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551B1 - 적치용 콘베이어 - Google Patents

적치용 콘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551B1
KR0165551B1 KR1019910700987A KR910700987A KR0165551B1 KR 0165551 B1 KR0165551 B1 KR 0165551B1 KR 1019910700987 A KR1019910700987 A KR 1019910700987A KR 910700987 A KR910700987 A KR 910700987A KR 0165551 B1 KR0165551 B1 KR 0165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lutch
arm
pear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017A (ko
Inventor
로렌스 피터 이베르센
Original Assignee
로렌스 피터 이베르센
유니베요 악티이 셀스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렌스 피터 이베르센, 유니베요 악티이 셀스켑 filed Critical 로렌스 피터 이베르센
Publication of KR92070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다수의 콘베이어부(A, B, C...)로 구성되고 이 콘베이어부는 상호 연결구동되는 이송로울러(4)를 가지며, 이 이송로울러 위에는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8
)와 같은 하중체가 실려서 이송가능하게 되거나 지지가능하게 되고, 이 콘베이어는 구동체인(52)에 의하여 통상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구동체인은 상기 이송로울러(6)속으로 장착되는 클럿치(40)와 구동휠(50)을 거쳐 각 콘베이어부(A, B, C...)의 이송로울러와를 구동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클럿치는 콘베이어부에 위치되는 하중체를 정렬하고 점검하는 점검부재(detecting member)(10)와 연결되어 상향요동 콘베이어부(upstream conveyor section)로 되는 적치용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클럿치(40)는 상기 이송로울러(6)의 단부에서 이송차축(46)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클럿치허브(clutch hub)(44)와 상기 구동휠(50)을 나르는 운반체로 구성되고, 상기 클럿치허브는 이 클럿치허브(44)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상기 이송로울러의 단부 내측에 수납되는 연결슬리브(48)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상기 연결슬리브(48)는 반원형으로 외향돌출한 제어캠(38)을 가진 링몸체(6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접 이송로울러에 계합구동되는 기어휠(64)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클럿치허브(44)와 연결슬리브(48) 상기에는 클럿칭부재(66)가 구비되어 상기 링몸체(62)가 제어펄(controlling pawl)(36)과 상기 제어캠(38)의 어느 하나의 상기에서 외부계합에 의한 회전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럿치허브(44)를 해제하도록 정렬되도록 한 적치용 콘베이어(An accumulation conveyor).

Description

적치용 콘베이어
제1도는 본 발명상의 콘베이어의 작업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상의 적치용 콘베이어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상의 콘베이어에 대한 클럿치의 구체적인 예를 평면도, 일부는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위 적치대의 작업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측면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콘베이어 4 : 상호 구동연결된 이송 로울러
6 : 이송 로울러 8 :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
10 : 감응 로울러 14 : 아암 시스템
16 : 아암부재 20 : 횡바아(transverse bar)
22 : 역하중계 24 : 제어핀
26 : 연결로드 28 : 슬롯트
30 : 펄 아암(pawl arm) 36 : 제어 펄
38 : 제어캠 40 : 클럿치
42 : 특수가동부재(실린더) 44 : 클럿치허브
46 : 이송축 48 : 연결슬리브
50 : 구동휘일 54 : 체인휘일
56 : 조임휘일 62 : 링몸체
64 : 기어휘일 66 : 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상호 구동가능하게 연결한 이송용 로울러(transport roller)를 가진 다수의 콘베이어 부분과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나타난 종류의 부재와로 구성되는 적치용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적치용 콘베이어는 매운 복잡한 구동시스템을 갖고 있다. 