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791B1 - 가변용량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용량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791B1
KR100202791B1 KR1019960055515A KR19960055515A KR100202791B1 KR 100202791 B1 KR100202791 B1 KR 100202791B1 KR 1019960055515 A KR1019960055515 A KR 1019960055515A KR 19960055515 A KR19960055515 A KR 19960055515A KR 100202791 B1 KR100202791 B1 KR 10020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arm
arm head
compressor according
hing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815A (ko
Inventor
마사키 오오다
히사카즈 고바야시
요오이치 오카도메
마사루 하마사키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97002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72Pivo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판의 원활한 변위동작을 확보하는 것으로, 힌지 기구(K)가 경사판(11)의 상사점(P) 위상보다 압축토출측으로 치우쳐 위치해 돌출설치된 아암(15)과, 상기 아암(15)을 동위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로터(10)에 형성된 결합홈(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15)은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면(16a)이 경사판(11)의 경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압축하중의 높고 큰 작용영역(T)을 포용할만한 폭을 구비한 두부(16)를 가지며, 상기 결합홈(17)은 아암두부(16)의 기둥면(16a)과 미끄러져 접촉하여 피스톤(9)의 상사점위치를 가급적 불변으로 유지하는 안내벽(17a)과, 상기 안내벽(17a)을 사이에 두고 아암두부(16)의 양 단부면을 지지하는 돌출 테두리(17b)를 구비한 것에 의해, 간소한 구성으로 경사판의 원활한 변위동작이 확보된다.

Description

가변 용량 압축기
본 발명은 냉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두형(短頭形)의 피스톤을 장착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주로 차량공기조절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워블형, 스워시형의 가변용량 압축기는 로터와 힌지기구를 통해 연결된 경사판을 지지점 주위로 경사운동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판을 내장한 크랭크실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단두피스톤의 배면에 작용하는 힘을 제어하고, 이 힘과 피스톤의 전방면에 작용하는 가스압력의 균형에 의해서, 상기 경사판의 지지점방향의 경사운동변위, 즉 피스톤 스트로크를 가변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에 대한 토오크전달과, 경사각변위의 가이드를 동시에 담당하는 상기 힌지기구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 6-264865호 공보외에 수 많은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같이, 로터 또는 경사판이 한쪽에 원호상의 긴구멍이 형성된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로터 또는 경사판의 다른쪽에서 이 긴구멍에 피봇핀을 삽입통과함에 의해, 상기 경사판은 상기 로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힌지기구는, 긴구멍의 가공에 덧붙여 피봇핀이나 멈춤고리 등 부품 개수가 많고, 생산성 측면에서의 개선이 도모되고 있는 외에,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의 핀지지부와 긴구멍을 형성한 경사판의 연결부가 핀의 축방향으로 병렬설치된 구성에서는, 가스압축에 따라 경사판에 작용하는 드러스트하중이 한쪽지지형상의 핀에 굽힘 모멘트로서 작용하고, 이것이 좌우방향으로의 경사판의 경사를 생기게하여, 핀의 역점(力点)도 필연적으로 점접촉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압축기에 있어서는, 고속 또는 고압축비 운전의 계속중 경사판의 경사각변위를 가이드하는 힌지기구에 이상 마모가 진행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발명의 압축기와 같이, 경사판이 중심구멍을 통해 주축에 장착되는 구성의 것에서는 경사판의 경사각 변위시에 중심구멍 전후의 단부 에지부분에 상기 경사판의 경사에 따른 주축과의 점접촉 활주가 생기고, 이것이 장기간에 걸쳐서 반복하면, 쌍방의 마모의 진행이 경사판의 정확하고 원활한 경사각 변위를 손상하는 원인으로도 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동압축기에서는 피봇핀에 부시를 덮어 끼우고, 부시의 주위면의 일부를 긴구멍의 벽면과 면접촉시키므로써 마모의 경감을 시도하고 있지만, 상술한 경사판의 경사에 근거하는 근본적인 불편함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간소한 구성으로 경사판의 원활한 변위동작을 확보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기술과제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동압축기에 있어서의 힌지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3도는 동압축기의 힌지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동힌지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5도는 동힌지기구의 계류수단을 도시하는 확대정면도.
제6도는 동힌지기구의 계류수단을 도시하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동계류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6도와 마찬가지의 단면도.
