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527B1 - 탈수겸용 세탁기 - Google Patents

탈수겸용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527B1
KR100196527B1 KR1019950000498A KR19950000498A KR100196527B1 KR 100196527 B1 KR100196527 B1 KR 100196527B1 KR 1019950000498 A KR1019950000498 A KR 1019950000498A KR 19950000498 A KR19950000498 A KR 19950000498A KR 100196527 B1 KR100196527 B1 KR 10019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basket
dewatering
washing machine
basket
botto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790A (ko
Inventor
요시유키 미와
마사츠구 와다
다츠오 이오쿠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25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35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651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4483A/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5002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통(8)의 내부에 둘레면에 다수의 통수 구명(24)을 갖는 대략 원통모양의 금속제 탈수 바스켓(21)을 회전통(8)의 내측 둘레면에 근접시켜서 설치함으로써 회전통(8) 및 탈수 바스켓(21)과의 사이에서 탈수를 위한 상승통로와 배수통로 및 실찌꺼기 여과를 위한 순환통로를 확보함과 아울러 탈수시의 고속회전에 대한 회전통(8) 전체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수겸용 세탁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조 주요부분의 반쪽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세탁기 전체의 파단측면도.
제3도는 주요부분의 다른 반쪽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탈수 바스켓의 파단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세탁조 반쪽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제5도와는 다른 부분의 종단측면도.
제7도는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 및 바닥덮개의 상단부의 종단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세탁기 전체의 파단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조 주요부분의 반쪽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10도는 세탁조 반쪽의 종단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와는 다른 반쪽의 종단측면도.
제12도는 세탁조의 내측저면부 및 덮개의 부분 분해사시도.
제13도는 리브부분의 종단정면도.
제14도는 시일 금속부재 및 패킹의 분해사시도.
제15도는 시일 금속부재 및 패킹의 부분 종단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0도 상당도.
제17도는 제11도 상당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0도 상당도.
제19도는 제11도 상당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상자 2 : 세탁조
3 : 지지기구 4 : 모터
5 : 구동기구 6 : 탈수축
7 : 회전통 부착판 8 : 회전통
9 : 구멍 10 : 배수구
11, 24 : 통수 구멍 12, 27, 30, 32 : 나사
13 : 시일 금속부재 14 : 시일
15 : 도통덮개 16 : (수위 검출용) 에어트랩
17 : 제1배수구 18 : 배수밸브
19 : 배수호스 20 : 제2배수구
21 : 탈수 바스켓 22, 23 : 팽출부
25 : 공간부 26 : 밸런스 링
28 : 외측 보스 29 : 내측 보스
31 : 바닥덮개 33 : 공간부
34 : 회전축 35 : 회전날개(pulsator)
37 : 회전날개 뒷면 39 : 수로덮개
40 : 통수로
본 발명은 절수(節水)형의 세탁조를 가진 탈수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탈수겸용 세탁기에 있어서는 절수형의 세탁조가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세탁조 및 탈수 바스켓의 기능을 겸하는 회전통에는 상부에만 탈수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시에는 상기 회전통의 내부에만 저수하고, 그 바깥쪽에는 저수하지 않고 세탁을 실시한다. 한편 탈수시에는 회전통을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하여 물이 회전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탈수용 개구부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세탁기에서는 탈수율을 높이기 위해 회전통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으로 형성하므로써 양수(揚水)성이 좋아지도록 하고 있다. 또 회전통의 바닥에는 배수구를 형성하여 배수시에는 그 배수구를 통하여 물이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통의 둘레에 실찌꺼기를 거르기 위한 통수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통수로의 선단부에 실찌꺼기 필터를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탁시에 회전통의 안쪽 바닥에 설치된 회전날개(pulsator)를 회전구동 시키면 회전날개(pulsator) 뒷부분의 송수작용에 의하여 물이 상기 통수로에 보내짐으로써 회전통내의 물이 순환되는 동시에 실찌꺼기가 실찌꺼기 필터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의 경우 아래에 기술하는 바와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탈수시에 회전통이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원심력의 영향으로 세탁물이 회전통의 내측 둘레에 달라 붙어, 상기 회전통의 내측둘레면을 따라 상승하는 물을 막기 때문에, 탈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 회전통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에 의해 제조되어 그 기계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의 탈수시의 회전속도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없고, 따라서 충분한 탈수성능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횐전통내에 세탁물에 의하여 배수구 쪽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이 방해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없었다. 그리고 세탁시에 있어서도 회전날개(pulsator) 뒷부분의 송수작용에 의하여 상기 통수로로 보내져 회전통내에서 순환하게 되는 물의 흐름이 회전통내의 세탁물에 의하여 방해되기 때문에 실찌꺼기를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없었다. 또 세탁시에 회전통의 탈수용 개구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많기 때문에 회전통내의 물의 양이 부족해져서 세탁물이 손상되기 쉬웠다. 