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12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tment utilizing dispens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tment utilizing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129B1
KR100211129B1 KR1019960704361A KR19960704361A KR100211129B1 KR 100211129 B1 KR100211129 B1 KR 100211129B1 KR 1019960704361 A KR1019960704361 A KR 1019960704361A KR 19960704361 A KR19960704361 A KR 19960704361A KR 100211129 B1 KR100211129 B1 KR 10021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ip
suction
treatment method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데지 다지마
Original Assignee
히데지 다지마
프레시죤 시스템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데지 다지마, 프레시죤 시스템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데지 다지마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6/00072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602960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129B1/en

Link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액체 및 액체 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 추출, 회수, 단리작억을 분주기에 의한 액체의 흡인, 토출작업 및 자성체 입자의 자력체에 의한 제어 및/또는 필터를 조합시킴으로써 자동적이면서 고정도로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흡인구 또는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는 팁을 개재시켜 용기내로부터 목적 고분자물질이 함유된 액체를 흡인하고, 이 액체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을 목적하는 다음 처리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을 기술적 전제로 하며, 상기 팁은 흡인한 목적 고분자물질을 자성체 입자에 흡착시켜 및/ 또는 팁에 장착된 필터로 분리하도록 구성하였다.Magnetic suction of liquid, particle extraction, and magnetic material particles by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Liquid containing the desired polymer material from inside the container through a tip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suction or discharge port of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so as to be performed automatically and with high accuracy by combining a control and / or a filter by Is a technical premise of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which is configured to suck the liquid or the target polymer material to the next processing position desired, and the tip adsorbs the sucked target polymer material to the magnetic particles and And / or separated by a filter mounted on the tip.

Description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 및 장치Liquid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divider

근래, DNA 등의 연구는 공학분야나 의학분야, 농학분야, 이학분야, 약학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그 목적은 게놈시퀸성, 임상 진단, 농식물 품종개량, 식품균 검사, 창약(創藥)시스템 등 다양하다.In recent years, researches on DNA, etc.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ngineering, medicine, agriculture, science, pharmacy, etc. The objectives are genome sequence, clinical diagnosis, plant variety improvement, food bacterium test, and drug discovery. 시스템) Various such as system.

이와같이 적용 분야가 대단히 광범위하며 또한 그 응용이 기대되는 각종 면역 검사나 세포, DNA, RNA, mRNA, 플라스미드(plasmid), 바이러스, 세균 등의 분자생물, 미생물 혹은 물질(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히 목적 고분자물질이라 한다)의 구조 해석을 행할 경우에는 그 전처리로서 검체 및 검체 중에 포함되는 독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이나 목적 고분자 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 작업을 고정도로 행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the field of application is very broad and various immunoassays or cells, DNA, RNA, mRNA, plasmid, virus, bacteria, etc. molecular organisms,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In the case of structural analysis, the pretreatment includes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sample and the unique polymer contained in the sample, and the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of the target polymer. Needs to be done with high accuracy.

예를들어 DNA 진단 등의 유전자 구조 해설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우선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DNA영역을 추출, 회수, 단리할 필요가 있다. 유전자의 추출, 회수, 단리 기술은 유전자 크로닝 기술이나 게놈시권싱 기술로서 이미 확립되어 있으며, 현재는 충분한 시간과 비용을 들이면 어떠한 유전자라도 단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 DNA가 추출, 회수, 단리되어 있으면 그에 의거하여 어떤 유전자 해석도 원리적으로는 가능하다.For example, description of gene structure such as DNA diagnosis will be given as an example. First, it is necessary to extract, recover, and isolate a DNA region containing a gene of interest. Gene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technique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as gene cloning techniques and genome-sealing techniques, and now it is thought that any gene can be isolated with sufficient time and cost. Therefore, if the desired genetic DNA is extracted, recovered and isolated, any genetic analysis can be performed in principle.

그러나, 예를들어 사람에 있어서는 특정의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 DNA는 모두 게놈 DNA중 수백만분의 1이라고 하는 것처럼 실제로는 입수 가능한 피검 DNA량이 극히 적고, 또한 목적 외의 DNA.RNA량이 극히 많아 해석이 곤란하다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However, in humans, for example, the genetic DNA for a specific purpose is one-millionth of the genomic DNA, and in reality, the amount of DNA to be tested is extremely small, and the amount of DNA and RNA other than the purpose is extremely difficult to interpret. Is the current situation.

이 때문에 DNA 진단 등의 유전자의 구조 해석을 위해서는 우선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DNA 영역을 추출. 회수. 단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 이 DNA의 추출, 회수, 단리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or this reason,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genes such as DNA diagnosis, a DNA region containing a target gene is first extracted. collection. It is important to isolate. Hereinafter, a basic method for extracting, recovering and isolating this DNA will be described.

DNA는 세포 중에서 단백과 복합체를 만들어 핵에 존재하고 있다. 세포 또는 세포핵을 SDS(계면활성제 도데실 황산나트륨)로 처리하고. DNA를 가용화한 후, 단백분해효소와 페놀로 단백질을 제거한다는 것이 DNA추출의 기본이다.DNA is present in the nucleus by making complexes with proteins in cells. The cells or nuclei are treated with SDS (surfactant sodium dodecyl sulfate). After solubilizing DNA, the protein is removed by protease and phenol.

즉, 조직으로부터 DNA를 추출할 때에는 우선 적출한 조직을 얼음 속에 넣어 저온으로 유지한 후, 이 차거워진 조직을 0.1g 정도의 작은 절편으로 절단하여, 냉각시킨 버퍼A (0.O1M Tris HCI, pH 7.8, 0.1M ha71, 2mM MgC12)로 가볍게 세정한다. 이 조직을 20배 용량의 상기 버퍼(A) 속에 넣고 포터(Potter)형 호모제나이저로 5-10회 호모제나이즈한다. 그후 이를 원심관으로 옮겨 원심분리(2,000rpm, 5분간)한다. 세포핵, 세포 그 자체는 침전되므로 위에 맑게 뜬 부분을 버린다. 배양 세포로부터 추출할 때에는 세포를 냉각시킨 버퍼 B (0.01M Tris HCl, pH 7.8, 0.1M, NaCl, 2mM EDTA)에 현탁하여 원심분리 한다. 침전된 핵이나 세포를 100배 용적의 버퍼B로 재차 잘 현탁한다.That is, when extracting DNA from the tissue, the extracted tissue is first put in ice and kept at a low temperature, and then the cooled tissue is cut into small pieces of about 0.1 g, and the cooled buffer A (0.O1M Tris HCI, pH). Clean lightly with 7.8, 0.1M ha71, 2mM MgC1 2 ). The tissue is placed in the 20-fold volume of the buffer (A) and homogenized 5-10 times with a Potter-type homogenizer. It is then transferred to a centrifuge tube and centrifuged (2,000 rpm, 5 minutes). The nucleus, the cell itself, is settled, so discard the clear part above. When extracted from the cultured cells, the cells are suspended in cooled buffer B (0.01 M Tris HCl, pH 7.8, 0.1 M, NaCl, 2 mM EDTA) and centrifuged. The precipitated nuclei or cells are well suspended again in 100-fold volume B of buffer B.

이와같이 하여 세포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잘 현탁한 후, 10%, SDS 용액을 1/20량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킨다. 이 용액에 프로티나제 K (10mg/m1)를 1/50량 첨가하여 50。C로 4시간 작용시켜 단백질을 분해한다. 점성이 높기 때문에 때때로 교반한다. 다음에 페놀 추출을 3회 행한다. 이때 물리적인 힘이 걸리지 않도록 정성을 들여 추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the cells are suspended well until the cell mass disappears, and then the cells are lysed by adding 10%, 1/20 amount of SDS solution. 1/50 amount of proteinase K (10 mg / m1) is added to this solution, and the protein is decomposed by operating at 50 ° C. for 4 hours. It is sometimes stirred because of its high viscosity. Next, phenol extraction is performed three times.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perform extraction work with care so as not to take physical force.

다음에 적어도 100배량의 버퍼 C (10mM Trls HCl, pH 7.8/0.1mM EDTA)에 대해서 약 18시간 투석하여 4。C로 보존한다.Next, at least 100-fold buffer C (10 mM Trls HCl, pH 7.8 / 0.1 mM EDTA) is dialyzed for about 18 hours and stored at 4 ° C.

이와같은 공정을 거침으로써 조직 0.1g으로부터 약 0.2mg의 DNA가 얻어진다. 이상은 조직 및 세포로부터의 DNA추출공정인데, 이 이외에 알칼리법에 의한 프라스미드 DNA를 얻는 방법 (소량조정법)이나 비등법에 의한 DNA의 회수 또는 대량 조정법에 의한 폐루프 프로마이드 DNA 회수도 공지이다.Through this process, about 0.2 mg of DNA is obtained from 0.1 g of tissue. The above is a DNA extraction process from tissues and cells. In addition to this, a method of obtaining a plasmid DNA by an alkali method (small amount adjustment method), a DNA recovery by a boiling method, or a closed loop promide DNA recovery by a mass adjustment method is also known. .

이와같이 DNA 진단 등의 유전자의 구조 해석을 위한 DNA의 추출, 회수, 단리는 상기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조직 및 세포로부터 DNA를 단리시키는 작업은 상기 조직 및 세포로부터의 DNA 추출공정에서 설명한 수순으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대단히 번잡함과 동시에 장시간을 요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of DNA for structural analysis of genes such as DNA diagnosis can be performed by the above known methods. However, the isolation of DNA from such tissues and cells is performed from the tissues and cells. As apparent from the procedure described in the DNA extraction process, it was very complicated and had a long time.

그리고 상기 수단으로 추출된 DNA 등의 구조 해석법도 종래 원심분리법, 고속 액체 크로마토법, 젤 전기영동법, 디스포컬럼법, 투석법, 글래스파우더법, 자성체 입자세정 노즐법 등 상당히 다양한 방법이 실행되고 있는데, 각각 일장일단이 있으며, 고정도이고 확실한 구조 해석법에는 이르고 있지 않음이 현 실정이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analysis method of DNA extracted by the above means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centrifugation method, high-speed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gel electrophoresis method, dispo column method, dialysis method, glass powder method, magnetic particle cleaning nozzle method.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re are once-one-and-a-half rounds, each of which is not accurate and reliable in structural analysis.

즉, 원심분리법의 경우에는 용기의 자동 장전 및 취출의 자동화가 대단히 어렵고, 또한 원심후 맑게 뜬 부분과 침전된 부분의 분획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범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tion method, it is very difficult to automate the automatic loading and take-out of the container, and it is very difficult and mechanically difficult to fractionate the clear portion and the precipitated portion after centrifugation.

또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법의 경우, 분리 칼럼이 기본적으로 소모품이 되므로 이 칼럼에의 시료에 인젝션이나 분리시간 관리를 기계화할 수 없고, 또한 동일 컬럼내 통과하므로 오탁(汚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high-speed liquid chromatography, the separation column is basically a consumable, so that injection or separation time management cannot be mechanized to the sample to this column, and since it passes through the same column, contamination cannot be completely prevented. Have

그리고 겔 전기영동법의 경우, 겔의 조정을 기계화할 수 없고, DNA의 분리는 기본수단으로서는 일반적이지만, 그 분리 단편을 취출하기에는 용수법(用手法)에 의해 행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In the case of gel electrophoresis, the gel adjustment cannot be mechanized and the separation of DNA is common as a basic means, but the separation fragment has to be solved by using a water method.

한편, 디스포칼럼법은 특정의 DNA단편을 취출하기 위해 키트화 되는 하나의 수법인데, 대단히 원가가 높고 또한 사용 범위도 좁다. 게다가 분주, 컬럼 통과액을 컨트롤하기 어려워 기계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o column method is a technique that is kitted to extract a specific DNA fragment, which is very expensive and has a narrow range of us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ispensing and column through-flow, and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mechanized.

또한 투석법은 투석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소량 대응이 어려워 그다지 이용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dialysis is not used because it takes time for dialysis and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a small amount.

글래스 파우더법은 이산화규소의 물질을 이용한 DNA의 우수한 추출법으로서, 공정은 간단하지만 필터가 원심 분리에 의해 파우더를 분리하기 때문에 전자동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The glass powder method is an excellent extraction method of DNA using a material of silicon dioxide. Although the process is simple, i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fully automate because the filter separates the powder by centrifugation.

그리고 자성체 입자 세정 노즐법은 자성체에 의해 실린더와 흡인, 토출제어로 자동화할 수 있지만, 노즐의 세정방식에서는 기본적으로 오탁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agnetic particle washing nozzle method can be automated by the magnetic body by the suction and discharge control of the cylinder, the nozzle clean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fouling cannot be basically solved.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분주기에 의한 액체의 흡인, 토출작업 및/또는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자동적이면서도 고정도로 행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quantify, separate, fractionate, dispense, clarify, concentrate, dilute, and perform the operation,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of a target polymer material contained in a liquid and a liquid.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ntirely new dispenser which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nd with high accuracy by combining a suction, discharge operation and / or filter with a liquid dispenser.

본 발명은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 예를들어 항생물질 등의 유용물질이나 DNA 등의 유전자물질 및 항체 등의 면역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分取), 분주(分注), 청징(淸澄),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單離)작업을 분주기(分注機)의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액체의 흡인, 토출작업에 의해 자동적이면서도 고정도(高精度)로 행할 수 있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quantifies, isolates, fractionates, and dispenses a target polymer substance contained in a liquid and a liquid, for example, useful substances such as antibiotics, genetic substances such as DNA, and immune substances such as antibodies. , Aspirating, concentrating, diluting, and / or extracting, recovering, and isolating a polymer of interest, and aspirating liquid through a dispenser, aspirating liquid by a discharge l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processing method using a dispenser which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nd with high accuracy by a discharging operation, and a device thereof.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제1형태예에 따른 DNA 추출, 회수. 단리를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설명도이다.Fig. 1 shows DNA extraction and recov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apparatus for isolation.

제2도는 동 장치의 노즐 유니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nozzle unit of the apparatus.

제3도는 동 노즐 유니트의 훅체에 의한 팁의 분리 공정을 나타낸 작동 설명도이다.3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ep of removing the tip by the hook body of the nozzle unit.

제4도는 동 팁을 분리하기 위한 U자상과 팁의 걸어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설명 도이다.4 is a pl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ngagement of the tip and the U-shape for removing the tip.

제5도는 동 팁을 분리하기 위한 U자체와 팁이 걸어맞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설명도이다.5 is a pl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 itself and the tip are engaged to separate the tip.

제6도는 로크 해제 로드로 U자체를 형성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 itself is formed of the unlocking rod.

제7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2개의 팁의 형상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hape of two tip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피펫 노즐의 구성과 협지체 및 자력체의 접리(接離)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tte nozzle and the folding positions of the clamping body and the magnetic body.

제9도는 본 형태예에 적용되는 자력체와 협지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설명도이다.9 is a pl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gnetic body and a clamping body applied to this embodiment example.

제10도는 동 자력체와 협지체와 결합 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clamping body.

제11도는 팁의 중경부의 구경과 자력체의 폭치수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of the middle neck portion of the tip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magnetic body.

제12도는 동 장치에 의한 DNA 추출, 회수, 단리작업의 단계1로부터 단계11까지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설명도이다.12 is a flow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steps from step 1 to step 11 of DNA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by the apparatus.

제13도는 동장치에 의한 DNA 추출, 회수, 단리작업의 단계 12부터 단계19까지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설명도이다.FIG. 13 is a flow explanatory diagram showing steps 12 to 19 of DNA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by the apparatus.

제14도는 팁 분리체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이다.14 is a facility nam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ip separator.

제15도는 필터 홀더와 셀의 걸어맞춤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이다.FIG. 15 is a facilit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ngagement means of the filter holder and the cell.

제16도는 팁과 2개의 필터홀더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tip and two filter holders ar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제17도는 필터면적이 큰 필터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필터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holder in which a filter having a large filter area is combined.

제18도는 본 형태예에서 이용되는 항온용기와 덮개의 단면도이다.18 is a sectional view of the thermostatic container and the cover used in this embodiment.

제19도는 동 덮개의 박막체를 팁으로 깨서 수용된 DNA 증폭액을 흡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1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NA amplification liquid received by breaking the thin film body of the lid with a tip is sucked.

제20도는 본 형태예에 따른 필터 홀더와 셀을 반을 처리 공정에서 이용되는 그룹마다 카세트에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설명도이다.20 is a pl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holder and a cel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set in a cassette for each group used in the processing step.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2형태예에 따른 복수 반응 라인으로 이루어진 DNA 추출, 회수, 단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설명도이다.21 is a pl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NA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action lin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2도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4련 노즐 실린더의 정면도이다.22 is a front view of a quadruple nozzle cylinder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3도는 4련 노즐 실힌더로 처리할 때의 협지체와 자력체의 구성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lamping body and the magnetic body when processing with a four nozzle cylinder. FIG.