제8도는 동압축기에 있어서의 경사판의 관통구멍을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블럭 2 : 프론트 하우징
3 : 리어 하우징 5 : 크랭크실
6 : 구동축 8 : 실린더 보어
9 : 피스톤 10 : 로터
11 : 경사판 15 : 아암
16 : 두부 16a : 기둥면
17 : 결합홈 17a : 안내벽
17b : 돌출 테두리 20 : 관통구멍
20a : 지지부 43 : 구체
44 : 궤도홈 K : 힌지기구
(1) 청구항 1 기재의 압축기는, 복수의 보어를 병렬설치하여 압축기의 외곽을 구성하는 실린더 블럭과, 내부에 크랭크실을 형성하여 실린더 블럭의 전단부를 폐쇄하는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과 프론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흡입실 및 토출실을 가지고 실린더 블럭의 후단부를 닫는 리어 하우징과, 상기 구동축과 함께 운동하는 로터에 힌지기구를 통해 동기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사판과, 경사각변위 가능하게 제어되는 상기 경사판과 연계하여 상기 보어내를 직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적어도 상기 경사판의 하중영역을 포함하고 그 전면으로 돌출설치된 아암과, 상기 아암을 동위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기 로터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은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면이 상기 경사판의 경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위치하는 두부를 갖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아암두부의 기둥면과 미끄러져 접하여 피스톤의 상사점위치를 가급적으로 불변으로 유지하는 안내벽과, 상기 안내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암두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돌출 테두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힌지기구는, 경사판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아암과, 로터에 형성된 결합홈만을 주요소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대단히 간소하게 되는 외에, 압축하중의 작용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된 아암두부의 기둥면(柱面) 및 양단부면은 결합홈의 안내벽과 돌출 테두리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더욱이 아암두부(頭部)의 기둥면 및 결합홈의 안내벽 쌍방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서, 피스톤의 상사점위치를 거의 불변으로 유지하면서, 양자의 접촉면압을 교묘히 감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청구항 2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 1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 두부는, 상기 경사판의 상사점 위치를 넘어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아암의 두부는, 경사판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유효한 정도가 아니고, 구동계가 좌우 어긋남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되어도, 이것에 즉시 반응한다는 이점이 있다.
(3) 청구항 3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 1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 두부는, 상기 경사판의 상사점 위치보다 압축토출측으로 편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아암의 두부는, 압축하중의 작용영역을 중점적으로 커버하므로서 아암 자체의 비대화를 억제하여 기체(機體)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4) 청구항 4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1, 2 또는 3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 두부는 상기 압축 하중의 고대(高大)작용영역을 포용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압축하중의 고대작용영역을 포용하는 기둥면의 전체폭은, 결합홈의 안내벽 및 돌출 테두리에 따라 확실히 받아들여지는 결과, 경사판으로 동하중 작용점이 전이한 경우에도 이것에 의한 경사판의 경사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5) 청구항 5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 1, 2, 3 또는 4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두부의 기둥면을 형성하는 볼록곡면이 원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원호면을 채용하면, 기둥면의 형성이 일층 간이화되어 생산성의 관점에서 상당히 유리하다.
(6) 청구항 6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항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두부의 기둥면과 상기 결합홈의 안내벽 사이에 슈우(shoe)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슈우의 개입에 의해 힌지 기구 상호의 접촉형태는 면접촉으로 변환되어 마모의 진행을 합리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7) 청구항 7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항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두부와 상기 결합두부의 돌출 테두리 사이에, 상기 아암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계류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압축기의 휴지시와 같이 경사판에 작용하는 하중이 소거되었을 때, 아암 두부의 유동(遊動)에 의한 거터부착 및 상기 슈우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8) 청구항 8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 7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계류수단은 상기 돌출 테두리에 새겨 설치된 궤도홈과 상기 아암두부에 내장되어 상기 궤도홈에 끼워지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성 및 아암으로 아암의 정확하고 원활한 동작을 유지하면서 그 유동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9) 청구항 9기재의 압축기는, 복수의 보어를 병렬설치하여 압축기의 외곽을 구성하는 실린더 블럭과, 내부에 크랭크실을 형성하여 실린더 블럭의 전단부를 폐쇄하는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과 프론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흡입실 및 토출실을 가지고 실린더 블럭의 후단부를 폐쇄하는 리어 하우징과 상기 구동축과 함께 운동하는 로터에 힌지기구를 통해 동기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굴곡된 긴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이 맞물리는 상기 구동축으로 안내되어 전체제어범위에 걸쳐 경사각변위 가능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과 연계하여 상기 보어내를 곧게 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경사판의 하중 작용영역을 포함하고 그 전면으로 돌출설치된 아암과 상기 아암을 동위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기 로터로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은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면이 상기 경사판의 경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위치한 두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아암두부의 기둥면과 미끄러져 접하여 피스톤의 상사점위치를 거의 불변으로 유지하는 안내벽과, 상기 안내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암두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돌출 테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경사판의 관통구멍이 구동축에 장치되고, 관통구멍에 형성된 지지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구동축과 미끄러져 접촉하므로서, 경사판의 경사각변위 자세가 규제되는 압축기에서는, 구동축과의 사이에서 경사판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지지가 어려운 만큼, 이러한 힌지기구는 한층 유리하다.
