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252B1 - Voice gain controlling circuit in exchange - Google Patents

Voice gain controlling circuit in exch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252B1
KR100201252B1 KR1019920017636A KR920017636A KR100201252B1 KR 100201252 B1 KR100201252 B1 KR 100201252B1 KR 1019920017636 A KR1019920017636 A KR 1019920017636A KR 920017636 A KR920017636 A KR 920017636A KR 100201252 B1 KR100201252 B1 KR 10020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data
voice data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08353A (en
Inventor
이익용
박용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17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252B1/en
Publication of KR94000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3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25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0Applications of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프로그래머블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회로를 재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프로그래머블하게 이득을 조정할 수 있도륵 적어도 2비트의 이득조정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디코딩수단은 코덱으로 부터 출력되는 PCM 음성 대이타를 설정된 방식에 의해 먼저 음성 데이타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득조정수단은 선형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이득조정제어신호를 제어신호로 수신하며 이득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선형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프로그래머블하게 조정한다. 마지막으로 엔코딩수단은 이득이 조정된 선형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며, 설정된 방식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타를 PCM음성 데이타로 변환 출력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it that can programmatically adjust the gain of subscriber voice data. For this purpose, the controller generates a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of at least 2 bits so that the gain can be adjusted programmatically. The decoding means then first converts the PCM speech data output from the codec into speech data in a set manner. The gain adjusting means receives linear speech data, receives th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as a control signal, and programmatically adjusts the gain of the linear speech data received by th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Finally, the encoding means receives the linear voice data whose gain is adjusted, and converts the received voice data into PCM voice data by the set method.

Description

교환기의 음성 이득 조정회로Voice gain adjustment circuit of exchange

제1도는 교환기의 가입자 처리부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ubscriber processing unit of an exchange.

제2도는 제1도 중 종래의 이득조정부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gain adjusting unit of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데이타의 이득 조정을 수행하는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djusting gain of voic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 : 제어부 32 : 시간할당부31: control unit 32: time allocation

