할의 경우에 비하여 복합형 장섬유가 분할되는 비율이 높다고 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비융착구역에서 섬유 분할이 촉진되고 수득된 부직포의 벌크성, 보온성 및 유연성이 보다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마찰가공으로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을 도모하기 위해 니들 펀치법이나 고압 수주류법과 같은 섬유 플리스 속에 충격력이 높은 이물질이 관통하지 않으며, 따라서 융착구역이 파괴되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적으며, 수득한 부직포의 인장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니들 펀치법이나 고압 수주류법에 의하면, 섬유 분할된 섬유끼리 3차원 교락되기 쉽지만, 본 발명에 관한 마찰가공의 경우에는 섬유 분할된 섬유끼리 3차원 교락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 분할된 섬유의 3차원 교락에 수반되는 비융착구역의 벌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iction processing is employed as a means for dividing the composite long fibers. Therefore, the composite sheet has a higher rate of splitting than the fiber splitting by the needle punch method or the high pressure liquor method. Thus, the effect of promoting fiber splitting in the non-fused zone and improving the bulkiness, warmth and flexibility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is achiev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by friction processing, foreign materials with high impact force do not penetrate into the fiber fleece such as the needle punch method or the high pressure water liquor method, so that the fusion zone is destroyed or damaged. There is littl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can be prevented from decreas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le punch method or the high-pressure water liquor method, the fibers divided fibers are easily three-dimensionally entangled, but in the fri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s divided fibers are not three-dimensionally entangl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preventing the bulk deterioration of the non-fused region accompanying the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of the fiber-divided fibers.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에 있어서는 소정 구역의 두께 방향에 걸쳐 열을 가하기 때문에, 당해 구역에 존재하는 복합형 장섬유는 거의 완전하게 상호간이 융착되어 있다. 또한, 융착구역과 비융착구역에 존재하는 섬유는 그 상태는 상이하지만 모두 동일한 복합형 장섬유에서 유래하는 것이며, 복합형 장섬유가 융착구역과 비융착구역에 걸치는 동시에 비융착구역은 극세 장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수득한 극세섬유 부직포에 있어서 각각의 복합형 장섬유는 필연적으로 융착구역에서 융착되어 있으며 융착구역 상호간은 극세섬유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극세섬유 부직포에 인장력을 부여해도 융착구역이나 비융착구역이 파괴되기 어려우며 높은 인장강력을 발휘하는 효과를 나타낸다.Further,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 is applied over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edetermined zone, and the composite long fibers present in the zone are almost completely fused together. In addition, the fibers in the fusion zone and the non-fusion zon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derived from the same composite long fiber, and the composite long fibers span the fusion zone and the non-fusion zone, while the non-fusion zone is the ultrafine long fiber. It is formed. Therefore, in the microfiber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site filament is necessarily fused in the fusion zone, and the fusion zo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icrofine fiber. Therefore, even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such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the fusion zone or the non-fusion zone is hard to be destroyed, and the high tensile strength is exerted.

Claims (4)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와 성분 A에 대하여 비상용성이고 또한 융점이 성분 A의 융점보다 30 내지 180℃ 높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가 복합되는 동시에 적어도 성분 A가 이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복합형 장섬유로 형성된 극세섬유 부직포로서, 복합형 장섬유 속의 성분 A만이 연화되거나 용융됨으로써,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이 융착되어 이루어진 융착구역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융착구역 이외의 비융착구역에서는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긴 성분 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A, 복합형 장섬유의 섬유 분할에 따라 생긴 성분 B 및 섬유 분할되지 않은 복합형 장섬유가 실질적으로 3차원 교락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섬유 부직포.Extremely fine formed from a composite long fiber in which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and component A and whose melting point is 30 to 180 ° C. above the melting point of component A, is compounded and at least component A is exposed on its surface. Fiber non-woven fabric, in which only the component A in the composite long fiber is softened or melted so that fusion zones formed by fusion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spaced apart, and in the non-fusion zone other than the fusion zone, the fiber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s divided.