구동샤프트와 더불어 각 콘베이어 부분에 있어, 클럿치(clutch)는 이송용 로울러의 열(row)밑에서 거리를 뛰어 장착되고, 각 부분의 구동샤프트는 그속에서 클럿치와 평행히 위치하며 콘베이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분리된 구동체인 시스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류의 적치 콘베이어를 보다 간편히, 보다 신뢰성 있는 구동시스템을 갖춘 개량된 적치 콘베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콘베이어부로 구성되고 이 콘베이어부는 상호 연결구동되는 이송 로울러를 가지며, 이 이송로울러 위에는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와 같은 하중체가 실려서 이송가능하게 되거나 지지가능하게 되고, 콘베이어는 통상의 구동모터와 구동체인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구동체인은 상기 이송로울러 속으로 장착되는 클럿치와 구동휠을 거쳐 각 콘베이어부의 이송로울러를 구동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클럿치는 콘베이어부에 위치되는 하중체를 정렬하고 점검하는 점검부재(detecting member)와 연결되어 상향요동 콘베이어부(upstream conveyor section)로 되는 적치용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클럿치는 상기 이송로울러의 단부에서 이송차축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지지되는 클럿치허브(clutch hub)와 상기 구동휠을 나르는 운반체로 구성되고, 상기 클럿치허브는 이 클럿치허브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상기 이송로울러의 단부 내측에 수납되는 연결슬리브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상기 연결슬리브는 반원형으로 외향돌출한 제어캠을 가진 링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인접 이송로울러에 계합구동되는 기어휠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클럿치허브와 연결슬리브 상기에는 클럿칭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링몸체가 제어펄(controlling pawl)과 상기 제어캠의 어느 하나의 상기에서 외부계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럿치허브를 해제하도록 정렬한 적치용 콘베이어(An accumulation conveyo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하여, 매우 간편하게 된 중요 기계적 구성을 얻을 수 있게 되므로서 종래의 콘베이어에 비해 일층 제어가 확실하고 또한 확실한 동작을 갖도록하여 신뢰성을 높인 콘베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상의 치밀하고도 간편한 구조에 의하여 중량감소는 물론 콘베이어의 이동, 운영비용의 절감도 가능하게 되었다.
상술한 간편하고도 신뢰성을 높인 본 발명상의 적치 콘베이어는 각개 콘베이어부에 있어서의 클럿치 부재가 반원형으로 돌출된 단부를 가진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이 코일스프링은 자유조건하에서 스프링 클램핑 밴드(spring clamping band)형으로 칫수를 가지며, 또한 이 코일스프링은 클럿치허브를 클럿칭시키고 계합시키며 상기 돌출단부를 상기 코일스프링의 주위를 따라 상호 대향하여 이동시키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클럿치허브로 부터 해제가능하며, 코일스프링의 짧은 돌출단부로서 연결슬리브의 부분에 있는 라디알 구멍(radial hole)에 계합되며, 상기 연결슬리브는 이송로울러의 내측에 재치되며 그 반면 코일스프링의 긴 돌출단부는 이송로울러의 상기 단부 바깥에서 연결슬리브의 벽에서의 굽은 슬롯트 홉(bent slot)을 거쳐 상기 링몸체에 계합되도록 한 적치용 콘베이어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상의 콘베이어는 상기 점검부재와 상기 클럿치 상기의 제어연결을 위해, 상기 상향요동 콘베이어부는 견고한 연결로드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 속에서 상기 점검부재는 클럿치가 그속에서 정렬되는 이송로울러의 하향배열로 되는 피봇팅 가능하게 회전지지되는 감응로울러(pivotably journaled sensing roller)로 구성되는 상기 제1항 및 제2항에 기재된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감응로울러는 피봇팅 가능하게 회전지지되는(pivotably journaled)아암시스템의 아암부재들 상기에서 설치되고 상기 아암시스템은 콘베이어부의 일측에서 피봇가능하게 회전지지되는 펄아암의 절단부에 계합되는 측부로 돌출된 제어핀을 가지며 상기 펄아암은 상기 절단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어펄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펄이 클럿치의 상기 링몸체의 상기 라디알 제어캠(radial control cam)의 회전경로 속으로 뻗는 위치와 상기 제어펄이 상기 회전경로속으로 뻗지 않는 위치 상기에서 요동되어 정렬되며, 상기 펄아암의 무게중심은 제어핀과 펄아암 상기에서의 계합이 이루어질 때 펄아암이 앞서 언급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들어가도록 해주고, 상기 아암시스템은 역하중체(counter weight)로 구성되며, 통상 상기 이송로울러의 상향요동으로 위치되고, 감응로울러가 이송경로 속으로 상향요동되도록 하며, 연결로드에 의하여, 아암시스템은 상향콘베이어부의 대응되는 펄아암에 연결되므로서 상향요동 콘베이어부에서의 펄아암이 하향요동 콘베이어부의 감응로울러가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와 같은 하중체의 역할에 의해 요동될 때에만 대응되는 제어캠에 계합되도록 한 적치용 콘베이어이다.
