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717B1 -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 Google Patents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717B1
KR100204717B1 KR1019970023566A KR19970023566A KR100204717B1 KR 100204717 B1 KR100204717 B1 KR 100204717B1 KR 1019970023566 A KR1019970023566 A KR 1019970023566A KR 19970023566 A KR19970023566 A KR 19970023566A KR 100204717 B1 KR100204717 B1 KR 10020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treatment
tubes
intervertebral disc
disc hern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575A (ko
Inventor
박창준
Original Assignee
박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준 filed Critical 박창준
Priority to KR101997002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717B1/ko
Priority to TW086110199A priority patent/TW354254B/zh
Priority to PCT/KR1998/000150 priority patent/WO1998056329A1/en
Publication of KR1999000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간판탈출증을 치료에 필요한 견인력을 용이하고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수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환자 자신이 치료부위를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료부위에 적합하게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상부지지부재들(10,11)과, 한 쌍의 하부지지부재들(12,13)과, 이들 지지부재들(10,11,12,13)과 각각 일체로 성형된 작동부재들(20,21,22,23)과, 이들 작동부재들(20,21,22,23)의 작동돌기들(27a)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홈(30a)을 가지며 수축팽창이 가능한 다수의 적층된 튜브들(42)이 고정적으로 개재된 상부설치부재(30)와 하부설치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부 및 하부 설치부재들(30,32)과 튜브들(42)은 양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튜브들(42)은 파이프를 개재하여 유압발생장치에 의한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수축되거나 팽창된다. 지지부재들(10,11,12,13)은 벨트들(24a,24b)에 의하여 압착되어 치료부위에 밀착된다.

Description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본 발명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신체의 요부에서 발생하는 추간판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견인력을 용이하고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수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환자 자신이 치료부위를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추간판탈출증(椎間板脫出症)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디스크병(Disks)이라 불리는 척추질환을 말한다. 디스크는 척추(脊椎)와 척추(脊椎)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디스크는 수핵(髓核)과 섭유륜으로 구성된다. 흔히 디스크병이라 통칭하는 질병은 의학적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수핵(髓核)이 탈출하는 병으로 수핵탈출증(髓核脫出症; Herniated Nucleosus Pulposus)이며, 척주의 경부(頸部), 흉부(胸部), 요부(腰部)의 디스크들에서 일어난다. 디스크병은 과도한 하중 또는 외부충격으로 수핵이 돌출해 나와 신경근(神經根)이 압박을 받기 때문에 발생한다. 디스크병은 신경압박으로 특히 요통(腰痛)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신경이 연결되는 하반신에도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나아가 디스크병이 더욱 악화되면,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전혀 할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디스크병의 치료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스크병의 치료방법으로는 수술적방법과 침상안정 및 온열치료, 광학치료, 전기치료, 견인치료 등의 물리치료요법 또는 약물치료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물리치료요법중 견인치료법은 척추간의 디스크에 견인력을 제공하거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종래의 요부용 견인장치로서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요부용 견인장치들은 환자를 침상 또는 의자에 고정시켜 견인력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요부용 견인장치는 디스크에 가해지는 긴장과 압박을 덜어주기 위하여 환자의 자세를 고정시킨 채로 허리에 상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요부용 견인장치는 고정적 또는 지지적으로 견인작용을 가하므로 치료를 받는 도중에는 치료행위 이외의 다른 일상적인 생활은 전혀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신체특성 또는 증상의 상태에 따라 견인력의 증감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증감량을 미소하고도 정확하게 변화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환자가 치료도 받으면서 특히 보행도 할 수 있는 요부용 견인장치가 미국특허공보 제4,715,36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상부지지부재(16)와 하부지지부재(12)와 이들 지지부재사이에 내부에 조정가능한 스프링을 구비하여 압축가능한 지주(13)로 구성되어 환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에 따르면, 환자가 고정된 장소에 있으면서 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보행에 지장이 없고 환자가 어느 정도 일상생활이 가능하기는 하나 지주(13)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는, 다시 말하자면, 견인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는 외측의 튜브(33)에 대하여 내측의 튜브를 회전시켜 돌기(36)가 코일스프링(34)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견인력을 증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지주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하여야 함은 물론 견인력의 증감량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경부용 견인장치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치료부위를 고정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치료부위는 움직임이 제한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요부용 견인장치의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의 움직임이 가능하여 일상생활에 커다란 지장이 없도록 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증상에 적합하게 견인력의 크기등의 견인조건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인체의 요부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나타내는 부분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A-A'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의 부분확대평면도.
