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505B1 -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505B1
KR100190505B1 KR1019960024333A KR19960024333A KR100190505B1 KR 100190505 B1 KR100190505 B1 KR 100190505B1 KR 1019960024333 A KR1019960024333 A KR 1019960024333A KR 19960024333 A KR19960024333 A KR 19960024333A KR 100190505 B1 KR100190505 B1 KR 10019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frame
reducer
robo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804A (ko
Inventor
정성현
임흥순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6002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505B1/ko
Publication of KR98000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로봇의 자세를 바로 잡는 손목 3축중 회전 2축의 동력전달 구조를 단순화시켜 로봇의 수명연장 및 제작 비용을 절감시킨 것으로, 상부 제 1아암부를 지지하는 프레임(1)과 이 프레임(1)에 감속기(6)를 볼트(6a)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체결하고, 이 감속기(6)에 체결된 기어 박스(5)로 구동 기어(8)를 지지하는 것과, 프레임(1)에 볼트(1a)로 베어링(7)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하우징(3)을 체결하여 감속기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감속기(6)출력단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하우징(4)을 거쳐 외부에 노출되어 탑재된 동력 전달 샤프트(2)를 구동시켜 동력 전달 샤프트가 외부지지 하우징 역할을 하는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이다.

Description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제 1도는 상부 제 1아암부의 외형도
제 2도는 본 발명 아암부의 동력전달 장치 구성 단면도
제 3도는 종래 아암부의 동력 전달 구성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 동력전달 샤프트
3: 베어링 지지 하우징 4: 연결 하우징
5: 기어박스 6: 감속기
7,7a,7b,7c: 베어링 8: 감속기 구동기어
9: 기어 10: 중공 샤프트
11,11b,11c: 볼트
본 발명은 산업용 로봇의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로봇의 자세를 바로 잡는 손목 3축중 회전 2축의 동력전달 구조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로봇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제작에 투입되는 인건비와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작 라인(Line)에 사용되는 스포트(SPOT)용접용 및 중량물 제조 라인에 사용되는 중량물 운반용 고가반 중량 6축 다관절 로봇은 운동, 상ㆍ하 운동 및 전ㆍ후 운동을 수없이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 다관절 로봇은 크게 그 위치를 결정하는 기본축과, 회전 운도 1과 굽힘 운동 및 회전 운동 2를 하여 로봇의 자세를 바로 잡는 손목축으로 나눌수가 있다.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우 제 1아암 설계는 로봇의 동력전달 구조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 운동 2를 하는 동력전달 샤프트(2)는 추가의 지지 샤프트를 이용하지 않고 독자의 동력 전달 구조를 이용하여 별도의 지지 샤프트 없이 출력 샤프트로 동력을 전달하여 로봇의 선단 자세를 잡도록 하는 구조의 동력전달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회전 2축 동력 전달 샤프트(2)는 프레임(1)에 볼트(11C)로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의 중공 샤프트(10)외측에 장착된 베어링(7C)에 의해 한쪽 끝단이 지지되고, 이 프레임(1)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복수개의 베어링(7)에 의해 다른 한쪽 끝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감속기(6)의 출력단에 하우징(4)으로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고가반 중량 6축 다관절 로봇은 회전 운동 2축의 회전이암(ARM)의 전단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력전달 샤프트(2)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중공 샤프트(10)가 필요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중공 샤프트(10) 주변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로봇의 고장 예상 부위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아울러 로봇을 제작할 때에도 가공 공수가 많아 불필요한 노동력이 소모되는 것은 물론 조립 공수의 증가로 인해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으로서, 회전축 2의 운동시 선단의 축회전을 후단부의 회전으로 하는 구조로 변경하여 동력전달 구조의 단순화와 가공 공수 및 조립공수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부 제 1아암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감속기를 볼트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체결하고, 이 감속기에 체결된 기어 박스로 구동 기어를 지지하는 것과, 프레임에 볼트로 베어링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체결하여 감속기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감속기 출력단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하우징을 거쳐 외부에 노출되어 탑재된 동력 전달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로봇 동력 전달 장치로 제 1아암의 후단부에서 회전 운동 2가 구동이 되며, 동력 전달 샤프트가 외부지지 하우징의 역할 까지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 및 구성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는 본 발명 아암부의 동력 전달 장치 구성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력 전달 계통은 동력원인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이 기어 박스(5)내에 장착된 2개의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는 기어(9)에 전달되고,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기어(9)는 그 회전력을 프레임(1)에 볼트(11a)로 체결하여 조립됨과 동시에 볼트(11b)에 의해 기어박스(5)를 장착하고 있는 감속기(6)의 인프트 기어(INPUT GEAR)인 구동 기어(8)에 전달하고, 구동 기어(8)는 기어 박스(5) 내에 장착된 베어링(7a)(7b)으로 지지되며,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는 감속기(6)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구동 기어(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감속기(6)는 그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그 회전 속도를 감속비에 맞추어 저하시켜 감속기(6)의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을 하는데 이 출력되는 출력 토오크는 감속기(6)의 출력단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연결 하우징(4)을 거쳐 회전 2의 출력단인 동력전달 샤프트(2)에 동력을 전달하여 선단의 자세를 잡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동력전달 샤프트(2)의 외부에 동력전달 샤프트(2)를 별도로 지지하여 주는 중공 샤프트(10)와 같은 별도의 지지부품이 생략되어 기기를 단순화시켰으며 이에 따라 지지베어링(7)의 생략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종래의 동력전달 샤프트(2)를 지지하는 베어링(7)이 2개가 장착되는 반면에 본 발명은 베어링(7)을 1개로 대체시켜 기존의 베어링(7) 조립시 록너트(17)와 조립거리 조정용 칼라(20)등이 필요없게 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3)은 베어링 지지 하우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최외부의 샤프트인 동력전달 샤프트의 내외경을 확대 변경시킴으로서 내부의 공간 활용과 내부통과 중공 샤프트의 형상 단순화가 가능하여 부품수의 감소 및 부품의 형상 단순화에 따른 고장 부위의 감소로 인하여 로봇의 수명 연장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산업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상부 제1 아암부를 지지하는 프레임(1)과 이 프레임(1)에 감속기(6)를 볼트(6a)로 좌축에서 우측으로 체결하고, 이 감속기(6)에 체결된 기어 박스(5)로 구동 기어(8)를 지지하는 것과, 이 프레임(1)에 볼트(1a)로 베어링(7)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 하우징(3)을 체겨하여 감속기(6)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감속기(6)출력단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하우징(4)을 거쳐 외부에 노출되어 탑재된 동력 전달 샤프트(2)를 구동시켜 동력 전달 샤프트가 외부지지 하우징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KR1019960024333A 1996-06-27 1996-06-27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KR100190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333A KR100190505B1 (ko) 1996-06-27 1996-06-27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333A KR100190505B1 (ko) 1996-06-27 1996-06-27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804A KR980000804A (ko) 1998-03-30
KR100190505B1 true KR100190505B1 (ko) 1999-06-01