상기 절단부에 근접하여, 펄아암(pawl arm)은 주로 길이방향으로 뻗는 슬롯트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향요동 콘베이어부의 상기 연결로드의 단부에 의하여 계합된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펄아암은 제어핀을 거쳐 감응로울러의 작동에 의하여 요동되도록 하여 주고 또한 연결로드를 거쳐 하향요동부의 감응로울러에 의하여 요동되도록 하여 준다.
움직이는 하중체를 배출하기 위한 최종콘베이어부를 재시동시킨다는 견지에서 보면, 적어도 최종 콘베이어부는, 콘베이어의 배출단에서, 펄아암과 각개 감응로울러와 아암시스템이 상기 제어펄이 클럿치의 상기 라디알 제어캠에 계합되지 않는 위치속으로 유도되도록 정렬되는 활성화부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된 적치용 콘베이어는 다수의 콘베이어부분 A, B, C... 등으로 나누어 지고, 이 부분들은 상호간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이송용 로울러 4를 갖고 있다. 각 콘베이어부분 A, B, C... 등도 또한 장착된 클럿치를 거쳐 각기 통상의 구동모터에 연결된다. 또한 콘베이어 2는 화물들을 적치하기 위해 일렬로 정렬되는데 예컨데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8가 콘베이어부분 A 에 대향되는 장입단부(charging end)에서 콘베이어 2위에 놓이든가, 또는 깔판으로 이루어진 팔렛트 콘테이너 8가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콘베이어 2의 측면으로 부터 빈부분위로 놓여질 수 있게 하든가 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 콘베이어부분 A, B, C... 에는 감응로울러(sensing roller)10가 구비된다. 이 감응로울러 10는 이송로울러 6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또한 이송로울러 6에서 클럿치 40과 제어연결(control connection)을 갖는다. 이 제어연결은, 예컨대 콘베이어 부분 A, B, C의 감응로울러 10가 콘베이어 부분이 그 이동방향으로 아랫쪽 끝부분으로 하적작용으로 흔들거리며 내려갈 때 그 아랫쪽 부분에서 대응되는 감응로울러가 또한 하적부분 예컨대 팔렛트 콘테이너 8에 의해 흔들거리며 내려갈 경우에만, 구동모터와 계합되어 있는 구동계합부로 부터 해제분리된다. 이는 콘테이너 C 부분에서 도시된 팔렛트 콘테이너 8 가 움직임 상태에서 C 부분의 아랫쪽 단부에 있는 감응로울러 10상에 작용하고 또한 이를 분리함을 의미하는데 B부분의 감응로울러 10가 이미 흔들리면서 내려간 후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A부분만이 약간 다른데 그 이유는 A부분의 감응로울러 10의 기능이 그 성질로 보아 아랫쪽 흐름부(downstream section)의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콘베이어 A부분은 제2도의 특수 가동부재(activation member)42로 이루어져 감응로울러 10의 꼭대기 위에 화물이 놓여짐에도 불구하고 A부분을 가동하도록 하는데, 예컨데 적치 콘베이어 2로 부터 화물을 방출할때는 A부분의 아랫쪽에 설치한 별도의 로울러 콘베이어를 거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그것이다. 화물에 맞추어 예컨데 B, B... 부분의 윗쪽에 있는 팔렛트 콘테이너 8가 자동적으로 콘베이어상의 아랫쪽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도에서 나타낸 A부분은 두 개의 이송로울러 4와, 제3도에서와 같이 장착클럿치 40를 가진 이송로울러 6으로만 축소된 형태로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콘테이너 부분 A, B, C... 등은 다수의 이송로울러 4로 이루어지는데, 이 이송로울러는 실제 사용에 따라 갯수를 정해지는 것으로, 환언하면 그 이송로울러의 실제길이 라든가, 예컨데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8의 규격이라든가 등은 사용시 정해진다.
