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439B1 - 유전체 공진기 필터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439B1
KR100204439B1 KR1019960065377A KR19960065377A KR100204439B1 KR 100204439 B1 KR100204439 B1 KR 100204439B1 KR 1019960065377 A KR1019960065377 A KR 1019960065377A KR 19960065377 A KR19960065377 A KR 19960065377A KR 100204439 B1 KR100204439 B1 KR 10020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ox
dielectric
dielectric resonator
coupling
dielectric reson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678A (ko
Inventor
조용호
박남신
Original Assignee
김덕용
주식회사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용, 주식회사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김덕용
Priority to KR101996006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439B1/ko
Publication of KR97001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상자와 유전체 공진기의 사이 및 이웃하는 유전체 공진기들 사이에 격막을 삽입하여 불필요한 스프리어스 모드를 제거하는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구성은, 고주파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가지는 금속상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상기 금속상자내로 결합시키는 입력 커플러 루프와,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 결합시키는 출력 커플러 루프와,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부착된 유전체 공진기들과, 상기 금속상자와 상기 다수의 유전체 공진기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1격막들 및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이격되어 위치된 상기 유전체 공진기들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제2격막들과, 상기 유전체 공진기들의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상부와 상기 금속상자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크류들과, 상기 제2격막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전체 공진기들의 상호간의 결합량을 제어하는 커플링 튜닝 스크류들을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공진기 필터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 필터(Dielectric Resonator : 이하 DR이라 칭함)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 케이스내의 DR과 DR 및 DR과 금속 케이스의 사이에 전계 에너지의 결합량을 조절하는 격막을 형성하여 스프리어스 모드(Spurious Mode)를 제거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초고주파 통신기술 분야에서는 부품의 소형, 경량 및 저가격화를 위하여 유전체 공진기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DR필터라 함은 금속으로 제작된 캐베티형(Cavity type), 예를 들면, 웨이브가이드, 동축 공진기등 등과 마찬가지로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임의의 고주파수를 최소의 손실로 필터링하여 소망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출력단자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는 소형, 저손실이라는 것과, 마이크로파 집적회로에 적합하는 것 이외에 공진 주파수의 온도 특성이 종래의 공진기에 비하여 양호하는 특성 때문에 현재 급진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가 가장 많이 적용되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부품분야는 송신 혹은 수신 주파수만을 최소의 손실로서 여파하여 출력하는 필터부품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해 구현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구성을 살피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구현된 3폴 유전체 공진기의 평면 구조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TE01δ모드(여기서 TEM은 Transverse Electric Weves로서 자계성분의 전자파이다.)를 사용하는 예의 구성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금속상자로서 덥게가 열려진 내부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금속상자 10에는 외부로부터의 고주파수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입력단자 12 및 내부에서 필터링되어진 주파수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 14가 일측면에 부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금속상자 10의 내부에는 소정의 유전율를 갖는 3개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의 재질은 통상 세라믹계의 소자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상자 10의 외부에 부착된 주파수 입력단자 12와 주파수 출력단자 14들 각각은 상기 금속상자 10의 내부로 신장된 커플링 프로브(coupling probe)[혹은 커플링 루프(coupling Loop)라고도 함] 22, 24들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상자 10의 재질은 전도도가 양호한 알루미늄 혹은 황동등의 금속이 주로 사용되며, 커플링 프로브 22, 24의 재질은 순동, 황동등의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 하기론 상기와 같은 금속의 재질에 백금, 금 및 은등의 금속을 도금하여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전체 공진기의 단면 구조로서, 이는 공진 주파수 조절용 스크류들이 형성된 덥게(CAP)가 도파관에 조립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속상자 10내에 이격 위치된 3개의 유전체 공진기 20, 22 및 24들 각각은 서포트(Support)들 26에 의해 금속상자 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며,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 각각은 저 유전율의 고정 스크류 28에 의해 상기 서포트들 26에 의해 지지되어 금속상자 10에 고정되어 진다. 이때, 상기 서포트 26의 재질은 주파수의 손실이 적고 유전율이 낮은 테프론 혹은 폴리카본에이트등이 이용되며, 이들은 세라믹의 재질로된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의 자계 에너지 분포가 일정하게 한다.
