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911B1 - Matrix contacting point driving apparatus of relay - Google Patents

Matrix contacting point driving apparatus of 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911B1
KR0167911B1 KR1019950025327A KR19950025327A KR0167911B1 KR 0167911 B1 KR0167911 B1 KR 0167911B1 KR 1019950025327 A KR1019950025327 A KR 1019950025327A KR 19950025327 A KR19950025327 A KR 19950025327A KR 0167911 B1 KR0167911 B1 KR 0167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matrix
drive
driv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12831A (en
Inventor
김동갑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5002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911B1/en
Publication of KR97001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91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입력신호에 대하여 독립된 포트를 선택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출력포트를 제공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m*n의 구조로 이루어 지는 매트릭스의 접점을 스위칭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계전기 구동수단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rix contact drive device of a relay that switches to provide independent output ports for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and to provide multiple output port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inimize the relay driving means required to realize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system.

본 발명은 m*n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계전기의 접점을 스위칭시키기 위해 계전기 접점 매트릭스의 한 열(행)의 계전기 코일을 a*b의 매트릭스로 구성하고 구동회로부를 행과 열을 제어하는 소오스와 싱크로 구성하여 행과 열이 교차되는 계전기의 코일을 제어하므로 구동회로부의 계전기 구동포트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대략, (a+b)/a*b] 계전기의 구동회로가 소형화되므로 시스템의 소형, 경량화를 제공하며, 계전기 구동포트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rce coil and a synchro are configured in which a row of relay coils in a matrix of a * b are arranged in a matrix of a * b, and the driving circuit part controls rows and columns in order to switch contacts of a relay composed of m * n matrices. By controlling the coils of relays in which rows and columns cross each other, the relay drive port of the drive circuit part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drive circuit of the (a + b) / a * b] relay is miniaturized. It provides and increases the use efficiency of the relay drive port.

Description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 구동장치Matrix contact drive of relay

제1도는 계전기의 구동에 따라 연결되는 매트릭스 접점의 일반적인 구성도.1 is a gener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trix contact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driving of a relay.

제2도는 종래 매트릭스의 접점을 스위칭하기 위한 계전기 구동회로도.2 is a relay driving circuit diagram for switching a contact of a conventional matrix.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 구동장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trix contact drive device of th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어회로부 20,30 : 계전기 구동부10: control circuit part 20,30: relay drive part

21 : 구동회로부 31 : 제1구동회로부21: driving circuit portion 31: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32 : 제2구동회로부 K11-Km1 : 계전기32: second drive circuit section K11-Km1: relay

R1-Rm : 행 C1-Cn : 열R1-Rm: row C1-Cn: column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입력신호에 대하여 독립된 포트를 선택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출력포트를 제공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m*n의 구조로 이루어 지는 매트릭스의 접점을 스위칭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계전기 구동수단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rix contact drive device of a relay that switches to provide independent output ports for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and to provide multiple output port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inimize the relay driving means required to realize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system.

일반적으로 m*n의 구조로 이루어 지는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을 첨부된 도면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계전기의 구동회로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원하는 소정갯수의 계전기 접점(K11-Kmn)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단(R1-Rm)과,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된 임의의 접점으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회로부측으로 인가하는 출력단(C1-Cn)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와같은 계전기의 접점을 스위칭하기 위한 종래의 구동장치는 첨부된 도면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계전기의 접점선택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10)와, 상기 제어회로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임의의 접점을 스위칭하기 위해 해당 계전기 코일(K11-Kmn)측에 소정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회로부(21)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matrix contact of a relay having a structure of m * n is a predetermined number of relay contacts (K11-Kmn) desired to be switch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applied from a relay driving circuit as shown in FIG. Input terminal (R1-Rm) for selecting) and the output terminal (C1-Cn) for applying the signal output from any contact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lied signal to the predetermined circuit part side. As can be see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the conventional driving device for switching, the control circuit unit 1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for the contact selection of the relay, and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circuit unit 10 In order to switch an arbitrary contact according to the driving circuit portion 21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drive signal to the relay coil (K11-Kmn) side.

이때, m*n의 매트릭스로 이루어 지는 계전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m개의 구동포트를 갖는 계전기 구동부가 n개 소요된다.In this case, n relay driving units having m driving ports are required to drive the relay having a matrix of m * n.

