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395B1 - 모래집진밸브 - Google Patents

모래집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395B1
KR100215395B1 KR1019960082509A KR19960082509A KR100215395B1 KR 100215395 B1 KR100215395 B1 KR 100215395B1 KR 1019960082509 A KR1019960082509 A KR 1019960082509A KR 19960082509 A KR19960082509 A KR 19960082509A KR 100215395 B1 KR100215395 B1 KR 10021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valve
opening
drain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079A (ko
Inventor
전표원
Original Assignee
전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표원 filed Critical 전표원
Priority to KR101996008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39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8Combined units with different devices; Arrangement of different devi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t Valv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상수도 관로의 단말부분에 퇴적되는 모래나 침출수등은 관로상의 물 흐름에 저항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물 흐름의 저항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 관로로부터 이어지는 분지관로상에, 드레인 수단을 설치하여, 필요시 분지관로 내부에 퇴직된 모래와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드레인 수단은, 관로 사이에 연결됨과 아울러 이 관로의 내측 저면보다 낮은 집진영역을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집진영역을 관통하여 이 영역에 형성된 드레인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래집진밸브
본 발명은 모래집진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관로의 단말부분까지 모래가 흘러가는 것을 관말전에서 일시적으로 집진한 후, 일정량 퇴적시 드례인할 수 있도록 한 모래집진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 관로에는 수원지로부터 흡인되는 모래가 물과 함께 흘러가게 되는데, 이 모래는 관말까지 흘러가 퇴적되면서 물의 흐름에 방해를 주게 된다.
이러한 모래와 함께 다른 이물질이 퇴적되고, 이 퇴적부분에 침출수가 고이면 상수도 관을 통하여 흐르는 물의 수질을 나쁘게 하는 한 요인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수도 관로에는 모래나 침출수가 퇴직되는 것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래 등의 퇴적이 심한 경우에는 물의 흐름이 차단되고,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관로보수 작업시 모래를 제거하거나 밸브를 분해하는 경우에 모래를 제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래가 상수도 관로의 단말부분까지 흐르기 이전에 일시적으로 집진시키고, 집진량이 일정량 이상이되는 경우 간단한 밸브 조작으로 모랠르 관로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모래집진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주 관로로부터 이어지는 지관들과; 상기한 지관에 물흐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물 흐름의 아래측으로 체류실을 형성하고 있는 몸체와; 상기한 체류실에 고인 모래나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갖는 모래집진밸브를 제공한다.
상기한 개폐수단은, 몸체의 체류실에 아래측으로 뚫려진 드레인 포트와, 이포트의 ,원주면에 밀착하는 밸브와, 이 밸브와 일측단이 연결되면서 몸체를 관통하는 개폐로드와, 이 개폐로드와 나사결합되면서 몸체에 고정된 스크류 부시를 포함하는 모래집진밸브를 제공한다.
상기한 개폐수단은, 몸체의 아래측의 외측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을 갖는 모래집진밸브를 제공한다.
개폐수단은, 몸체의 아래측 외측으로 연장되는 드레인 관로에 설치되는 모래집진밸브를 제공한다.
상기한 체류실은 물 흐름의 입구측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모래집진밸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모래집진밸브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모래집진밸브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모래집진밸브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모래집진밸브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모래집진밸브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모래집진밸브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모래집진밸브의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제1 실시예는 드례인 수단이 관로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장형이다.
상수도 관로는 직경이 큰 주 관로(2)와, 이 주 관로에서 분지되는 작은 직경의 지관(4)을 통하여 필요한 장소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지관(4)의 단말부분에 지관을 따라 흐르는 모래가 퇴적되면 물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지관에 설치되는 통상직인 밸브(6)의 앞부분에 드레인 수단(D)을 제공한다.
상기한 드레인 수단(D)은, 지관(4)의 중간부분에 연통되는 몸체(8)와, 이 몸체(8)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관을 따라 흐르는 모래를 일시적으로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체류실(10)과, 상기한 체류실(10)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12)를 포함한다.
상기한 몸체(8)는 지관(4)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14)를 양측에 갖고 있으며, 밸브(12)가 개방시 체류실(10)에 가라앉은 모래나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포트(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체류실(10)은 몸체(8)로부터 아래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서 물이 흐르는 위치보다 낮게 형성되며, 물이 유입하는 측은 경사면(11)으로 이루어져 물 속의 모래등을 체류실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물이 나가는 방향은수직면(13)으로 이루어져 체류실에 고인 모래가 지관을 따라서 다시 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12)는 콘 디스크 타입으로서, 드레인 포트(16)에 위치한 시이트(18)와 원주면이 밀착하여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밸브(12)는 사용자가 필요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폐로드(20)의 일측단과 연결된다.
상기한 개폐로드(20)의 상단부는 몸체(8)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크기를 갖으며, 몸체(8)에 고정되는 본닛(bonnet) (22)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세워진다.
상기한 본닛(22)에서 개폐로드(20)가 관통하는 부위에는 패킹(24)이 개재되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 패킹(24)은 본닛(22)에 고정되는 링(26)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개폐로드(20)의 상단부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몸체(8)에 고정된 클램프(28)를 관통하여 최상단에는 핸들(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핸들(30)를 돌리때 이 개폐로드(2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밸브(12)가 드레인 포트(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클램프(28)에는 개폐로드(20)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부시(32)를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래집진밸브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는 지관(4)을 통하여 흐르는 물 속의 모래가 몸체(8)에 형성된 체류실(10)에 고이고 물만이 계속하여 흘러간다.
이때 체류실(10)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래와 다른 이물질이 퇴적되고 침출수도 고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30)을 개방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로드(20)가 회전하면서 이와 나사결합된 스크류 부시(32)에 의해 직선이동을 하게 되므로 밸브(12)는 시이트(18)로부터 떨어지면서 드례인 포트(16)를 서서히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드레인 포트(16)가 열리기 시작하면, 이 체류실(10)에 고여있던 모래나 침출수 및 이물질 등이 드레인 포트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물론 관내를 흐르는 물의 일부도 수압에 의해 배출되므로 체류실(10)은 세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작용으로 체류실(10) 내부에 고인 모래나 침출수등이 완전히 배출되면, 다시 핸들(30)를 돌려 밸브(12)가 시이트(18)에 밀착되도록 하면 드레인 포트(16)가 폐쇄되므로 더 이상의 배출은 진행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 실시예가 내장형인 것과 비교하면, 이것은 외장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른 점이다.
즉, 체류실(10)이 형성된 몸체(8)를 지관(4)에 연통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이 몸체(8)의 체류실(10) 아래측에 드레인 밸브(120)를 설치하는 것이다.(도4참조)
상기한 드레인 밸브(120)는 통상직으로 관로를 개폐하는 구조의 것이 사용될수 있다. 이와 같이 외장형으로 하는 경우는, 개폐로드가 몸체내부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물의 흐름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몸체(8)의 외측에 드레인 밸브(12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이 구조는 몸체(8)에 드레인 관로(122)를 설치하고, 이 드레인 관로에 드레인 밸브(12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8)는 체류실(10)를 갖는 구조이며, 다만 드레인 밸브(120)의 설치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이 상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드레인 밸브의 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모래집진밸브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래집진밸브는, 상수도 관에 체류실을 갖는 드레인 밸브를 설치하여 관내를 흐르는 모래나 침출수 등이 일시적으로 이곳에 고일 수 있도록 하고, 이곳에 고인 모래나 침출수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상수도 관에 모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주 관로로부터 이어지는 지관들과; 상기한 지관에 물흐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물흐름의 아래측으로 체류실을 형성하고 있는 몸체와; 상기한 체류실에 고인 모래나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개폐수단은, 몸체의 체류실에 아래측으로 뚫려진 드레인 포트와, 이 포트의 원주면에 밀착하는 밸브와, 이 밸브와 일측단이 연결되면서 몸체를 관통하는 개폐로드와, 이 개폐로드와 나사결합되면서 몸체에 고정된 스크류 부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집진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몸체의 아래측의 외측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을 갖는 모래집진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몸체의 아래측 외측으로 연장되는 드레인관로에 설치되는 모래집진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체류실은 물 흐름의 입구측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모래집진밸브.
KR1019960082509A 1996-12-31 1996-12-31 모래집진밸브 KR10021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2509A KR100215395B1 (ko) 1996-12-31 1996-12-31 모래집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2509A KR100215395B1 (ko) 1996-12-31 1996-12-31 모래집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79A KR19980063079A (ko) 1998-10-07
KR100215395B1 true KR100215395B1 (ko) 1999-08-16

