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834B1 - 정전집진기 - Google Patents

정전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834B1
KR100203834B1 KR1019960700063A KR19960700063A KR100203834B1 KR 100203834 B1 KR100203834 B1 KR 100203834B1 KR 1019960700063 A KR1019960700063 A KR 1019960700063A KR 19960700063 A KR19960700063 A KR 19960700063A KR 100203834 B1 KR100203834 B1 KR 100203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electrostatic precipitator
pipe
m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3677A (ko
Inventor
타카시 오미
타카시 쯔치야
Original Assignee
오미 코죠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 코죠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오미 코죠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96070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25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ors, e.g. in parallel or in series, stacked separators, dry-wet separator comb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tub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정전 집진기(1)의 케이스(2) 내에는 파이프(11)에 의해 상호 연통된 도입실(4) 및 도출실(26)이 구획되고, 각파이프(11)에는 전극핀(23)이 삽입된다. 또한 케이스(2) 내에는 각파이프(11)의 내부와 도입실(4)을 연통하는 안내통로(14)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입실(4)로부터 각파이프(11)내에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가 도입될 때 각파이프(11) 및 전극핀(23)에 전압을 인가하면 에어 중 미스트 등의 미립자가 각파이프(11)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에어로부터 미스트 등의 미립자가 제거된다. 정화된 에어의 일부는 안내통로(14)를 통해 도입실(4)에 흐르고, 도입실(4) 내에서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와 혼합된다. 그결과 각파이프(11)내에 도입되는 에어에 있어서, 미스트 등의 함유율이 낮아진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정전 집진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정전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반, 원통 연삭판 등의 각종 공작기기에서 절삭 가공 시에 쿨랜트(Coolant)의 비산(飛散)에 의해 발생하는 미스트 등을 회수하기 위한 정전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일반적으로, 미스트 등을 회수하는 정전집진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케이스 내에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의 상부에는 케이스 내로부터 에어를 도출하기 위한 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와 도출구는 케이스 내에 배설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통상(筒狀)의 집진극을 통해 연통하고,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에어는 집진극 내를 유통하여 도출구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집진극 내부에는 방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극 및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 간에 직류 전계가 발생한다. 이 직류 전계의 작용에 따라 집진극 내를 유통하는 에어에 포함된 미스트 등의 미립자 집진극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그 결과, 에어로부터 미립자 등이 제거되고, 도출구로부터 미립자가 감소된 에어가 도출된다.
한편, 집진극의 내측면에 부착된 미스트가 상호 결합하면, 물방울로 되고 물방울은 자체의 중량에 의해 집진극의 내측면을 따라 계속 하강한다. 그리고, 물방울은 집진극의 하단 개구부를 지나 집진극으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전 집진기는 예를 들어 절삭기계에 부착되고, 이 정전 집진기에 의해 절삭기계로부터 발생하는 미스트를 회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전 집진기에서는 에어에 포함되는 미스트의 양이 많게되면 에어가 집진극 내를 통과하는 사이만으로는 미스트를 회수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도출구로부터 나오는 에어는 당연히 다량의 미스트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정전 집진기를 절삭기계에 부착하는 경우, 절삭기계가 설치되는 장소 문제로 정전 집진기를 횡으로 설치하도록 하여 절삭기계에 부착한 것이다. 이 경우 집진극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집진극의 내측면에 부착된 물방울이 집진극으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물방울이 집진극 내에 고이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피제진유체(被除塵流體)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양이 많아도 확실하게 피제진유체로부터 미립자를 제거할 수 있는 정전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집진극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도 집진극의 내측면에 부착된 미립자를 집진극 내로부터 배출시키는 정전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정전 집진기는 피제진유체가 도입되는 도입실에 원통의 집진극이 연통하고, 집진극의 측부에 이 집진극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부가 형성된다. 