전술한 바와같이 이루어 지는 종래의 계전기 구동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relay drive device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제어회로부(10)가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임의의 계전기 접점(K11-Kmn)을 선택하여 스위칭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신호와 구동제어신호를 구동회로부(21)측에 인가하면 구동회로부(21)는 제어회로부(10)로 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래치한 후 데이터 신호가 지정하는 임의의 계전기 코일(K11-Kmn)측에 접점의 스위칭을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해당접점을 연결하여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로 하는 소정의 신호를 해당기기측으로 출력한다.When the control circuit unit 10 applies a drive data signal and a drive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d switching arbitrary relay contacts K11-Km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drive circuit unit 21, the drive circuit unit The latch 21 latches the dat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circuit unit 10 and outputs a drive signal for switching the contact point to an arbitrary relay coil K11-Kmn designated by the data signal to connect the corresponding contact point. The predetermined signa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ystem is output to the device concerned.

이와같은 종래의 계전기구동장치는 계전기 한 개에 대하여 하나의 구동포트로 이루어 지므로 m*n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계전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m*n개의 구동포트가 필요하므로, m개의 계전기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회로부가 n개 만큼 구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64*64개의 계전기 매트릭스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4096개의 구동포트가 제공되어야 하므로 계전기수 만큼 구동포트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임의의 행이나 열에 속한 하나의 계전기 접점이 선택되면 그 행이나 열에 속한 다른 계전기의 접점은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나머지의 구동포트에 대하여 비 효율적, 비 경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conventional relay drive device is composed of one drive port for one relay, m * n drive ports are required to drive a relay having an m * n matrix, and thus m relays can be driven. As many as n driving circuits should be provided. For example, in order to drive 64 * 64 relay matrices, 4096 drive ports must be provided. Therefore, there are problems that require as many drive ports as the number of relays. When one relay contact in any row or column is selected, Since the contacts of the other relays belonging to the heat do not need to be driven, there is a problem of being used inefficiently and economically for the remaining drive port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m*n 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계전기의 스위칭접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소형화, 경량화를 제공하며, 계전기 구동포트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miniaturization and a light weight of a system by minimizing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switching contact of a relay having a matrix of m * n. To increase.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m*n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계전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m*n의 매트릭스 계전기 접점에서 임의의 접점을 선택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계전기 접점 매트릭스의 한 열(행)의 계전기 코일을 매트릭스 a*b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a*b의 계전기 코일 매트릭스에서 행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a*b의 계전기 코일 매트릭스에서 열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in the drive device of a relay consisting of a matrix of m * 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m * n matrix relay contact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for selection, wherein the relay coils of one row (row) of the relay contact matrix are composed of matrix a * b, an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means, First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driving a row in the relay coil matrix, and second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driving a column in the relay coil matrix of a * b according to a sel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a*b의 계전기 코일 매트릭스는 상기 제1구동수단으로 선택된 포트의 행과 제2구동수단으로 선택된 포트의 열이 교차하는 지점의 계전기 코일에 전류가 흘러 해당 계전기의 접점이 스위칭되는데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coil matrix of a * b includes a current flowing through a relay coil at a point where a row of a port selected as the first driving means and a column of a port selected as the second driving means cross each other. The contact is in switch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2구동수단은 서로 다른 형태의 구동회로인 싱크와 소오스로 이루어 지는데 있다.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driving means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comprise a sink and a source which are different types of driving circui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 구동장치 구성도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제어회로부(10), 계전기 구동부(30)로 이루어 지는데, 제어회로부(10)는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계전기 접점(K11-Kmn)을 선택하여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 신호와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계전기 구동회로부(20)는 제1구동회로부(31)와, 제2구동회로부(32) 및 a*b의 코일 매트릭스로 구성되는데, a*b=m이며 계전기 접점 매트릭스의 한 열(K11-Km1)에 해당하는 각 계전기 코일을 a*b의 코일 매트릭스로 구성한 것이다. 제1구동회로부(31)는 제어회로부(10)로 부터 인가되는 구동 데이터 신호와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a*b의 코일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계전기 코일의 행을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제2구동회로부(32)는 제어회로부(10)로 부터 인가되는 구동 데이터신호와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a*b의 코일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계전기 코일의 열을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1구동회로부(31)와 제2구동회로부(32)는 서로 다른 형태의 구동회로인 소오스(Source)구동회로와 싱크(Sink)구동회로로 구성된다. 즉, 제1구동회로부(31)가 소오스 구동회로이면 제2구동회로부(32)는 싱크 구동회로이고, 제1구동회로(31)가 싱크 구동회로이면 제2구동회로부(32)는 소오스 구동회로로 이루어진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trix contact drive device of th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trol circuit unit 10 and a relay driver unit 30. A predetermined relay contact K11-Km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lied signal to output a drive data signal and a drive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relay drive circuit portion 20 is composed of a first drive circuit portion 31, a second drive circuit portion 32, and a coil matrix of a * b, where a * b = m and one row of the relay contact matrix (K11-Km1). Each relay coil corresponding to) is composed of a * b coil matrix. The first drive circuit part 31 outputs a predetermined drive signal for driving a row of relay coils composed of a coil matrix of a * b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data signal and the driv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circuit part 10. The second drive circuit part 32 outputs a predetermined drive signal for driving a column of the relay coil composed of a coil matrix of a * b according to the drive data signal and the driv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circuit part 10. In this case, the first driving circuit part 31 and the second driving circuit part 32 include a source driving circuit and a sink driving circuit which are different types of driving circuits. That is, when the first driving circuit part 31 is the source driving circuit, the second driving circuit part 32 is the sink driving circuit, and when the first driving circuit 31 is the sink driving circuit, the second driving circuit part 32 is the source driving circuit. Is made of.