제24도는 동 협지체와 자력체의 작동 설명도이다.2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clamping body and the magnetic body.

본 발명은 액체 흡인, 토출 라인의 흡인구 또는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팁을 개재시켜 용기내로부터 목적 고분자물질이 함유된 액체를 흡인하고, 이 액체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을 목적하는 다음 처리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을 기술적 전제로 하며, 상기 팁은 흡인한 목적 고분자물질을 자성체 입자에 흡착시키고 및/또는 팁에 장착된 필터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분주기에 의한 액체의 흡인, 토출작업 및 자성체 입자의 자력체에 의한 제어 및/또는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자동적이면서 고정도로 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ucks a liquid containing a target polymer material from a container via a tip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into a suction port or a discharge port of a liquid suction, a discharge line, and is coupled to the suction port. As a technical premise,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onfigured to be transferred to a gas is provided, and the tip is configured to adsorb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ttracted to the magnetic particles and / or to be separated by a filter attached to the tip. That is, the aspirating, discharging, and magnetic particles of the liquid by dispensing, extracting, recovering, and isolating such as quantifying, separating, aliquoting, dispensing, clarifying, concentrating, and diluting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This can be done automatically and with high accuracy by combining a control by a magnetic body and / or a filte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고분자물질이 항생물질 등의 유용물질이나 DNA 등의 유전자물질 및 항체 등의 면역물질이다 따라서 특히 세포, DNA, RNA, mRNA, 프라스미드, 바이러스, 세균 등의 분자생물이나 미생물 혹은 특정의 고분자물질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또는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에 바람직하며, 종래의 원심분리처리에 의하지 않고 목적 고분자물질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of interest, such as useful substances such as antibiotics, genetic materials such as DNA, and immune substances such as antibodies. Therefore, in particular, molecular organisms such as cells, DNA, RNA, mRNA, plasmids, viruses, bacteria, It is suitable for the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microorganisms or specific macromolecules, and / or for capture,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labeling, measurement, etc., and not by conventional centrifugation. The desired polymer material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이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과, 상기 팁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1종류 이상의 필터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간단하면서도 고정도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ip of the above-mentioned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and at least one type of filter mounted to the tip of the tip, such as the above-described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t is done using.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and the like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can be performed with a simple and high accuracy.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을 전제로하여 상기 팁에는 예를들어 1단째에 혈구의 껍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배설된 필터 홀더를 장착하고, 2단째에 DNA를 포획하는 실리카멤브레인(silica membrane) 필터가 배설된 필터 흘더를 장착하는 식으로 복수개의 필터 홀더를 다단으로 장착함으로써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보다 간단하면서도 고정도로 행할 수 있다. 물론 각 필터 홀더를 장착하여 목적 고분자물질의 분리를 행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팁이나 필터 흘더를 각 1개씩 끼워맞춤하여 처리해도 좋으며. 다단으로 겹쳐서 장착하여 복수의 작업을 한 번에 행해도 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for example, the tip is equipped with a filter holder in which a filter for filtering the shell of blood cells is disposed at the first stage, and a silica membrane is trapped at the second stage. By mounting a plurality of filter holders in multiple stages in such a manner that a filter holder in which a filter is disposed is installed,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and dilution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can be performed more simply and with high accuracy. . Of course, when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s separated by attaching each filter holder,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tip or filter holder may be fitted to each other for treatment. You may mount in multiple stages, and you may carry out a some operation at once.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필터를 목적 고분자물질과 그 이외의 협잡물을 분리하는 포어(pore) 사이즈(필터의 투과 직경)가 다른 1종류 이상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확실하게 목적 고분자물질 만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obtain only the target polymer material by using one or more types of different pore sizes (permeation diameter of the filter) for separating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nd other contaminants from the fil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필터로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행한 후에는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선단부에 새로운 팁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팁으로 자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의 흡인, 토출을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 입자를 팁측에 배설된 자력체로 팁의 내면에 흡착시켜 목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과 독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전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aliquoting,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with the filter, a new tip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The magnetic particles are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by magnetic force disposed on the tip side in the process of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magnetic particles with the tip. Since it is configured to quantify, separate, fractionate, dispense, clarify, concentrate, and dilute the target polymer, the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of the unique polymer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 방식의 액체처리와는 달리 상기 필터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을 상기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과, 자력과 1종류 이상의 자성체 입자만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간편한 구성으로 고정도의 액체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liquid treatment of the filter method, without the use of the filter, the tip of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for the capture,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measurement, etc.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nd the magnetic force and one or more kinds of magnetic particles are used to realize high-precision liquid treatment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의해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을 이용하여 자성체 입자와 반응시킴으로써 세포의 포획 세포핵 용해, 단백질 용해 등의 정제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특정의 목적 고분자물질을 용이하게 추출, 회수, 단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can be automatically reacted with magnetic particles by using the tip mounted on the discharge line, thereby automatically purifying cells such as trapping cell nuclei, protein lysis, and the like. The material can be easily extracted, recovered and isolated.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의해 상기 추출 작업 후에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을 이용하여 프로브 혹인 비오틴 또는 스트렙토 아비딘이 코팅된 자성체 입자를 이용하므로써 원심분리처리를 행하지 않고 간편하면서도 고정도로 특정의 염기배열 단편을 단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tip mounted on a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so that the probe particles or the magnetic particles coated with biotin or streptoavidine are used, and the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is not performed. The nucleotide sequence fragment of can be isola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정착된 팁을 이용하여 자성체 입자와 반응시켜 세포의 포획, 세포핵 용해, 단백질 용해 등의 정제처리를 행하고 특정의 목적 고분자물질을 추출하고, 다음에 프로브 혹은 비오틴 또는 스트렙토 아비딘이 코팅된 다른 자성체 입자가 특정의 염기배열 단편을 단리시킨다는 일련의 작업을 분주기의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reacting with the magnetic particles using the tip fixed in the liquid suction, the discharge line to purify the cells, cell nucleation, protein dissolution, and the like to extract a specific target polymer material, and then the probe or A series of operations in which biotin or other magnetic particles coated with streptoavidin isolate a particular nucleotide sequence fragment can be readily performed in the dispenser's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 입자를 이용한 목적 고분자물질의 포획, 추출, 단리작업 공정후 단리된 특정의 염기배열 단편을 화학 발광이나 형광 혹은 산소 정색(呈色)시킴으로써 특정의 염기 배열 단편의 유무나 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cific base sequence fragment by chemiluminescence, fluorescence, or oxygen coloration of a specific base sequence fragment isolated after a process of capturing, extracting, and isolating a target polymer using the magnetic particles. Can also be measured easi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을 이용하여 지성체 입자와 반응시켜 세포의 포획, 세포핵 용해, 단백질 용해 등의 정제처리를 행하고 특정의 목적 고분자물질을 추출하며, 다음에 이 추출된 목적 고분자물질을 증폭시킨후 프로브 혹은 비오틴 또는 스트렙토 아비딘이 코팅된 다른 자성체 입자가 특정의 염기배열 단편을 단리시키고, 다음에 이 단리된 특정의 염기 배열 단편을 화학발광, 형광 혹은 효소 정색으로 그 특정의 염기 배열 단편의 유무나 양을 측정하는 일련의 작업을 분주기의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서 용이하면서도 완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tip attached to the liquid suction, the discharge line to react with the lipid particles to purify the cells, cell nucleation, protein dissolution and the like, and to extract a specific target polymer material, and then the extraction After amplifying the desired target polymer, probes or other magnetic particles coated with biotin or streptoavidin isolate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fragments, which are then subjected to chemiluminescence, fluorescence or enzyme coloration. A series of operations for measu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cific base sequence fragment can be performed easily and completely automatically in a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of a dispenser.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복수의 병설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또는 포획, 추출, 단리 ,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을 행함으로써 일련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복수 병렬한 경우에는 처리능력이 증대됨과 동시에 멀티채널화도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a plurality of parallel liquid suction, the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n the discharge line and / or capture, extraction, isolation, By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amplification, display, and measurement, a series of tasks can be efficiently automated.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processing capacity is increased and multi-channel can be achieved.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병설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으로 처리하는 경우.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은 라인 모두 동일 타이밍으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또는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을 행하도록 구동 제어되며, 혹은 각 액체마다 지정된 처리 공정에 의해 다른 타이밍으로 혹은 독립된 액체의 흡인, 토출작업을 행할 수도 있으므로 목적 고분자물질에 합치된 처리공정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reated in a plurality of parallel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perform the operations such as separating, separating, dispensing, clarifying, concentrating, and diluting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nd / or capturing, extracting, isolating, amplifying, displaying, measuring, etc. at the same timing. Driven or controlled by each of the liquids, the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of the independent liquids can be performed at different timings or by independent processing processes, so that the processing steps conforming to the target polymer material can be easily assembl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일 또는 복수 라인 병설될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작업 공간을 격벽으로 구획하여 이루고, 혹은 라인 작업 공간의 공기를 공기흡인구로 부터 계속 흡인하여 작업공간을 공기류에 의해 구획하여 이루며 촉은 인들을 조합함으로써, DNA 등의 추출 해석작업과 같은 처리 라인간의 공기 오염을 엄격히 방지할 요청이 있는 액체 처리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이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artitioning the working space of the liquid suction, the discharge line to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ingle or plural lines, or by continuing to suck the air of the line working space from the air suction port to partition the working space by the air flow By combining the phosphorus with the phosphor, it can be easily realized even in the liquid treatment which is required to strictly prevent air contamination between processing lines such as extraction analysis of DNA or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자성체 입자를 그 표면에 목적 고분자물질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 결합물질과 흡착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원심분치처리를 행하지 않고 목적 고분자물질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target polymer material without performing centrifugal treatment by adsorbing or binding the magnetic 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arget polymer material or the target polymer material binding material on the surface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자성체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 이 자성체 입자는 상기 팁의 외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팁 내벽면에 흡착됨과 동시에, 상기자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을 때 팁 내벽면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목적 고분자물질의 포획과 협잡물과의 분리를 고정도로 제어할 수 있다.Also. When the magnetic particles described above are used, the magnetic particles are adsorbed onto the tip inner wall surface by the magnetic force acting from the outside of the tip, and are support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tip inner wall surface when the magnetic force is not affected. By controlling, the capture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nd the separation from the contaminants can be controlled with high precision.

그리고 본 발명은 이 팁 내로의 자력의 공급 혹은 소자(消磁)의 제어를 영구자석을 팁의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이동시켜 행하거나 혹은 전자석의 온, 오프에 의해 행함으로써 자성체 입자의 흡착이나 다른 액체와의 교반혼합 혹은 세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of magnetic force into the tip or control of the element is performed by moving the permanent magnet including a direction orthogonal to or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tip, or by turning on or off the electromagnet. As a result, adsorption of magnetic particles, stirring mixing with other liquids or washing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전자석으로 행하는 경우, 팁의 외측에 맞닿았을 때 온 작동시켜 자력을 발생시키고, 소자했을 때에는 상기 전자석을 팁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성체 입자의 흡착이나 다른 액체와의 교반 혼합 혹은 세정을 보다 효을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magnet is carried out,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when i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tip, and when the element is demagnetized, the magnetic magnet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ip, thereby adsorbing magnetic particles or stirring and mixing with other liquids. Or washing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그리고 본 발명은 액체 흡인, 토출라인으로부터 팁을 떼어낼 때에는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팁방향으로의 이동시 동기 작동하는 협지체와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상기 팁을 끼워 지지한 후,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상승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ip is removed from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the tip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body and the permanent magnet or the electromagnet synchronously operated when the permanent magnet or the electromagnet moves in the tip direction, and then the liquid is sucked and discharged. It can be easily removed by raising the li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팁을 액체 내에 침지되는 세경부와,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용량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대경부와, 상기 세경부와 대경부 중간에 형성된 적어도 상기 대경부보다 구경이 작은 중간부로 구성하며, 이 중간부에서 자성체 입자를 포획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막힘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자력에 의한 자성체입자를 단시간에 거의 환전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hin neck portion immersed in the liquid, a large diameter portion having a capacity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apacity of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liquid, and an intermediate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at least the large diameter portion formed between the narrow diameter portion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In this intermediate portion, the magnetic particles are trapped so that no blockage occurs and the magnetic particles can be adsorbed almost completely in a short time.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팁의 중간부의 내경을 이 자력체의 강자역이 미치기에 충분한 치수를 가지도록 구성하며, 자성체 입자는 이 자력체의 강자역의 자력에 의해 포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자성체 입자를 보다 단시간에 거의 완전히 흡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tip has a dimension sufficient for the ferromagnetic region of the magnetic body to extend, and the magnetic particles are configured to be captur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erromagnetic region of the magnetic body, Magnetic body particles can be adsorbed almost completely in a shorter tim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팁의 중간부의 내경을 이 중간부에 맞닿는 자력체의 맞닿는 면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자성체 입자의 흡착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adsorption of the most effective magnetic particles by form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tip portion of the tip a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dimension of the abutting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that abuts the intermediate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 내벽 면에의 자성체입자의 흡착을, 액체가 팁 내의 자력역을 자성체 입자가 거의 완전하게 포획하기에 충분히 느린 속도로 1회 이상 통과시킬 때 행함으로써 자성체 입자의 완전한 포획을 실현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iquid suction, the adsorption of the magnetic particl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mounted on the discharge line, when the liquid passes the magnetic field in the tip at least once at a speed slow enough to almost completely capture the magnetic particles in the tip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alize complete capture of magnetic body particl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팁 내를 통과하는 액체의 흡인 또는 토출되는 최종 액면이 반드시 상기 자력역에 도달하도록 조절되어 있으므로 자성체 입자의 보다 완전한 포획을 실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more complete capture of the magnetic body particles because the final liquid level of the suction or discharge of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tip is adjusted to reach the magnetic force range.

그리고 본 발명은 소위 싱글 노즐에 의해 액체의 흡인, 토출을 행하는 경우,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의 선단부가,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내측 저부에 맞닿게 한 후 극히 약간 상승시켜 액체를 흡인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용기내의 액체를 거의 전량 흡인할 수 있어 반응의 균일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quid is sucked and discharged by a single nozzle, the tip of the tip attached to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is contained, and then slightly raised to raise the liquid. Since it is designed to suck, almost all of the liquid in the container can be sucked to maintain the uniformity of the rea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팁 내에 흡착된 자성체 입자와 반응 시약 또는 세정수와의 교반 혼합을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흡인, 토출작업이 액체와 자성체 입자를 교반 혼합하기에 충분한 연속된 횟수로 고속으로 행하는 소위 펌핑 제어로 행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액체와 자성체 입자의 교반 혼합을 균일하게 행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speed stirring and mixing of the magnetic particles adsorbed in the tip and the reaction reagent or washing water at a continuous number of times sufficient for the liquid suction, suction by the discharge line, the discharge operation is sufficient to stir-mix the liquid and magnetic particles; Sinc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performed by what is called pumping control performed by the following, stirring mixing of a liquid and magnetic body particle | grains can be performed uniformly.