또한 탈수시에 회전통이 위로 넓어지게 경사진 안쪽 둘레면을 따라 세탁물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회전시에 부하의 불균형이 발생하기 쉽고 회전통의 비정상적인 진동을 초래하기 쉬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탈수를 효율적으로 충분히 실행할 수 있으며, 또 배수와 실찌꺼기와 여과 및 세탁을 효율적으로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탈수겸용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의 양을 줄이지 않고 세탁을 가능하게 하고 제조성과 조립성을 좋게 하여 용적의 확보, 실찌꺼기 부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세탁물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는 탈수겸용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탈수겸용 세탁기는 내부에 저수하여 세탁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탈수용 개구부가 상부에만 뚫려있어서 회전구동되면 상기탈수용 개구부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도록 구성된 회전통과, 대략 원통상을 이루고 그 둘레면에 다수의 통수 구멍이 상기 회전통의 안쪽 둘레면에 근접하여 형성된 탈수 바스켓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탈수겸용 세탁기에 따르면 탈수 바스켓에 의하여 그 바깥쪽의 회전통내 둘레면과의 사이에 물의 상승통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세탁물에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탈수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탈수 바스켓을 회전통의 내주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회전통 전체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이에 따라 탈수시에 회전통을 고속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탈수 바스켓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회전통에 고정하면 고속회전에 대한 탈수 바스켓의 내구력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다. 또 회전통을 부착하기 위한 회전통 부착판과 탈수 바스켓을 연결관계에 있도록 구성하면 고속회전에 대한 탈수 바스켓의 내구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탈수 바스켓의 상단부를 회전통에 밸런스 링과 함께 고정부착하면 고속회전에 대한 탈수 바스켓의 상부의 내구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회전통에 대한 탈수 바스켓 상단부를 고정부착할 때 기존의 밸런스 링 부착용의 부품을 공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탈수 바스켓과 회전통의 배수구 사이에 탈수 바스켓과 회전통 사이의 공간부를 회전통의 배수구에 연이어 통하게 하는 바닥덮개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바닥덮개에 의하여 탈수 바스켓의 바깥쪽 및 덮개의 아랫쪽에 배수통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에 저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또 탈수 바스켓과 회전통의 둘레에 설치한 실찌꺼기를 걸러내는 통수로로 물을 배출하는 회전날개(pulsator)의 뒤쪽 흡수부와의 사이에 탈수 바스켓과 회전통과의 사이의 공간부를 그 회전날개(pulsator)의 뒷측 흡수부에 연이어 통하게 하는 바닥덮개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바닥덮개에 의하여 탈수 바스켓의 바깥쪽 및 바닥덮개의 아랫쪽에 순환수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에 저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물을 순환시켜서 효율적으로 실찌꺼기를 걸러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바닥덮개를 탈수 바스켓과는 별도의 부품으로 하면 탈수 바스켓을 금속판 등을 둥글게 하여 이어붙이는 것만의 단일부품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고, 제조가 간단하다. 또 바닥덮개를 금속재료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탈수 바스켓의 통수 구멍을 하부에서 많이 형성한 구성에서는 세탁시의 물이 탈수 바스켓 내측으로부터 회전통의 탈수용 개구부 부분에 이르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탈수 바스켓의 통수 구멍을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한 것에서는 세탁물이 그 통수 구멍에 걸려서 손상받는 일이 없어진다. 그리고 탈수 바스켓이 그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여 회전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팽출부를 갖는 구성에서는 물의 상승통로를 보다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수 바스켓의 팽출부로서 상하로 짧은 것과 긴 것을 주위방향에 번갈아 형성하면 세탁시의 물흐름과 옷감회전을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서 탈수 바스켓의 지름치수를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동일 또는 하단부측보다 상단부측을 작게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면 탈수시에 세탁물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를 회전통에 형성한 홈부에 끼워 넣어서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에서는 나사 고정 등으로 하여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탈수 바스켓에 나사고정용 플랜지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 나사고정부 등에 의한 용적의 실질적 감소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회전통의 바닥 깊숙한 곳에서의 나사 고정 작업등도 필요없어지고, 또한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를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해당 하단부에 대한 실찌꺼기의 부착을 피할 수 있다. 또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를 회전통의 홈부에 끼워 넣어서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에서는 그 끼워 넣음시에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가 에지등으로 걸리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의 강도를 절곡부에 의해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통의 홈부를 형성한 부분에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해당 탈수 바스켓과 회전통과의 사이의 공간을 아랫쪽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수 오목부를 형성한 것에서는,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가 회전통의 홈부에 끼워 넣어져서 닫혀진 채로 되는 것을 통수 오목부에 의해 회피할 수 있고, 탈수 바스켓과 회전통과의 사이의 틈으로부터의 배수통로를 통수 오목부와 그 연통구멍으로서 더욱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 윗쪽부분에 안쪽으로 돌출하여 바닥덮개 윗테두리와 맞붙는 단부를 형성하면 탈수 바스켓과 바닥덮개가 접하는 부분에 세탁물이 침투하는 것을 그 단부에 의하여 저지할 수 있다.
