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683B1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683B1
KR100203683B1 KR1019960013801A KR19960013801A KR100203683B1 KR 100203683 B1 KR100203683 B1 KR 100203683B1 KR 1019960013801 A KR1019960013801 A KR 1019960013801A KR 19960013801 A KR19960013801 A KR 19960013801A KR 100203683 B1 KR100203683 B1 KR 10020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ing
current frame
signal
filter coeffici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159A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1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683B1/ko
Publication of KR97007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측 전송 버퍼의 데이터 충만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매크로 블록 단위로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 정보들에 근거하여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영상의 복잡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에 따라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부호화후의 비트 발생량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DCT,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갖는 부호화 수단을 통해 이전에 부호화된 이전 프레임의 각 매크로 블록들에 대해 각각 발생되는 각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평균하여 이전 프레임의 평균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계산 수단; 산출된 평균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복잡도로서 참조하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주파수 통과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기설정된 복수의 필터계수 결정신호들중 산출된 양자화 파라메터 평균값에 대응하는 필터계수 결정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및 발생된 필터계수 결정신호에 의거하여,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을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한 현재 프레임 신호로써 부호화 수단에 필터링없이 제공하거나 복수의 필터계수중 발생된 필터계수 결정신호에 따라 결정된 필터계수에 의거하여 입력 현재 프레임에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그 통과 대역을 제한함으로써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프레임 신호를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한 현재 프레임 신호로써 부호화 수단에 제공하는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부호화 수단에서의 양자화시 과도한 스텝 사이즈의 증가 없이 부호화후 발생되는 비트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일예로서 8×8 픽셀 블록에 대한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3×3차수의 2차원 저역 통과 필터계수를 도시한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써 (3,3) 위치에서의 2차원 필터링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70 : 프레임 메모리 110 : 감산기
120 : 영상 부호화 블록 130 :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
140 : 전송 버퍼 150 : 영상 복호화 블록
160 : 가산기 180 :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
210 : QP 평균값 계산 블록 220 : 필터 제어 블록
230 :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압축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신호를 압축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영상을 부호화할 때, 출력측 전송 버퍼의 데이터 충만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매크로 블록 단위로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 정보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입력 영상신호의 복잡도(Variance)를 참조하여 부호화후의 발생 비트량을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데 적합한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산된 영상신호의 전송은 아날로그 신호보다 좋은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일련의 이미지 프레임 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가 디지털 형태로 표현될 때, 특히 고품질 텔레비젼(일명 HDTV 라함)의 경우 상당한 양의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송 채널의 사용 가능한 주파수 영역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그 양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압축하는 다양한 압축 기법 중에서, 확률적 부호화 기법과 시간적, 공간적 압축기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부호화 기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법들은, 예를 들면 세계 표준화 기구에 의해 그 표준안이 이미 제정된 MPEG-1 및 MPEG-2 등의 권고안에 광범위하게 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부호화 기법은 움직임 보상 DPCM(차분 펄스 부호 변조), 2차원 DCT(이산 코사인 변환), DCT 계수의 양자화, VLC(가변장 부호화)등을 이용한다. 움직임 보상 DPCM은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물체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현재 프레임을 예측하여 현재 프레임과 예측치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분신호를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Staffan Ericsson의 'Fixed and Adaptive Predictors for Hybrid Predictive/Transform Coding,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33, NO.12 (1985년, 12월), 또는 Ninomiy와 Ohtsuka의 A motion Compensated Interframe Coding Scheme for Television Picture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30, NO.1 (1982년, 1월)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원 DCT는 영상 데이터간의 공간적 리던던시를 이용하거나 제거하는 것으로써, 디지털 영상 데이터 블록, 예를 들면 8X8 블록을 DCT 변환계수로 변환한다. 