상기 금속상자 10의 상부에 덥혀지는 덥게 11에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이 위치된 상부에 놓여질 수 있는 위치에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크류들 30들이 결합되며, 이들 스크류들 30의 하부에서 상기 금속상자 10내측으로는 턴닝 플레이트(Tuning plate) 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턴닝 플레이트 32들은 3개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의 상부측에 위치되어진다. 상기 턴닝 플레이트들 30의 직경은 공진주파수의 조절의 정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우선, 도 1과 도 2의 구성을 참고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구현된 유전체 공지기 필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3폴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금속상자 10내에 위치된 다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f0라 하면 이는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수학식 1에서 Dr과 Lr은 유전체 공진기 16, 18 혹은 20의 직경과 두께로서 단위는 인치(inch)이다.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공진주파수 f0를 가지는 유전체 공진기 16, 18, 혹은 20들을 이용하여 필터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 가장 일반화된 방법에는 TEM 모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TE01δ모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필터링 성능은 금속상자 10내에 위치된 유전체 공진기의 수에 따라 많은 차이를 가진다. 여기서는 3폴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금, 임의의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수가가 입력단자 12로 입력되면 상기 고주파수의 에너지는 상기 입력단자 12에 결합된 커플링 프로브 22를 통해 금속상자 10의 내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 프로브 22상의 방향 35로는 전계 E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 커플링 프로브 22를 중심으로 자계 H가 형성된다.
상기 입력단자 12에 접속된 커플링 프로브 22로부터 형성된 자계 H는 이에 이격된 유전체 공진기 16으로 전달(여기)된다. 이때,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는 상기 커플링 프로브 22로부터 전달되는 자계 H의 결합에 의해 전술한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 f0를 가지는 고주파수를 이격된 유전체 공진기 18로 여기 시킨다.
유전체 공진기 16로부터 자게 H가 여기되면, 이격된 유전체 공진기 18의 원주방향으로 전계 E가 형성되고, 중심으로부터 외주의 방향으로 자계 H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전체 공진기 18에 형성된 자계 H는 근접되어 이격된 또다른 유전체 공진기 20으로 여기되며, 상기 유전체 공진기 20에 형성된 자계 H는 출력단자 14에 접속된 커플링 프로브 24를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서,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의 상부에 위치된 스크류 30들을 조정하면,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의 상부 표면과 상기 스크류 30간의 거리 L이 변화된다. 상기 거리 L를 변화시켜 유전체 공진기의 Q값은 초기 설정된 공진주파수 f0의 75%내외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들의 Q값이 변화되면,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 각각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개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 각각의 공진 Q값이 변화되면, 상기 3개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의 공진주파수 f0가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3개의 스크류 30를 조정하여 입력단자 12로 입력되는 고주파신호중 소망하는 대역의 주파수만이 통과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성중, 커플링 프로브 22와 유전체 공진기 16간의 간격, 커플링 프로브 24와 유전체 공진기 20 및 유전체 공진기 16, 18, 20들의 상호간의 간격은 자계 H의 결합밀도를 좌우하는 것으로서 필터의 성능 및 특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것에 하나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간격은 필터의 성능 및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와 같이 구성된 TE01δ모드를 사용하는 종래의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디스크형태의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의 신호가 그대로 통과되어 필터의 성능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통상 디스크 형태의 유전체 공진기에는 TE01δ모드만이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TM010,TM01δ, TM011+δ모드등 무수히 많은 모드가 동작하게 된다. TM010,TM01δ, TM011+δ모드들은 디스크형태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 내에서 소망하지 않는 불필요한 주파수를 통과시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여기서, 불필요한 주파수라함은 주 동작모드를 제외한 다른 모드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프리어스 모드(Spurious mode)를 말한다. 