또한 연통부는 집진극 내의 피제진유체를 상기 도입실에 안내하는 안내통로에 접속한다. 그리고 피제진유체가 도입실을 통해 원통의 집진극 내에 도입될 때 집진극과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간에 직류전계가 발생하고, 그 직류전계에 의해 집진극 내를 유통하는 피제진유체중의 미립자가 집진극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집진극 내에서 미립자가 제거된 피제진유체의 일부는 연통부 및 안내통로를 통해 도입실로 안내된다. 그리고 안내통로로부터 도입실에 안내된 피제진유체와 새롭게 도입실에 도입된 피제진유체가 도입실 내에서 혼합되고, 집진극 내에 도입되는 피제진유체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함유율은 낮아진다. 이로 인해 도입실에 도입되는 피제진유체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양이 많아져도 확실하게 피제진유체로부터 미립자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전 집진기를 표시한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실시예에서 이용하는 각파이프를 표시한 횡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유래하는 별도 예의 각파이프를 표시한 횡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정전 집진기를 표시한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2실시예에서 이용하는 각파이프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표시한 각파이프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7도는 제2실시예에 유래하는 별도 예의 정전 집진기를 표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실시예]
다음,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 및 2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의 표시에서, 정전 집진기(1)는 사각 상자형의 케이스(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 내측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부(3)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는 이 평판부(3)보다도 아래 방향에서 형성되며, 피제진유체로서의 미스트 등을 포함하는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실(4)을 가지고 있다. 도입실(4)의 하면에는 미스트 등을 포함하는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구(5), 및 정전 집진기(1)에 의해 회수된 미스트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를 형성하는 도관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5)용 도관의 선단에는 프렌지부(7)가 형성되고, 이 프렌지부(7)를 통해 미스트 등을 발생시킨 절삭기계 등의 각종 공작 기계에 해당 집진기(1)가 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입실(4) 내에 있어서, 흡입구(5)에는 필터(8)의 집진 통체(集塵筒體)(9)가 접속되어 있다. 집진통체(9)는 루버(louver)가공을 수행한 원통판을 복수로 적층하여 형성되고, 각 원통판으로의 루버 가공은 90˚씩 움직여져 진행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각종 공작기계에 설치된 팬을 구동하여 흡입구(5)로부터 도입실(4)로 향해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를 송출하면 그 에어가 집진통체(9)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한다. 그 결과 이 집진통체(9)는 에어에 포함된 먼지나 입경이 비교적 큰 미스트 등을 제거한다.
평판부(3)의 중앙에는 관통구(10)가 형성되고, 관통구(10)의 상측에는 알루미늄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는 집진극으로서의 복수의 각(角)파이프(11)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제1도,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각파이프(11)는 단면정방형상(斷面正方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파이프(11)(9개)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3단씩 정방향으로 조합됨과 동시에 상호 용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파이프(11)의 하부에는 조합된 각파이프(11)의 주위를 둘러 쌓도록 판재(12)가 용착되어 있다. 이 판재(12)를 도시하지 않은 실(seal)부재와 절연부재를 통해 평판부(3)의 상면에 고착함으로써 각파이프(11) 내와 관통구(10)는 연통하여 있다. 또한 각파이프(11)는 전원(17)에 접속되고, 이 전원(17)에 의해 -극(陰極)에 대전(帶電)되어 있다.
케이스(2)의 내측면에는 케이스(2) 내의 중앙에 배치된 파이프 어셈블리로 향해 돌출하는 칼라(collar)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칼라부(13) 내측단은 되시되지 않은 실부재 및 절연부재를 통해 조합된 각파이프(11)의 상단부 외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칼라부(13)의 하측면에 있어서, 케이스(2)와 조합된 각파이프(11)의 사이에는 안내통로(14)가 확보되고, 안내통로(14)는 상기 판재(12) 및 평판부(3)를 관통하는 안내구(15)를 통해 도입실(4)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안내구(15)는 안내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합된 각파이프(11) 4개의 각부(角部)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부로서의 4개의 슬릿(slits,16)이 형성되고, 이 슬릿(16)을 통해 각에 위치하는 각파이프(11)의 내부와 안내통로(14)가 연통되어 있다.