32 : 디코딩부 34 : 이득조정부32: decoding section 34: gain adjusting section

35 : 엔코딩부 36,37 : 레지스터35: encoder 36,37: register

본 발명은 교환기의 음성 이득 조정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에서 종래의 이득 조정 회로는 이득 메모리와 이득 조정 메모리를 구비하며, 이들 메모리를 통해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먼저 상기 제1도는 교한기에서 가입자파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하는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구성에서 이득조정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gain adjustment circuit of an exch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capable of variably adjusting the gain of digital voice data. In general, a conventional gain adjusting circuit in a switch includes a gain memory and a gain adjusting memory, and uses a method of adjusting the gain of voice data through these memories. First, FIG. 1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performing a subscriber wave interfacing function in a school equipment, and FIG. 2 shows a configuration of a gain adjust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먼저 제1도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화기로 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는 코덱(14)를 통해 직렬 형태의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된 후 다중화되어 송신 선로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송신 선로에 연결되는 직병렬변환기(11)은 수신되는 직렬 음성 데이타를 벙럴 데이타로 번환하며, 상기 병렬 데이타를 수신하는 이득조정부(12)는 이득조정매모리와 이득메모리를 통해 이득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득이 조정되는 병렬 음성 데이타는 병직렬변환기(13)에 의해 다시 직렬 헝태의 음성 데이타로 변환되며, 이러한 직렬 음성 데이타는 음성 수신 선로로 인가쥔다. 상기 수신 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직렬 음성 테이타는 코댁(14)로 인가되며, 이때 상기 코덱(14)는 수신되는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하이브리드(17)은 가입자 전화기와 음성 신호의 송수분리 기능을 수행하며, 필터(15,16)은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여파 기능을 수행한다.First,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FIG. 1, the voice signal generated from the telephone is converted into digital voice data in serial form through the codec 14, and then multiplexed and output to the transmission line. At this time,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11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converts the received serial voice data into parallel data, and the gain adjusting unit 12 receiving the parallel data adjusts the gain through the gain adjusting memory and the gain memory. Done. The parallel audio data whose gain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is converted into serial data again by the parallel-to-serial converter 13, and the serial voice data is applied to the voice receiving line. The serial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line is applied to the codec 14, and the codec 14 converts the received digital voice data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voice signal. At this time, the hybrid 17 performs the water separation function of the voice signal and the subscriber phone, the filter 15, 16 performs the filter function of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와 갈이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조정하는 종래의 구성을 제2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제2도는 제1도의 이득조정부(12)의 구성도로서 이득조정메모리(24)와 이득메모리(2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4,26)은 제어부(21)의 제어하에 동작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1)은 이득별 선택 데이타를 상기 이득조정메모리(24)로 출력하며, 이를 이용하여 8비트의 병렬 PCM 신호를 이득 조정된 256개의 8비트 병렬 PCM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이득메모리(25)에서 해당 이득벌 등급을 선택함과 동시에 그 이득별 해당 번지를 지정함으로써 이득이 조정된 8비트 병렬 PCM 음성 신호를 출력시킨다.A conventional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above described digital audio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ain adjusting unit 12 of FIG. 1 and includes a gain adjusting memory 24 and a gain memory 26. As shown in FIG. The memories 24 and 26 ar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1 outputs the gain selection data for each gain to the gain adjustment memory 24, and uses the gain memory to store 256 8-bit parallel PCM signals gain-adjusted using the 8-bit parallel PCM signals. 25) outputs an 8-bit parallel PCM audio signal whose gain is adjusted by selecting the gain class and assigning the corresponding address for each gai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득 조정 방식은 이득메모리와 이득조정 메모리를 사용하여 8비트 PCM 음성 데이타에 대한 전체(256개)의 값을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전체에 데한 이득 조정 데이타를 그데로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이로인해 이들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중복된 비효율적인 구성과 제어 방식율 사용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ain adjustment scheme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compensating the total (256 values) for 8-bit PCM voice data by using the gain memory and the gain adjustment memor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redundant inefficient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rate must be used to control these memori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에서 가입자 음성신호의 이득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that can variably adjust the gain of a subscriber voice signal at an exchan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한기에서 간단한 구성과 제어방식으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이득을 조정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that can adjust the gain of digital voice data in a simple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in a teaching machine.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의 이득조정회로의 구성도로서, 제어부(31)은 음성 데이타의 이득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시간할당부(32)는 상기 제어부(21)의 제어하에 각종 타이밍 신호 및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디코딩부(33)은 상기 시간할당부(32)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인애이블되며, 상기 코덱과 연결되어 상기 코덱으로 부터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타를 선헝 음성데이타로 번환 출력한다. 이득조정 논리부(34)는 입력단이 상기 디코딩부(33)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제어단이 상기 제어부(31)와 연결된다. 상기 이득조정논리부(24)는 상기 제어부(31)로 부터 수신되는 이득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코딩부(31)로 부터 수신되는 선헝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조정한다. 엔코딩부(35)는 입력단이 상기 이득조정논리부(35)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상기 엔코딩부(35)는 상기 이득조정논리부(34)를 출력하는 선저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PCM 데이타로 부호화한다. 래지스터(35,37)은 입력단이 상기 엔코딩부(35)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시간할당부(32)로 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레지스터(35,37)은 상기 엔코딩부(35)로 부터 수신되는 PCM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며, 이때의 데이타는 이득이 조정된 PCM 음성 데이타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in adjustment circuit of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3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for performing gain adjustment of the voice data. The time allocator 32 generates various timing signals and selection sig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 The decoding unit 33 is enabl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time allocator 32, and is connected to the codec to alternately output the PCM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codec to sunhing voice data. The gain adjustment logic unit 34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ecoding unit 33 and a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1. The gain adjustment logic section 24 adjusts the gain of the line speech data received from the decoding section 31 by th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section 31. The encoder 35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gain adjustment logic unit 35. The encoder 35 receives the bottom audio data output from the gain adjustment logic 34 and encodes the PCM data. The registers 35 and 37 have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encoder 35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time allocator 32. The registers 35 and 37 temporarily store and output PCM data received from the encoding unit 35, and the data is PCM voice data whose gain is adjusted.