전술한 바와같이 m*n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임의의 계전기 접점(K11-Kmn)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for switching an arbitrary relay contact K11-Km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of a matrix of m * n will be described below.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회로부(10)가 임의의 계전기 접점(K11-Kmn)을 선택하기 위한 소정의 구동 데이터신호와 구동 제어신호를 제1구동회로부(31)와 제2구동회로부(32)측에 인가하면 제1구동회로부(31)와 제2구동회로부(32)는 제어회로부(10)로 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래치한후 임의의 접점을 스위칭하기 위한 행과 열을 선택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제1구동회로부(31)로 선택된 행의 접점과 제2구동회로부(32)로 선택된 열의 접점이 교차하는 계전기 코일에 전류가 흘러 해당 계전기의 접점이 스위칭되어 소정의 회로부측에 필요로하는 신호를 연결한다. 일예로, K(j+3)1의 코일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행의 접점을 선택하는 제1구동회로부(31)의 제3포트가 선택되고, 열의 접점을 선택하는 제2구동회로부(32)의 제3포트가 선택되어 K(j+3)1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 해당 계전기의 접점이 선택 스위칭된다.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circuit unit 10 transmits a predetermined drive data signal and a drive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 arbitrary relay contact K11-Kmn from the first drive circuit unit 31 and the second drive circuit unit ( When applied to the 32 side, the first driving circuit part 31 and the second driving circuit part 32 latch a dat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circuit part 10 and select rows and columns for switching an arbitrary contact point. Whe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outputted, current flows through the relay coil where the contacts of the row selected by the first driver circuit unit 31 and the contacts of the column selected by the second driver circuit unit 32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contacts of the corresponding relay are switched to switch the predetermined circuit unit. Connect the necessary signal to the side. For example, in order to drive the coil of K (j + 3) 1, the third port of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31 that selects the contact of the row is selected, and the second port of the second driving circuit unit 32 that selects the contact of the column. The third port is selected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of K (j + 3) 1 to selectively switch the contact of the relay.