한편 배수시에 회전통과 탈수 바스켓과의 사이의 물은 통수 오목부로부터 배수구측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형성된 주배수 경로를 지나게 되어 있지만, 회전통에 있어서 바닥덮개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주배수 경로를 떼어낸 부분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통과 탈수 바스켓과의 사이의 물이 상기 고정부를 지나는 것이 매우 적어진다. 이에 따라 실찌꺼기가 상기 고정부에 걸리는 일이 없어지고 여기에 실찌꺼기 덩어리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배수성이 나빠지는 일도 없다.
또 바닥덮개의 뒷면과 회전통의 바닥에 있어서의 바닥덮개 뒷면과 대향하는 부위중의 어느쪽인가 한쪽에 고정부의 폭치수 이상의 대향간격을 이루고 해당 고정부의 뒤쪽으로 연장되어 해당 뒤쪽부분에 통수 오목부로 부터 차단하는 한쌍의 리브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면, 통수 오목부로부터의 물이 고정부의 뒤쪽부분을 지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바닥덮개의 뒷면과 회전통의 바닥에 있어서 해당 바닥덮개 뒷면과 대향하는 부위중의 다른 쪽에 상기 한쌍의 리브와 끼워 맞추는 돌출부재를 형성하면 물이 고정부의 뒤쪽부분을 흐르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시에 있어서, 바닥덮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재에 대신하여 한쌍의 리브와 끼워 맞추는 오목부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물이 고정부의 뒤쪽부분을 흐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탈수겸용 세탁기의 전체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제2도에 있어서, 외부상자(1)내에는 세탁조(2)가 복수(하나만 도시)의 지지기구(3)에 의해 탄력성 있게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세탁조(2)의 바깥쪽 바닥에는 모터(4) 및 구동기구(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기구(5)의 탈수축(6)은 세탁조(2)의 바닥을 관통하여 윗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 회전통 부착판(7)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또 세탁조(2)내에는 회전통(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통(8)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상기 회전통(8)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탈수용 개구부인 구멍(9)이 가로일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회전통(8)의 바닥 중심부에는 배수구(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통(8)을 회전통 부착판(7)에 부착하는 경우 배수구(10)를 회전통 부착판(7)의 중심부에 복수개 형성된 통수 구멍(11)에 맞추면서 회전통 부착판(7)상에 회전통(8)을 얹어 놓고 그 위에서 그들을 복수개의 나사(12)에 의해 고정부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탈수시에 모터(4)에 의해 구동기구(5)의 탈수축(6)이 회전구동되면 회전통(8)이 회전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통 부착판(7)의 통수 구멍(11)은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시일 금속부재(13), 시일(14) 및 도통덮개(15)를 통하여 세탁조(2)의 수위검출용 에어트랩(16)과 인접하는 제1배수구(17)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또한 이 제1배수구(17) 및 에어트랩(16)은 제2도에 나타내는 배수밸브(18)를 통하여 배수호스(19)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또 세탁조(2)의 제2도 가운데 왼쪽에는 배수호스(19)에 직통으로 연이어 통하는(도시 생략) 제2배수구(2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통(8)내에는 탈수 바스켓(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탈수 바스켓(21)은 금속제이며 상세하게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스테인레스 강판 등의 금속판을 둥글게 하여 그 양단부를 이어붙임으로써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같은 지름, 또는 하단부측보다 상단부측이 지름이 작은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 바스켓(21)의 둘레면에는 안족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팽출부(22, 2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이외의 부분에는 다수의 통수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팽출부(22, 23)는 상하로 짧은 팽출부 및 긴 팽출부(23)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짧은 팽출부(22)를 복수개씩, 긴 팽출부(23)를 1개씩 주위방향으로 번갈아 나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통수 구멍(24)은 회전통(8)의 하부에서 많아지도록, 한편 각각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좁아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탈수 바스켓(21)은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통(8)의 내주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해당 회전통(8)의 내주면에 팽출부(22, 23)의 선단면을 맞붙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탈수 바스켓(21)의 외주면과 회전통(8)의 내주면의 사이에 공간부(25)를 형성하고 있다. 또 탈수 바스켓(21)의 상단부는 회전통(8)중의 구멍(9)의 바로 위의 부분에 밸런스 링(26)과 함께 나사(27)에 의해 고정부착되어 있다. 한편 탈수바스켓(21)의 하단부는 회전통(8)의 바닥에 있어서 회전통 부착판(7)의 고정부착용의 외측 보스(28)와 동축상으로 윗쪽을 향하여 형성된 내측 보스(29)에 나사(30)에 의해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탈수 바스켓(21)은 회전통(8)에 고정되는 동시에 회전통 부착판(7)과 연결관계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서 상기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로부터 회전통(8)의 배수구(10) 부분에 걸친 부분에는 탈수 바스켓(21)과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바닥덮개(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덮개(31)는 회전통(8)에 복수개의 나사(32)에 의해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바닥덮개(31)와 회전통(8)의 바닥면과의 사이에는 공간부(33)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33)에 의하여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의 배수구(10)의 사이의 공간부(25)를 회전통(8)의 배수구(10)에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다.