예를 들면, TE01δ모드의 신호에 대하여서는 소망하는 대역의 주파수만을 필터링 출력하나, TM010,TM011+δ모드의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서는 소망하는 대역 이상의 주파수도 통과시킴으로서 필터링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금속상자와 유전체 공진기의 사이에 제1격막을 형성하여 슈프리어스 모드의 신호를 제거하는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상자내의 유전체 공진기들의 사이들 각각에 제2격막을 설치하여 이웃하는 유전체 공진기들 사이의 전계 에너지의 결합량을 조절하하여 슈프리어스 모드의 신호를 제거하는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주파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가지는 금속상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상기 금속상자내로 결합시키는 입력 커플러 루프와,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 결합시키는 출력 커플러 루프와,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부착된 유전체 공진기들과, 상기 금속상자와 상기 다수의 유전체 공진기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1격막들 및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이격되어 위치된 상기 유전체 공진기들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제2격막들과, 상기 유전체 공진기들의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상부와 상기 금속상자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크류들과, 상기 제2격막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전체 공진기들의 상호간의 결합량을 제어하는 커플링 튜닝 스크류들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구현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평면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전체 공진기의 단면 구조로서, 이는 공진 주파수 조절용 스크류들이 형성된 캡(CAP)이 도파관에 조립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평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전체 공진기의 단면 구조로서, 이는 공진 주파수 스크류들이 형성된 캡이 도파관에 조립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에서 전술한 도면상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것들에는 그것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폴(pole)의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는 발명의 범주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N(여기서 N은 3보다 큰 정수)의 폴까지 확대적용이 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평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금속상자 10에 형성된 입력단자 12에 결합된 입력 커플링 프로브 22와 출력단자 14에 연결된 출력 커플링 프로브 24들의 각각에는 유전체 공진기 16과 20들이 각각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상기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유전체 공진기 16과 20의 사이에는 또다른 유전체 공진기 18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모든 유전체 공진기들 16, 18 및 20은 결합용 스크류에 의해 금속상자 10의 하부면에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상자 10의 케이스의 내측벽면으로부터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의 사이에는 동작 모드 이외의 스프리어스 모드신호를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각각 제1격막들 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의 이격 거리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리어스 모드 신호의 전달차단의 및 이웃하는 유전체 공진기로의 전계 에너지의 파워 결합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2격막들 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격막들 27에는 파워 결합량을 조절하기 위한 결합량 조절 스크류 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량 조절 스크류 29는 제2격막 27의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금속상자 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니늄 혹은 황동등의 금속이며, 표면에는 전도도의 향상을 위해 은이 도금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커플링 프로브 22 및 출력 커플링 프로브 24는 입출력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그라운드(ground)로 보호된 동축케이블 23, 25들이다. 즉, 유전체 공진기 16 및 20에서 입출력단자 12, 14까지 접속된 플로브 22, 24는 그라운드로 보호된 동축케이블을 사용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전체 공진기의 단면 구조로서, 이는 공진 주파수 스크류들이 형성된 캡(CAP)이 도파관에 조립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속상자 10은 제2격막들 27에 의해 각각 3개의 폴(Pole)로 나누어진다. 상기 제2격막 27들에 의해 나누어진 3개의 폴중 입력 및 출력 커플링 프로브 22, 24가 위치된 폴들에는 상기 커플링 프로브 22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결합하거나 유전체 공진기들 16, 18, 및 20에 의해 필터링된 주파수를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금속상자 10내에서 이격 위치된 두 개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 각각의 하부에는 저손실 저유전율을 가지는 서포트(Support)들 26이 위치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 18들을 금속상자 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유진한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 각각은 저 유전율의 고정 스크류 28에 의해 상기 서포트들 26의 상부에서 금속상자 10에 고정되어 진다. 이때, 상기 서포트 26의 재질은 주파수의 손실이 적고 유전율이 낮은 테프론 혹은 폴리카본에이트등이 이용되며, 이들은 세라믹의 재질로된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의 자계 에너지 분포가 일정하게 한다.