또한, 상기 경사판이란, 경사판과 조합된 요동판이 콘로드를 통하여 피스톤과 연계되는 워블형 및 , 경사판이 슈우를 통해 직접 피스톤과 연계되는 스워시형 중 어느쪽의 압축기에도 사용가능한 경사판이고, 경사 궤도면(軌面)이란 경사판의 상하사점과 구동축심을 공유하는 평면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실런더 블럭(1)의 전단부측에 프론트 하우징(2)이 접합되고, 후단부측에 리어 하우징(3)이 밸브판(34)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실린더 블럭(1)과 프론트 하우징(2)에 의하여 형성되는 크랭크실(5)내에는 축심방향으로 연장위치하는 구동축(6)이 수용되고, 구동축(6)은 베어링(7a, 7b)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블럭(1)에는 구동축(6)의 주위에 복수개의 실린더 보어(8)가 천공설치되어 있고, 각 실린더 보어(8)에는 피스톤(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실(5)내에서, 구동축(6)에는 로터(10)가 고정부착되고, 프론트하우징(2)과의 사이에 베어링(19)을 통해 지지되고, 로터(10)의 후방에는 관통구멍(20)에 의해서 경사판(11)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구멍(20)은, 구동축심을 사이에 두고 후술하는 힌지기구(K)와 대향하는 측의 이동축(6)를 넘어서 설정된 추축(樞軸)(Y)을 중심으로, 전체 제어범위에 걸쳐서 경사판(11)의 경사각변위를 허용하도록 굴곡된 긴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6)과 국부적으로 충돌접촉하여 경사판(11)의 직경방향위치, 상세히는 경사판(11)의 상하사점과 구동축심(S)을 공유하는 평면(경사궤도면)내의 반경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지지부(20a)가, 상기 추축(Y)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굴곡된 긴 구멍의 최소경사각측의 내경면(20b)에는 10 내지 15의 여유경사각( 1). 최대 경사각측의 내경면(20c)에는 1 내지 2o의 여유각( 2)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20)의 양측쪽에는 굴곡된 긴구멍의 형성에 부수하여 평탄한 규제면(20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10)와 경사판(11)의 사이에는 경사판(11)을 후방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 용수철(12)이 장착되고, 한편 경사판(11)의 외주부에는 반구부(半球部)를 가진 슈우(14, 14)가 접촉되고, 상기 유루(14, 14)의 반구부는 피스톤(9)의 구형상 지지면과 결합되어 있고, 이렇게 해서 경사판(11)에 계류되는 복수의 피스톤(9)은 각 실린더 보어(8)내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하듯이, 로터(10)와 경사판(11)사이에는 경사판(11)을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코일 스프링(12)이 장착되고, 한편, 경사판(11의 외주부에는 반구부를 갖는 슈우(14, 14)가 맞닿고 상기 슈우(14, 14)의 반구부는 피스톤(9)의 구형상 지지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경사판(11)에 계류되는 복수의 피스톤(9)은 각 실린더 보어(8)내를 왕복운동 할 수 있게 수납된다.