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 A composed of only the component A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B resulting from the fiber splitting of the composite long fiber, and the non-divided composite long fiber are not substantially three-dimensionally mixed. 제1항에 있어서, 섬유 A의 섬도가 0.05 내지 2.0d이고, 섬유 B의 섬도가 0.02 내지 0.8d인 극세섬유 부직포.The microfine fiber nonwoven fabric of claim 1, wherein the fiber A has a fineness of 0.05 to 2.0 d and the fiber B has a fineness of 0.02 to 0.8 d.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A와 성분 A에 대하여 비상용성이고 또한 융점이 성분 A의 융점보다 30 내지 180℃ 높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B가 복합되는 동시에 적어도 성분 A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복합형 장섬유를 집적시켜 섬유 웹을 형성한 다음, 섬유 웹의 간격을 둔 소정의 구역에 두께 방향에 걸쳐 열을가하여 성분 A만을 연화시키거나 용융시킴으로써, 복합형 장섬유 상호간을 융착시킨 융착구역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섬유 플리스(fleece)를 수득한 다음, 섬유 플리스에 마찰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비융착구역에 존재하는 복합형 장섬유를 섬유 분할하여 성분 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A 및 성분 B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B를 생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The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B,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thermoplastic polymer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A and whose melting point is 30 to 180 ° 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is compounded, and at the same time, at least the component A is exposed to the surface to aggregate the composite long fibers. After the web is formed, heat is applied to the predetermined spaced intervals of the fibrous web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soften or melt only the component A so that the fusion zones in which the composite long fibers are fused to each other are formed at intervals. The fleece is obtained, and then the fiber fleece is subjected to friction processing to divide the composite long fibers present in the non-fusion zone into fibers to produce fiber A consisting only of component A and fiber B consisting of component B only. Method for producing a microfiber nonwoven fabric. 제3항에 있어서, 비융착구역에서의 복합형 장섬유의 할섬율이 70% 이상인 극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icrofine fiber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plitting ratio of the composite long fibers in the non-fused zone is 70% or more.
KR1019930020738A 1992-10-05 1993-10-05 Nonwoven cloth of ultrafine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233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208792 1992-10-05
JP92-292087 1992-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409A KR940009409A (en) 1994-05-20
KR100223388B1 true KR100223388B1 (en) 1999-10-15

Family

ID=1777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738A KR100223388B1 (en) 1992-10-05 1993-10-05 Nonwoven cloth of ultrafine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624676B1 (en)
KR (1) KR100223388B1 (en)
DE (1) DE69316337T2 (en)
TW (1) TW246699B (en)
WO (1) WO199400808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4442C2 (en) * 1999-07-26 2001-09-20 Freudenberg Carl Fa Process for producing a nonwoven and nonwoven for producing cleanroom protective clothing
DE19947869A1 (en) 1999-10-05 2001-05-03 Freudenberg Carl Fa Synthetic leather
DE19962360B4 (en) * 1999-12-23 2005-06-30 Carl Freudenberg Kg Protective clothing
DE19962359B4 (en) * 1999-12-23 2004-07-08 Carl Freudenberg Kg Thermo nonwoven
DE19962357A1 (en) * 1999-12-23 2001-07-05 Freudenberg Carl Fa Sleepwear
DE19962355A1 (en) * 1999-12-23 2001-07-05 Freudenberg Carl Fa Sanitary clothing
DE19962361A1 (en) * 1999-12-23 2001-07-12 Freudenberg Carl Fa Sportswear
DE19962356A1 (en) * 1999-12-23 2001-07-05 Freudenberg Carl Fa Sanitary linen
DE10002778B4 (en) * 2000-01-22 2012-05-24 Robert Groten Use of a microfilament nonwoven fabric as a cleaning cloth
DE10009283C2 (en) * 2000-02-28 2002-02-21 Freudenberg Carl Kg Airbag Cover
DE10009281C1 (en) * 2000-02-28 2001-03-22 Freudenberg Carl Fa Sound-damping fleece especially suited for vehicle interior cladding, is made of fine melt-spun fibers, split to microfilaments following pre-solidification
DE10011053C2 (en) * 2000-03-07 2002-06-20 Freudenberg Carl Kg Textile light protection material
EP1150181A3 (en) * 2000-04-26 2003-04-16 Japan Vilene Company, Ltd. A cleaning sheet for a fuser member, a cleaning sheet supplier, and a cleaning apparatus