상기 금속상자 10의 상부에 덥혀지는 덥게 11에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들이 상부에 놓여질 수 있는 위치에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크류들 30들이 결합되며, 이들 스크류들 30의 하부에는 상기 금속상자 10내측으로는 턴닝 플레이트(Tuning plate) 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턴닝 플레이트 32들은 2개의 유전체 공진기 16, 18들의 상부측에 위치되어진다. 상기 턴닝 플레이트들 30의 직경은 공진주파수의 조절의 정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상술한 도 3 및 도 4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지금, 입력단자 12로 임의의 고주파신호가 입력되면 이는 동축케이블 23의 도선인 입력 커플링 프로브 22를 통해 금속상자 10의 내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 프로브 22가 신장된 방향으로는 전계 E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 커플링 프로브 22를 중심으로 자계 H가 형성된다. 고주파 신호의 입력에 상기 입력 커플링 프로브 22에 형성된 자계 H는 동일 폴(pole)내에서 이격 설치된 유전체 공진기 16으로 여기된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은 성기 입력 커플링 프로브 22를 통해 전달된 고주파수신호를 전술한 수학식 1과 같은 공진 주파수 fo의 주파수로 필터링한다. 이때, 원통형의 유전체 공진기 16은 원을 중심으로 전계 E가 형성되며, 내주로부터 외주로는 자계 H가 형성된다. 상기 자계 H의 에너지는 이웃하는 폴내에 위치된 또다른 유전체 공진기 18로 여기된다. 이때, 금속 케이스 10로부터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측으로 신장된 제1격막 25은 TE01δ모드 이외의 스프리어스 모드 신호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 18로의 전달을 억제한다.
한편, 상기 유전체 공진기들간의 제2격막 27, 예를 들면, 유전체 공진기 16와 이에 이웃하는 유전체 공진기 18 사이에서 금속상자 10의 내측으로 신장된 제2격막 17은 첫 번째 폴내의 유전체 공진기 16에 의해 1차필터링된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스프리어스 모드신호의 전달을 더욱 차단한다. 상기 제2격막 27은 마주보고 있는 격막간의 거리가 좁혀질수록 TE01δ모드 신호의 전달도 차단하여 주파수 통과 대역이 좁혀진다. 상기 제2격막 27의 상하부간의 거리는 금속상자 10로부터 내측으로 신장돌출된 제2격막 27상에 체결된 커플링 조절 스크류 29을 체결하는 정도에 따라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자계 H는 제2격막 27간의 간격에 따라 유전체 공진기 18로의 여기량이 조절되어 진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18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의 필터링과 제1격막 25 및 제2격막 27의 스프리어스 모드의 차단에 동작에 의해 TE01δ모드 신호만을 다시 전술한 수학식 1과 같은 공진주파수로 다시 필터링하여 그에 대응하는 자계 H를 이웃하는 또다른 유전체 공진기 18로 여기 시킨다. 이때, 유전체 공진기 18로부터 이웃하는 유전체 공진기 20로의 결합량은 제2격막 27과 커플링 조절 스크류 29에 의해 조절되는 간격에 따라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성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이 공진하는 TE01δ모드 신호이외의 스프리어스 모드의 신호는 각폴을 통과시마다 차단되어 통과할 수 없게된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16, 18 및 20에 의해 필터링되어진 고주파신호에 대응하는 자계 H는 출력단에 위치된 출력 커플링 프로브 24에 여기되어진다. 이때, 상기 출력 커플링 프로브 24는 그라운드에 의해 보호된 동축케이블 25의 구성을 가짐으로 유전체 공진기 20와 출력단 14와의 손실은 더욱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출력 커플링 프로브의 사이에 3개의 유전체 공진기를 삽입한 3폴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는 N개(여기서 N은 1.2.3,,,N의 정수)까지의 특성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제2격막 27과 커플링 조절 스크류 29가 유전체 공진기에 너무 근접하여 있으면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들의 공진 주파수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상자내에 위치된 유전체 공진기들 사이 및 유전체 공진기와 금속상자의 사이에 격막을 설치하여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필터링 출력되는 TE01δ모드 신호 이외의 스프리어스 모드의 전달을 차단하고, 유전체 공진기들간의 전력 에너지의 여기량을 제어하여 협대역의 필터를 용이하게 구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초고주파용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있어서,
    고주파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가지는 금속상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상기 금속상자내로 결합시키는 입력 커플러 루프와,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 결합시키는 출력 커플러 루프와,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부착된 유전체 공진기들과, 상기 금속상자와 상기 다수의 유전체 공진기들 중심 사이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제1격막들 및 상기 금속상자내에서 이격되어 위치된 상기 유전체 공진기들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제2격막들과, 상기 유전체 공진기들의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상부와 상기 금속상자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크류들과, 상기 제2격막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전체 공진기들의 상호간의 결합량을 제어하는 커플링 튜닝 스크류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유전체 공진기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커플링 프로브들 각각은 상기 입출력단자로의 입출력 신호을 상기 금속상자내의 유전체 공진기들에 각각 결합시키는 동축케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필터.