Family

ID=1949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2509A KR100215395B1 (ko) 1996-12-31 1996-12-31 모래집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8793A (zh) * 2016-11-23 2017-05-10 防城港市海河堤管理站 一种水利管道的连接管
KR20170118670A (ko) * 2014-06-05 2017-10-25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2축 차동형 파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227B1 (ko) * 2020-02-06 2020-09-09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 모니터링을 이용한 상수도 수질 관리 장치
KR102146915B1 (ko) * 2020-04-03 2020-08-21 청정테크주식회사 탁수 배제 기능이 구비된 수질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70A (ko) * 2014-06-05 2017-10-25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2축 차동형 파쇄시스템
KR102238526B1 (ko) * 2014-06-05 2021-04-09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2축 차동형 파쇄시스템
CN106638793A (zh) * 2016-11-23 2017-05-10 防城港市海河堤管理站 一种水利管道的连接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79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397B1 (en) Side port floor drain
US6321777B1 (en) Wall-type shower faucet influent load control fixture
US6068023A (en) Valve for clearing air conditioning drain lines
US5722458A (en) Valve for clearing air conditioning drain lines
CN111346420A (zh) 管道过滤器
KR100215395B1 (ko) 모래집진밸브
KR102294906B1 (ko) 점검구겸 세척 퇴수 제수밸브
EP0948682A1 (en) Device for collecting, temporarily storing and draining off rainwater
KR200151567Y1 (ko)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장치
KR20090035916A (ko) 여과기능을 갖는 볼밸브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200273453Y1 (ko) 수전구 연결 아답터
CN221298083U (en) Drainage assembly for water tank or counter basin
CN212214823U (zh) 管道过滤器
JP3620116B2 (ja) 水抜栓の弁構造
KR200265696Y1 (ko) 스트레이너
JP3037637B2 (ja) 仕切弁
JPS6244728Y2 (ko)
CN107386388B (zh) 一种下水管密封配件及其专用接头
KR100439852B1 (ko) 공기밸브용 여과망
JP2023157523A (ja) 器材取付け時における受接配管内部の排掃方法とこれに用いる排掃治具
KR100341062B1 (ko) 관 청소용 피그 밸브
JP2024005704A (ja) 貯留装置および排水システム
JPH09144120A (ja) 真空式下水道用逆止弁
JP2582823Y2 (ja) 異物排出用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