제4도는 내부에서 바라본 부분확대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다수의 적층된 튜브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지지부재 11 : 제2지지부재
12 : 제3지지부재 13 : 제4지지부재
20 : 제1작동부재 21 : 제2작동부재
22 : 제3작동부재 23 : 제4작동부재
25 : 고정부 26 : 작동부
27 : 압착부 30 : 상부설치부재
32 : 하부설치부재 42 : 튜브
44 : 통로구멍 50 : 자동유압발생장치
52 : 수동유압발생장치 54 : 파이프
[발명의 목적]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는 수축팽창이 가능한 밀폐된 격실을 각각 가지며 양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플랙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견인수단과; 하측에는 상기 견인수단의 최상부 튜브가 고정되고, 상측에는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들의 양단부와 정렬되도록 양단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상부설치부재와 : 상측에는 상기 견인수단의 최하부 튜브가 고정되고, 하측에는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들의 양단부와 정렬되도록 양단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하부설치부재와; 상기 상부설치부재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설치부재의 고정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부작동부재와; 상기 하부설치부재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설치부재의 고정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있는 하부작동부재와; 상기 상부작동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견인수단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환자의 치료부위의 상측부분을 둘러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하부작동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견인수단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환자의 치료부위의 하측부분을 둘러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하부지지부재와; 상기 견인수단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고하면, 요추에서 발생하는 디스크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요부용 견인장치는 신체의 가슴부위 하단부 양측을 각각 적합하게 에워싸는 상부지지부재들로서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만곡된 제1지지부재(10) 및 제2지지부재(11)와, 골반부위 상단부 양측을 적합하게 에워싸는 하부지지부재들로서 상기 제1지지부재(10) 및 제2지지부재(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3지지부재(12) 및 제4지지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11)는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3지지부재(12)와 제4지지부재(13)는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11), 그리고 제3지지부재(12)와 제4지지부재(13)가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서로 분리되어 있으나,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11)는 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3지지부재(12)와 제4지지부재(13)는 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2 내지 도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지지부재들(10,11,12,13)의 각각에는 제1 내지 제4작동부재들(20,21,22,23)이 각각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지지부재들(10,11,12,13)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작동부재로서 제1작동부재(20)의 구성에 대하여만 살펴보기로 한다. 제1작동부재(20)는 제1지지부재(10)와 고정적으로 성형되는 고정부(25)와, 이 고정부(25)의 외면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연장된 작동부(26)와, 고정부(25)의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압착부(27)로 구성된다. 고정부(25)는 제1지지부재(10)에 심어설치되는 수직판(28)과, 제1지지부재(10)의 저면에 부착되는 수평판(29)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제1작동부재(20)를 제1지지부재(10)에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지지부재(10)의 내부에 심어지도록 수직판(28)의 내면 양측에는 결합돌기(28a)들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28a)들이 각각 3개씩 마련되어 있으며,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작동부(26)는 저면 양측에 작동돌기(26a)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압착부(27)는 상기 고정부(25)의 수직판(28)의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압착부(27)에는 지지부재들(10,11,12,13)을 환자의 신체와 밀착시키기 위하여 벨트(24a)가 끼워지는 관통구멍(27a)들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직판(28)의 외면 하부에는 또 다른 하나의 벨트(24b)가 끼워넣어져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28b)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상기 작동돌기(26a)들은 작동부(26)의 저면 양측에 2개를 형성하였으나, 그수는 제한적인 아니며 작동부(26)의 저면 중앙부에 1개 만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1작동부재(20) 및 제2작동부재(21)는 상부설치부재(30)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3작동부재(22) 및 제4작동부재(23)는 하부설치부재(32)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설치부재(30)와 하부설치부재(32)는 모두 4개소의 자유단이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대략적으로 