KR1019960065377A 1996-12-13 1996-12-13 유전체 공진기 필터 KR10020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77A KR100204439B1 (ko) 1996-12-13 1996-12-13 유전체 공진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77A KR100204439B1 (ko) 1996-12-13 1996-12-13 유전체 공진기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678A KR970013678A (ko) 1997-03-29
KR100204439B1 true KR100204439B1 (ko) 1999-06-15

Family

ID=1948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377A KR100204439B1 (ko) 1996-12-13 1996-12-13 유전체 공진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4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32A (ko) * 2002-11-16 2004-05-2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의 커버 고정 수단
KR100489698B1 (ko) * 2003-05-21 2005-05-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
KR100976251B1 (ko) 2009-12-31 2010-08-18 에이스웨이브텍(주) 매칭 튜닝봉을 이용한 무접점 캐비티 필터
KR101261908B1 (ko) * 2012-11-16 2013-05-08 (주)아이엔티 유전체 공진기의 유전체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공진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82B1 (ko) * 1998-05-27 2001-11-22 구관영 계단형 유전체 공진기를 갖는 하이-큐 대역 통과 필터
KR100354850B1 (ko) * 1999-12-07 2002-10-05 주식회사 텔웨이브 소형 세라믹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통과여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32A (ko) * 2002-11-16 2004-05-2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의 커버 고정 수단
KR100489698B1 (ko) * 2003-05-21 2005-05-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
KR100976251B1 (ko) 2009-12-31 2010-08-18 에이스웨이브텍(주) 매칭 튜닝봉을 이용한 무접점 캐비티 필터
KR101261908B1 (ko) * 2012-11-16 2013-05-08 (주)아이엔티 유전체 공진기의 유전체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공진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678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3226A (en) Filter for electromagnetic waves
US5777534A (en) Inductor ring for providing tuning and coupling in a microwav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6236292B1 (en) Bandpass filter
US7777598B2 (en) Dielectric combine cavity filter having ceramic resonator rods suspended by polymer wedge mounting structures
US6222429B1 (en)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notch filter, and dielectric filter with optimized resonator and cavity dimensions
US4578655A (en) Tuneable ultra-high frequency filter with mode TM010 dielectric resonators
EP1174944A2 (en) Tunable bandpass filter
GB2353144A (en) Combline filter
EP0657954B1 (en) Improved multi-cavity dielectric filter
EP0948077B1 (en) Dielectric resonator device
EP1858109A1 (en) Dielectric TE dual mode resonator
US67847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energy to/from dielectric resonators
US4124830A (en) Waveguide filter employing dielectric resonators
WO1988010013A2 (en) Microwave multiplexer with multimode filter
US20040041661A1 (en) Dielectric fil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sonance frequency
JPS62204601A (ja) 二重モ−ドフイルタ
KR100204439B1 (ko) 유전체 공진기 필터
EP1079457B1 (en) Dielectric resonance device,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device,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4673894A (en) Oscillator coupled through cylindrical cavity for generating low noise microwaves
EP0943161B1 (en) Microwave resonator
EP0605642A4 (en) Narrow band-pass, wide band-stop filter.
US7274273B2 (en) Dielectric resonator device,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high-frequency communication apparatus
JP4079944B2 (ja) 擬似楕円応答による導波管e面rf帯域通過フィルター
RU2602695C1 (ru) Полосно-заграждающий фильтр
JP5409323B2 (ja) 誘電体共振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周波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