한편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구동기구(5)의 탈수축(6)의 상단부로 부터는 세탁시에 회전구동되는 회전축(34)이 윗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회전통(8)내의 바닥에 돌입하고 있다. 이 회전축(34)의 상단부에 회전날개(pulsator)(35)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날개(pulsator)(35)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측의 표면부에 세탁물흐름을 생성하는 겉날개(36)를 갖고, 하측의 안쪽면부에 실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물흐름을 만들어 내는 회전날개 뒷면(37)의 중심측 흡수부(38)에 바닥덮개(31)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33)를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과의 사이의 공간부(25)를 회전날개(pulsator)(35)의 안쪽 흡수부(38)에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다(제1도 및 제3도 참조).
또한 회전통(8)의 둘레부인 안쪽둘레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수로 덮개(39)가 탈수 바스켓(21)의 안쪽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이 수로덮개(39)에 의하여 회전통(8)의 안쪽 바닥으로부터 밸런스 링(26) 부분까지 연장되는 통수로(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수로(40)의 하단부에 상기 회전날개(pulsator)(35)의 뒷면(37)의 바깥둘레를 향하게 하고 있으며, 따라서 회전날개 뒷면(37)에 의해 유출되는 물이 통수로(40)내에 공급되어 흐르게 되어 있다. 또 통수로(40)의 상단부에는 실찌꺼기필터(41)가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의 본 실시예의 경우 탈수용 개구부인 구멍(9)이 회전통(8)의 상부에만 남게 됨으로써 세탁시에는 회전통(8)의 내부에만 저수한 상태로 회전날개(pulsator)(35)를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하여 세탁(씻음 및 헹굼)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탈수시에는 회전통(8)을 고속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양수하여 구멍(9)으로부터 탈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탈수시에는 회전통(8)의 내부에 대략 원통상의 탈수 바스켓(21)이 회전통(8)의 내측 둘레면에 근접하여 설치된 구성이기 때문에 해당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 내측 둘레면과의 사이에 탈수 바스켓(21)의 통수 구멍(24)으로부터 나온 물의 상승통로(공간부(25))가 확보된다. 이 때문에 탈수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세탁물이 탈수 바스켓(21)에 밀어내어지는 상황에 있어도 그 세탁물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탈수할 수 있어서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탈수 바스켓(21)이 금속제이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탈수회전시의 원심력을 탈수 바스켓(21)으로 받을 수 있어서 회전통(8)이 플라스틱제이어도 고속회전에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탈수시의 회전통(8)의 회전속도를 충분히 높게 올릴 수 있고, 충분한 탈수성능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탈수 바스켓(2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회전통(8)에 대하여 고정했기 때문에 고회전에 대한 탈수 바스켓(21)의 내구력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탈수시의 회전속도를 더욱 올릴 수 있기 때문에 한층 충분한 탈수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통 부착판(7)과 탈수 바스켓(21)을 연결 관계로 구성했기 때문에 고속회전에 대한 탈수 바스켓(21)의 내구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따라서 탈수의 회전수를 훨씬 올릴 수 있으며 보다 충분한 탈수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탈수 바스켓(21)의 상단부를 회전통(8)에 밸런스 링(26)과 함께 고정부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속회전에 대한 탈수 바스켓(21)의 상부의 내구력을 늘릴 수 있는 외에 회전통(8)에 대한 탈수 바스켓(21) 상단부의 고정부착을 밸런스 링(26) 부착용의 부품인 나사(27)를 공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의 배수구(10)와의 사이에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과의 사이의 공간부(25)를 회전통(8)의 배수구(10)에 연이어 통하게 하는 바닥덮개(31)를 설치했기 때문에 탈수 바스켓(21)의 바깥쪽 및 바닥덮개(31)의 아랫쪽으로 배수통로를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배수도 세탁물에 저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바닥덮개(31)에 의해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의 둘레부에 설치한 실찌꺼기를 걸러내는 통수로(40)로 물을 배출하는 회전날래(pulsator)(35)의 안쪽 흡수부(38)에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과의 사이의 공간부(25)를 연이어 통하게 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탈수 바스켓(21)의 바깥쪽 및 바닥덮개(31)의 아랫쪽으로 실찌꺼기 여과를 위한 순환수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물의 순환도 세탁물에 저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실찌꺼기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바닥덮개(31)를 탈수 바스켓(21)과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탈수 바스켓(21)을 금속판을 둥글게 하여 이어붙이는 것만의 단일부품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제조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탈수 바스켓(21)의 통수 구멍(24)을 하부에서 많이 형성함으로써 세탁시의 물이 탈수 바스켓(21) 내로부터 회전통(8)의 구멍(9) 부분에 이르는 것을 적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그 구멍(9)으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회전통(8)내의 물의 양을 줄이지 않고 세탁을 실행할 수 있고, 세탁물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탈수 바스켓(21)의 통수 구멍(24)을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했기 때문에 세탁물이 그 통수구멍(24)에 걸려서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세탁물의 손상을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탈수 바스켓(21)에 그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여 회전통(8)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간부(25)를 형성하는 팽출부(22, 23)를 설치했기 때문에 물의 상승통로를 보다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탈수효율의 향상을 보다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수 바스켓(21)의 팽출부로서 상하로 짧은 것(22)과 긴 것(23)을 주위방향으로 번갈아 형성했기 때문에 세탁시의 물흐름과 옷감회전을 복잡하게 할 수 있고, 세탁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다. 