그리고 본 발명은 액체와 자성체 입자의 교반 혼합 작업을 행하는 경우,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흡인, 토출라인은 팁 선단부가 용기내에 수납된 반응시약 또는 세정수에 반드시 침지한 상태인 채 실행함으로써, 용기의 액량과 흡인 토출량이 거의 일치되도록 제어되어 있으므로, 기포가 혼입되지 않고 무충격성을 거의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포에 의한 목적 고분자물질의 자성체 입자로부터의 이탈을 착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quid and magnetic particles are stirred and mixed, the liquid suction, the suction by the discharge line, and the discharge line may be performed while the tip tip is immersed in the reaction reagent or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Since the liquid amount of the container and the suction discharge amount are controlled to be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each other, since the bubble is not mixed and almost the impact-free property can be secured, the separa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from the magnetic body particles due to the bubble can be reliab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목적 고분자물질과 시약 등과의 반응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증폭을 촉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온도 제어를 행하는 경우, 반응액 혹은 증폭 대상액을 상기 팁으로 미리 일정 온도로 유지된 각 항온용기로 이송하여 가열 혹은 냉각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응액 혹은 증폭 대상액에 대한 가열, 냉각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단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reaction solution or the amplification target solution to each thermo-temperature container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ith the tip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necessary for promoting the reac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nd the reagent or the amplifica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s performed. Since the heating or cooling is performed, the time required for heating and cooling the reaction liquid or the amplification target liquid can be greatly shortened.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온도 제어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선단부에 덮개를 장착하고, 이 덮개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개재시켜 온도 제어되어 있는 항온 용기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액체의 증발을 방지하고 공기 오염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during the temperature control, and the cover is attached to a temperature-controlled constant temperature container via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nd air pollution can be reliab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가, 반온 혹은 증폭 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이 라인에 장착된 팁에 의해 돌파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흡인, 토출수단을 배설하지 않고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에 의해 항온용기내의 반응액 혹은 증폭액을 흡인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간략화 됨과 동시에 일련의 작업의 전자동화가 용이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is configured to break through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mounted on the line after the half-temperature or amplifica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liquid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uction and discharge means. By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the reaction liquid or amplification liquid in the thermostatic container can be sucked,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and facilitating the automatic operation of a series of operations.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각 액체처리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를 수평이동 가능하면서 소정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액체 흡인, 토출작업을 행하는 수단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수평이동 방향을 따라 하나의 액체 처리에 대해서 필요한 수의 팁과, 이 액체가 수용된 용기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필터가 배설된 하나 이상의 필터흘더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다른 액체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은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상기 팁에 필터 홀더를 장착한 채 이송되면서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행하도록 구동 제어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원심분리기와 같은 작업이 중단되는 수단을 개설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suction, a discharge line, a liquid suction, a discharge line and a liquid suction of the liquid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dispenser to move the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ing a divider to move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order to realize each liquid treatment method, At least one filter container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ut a discharge operation, a number of tips necessary for one liquid treatment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and a filter required for the treatment. And one or more containers containing other liquids required for the treatment, wherein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is transported with a filter holder attached to the tip in accordance with instructions from a control device to be contained in the liquid and liquid. It is configured by driving control to perform the tasks such as quantification, separation, prepar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and dilution of high molecular materials. It is possible to automate tasks such as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and dilution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opening a means for stopping work such as a centrifuge.

본 발명은 수평이동 가능한과 동시에 소정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액체 흡인, 토출작업을 행하는 수단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하나의 액체 처리에 대해서 필요한 수의 팁과 이 액체가 수용된 용기와, 상기 팁에 액체가 흡인되어 혹은 토출할 때 액체에 함유되어 있는 자성체 입자를 팁 내벽면에 흡착시키는 자력체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다른 액체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용기를 배치하여 액체처리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은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상기 팁을 이송시키면서 액체 및 액체 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을 행하도록 구동 제어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원심분리기와 같은 작업이 중단되는 수단을 개설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목적 고분자물질의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which is horizontally movable and is supported to be lifted and lowe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liquid suction,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 of the liquid discharge line,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Therefore, the required number of tips for one liquid treatment, a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is accommodated, a magnetic body for adsorbing magnetic particles contained in the liquid to the tip inner wall when the liquid is attracted or discharged to the tip, and the treatment One or more vessels containing other liquids necessary for the liquid treatment device are arranged to constitute a liquid treatment device, and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is transferred to the tip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device. It is designed to be driven and controlled to carry out operations such as capture,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and measurement. This trapping action of the target high molecular substance with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having to open the device is interrupted, the extraction, isol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e tasks such as amplification, display, measurement.

그리고 본 발명은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를, 수평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소정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하나의 액체 처리에 대해서 필요한 수의 팁과, 이 액체가 수용된 용기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필터가 배설된 하나 이상의 필터 흘더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다른 액체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용기와, 자성체 입자가 함유된 용액이 수용된 용기와. 이 자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의 흡인 토출을 행하는 과정에서 이 자성체 입자를 상기 팁의 내면에 흡착시키는 자력체를 배치하여 구성하여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이송시키면서 액체 및 액체 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에 필요한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아주 간단한 구성으로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추,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 목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이라는 복잡한 처리 작업을 연속하여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which is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a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ing a dispenser and can be lift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ingle liquid treatment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 container containing the required number of tips, a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one or more filter holders in which the filter for the treatment is disposed, one or more containers containing other liquids for the treatment, a container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uction discharge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magnetic particles, the magnetic body for adsorbing the magnetic particl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is arranged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device. Since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necessary treatment for the target polymer contained in the liquid, it is very simple to quantify, separate, separate, fractionate, dispense, clarify, concentrate and dilute the target polymer, and to extract, recover and isolate the target polymer. The complex processing work called a job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and automatical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 이 액체 흡인, 토줄라인에 끼워맞춤 지지된 팁을 걸어멈춤하여 지지하는 훅을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하며, 이 훅은 보통의 상태에서는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팁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흑은 소정위치에 배설된 로킹해제체에 의해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팁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팁의 선단부에 필터 흘더를 착탈할 때 팁인 액체 흡인, 토출라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훅에 의한 착탈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ivotally supports a hook supporting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by stopping the tip supported by the liquid suction and toeline line. The hook is sucked and discharged in a normal state. The black is elastically biased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line and the tip, and the black is elastically biased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liquid suction, disengagement of the discharge line and the tip by the unlocking body dispos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Since it is compris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liquid suction which is a tip from being detached from a discharge line,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a filter holder to the front-end | tip of a tip, and can also attach and detach by the said hook automatical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훅이 결합된 액체 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팁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기 필터 흘더는 걸어 맞춘춤제에 걸린 상태에서 액체 흡인, 토출라인이 상승함으로써 이 팁 및/또는 필터 흘더가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이송되므로 팁 및/또는 필터 흘더의 탈착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quid treatment apparatus coupled to the hook, the filter feeder attached to the tip of the tip is a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is raised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engagement agent, the tip and / or filter feeder It is transported away from the end of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thereby automating the removal of the tip and / or filter holder.

그리고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용기를 복수의 액체 수용부를 가진 카세트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반응 혹은 처리상 필요한 검체나 시약을 미리 각 액체 수용부에 분주해 둘 수 있으므로, 고정도의 액체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액체 수용부에 미리 수용된 시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으로 파단 가능한 박막체로 밀봉함으로써 시약 분주기구가 불필요해지므로 장치 구성을 간략화함에 있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ontainer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cassette having a plurality of liquid containing portions, a sample or reagent necessary for reaction or processing can be dispensed in advance into each liquid containing portion, thereby achieving highly accurate liquid treatment. have. In this case, since part or all of the reagent previously contained in each liquid container is sealed with a thin film that can be broken by a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a tip, the reagent dispensing mechanism is unnecessary, which is preferable in simplifying the device configur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자력체를 영구자석으로 구성한 경우, 이 영구자석은 팁에 맞닿는 면이 팁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팁의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함으로써 자성체 입자의 완전한 포획은 물론, 자석의 이동에 따른 자성체 입자의 분산,이동에 의한 악영향을 착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gnetic body is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the permanent magnet is formed by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ip in accordance with the outer shape of the tip, the magnetic body by moving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tip Not only complete trapping of the particles, but also adverse effects due to the dispersion and movement of the magnetic particl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can be reliab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구자석 대신에, 상기 자력제출 전자석으로 구성하고, 이 전자석은 팁에 맞닿는 면이 팁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팁의 외측에 맞닿았을 때 자력을 발생시키며, 소자되었을 때에는 팁의 장축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설함으로써 , 팁의 장축방향을 따라 자력체가 이동함에 따라 자성체 입자가 질질 끌려 컨트롤 밖으로 이동하여 제어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자성체 입자의 완전한 흡착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magnetically-submitted electromagnet instead of the permanent magnet, the electromagnet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ip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outer shape of the tip,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When the element is moved, it is arranged to be movable includi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or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tip, so that as the magnetic body moves along the major axis of the tip, the magnetic particles are dragged out of the control and difficult to control. Can be prevented so that complete adsorption of magnetic particles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팁방향으로의 이동시 동기하여 이동하는 협지체를 설치하고, 이 협지체는 팁에 맞닿는 면이 팁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협지체와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상기 팁을 끼워 지지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상승시키는 것 만으로 팁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clamping body to mov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ermanent magnet or electromagnet in the direction of the tip, the clamping body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tip to the shape of the tip, the clamping body and the permanent magnet Or as configured to hold the tip with an electromagnet. The tip can be easily separated by only raising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액체처리 공정에 목적 고분자물질과 시약 등의 반응 또는 독적 고분자물질의 증폭에 필요한 온도제어공정을 넣고, 반응액 혹은 증폭 대상액을 상기 팁으로 미리 소정 온도로 유지된 각 항은 용기로 이송하여 온도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반응액 혹은 증폭 대상액이 수용된 항은 용기에는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선단부에 장착 가능한 덮개가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해 장학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목적 고분자물질의 증폭도 일련의 작업 중에서 연속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process required for the reac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nd the reagent or the amplification of the independent polymer material in the liquid treatment process by the liquid suction, the discharge line, a predetermined reaction solution or amplification target liquid to the tip in advance Each term kept at a temperature is transferred to a container for temperature control, and a term containing the reaction liquid or the amplification target liquid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with a lid that can be attached to the tip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Since it is configured to be scholarly, the amplifica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can be continuously processed in a series of operations.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덮개는, 상기 항온용기의 구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평면부와, 이 평면부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의 선단 외경과 동일 구경을 가지는 지지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홈부의 저부를,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으로 판단 가능한 박막체로 형성하였으므로, 별도의 덮개공급수단이나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이러한 종류의 장치를 대폭 간략화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ver is composed of a flat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ermostatic container, and a support groove portion form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flat portion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tip outer diameter of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Since the bottom of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of a thin film that can be judged by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over supply means, liquid suction or discharge line, thereby greatly simplifying this kind of apparatus. Can be.

이하, 첨부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based on embodiment example shown to an accompanying drawing.

제1도에는 본 발명을 DNA 추출, 회수, 단리를 위한 장치에 적용한 일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1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evice for DNA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본 장치는 XYZ 이동기구로 승강가능하면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노즐 유니트(J)에 지지된 피펫 노즐(P)과, 제1도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순서대로 팁(T1),(T2),(T3),(T4), 팁 분리체(E), 검체용기(C0), 제1필터홀더(H1), 셀(Cl), 제2필터흘더(H2), 셀(C2), 셀(C3), 셀(C4), 셀(C5), 셀(C6), 셀(C7), 항온셀(C8A),(C8B),(C8c), DNA 회수셀(C9)이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The apparatus comprises a pipette nozzle (P) supported by the nozzle unit (J), which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n XYZ moving mechanism, and in the order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in FIG. 1 (T 1 ), (T 2 ), ( T 3 ), (T 4 ), tip separator (E), sample container (C 0 ), first filter holder (H 1 ), cell (C l ), second filter holder (H 2 ), cell (C 2 ), cell (C 3 ), cell (C 4 ), cell (C 5 ), cell (C 6 ), cell (C 7 ),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A ), (C 8B ), (C 8c ), The DNA recovery cell (C 9 ) is arranged and arranged.

즉, 본 형태예에서는 팁(T1),(T2),(T3)은 필터 흘더(Hl), (H2)를 지지한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또한 팁(T4)은 자성체 입자를 포획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형태예에서는 자성체 입자를 포획하는 팁을 하나의 팁(T4)만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처리공정에 대응시켜 복수개 이용하도록 구성해도 좋음은 물론이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tips T 1 , T 2 , and T 3 have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filter holders H 1 and H 2 , and the tips T 4 are magnetic materials. It has a shape that traps particles.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a tip for capturing magnetic particles is treated using only one tip T 4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Good is of course.

또한 본 형태예에서는 검체용기(Co) 제1 필터흘더(Hl), 셀(Cl), 제2 필터홀더(H2), 셀(C2).셀(C3).셀(C4)까지가 필터 정제공정을 담당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ample container Co first filter holder H 1 , cell C 1 , second filter holder H 2 , cell C 2 , cell C 3 , cell C 4. ) Is responsible for the filter purification process.

그리고 셀(C5), 셀(C6), 셀(C7)은 자성 반응, 추출, 단리공정을 담당하며, 항온셀(C8A), (C8B).(C8C)은 온도제어를 담당한다.And cells (C 5), cells (C 6), cell (C 7) is in charge of the magnetic reaction, extraction and isolation process, a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A), (C 8B ). (C 8C) is a temperature control In charge.

이와같이 각 셀을 순서대로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검체를 일렬로 배치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펫 노즐(P)의 구동 제어도 단순화 할 수 있다. 물론 이들 각 셀 등의 배열은 처리 공정에 대응시켜 적절히 조합 혹은 변경하여 배열된다.Thus, by arranging each cell in order, it is possible to process one specimen in a state arranged in a row, and at the same time, driving control of the pipette nozzle P can be simplified. Of course, the arrangement of each of these cells and the like is appropriately combined or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processing step.

피펫 노즐(P)은 서보 모터나 펄스 모터로 흡인, 토출량을 엄격히 제어할 수 있는 실린더와 직결 혹은 근거리를 유지하여 접속되며, 유니트화 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랑직하다.The pipette nozzle P is connected directly or in close proximity to a cylinder capable of strictly controlling the suction and discharge amounts by a servo motor or a pulse motor, and is preferably united and integrated.

이 피펫 노즐(P)이 지지되는 노즐 유니트(J)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하 가이드체(1)와, 이 상하 가이드체(1)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흘더(2)와. 이 홀더(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체(3)와, 이 지지체(3)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된 상기 피펫 노즐(P)과. 상기 지지체(3)내에 배설되어 상기 피펫 노즐(P)을 보통 상태에 있어서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린(4)과, 상기 지지체(3)의 하부 돌출부(5)의 대향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훅체(6),(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부호(Z)는 피펫 노즐(P)의 하강량을 제어하는 센서이다.As shown in FIG. 2, the nozzle unit J on which the pipette nozzle P is supported includes an upper and lower guide body 1 supported to be movable in the XY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guide bodies 1. And a holder (2) that is connected to and moved up and down. A support (3)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holder (2), and the pipette nozzle (P)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haft rotatably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rinkler 4 disposed in the support body 3 to elastically bias the pipette nozzle P downward in a normal state, and the lower protrusion 5 of the support body 3. It is comprised by the hook bodies 6 and 6 supported. In addition, the code | symbol Z in a figure is a sensor which controls the fall amount of the pipette nozzle P. As shown in FIG.

상기 훅체(6),(6)는 상기 하부 돌출부(5)에 고착된 판스프링(7),(7)의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해 보통 상태에서 폐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다. 또한 상기스프링(4)은 피펫 노즐(P)의 쿠션으로서 배설되는 것이므로 피펫 노즐(P)과 지지체(3)의 어느 부분에 배설해도 좋으며, 또한 판스프링(7),(7)은 피펫 노즐(P)에 직접결합할 수도 있다.The hook bodies 6 and 6 are elastically biased in the closed direction in a normal state by the elastic biasing force of the leaf springs 7 and 7 fixed to the lower protrusion 5. In addition, since the said spring 4 is excreted as a cushion of the pipette nozzle P, you may arrange | position it in any part of the pipette nozzle P and the support body 3, and the leaf springs 7 and 7 are pipette nozzles ( It may also be bonded directly to P).

이와같이 구성된 노즐 유니트(J)는 상기와 같이 XYZ 방향(수평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 노즐유니트(J)에 지지된 피펫 노즐(P)의 하단부에는 상기 팁(T1), (T2). (T3)이 끼워 설치되며 , 이 끼워 설치된 삳태는 상기 훅체(6),(6)가 팁(T1), (T2), (T3)의 플랜지(8)를 안아 지지하는 상태로 걸어 멈춤함으로써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nozzle unit J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XYZ directio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tip T 1 , the lower end of the pipette nozzle P supported by the nozzle unit J, (T 2 ). (T 3 ) is fitted, and the fitted state is such that the hook body (6), (6) holds the flange (8) of the tips (T 1 ), (T 2 ), (T 3 ) It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stopping

또한 상기 혹체(6),(6)에 의한 피켓 노즐(P)과 팁(T1), (T2), (T3)의 연결상태(겉어멈춤상태)를 해제하는 팁 분리체(E)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을 폐기할 위치에 배설된 한쌍의 로크해제로드(9),(9)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로크해제로드(9),(9)의 하방에 배설된 예를들어 판상의 U자체(10)와, 상기 피펫 노즐(P)로부터 이탈된 팁(T1), (T2), (T3)이 폐기되는 폐기조(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ip separating body (E)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stopping state) of the picket nozzle (P) and the tip (T 1 ), (T 2 ), (T 3 ) by the hull (6), (6) Is a pair of unlocking rods 9 and 9 disposed at a position to dispose of the tip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For example, the plate-shaped U itself 10 disposed below the rods 9 and 9 and the tips T 1 , T 2 , and T 3 separated from the pipette nozzle P are It consists of a waste tank (not shown) which is discarded.