이 기법은 Chen과 Pratt의 Scene Adaptive Coder,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32, NO.3 (1984년, 3월)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DCT 변환계수는 양자화기, 지그재그 주사, VLC 등을 통해 처리됨으로써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축(또는 압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움직임 보상 DPCM에서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에 추정된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현재 프레임을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예측한다. 이와 같이 추정된 움직임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의 변위를 나타내는 2차원 움직임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물체의 변위를 추정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접근방법이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두개의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그중 하나는 블록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블록단위 움직임 추정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화소순환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물체의 변위를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방법중,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방법을 이용하면 변위는 각각의 화소 전부에 대해 구해진다. 이러한 방법은 화소값을 더 정확히 추정할 수 있고 스케일 변화(예를 들어, 영상면에 수직한 움직임인 주밍(zooming))도 쉽게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움직임 백터가 모든 화소 각각에 대해 결정되기 때문에, 다량의 움직임 백터들이 발생하는 데 실질적으로 모든 움직임 벡터를 수신기로 전송하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블록단위 움직임 추정에서는, 현재 프레임의 소정크기의 블록을 이전 프레임의 소정 범위의 탐색영역내에서 한 화소씩 이동하면서 대응 블록들과 비교하여 그 오차값이 최소인 최적정합블럭을 결정하며, 이것으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프레임에 대해 블록 전체에 대한 프레임간 변위 벡터(프레임간에 블록이 이동한 정도)가 추정된다. 여기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대응하는 두 블록간의 유사성 판단은,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은, 평균 절대차와 평균 제곱차 등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부호화 기법, 즉 움직임 보상 DPCM, 2차원 DCT, DCT 계수의 양자화 및 VLC(또는 엔트로피 부호화) 등의 부호화 기법을 통해 부호화된 영상 비트 스트림은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출력측에 구비되는 전송 버퍼에 저장된 다음 전송시점이 되면 원격지 수신측으로의 송신을 위해 전송기로 보내진다. 이때, 여기에서의 전송시점은 전송 버퍼의 크기(즉, 용량)와 전송율에 관계되며, 전송버퍼에서의 오동작(데이터 오버플로우(overflow) 또는 데이터 언더플로우(underflow)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보다 상세하게, 여러가지 요인(예를 들면, 영상의 복잡도)으로 인해 부호화시에 각 프레임마다 발생되는 비트량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서는, 평균 전송율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출력측 전송 버퍼의 제어를 수행한다. 즉, 영상 부호와 시스템에서는 출력측 전송 버퍼의 데이터 충만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부호화하고 있는 프레임 이전까지의 비트 발생량을 조사하고 있다가 현재 프레임에서 할당해야 하는 비트량을 조절한다. 다시말해, 종래의 전형적인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서는 출력측 전송 버퍼의 데이터 충만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질적으로 양자화 스텝 사이즈(QP)를 제어함으로써 부호화 시스템에서의 발생비트량을 조절, 즉 이전까지 비트 발생량이 많으면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크게 조절하여 비트 발생량을 줄이고,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작게 조절하여 비트 발생량을 늘리는 등의 방법을 통해 비트 발생량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측 전송 버퍼의 데이터 충만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비트 발생량을 조절하는 종래방법은, 각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동일한 전송율로 부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영상이 복잡한 경우(고주파 성분이 다량 발생)에는 비트 발생량이 많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양자화 스텝 사이즈가 커져 결과적으로 재생 영상에서의 심각한 화질열화가 야기된다는 문제를 갖는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성분은 실질적으로 인간의 시각에 매우 둔감한 성분(재생 영상의 화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측 전송 버퍼의 데이터 충만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매크로 블록 단위로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 정보들에 근거하여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영상의 복잡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에 따라 2차원 저역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부호화후의 비트 발생량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과, 이 현재 프레임 및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을 이용하는 움직임 추정, 보상을 통해 얻어지는 예측 프레임간의 차분신호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포함하는 부호화 수단을 통해 압축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며, 상기 양자화는 출력측 버퍼에 저장되는 상기 비트 스트림의 충만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에 의거하여 그 스텝사이즈가 조절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이전에 부호화된 이전 프레임의 각 매크로 블록들에 대해 각각 발생되는 각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평균하여 상기 이전 프레임의 평균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계산 