Family

ID=1946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4333A KR100190505B1 (ko) 1996-06-27 1996-06-27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5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804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5061B1 (en) Robot wrist structure and robot
US4787262A (en) Wrist device of robot
US7597025B2 (en) Articulated robot
EP0279591B1 (en) Robotic manipulator
JP5327312B2 (ja) ロボットの関節ユニット及びロボット
JP5270449B2 (ja) ロボットの関節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ロボット
EP0841128A1 (en) Wrist mechanism for an industrial robot
KR20050099503A (ko) 산업용 로봇의 감속 장치
EP0090054B1 (en) Wrist for robot
JPH07148688A (ja) 工業用ロボット
KR20060095266A (ko) 로봇 모듈
EP3784446B1 (en) A parallel kinematic robot
CN110561489B (zh) 一种三自由度并联驱动关节
CN105798888A (zh) 一种新型空间平动并联机构
CN1112473A (zh) 工业机械手
EP0621112A1 (en) Industrial robot having joints using a hollow reduction gear
JP2000343477A (ja) ロボットの関節部構造
JPH04152090A (ja) 産業用ロボット装置
JPS58211892A (ja) 工業用ロボツト
KR850000551B1 (ko) 로보트의 관절장치
JPH0752074A (ja) 産業用ロボットの手首装置
CN110861120B (zh) 基于双定子无框力矩电机的驱动关节及其应用
KR100190505B1 (ko) 산업용 로봇의 동력전달 장치
JP2001113488A (ja) 産業用ロボット
KR19980701448A (ko) 다관절 로봇의 손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