영문자 H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양단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면서 신체의 허리부분을 에워쌀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부설치부재(30)를 기준으로 하면, 상부설치부재(30)의 상면은 상기 제1작동부재(20)와 제2작동부재(21)의 작동돌기(26a)들이 끼워져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홈(30a)이 길게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돌기(26a)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자유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설치부재(30)의 하측은 상측과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하면에는 고정홈(3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부설치부재(30)와 하부설치부재(32)는 양단만이 자유단으로 길게 연장된 하나의 부재로 되어 있으나, 제1 내지 제4작동부재들(20,21,22,23)이 이탈되지 않고 이동가능하도록 중앙부분이 분리될 수 있다. 즉, 상부설치부재(30)와 하부설치부재(32)가 각각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설치부재(30)와 하부설치부재(32)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유압발생장치들(50,52)의 작동에 따라 수축팽창이 가능한 견인수단(40)이 고정적으로 개재되어 있다. 도5를 도1 및 도2와 함께 참조하면, 견인수단(40)은 각각 밀폐된 격실을 형성하고, 양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플랙시블한 튜브들(42)이 적층되며, 적층된 튜브들(42)은 허리를 에워쌀 수 있도록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튜브들(42)에는 서로간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연통된 통로구멍들(44)이 형성되어 있다. 최상부의 튜브(42a)는 상부설치부재(30)의 상측의 고정홈(30b)에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 넣어지고 최하부의 튜브(42d)는 하부설치부재(32)의 하측의 고정홈(32b)에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최하부의 튜브(42b)의 소정의 위치에는 견인을 위하여 유압,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주입에 따른 공기압을 최초로 공급하기 위하여 파이프(54)가 밀봉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파이프(54)의 타단부는 분기되며, 하나의 분기단에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하는 자동유압발생장치(50)가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분기단에는 수동유압발생장치(52)가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수동유압발생장치(52)를 포함시킨 것은 자동유압발생장치(50)가 고장나는 경우을 대비하기 위함이며, 유압발생장치들(50,52)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킨 것은 일단 유압이 공급된 후에는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어느 정도 중량을 갖는 유압발생장치들(50,52)을 제거하여 환자에 보다 나은 활동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파이프(54)의 분기부에는 튜브들(42)에 충전된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계(56)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의 흐름경로를 조절하기 위하여 파이프(54)에 내장된 밸브(도시 안됨)를 동작시키는 레버(58)가 위치하고 있다.
한편, 유압발생장치들(50,52)은 공지의 장치들중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면 되며, 이하에서 유압발생장치들(50,5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유압발생장치(50)는 압력조절, 타이밍기능, 간헐적인 자동온·오프, 표시기능, 가변압력조절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자동컨트롤러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며, 이러한 자동컨트롤러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관련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기능들은, 예컨데, 견인치료시간을 30분, 1시간 등으로 임의조절이 가능하고, 아울러 견인치료시각도 견인치료 10초, 이완 3초 등으로 간헐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견인력을 15kg중부터 40kg중 까지 세분하여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튜브들(42)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특히 상부지지부재들(10,11) 및 하부지지부재들(12,13)은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별도의 추가설명이 없이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나 지금부터는 참고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상부지지부재들(10,11)의 내면을 가슴부위의 하단부 양측에 밀착시키고, 또한 하부지지부재들(12,13)의 내면을 골반부위의 상단부 양측에 밀착시킨다. 그 후, 자동유압발생장치(50) 또는 수동유압발생장치(52)를 사용하여 공압을 발생시키고 파이프(54)를 통하여 공기를 튜브들(42)의 내부로 주입시킨다. 주입된 공기는 통로구멍들(44)을 통하여 밀페된 격실을 갖는 각각의 튜브(42)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튜브들(42)은 팽창하게 된다. 팽창된 튜브들(42)은 견인력을 발생시켜 소망하는 견인치료를 수행하게 되며, 튜브들(42)의 팽창에 따라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들은 신체의 가슴부위 하단부와 골반부위 상단부를 더욱 밀착한다. 이 때, 견인력은 튜브들(42)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며, 자동유압발생장치(50)를 사용하면, 견인력은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타이머기능, 간헐적인 온 오프기능, 가변압력조절기능등도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견인치료가 완료된 후에는 배출수단(관용기술이므로 도면에의 도시 및 관련설명은 생략함)을 사용하여 튜브들(42)에 충전된 공기를 다시 파이프(54)를 통하여 배출시키면 된다.