이와같이 피펫 노즐(P)과 팁(T1), (T2), (T3)을 훅체(6),(6)로 걸어멈춤하여 지지하는 것은 액체의 토출압력이나, 팁(T1), (T2), (T3)으로부터 필터 홀더(Hl).(H2)를 이탈시킬 때 피펫 노즐(P)과 팁(T1), (T2), (T3)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배려했기 때문이다.In this way, the pipette nozzles P and the tips T 1 , T 2 , and T 3 are supported by the hook bodies 6 and 6 to support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liquid, the tip T 1 , (T 2), (T 3 ) from the filter holder (H l) (H 2) pipette nozzle (P) and the tip (T 1) when leaving the,. (T 2), ( T 3) fitted state of Because it was considered not to be released.

따라서 상기 흑체(6),(6)에 의한 피펫 노즐(P)과 팁(T1), (T2), (T3)의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팁 분리체(E)가 배설된 위치에서 우선 노즐유니트(J)를 하강시 친다Therefore, in the case of releas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ipette nozzle P and the tips T 1 , T 2 and T 3 by the black bodies 6 and 6, the tip separator E is disposed. At the position, the nozzle unit (J) is lowered first.

그러면 상기 로크해제로드(9),(9)에 훅체(6),(6)의 수평 플랜지(6a), (6a)가 맞닿고. 상기 노즐유니트(J)가 더 하강하면 이 훅체(6),(6)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11),(11)을 지점으로 하여 개방방향으로 회동하여 피펫 노즐(P)과 팁(T1). (T2), (T3)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Then, the horizontal flanges 6a and 6a of the hook bodies 6 and 6 abut against the unlocking rods 9 and 9. When the nozzle unit J is further lowered, the hook bodies 6 and 6 rotate in the opening direction with the shafts 11 and 11 as points as shown in FIG. And tip (T 1 ). The locked states of (T 2 ) and (T 3 ) are released.

이 상태로부터 상기 노즐 유니트(J)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T1). (T2). (T3)의 플랜지(8)가 상기 U자체(10)의 하면으로 이동하여 이 U자체(10)의 U자상 홈부(12)에 피펫 노즐(P)의 동체부가 끼워넣어지고, 그후 상기 노즐 유니트(J)가 상승되면 팁(T1), (T2), (T3)의 플랜지(8)가 상기 U자체(10)의 U자상 홈부(12)의 주연부와 맞닿아 그 상승이 규제되므로 피펫 노즐(P)만이 상승되어 이 피펫 노즐(P)로부터 팁(T1), (T2), (T3)이 빠지면서 떨어진다.From this state, the nozzle unit J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4, the tip T 1 . (T 2 ). The flange 8 of (T 3 ) mov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 body 10 to fit the body part of the pipette nozzle P into the U-shaped groove part 12 of the U body 10, and then the nozzle When the unit (J) is raised, the flanges (8) of the tips (T 1 ), (T 2 ) and (T 3 ) come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U-shaped groove (12) of the U body (10), and the rise thereof is regulated. Therefore, only the pipette nozzle P is lifted and falls off while the tips T 1 , T 2 , and T 3 are pulled out from the pipette nozzle P.

한편, 상기 U자체(10)는 본 형태예에서는 판체에 U자상 홈부(12)를 형성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예를들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해제로드(9).(9)의 단부(13)를 U자상으로 연결하여 일체 형성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haped body 10 has been described taking the case where the U-shaped groove portion 12 is formed in the plate body in this embodiment examp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when the end portions 13 of the unlocking rods 9 and 9 are connected in a U-shape to be integrally formed.

그리고 이 로크해제로드(9),(9)와 U자체(10)는 팁 분리체(E)의 배설 위치만이 아니라 후술하는 필요한 위치에 적절히 배설된다.The unlocking rods 9, 9 and the U body 10 are appropriately disposed not only at the position where the tip separator E is disposed but also at the required position described later.

그런데 본 형태예에서는 팁(T1). (T2), (T3)이 한조로 이용된다. 이 수는 처리 공정에 대응시켜 증감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셀(C6),(C7)의 수도 도시한 형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By the way, in this embodiment, the tip (T 1 ). (T 2 ) and (T 3 ) are used in pair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number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eatment step. The number of cells C 6 and C 7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피펫 노즐(P)의 하단부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단부(段部) (PA),(PB)가 형성되어 있으며, 팁(T1), (T2), (T3)은 상기 1단째의 단부(P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또 팁(T4)은 2단째의 단부(P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lower end of the pipette nozzle P has two end portions P A and P B as shown in FIG. 7, and the tips T 1 , T 2 , (T 3 )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d (P A ) of the first stage, and the tip (T 4 )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d (P B ) of the second stage.

그리고 상기 피펫 노즐(P)의 하단부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플랜지(PC),(PC)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면과 이 플랜지(PC).(PC)와 직교하는 면(PD)이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nd the lower end is an eighth diagram surface and the flange (P C) with a flange (P C), (P C ) which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to project as shown in the pipette nozzle (P). ( The surface P D orthogonal to P C ) is formed in a planar shape.

이와같이 플랜지(PC),(PC)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해제체(E)에 의한 팁(T1), (T2), (T3)의 분리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평면상으로 형성된 면(PD)를 가짐으로써 협지체(V)와 자력체(M)에 의해 팁(T)를 끼워 지지하고 떼어낼 수 있다.Thus, by protruding the flange (P C ), (P C )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tip (T 1 ), (T 2 ), (T 3 ) by the release body (E), and also formed in a plane By having the surface P D , the tip T can be held and removed by the clamping body V and the magnetic force M. FIG.

이 협지체(V)와 자력체(M)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기어기구나 캠기구 혹은 랙과 피니언기구 등으로 이루어진 개폐작동기구(L)에 의해 동기하여 개폐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개폐작동기구(L)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유니트(S)의 하부에 배설되어 있다.This clamping body (V) and the magnetic body (M) are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in synchronism with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mechanism L made of a known gear mechanism, a cam mechanism or a rack and pinion mechanism, and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mechanism L is a cylinder unit as shown in FIG. It is excreted in the lower part of (S).

또한 상기 협지체(V)는 팁(T4)과 맞닿는 면이 팁(T4)의 중경부(K12)의 외형에 맞추어 오목 설치되어 있으며, 이 협지체(V)와 자력체(M)로 상기 팁(T4)을 끼워 지지한 후 피펫 노즐(P)를 상승시킴으로써 팁(T4)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rrow member (V) is a tip (T 4) and which is in contact surfaces are provided concave to match the contour of Chongqing unit (K 12) of the tip (T 4), a narrow member (V) and magnetic body (M) The tip T 4 can be easily separated by raising the pipette nozzle P after the tip T 4 is held therein.

이와같이 구성된 각 팁(T1),(T2),(T3),(T3),(T4)의 장착은 예를들어 팁(T1),(T2),(T3),(T4)이 세워져 지지된 팁랙(도시하지 않음)의 바로 위까지 피펫 노즐(P)을 이송한 후 하강시켜 피펫 노즐(P)의 하단부(PA) 또는 (PB)를 팁(T1),(T2),(T3),(T4)의 상단부에 압입함으로써 행해진다.The mounting of each tip (T 1 ), (T 2 ), (T 3 ), (T 3 ), (T 4 ) configured in this way is, for example, tip (T 1 ), (T 2 ), (T 3 ), (T 4 ) moves the pipette nozzle (P) up to the tip rack (not shown) supported by the upright support, and then lowers the tip (P A ) or (P B ) of the pipette nozzle (P) to the tip (T 1). ), (T 2 ), (T 3 ) and (T 4 ) by press-fitting to the upper ends.

즉, 필터 홀더(Hl),(H2)가 장착된 팁(T1).(T2).(T3)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경부(K1)와, 세경부(K1)의 상부에 연결된 중경부(K2)와, 중경부(K2)의 상부에 연결 형성된 대경부(K3)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팁이 이용되고 있으며, 후술하는 필터 홀더(H1)나 홀더(H2)의 상기 중경부(K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at is, the tip (T 1 ). (T 2 ). (T 3 ) with the filter holders (H l ) and (H 2 ) are attached to the narrow neck portion (K 1 ), diameter (K 1) and the top is Chongqing part (K 2) and, Chongqing part (K 2) large diameter (K 3) is formed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ip forme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being used coupled to a, the Chongqing part (K 2) of the filter holder (H 1) and the holder (H 2) to be described later is detachably mounted.

그리고 상기 팁(T1),(T2),(T3)의 중경부(K2)는 필터 홀더(H1),(H2)의 끼워맞춤 내경과 거의 동일 직경 혹은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세경부(K1)의 길이는 필터 홀더(H1),(H2)가 끼워 맞춰졌을 때 그 선단부가 필터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And the middle diameter portion (K 2 ) of the tips (T 1 ), (T 2 ), (T 3 ) is formed with a diameter substantially the same or slightly larger than the fitting inner diameter of the filter holder (H 1 ), (H 2 ) It is, and also is formed so that a short length of three light load (K 1), when the filter holder (H 1), (H 2 ) into been not fit the distal end portion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lter.

한편, 자성체 입자가 흡착되는 팁(T4)은 필터 홀더가 장착되는 (T1),(T2),(T3)과는 그 사용목적, 사용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펫 노즐(P)의 1단째(PA)보다 작은 직경인 2단째(PB)에 끼워 설치되는 내경을 가지는 대경부(K13)와, 대경부(K13)보다 작은 직경인(K12)와, 이 중경부(K12)보다 가는 직경의 세경부(K11)로 형성되어 있으며, 자성체 입자를 흡착하는 자력체(M)는 상기 중경부(K12)에 접촉 및 이탈된다.On the other hand, the tip T 4 to which the magnetic particles are adsorbed is different from the ones (T 1 ), (T 2 ), and (T 3 ) to which the filter holder is mounted, so that the purpose and method of use are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 Similarly, a large diameter portion K 13 having an inner diameter fitted to the second stage P B , which is smaller than the first stage P A of the pipette nozzle P, and a diameter small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K 13 (K 13 ). 12 ), and the thinner diameter portion K 11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middle diameter portion K 12 , the magnetic body M that adsorbs magnetic body particles is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middle diameter portion K 12 .

이 팁(T4)의 중경부(K12)의 낸경은 자력체(M)의 강자역이 미치기에 충분한 치수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체(M)의 팁 맞닿음면측 폭치수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middle diameter portion K 12 of the tip T 4 is configured to have a dimension sufficient for the ferromagnetic region of the magnetic body M to extend, preferably as shown in FIG. 11. It is form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dimension of the tip abutment surface side of ().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필터 홀더(Hl),(H2)가 장착된 팁(T1).(T2).(T3)으로부터 필터 홀더만을 분리할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필터 흘더(Hl),(H2)만을 떼어낼 필요가 없는 반응 공정의 경우에는 훅체에 의해 걸어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필터 홀더용 팁의 대경부 구증을 팁(T4)과 마찬가지로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holder H 1 , H 2 is equipped with a tip (T 1 ). (T 2 ). (T 3 ). In the case of the reaction process that does not need to remove H 1 ) and (H 2 ) alone, the large diameter part of the tip for the filter holder can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ip T 4 because there is no need to hook and fix the hook body.

이와같이 구성된 DNA 추출, 회수, 단리장치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공정으로 구동 제어된다.The DNA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device thus constructed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processes shown in FIGS. 12 and 13.

우선,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1에 있어서 피펫 노즐(P)의 하단부의 1단째(PA)에 1개째의 팁(T1)이 끼워져 장착된다. 이때 피켓 노즐(P)과 팁(T1)은 상기 훅체(6),(6)에 의해 결합되어 연결 상태가 유지된다.First, as shown in FIG. 12, in step 1, the first tip T 1 is fitted into the first stage P A of the lower end of the pipette nozzle P. FIG. At this time, the picket nozzle (P) and the tip (T 1 ) is coupled by the hook body (6), (6) to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이와같이하여 피펜 노즐(P)의 하단부의 1단째(PA)에 팁(T1)이 장착되면. 이 피펫 노즐(P)은 검체가 수용된 감체 용기(C0)의 바로 위까지 이송된 후 하강하여 액면센서(Z1: 제10도 참조)에 의해 액면이 확인된 후, 팁(T1)의 하단부를 검체 내로 삽입하여 소요량의 검체를 흡인한다(단계 2).In this manner, when the tip T 1 is attached to the first stage P A of the lower end of the Pippen nozzle P. The pipette nozzle P is transpor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duction container C 0 containing the sample and then lowered to confirm the liquid level by the liquid level sensor Z1 (see FIG. 10), and then the lower end of the tip T 1 . Is inserted into the sample to aspirate the required amount of sample (step 2).

이 검체는 본 형태예에 있어서는 모든 피를 SDS용액이나 프로티나제K의 용액 등에 의해 이미 세포핵 용해나 단백질 용해를 행한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처리공정에 상기 용액을 이용한 세포핵 용해나 단백질 용해의 공정을 넣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ll the blood has already been subjected to cell nuclear dissolution or protein lysis using a solution of SDS solution or proteinase K. However, the process of cell lysis or protein lysis using the solution in this treatment step is used. You can also put

다음에, 검체를 소요량 흡인한 팁(T1)은 제1 필터(Fl)가 배설된 제1 필터홀더(Hl)의 바로 위까지 이송된 후 하강하여 팁(T1)의 하단부에 제1 필터흘더(H1)를 끼워 고정한다(단계 3).Next, the tip T 1 , which absorbs the required amount of the sample,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holder H l in which the first filter F l is disposed, and then lowered to remove the tip T 1 from the lower end of the tip T 1 . 1 Insert and hold the filter holder H 1 (step 3).

이 제1 필터흘더(Hl)의 필터(Fl)는 상기 검체 중의 혈구의 껍질을 용해한 혈액중으로부터 제거하여 DNA를 한유하는 인파구액을 셀(Cl)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lter (F l) of the first filter heuldeo (H l)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into the cell (C l) the crowd guaek to Han Yu the DNA was removed from the blood dissolved the blood shell of the above samples.

이와같이 하여 팁(T1)의 하단부에 제1 필터흘더(Hl)를 끼워 고정한 피켓 노즐(P)은 다음에 셀(C1)의 바로 위까지 이송되며. 이 위치에서 피펫 노즐(P)은 토출작동을 개시하여 팁(T1)내에 흡인된 검체에 필요한 압력을 가하면서 이 검체 중의 세포막, 혈구의 껍질과 임파구, DNA를 분리하여, 임파구, DNA만을 셀(Cl)내로 토출한다(단계 4). 이때, 제1 필터 홀더(Hl)는, 스프링(4)에 의해 피펫 노즐(P)이 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으므로. 그 플랜지(13)가 셀(Cl)의 개구 주연부에 압압되어 밀착되AM로 액체의 토출 압력에 의한 리크의 발생이 방지된다.In this way, the picket nozzle P, which is fixed by inserting the first filter holder H l at the lower end of the tip T 1 , is then transferred to the top of the cell C 1 . In this position, the pipette nozzle P starts discharging operation and exerts the necessary pressure on the sample drawn into the tip T 1 while separating the cell membrane, blood cell shell, lymphocyte, and DNA in the sample, and thus, lymphocyte and DNA only. Discharge into (C l ) (step 4). At this time, the pipette nozzle P is elastically biased downward by the spring 4 in the first filter holder H l . The flange 13 is pressed against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cell C 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M,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leakage due to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liquid.

다음에 상기 피펫 노즐(P)은 제1도에 도시한 팁 분리체(E)의 배설 위치의 바로 위까지 이송된 후. 상기 수순에 따라 피펫 노즐(P)의 하단부로부터 팁(T1) 및 제1 필터 홀더(Hl)가 떼어내어지고(단계 5). 이 해체된 팁(T1) 및 제1 필터 홀더(Hl)는 폐기조(도시하지 않음)에 폐기된다.The pipette nozzle P is then conveyed to just above the excretion position of the tip separator E shown in FIG.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ocedure, the tip T 1 and the first filter holder H 1 are removed from the lower end of the pipette nozzle P (step 5). This dismantled tip T 1 and first filter holder H 1 are disposed of in a waste tank (not shown).

그후, 피펫 노즐(P)은 다시 상기 팁이 세워져 지지된 팁랙의 바로 위까지 이송되며, 이 위치에서 하강하여 이 피펫 노즐(P)의 하단부의 1단째(PA)에 2개째의 팁(T2)이 장착된다(단계 6). 이 경우도 이 피켓 노즐(P)과 팁(T2)도 혹체(6),(6)에 의해 결합되어 연결된다.Thereafter, the pipette nozzle P is again conveyed to the top of the tip rack where the tip is erected and supported, and descends from this position to the second tip T at the first stage P A of the lower end of the pipette nozzle P. 2 ) is mounted (step 6). Also in this case, the picket nozzle P and the tip T 2 are also coupled and connected by the carcasses 6 and 6.