각파이프(11)의 정상에는 브래킷(bracket)이 부착되고, 브래킷(20)의 상부에는 상기 전원(17)이 접속되어 +극(正極)에 대전된 평판상의 +극 전극판(21)이 고착되어 있다. 이 +극 전극판(21)은 그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전체가 나일론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체(22)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각파이프(11)와 +극 전극판(21)은 확실하게 절연된다. +극 전극판(21)에는 각파이프(11)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있어서, 방전극으로서의 전극핀(23)이 부착되어 있다. 각 전극핀(23)은 대응하는 각파이프(11)에 삽입될 수 있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파이프(11)의 내벽면에 둘러 쌓인 방전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극핀(23)은 +극 전극판(21)과 똑같이 +극에 대전되어 있다. 더욱이, +극 전극판(21)에는 다수의 관통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17)이 전극핀(23) 및 각파이프(11)에 약 10000볼트 전압을 인가하면 +극에 대전된 전극핀(23)과 -극에 대전된 각파이프(11)의 내벽과의 사이에 강력한 직류전계가 형성된다. 이 직류전계는 전극핀(23)으로부터 각파이프(11)로 향해 정 이온의 샤워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각파이프(11) 내에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를 도입하면 미스트는 정 이온 샤워의 영향을 받아 정확하게 대전되고, 직류전계에 의한 강력한 쿨롱(coulomb) 인력을 받아 각파이프(11)의 내측면에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각파이프(11)의 내측면에 도달한 미스트는 전기적으로 중화되고, 물방울로 되어 파이프 내벽을 따라 회수된다.
케이스(2)의 칼라부(13)보다 상측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개구부를 덮개(25)로 폐쇠함으로써 케이스(2) 내에서 칼라부(13) 및 각파이프(11)의 위쪽으로는 미스트 등이 제거된 에어를 도출하기 위한 도출실(26)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출실(26) 상부 외측면에는 정전 집진기(1)에 의해 정화된 에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칼라부(13)에는 안내 통로(14)와 도출실(26)을 연통하는 릴리프 공(relief opening,13a)이 릴리프부로서 형성되고, 릴리프 공(13a)의 도출실(26)에 대응하는 개구 면적은 상기 안내구(15)의 도입실(4)에 대응하는 개구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전 집진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가 흡입구(5) 및 필터(8)를 통해 각파이프(11)내에 유입되면, 상기 에어는 관통구(10)를 통해 각파이프(11) 내에 도입된다. 이때 전극핀(23) 및 각파이프(11)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핀(23)과 각파이프(11) 사이에 직류전계가 발생하고, 그 직류전계의 작용에 의해 에어에 포함된 미스트 등의 미립자가 각파이프(11)에 끌어 당겨져 부착된다. 그래서 각파이프(11) 내에서 정화된 에어는 도출실(26)에 도출되고, 도출실(26) 내의 에어는 토출구(27)를 통해 정전 집진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각에 위치하는 4개의 각파이프(11) 내에서 많은 미스트가 제거된 에어의 일부는 슬릿(16)을 경유하여 안내통로(14)에 송출된다. 안내통로(14) 내의 에어는 상기 통로(14)를 파이프 어셈블리 둘레에 천천히 선회하면서 아래 방향으로 흐르고, 안내구(15)를 통해 도입실(4)에 송출된다. 또한 안내통로(14) 내에서 도입실에 송출되지 않고 대류하여 있는 많은 미스트가 제거된 에어는 릴리프 공(13a)을 통해 도출실(26)로 송출시킨다.
도입실(4) 내에서 안내통로(14)로부터 송출되는, 함유 미스트 양이 극히 작아진 에어와 흡입구(5)로부터 새롭게 흡입된 에어가 혼합되고, 도입실(4) 내의 에어 중 미스트 등의 함유율이 낮아진 에어가 각파이프(11) 내에 도입된다. 따라서, 흡입구(5)로부터 새롭게 흡입되는 에어에 포함되는 미스트 등의 양이 많게 되어도 각파이프(11) 내에는 미스트 등의 함유율이 낮아진 에어가 도입된다. 이러한 미스트 농도 조정은 상기 집진기(1)가 미스트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각파이프(11) 내에 부착된 미스트 등의 미립자는 상호 결합하면 물방울로 되고, 이 물방울은 자체의 중량에 의해 각파이프(11) 내에 따라 하강하여 각파이프(11)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도입실(4)로 떨어진다. 더욱이 각파이프(11)로부터 도입실(4)로 떨어진 물방울은 도입실(4)의 아래면에 설치된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파이프(11) 내에서 미스트 등이 제거된 에어의 일부를 안내통로(14)를 통해 도입실(4)에 흐르게 하고, 이와 같이 흐른 에어와 흡입구(5)로부터 새롭게 흡입되는 에어를 도입실(4) 내에서 혼합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흡입구(5)로부터 새롭게 도입실(4)에 흡입되는 에어에 포함되는 미스트 등이 많아도 각파이프(11) 내에는 미스트등의 함유율이 낮아진 에어가 도입되기 때문에 에어에 포함되는 미스트 등의 미립자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통로(14)와 도출실(26)을 연통하는 릴리프부로서의 릴리프 공(13a)이 설치되고, 상기 릴리프 공(13a)의 도출실(26)에 대한 개구면적을 안내공(15)의 도입실(4)에 대한 개구면적보다도 작게 하였다. 이로 인해 안내통로(14) 내에 있어서 도입실(4)로 송출되지 않고, 대류하고 있는 에어를 도출실(26)로 빼낼 수 있고, 안내통로(14) 내에 에어가 대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4 내지 6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정전 집진기(31)의 케이스(32)는 사각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32) 내는 케이스(32)의 내부 중앙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33)에 의해 상통로(34)와 하통로(35)가 구획되어 있다. 그래서, 케이스(32)의 오른쪽 내부공간을 통해 상통로(34)와 하통로(35)가 연통되어 있다.