리어 하우징(3)내는, 흡입실(30) 및 토출실(31)로 구획되고, 밸브판(4)에는 실린더 보어(8)에 대응하여 흡입포트(32) 및 토출포트(33)가 개구형성되어 있고, 밸브판(4)과 피스톤(9)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실이 흡입포트(32) 및 토출포트(33)를 통해 흡입실(30) 및 토출실(31)에 연결되어 있다. 각 흡입포트(32)에는 피스톤(9)의 왕복 운동에 따라서 흡입포트(32)를 개폐하는 흡입밸브가, 또한 토출포트(33)에는 피스톤(9)의 왕복 운동에 따라서 토출포트(33)를 리테이너(34)에 규제되면서 개폐하는 토출밸브(어느것이나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3)에는 크랭크실(5)의 압력을 조정하는 비도시의 제어밸브가 장착구비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가장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에 대하여 제2도 및 제3도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경사판(11)의 전면측에는 힌지기구(K)를 구성하는 아암(15)이, 제3도에 나타내는 상사점(P) 위치를 넘어서 좌우대칭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로터(10)의 상부 후면측에는 상기 아암(15)을 동위상으로 지지하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15)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면(16a)이 상기 경사판(11)의 경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위치하고 또한 압축하중의 고대작용영역(T)을 포용할 만한 폭을 구비한 두부(16)를 가지고 있고, 한편 상기 결합홈(17)은, 상기 기둥면(16a)과 평행하고, 또한 축심에 가까이 갈수록 후방을 향하여 경사짐과 동시에 상기 기둥면(16a)과 미끄럼접촉하여 피스톤(9)의 상사점위치를 가급적 불변으로 유지하는 안내벽(17a)과, 상기 안내벽(17a)을 사이에 두고 아암두부(16)의 양 단부면을 지지하는 돌출 테두리(17b)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압축기의 기동에 따라, 구동축(6)과 함께 운동하는 경사판(11)이 회전되면, 슈우(14, 14)를 통해 각 피스톤(9)이 실린더 보어(8)내에서 왕복운동하고, 이것에 의해 흡입실(30)로부터 압축실내로 냉매가스가 흡입되고, 냉매는 압축된 후, 토출실(31)로 토출된다. 이 때 토출실(31)로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토출용량은, 제어밸브에 의한 크랭크실(5)내의 압력 조정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 제어밸브의 압력 조정으로 크랭크실(5)의 압력이 상승하면, 피스톤(9)에 작용하는 배압이 올라가는 것에 의해 경사판(11)의 경사각이 작게 된다. 결국 힌지기구(K)를 구성하는 아암(15)의 두부(1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기둥면(16a)이 결합홈(17)의 안내벽(17a)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축심측에 가까운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동시에 경사판(11)은 추축(Y)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지지부(20)가 구동축(6)과의 충돌접촉을 유지하면서 코일용수철(12)에 밀려 후퇴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경사판(11)의 경사각이 축소되고, 피스톤(9)의 스트로크와 동시에 토출용량은 작게되며, 그 최소용량은 관통구멍(20)의 후단부에 형성된 스폿페이성면(11b)이 멈춤고리(13)와 접촉함에 의하여 규제된다.
반대로, 이러한 토출용량이 작은 상태에 있어서, 제어밸브의 압력조정으로 크랭크실(5)의 압력이 저하하면, 피스톤(9)에 작용하는 배압이 내려가는 것에 의해, 경사판(11)의 경사각이 커진다. 결국 아암(15)의 두부(1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기둥면(16a)의 안내벽(17a)을 따라서 안쪽으로 축심에 대하여 이격방향으로 활주하고, 동시에 경사판(11)은 지지부(20a)가 구동축(6)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코일용수철(12)에 저항하여 전진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경사판(11)의 경사각이 확대되고, 피스톤(9)의 스트로크와 동시에 토출용량은 커지고, 그 최대용량은 경사판(11)의 전방면에 돌출설치된 충돌결합면(11a)이 로터(10)의 후단부면(10a)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기구(K)는 경사판(11)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아암(15)과, 로터(10)가 형성된 결합홈(17)만을 주요소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대단히 간소하게 되는 것 외에, 높은 압축하중의 작용영역(T)을 포용하는 기둥면(16a)의 전체폭은 결합홈(17)의 안내벽(17a)과 돌출 테두리(17b)에 의해서 확실히 받아들여지는 결과, 경사판(11)에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점이 옮겨졌을때에도 뒤틀림에 의한 경사판(11)의 경사는 전혀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경사판(11)과 일체화된 아암(15)은, 필연적으로 알루미늄 합금등으로 형성되므로, 피봇핀과 같은 철계(鐵系) 재료를 이용한 종래의 힌지기구에 비해 일층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둥면(16a)을 형성하는 볼록곡면의 곡률반경은, 종래의 피봇핀에 비하여 극단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벽(17a)과의 접촉면압을 간편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면(16a)을 형성하는 볼록곡면을 원호면으로 하고, 이것과 미끄러져 접촉하는 안내벽(17a)을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적어도 그 한쪽에 특수한 곡면을 채택하여, 피스톤(9)의 상사점 위치의 변동폭을 극한적으로 작게 하거나, 양자의 접촉면압을 더욱 감소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된 긴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20)이 맞물리는 구동축(6)에 안내되고, 전체제어범위에 걸쳐 경사각변위 가능한 경사판(11)을 구비하는 압축기에서는 구동축(6)의 사이에서 경사판(11)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지지가 어려운만큼, 이러한 힌지기구(K)는 한층 더 유리하다.