상기 제3도는 상기 제1도 중의 이득조정부(1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ain adjusting section 12 in FIG.

상술한 제1도와 제3도의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3 described above.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A와 가입자B가 홍화를 수행하는 경우 코덱(14)에서 출력하는 가입자A의 송신 디지탈 음성 데이타 스트림은 8비트씩의 직렬 데이타로 자신의 시간 영역에서 자신의 데이타를 인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덱(14)를 출력하는 데이타는 직렬 헝태의 PCM 데이타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타들은 8비트의 벙렬 데이타로 변환되어 이득조정부(12)로 인가되어 감쇄 밑 증폭에 따른 조정한 후, 다시 이득조정된 8비트의 병렬 PCM 데이타를 다시 직렬 PCM 데이타로 번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이득이 조정된 가입자A의 음성 데이타는 가입자B로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가입자B의 송신 음성 데이타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입자A로 인가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when subscriber A and subscriber B perform safflower, subscriber A's transmission digital voice data stream output from codec 14 is 8 bits of serial data in its own time domain. The data is recognized. At this time, the data outputting the codec 14 becomes PCM data of a serial type. These data are converted into 8-bit parallel data and applied to the gain adjusting unit 12 to adjust according to attenuation under attenuation, and then convert the gain-adjusted parallel 8-bit parallel PCM data back into serial PCM data. Then, the voice data of subscriber A whose gain is adjusted is applied to subscriber B. Similarly, subscriber B's transmission voice data is also applied to subscriber A in the same manner as above.

상기와 같은 동작에서 송신되는 가입자의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조정하는 관정을 제3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코덕(14)로 부터 출력되는 직렬 PCM 음성 데이타는 직병렬변환기(11)에 의해 8비트의 병렬PCM 데이타로 변환되며, 이때 상기 제어부(31)은 시간할당부(32)를 통해 상기 8비트 병렬 음성 데이타를 래치시켜 상기 디코딩부(33)으로 인가한다. 상기 디코딩부(33)은 수신되는 8비트의 PCM 데이타를 13비트의 선헝 데이타로 역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외부 선택에 따라 μ-law 방식과 A-law 방식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코딩부(33)은 외부의 선택에 의해 상기 μ-law 방식과 A-law 방식 중의 하나가 결정되며, 상기와 결정된 방식으로 상기 수신되는 8비트의 PCM 데이타를 13비트의 선헝 데이타로 변환한다(PCM to LINEAR).Referring to FIG. 3, a rule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voice data of the subscriber transmitted in the abov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serial PCM voice data output from the corridor 14 is converted into 8-bit parallel PCM data by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11, wherein the controller 31 uses the time allocator 32 to transmit the 8-bit serial PCM voice data. The bit parallel voice data is latched and applied to the decoding unit 33. The decoding unit 33 performs a function of inverting the received 8-bit PCM data into 13-bit sun data, and selects the μ-law method and the A-law method according to external selection. Accordingly, the decoding unit 33 determines one of the μ-law method and the A-law method by external selection, and converts the received 8-bit PCM data into 13-bit sun data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PCM to LINEAR)