하통로(35)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부(36)가 형성되고, 평판부(36)의 좌측에는 도입실(37)이 형성되어 있다. 도입실(37)의 좌측면에는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를 도입실(37)에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8)가 형성되고, 도입실(37) 내에 있어서 흡입구(38)에는 제1필터(3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필터(39)에 의해 도입실(37) 내에 흡입되는 에어에 포함된 먼지와 입자의 직경이 비교적 큰 미스트 등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평판부(36)에는 관통구(40)가 형성되고, 평판부(36)의 우측면에는 하통로(35)와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진극으로서의 복수의 각파이프(41)가 제1실시예와 똑같이 판재(42)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제4 내지 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체 16개의 각파이프(41)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4단씩 정방형으로 조합됨과 동시에 상호 용착되어 있다. 또한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합된 각 프이프(41)의 우단부 외측면은 제1실시예와 똑같이 하통로(35)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칼라부(43)의 내측단에 고착되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칼라부(43)와 평판부(36) 사이에서 하통로(35)와 조합된 각파이프(41) 사이에는 안내통로(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통로(44)는 상기 판재(42) 및 평판부(36)에 형성된 안내부로서의 안내공(45)을 통해 도입실(37)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안내통로(44)는 정전 집진기(31)에 의해 회수된 미스트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44a)와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칼라부(43)에는 안내통로(44) 내에 대류하는 에어를 케이스(2)의 오른쪽 내부공간으로 빠져가기 위한 릴리프 공(43a)가 릴리프부로서 형성되고, 릴리프(43a)의 개구면적은 안내공(45)의 개구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각파이프(41)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는 각파이프(4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각파이프(4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의 각각의 각파이프(41)를 연통하는 연통부로서의 슬릿(46a)이 형성되고, 슬릿(46a)은 안내 통로(44)에 연통되어 있다. 상하에 병행한 각각의 각파이프(41)를 연통하는 슬릿은 이러한 것이 좌우 교호(交互)하게 위치하도록 각파이프(41)의 오른쪽 모서리 또는 왼쪽 모서리 어느 쪽이든 한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파이프(41)의 내측 하면은 슬릿(46),(46a)에 향해 아래로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파이프(41)의 우측에는 브래킷(47)을 통해 +극 전극판(48)이 고착되고, +극 전극판(48)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각파이프(41)에 삽입되는 방전극으로서의 전극핀(49)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극 전극판(48)에는 다수의 관통홈(48a)이 형성되어 있다.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파이프(41) 및 전극핀(49)은 각각 전원(50)과 접속되고, 각파이프(41) 및 전극핀(49)에 전압을 인가하면 각 파이프(41)가 -극에 대류함과 동시에 전극핀(49)이 -극에 대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통로(34) 내에도 각파이프(41), +극 전극판(48), 전극핀(49) 및 안내통로(44)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그 구성 및 부착 구조는 하통로(35) 내의 것과 똑같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스(2) 내의 격벽(33)에 있어서, 상통로(34)의 안내통로(44)와 하통로(35)의 안내 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복수의 연통공(55)이 형성되고, 이 연통공(55)에 의하여 상하의 안내통로(44)가 연통되어 있다. 더욱이 상통로(34)의 칼라부(43)에는 릴리프 공(43a)이 릴리르부로서 형성되고, 이 제2의 필터(56)에 의해 상통로(34) 및 하통로(35)를 통과한 에어의 탈취가 진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통로(34) 내에서 제2필터(56)의 좌측에는 도출실(57)이 구획되어 있다. 도출실(57)에는 상기 도출실(57)로부터 에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출실(57)의 좌측벽에는 상기 도출실(57)내에 출력축(59)이 연장된 팬(60)이 설치되고, 도출실(57) 내에 있어서, 출력축(59)에는 프로펠라(61)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팬(60)을 구동하면 정전 집진기(31)에 의해 정화된 도출실(57) 내의 에어가 토출구(58)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팬(60)의 흡인작용은 하통로(35)에도, 그리고 흡입구(38)를 통해 도입실(37)에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가 흡입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전 집진기(31)의 작용을 설명한다.