수단; 상기 산출된 평균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복잡도로서 참조하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주파수 통과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기설정된 복수의 필터계수 결정신호들중 상기 산출된 양자화 파라메터 평균값에 대응하는 필터계수 결정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발생된 필터계수 결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을 상기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한 현재 프레임 신호로써 상기 부호화 수단에 필터링없이 제공하거나 복수의 필터계수중 상기 발생된 필터계수 결정신호에 따라 결정된 필터계수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현재 프레임에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그 통과 대역을 제한함으로써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프레임 신호를 상기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한 현재 프레임 신호로써 상기 부호화 수단에 제공하는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대한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부호화 시스템을 제1프레임 메모리(100), 감산기(110), 영상 부호화 블록(120),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130), 전송 버퍼(140), 영상 부호화 블록(150), 가산기(160), 제2프레임 메모리(170),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180), QP 평균값 계산 블록(210), 필터 제어 블록(220) 및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을 포함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 신호는 제1프레임 메모리(100)에 저장된 다음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으로 입력되며,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에서는 후술되는 필터 제어 블록(220)으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시 양자화 과정에서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영상의 복잡도에 의거해 산출되는 제어신호(입력 영상에 대한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시에 적용하기 위한 필터계수 결정신호)에 따라 입력 프레임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 즉 입력 프레임 신호를 필터링하지 않거나 혹은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이용하여 입력 프레임 신호의 고주파 성분(비교적 인간의 시각에 둔감한 부분임)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데, 이러한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그런다음, 이와 같이 입력 영상에서 고주파 성분이 적응적으로 제거되는 프레임 신호는 라인 L11을 통해 감산기(110)와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180)에 각각 제공된다.
먼저, 감산기(110)에서는 라인 L11을 통해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으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지 않거나 혹은 고주파 성분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현재 프레임 신호로부터 라인 L19를 통해 후술되는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180)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물체에 대하여 움직임 보상된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감산하며, 그 결과 데이터, 즉 차분화소값을 나타내는 에러신호는 영상 부호화 블록(120)을 통해 이산 코사인 변환(DCT)과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양자화 방법들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함으로서, 일련의 양자화된 DCT변환계수들로 부호화된다. 이때, 영상 부호화 블록(120)에서의 에러신호에 대한 양자화는 라인 L21을 통해 후술되는 출력측 전송버퍼(14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충만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QP)에 의거하여 그 스텝 사이즈가 조절된다.
한편, 영상 부호화 블록(120)의 양자화 단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측 전송 버퍼(140)의 데이터 충만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QP)에 따른 스텝 사이즈로 영상신호를 양자화하는 과정은, 이산 코사인 변환된 M × N 블록의 DCT 변환계수를 2*QP 의 값으로 나누게 되는데, 이러한 양자화 파라메터(QP)는 전송버퍼(140)의 데이터 충만상태에 따라 매 매크로 블록(16×16 블록)마다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1에서 31사이의 정수값을 갖는다. 따라서, 영상 부호화 블록(120)에서는 전송 버퍼(140)의 데이터 채워진 상태가 기설정된 소정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QP 값을 높게 하여 엔트로피 부호화후의 발생 비트량을 감소시키고, 반대로 전송 버퍼(140)의 데이터 채워진 상태가 기설정된 소정치 이하로 내려가면 QP 값을 낮게 하여 엔트로피 부호화후의 발생 비트량을 감소시킨다.
다음에, 라인 L13 상의 양자화된 DCT 변환계수들은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130)과 영상 복호화 블록(150)으로 각각 보내진다. 여기에서,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130)에 제공된 양자화된 DCT 변환계수들은, 예를 들면 가변길이 부호화 기법등을 통해 부호화되어 출력측의 전송 버퍼(140)에 제공되며, 이와 같이 부호화된 영상신호는 수신측으로의 전송을 위해 도시 생략된 전송기로 전달된다.
한편, 영상 부호화 블록(120)으로부터 영상 복호화 블록(150)에 제공되는 라인 L13상의 양자화된 DCT 변환계수들은 역양자화 및 역이산 코사인 변환을 통해 다시 복원된 프레임 신호로 변환된 다음, 가산기(160)에 제공되며, 가산기(160)에서는 영상 복호화 블록(150)으로 부터의 복원된 프레임 신호화 라인 L19를 통해 후술되는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180)으로부터 제공되는 예측된 현재 프레임신호를 가산하여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 신호를 생성화며, 이와 같이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 신호는 제2프레임 메모리(170)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로를 통해 부호화 처리되는 매 프레임에 대한 바로 이전 프레임 신호가 계속적으로 갱신되며, 이와 같이 갱신되는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 신호는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해 후술되는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180)으로 제공된다.