상기와 같이 13비트의 선형 데이타로 턴한윈 음성 데이타는 이득조정논리부(34)로 인가되어 감쇄 및 증폭되는데, 이는 상기 제어부(31)로 부터 출력되는 2비트의 이득조정제어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이득조정 논리부(34)는 상기 디코딩부(33)에서 출력하는 13비트의 선형데이타를 수신한 후, 상기 2비트의 이득조정제어신호에 의해 0dB, +1.94dB, -6dB,-2.5dB등으로 각각 이득이 조정된다. 따라서 상기 2비트의 이득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음성데이타의 이득이 프로그래머블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선형 데이타를 이용하여 이득을 조정하므로, 이득 조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득조정제어신호의 비트수는 필오에 따라 확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N voice data turned into 13-bit linear data is applied to the gain adjusting logic unit 34 to be attenuated and amplified, which is determined by a 2-bit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1. . That is, the gain adjusting logic unit 34 receives 13 bits of linear data output from the decoding unit 33, and then 0dB, + 1.94dB, -6dB,-by the 2 bits of gain adjusting control signal. The gain is adjusted to 2.5dB and so on. Therefore, the gain of the voice data can be programmatically adjusted by the 2-bit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and the gain is adjusted using linear data,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gain adjustment. In addition, the number of bits of th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can be extended as necessary.

상기와 같이 이득이 조정된 13비트의 선형 데이타는 다시 엔코딩부(35)로 인가되는데, 상기 디코딩부(33)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선택에 의해 μ -law 방식과 A-law 방식 중의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득 조정논리부(34)로 부터 출력되는 이득이 조정된 13비트의 선헝 데이타는 엔코딩부(35)에서 외부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8비트 의 PCM 음성 데이타로 다시 변환된다.The 13-bit linear data whose gain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encoding unit 35 again. Like the decoding unit 33, it can be determined by one of the μ-law method and the A-law method by external selection. . Therefore, the 13-bit line data of which gain is adjusted from the gain adjustment logic unit 34 is encoded in a manner determined by external selection by the encoder 35 and converted back into 8-bit PCM speech data.

따라서 제3도와 같은 본 발명의 음성 데이타 이득 조정 방식은 8비트의 PCM 음성데이타를 수신한 후, 외부의 선택에 의해, μ -law 방식과 A-law 방식중의 하나를 디코딩 방식으로 결정하여 13비트의 선헝 데이타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디코딩 방식의 선택은 2 - 8159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μ -law 방식과 2 - 4096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A-law 방식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수신되는 8비트의 PCM 음성 데이타를 13 비트의 선헝 음성 데이타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변환된 선헝 음성 데이타를 이용하여 이득을 조정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31)에 의해 공급되는 이득조정 제어신호에 의해 OdB는 통과하고, +1.94dB는 5/4를 곱한 값에 의해 새롭게 이득이 조정된 13비트의 선형 음성 데이타를 생성하며, -6dB는 +1/2를 곱한 값에 의해 새롭게 이득이 조정된 13비트의 선형 음성 데이타를 생성하고 -2.5dB는 +3/4를 곱한 값에 의해 새롭게 이득이 조정된 13비트의 선형 음성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한 13비트의 이득이 조정된 선형 음성데이타는 엔코딩부(35)로 인가되어 8비트의 PCM 데이타로 다시 변환되어 출력된다.Therefore, in the voice data gain adjus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fter receiving 8-bit PCM voice data, an external selection determines one of the μ-law method and the A-law method as the decoding method. Convert to bit line data. In this case, the decoding method is selected from among the μ-law method having a step size of 2-8159 and the A-law method having a step size of 2-4096. Can be converted into voice data. Then, the gain is adjusted using the converted line data as described above, in which the OdB passes through th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supplied by the controller 31, and + 1.94dB is multiplied by 5/4. Generates new 13-bit linear speech data with newly adjusted gains, -6dB produces 13-bit linear speech data with newly adjusted gains by multiplying by +1/2, and -2.5dB produces +3/4 Generates 13-bit linear speech data with newly adjusted gains by multiplication. The 13-bit gain generated by adjusting the linear voice data is applied to the encoder 35 and converted into 8-bit PCM data.