팬(60)을 구동하여 프로펠라(61)를 회전시키면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가 흡입구(38)를 통해 도입실(37) 내에 흡입된다. 도입실(37)에 흡입된 에어는 하통로(37)의 각파이프(41) 및 상통로(34)의 각파이프(41)를 통해 도출실(57)에 송출된다. 미스트 등을 포함한 에어가 각파이프(41)를 통과할 때 전극핀(49) 및 각파이프(41)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핀(49)과 각파이프(41)의 사이에 직류전계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직류전계의 작용에 의해 에어에 포함된 미스트 등의 미립자가 각파이프 (41)의 내벽에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도출실(57)에는 정화된 에어가 송출되고, 도출실(57) 내의 에어는 토출구(58)를 통해 정전 집진기(31)의 외부로 토출된다.
더욱이 상통로(34)의 각각의 각파이프(41) 내에서 미스트 등이 제거된 에어의 일부는 슬릿(46),(46a), 상통로(34)의 안내통로(44), 연통공(56), 하통로(35)의 안내 통로(44) 및 안내공(45)를 통해 도입실(37)에 안내된다. 그리고 상통로(34)의 안내통로(44)에 있어서, 도입실(37)에 송출도지 않고 대류해 있는 에어는 상통로(34)의 각각의 릴리프 공(43a)으로부터 도출실(57)로 빠져 나간다. 또한 화통로(35)의 각각의 각파이프(41)내에서 미스트 등이 제거된 에어의 일부는 슬릿(46), (46a) 하통로(35)의 안내통로(35)의 안내통로(44) 및 안내공(45)을 통해 도입실 (37)에 안내된다. 그리고 하통로(45)의 안내통로(44) 내에 있어서 도입실(37)에 송출되지 않고 대류하고 있는 에어는 하통로(35)의 릴리프 공(43a)으로부터 케이스(2)의 오른쪽 내부공간으로 빠져나간다.
또한 도입실(37)에서는 미스트 등이 제거된 에어와 흡입구(38)를 통해 도입실(37)에 흡입되는 에어가 혼합된다. 그 결과 도입실(37) 내의 에어에 의한 미스트 등의 함유율이 낮아지고 제1실시예와 똑같게 미스트 등의 함유율이 낮아진 에어가 상 및 하통로(34),(35)의 각파이프(41) 내에 도입된다.
또한 슬릿(46),(46a)은 각각의 각파이프(41)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각파이프(41) 사이에서 직류전계들의 간섭이 작아지고 집진 능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그러나 슬릿(46),(46a)은 이러한 것이 좌우 교호하게 위치하도록 각각의 각파이프(41)의 오른쪽 모서리 또는 왼쪽 모서리 어느 쪽이든 한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46),(46a)으로부터 누설되는 직류전계가 작아진다.