다른한편,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18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으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L11 상의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지 않거나 혹은 고주파 성분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현재 프레임 신호와 상기한 제2프레임 메모리(170)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L15상의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 신호에 기초하여 블록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해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의 기설정 탐색범위(예를 들면, 16×16 탐색범위)에서 소정의 블록(예를 들면, 8×8 DCT 블록)단위로 현재 프레임을 예측한 다음 라인 L19상에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발생하여 상술한 감산기(110)와 가산기(160)에 각각 제공한다. 이때, 라인 L19상의 스위치(SW)는 도시 생략된 시스템 제어기로부터의 제어신호(CS)에 따라 그 접점이 온/오프되는 것으로, 스위치(SW)가 온 일때는 현재의 부호화 모드가 인터모드임을 의미하고 반대로 오프일때는 현재의 부호화 모드가 인트라 모드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산기(110)에서는 인터모드 부호화시에 현재 프레임 신호와 예측 프레임 신호간의 에러신호를 영상 부호화 블록(120)에 제공하고, 인트라 모드 부호화시에 현재 프레임 신호 자체를 여상 부호화 블록(120)에 제공한다.
또한,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180)은 선택되는 각 블록(8×8 블록)들에 대한 움직임 벡터들의 세트를 라인 L17 상에 발생하여 전술한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13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검출되는 움직임 벡터들의 세트들은 현재 프레임의 블록(8×8 블록)과 이전 프레임내의 기설정 탐색영역(예를 들면, 16×16 탐색범위)에서 예측된 가장 유사한 블록간의 변위이다. 따라서, 전술한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130)에서는 라인 L17 상의 움직임 벡터들의 세트들과 더불어 라인 L13 상의 양자화된 DCT 변환계수들은, 예를 들면 가변길이 부호화 기법 등을 통해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측 전송 버퍼(140)의 데이터 충만상태에 따라 영상 부호화 블록(120)내의 양자화기(도시 생략)에서 매 매크로 블록 단위로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값 QP는 라인 L23을 통해 양자화 파라메터(QP) 평균값 계산 블록(210)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QP 평균값 계산 블록(210)에서는 매 프레임 단위의 QP 평균값, 즉 AQP 값을 산출한다. 즉, 한 QP 평균값 계산 블록(210)에서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양자화, DCT 및 엔트로피 부호화)하고 난 후에 부호화된 해당 프레임의 전체 매크로 블록에 대한 QP 값을 평균함으로써 AQP 값을 산출한다. 이것은, 시간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은 그 변화가 크지 않다는 영상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된 프레임의 AQP 값을 다음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 과정에서의 복잡도 산출에 이용한다는 것이다. 결국, 현재 부호화된 영상이 복잡한 영상일 경우, QP 평균값 계산 블록(210)에서 산출되는 AQP 값은 큰 값을 갖게 될 것이고, 상대적으로 부호화가 용이한 단순한 영상일 경우 산출되는 AQP 값은 작은 값으로 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M×N 의 크기를 갖고, 각 매크로 블록이 L×L의 크기를 갖는다면, 이 영상신호의 매크로 블록의 개수는 (ML)×(NL)이 된다. 따라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부호화되고 난 후에 발생된 QP의 개수는 (ML)×(NL)이 된다. 예를 들어, 352×288의 입력 영상신호에 대하여 16×16의 매크로 블록을 가정하면, 매크로 블록의 개수가 (352/16)×(288/16)이므로 22×18, 즉 396개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모든 매크로 블록의 QP를 평균하여 산출한 AQP 값을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다음 영상신호의 복잡도로서 이용한다. 이때, 산출되는 AQP 값은 영상의 정보량(비트 발생량)에 관련된다고 볼 수 있는 데, 만일 현재 부호화된 영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산출되는 AQP 값이 상대적으로 커질 것이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산출되는 AQP 값이 작아지게 될 것이다. 그런다음, QP 평균값 계산 블록(210)에서 산출된 AQP 값은 다음단의 필터 제어 블록(220)으로 제공된다.