상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음성 이득 조정 제어 회로에서는 제어부가 출력하는 이득조정제어신호에 의해 프로그래머블하게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으며, μ -law 방식과 A-law 방식의 두가지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고, 상기 이득 조정 방식을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논리회로로 구현함으로써 제어부의 직접 제어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득을 조정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oice gain adjustment contro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in of the digital voice data can be adjusted programmatically by a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nd both of the μ-law method and the A-law method can be supported. 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gain adjusting method as a logic circuit without using a memory, the gain can be adjusted quickly and accurately by direct control of a controller,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Claims (3)

가입자 음성 데이타의 이득 조정 회로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한 이득조정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코덱으로 부터 출력되는 PCM 음성 데이타를 설정된 방식에 의해 선형 음성 데이타로 번환하는 디코딩수단과, 상기 선형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이득조정제어신호를 제어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이득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되는 선형 음성 데이타의 이득을 프로그래머블하게 조정하는 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이득이 조정된 선형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며, 설정된 방식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타를 PCM 음성 데이타로 변환 출력하는 엔코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음성 데이타의 이득 조정 회로.A gain adjustment circuit for subscriber voice data,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programmabl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decoding means for converting the PCM voice data output from the codec into linear voice data by a set method, and the linear voice data. Receive and receive th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as a control signal, and receive gain adjustment means for programmatically adjusting the gain of the received linear speech data by th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and receiving the gain-adjusted linear speech data. And encoding means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voice data received by a set method into PCM voic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조정제어신호가 적어도 2비트 이상의 데이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음성 데이타의 이득 조정 회로.2. The gain adjustment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gain adjustment control signal comprises at least two bits of dat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수단 및 엔코딩수단이 각각 외부의 선택에 의해 μ -law 방식과 A-law 방식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음성 데이타의 이득 조정 회로.The gain adjustment circuit of claim 1 or 2, wherein the decoding means and the encoding means operate by selecting one of the? -Law method and the A-law method, respectively, by external selection. .
KR1019920017636A 1992-09-26 1992-09-26 Voice gain controlling circuit in exchange KR100201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636A KR100201252B1 (en) 1992-09-26 1992-09-26 Voice gain controlling circuit in exch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636A KR100201252B1 (en) 1992-09-26 1992-09-26 Voice gain controlling circuit in excha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53A KR940008353A (en) 1994-04-29
KR100201252B1 true KR100201252B1 (en) 1999-06-15

Family

ID=1934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636A KR100201252B1 (en) 1992-09-26 1992-09-26 Voice gain controlling circuit in exch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25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53A (en) 199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8662Y2 (en) Digital speaker phone
JPH0364116A (en) Digital noise signal generating circuit
US4301531A (en) Three-party conference circuit for digital time-division-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s
JPS6346015A (en) Echo suppressor
US4261051A (en) Time-division-multiplexed exchanger
JP2744357B2 (en) Private branch exchange
GB2161047A (en) Improvements in telephone instruments
KR100201252B1 (en) Voice gain controlling circuit in exchange
US4686512A (en) Integrated digital circuit for processing speech signal
US6055275A (en) ADPCM transcoder
US4493949A (en) Parallel operation of telephone equipment on a digital loop
CA1153137A (en) Parallel operation of telephone equipment on a digital loop
USRE31814E (en) Three-party conference circuit for digital time-division-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s
JPS5866440A (en) Waveform coding system
KR940006010B1 (en) Conversion method between u-law and a-law
US4964168A (en) Circuit for storing a speech signal in a digital speech memory
KR100251750B1 (en) Circuit and method for preventing echo of subscirber in exchange system
KR900007065B1 (en) Direct control method of time switch attached with automatic gain control
KR100365928B1 (en) Apparatus for real-time digital synthesization of PCM data and broadcating message in exchange system
KR960001474Y1 (en) Conference call controlling device for electronic switching system
JP2776612B2 (en) Speech coding and decoding equipment Digital Nolink relay switching system
KR0135228B1 (en) Voice signal processing circuit
KR880002134B1 (en) Adpcm codec circuit using dsp
GB2134751A (en) Conference bridge
KR20000044344A (en) Multilateral conference call unit of exchan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