각파이프(41) 내에 부착된 미스트 등의 미립자는 상호 결합하면 물방울로 되고, 이 물방울은 자체의 중량에 의해 각파이프(41)의 내측을 따라 하강하고 내측 하면에 모아진다. 각파이프(41)의 내측 하면은 슬릿(46),(46a)에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파이프(41)의 내측 하면에 하강한 물방울은 그 경사진 내측하면에 따라 슬릿(46),(46a)으로 향해 흐른다. 그 결과 각각의 각파이프(41) 내의 물방울은 슬릿(46),(46a)으로부터 그 하측의 각파이프(41) 내로 차례로 떨어지고, 최하단의 각파이프(41)의 슬릿(46a)을 지나 안내통로(44)로 효율적으로 모아진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정화된 에어의 일부를 안내통로(44)로 송출하기 위한 각파이프(41)에 형성된 슬릿(46),(46a)은 각파이프(41) 내의 물방울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갖는다. 이로 인해 각파이프(4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도 각파이프(41) 내에 물방울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각파이프(41)의 내벽면을 덮도록 물방울이 대류하면 전기 집진 작용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파이프(41) 내에 고인 물방울에 의한 집진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정전 집진기(31)의 집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릿(46)(46a)은 각파이프(41)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각파이프(41)에 물방울 배출용의 공을 형성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각파이프(41) 내의 물방울을 효율좋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각파이프(41)의 내측하면은 슬릿(46),(46a)에 향해 아래로 향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각파이프(41) 내의 물방울을 더욱 효율 좋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치우친 각파이프(41)의 모서리에 각각 슬릿(46)을 형성하기 때문에 각파이프(41) 사이에서 직류전계들의 간섭을 작게 하고 집진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더욱이 슬릿(46)을 각각의 각파이프(41)의 오른쪽 모서리 또는 왼쪽 모서리의 어디든지 한 모서리에 수직 방향에 대해 교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46)을 통해 각파이프(41) 바깥으로 누설되는 직류전계를 작게 하고 집진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똑같게 각파이프(41) 내에서 정화된 에어의 일부가 안내통로(44)를 통해 도입실(37)에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 흡입구(38)로부터 도입실(37)에 흡입되는 에어에 포함되는 미스트 등이 많아져도 에어에 포함되는 미스트 등의 대부분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통로(34) 및 하통로(35)의 안내통로(44) 내에 대류하는 에어는 상통로(34) 및 하통로(35)의 릴리프 공(43a)을 통해 도출실(57) 및 케이스(2)의 오른쪽 내부공간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안내통로(44)에 에어가 대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파이프 어셈블리의 각에 위치하는 각파이프(11)에 슬릿(16)을 형성하는 것에 덧붙여서 외측에 위치하는 기타의 각파이프(11)에 슬릿(16)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중앙의 각파이프(11)를 제거하는 8개의 각파이프(11)가 안내통로(44)와 연통한다. 따라서 각파이프(11) 내에서 정화된 에어를 효율 좋게 도입실(4)에 유입시킬 수 있다.
더욱이 중앙의 각파이프(11)와 그 각파이프(11)와 접하는 각각의 각파이프(11) 사이에 제3도의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슬릿(16)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전체의 각파이프(11)가 안내통로(14)와 연통하기 때문에 각각의 각파이프(11) 내의 미스트가 제거된 에어의 일부를 한충 효율 좋게 도입실(4)로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내통로(14)로부터 도입실(4)로 송출되는 에어의 양이 많아지거나 도입실(4) 내의 에어에 포함되는 미스트 등의 함유율이 더욱 낮아지기 때문에 에어로부터 미스트 등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각파이프(11)에 슬릿(16)을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대해 각파이프(11)에 안내통로(14)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각파이프(11)의 긴 방향에 따라 복수로 형성해도 좋다.