다음에 이 팁(T2)이 장착된 피펫 노즐(P)은 다시 셀(Cl)의 바로 위까지 이송되며 이 위치에서 하강하여 상기 셀(Cl)내로부터 소요량의 임파구액을 흡인한다(단계 7),And from the inside, and then to the tip (T 2) is equipped with the pipette nozzle (P) is again is transferred to just above the cell (C l) by falling from the position of the cell (C l) sucking the lymphocyte solution of the requirements ( Step 7),

이후 상기 페펫 노즐(P)은 제1의 실리카멤브레인필터(F2)가 배설된 제2 필터흘더(H1)의 바로 위까지 이송된 후 하강하여 팁(T2)의 하단부에 제2 필터흘더(H2)를 끼워 고정한다(단계 8).Thereafter, the pipette nozzle P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holder H 1 in which the first silica membrane filter F 2 is disposed, then descends to lower the second filter holder at the lower end of the tip T 2 . (H 2 ) is inserted and fixed (step 8).

이 제2 필터흘더(H2)의 실리카멤브레인필터(F2)는 상기 인파구백 중의 협잡물로부터 DNA를 분리하고. 잔여액을 셀(C2)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ilica membrane filter (F 2 ) of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 separates DNA from contaminants in the bag.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residual liquid in the cell (C 2).

이와같이 하여 팁(T2)의 하단부에 제2 필터흘더(H2)를 끼워 고정한 피펫 노즐(P)은 다음에 셀(T2)의 바로 위까지 이송되며 , 이 위치에서 피펫 노즐(P)은 토출 작동을 개시하여 팁(T2)내로 흡인된 임파구액에 필요한 압력을 가하면서 이 임파구액중의 협잡물로부터 DNA를 분리하고, 잔여 임파구액이 셀(C2)내로 토출된다(단계 9). 이때 제2 필터흘더(H2)는, 스프링(4)에 의해 피펫 노즐(P)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으므로, 그 플랜지(14)가 셀(C2)의 개구 주연부에 압압되어 밀착되어, 액체의 토출 압력에 의한 리크의 발생이 방지된다.In this way, the pipette nozzle P, which is fixed by inserting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at the lower end of the tip T 2 , is then transferred to just above the cell T 2 , where the pipette nozzle P is The ejection operation is started to apply the necessary pressure to the lymphocyte fluid sucked into the tip T 2 while separating the DNA from the contaminants in the lymphocyte solution, and the remaining lymphocyte solution is discharged into the cell C 2 (step 9). The second filter heuldeo (H 2) is, since the pipette nozzle (P) is biased elastically downward by the spring 4, the flange 14 is adhered is pressed against an opening periphery of the cell (C 2), The occurrence of leaks due to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liquid is prevented.

다음에 피펫 노즐(P)은 DNA를 포획한 제2 필터흘더(H2)를 끼워 고정한 채 세정액이 수용된 제3의 셀(T3)의 바로 위까지 이송된 후 하강하여 상기 제2 필터흘더(H2)를 셀(C3)의 세정액 중에 침지한다(단계10).Next, the pipette nozzle P is transported to the top of the third cell T 3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while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trapping DNA is fixed therein and then lowered to lower the second filter holder ( H 2 ) is immersed in the cleaning liquid of the cell C 3 (step 10).

이후. 팁(T2) 및 게2 필터홀더(H2)의 걸어맞춤 상태는 제14도에 도시한 필터홀더 해체체(El)에 의해 해제되어, 상기 제2 필터홀더(H2)만이 셀(C3)의 세정액 중에 침지된다(단계 11). 또한. 팁(T2)은 팁 분리체(E)의 바로 위까지 이송된 후, 상기수순에 따라 피켓 노즐(P)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된다.after. Tip (T 2) and to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the engagement state only, it is released by the filter holder dissolution body (E l) shown in claim 14, also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cells of ( C 3 ) is immersed in the washing liquid (step 11). Also. The tip T 2 is transported to just above the tip separator E, and then separated from the picket nozzle P 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and discarded.

한편, 필터 홀더 분리체(El)는 평면형상이 거의 U자상의 절결홈(15)을 가지고 구성되며. 이 절결홈(l5)은 팁(T1).(T2),(T3)의 동체부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이며 필터홀더(Hl).(H2)의 플랜지(13),(1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holder separator (E l ) is formed with a substantially U-shaped cutout groove 15 in planar shape. The cutout groove l5 is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uselage of the tips T 1 , T 2 and T 3 and the flanges 13 and 14 of the filter holder H 1 H 2 . It i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다음에 피펫 노즐(P)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팁이 세워져 지지된 팁랙의 바로 위까지 이송되고 이 위치에서 하강하여 이 피펫 노즐(P)의 하단부의 1단째(PA)에 3개째의 팁(T3)이 장착된다(단계12). 이때도 상기 피펫 노즐(P)과 팁(T3)은 훅체(6),(6)에 의해 걸어 멈춤되어 연결상태가 유지된다.Next, as shown in FIG. 13, the pipette nozzle P is conveyed to the top of the tip rack where the tip is erected and supported again, and descends from this position to lower the first stage P A of the lower end of the pipette nozzle P. The third tip T 3 is mounted to the third stage (step 12). At this time, the pipette nozzle P and the tip T 3 are stopped by the hook bodies 6 and 6 to maintain a connected state.

그후, 이 팁(T3)이 장착된 피펫 노즐(P)은 재차 셀(C3)의 바로 위까지 이송되고 이 위치에서 하강하여 팁(T3)의 하단부에 상기 제2 필터흘더(H2)를 끼워 고정한다(단계 13).Then, the pipette nozzle P equipped with the tip T 3 is again transported to just above the cell C 3 and lowered from this position to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at the lower end of the tip T 3 . ) To fix it (Step 13).

다음에 상기 피펫 노즐(P)은 흡인 작동을 개시하여 세정액과 DNA의 혼합액을 필요량 흡인한다. 이로써 필터방식에 의한 DNA의 정제작업이 종료된다.Next, the pipette nozzle P starts a suction operation to suck the required amount of the liquid mixture of the washing liquid and DNA. This completes the purification of the DNA by the filter method.

상기 형태예에서는 제2 필터홀더(H2)를 셀(C3)의 세정액 중에 침지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분리체(E) 대신에 예를들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C3)내에 제2 필터홀더(H2)의 침입은 허용하지만 빠져 나감은 규제하는 걸어멈춤돌기(W)를 돌출형성함과 동시에, 제2 필터홀더(H2)의 외주면에 상기 걸어멈춤돌기(W)와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돌기(S)를 돌출 형성하고. 이들 걸어맞춤돌기(S)와 걸어먼춘돌기(W)를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게2 필터흘더(H2)를 셀(C3)의 세정액 중에 침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instead of the separator E as a means for immersing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in the cleaning liquid of the cell C 3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cell C 3 is The stopper protrusion W, which permits intrusion of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but restricts the exit, protrudes, and the stopper protrusion 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holder H 2 . Protruding the engaging projection (S) to be engaged with. These walking by engaged with the alignment projection (S) walking meonchun projections (W) to the second filter heuldeo (H 2) may be configured to immersed in a cleaning liquid in the cell (C 3).

또한. 도시한 형태예에서는 팁(T1).(T2),(T3)에 장착되는 필터흘더의 수를 1개로 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T1),(T2).(T3)에 필터흘더(Hl) 또는 (H2)를 장착함과 동시에 이 필터홀더(Hl), 또는 (H2)에 필터흘더(H2), 또는 (H1)를 장착하여 필터 흘더를 2단 연결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단수도 2단 이상 적절한 필터흘더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해도 좋다 .Also.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ase in which the number of filter holders mounted on the tips T 1 , T 2 , and T 3 is set to one is explained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the filter holder H l or H 2 is attached to the tips T 1 , T 2 , and T 3 , as necessary, and at the same time, the filter holder is mounted. (H l), or by (H 2) filter heuldeo (H 2), or by mounting a (H 1) good also be used to connect the filter heuldeo second stage, the singular also multi-stage connection in a two-stage or more appropriate filters heuldeo in You may use it.

그리고, 액체 처리에 의해서는 도시한 형태예에서는 필터 면적이 부족한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흘더(H3)의 중도부에 동체부보다 큰 직경의 필터수납부(Q)를 부풀려 형성하고, 이 필터수납부(Q)내에 필터 면적이 큰 필터(F3)를 수납시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의 필터수납부(Q)의 외경은 셀(C)의 상단플랜지부(CA)에 돌출 형성된 위치결정돌기(CB),(C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 도면의 부재번호 R은 필터(F3)를 필터수납부(Q)의 중간부에 지지하기 위한 스테이부재이다. 물론, 상기 필터(F3)는 그 하부를 메쉬로 지지해도 좋다.By the liquid treatment, the filter area may be insufficient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7, the filter housing part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fuselage part in the middle part of the filter holder H 3 is shown. (Q) may be inflated, and the filter F 3 having a large filter area may be housed in the filter housing Q.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ter housing (Q) in this cas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sitioning projections (C B), (C B ) protruding from the upper flange portion of the cell (C) (C A) . In addition, a stay member for supporting the reference numeral R in the drawing is a filter (F 3)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Q). Of course, the filter (F 3)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mesh.

다음에, 상기 반응 공정을 거쳐 정제된 DNA를 자성체 입자를 사용한 추출, 회수, 단리 또는 PCR 증폭 혹은 온도 제어하는 경우의 공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in the case of extracting, recovering, isolating or PCR amplifying or temperature controlling the DNA purified through the above reaction step using magnetic material particles will be described.

즉, 이 분주기를 이용하여 표면에 DNA 또는 DNA 결합물질과 결합되는 자성체입자(G)에 의한 추출, 회수, 단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13도의 단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피펫 노즐(P)을 상승시켜 상기 필터흘더 분리체(El)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흘더 분리체(E2)를 개재시켜 게2 필터흘더(H2)를 셀(C3)내에 남긴채 4개째의 셀(C4)의 바로 위까지 이송하고 이 흡인된 DNA 용액을 이 셀(C4)내로 토출한다.That is, in the case of extracting, recovering, and isolating the magnetic particles G, which are bound to the DNA or DNA binding material on the surface by using the divider, first, as shown in step 14 of FIG. 13, the pipette nozzle ( The fourth cell while raising P) and leaving the filter 2 filter holder H 2 in the cell C 3 via the filter holder separator E 2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lter holder separator E l . It is transferred to just above the (C 4), and discharging the sucked DNA solution into the cell (C 4).

이 셀(C4)내에는 표면에 DNA 또는 DNA 결합물질과 결합되는 자성체 입자(G)가 함유되어 있는 반응액이 미리 소요량 분주되어 있으며, 이 반응액 중에 DNA용액이 토출됨으로써 DNA 단편과 자성체 입자(G)의 반응이 개시된다.In this cell (C 4 ), a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G) bound to a DNA or a DNA binding material is dispensed in advance on the surface, and DNA fragments and magnetic particles are discharged by discharging the DNA solution in the reaction solution. The reaction of (G) is started.

이 DNA 용액의 셀(C4)내로의 토출작업이 종료된 상기 팁(T3)은 상기 팁(T1),(T2)과 동일한 수순으로 피펫노즐(P)의 하단부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된다.The tip T 3 having finished discharging the DNA solution into the cell C 4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pipette nozzle P in the same procedure as the tips T 1 and T 2 and discarded. .

물론 이후 피펫 노즐(P)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순과 동일한 수순으로 팁(T4)이 장착된다.Of course, the tip T 4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pipette nozzle P in the same procedure as the above procedure.

다음에 일정시간 경과후 피펫 노즐(P)은 하강하여 상기 팁(T4)을 반응액 중에 삽입한 후 팁(T4)의 중경부(Kl2)에 자력체(M)가 맞닿아, 상기 피펫노즐(P)에 의한 흡인, 토출작업이 1회 이상 필요한 횟수만큼 행해져 자성체 입자와 반응액의 분리작업이 행해진다(단계 15). 이때의 흡인, 토출작업은 자성체 입자가 거의 완전하게 포획되도록 천천히 행해진다. 이 경우, 흡인 혹은 토출되는 반응액은 최종 액면이 자력체(M)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내를 지나도록 흡인, 토출 제어하는 것이 자성체입자를 보다 완전하게 흡착할 때 중요해진다.Next,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pipette nozzle P is lowered and the tip T 4 is inserted into the reaction liquid, and then the magnetic body M contacts the middle diameter portion K l2 of the tip T 4 . The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by the pipette nozzle P are performed as many times as necessary, and the separation of the magnetic particles and the reaction liquid is performed (step 15). At this time,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are performed slowly so that the magnetic particles are almost completely captured.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for the reaction liquid to be sucked or discharged to control the suction and discharge so that the final liquid level passes within the range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M when the magnetic body particles are more completely absorbed.

이 분리작업에 의해 자력체(M)의 자력에 의해 DNA가 흡착된 자성체 입자(G)만이 팁(T4)의 내면에 거의 완전하게 흡착되고. 기타의 액체는 셀(T4)내로 토출된다.Only magnetic particles G having DNA adsorb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M by this separation operation are almost completely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T 4 . Other liquids are discharged into the cell T 4 .

본 형태예에 있어서 상기 자력체(M)는 팁(T4)의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퇴하면서 상승하는 등으로하여 이동시켜 행하거나 전자석의 온.오프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gnetic force M is moved by retreating while retreat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tip T 4 o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ip T 4 , or by the on / off control of the electromagnet. .

전자석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팁(T4)의 외측에 맞달았을 때 온 작동시켜 자력을 발생시키고, 소자했을 때에는 이 전자석을 팁(T4)으로부터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서 상승시키는 등으로 하여 이동시켜 행하도록 제어된다.Case where the electromagnet has to work on when the silencers fit on the outside of the tip (T 4)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while retracting the electromagnet when it is the device with the tip (T 4) direction to the direction or perpendicular to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direction from the It is controlled to carry out by raising, for example.

그후, 내면에 자성체입자(G)가 흡착된 팁(T4)은 목적 DNA를 추출,회수,단리,처리에 필요한 제한 효소액 등의 시약이 미리 수용된 셀(C5)로 보내지며, 이 위치에서 상기와 동일한 펌핑 작동에 의한 제한 호소액 등의 시약의 흡인, 토출작업이 행해진다(단계16). 이 시약의 흡인 토출작업은 팁(T4)의 선단부를 시약내에 침지한 채의 상태로 복수회 연속하여 행해져 기포의 혼입이 방지된다. 이때 자력체(M)의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이 자력체(M)를 세트함으로써 제한 효소액 등의 시약과 자성체입자의 혼합 교반을 고정도로 행할 수 있어 높은 반응 상태를 보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ip T 4 having magnetic particles G adsorbed to the inner surface is sent to a cell C 5 in which a reagent such as a restriction enzyme solution necessary for extracting, recovering, isolating, and treating the target DNA is previously contained. The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of the reagent such as the restriction appealing liquid by the same pump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step 16). The suction discharge operation of the reagent is performed in succession a plurality of times while the tip portion of the tip T 4 is immersed in the reagent to prevent the mixing of bubbles. At this time, by setting this magnetic body M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M, mixing and stirring of reagents such as restriction enzyme liquid and magnetic body particles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thereby ensuring a high reaction state.

다음에 제한효소액 등의 시약과 자성체입자의 혼합 교반이 충분히 행해진 후. 팁(T4)은 이 액을 다시 천천히 흡인, 토출하고, 이 작업을 1회 이상 필요한 횟수만큼 행하여 자력체(M)에 의한 자성체 입자와 액체의 분리 작업이 행해진다.Next, after sufficient mixing and stirring of reagents such as restriction enzyme solutions and magnetic body particles is carried out. The tip T 4 slowly sucks and discharges this liquid again, and performs this operation one or more times as many times as necessary to separate the magnetic body particles and the liquid by the magnetic body M.

이로써 DNA가 합된 자성체입자(G)만이 팁(T4)의 내면에 거의 완전히 흡착되고, 기타의 액체는 셀(C5)내로 토출된다(단계17).As a result, only the magnetic particles G having the DNA added thereto are almost completely adsorb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T 4 , and other liquid is discharged into the cell C 5 (step 17).