덧붙여서 탈수 바스켓(21)의 지름을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동일, 또는 하단부측보다 상단부측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탈수시의 세탁물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회전의 언밸런스부하를 발생시키지 않아서 밸런스가 좋아지기 때문에 진동이 별로 없이 탈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탈수 바스켓(21)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회전통(8)에 직접 고정하지 않고 밸런스 링(26)과 회전통(8)내에 설치한 경우의 회전통 부착판(7)등 회전통(8)에 고정부착되는 부품에 고정부착함으로써 회전통(8)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여기에서 회전통 부착판(7)을 회전통(8)을 경유하지 않고 회전통 부착판(7)에 직접 고정하여 연결관계가 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탈수 바스켓(21)의 제조성을 우선하지 않는다면 바닥덮개(31)를 탈수 바스켓(21)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 회전통(8)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회전통(8) 및 탈수 바스켓(21)을 플라스틱(예를 들면 PP(폴리 프로필렌))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회전통(8) 및 탈수 바스켓(21)이 함께 플라스틱제가 되면 강도가 약간 낮아지는데 그래도 2개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덮개(31)를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이에 따라 회전통(8) 전체의 강도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탈수 바스켓(21)을 다공질재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다공질재에는 미소한 구멍이 다수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통수 구멍(24)을 별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다공질재제의 탈수 바스켓(21)의 내면에는 빨래감미끄러짐을 좋게 하는 코팅층(다공질의 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재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PP등)의 가루입자체를 소결시킴으로써 형성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세라믹과 금속의 가루입자체를 소결시켜서 이루어지는 다공질재를 이용해도 좋다.
또 회전통(8)의 내면 및 탈수 바스켓(21)의 외면에는 예를 들면 아몰덴 등의 항균제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와 상단부의 각각을 직상(直狀)으로 형성하고, 그 하단부는 회전통(8)의 하부에 형성한 홈부(42)에 끼워 넣어서 고정하고, 상단부를 밸런스 링(26)에 피착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경우 제7도에도 나타내는 바와같이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각각 바깥쪽으로의 절곡부(43, 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의 절곡부(43)를 상기 회전통(8)의 홈부(42)내에 끼워 넣어서 고정하고 있다.
또 회전통(8)에 있어서의 홈부(42)를 형성한 부분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통수 오목부(45)가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홈부(42)를 따르는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통수 오목부(45)에 의해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의 사이의 공간부(25)를 아랫쪽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다. 또한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에는 제7도에도 나타내는 바와같이 연통구멍(46)이 일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연통구멍(46)에 의하여 통수 오목부(45) 및 공간부(25)를 탈수 바스켓(21) 안쪽에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다. 덧붙여서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의 조금 윗쪽부분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단부(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부(47)를 바닥덮개(48)의 윗테두리에 맞붙임, 특히 밀접시키고 있다. 또한 이 경우의 바닥덮개(48)는 상기한 바닥덮개(31)와 대략 똑같이 기능하는 구성이지만 그 회전통(8)에 대한 부착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한다. 즉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바닥덮개(48)의 바깥둘레 외측에 형성된 돌기부(50)를 회전통(8)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49)에 걸어맞추게 하는 동시에 회전통(8)에 형성된 부착구멍(51)에 나사(52)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밖에 상기한 내용 이외에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대략 똑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실시예에 따르면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를 회전통(8)에 형성한 홈부(42)에 끼워 넣어서 고정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상기한 나사(30)를 사용하여 고정한 구성에 비하여 탈수 바스켓(21)에 나사고정용 플랜지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바닥덮개(48)는 나사고정부가 없기 때문에 나사고정부를 피하도록 안쪽으로 「빠짐부」를 설치하는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회전통(8)이 내면에 충분히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에 기여하는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립작업의 면에서 볼 때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를 회전통(8)의 홈부(42)에 단순히 끼워 넣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회전통(8)의 바닥 깊숙한 곳에서의 나사고정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를 회전통(8)의 홈부(42)내에 끼워 맞추어서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해당 하단부에 대한 실찌꺼기의 부착을 피할 수 있다.