제1도에 도시하는 힌지지구(K)의 실시형태는 기둥면(11)을 형성하는 볼록곡면을 원호면으로 하고 안내벽(17a)의 사이에 양자와 밀접결합하는 슈우(18)를 장착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하면 기둥면(16a)의 가공의 간이화와 동시에 상호의 접촉형태를 면접촉으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마모의 경감에 현저히 유효하다.
제4도에 도시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아암(115)은 경사판(111)의 상사점(P) 위치보다 압축토출측(선행회전측)으로 편위하여 돌출설치되어 있고, 한편, 로터(100)의 상부 후면측에는, 상기 아암(115)을 동위상으로 지지하는 결합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115)은,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면(116)이 경사판(111)의 영역 궤도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위치하고, 압축 하중의 고대작용영역(T)을 포용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 두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잔여 구성에 관해서는 전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아암 두부(116)는, 경사판(111)의 압축 토츨측으로 편재한 압축 하중의 작용영역, 보다 적합하게는 그 고대작용영역(T)의 전역을 실질적으로 커버하므로서, 아암 자체의 비대화를 극력 억제하여 기체(機體)의 경량화에 공헌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아암두부(16)와 결합홈(17)의 돌출 테두리(17b) 사이에 설치한 계류수단을 도시하고 있고, 이것은 압축기의 휴지시와 같이 경사판(11)에 작용하는 하중이 소거되었을 때, 아암두부(16)의 유동(遊動)에 의해 흔들림이나 상기 슈우(18)의 탈락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배려한 것이다.
즉, 아암두부(16)의 볼록곡면 중심에는 기둥면(16a)의 연장방향으로 소구멍(41)이 관통설치되고, 상기 소구멍(41)에는 결합부재로서의 핀(42)이 압입 배치되는 동시에, 돌출 테두리(17b)의 적어도 한쪽의 내측면에는, 상기 소구멍(41)의 이동궤적을 닮은 궤도 홈(43)이 새겨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핀(42)의 돌출 단부와 상기 궤도홈(43)의 결합에 의해, 아암(15)의 원활할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결합홈(17)에 대한 상기 아암(15)의 유동 이탈이 완전히 방지된다.
즉, 제7도는 상기 계류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아암 두부(16)의 볼록곡면 중심에는 기둥면(16a)의 연장방향으로 소구멍(41A)이 천공설치되고, 상기 소구멍(41A)의 개구부에는 나사(44)의 미는 힘에 의해 출몰할 수 있는 구체(결합부재)(42A)가 배치되는 동시에, 한편 돌출 테두리(17b)의 내측면에는, 상기 소구멍(41A)이 이동궤적을 닮은 반원형 단면의 궤도홈(43A)이 새겨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에 의해서도 결합홈(17)에 대한 아암(15)의 유동 탈락을 마찬가지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1) 간소한 힌지기구의 구성으로 경사판의 원활한 변위동작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경사판에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점이 옮겨간 경우라도 뒤틀림에 의한 경사판의 경사가 전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모멘트에 기인하는 경사판과 구동축 상호의 편마모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2) 힌지기구의 상대적인 활주면의 접촉면압을 교묘히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활주면 쌍방의 마모방지에 대단히 유효하다.
(3) 힌지기구를 구성하는 아암과 결합홈 사이에 계류수단을 설치하므로서, 아암의 유동 이탈이라는 불안이 완전히 해소된다.