이후. 내면에 자성체입자(G)가 흡착된 팁(T4)은 독적 DNA를 추출.회수.단리처리에 필요한 시약이 미리 수용된 셀(C6), (C7)로 차례로 보내지고. 이 셀(C6), (C7)의 배설 위치에서 상기와 동일한 펌핑작업에 의한 반응 처리가 행해진다(단계18).after. The tip (T 4 ) having magnetic particles (G) adsorbed on its inner surface extracts the original DNA, and is sent to the cells (C 6 ) and (C 7 ) containing the reagents necessary for the isolation process in advance. Reaction processing by the same pump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t the discharge positions of the cells C 6 and C 7 (step 18).

이때, 상기 자력체(M)의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이 자력체(M)을 세트함으로써 시약과 자성체입자(G)의 혼합 교반을 고정도로 행할 수 있다. 둘론 펌핑 횟수는 상기 형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setting this magnetic body M in a state not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M, the mixing and stirring of the reagent and the magnetic body particles G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The number of pumping dulons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but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또한 상기 처리공정 도중에 온도제어 또는 증폭이 필요한 경우, 예를들어 90。C, 60。C, 40。C의 온도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목적 온도로 가열된 항온셀(C8A),(C8B),(C8C)에 반응액을 이송하여 행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은 하나의 가열수단으로 승강온도 제어하는 경우나 용기마다 가열 부위까지 용액을 이송하는 경우에 비해 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혹은 온도 관리에 의한 증폭도 용이하면서 단시간에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 용기의 이송기구가 불필요해지므로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emperature control or amplification is requir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for example, when temperature management of 90 ° C, 60 ° C, and 40 ° C is required, constant temperature cells (C 8A ) and (C 8B ) heated to a target temperature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designed to be transferred to (C 8C ). In this case, th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more efficiently than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elevating temperature by one heating means as in the prior art or transferring the solution to the heating site for each container. Alternatively, the amplification by the temperatur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easily and in a short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mechanism of the container becomes unnecessary,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simplified.

그리고, 가열온도가 60。C나 90。C인 경우, 혼합용액이 증발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형태예에서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L)을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60 ° C. or 90 ° C., the mixed solution is evaporated. Thus,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over L as shown in FIG.

이 덮개(L)는 히터 블록 등의 가열부재에 형성된 용기지지공에 수용되어 이루어진 항온셀(C8A), (C8B), (C8C)내의 고온으로 가열되는 항온셀(C8)에 끼워맞춤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항온셀(C8)의 구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평면부(L1)와, 이 평면부(L1)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항온셀(C8)의 외주 상부에 돌출 형성된 걸어멈춤돌기(Yl)와 걸어맞추어지는 단면 거의 L자상의 걸어멈춤편부(L2)와, 상기 평면부(Ll)의 중앙부에 오목 설치된 지지혼부(L3)와, 이 지지홈부(L3)의 저부를 막는 알루미늄등으로 형성된 박막부(L4)와, 상기 지지홈부(L3)의 외주부에 돌출 형성된 실링돌기부(L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홈부(L3)는 피펫노즐(P)의 선단 외경과 동일한 구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The cover L is fit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s C 8A , C 8B , and C 8C formed in a container support hole formed in a heating member such as a heater block. It is fixed to fit, the planar portion (L 1 )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 and formed extending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anar portion (L 1 ) is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 a substantially L-shaped engaging piece L 2 having a cross section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Y l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y, and a support mixing portion L 3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flat portion L l . ), and is composed of a support groove (and the thin film portion (L 4) formed of aluminum or the like to prevent the bottom of the L 3), the sealing protrusions (L 5)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ing groove (L 3), and the The supporting groove L 3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tip outer diameter of the pipette nozzle P.

또한 상기 박막부(L4)는 알루미늄 등의 별체 실링재를 지지홈부(L3)에 가열용착 혹은 초음파 용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지지홈부(L3)와 동일한 재질인 연질플라스틱으로 박막상으로 형성해도 좋다.Further, the thin film portion L 4 may be formed by heating or ultrasonically welding a separate sealing material such as aluminum to the support groove portion L 3 , or may be formed in a thin film form of a soft plastic having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support groove portion L 3 . good.

따라서, 상기 항온셀(T8)에 혼합용액을 주입한 후, 팁(T4)이 분리된 피펫노즐(P)은 덮개(L)가 스토크되어 있는 위치까지 이송된 후 하강하여 피펫노즐(P)의 선단부가 덮개(L)의 지지흥부(L3)에 압입되며, 그후 상기 피펫노즐(P)은 덮개(L)를 지지한 채 상기 항온셀(C8)의 바로 위까지 이송되어 하강하며, 덮개(L)의 걸어먼춤편부(L2)와 항온셀(C8)의 걸어떰춘돌기(Y1)를 걸어맞춘시킨다. 물론 이때 항온셀(C8)은 히터 블록 등의 가열부재로부터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걸어멈춤 되어 있다.Therefore, after injecting the mixed solution into the incubation cell (T 8 ), the pipette nozzle (P) from which the tip (T 4 ) is separated is transferr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over (L) is stoked and then lowered pipette nozzle (P) ) The tip end portion is pressed into the support lifting portion (L 3 ) of the cover (L), after which the pipette nozzle (P) is transferred to the top of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 while supporting the cover (L) and lowered The engagement portion (L 2 ) of the cover (L)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jection (Y 1 ) of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 Of course, at this time,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is stopped so as not to be lifted from a heating member such as a heater block.

이러한 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피펫노즐(P)은 상승하는데, 이때 덮개(L)는 항온셀(C8)로 벗어나지 않도록 고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펫노즐(P)의 선단부가 덮개(L)의 지지홈부(L3)로부터 빠져나가 피펫노즐(P)만이 소정위치까지 이동한다.After these operations are finished. The pipette nozzle (P) is raised, but the cover (L) is fixed so as not to escape to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 so that the tip of the pipette nozzle (P) is pulled out of the support groove (L 3 ) of the cover (L) Only the outer pipette nozzle P mov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그후, 상기 피펫노즐(P)은 선단부에 새로운 팁(도시하지 않을)을 장착하여 재차 상기 항온셀(C8)의 바로 위까지 이송된 후 하강하여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T)의 선단부가 덮개(L)의 지지홈부(L3)내로 삽입되어 상기 박막부(L4)를 찢고 하강하여 이 항온셀(C8)내에 수용된 혼합용액을 흡인한 후, 상승하여 이 흡인된 혼합용액을 항온셀(C8) 혹은 셀(C9)로 이송하도록 구동 제어되고 있다.Thereafter, the pipette nozzle P is equipped with a new tip (not shown) at the distal end, and is transpor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 and then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tip T as shown in FIG. 19. The front end of the li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L 3 ) of the cover (L) to tear and descend the thin film portion (L 4 ) to suck the mixed solution contained in the incubation cell (C 8 ), and then rise to the aspirated mixing The control is driven to transfer the solution to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 or the cell C 9 .

이와같이 하여 셀(C9)에는 셀(C7) 또는 항온셀(C8A)내로부터 전량 흡인된 DNA 용액이 토출된다. 이때 팁(T4)의 중경부(Kl2)에 자력체(M)가 맞닿고. 상기 피펫노즐(P)에 의한 흡인, 토출작업이 1회 이상 필요한 횟수만큼 행해져 자성체입자(G)와 DNA용액의 분리 작업이 행해지며, 자성체입자(G)는 팁(T4)의 내면에 흡착된 채 지지되고 DNA 용액만이 토출된다(단계 19).In this way, the cell C 9 is discharged with the DNA solution sucked entirely from the cell C 7 or the constant temperature cell C 8A . At this time, the magnetic body (M) is in contact with the middle portion (K l2 ) of the tip (T 4 ). The suction and discharging by the pipette nozzle P is performed as many times as necessary, and the separation of the magnetic particles G and the DNA solution is performed, and the magnetic particles G are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T 4 . And only the DNA solution is discharged (step 19).

또한, 상기 제1형태예에서는 필터흘더(H1),(H2)와 검체셀(C0)과 각 셀(Cl)내지 (C9)를 반응공정순으로 나란히 배치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체셀(C0)과 DNA회수셀(C9) 이외에는 필터 정제에 이용되는 셀(Cl) 내지 (C4)군과 필터홀더(H1),(H2)군과 자성체입자(G)로 처리되는 셀(C5) 내지 (C7)군 및 항온셀(C8A) 내지 (C8C)군의 각 군을 카세트에 배치하고. 피펫노즐(P)을 상기 반응 공정에 대응시켜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물론 덮개(L)를 항온셀(C8A) 내지 (C8C)군의 카세트에 병설시켜도 좋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lter holders H 1 , H 2 , the sample cells C 0 , and the cells C l to C 9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order of reaction step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 20, except for the sample cell C 0 and the DNA recovery cell C 9 , the cells C 1 to C 4 used for filter purification. Each group of cells (C 5 ) to (C 7 ) and constant temperature cells (C 8A ) to (C 8C ) groups treated with the group, the filter holder (H 1 ), (H 2 ) and the magnetic body particles (G) To the cassette. The pipette nozzle P may be configured to drive control in response to the reaction step. Of course, the cover L may be placed in a cassette of the incubation cells C 8A to C 8C .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2형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형태예에서는 상기 단일의 반응라인과 동일한 배치로 이루어진 반응라인을 복수열, 예를들어 4열 배치하고, 이들 각 라인사이를 격벽(X)으로 구획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피펫노즐은 각 라인마다 대응하여 필요갯수가 직렬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검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G. 21 shows a secon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xample, a plurality of rows, for example, four rows of reaction lines having the same arrangement as that of the single reaction line are arranged, and a partition wall is formed between the lines. The structure comprised by X) is shown. In this case, of course, the pipette nozzles are arranged so that the required number is arranged in series corresponding to each line, so that a plurality of samples can be processed simultaneously.

또한 상기 각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시약용기(Ra).(Rb).(Rc).(Rd).(Re).(Rf) 및 각 시약 분주용팁(T5A).(T5B).(T5C).(T5D).(T5E).(T5F)은 상기 각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피펫노즐(Pl),(P2),(P3),(P4)의 이동 궤적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reagent containers (Ra). (Rb). (Rc). (Rd). (Re). (Rf) and each reagent dispensing tip (T 5A ). (T 5B ). 5C ). (T 5D ). (T 5E ). (T 5F ) shows the movement trajectories of the pipette nozzles (P l ), (P 2 ), (P 3 ), (P 4 ) moving along each of the lines. Are arranged in parallel.

상기 격벽(X)은 피펫노즐(Pl),(P2),(P3).(P4)이 끌어올려진 상태로 그 선단부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며, 이 격벽(X)은 근방의 라인과의 작업 공간을 구획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로써 다른 라인으로 부터의 목적 DNA 이외의 것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artition (X) is a pipette nozzle (P l), (P 2 ), is made (P 3). (P 4 ) is pulled up binary state to a plate a rectangular having a size in the range that includes the front end portion The partition wall X is formed by partitioning a work space with a line in the vicinity, w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xing of other than the target DNA from another line.

그리고. 상기 격벽(X) 대신에 상기 각 라인사이에 라인방향으로 긴 공기흡입구를 가지는 공기흡입기(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여 공기흡인을 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And. Instead of the partition wall X, an air intake (not shown) having a long air intake in the line direc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nes to perform air suction.

이로써 각 라인에 하방향으로의 공기류의 막이 발생하여 상기 격벽(X)을 마련한 경우와 동일하게 인접된 라인 사이의 공간이 구획되며, 다른 라인으로부터의 목적 DNA 이의의 것이 다른 라인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흡인에 의한 방법에 따르면, 물리적인 막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피펫노즐의 형상에 대해서 혹은 이동에 대해서도 비교적 자유로운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인기는 상기 각 라인의 상방에 마련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라인간에 상방향의 공기류의 막이 발생하여 공간이 구획된다. 물론, 이 공기흡인법과 상구 격벽(X)을 병용함으로써 보다 라인간의 이물 투과를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a film of air flows downward in each line, and the space between adjacent lines is partition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partition wall X is provided, and the object DNA objections from other lines are mixed into other lines. You can prevent it. According to the air suction method, a physical membrane does not exist, and thus a configuration that is relatively free with respect to the shape or movement of the pipette nozzle can be taken. The air suction unit may be provided above each of the lines. In this case, a film of an upward air stream is generated between the lines, thereby partitioning the space. Of course, by using this air suction method and the upper mouth partition wall X together, the foreign material permeation between lines can be prevented more.

제22도는 상기 제2형태예에 이용되는 실린더(Jl)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린더(Jl)는 각 라인의 작업을 각각 별개의 실린더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하나의 실린더(Jl)로 처리할 때의 이 실린더(Jl)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4련으로 접속된 피펫노즐(P1),(P2),(P3),(P4)의 각각에 상기 제2형태예에서 사용되는 착탈 가능한 각 팁(T1),(T2),(T3),(T4) 및 (T5A),(T5B).(T5C),(T5D) 등이 4개 동시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외에, 다른 구성작용은 공지의 이러한 종류의 실린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는 팁의 수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액체처리 라인 수에 대응시켜 1개 이상이면 복수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22 to turn the first and second show the cylinder (J l) to be us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treatment with a cylinder (J l) is a cylinder (J l) instead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dependently of the cylinder, respectively them one in each line It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ylinder (J l) are used for each of the pipette nozzle (P 1), (P 2 ), (P 3), (P 4) connected to four consecutive in the second embodiment at the time of Each detachable tip (T 1 ), (T2), (T 3 ), (T 4 ) and (T 5A ), (T 5B ). (T 5C ), (T 5D )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ther construc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is known cylinder type,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ips mounted on the cylinder is not limited to four, but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in plural if one or more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liquid processing lines.

제23도과 제24도는 제22도에 도시한 실린더로 액체의 처리를 행할 때. 자력체(M)와 협지체(V)를 제어 구동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예에서는 빗살상으로 형성된 자석부(Ml),(M2),(M3),(M4)를 가지는 자력체(M)와, 이것도 빗살상으로 형성된 협지부(Vl),(V2),(V3),(V4)를 가지는 협지체(V)를 개폐 가능하게 승강기구(0)에 축지지하며, 이 승강기구(0)를 승강시킴으로써 승강기구(0)의 롤러(OR),(OR)가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아 자력체(M)와 협지체(V)가 제23도에 도시한 스프링(Os)에 의해 팁을 끼워 지지하는 방향으로 폐작동하며 , 그 결과 이 4개의 팁(TA).(TB),(TC),(TD)에 대해서 동시에 자력계(M)를 맞닿게 하고, 혹은 협지체(V)와 자력계(M)로 동시에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23 and 24 show liquid treatment in the cylinder shown in FIG. In the case of controlling and driving the magnetic body (M) and the clamping body (V), a preferable configuration is shown. In this example, the magnet portions (M l ), (M 2 ), (M 3 ), and (M 4 ) formed in the shape of combs are shown. Lifting mechanism (M) having a magnetic body (M) having a), and also the clamping body (V) having a clamping portion (V l ), (V 2 ), (V 3 ), (V 4 ) formed in the shape of a comb. and a support shaft to 0), the rollers (O R) (O R) a blocking magnetic body (M) and the narrow-member as shown in claim 24 is also of the lift mechanism (0) by lifting the hoisting machine (0) (V) is cl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p is held by the spring Os shown in FIG. 23, and as a result, these four tips T A. (T B ), (T C ), (T D )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gnetometer M at the same time, or can be simultaneously supported by the clamping body V and the magnetometer M.

이와같이 자력체(M)와 협지체(V)를 구성함으로써, 액체처리라인이 제2형태예와 같이 격벽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진 경우에, 자력계(M)와 협지체(V)가 격벽과 충돌하지 않고 4개의 액체처리라인에 있어서의 자성체 입자의 흡착이나 교반 혼합 혹은 액체의 흡인 토출작업을 동일 타이밍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둘론, 본 발명에서는 자력체(M)와 협지체(V)를 상기 형태예와 같이 4부 구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2부 이상으로 형성해도 된다.By constituting the magnetic force body M and the clamping body V in this way, when the liquid treatment line is partitioned into partition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agnetometer M and the clamping body V do not collide with the partition wall. The adsorption, stirring and mixing of the magnetic particles in the four liquid processing lines or the suction discharge operation of the liquid can be simultaneously processed at the same timing, and the processing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by a simpler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force body M and the clamping body V are not limited to the case of forming a four-part configuration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parts as the case may b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인 토출라인에의 용액의 부착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팁의 대경부의 상부에 필터를 장전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may be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tip in order to prevent suction of adhesion of the solution to the suction discharge lin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 및 그 장치는 분주기의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액체의 흡인, 토출작업에 의해 액체 및 액체 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자동적이면서 고정도로 행하기에 적합하다. 예를들어 항생물질 등의 유용물질이나 DNA 등의 유전자물질 및 항체 등의 면역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분주기의 댁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액체의 흡인, 토출작업에 의해 자동적이면서 고정도로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nd the apparatus using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suction of the dispenser, the suction of the liquid by the discharge line,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It is suitab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preparative,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and / or the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utomatically and with high accuracy. For example,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and dilution of useful substances such as antibiotics, genetic substances such as DNA, and immune substances such as antibodies, and / or extraction, recovery, isolation The work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nd with high accuracy by the suctioning of the dividing body of the dispenser, the suction of the liquid by the discharge line, and the discharge operation.