또 상기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에 절곡부(43)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43)를 회전통(8)의 홈부(42)에 끼워 넣어서 고정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에 걸리기 쉬운 에지등이 없어지고 상기 끼워 넣음의 조립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43)에 의해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수의 회전속도를 올리는데 효과가 있으며, 보다 충분한 탈수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끼워 넣을 때 변형이 일어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끼워 넣기 쉽게 할 수 있어서 조립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또 회전통(8)의 홈부(42)를 형성한 부분에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하여 해당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의 사이의 복수개의 공간부(25)를 아랫쪽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수 오목부(45)를 홈부(42)를 따르는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워 형성했기 때문에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가 홈부(42)에 끼워 넣어져서 막히는 것을 통수 오목부(45)에 의해 회피할 수 있다. 즉 통수 오목부(45)에 의하여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과의 사이의 공간부(25)로부터의 배수통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에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 윗쪽부분에 회전통(8)의 통수 오목부(45) 및 공간부(25)를 탈수 바스켓(21) 안쪽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구멍(46)을 복수 형성했기 때문에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의 사이의 공간부(25)로부터의 배수통로를 통수 오목부(45)와 연통구멍(46)으로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실찌꺼기의 막힘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탈수 바스켓(21)의 하단부의 윗쪽부분에 안쪽으로 돌출하여 바닥덮개(48)의 윗테두리와 맞붙는 단부(47)를 형성했기 때문에 탈수 바스켓(21)과 바닥덮개(48)가 접하는 부분에 세탁물이 침투하는 것을 그 단부(47)에 의하여 저지할 수 있어서, 세탁물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8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 및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3실시예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제2실시예의 구성과 대략 같으며, 크게 다른 점은 바닥덮개(48)에 대신되는 바닥덮개(61)의 구성이다. 이 바닥덮개(61)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우선 회전통(8)의 안쪽 바닥의 구성에 대하여 제12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통(8) 안쪽 바닥의 주위부에 있어서의 홈부(42)를 형성한 부분에는 통수 오목부(45)가 복수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통(8) 안쪽 바닥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배수구(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통(8)을 얹어 놓고 부착한 회전통 부착판(7)에 있어서의 상기 배수구(1)의 내측부분에는 긴 구멍상의 통수 구멍(11)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통수 오목부(45)로부터 배수구(10)(통수 구멍(11))측으로 대략 직선적에 이르는 경로가 주배수경로(편의상 화살표시(62)로 나타낸다)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덮개(61) 및 그 회전통(8)에 대한 고정구조에 대하여 제12도를 참조하여 서술한다. 상기 바닥덮개(61)는 회전통(8) 안쪽 바닥의 주위부분의 곡면형상과 대략 대응하는 곡면형상을 갖는 고리상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바닥덮개(61)의 하단부(안쪽둘레)에는 나사부착편(63)이 복수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덮개(61)의 안쪽면에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나사부착편(63)의 뒤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리브(64) 및 (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64, 64)의 대향간격은 상기 나사부착편(63)의 폭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회전통(8)의 바닥에는 나사(52)를 맞추기 위한 부착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부착구멍(51)은 상기 주배수경로(62)를 떼어낸 부분, 구체적으로는 주배수 경로(62) 상호간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덮개(61)는 그 나사부착편(63)을 통한 나사(32)를 회전통(8) 바닥의 부착구멍(51)에 끼워 넣음으로써 회전통(8)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상기 나사부착편(63)과 상기 부착구멍(51)으로 고정부(65)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부(65)는 주배수경로(62)를 떼어낸 부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통 부착판(7)과 시일 금속부재(13)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내는 고리상의 시일부재인 패킹(66)에 의해 봉해져 있다. 즉 시일금속부재(13)의 둘레테두리부는 훨씬 낮아져 있으며, 이 단부(13a)에는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걸어맞춤 구멍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패킹(66)에는 그 4곳에 아래를 향한 걸어맞춤 돌기(6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 돌기(66a)를 상기 걸어맞춤 구멍부(13b)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패킹(66)을 시일 금속부재(13)에 부착하고, 이 부착상태에서 상기 시일 금속부재(13)를 회전통 부착판(7)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부착시에 있어서는 패킹(66)이 그 걸어맞춤 돌기(66a)와 시일 금속부재(13)의 걸어맞춤 구멍부(13b)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위치어긋남을 초래하는 일 없이 정확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시일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구성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실시예와 대략 똑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3실시예에서는 바닥덮개(61)를 고정하는 고정부(65)를 상기 주배수경로(62)를 떼어낸 부분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탈수에 앞서서 실시되는 배수시에 있어서, 탈수 바스켓(21)내의 물 및 탈수 바스켓(21)과 회전통(8)과의 사이의 물이 주로 통수 오목부(45)로부터 바닥덮개(61)와 회전통(8)과의 사이의 공간부(33)를 지나서 배수구(10)에 유입할 때에 주배수경로(62)를 지나지만 이 경우에 물이 고정부(65)를 통과하는 경우가 극히 적어진다. 