한편, 필터 제어 블록(220)은 상기한 QP 평균값 계산 블록(210)으로부터 제공되는 AQP 값에 의거하여 입력 영상의 주파수 제한을 위한 필터계수 결정신호 C를 라인 L25상에 발생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발생되어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으로 제공되는 필터계수 결정신호 C는 입력 프레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제한한다. 이때, 필터링을 위한 주파수 영역을 구분하는 데 필요한 필터계수 결정신호 C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되며, 이 필터계수 결정신호 C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한하고자 하는 입력 영상의 주파수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첨부된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필터 제어 블록(220)에서 비트량 계산 블록(210)으로부터 출력되는 AQP 값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위한 주파수 영역을 구분하는 데 필요한 필터계수 결정신호 C를 출력하는 과정은 다음의 (1)식과 같다.
상기 (1)식에서 ROUND는 반올림하여 정수값을 취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상기 (1)식의 결과로, QP 값은 1에서 31사이의 정수값을 갖는 기존의 부호화기에서 주파수 영역 구분하는 데 필요한 필터계수 결정신호 C 값은 1에서 4사이의 정수값을 갖는다. 즉, 산출된 AQP 값이 31인 경우에는 ROUND{(31-16)/5}가 3이므로, 필터계수 결정신호 C는 4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연산된 C 값에 따라, 일예로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하고자 하는 주파수 영역이 결정된다. 이러한 연산은 영상 부호화 블록(120)에서의 양자화 단계전의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시 제한하는 대역폭을 AQP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에서는 상기한 필터 제어 블록(220)으로 부터의 필터계수 결정신호 C에 의거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거나 혹은 입력 영상신호에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적용하여 그 통과 대역을 적응적으로 제한(즉, 고주파 성분의 선택적인 필터링)함으로써, 인간의 시각특성에 비교적 둔감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영상신호를 라인 L11상에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신호의 저역 통과 필터링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저역 통과 필터를 곱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N×M의 한 블록(예를 들면, 8×8블록)의 영상에 대한 각 픽셀의 값을 f(x,y)라 할 때, 일예로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블록이 8×8의 블록인 경우, 픽셀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값 x 및 y는 0에서 7 사이의 정수값을 갖으며, 각 값들은 0에서 255 사이의 레벨값을 갖느다. 즉, 제 2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8×8 블록의 각 픽셀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위치값은 f(0,0)에서 f(7,7)의 값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저역 통과 필터로서는, 일예로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저역 통과 필터계수가 3개의 차수를 갖는 9차수를 갖는 것이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이러한 2차원 저역 통과 필터의 필터계수 k는 필터계수 결정신호 C 값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써 이러한 C 값은 1보다 큰 상수값을 갖는다. 만일 C값이 2인 경우엔는 k(0,0)의 값은 1/2 이고, 그 이외의 k 값은 1/16의 값을 갖는다. 이 상수값은 영상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에 관계되는데 이 상수값이 커질수록 주파수 대역은 작아진다. 만일 상수값 C가 최소값인 1 인 경우, 본 발명의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에서는 입력 프레임 신호에 대해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키게 된다.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에서 본 발명에 따라 영상신호를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과정은, 예를 들면 f(3,3)의 위치에서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4도에 있어서, 필터계수와 겹치는 픽셀간의 곱을 모두 더하면 필터링한 결과를 얻게 된다. (x,y)의 위치에서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z(x,y)라고 하면, 이 값은 아래의 (2)식에 의해 계산된다.