Claims (82)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흡인구 또는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설치된 팁을 개재시켜 용기내로부터 목적 고분자물질이 함유된 액체를 흡인하고, 이 액체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을 목적하는 다음 처리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팁은 흡인한 목적 고분자물질을 자성체 입자에 흡착시켜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It is configured to suck the liquid containing the target polymer material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y interposing a tip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suction port or the discharge port of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and transfer the liquid or the target polymer material to the desired next processing position.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wherein the tip is separated by adsorbing a target polymer material attracted to magnetic p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은 항생물질 등의 유용물질이나 DNA등의 유전자 물질 및 항체 등의 면역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s a useful material such as an antibiotic, a genetic material such as DNA, and an immune material such as an anti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과, 상기 팁에 장착되는 1종류 이상의 필터를 이용하여 정해지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s a tip attached to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and 1 mounted to the tip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vider that specifies that it is determined by using a filter of more than one ki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팁에는 필터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필터 홀더가 다단으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ip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lter holders for supporting the filter can be mounted in multiple stag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에 지지된 필터는 목적 고분자물질과 그 이외의 협잡물을 분리하는 포어 사이즈가 다른 1종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4.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lter supported by the filter holder is composed of one or more types of filters having different pore sizes for separating target polymer substances and other contaminan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로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행한 후, 상기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선단부에 새로운 팁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며, 이 팁으로 자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의 흡인 토출을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 입자를 팁 측에 배설된 자력체로 팁의 내면에 흡착시켜 목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4. A new tip at the tip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fter performing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with the filter.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magnetic particles are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with a magnetic body disposed on the tip sid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uction discharge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magnetic particles with the tip to extract, recover and isolate the target polymer material.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 물질의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과, 자력과, 1종류 이상의 자성체 입자만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capture of claim 1 wherein the target polymeric material is present.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Operations such as measuring the liquid suction.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ecuted only by a tip mounted on a discharge line, a magnetic force, and one or more kinds of magnetic particl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을 이용하여 자성체 입자와 반응시켜 세포의 포획. 세포핵 용해, 단백질 용해 등의 정제처리를 행하여 특정의 목적 고분자물질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suction of claim 7 wherein said liquid suction. Capturing cells by reacting with magnetic particles using the tip mounted on the discharge line.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by extracting a specific target polymer material by performing purification treatment such as cell lysis or protein lysi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을 이용하여 프로브 혹은 비오틴 또는 스트렙토 아비딘이 코팅된 자성체 입자로 특정의 영기 배열 단편을 단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suction of claim 7 wherein said liquid suction.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o isolate a specific respiratory array fragments with magnetic particles coated with a biotin or streptoavidin using a tip mounted on the discharge l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을 이용하여 자성체 입자와 반응시켜 세포의 포획, 세포핵 응해, 단백질 용해 등의 정제 처리를 행하여 특정의 목적 고분자물질을 추출하고. 다음에 프로브 혹은 비오틴 또는 스트렙토 아비딘이 코팅된 다른 자성체 입자가 특정의 염기 배열 단편을 단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7. The liquid suction. Using a tip mounted on the discharge line, it reacts with magnetic material particles to purify cells, coagulate nuclei, and dissolve proteins to extract specific target polymers. Next,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be or other magnetic particles coated with biotin or streptoavidin isolate the specific sequence fragment.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입자를 이용한 목적 고분자 물질의 포획, 추출, 단리작업 공정 후에 단리된 특정의 엮기 배열 단편을 화학 발광 형광 혹은 효소 정색(呈色)으로 그 특정의 엮기 배열 단편의 유무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Measuring the presence or quantity of the specific binding sequence fragments isolated by chemiluminescence fluorescence or enzyme coloration after the capture, extraction, and isolation process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using the magnetic particles.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을 이용하며 자성체 입자와 반응시켜 세포의 포획, 세포핵 용해, 단백질 용해 등의 정제처리를 행하여 특정의 목적 고분자물질을 추출하고, 다음에 이 추출된 목적 고분자물질을 증폭시킨 후 프로브 혹은 비오틴 또는 스트렙토 아비딘이 코팅된 다른 자성체 입자가 특정의 엮기 배열 단편을 단리시키고, 다음에 이 단리된 특정의 염기배열 단편을 화학발광. 형광 혹은 효소 정색으로 그 특정의 엮기 배열단편의 유무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su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wherein the liquid suction is carried out. After using the tip mounted on the discharge line, it reacts with the magnetic particles to purify cells, dissolve nucleus cells, and dissolve proteins to extract specific target polymers, and then amplify the extracted target polymers. Probes or other magnetic particles coated with biotin or streptoavidin isolate a specific binding sequence fragment, followed by chemiluminescence of the isolated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fragment.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pecific binding sequence fragment by fluorescence or enzyme colo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또는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은 단일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 or capture,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etc. of the separation, fractionation,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re performed. Display and measurement work is performed in a singl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is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또는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은 복수의 병설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or the like of the polymer of interest is performed.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Work such as measurement, a plurality of parallel liquid suction. Liquid processing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ment in the discharge lin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은 각 라인 모두 동일 타이밍으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또는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suction of claim 14 wherein said liquid suction. The discharge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line performs operations such as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and dilution or capture,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measurement, etc. at the same timing.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cyc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액체 흡인. 토출라인은 각 액체마다 지정된 처리 공정에 의해 다른 타이밍으로 혹은 독립된 액체의 흡인. 토출작동을 행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15. The liquid suction of claim 14 wherein said plurality of liquid suctions. The discharge line draws in liquid at different timings or independent of each liquid by a designated treatment process. A liquid processing method using a dispenser which specifies that the discharge operation is performed.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토출라인의 작업 공간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 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wherein the working space of the liquid suction / discharge line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제13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작업공간에는 흡인구클 각각 마련하고, 작업 공간은 공기류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17.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wherein suction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working spaces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and the working spaces are partitioned by air flow. . 제13창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작업공간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격벽으로 구획된 작업공간 내의 공기는 작업공간에 배설된 공기흡인구로부터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work sp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wherein the working space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and the air in the work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is an air suction port disposed in the work space.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fr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입자는 그 표면에 목적 고분자물질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 결합물질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particles bind to a target polymer material or a target polymer material binding material on a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입자는 상기 팁의 외측으로부퍼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팁 내벽면에 흡착됨과 동시에 상기 자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을 때에 팁 내벽 면으로부터 이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dispenser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particles are detached from the tip inner wall surface when the magnetic particles are adsorbed onto the tip inner wall surface by a magnetic force acting on the outside of the tip and are not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Liquid treatment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로의 자력의 공급 혹은 소자(消磁)의 제어는 영구자석을 팁의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ly of magnetic force into the tip or control of the element is performed by moving the permanent magnet including a direction orthogonal to or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tip. Liquid treatment method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로의 자력의 공급 혹은 소자의 제어는 전자석의 온, 오프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ly of magnetic force into the tip or the control of the element is performed by turning on or off an electromagne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팁의 외측에 맞닿았을 때 자력을 발생시키고, 소자되었을 때에는 팁의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지도록 구동 제어되는 것을 특깅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24.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23, wherein the electromagnet is controlled to be driven by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abutted against the outside of the tip, and moving the device to include a direction orthogonal to or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tip.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팁방향으로의 이동시 협지체가 동기하여 이동하고,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과 협지체와의 사이에 상기 팁이 끼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2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4, wherein the clamping body moves synchronously when the permanent magnet or the electromagnet moves in the tip direction, and the tip is sandwich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or the electromagnet and the clamping body.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을 액체내에 침지되는 세경부와,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용량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대경부와, 상기 세경부와 대경부의 중간에 형성된 적어도 상기 대경부보다 구경이 작은 중간부로 구성하여 이 중간부에서 자성체 입자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Claim 1, 2, 7, 8, 9, 10, 13, 14, 15, 16, 20, 21, 22 2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25, wherein the tip is formed between the neck and neck portions in which the tip is immersed in the liquid, a large diameter portion having a capacity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apacity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tip is accommodated, and between the neck and the neck diameter portions.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vider comprising at least an intermediate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to capture magnetic particles in the intermediate portion.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중간부의 내경은 상기 자력체의 강자역이 미치기에 충분한 치수를 가지고 구성되며, 입자는 이 자력체의 강자역의 자력에 의해 신속하게 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inner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tip is configured with a dimension sufficient for the ferromagnetic region of the magnetic body to extend, and the particles are quickly captur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erromagnetic region of the magnetic body.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cycl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중간부의 내경은 이 중간부에 맞닿는 자력체의 맞닿는 면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27.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tip is substantially equal to a width dimension of abutting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that abuts the middle portion.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 내벽 면에의 자성체 입자의 흡착은 액체가 팁내의 자력역을 자성체 입자가 거의 완전하게 포획하기에 충분히 느린 속도로 1회이상 통과할 때 행해지도록 액체의 흡인 및 토출 작동이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Claim 1, 2, 7, 8, 9, 10, 13, 14, 15, 16, 20, 21, 22 25. The magnetic su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24, wherein the adsorption of the magnetic particles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mounted on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causes the liquid to almost completely capture the magnetic field within the tip.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of the liquid are controlled so as to be carried out when passing through at least once at a sufficiently slow speed.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를 통과하는 액체는 흡인 또는 토출되는 최종액면이 반드시 상기 자력역에 도달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30.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tip is controlled such that the final liquid level sucked or discharged always reaches the magnetic field.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내에 자성체 입자를 흡착할 때에는 상기 액체,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의 선단부가, 액체가 수용된 내측저부에 맞닿은 후 극히 약간 상승하여 액체를 흡인하도록 구동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Claim 1, 2, 7, 8, 9, 10, 13, 14, 15, 16, 20, 21, 22 2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24, wherein when adsorbing magnetic particles in the tip, the tip of the tip attached to the liquid and the discharge line rises slightly after contacting the inner bottom in which the liquid is received. A liquid processing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control to suck the liquid.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에 흡착된 입자와 반응 시약 또는 세정수의 교반 혼합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흡인, 토출작업이 액체와 자성체의 교반 혼합에 충분한 연속되는 횟수로 고속으로 행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가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Claim 1, 2, 7, 8, 9, 10, 13, 14, 15, 16, 20, 21, 22 The stirring and mixing of the particles adsorbed in the tip and the reaction reagent or washing water are carried out by the liquid suction, the suction by the discharge line, and the discharge operation.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ing price, which is achieved by performing at a high speed at a continuous number sufficient for mixing.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에 흡착된 자성체 입자와 반응 시약 또는 세정수의 교반 혼합시에는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흡인, 토출작업은 팁 선단부가 용기내에 수납된 반응 시약 또는 세정수에 반드시 침지된 상태인 채로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구동 제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 방법.33. The method of claim 32. When stirring and mixing the magnetic particles adsorbed in the tip and the reaction reagent or the washing water, the liquid suction, the suction by the discharge line, and the discharg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tip tip is immersed in the reaction reagent or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controlled so that bubbles are not mixed.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 시약 등과의 반응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증폭에 필요한 온도 제어는 반응액 혹은 증폭 대상액을 상기 팁으로 미리 일정온도로 유지된 각 항온 온기에 이송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Claim 1, 2, 7, 8, 9, 10, 13, 14, 15, 16, 20, 21, 22 2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24,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required for the reaction with the target polymer material, the reagent, or the like or for amplifica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s carried ou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ith the tip.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to each maintained constant temperature warmer.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은 온도 제어시 이 라인의 선단부에 덮개를 장착하고, 이 덮개는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개재시켜 온도 제어되어 있는 항온용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35.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are equipped with a cover at the tip of the line during temperature control, and the cover is mounted to a thermostatic container that is temperature controlled through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제35항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이 라인에 장착된 팁은 상기 덮개를 돌파하여 항온 용기내의 반등액 혹은 증폭액을 흡인하도록 구동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36.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35, wherein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mounted to the line is driven and controlled to break through the lid and suck the rebound liquid or amplification liquid in the thermostatic container. . 수평이동 가능하며, 또한 소정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액체 흡인, 토출작업을 행하는 수단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하나의 액체 처리에 대해서 필요한 수의 팁과, 이 액체가 수용된 용기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필터가 배설된 하나 이상의 필터 홀더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다른 액체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용기를 배치하여.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은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상기 팁에필타 홀더를 장착한 채 이송되면서 액체 및 액체 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측, 희석 등의 작업을 행하도록 구동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분리장치.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supported horizontally and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liquid suction,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 of the liquid discharge line, and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By placing the required number of tips for one liquid treatment, a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is contained, one or more filter holders in which the filter for the treatment is disposed, and one or more containers in which the other liquid for the treatment is contained.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is transported with the filter holder attached to the tip according to a command from a control device, and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A liquid separation device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controlled to perform such operations. 수평이동 가능하며 또한 소정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액체 흡인, 토출작업을 행하는 수단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하나의 액체 처리에 대해서 필요한 수의 팁과, 이 액체가 수용된 용기와. 상기 팁에 액체가 흡인 또는 토출될 때 액체에 함유되어 있는 자성체 입자를 팁 내벽면에 흡착시키는 자력체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다른 액체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용기를 배치하여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은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상기 팁을 이송시키면서 액체 및 액체 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둘질의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을 행하도록 구동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분리장치.A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supported horizontally and movab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eans for performing liquid suction and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 number of tips necessary for one liquid treatment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and a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is accommodated.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is disposed by arranging a magnetic body for adsorbing magnetic particles contained in the liquid to the tip inner wall when the liquid is attracted or discharged to the tip, and one or more containers containing other liquids required for the treatment. The capture of the target macromolecule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while transferring the tip in accordance with instructions from the controller.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A liquid separator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controlled to perform a measurement or the like. 수평이동 가능하며 또한 소정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하나의 액체 처리에 대해서 필요한 수의 팁과, 이 액체가 수용된 용기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필터가 배설된 하나 이상의 필터 흘더와, 상기 처리에 필요한 다른 액체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용기와, 자성체 입자가 함유된 용액이 수용된 용기와, 상기 자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의 흡인, 토출을 행하는 과정에서 그 자성체 입자를 상기 팁의 내면에 흡착시키는 자력체를 배치하여,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이송시키면서 액체 및 액체 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및 목적 고분자둘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A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supported horizontally movable and movable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liquid suction. A number of tips required for one liquid treatment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the discharge line, a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is contained, one or more filter holders in which the filter for the treatment is disposed, and another liquid for the treatment. The above container, a container in which the solution containing the magnetic particles is accommodated, and a magnetic body that adsorbs the magnetic particl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in the process of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magnetic particles, and the controller Aspirate the liqui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and the extraction, recovery, and isolation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while transferring the discharge line. Liquid treatment device using a dispenser.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끼워져 지지된 팁을 걸어멈춤하여 지지하는 축은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하며, 이 훅은 보통의 상태에서는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팁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훅은 소정위치에 배설된 로크해게체에 의해 액체 흡인, 토출라인과 팁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38. The liquid aspirator of claim 37, wherein the liquid aspiration. The shaft which supports and stops the tip supported by the discharge line is pivotally supported, and the hook is elastically biased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liquid suction,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discharge line and the tip under normal conditions, And the hook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to release the liquid suction, the disengagement line and the stop state of the tip by the lock discharging bod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기 필터 흘더는 걸어 맞춤체에 걸어 맞춤된 상태로 액체 흡인, 토울라인이 상승함으로써 그 팁 또는 필터 홀더가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41. The liquid filter according to claim 40, wherein the filter holder attached to the tip of the tip has a liquid suction, a tow line ascending to the engaging body, and the tip or filter holder is lifted from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end of the tip. Liquid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to be separated. 제38항에 있어서, 용기를 복수의 액체 수용부를 가진 카세트상으로 형성하고, 반응 혹은 처리상 필요한 검체나 시약을 미리 각 액체 수용부에 분주해 두고, 상기 자력체의 자력에 의해 상기 팁의 내면에 자성체 입자를 부착시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The inner surface of the tip according to claim 38, wherein the container is formed into a cassette having a plurality of liquid containing portions, and a sample or reagent necessary for reaction or processing is dispensed in advance into each liquid containing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is caus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Liquid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particles are attached to the transfer.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액체 수용부에는 미리 필요한 시약을 분주해 두고 그 액체 수납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으로 판단 가능한 박막체로 밀폐한 것들 특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43. Th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42, wherein each of the liquid containing portions is dispensed with necessary reagents, and a portion or all of the liquid containing portions are sealed with a thin film which can be judged as a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Liquid treatment device.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체를 영구자석으로 구성하고, 이 영구자석은 팁에 맞닿는 면이 팁의 의형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팁의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들 포함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차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The magnetic force body of claim 38, wherein the magnetic body is made of a permanent 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is formed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tip, and is perpendicular to or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tip.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 is disposed to be movable.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체를 전자석으로 구성하고. 이 전자석은 팁에 맞닿는 면이 팁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팁의 외측에 맞닿았을 때 자력을 발생시키며, 소자되었을 때에는 팁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응한 액체처리방법.39. The magnetic body of claim 38 wherein the magnetic body is comprised of an electromagnet. The electromagnet has a 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ip and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tip shape. A magnetic treatment method is generated when abutting against the outside of the tip, and disposed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ip when the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tip.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는 팁방향으로의 이동시 동기하여 이동하는 협지체를 설치하고, 이 협지체는 팁에 맞닿는 면이 팁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협지체와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상기팁을 끼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46. The method of claim 44 or 45. The permanent magnet or the electromagnet is provided with a clamping body to mov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ip direction, the clamping body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tip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ip. A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 is sandwiched between the clamp and the permanent magnet or electromagnet.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액체처리 공정에 목적 고분자물질, 시약 등의 반응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증폭에 필요한 온도제어 공정을 넣고, 반응액 혹은 증폭 대상액을 상기 팁으로 미리 소정 온도로 유지된 각 항온용기로 이송하여 온도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반응액 혹은 증폭 대상액이 수용된 항은 용기에는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선단부에 장착 가능한 덮개가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39. The liquid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38, wherein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are subjected to a temperature control process for reacting a target polymer material, a reagent or the like or amplifying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nd using a reaction solution or amplification target liquid as the tip. The temperature control is carried out by transporting to the constant temperature container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eaction liquid or the amplification target liquid has a lid that can be attached to the tip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Liquid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by.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항온 용기의 구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평면부와, 이 평면부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의 선단 외경과 동일 구경을 가지는 지지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홈부의 저부는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팁으로 파단 가능한 박막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장치.48. The apparatus of claim 47,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flat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onstant temperature container, and a support groove portion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flat portion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tip of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And a bottom portion of the supporting groove portion is formed of a thin film body breakable by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로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행한 후,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선단부에 새로운 팁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며, 이 팁으로 자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의 흡인, 토출을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 입자를 팁 측에 배설된 자력체로 팁의 내면에 흡착시켜 목적 고분자둘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 A new tip at the tip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fter the operation of quantifying, separating, aliquoting, dispensing, clarifying, concentrating, and diluting the target polymer material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with the filter.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magnetic particles are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by a magnetic body disposed on the tip side in the process of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magnetic particles with the tip to extract, recover and isolate the target polymer.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wor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로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행한 후. 상기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선단부에 새로운 팁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며, 이 팁으로 자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의 흡인, 토출을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 입자를 팁 측에 배설된 자력체로 팁의 내면에 흡착시켜 목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quantification,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etc.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liquid with the filter. A new tip is detachably mounted at the tip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nd the magnetic particles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by a magnetic body disposed on the tip side in the process of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olution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dsorption is carried out to extract, recover and isolate the target polymer material. 액체 흡인, 토출 라인의 흡인구 또는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설치된 팁을 개재시켜 용기내로부터 목적 고분자물질이 함유된 액체를 흡인하고, 이 액체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을 목적하는 다음 처리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팁은 흡인한 목적 고분자물질을 팁에 장착된 필터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It is configured to suck the liquid containing the target polymer material from the container through the tip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suction port or the discharge port of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and transfer the liquid or the target polymer material to the desired next processing position. As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made of. The tip is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o separate the suction target polymer material with a filter attached to the tip.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흡인한 목적 고분자물질을 자성체 입자에 흡착시키고 팁에 장착된 필터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51, wherein the tip absorbs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ttracted to the magnetic particles and separates the filter by a filter mounted on the tip.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은 항생물질 등의 유용물질이나 DNA 등의 유전자 물질 및 항체 등의 면역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51 or 52, wherein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s a useful material such as an antibiotic, a genetic material such as DNA, and an immune material such as an antibody.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과, 상기 팁에 장착되는 1종류 이상의 필터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3. The method of claim 51 or 52, wherein the quantifica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detach. Preparative,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and the like are performed by using a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tip and at least one filter attached to the tip.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법에는 필터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필터 홀더가 다단으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동한 액체처리방법.53. The method of claim 51 or 52. The liquid treatment method for moving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lter holders for supporting the filter can be mounted in multiple stages.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에 지지된 필터는 목적 고분자물질과 그 이외의 협잡물을 분리하는 포어 사이즈가 다른 1종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5.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54, wherein the filter supported by the filter holder is composed of one or more types of filters having different pore sizes for separating target polymer substances and other contaminants. 제51항 또는 제52항에 기재된 필터로 액체 및 액체중에 포함되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정량, 분리, 분취, 분주, 추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을 행한 후,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선단부에 재로운 팁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며, 이 팁으로 자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의 흡인, 토출을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 입자를 팁 측에 배설된 자력체로 팁의 내면에 흡착시켜 목적 고분자물질의 추출, 회수, 단리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A filter according to claim 51 or 52 is used for quantifying, separating, separating, aliquoting, dispensing, concentrating, diluting, etc. a target polymer substance contained in a liquid and a liquid, and then applying the liquid to the tip of the discharge line. A removable tip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magnetic particles are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by magnetic force disposed on the tip side in the process of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magnetic particles with the tip to extract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very and isolation.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또는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은 단일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1 or 52, wherein the operations such as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or the like of capture,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measurement, etc. of the target polymer substance are performed by a singl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ment in the line.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짙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또는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은 복수의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1 or 52, wherein the operations such as separation, fractionation, dispensing, clarification, concentration, dilution, or the like of capture,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measurement, etc.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powder ar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liquid suctions, Liquid processing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ment in the discharge line.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은 각 라인 모두 동일 타이밍으로 상기 목적 고분자물질의 분리, 분취, 분주, 청징, 농축, 희석 등의 작업 또는 포획. 추출. 단리. 증폭. 표시. 측정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60. The operation or capture of claim 59, wherein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each separate, fractionate, dispense, clarify, concentrate, dilute, etc., the target polymer material at the same timing. extraction. Isolation. Amplification. Display.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such as measurement.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액체 흡인, 토출라인은 각 액체마다 지정된 처리 공정에 의해 다른 타이밍으로 혹은 독립된 액체의 흡인, 토출 작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응한 액체처리방법.60.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59,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performs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of liquid at different timings or independent of each liquid by a designated treatment process for each liquid.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작업 공간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3. The liquid aspiration of claim 51 or 52 wherein said liquid aspiration. The working space of the discharge line is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partitioned by partitions.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작업 공간에는 공기흡인구를 각각 마련하고, 작업 공간은 공기류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51 or 52, wherein an air suction port is provided in the working spaces of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respectively, and the working space is partitioned by air flow.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의 작업공간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격벽으로 구획된 작업공간 내의 공기는 작업공간에 배설된 공기흡인구로부터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work space according to claim 51 or 52, wherein the working space of the liquid suctioning and discharging line is partitioned into partition walls, and the air in the working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s is sucked from the air suction port disposed in the working space.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입자는 그 표면에 목적 고분자물질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 결합물질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52, wherein the magnetic particles bind to a target polymer material or a target polymer material binding material on a surface thereof.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입자는 상기 팁의 외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팁 내벽면에 흡착됨과 동시에 상기 자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을 때에 팁 내벽 면으로부터 이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liquid using th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52, wherein the magnetic particles are detached from the tip inner wall surface when the magnetic particles are attracted to the tip inner wall surface by the magnetic force acting from the outside of the tip and are not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Treatment method.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로의 자력의 공급 혹은 소자(消磁)의 제어는 영구자석을 팁의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Th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52, wherein the supply of magnetic force into the tip or the control of the element is performed by moving the permanent magnet including a direction orthogonal to or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tip.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로의 자력의 공급 혹은 소자의 제어는 전자석의 온, 오프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3.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52, wherein the supply of magnetic force into the tip or the control of the element is performed by turning on or off an electromagnet.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팁의 외측에 맞닿았을 때 자력을 발생시키고, 소자되었을 때에는 팁의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지도록 구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69. The method of claim 68, wherein the electromagnet is controlled to be driven by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abutted against the outside of the tip, and moving the device to include a direction orthogonal to or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tip.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의 팁방향으로의 이동시 협지체가 동기하여 이동하고, 상기 영구자석과 협지체와의 사이에 상기 팁이 끼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68.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67, wherein the clamping body moves synchronously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in the tip direction, and the tip is sandwich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clamping body. .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팁방향으로의 이동시 협지체가 동기하여 이동하고, 상기 전자석과 협지체와의 사이에 상기 팁이 끼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플 이용한 액체처리방법.69.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68, wherein the clamping body moves synchronously when the electromagnet moves in the tip direction, and the tip is sandwiched between the electromagnet and the clamping body. 제52항, 제65항. 제66항, 제67항, 제68항, 제69항, 제70항 및 제7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팁을 액체내에 침지되는 세경부와,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용량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대경부와, 상기 세경부와 대경부의 중간에 형성된 적어도 상기 대경부보다 구경이 작은 중간부로 구성하여 이 중간부에서 자성체입자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2. 65. 72.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6, 67, 68, 69, 70, and 71, wherein the tip has a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tip is immersed in the liquid, and the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is contained.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formed at least between the narrow diameter portion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to capture magnetic material particles in the intermediate portion.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중간부의 내경은 상기 자력체의 강자역이 미치기에 충분한 치수를 가지고 구성되며, 자성체 입자는 이 자력체의 강자역의 자력에 의해 신속하게 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73. The inner diameter of the tip of the tip of claim 72, wherein the inner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tip is of sufficient dimension to extend the ferromagnetic region of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ic particles are quickly captur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erromagnetic region of the magnetic body.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중간부의 내경은 이 중간부에 맞닿는 자력체의 맞닿는 면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73.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72,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tip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dimension of the abutting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that abuts the middle portion. 제52항, 제65항, 제66항, 제67항, 제68항, 제69항, 제70항 및 제7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 내벽 면에의 자성체 입자의 흡착은 액체가 팁내의 자력역을 자성체 입자가 거의 완전하게 포획하기에 충분히 느린 속도로 1회 인상 통과할 때 행해지도록 액체의 흡인 및 토출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72. The tip inner wall surface of any one of claims 52, 65, 66, 67, 68, 69, 70, and 71 is mounted on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Adsorption of the magnetic particles of the dispens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and discharge operations of the liquid are controlled so that the liquid is carried out when the liquid passes through the magnetic field within the tip once at a rate slow enough to almost completely capture the magnetic particles. Liquid treatment method used.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를 통과하는 액체는 흡인 또는 토출되는 최종 액면이 반드시 상기 자력역에 도달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76. The liquid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75, wherein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tip is controlled such that the final liquid level sucked or discharged always reaches the magnetic force range. 제52항, 제65항, 제66항, 제67항, 제68항, 제69항, 제70항 및 제7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에 자성체 입자를 흡착할 때에는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장착된 팁의 선단부가,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내측 저부에 맞닿은 후 극히 약간 상승하여 액체를 흡인하도록 구동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72. The liquid su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2, 65, 66, 67, 68, 69, 70, and 71, wherein the liquid suction, when adsorbing magnetic particles in the tip, A liquid dispensing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tip attached to the discharge line is controlled to drive up the liquid by a slight rise after abutting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제52항, 제65항, 제66항, 제67항, 제68항, 제69항, 제70항 및 제7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에 흡착된 자성체 입자와 반응 시약 또는 세정수의 교반 혼합은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흡인, 토출작업이 액체와 자성체의 교반 혼합에 충분한 연속되는 횟수로 고속으로 행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72. The magnetic p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2, 65, 66, 67, 68, 69, 70 and 71 and the reaction reagent or washing water adsorbed in the tip. Stirring mixing of the liquid is achieved by performing the suction, discharge by the discharge line, and the discharge operation at a high speed in successive times sufficient for stirring mixing of the liquid and the magnetic substance. 체77항에 있어서, 상기 팁 내에 흡착된 자성체 입자와 반응 시약 또는 세정수의 교반 혼합시에는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에 의한 흡인, 토출작업은 팁 선단부가 용기내에 수납된 반응 시약 또는 세정수에 반드시 침지된 상태인 채로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구동 제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during stirring and mixing of the magnetic particles adsorbed in the tip with the reaction reagent or the washing water, the liquid suction, the suction by the discharge line, and the discharging operation are performed on the reaction reagent or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tip tip is stored in the container.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controlled so that bubbles are not mixed while being always immersed.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고분자 물질, 시약 등과의 반응 또는 목적 고분자물질의 증폭에 필요한 온도 제어는 반응액 혹은 증폭 대상액들 상기 팁으로 미리 일정온도로 유지된 각 항온 용기에 이송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1 or 52,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required for the reaction with the target polymer material, the reagent, or the like or for amplification of the target polymer material is carried out in each of the constant temperature container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ith the tip of the reaction solution or amplification target liquid. A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is performed.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은 온도 제어시 이 라인의 선단부에 덮개를 장착하고, 이 덮개는 이 액체 흡인, 토출라인을 개재시켜 온도 제어되어 있는 항온용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53.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 according to claim 51 or 52, wherein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are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line during temperature control, and the cover is mounted in a temperature-controlled thermostatic container via the liquid suction and discharge lines. Liquid treatment method us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인, 토출라인 또는 이 라인에 장착된 팁은 상기 덮개를 돌파하여 항온 용기내의 반응액 혹은 증폭액을 흡인하도록 구동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를 이용한 액체처리방법.84. The liquid treatment of claim 81, wherein the liquid suction, discharge line, or tip mounted to the line is driven to break through the lid to suck the reaction liquid or amplification liquid in the thermostatic container. Way.
KR1019960704361A 1995-03-20 1996-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tment utilizing dispenser KR1002111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00595 1995-03-20
JP7-086005 1995-03-20
PCT/JP1996/000724 WO1996029602A1 (en) 1995-03-20 1996-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utilizing dispenser
JP8-089050 1996-03-19
JP08905096A JP3630493B2 (en) 1995-03-20 1996-03-19 Liqui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1129B1 true KR100211129B1 (en) 1999-07-15