이와같이 행과 열이 교차하는 계전기의 코일이 a*b이면 m개의 계전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a+b)개의 구동포트만이 소요된다. 즉, 64*64개의 계전기 접점을 스위칭하기 위해서는 (8+8)*64=1024개의 구동포트가 소요되어 기존에 소요되는 구동포트의 개수보다 1/4로 축소된다.In this way, if the coil of the relay crossing rows and columns is a * b, only (a + b) driving ports are required to drive m relays. That is, (8 + 8) * 64 = 1024 drive ports are required to switch 64 * 64 relay contacts, which is reduced to one quarter of the number of drive ports requir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m*n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계전기의 접점을 스위칭시키기 위해 계전기 접점 매트릭스의 한 열(행)의 계전기 코일을 a*b의 매트릭스로 구성하고 구동회로부를 행과 열을 제어하는 소오스와 싱크로 구성하여 행과 열이 교차되는 계전기의 코일을 제어하므로 구동회로부의 계전기 구동포트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대략, (a+b)/a*b] 계전기의 구동회로가 소형화되므로 시스템의 소형, 경량화를 제공하며, 계전기 구동포트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킨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witch the contacts of a relay composed of a matrix of m * n, the relay coil of one column (row) of the relay contact matrix is constituted by a matrix of a * b and the driving circuit part i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It consists of a source and a sink to control the control of the coil of the relay crossing the row and column, so the relay drive port of the driving circuit sec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driving circuit of the (approximately (a + b) / a * b] relay is miniaturized. Therefore, the system is compact and light in weight, and the use efficiency of the relay drive port is increased.

Claims (3)

m*n의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계전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m*n의 매트릭스 계전기 접점에서 임의의 접점을 선택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계전기 접점 매트릭스의 한 열(행)의 계전기 코일을 매트릭스 a*b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a*b의 계전기 코일 매트릭스에서 행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a*b의 계전기 코일 매트릭스에서 열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 구동장치.A driving device of a relay comprising a matrix of m * n, compris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for selecting an arbitrary contact point from the matrix relay contact point of m * 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configuring the relay coils of one column (row) of the relay contact matrix into a matrix a * b, and outputting a signal for driving a row in the relay coil matrix of a * b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means. And first driving means and second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driving heat in the relay coil matrix of a * b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applied from said control mean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b의 계전기 코일 매트릭스는 상기 제1구동수단으로 선택된 포트의 행과 제2구동수단으로 선택된 포트의 열이 교차하는 지점의 계전기 코일에 전류가 흘러 해당 계전기 접점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 구동장치.The relay coil matrix of claim 1, wherein the relay coil matrix of the a * b ha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lay coil at a point where a row of a port selected as the first driving means and a column of a port selected as the second driving means cross each other. Matrix contact drive of the re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2구동수단은 서로 다른 형태의 구동회로인 싱크와 소오스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매트릭스 접점 구동장치.The re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riving means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comprise sinks and sources which are different types of driving circuits.
KR1019950025327A 1995-08-17 1995-08-17 Matrix contacting point driving apparatus of relay KR0167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327A KR0167911B1 (en) 1995-08-17 1995-08-17 Matrix contacting point driving apparatus of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327A KR0167911B1 (en) 1995-08-17 1995-08-17 Matrix contacting point driving apparatus of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831A KR970012831A (en) 1997-03-29
KR0167911B1 true KR0167911B1 (en) 1999-01-15

Family

ID=1942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327A KR0167911B1 (en) 1995-08-17 1995-08-17 Matrix contacting point driving apparatus of r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91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831A (en)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5440B2 (en)
US20020186108A1 (en) Micro electromechanical switches
KR960704264A (en) PROGRAMMABLE LOGIC DEVICE WITH REGIONAL AND UNIVERSAL SIGNAL ROUTING
US5214311A (en) Power supply device
KR960016161A (en) Current source drive transducer
KR0167911B1 (en) Matrix contacting point driving apparatus of relay
EP0330367A2 (en) Digital to analogue convertors
KR930007132A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356111B1 (en) Crosspoint switch array with broadcast and implied disconnect operating modes
WO1997025779A3 (en) Multiplexer circuit
KR200258061Y1 (en) Matrix contact drive of relay
JPH029372Y2 (en)
SU738169A1 (en) Switching apparatus
FI84114C (en) Switching System
US4353066A (en) Channel switching network
KR0155318B1 (en) Decoding circuit
JP2663489B2 (en) Power control device
KR20000040633A (en) Switching system for maximizing use efficiency of element
KR19990038169U (en) Test Relay Drive Circuit i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JP2000067722A (en) Relay selection circuit
SU1394270A1 (en) Matrix switch
KR970001900B1 (en) Auto-switching device for paging transmitting system
JPS6271121A (en) Switch
SU1135006A1 (en) Matrix switching device
JPH09154232A (en) Current suppl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