상기한 (2)식에서 T는 필터의 차수를 의미하므로, T = 3 이다. 따라서 u 값은 -1에서 1 사이의 정수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2)식에서 k(u,v) 값은 필터계수값이고, f(x,y) 값은 픽셀값이다. 만일, 상기한 (2)식에서 f(x-u,y-v)의 (x-u), (y-v) 값이 0 보다 작아지면 0으로 하고, 혹은 전체 한 프레임의 영상 크기에 해당하는 M-1 값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M-1 값으로 해 준다. 이것은, 그 영역, 즉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0에서 M-1 사이에서만 픽셀값이 존재하므로 이 영역을 넘는 경우에는 끝값으로 설정해 주는 방법인 것으로, 이러한 필터링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따라서, 상기한 (3)식에서와 같이 모든 픽셀의 위치에서 필터링을 수행하면, 일예로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2차원 필터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저역 통과 필터링 블록(230)에서는 라인 L25 상의 필터계수 결정신호 C에 기초하여 영상의 복잡도가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 영상신호에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적용하여 그 통과 대역을 제한함으로써, 인간의 시각특성에 비교적 둔감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영상신호를 라인 L11 상에 발생하여 제1도의 감산기(110) 및 현재 프레임 예측 블록(180)으로 각각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1도의 영상 부호화 블록(120)에서는, 복잡한 영상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인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통해 인간의 시각에 비교적 둔감한 영상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부호화(양자화)를 수행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중요한 성분인 저주파 신호에 대해 양자화 오차가 적게 생기도록 하면서 부호화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복잡한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주파수의 통과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제한(고주파 성분 제거)하지 않게 되면, 결과적으로 부호화후에 발생되는 비트량이 많아져 양자화 스텝 사이즈가 커지게 되므로 모든 주파수 대역(고주파에서 저주파 대역)에 대하여 양자화 오차가 많이 발생되고, 그 결과 수신측의 재생 영상에서 양자화로 인한 화질열화가 야기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로 이전에 부호화된 프레임에서 그 양자화시에 각 매크로 블록마다 발생된 QP 값들을 평균하여 얻은 AQP 값을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영상의 복잡도를 계산하고, 그 계산결과에 따라 현재 입력 영상이 복잡한 영상인 경우,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통해 인간의 시각에 둔감한 영상의 고주파 성분을 일차적으로 제거한 다음 MC-DCT, 양자화 등의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양자화 단계에서의 과도한 스텝 사이즈의 증가 없이 부호화후 발생되는 비트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화된 영상를 복원하여 디스플레이할 때, 재생 영상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양자화 오차로 인한 화질열화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과, 이 현재 프레임 및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을 이용하는 움직임 추정, 보상을 통해 얻어지는 예측 프레임간의 차분신호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포함하는 부호화 수단을 통해 압축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며, 상기 양자화는 출력측 버퍼에 저장되는 상기 비트 스트림의 충만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메터에 의거하여 그 스텝 사이즈가 조절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이전에 부호화된 이전 프레임의 각 매크로 블록들에 대해 각각 발생되는 각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평균하여 상기 이전 프레임의 평균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계산 수단; 상기 산출된 평균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복잡도로서 참조하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주파수 통과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기설정된 복수의 필터계수 결정신호들중 상기 산출된 양자화 파라메터 평균값에 대응하는 필터계수 결정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발생된 필터계수 결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을 상기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한 현재 프레임 신호로써 상기 부호화 수단에 필터링없이 제공하거나 복수의 필터계수중 상기 발생된 필터계수 결정신호에 따라 결정된 필터계수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현재 프레임에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그 통과 대역을 제한함으로써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프레임 신호를 상기 움직임 추정, 보상을 위한 현재 프레임 신호로써 상기 부호화 수단에 제공하는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필터계수 결정신호는, 상기 현재 프레임 신호의 각 블록들의 선택적인 대역폭 제한을 위해 각각 다른 정수값을 갖는 4개의 필터계수 결정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계수는, 3×3 의 차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에 대한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은, 8×8 블록 단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19960013801A 1996-04-30 1996-04-30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801A KR100203683B1 (ko) 1996-04-30 1996-04-30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801A KR100203683B1 (ko) 1996-04-30 1996-04-30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159A KR970073159A (ko) 1997-11-07
KR100203683B1 true KR100203683B1 (ko) 1999-06-15

Family

ID=1945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801A KR100203683B1 (ko) 1996-04-30 1996-04-30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6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159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710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425640B1 (ko) 비디오신호처리를위한노이즈추정및감소장치
US5694492A (en) Post-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blocking effect in a decoded image signal
GB2322991A (en) Motion estimation method for video data compression system
KR100229796B1 (ko) 열화영상에 대한 보상기능을 갖는 영상 복호화 시스템
KR0178195B1 (ko) 벡터 양자화 방식을 이용한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KR100203714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83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702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82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77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24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63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84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30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76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85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708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23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99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78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709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98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59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100203697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