Family

ID=2730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361A KR100211129B1 (en) 1995-03-20 1996-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tment utilizing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1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6637A (en) * 2022-05-07 2022-06-17 青岛海洋地质研究所 In-situ measurement device for suspended matter concentration and work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6637A (en) * 2022-05-07 2022-06-17 青岛海洋地质研究所 In-situ measurement device for suspended matter concentration and working method
CN114636637B (en) * 2022-05-07 2023-09-01 青岛海洋地质研究所 In-situ measurement device for suspended matter concentration and work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0493B2 (en) Liqui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dispenser
JP3551293B2 (en) Nucleic acid extraction device
JP4045475B2 (en) Nucleic acid / protein purification equipment
US20170045542A1 (en) Modular Liquid Handling System
JP5292267B2 (en) SAMPLE PROCESSING DEVICE, SAMPLE PROCESSING METHOD, AND REACTION CONTAINER USED FOR THEM
KR101025135B1 (en) The automatic purification apparatus, multi well plate kit and isolation method of nucleic acid from biological samples
CN100487115C (en) Apparatus for purifying nucleic acid and method of purifying nucleic acid
US9650626B2 (en) Kit for nucleic acid extraction and a nucleic acid extractor
WO2009125971A9 (en) Automatic refining apparatus, multi-well plate kit and method for extracting hexane from biological samples
WO2011019032A1 (en) Specimen processing system
JP20015167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solating nucleic acids
JP2012531432A (en) Capture and elution of biological specimens using sample destruction beads
WO2002078846A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collecting nucleic acids
EP1203080B1 (en) Isolation of biomolecules
RU84381U1 (en) DEVICE FOR AUTOMATED ISOLATION OF NUCLEIC ACIDS
US20040181050A1 (en) Sample processing device and sample processing method
KR1002111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tment utilizing dispenser
JP3582632B2 (en) Container for nucleic acid extraction
JP2013145251A (en) Sample treatment device, sample treating method and reaction vessel used for them
EP1568766A1 (en) Device for pretreating speci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