따라서 실찌꺼기가 그 고정부(65)에 걸리는 일이 없어지고, 여기에 실찌꺼기덩어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배수성이 나빠지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닥덮개(61)의 뒷면에 고정부(65)의 폭치수 이상의 대향간격을 이루고 해당 고정부(65)의 뒤쪽에 연장하여 해당 뒤쪽부분을 통수 오목부(45)로부터 차단하는 한쌍의 리브(64, 64)를 형성했기 때문에 고정부(65)의 뒤쪽부분에 통수 오목부(45)로부터의 물이 지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고정부(65)에서의 린트(lint)덩어리 발생이 더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리브(64, 64)를 바닥덮개(61)에 설치하는 대신에 회전통(8)의 안쪽 바닥에 있어서의 바닥덮개(61)의 안쪽면과 대향하는 부위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제16도 및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의 점이 제3실시예와 다르다. 즉 회전통(8) 안쪽 바닥에 있어서의 바닥덮개(61)의 안쪽면과 대향하는 부위에 한쌍의 리브(64, 64)와 끼워 맞추는 돌출부재(67)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4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65)의 뒤쪽부위에서의 물의 유통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고정부(65)에서의 린트덩어리의 발생방지에 한층 효과적이 된다. 또 조립시에 있어서의 바닥덮개(61)의 위치결정도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구성은 제3실시예의 구성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구성의 경우 리브(64, 64)를 회전통(8) 안쪽 바닥에 있어서의 바닥덮개(61)의 안쪽면과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하고 돌출부재(67)를 바닥덮개(61)에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한편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의 점이 제3실시예와 다르다. 즉 회전통(8) 안쪽 바닥에 있어서의 바닥덮개(61)의 안쪽면과 대향하는 부위에 한쌍의 리브(64, 65)와 끼워 맞추는 오목부재(68)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5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65)의 뒤쪽부위에서의 물의 유통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고정부(65)에서의 린트덩어리의 발생방지에 한층 효과적이다. 또 조립시에 있어서의 바닥덮개(61)의 위치결정도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구성은 제3실시예의 구성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구성의 경우 리브(64, 64)를 회전통(8)의 안쪽 바닥에 있어서의 바닥덮개(61)의 안쪽면과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하고 오목부재(68)를 바닥덮개(61)에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회전통(8)의 안쪽 바닥에 바닥덮개(61)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나사고정방식을 이용했지만, 이에 대신하여 걸어맞춤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laims (21)

  1. 내부에 저수하여 세탁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탈수용 개구부를 상부에만 갖고 있으며,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탈수용 개구부로부터 물이 빠져나가도록 구성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는 밸런스 링과, 금속으로 된 대략 원통상을 이루고 그 둘레면에 다수의 통수 구멍이 있으며 상기 회전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근접해서 설치되고 상단부를 상기 회전통에 상기 밸런스 링과 함께 고착된 탈수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이 다공질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4.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의 바닥에 배수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탈수 바스켓과 상기 배수구와의 사이에, 상기 탈수 바스켓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의 공간부를 상기 배수구에 연이어 통하게 하는 바닥덮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이 둘레에 실 찌꺼기 여과용의 통수로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통의 안쪽 바닥에 세탁용의 회전날개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탈수 바스켓과 상기 통수로로 물을 흘려보내는 상기 회전날개의 안쪽 흡수부와의 사이에, 상기 탈수 바스켓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의 공간부를 상기 회전날개의 안쪽 흡수부에 연이어 통하게 하는 바닥덮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덮개를 상기 탈수 바스켓과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덮개를 상기 탈수 바스켓과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8.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의 통수 구멍을 상기 탈수 바스켓의 하부에 다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9.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의 통수 구멍을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에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여 상기 회전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팽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의 팽출부가 상하로 짧은 것과 긴 것을 주위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2.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의 지름 치수를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하단부측보다 상단부측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3.