한편, 작동부재들(20,21,22,23)의 작동돌기(26a)들이 설치부재들(30,32)의 작동홈(30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작동부재들(20,21,22,23)이 설치부재들(30.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신체를 어느 정도 좌우로 움직일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를 디스크병인 수핵탈출증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는 염좌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작용하는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나타내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결정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상기한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가 존재함을 당연히 인식할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의하면, 요추에 발생하는 디스크를 환자의 신체구조 및 증상에 따라 견인시간 및 견인력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신체를 움직힐 수 있어 환자가 의사의 진단 및 처방후에도 현대의 바쁜 일상생활 및 직작생활을 어느 정도 수행하면서도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수축팽창이 가능한 밀폐된 격실을 각각 가지며 양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플랙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견인수단과; 하측에는 상기 견인수단의 최상부 튜브가 고정되고, 상측에는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들의 양단부와 정렬되도록 양단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상부설치부재와; 상측에는 상기 견인수단의 최하부 튜브가 고정되고, 하측에는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들의 양단부와 정렬되도록 양단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하부설치부재와; 상기 상부설치부재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설치부재의 고정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부작동부재와; 상기 하부설치부재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설치부재의 고정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있는 하부작동부재와; 상기 상부작동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견인수단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환자의 치료부위의 상측부분을 둘러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하부작동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견인수단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환자의 치료부위의 하측부분을 둘러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하부지지부재와; 상기 견인수단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재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작동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와 각각 일체로 성형된 제1작동부재와 제2작동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3지지부재와 제4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작동부재는 상기 제3지지부재와 상기 제4지지부재와 각각 일체로 성형된 제3작동부재와 제4작동부재로 구성된 추간판탈출용 치료용 의료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설치부재와 상기 하부설치부재는 각각 중앙부가 분리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설치부재들로 이루어진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설치부재와 상기 하부설치부재의 고정가이드부는 길게 연장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되며, 이 홈을 따라 이탈됨이 없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홈에 끼워맞춤되는 하나 이상의 작동돌기가 상기 상부작동부재의 저면과 상기 하부작동부재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들을 환자의 신체와 밀착시키며 상기 견인수단에 의한 견인력을 환자의 치료부위에 확실히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들의 각각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에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외면을 둘러싸며 양단은 체결되는 벨트가 끼워지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의 다수의 튜브들에는 서로간에 유압이 전달되도록 중심이 맞추어진 통로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수단은 상기 튜브들 중의 하나의 튜브에 밀봉적으로 연결되는 파이프와, 다수의 튜브들에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끼워맞춤된 유압발생장치로 구성된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발생장치는 압력조절기능, 타이밍기능, 간헐적인 자동온오프기능, 표시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자동컨트롤러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발생장치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기구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는 플렉시블한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작된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기.
KR1019970023566A 1996-01-18 1997-06-09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0204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566A KR100204717B1 (ko) 1997-06-09 1997-06-09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TW086110199A TW354254B (en) 1996-01-18 1997-07-18 A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or sprain and strain
PCT/KR1998/000150 WO1998056329A1 (en) 1997-06-09 1998-06-09 A lumbar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566A KR100204717B1 (ko) 1997-06-09 1997-06-09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75A KR19990000575A (ko) 1999-01-15
KR100204717B1 true KR100204717B1 (ko) 1999-06-15

Family

ID=1950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566A KR100204717B1 (ko) 1996-01-18 1997-06-09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63B1 (ko) * 2013-01-25 2014-04-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치웜 방식의 공압 엑츄에이팅 이동장치
KR20160125825A (ko) *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282B1 (ko) * 1999-03-03 2002-06-21 박창준 견인장치가 구비된 영상진단기의 이송캐리어
KR20020066764A (ko) * 2001-02-13 2002-08-21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0401267B1 (ko) * 2001-03-15 2003-10-17 정우협 디스크치료기기 압력 전자장치
KR100498745B1 (ko) * 2002-03-30 2005-07-01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63B1 (ko) * 2013-01-25 2014-04-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치웜 방식의 공압 엑츄에이팅 이동장치
KR20160125825A (ko) *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101725227B1 (ko) 2015-04-22 2017-04-1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75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901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US200601612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irculation of cerebral-spinal fluid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US8100846B1 (en) Spinal traction and restoration using pointable constrained inflator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US20170095390A1 (en) Devices for mobilizing the hip joint capsul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80042427A (ko)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JP2002542888A (ja) 可調節型脊椎固定器
KR100204717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2293800B1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KR101937835B1 (ko) 요추천골 견인 장치
WO2007027573A2 (en) Lumbar lordosis brace
KR100282766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2145778B1 (ko) 견인운동장치
KR200186383Y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의 결합구조
KR102417297B1 (ko) 척추 만곡 형성 및 견인 장치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101913098B1 (ko) 물리치료용 골반 교정베개
KR20020066764A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408517Y1 (ko)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CN220213176U (zh) 一种美人鱼仿生下肢矫形器
KR20180097042A (ko) 경추 견인장치
CN210009191U (zh) 一种胸腰椎外固定器
KR20180040944A (ko) 척추 교정기
WO1998056329A1 (en) A lumbar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