Claims (9)

  1. 복수의 보어를 병렬설치하여 압축기의 외곽을 구성하는 실린더 블럭과, 내부에 크랭크실을 형성하여 실린더 블럭의 전단부를 폐쇄하는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블럭과 프론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흡입실 및 토출실을 가지고 실린더 블럭의 후단부를 닫는 리어 하우징과, 상기 구동축과 함께 운동하는 로터에 힌지기구를 통해 동기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사판과, 경사각변위 가능하게 제어되는 상기 경사판과 연계하여 상기 보어내를 직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적어도 상기 경사판의 하중영역을 포함하고 그 전면으로 돌출설치된 아암과, 상기 아암을 동위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기 로터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은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면이 상기 경사판의 경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위치하는 두부를 갖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아암두부의 기둥면과 미끄러져 접하여 피스톤의 상사점위치를 가급적으로 불변으로 유지하는 안내벽과 상기 안내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암두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돌출 테두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두부는 상기 경사판의 상사점 위치를 넘어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두부는 상기 경사판의 상사점의 위치보다 압축토출측으로 편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두부는, 상기 압축 하중의 고대작용영역을 포용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두부의 기둥면을 형성하는 볼록곡면이 원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두부의 기둥면과 상기 결합홈의 안내벽 사이에 슈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7.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두부와 상기 결합두부의 돌출 테두리 사이에, 상기 아암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계류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수단은 상기 돌출 테두리에 새겨 설치된 궤도홈과, 상기 아암두부에 내장되어 상기 궤도홈에 끼워지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9. 복수의 보어를 병렬설치하여 압축기의 외곽을 구성하는 실린더 블럭과, 내부에 크랭크실을 형성하여 실린더 블럭의 전단부를 폐쇄하는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블럭과 프론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흡입실 및 토출실을 가지고 실린더 블럭의 후단부를 폐쇄하는 리어하 우징과, 상기 구동축과 함께 운동하는 로터에 힌지기구를 통해 동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굴곡된 긴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이 맞물리는 상기 구동축으로 안내되어 전체제어범위에 걸쳐 경사각변위 가능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과 연계하여 상기 보어내를 곧게 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경사판의 하중작용영역을 포함하고 그 전면으로 돌출된 아암과, 상기 아암을 동위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기 로터로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은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면이 상기 경사판의 경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위치한 두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아암두부의 기둥면과 미끄러져 접하여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를 거의 불변으로 유지하는 안내벽과, 상기 안내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암두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돌출 테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
KR1019960055515A 1995-11-24 1996-11-20 가변용량 압축기 KR100202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579795 1995-11-24
JP95-305797 199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815A KR970027815A (ko) 1997-06-24
KR100202791B1 true KR100202791B1 (ko) 1999-06-15

Family

ID=1794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515A KR100202791B1 (ko) 1995-11-24 1996-11-20 가변용량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02791B1 (ko)
CN (1) CN107231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367A (ko) * 2012-07-02 2014-01-13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076B1 (ko) * 2017-12-08 2018-07-19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299A (en) * 1984-05-09 1985-08-06 Diesel Kiki Co., Ltd. Variable capacity wobble plate compressor with prompt capacity control
JP2846089B2 (ja) * 1990-09-14 1999-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変容量形圧縮機
JPH05312144A (ja) * 1992-05-08 1993-11-22 Sanden Corp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JPH0993434A (ja) * 1995-09-22 1997-04-04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367A (ko) * 2012-07-02 2014-01-13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815A (ko) 1997-06-24
CN1072314C (zh) 2001-10-03
CN1161413A (zh) 1997-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2186B2 (ja) 可変容量圧縮機
JP3125952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KR950003458Y1 (ko) 요동 사판식 압축기의 피스톤 변위기구
JP2956193B2 (ja) 揺動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H0968162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EP0867617B1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compressor
EP0259760B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plate type compressor
KR100201934B1 (ko) 가변용량압축기
JP3550707B2 (ja) 揺動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ピストン
KR100202791B1 (ko) 가변용량 압축기
JP2917767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US6379120B1 (en) Variable-displacement compressor
EP1388668A2 (en) Hinge mechanism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0337250A (ja) 斜板式圧縮機
KR100203976B1 (ko) 가변용량 압축기
EP1004769B1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H11264371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US6260469B1 (en) Piston for use in a compressor
EP0987436B1 (en) Single-headed-piston type refrigerant compressor with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piston about its own axis within the cylinder bore
US6302657B1 (en) Structure for controlling capacity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0356185A (ja) 斜板式圧縮機用ピストン
KR100196246B1 (ko) 용량 가변형 경사판식 압축기
JP2006291749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4692886B2 (ja) 斜板式圧縮機
KR950011370B1 (ko) 용량 가변형 경사판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