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에 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를 상기 홈부에 끼워 넣어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를 상기 회전통의 홈부에 끼워 넣어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의 홈부를 형성한 부분에 상기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상기 탈수 바스켓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의 공간부를 아래쪽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수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 윗쪽부분에 상기 회전통의 통수 오목부 및 상기 탈수 바스켓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의 공간부를 상기 탈수 바스켓 안쪽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바스켓의 하단부 윗쪽부분에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바닥덮개 윗테두리와 맞붙는 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8.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의 바닥에 설치된 배수구와, 상기 회전통의 하부둘레면에 상기 탈수 바스켓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에 통수로를 확보하도록 설치된 통수 오목부와, 상기 회전통의 바닥에 상기 통수 오목부로부터 상기 회전통의 바닥에 걸쳐서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탈수 바스켓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의 공간을 상기 배수구에 연이어 통하게 하도록 고정된 바닥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에 상기 바닥덮개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통수 오목부로부터 상기 배수구 측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이르는 주배수경로를 떼어낸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가 바닥덮개의 안쪽면과, 상기 회전통의 바닥에 있어서 상기 바닥덮개 안/쪽면과 대향하는 부위중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상기 고정부의 폭치수 이상의 대향간격을 갖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의 뒤쪽으로 연장되어 이 뒤쪽부분을 상기 통수 오목부로부터 차단하는 한 쌍의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덮개의 안쪽면과, 상기 회전통의 바닥에 있어서 상기 바닥덮개 안쪽면과 대향하는 부위중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상기 고정부의 폭치수 이상의 대향간격을 갖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의 뒤쪽으로 연장되어 이 뒤쪽부분을 상기통수 오목부로부터 차단하는 한 쌍의 리브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이 한 쌍의 리브와 끼워 맞추는 돌출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2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덮개의 안쪽면과, 상기 회전통의 바닥에 있어서 상기 바닥덮개 안쪽면과 대향하는 부위중의 어느 한쪽에 상기 고정부의 폭치수 이상의 대향간격을 갖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의 뒤쪽으로 연장되어 이 뒤쪽부분을 상기 통수 오목부로부터 차단하는 한 쌍의 리브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이 한 쌍의 리브와 끼워 맞추는 오목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KR1019950000498A 1994-01-14 1995-01-13 탈수겸용 세탁기 KR100196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2507A JP2823501B2 (ja) 1993-09-24 1994-01-14 脱水兼用洗濯機
JP94-002507 1994-01-14
JP6165131A JPH0824483A (ja) 1994-07-18 1994-07-18 脱水兼用洗濯機
JP94-165131 1994-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790A KR950023790A (ko) 1995-08-18
KR100196527B1 true KR100196527B1 (ko) 1999-06-15

Family

ID=2633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498A KR100196527B1 (ko) 1994-01-14 1995-01-13 탈수겸용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196527B1 (ko)
CN (1) CN1077173C (ko)
GB (1) GB2286406B (ko)
HK (1) HK87797A (ko)
TW (1) TW2770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7502A1 (de) * 2000-02-18 2001-08-23 Basell Polypropylen Gmbh Innenbehälter für Haushaltsgeräte
CN102535101B (zh) * 2011-12-31 2013-10-2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复合内桶
KR101686301B1 (ko) 2014-11-10 2016-12-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터브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66458B2 (en) * 1984-10-19 1987-10-22 Hitachi Limited Fully automated washer
JP2789572B2 (ja) * 1990-08-28 1998-08-20 株式会社東芝 脱水機
US5205141A (en) * 1990-12-28 1993-04-27 Whirlpool Corporation Reciprocating laundry basket for an automatic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86406A (en) 1995-08-16
KR950023790A (ko) 1995-08-18
CN1077173C (zh) 2002-01-02
CN1109929A (zh) 1995-10-11
TW277082B (ko) 1996-06-01
HK87797A (en) 1997-06-27
GB9500088D0 (en) 1995-03-01
GB2286406B (en) 199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96965B (zh) 一种洗衣机
CA1311936C (en) Self cleaning lint filters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KR20080093493A (ko) 세탁기
KR20040046954A (ko) 세탁기의 필터 구조
KR100196527B1 (ko) 탈수겸용 세탁기
KR100213943B1 (ko) 세탁기
CN108797026B (zh) 一种洗衣机
KR200146593Y1 (ko) 세탁기 필터장치의 걸름망
WO2020216049A1 (zh) 一种洗衣机内桶组件及洗衣机
JP7162671B2 (ja) 洗濯機
KR100432227B1 (ko)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JPH0316633Y2 (ko)
JP3964720B2 (ja) 洗濯機
JPH0316632Y2 (ko)
KR100261475B1 (ko) 펌프 케이스의 필터 결합구조
JP2823501B2 (ja) 脱水兼用洗濯機
KR20000059545A (ko)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KR20020045381A (ko) 전자동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CN110409138B (zh) 洗衣机
JPH034224Y2 (ko)
KR100775117B1 (ko)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KR100223421B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KR880001763Y1 (ko) 세탁기 회전판의 찌꺼기 걸름장치
KR0121142Y1 (ko) 세탁기의 찌꺼기 여과장치
KR100263448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