제2실시예에서 각파이프(41)의 내측하면을 수평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2실시예에서 각파이프(41)에 슬릿(46),(46a)을 형성하였지만 여기에 대해서 각파이프(41)의 긴 방향에 따르도록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해도 좋다.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개시된 각파이프(41)를 에어 유통방향의 하류측에 향해 아래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하고, 전극핀(49)도 각파이프(41)와 똑같게) 경사지게 하여도 좋다. 그래서 하통로(35)에서 칼라부(43)보다 우측에 있는 케이스(32)의 아래면에 배출구(66)를 설치하고 격벽(33)에서 상통로(34)의 칼라부(43)보다 좌측으로, 하통로(35)의 안내통로(44)에 연통하는 배출공(67)을 형성한다. 이 경우 각파이프(41) 내의 물방울이 슬릿(46)으로 향해 흐름과 동시에 각파이프(41)의 긴방향으로 향해 흐른다. 이로 인해 물방울이 각파이프(41)의 내면을 흐르는 거리가 길게 된다. 이러한 것은 물방울들의 결합을 촉진시켜 각파이프(41) 내벽으로부터 빨리 미끄러져 떨어지게 하고, 물방울을 효율 좋게 각파이프(41)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하통로(35)의 각파이프(41)에 있어서, 슬릿(46),(46a)으로부터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각파이프(41)의 +극 전극판(48)측의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물방울은 상기 배출구(66)으로부터 바깥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통로(34)의 각파이프(41)에 있어서, 슬릿(46),(46a)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각파이프(41)의 +극 전극판(48)측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떨어진 물방울은 상기 배출공(67), 하통로(35)의 안내통로(44) 및 배출구(44a)를 지나 바깥으로 배출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파이프(11,41)의 개수를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집진극으로서 사각통상의 각파이프(11,41)를 예시하였지만 각파이프(11,41)를 삼각 및 육각 등 다각형 통상(筒狀)으로 해도 좋다. 또는 각파이프(11,41)가 아니고 원통상의 파이프로 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각파이프(11,41)를 포갬으로써 격자형의 파이프 어셈블리를 형성하였지만 격자형의 각파이프를 파이프 어셈블리 대신으로 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파이프(11,41)를 +극에 대전시켜 전극핀(23,49)을 -극에 대전시켜도 좋다. 이 경우도 상기 각 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피제진유체가 도입되는 도입실(4,37)과 적어도 하나의 방전극(23,49)과 상기 방전극(23,49)을 둘러쌓도록 설치되고, 동시에 방전극(23,49)과의 사이에 상기 도입실(4,37)과 연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진극(11,41)을 구비하고, 집진극(11,41)과 방전극(23,49)에 전압을 인가하여 양극(11,23),(41,49)사이에 발생된 직류전계에 의해 집진극(11,41) 내를 유통하는 피제진유체 중의 미립자를 해당 집진극(11,41)에 정전적(靜電的)으로 회수하는 정전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11,41)의 측부에 설치되고, 그 집진극(11,4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부(16)(46,46a)와, 상기 연통부(16),(46,46a)에 대해 접속시키고, 동시에 집진극(11,41) 내를 흐르는 피제진유체의 일부를 상기 도입실(4,37)에 귀환시키는 안내통로(14,4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집진극(41) 및 방전극(49)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하고, 집진극(41)의 하측벽에 연통부(46,46a)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집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피제진유체가 도출되는 도출실(26,57)과 집진극(11,41)의 내부를 연통시킨 것과, 상기 도입실(4,37)과 안내통로(14,44)를 연통하는 안내부(15,45)와, 상기 도출실(26,57)과 안내통로(14,44)를 연통하는 릴리프부(13a,43a)와, 상기 릴리프부(13a,43a)의 개구 면적이 안내부(15,45)의 개구면적보다 작아지도록 해당 릴리프부(13a,43a)를 형성한 것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집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집진극(11,41)을 상호 접촉하도록 병렬로 설치하여 어셈블리를 만들고, 그 어셈블리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집진극(11,41)의 측부에서 안내통로(14,44)에 접속시키는 연통부(16,46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집진기.
  5. 제4항에 있어서, 어셈블리를 이루는 복수의 집진극(11,41)의 안쪽, 상기 어셈블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집진극(11,41)과 그 어셈블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집진극(11,41)을 연통하는 연통부(16,4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집진기.
  6. 제2항에 있어서, 집진극(41)을 사각통상으로 형성하고, 집진극(41)의 하측벽을 연통부(46,46a)에 대해 아래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집진기.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집진극(41)을 포개어 적층배치하고, 각 집진극(41)에 인접하는 상측벽 및 하측벽과 최하단의 집진극(41)의 하측벽에 연통부(46,46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집진기.
  8. 제7항에 있어서, 연통부(46,46a)가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집진극(41)의 상측벽 및 하측벽의 한 모서리에 교호히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집진기.