US6495255B2 (en) * 2000-06-26 2002-12-17 Chisso Corporation Polyolefin splittable conjugate fiber and a fiber structure using the same
US7732357B2 (en) 2000-09-15 2010-06-08 Ahlstrom Nonwovens Llc Disposable nonwoven wiping fabric and method of production
DE10117970C1 (en) * 2001-01-19 2002-10-24 Freudenberg Carl Kg Process for producing monocomponent microfilaments and obtaining a nonwoven, woven or knitted fabric from the microfilaments
DE10139227A1 (en) * 2001-08-09 2003-03-06 Freudenberg Carl Kg Airbag Cover
US6739023B2 (en) 2002-07-18 2004-05-25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rming a nonwoven composite fabric and fabric produced thereof
JP4211496B2 (en) * 2003-05-30 2009-01-21 東レ株式会社 Sound absorbing material component and sound absorbing material
US7645353B2 (en) 2003-12-23 2010-01-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ltrasonically laminated multi-ply fabrics
DE102012002954B4 (en) * 2012-02-16 2015-07-02 Carl Freudenberg Kg Use of a microfilament nonwoven fabric as a textile UV light protection material
DE102012222886B4 (en) * 2012-12-12 2014-11-27 Jöst Gmbh Genoppt sanding and cleaning fleece and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113474149A (en) * 2019-02-21 2021-10-01 3M创新有限公司 Nett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6614A (en) * 1969-05-12 1973-02-13 Toray Industries Process of manufacturing collagen fiber-like synthetic superfine filament bundles
DE3381143D1 (en) * 1982-03-31 1990-03-01 Toray Industries ULTRA FINE KINDED FIBERS FIBER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S599279A (en) * 1982-07-07 1984-01-18 東レ株式会社 Aniline-like artificial leather and production thereof
JPS60259664A (en) * 1984-05-31 1985-12-2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Fiber sheet like article
JPH02169720A (en) * 1988-09-12 1990-06-29 Nippon Ester Co Ltd Thermal splitting type conjugate fiber and nonwoven fabric thereof
JP2703971B2 (en) * 1989-01-27 1998-01-26 チッソ株式会社 Ultrafine composite fiber and its woven or nonwoven fabric
JPH0726310B2 (en) * 1990-04-12 1995-03-22 ユニチカ株式会社 Extra-fine long-fiber non-woven fabric
JPH0749619B2 (en) * 1990-04-12 1995-05-31 ユニチカ株式会社 Entangl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457950A (en) * 1990-06-25 1992-02-25 Nippon Ester Co Ltd Production of superfine staple fiber nonwoven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4676A4 (en) 1995-02-01
KR940009409A (en) 1994-05-20
EP0624676B1 (en) 1998-01-14
WO1994008083A1 (en) 1994-04-14
DE69316337T2 (en) 1998-04-30
TW246699B (en) 1995-05-01
EP0624676A1 (en) 1994-11-17
DE69316337D1 (en) 199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388B1 (en) Nonwoven cloth of ultrafine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718972A (en) Nonwoven fabric made of fine denier filament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EP0322136B1 (en) Oriented melt-blown fibers, processes for making such fibers, and webs made from such fibers
US4778460A (en) Multilayer nonwoven fabric
US5080951A (en) Nonwoven fabric
KR100436992B1 (en) One-way stretchable nonwoven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365640B1 (en) Top sheet with low rewetability and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EP0123545B1 (en) Nonwoven sheet,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composite sheet incorporating it
US4753834A (en) Nonwoven web with improved softness
US5141699A (en) Process for making oriented melt-blown microfibers
JPH09209254A (en) Laminated nonwoven fabric and its production
JPH1181116A (en) Staple-fiber nonwoven fabric
JPH02169718A (en) Polyolefinic heat fusible fiber and nonwoven fabric thereof
JPH1086256A (en) Composite nonwoven fabric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2541523B2 (en) Nonwoven webs with improved softness
JPH10204764A (en) Composite nonwoven fabric and absorbing article using the same and wiping cloth
JP2002061060A (en) Nonwoven fabric and finished article of nonwoven fabric
Fedorova Investigation of the utility of islands-in-the-sea bicomponent fiber technology in the spunbond process
JP3124017B2 (en) Thermal adhesive fibers and nonwovens
JPH0446147B2 (en)
JP3055288B2 (en) Stretchable long-fiber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1161618A (en)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and its production
JP3102450B2 (en) Three-layer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882492B2 (en)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20098762A1 (en) Shaped capillary production of homofilament crimp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