KR1019960700063A 1994-08-30 1995-05-08 정전집진기 KR100203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9401428 1994-08-30
JPPCT/JP94/01428 1994-08-30
PCT/JP1994/001428 WO1996006682A1 (fr) 1994-08-30 1994-08-30 Depoussiereur electrostatique
PCT/JP1995/000871 WO1996006681A1 (fr) 1994-08-30 1995-05-08 Dispositif de precipitation electrost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677A KR960703677A (ko) 1996-08-31
KR100203834B1 true KR100203834B1 (ko) 1999-06-15

Family

ID=1409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063A KR100203834B1 (ko) 1994-08-30 1995-05-08 정전집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26094B1 (ko)
KR (1) KR100203834B1 (ko)
AT (1) ATE189411T1 (ko)
BR (1) BR9506343A (ko)
CA (1) CA2172146C (ko)
DE (1) DE69514904T2 (ko)
WO (2) WO1996006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919A (ko) 2017-07-31 2019-02-11 한국전기연구원 연도열을 이용한 스스로 발전형 정전집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91425C (zh) * 2007-07-23 2010-02-24 本溪净宇环保设备制造有限责任公司 均布式电极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5274C (de) * 1923-09-15 1926-02-15 Siemens Schuckertwerke G M B H Elektrische Niederschlagseinrichtung mit roehrenfoermigen Niederschlagselektroden und linearen parallelen Spruehelektroden
DE701416C (de) * 1938-09-15 1941-01-16 Patentverwertung Elektrofilter fuer waagerechten oder schraegen Gasdurchgang durch ein Buendel von im Querschnitt wabenfoermigen Rohrelektroden
US2853151A (en) * 1955-12-06 1958-09-23 Research Corp Electrified centrifugal dust separating device
JPS5143224B2 (ko) * 1971-12-07 1976-11-20
JPS4976163A (ko) * 1972-11-22 1974-07-23
JPS5227422Y2 (ko) * 1973-02-13 1977-06-22
JPS5333472A (en) * 1976-09-10 1978-03-29 Furukawa Kogyo Kk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and cohering system
JPS5415577A (en) * 1977-07-06 1979-02-05 Sumitomo Metal Mining Co Dust collecting pole of electric dust collector
DE3324886A1 (de) * 1983-07-09 1985-01-1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gasen
JPS62254852A (ja) * 1986-04-30 1987-11-06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清浄機
JPH04187254A (ja) * 1990-11-19 1992-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クト型電気集じん器の集じん電極製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919A (ko) 2017-07-31 2019-02-11 한국전기연구원 연도열을 이용한 스스로 발전형 정전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4904T2 (de) 2000-10-12
WO1996006682A1 (fr) 1996-03-07
ATE189411T1 (de) 2000-02-15
CA2172146C (en) 1999-03-30
EP0726094A4 (en) 1996-06-11
CA2172146A1 (en) 1996-03-07
EP0726094A1 (en) 1996-08-14
KR960703677A (ko) 1996-08-31
EP0726094B1 (en) 2000-02-02
DE69514904D1 (de) 2000-03-09
WO1996006681A1 (fr) 1996-03-07
BR9506343A (pt) 1997-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2111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3572164B2 (ja) 除塵装置
CN100353903C (zh) 旋风集尘装置
KR20070069776A (ko)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WO2013065906A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multi-cross pin ionizer
SE463604B (sv) Anordning foer rening av med faergpartiklar foerorenad ventilationsluft fraan en sprutbox foer maalning
WO2013065908A1 (en) Induction voltage electrical precipitator having honeycomb electric charge part
JP2023524311A (ja) 静電気集塵機能を有する空気処理装置
KR100203834B1 (ko) 정전집진기
KR101129782B1 (ko) 집진장치
KR102540335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JPH08266929A (ja) 静電集塵機
CN216631191U (zh) 一种负压静电过滤器导流板
TW201930790A (zh) 空氣清淨機
CN1047963C (zh) 静电过滤器
KR19980018670A (ko) 공기 청정 장치
JP2002224588A (ja) 電気集塵機
KR100414976B1 (ko) 전기 집진기
KR200224691Y1 (ko) 전기집진기의 고전압 절연애자 누적 더스트 제거장치
WO2017074019A1 (ko) 사출기 내부 분진 및 가스 제거 가능한 전기 집진기
KR102582567B1 (ko) 공기 청정 장치
JPH0780351A (ja) 静電集塵装置
KR100510982B1 (ko) 습식 전기집진기
KR102579852B1 (ko) 미세먼지용 공기정화기의 필터장치
KR102490514B1 (ko) 주행풍을 이용한 지하철 급배기구용 집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