감응로울러 10는 아암시스템(arm system)14의 수직아암부재 12들 상기에 직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아암시스템 14은 아암부재 16에 의하여 이송로울러 6위로 서있는 것과 같은 횡 바아(transverve bar) 20위에 용접되는 수직지지대 18상에서 피봇팅 가능하게 걸려져 있다. 상기 수직 아암부재 12의 반대편 아암부재 16 쪽으로 떨어진 거리에서, 아암시스템 14은 원통형강체(solid cylindric steel body)의 형태로 횡으로 된 역하중체(transverse counter weight) 22를 구비하고 있다. 콘베이어 2의 측면에서 그리고 아암부재 12 중의 하나의 낮은 저단부 근처에서 아암시스템 14은 조정가능한 제어핀(protruding adjustable control system) 24을 돌출케 하는 측부통로를 갖고 있다. 또한 아암부재 14의 어느 하나와 역하중체 22 상기에는 아암시스템 14이, 그 반대편 단부가 B부분의 피봇팅 가능한 펄아암(pswl arm) 30의 슬롯트홈(slot) 28에 계합되는 연결롯드(linking rod) 26와 피봇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콘베이어부의 상방에 연결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유사한 팻션에서 B부의 아암시스템 14은 C부의 펄아암 30과 제어연결을 가진다.
A부도 또한 펄아암 30(제2도 ∼ 4도)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펄아암 30은 횡바아 20의 일측에 용접한 경사진 캐리어 아암(sloping carrier arm) 32 위에 피봇팅 되어 있다. 이 펄아암 30은 제어핀 24에 계합되는 절단부 34를 가진 날렵한 가위머리 형태를 하고 있다. 상기 펄아암 30은 제어핀 24에 의해 그 무게중심이 전환점, 즉, 펄아암 30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핀 24과 절단부 34 상기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자동적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전환점에 걸리게 한다. 절단부 34의 반대편에는 펄아암 30이 제어펄 36을 구비하고, 이 제어펄 36은 펄아암 30의 위치에서 이송로울러 6 속으로 구축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의 클럿치 40의 라디알 제어캠(radial control cam) 38의 회전경로의 상부와 회전경로의 속으로 뻗는다. 펄아암 30의 위치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응로울러 10와 아암시스템 14에 대응하고, 이 아암시스템 14은 제1도의 A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하적물의 운동에 따라 작동된다.
제4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펄아암 30은 제어펄 36이 클럿치 40의 제어캠 38의 회전경로 속으로 뻗어가지 않는 위치를 점할 수 있는데, 환언하면 작업에 들어갈 A부에 대응된다. 이 펄아암 30의 위치는 제어핀 24의 활동에 좌우되는데, 즉, 아암시스템 14이 감응로울러 10위로 존재하는 하중이 없기 때문에 감응로울러 10가 콘베이어 통로속으로 들어갈 여지가 있을 때에는 제어핀의 운동에 따라 펄아암의 위치가 결정되거나, 또는 제2도에서 도시된 예와 같이 직상방으로 상향하는 힘을 가진 펄아암 30상의 운동으로 위치가 결정되는데, 이는 필요시 A부가 연결된 외부 콘베이어를 거쳐 하중체를 방출하기 위해 가능한 가동 실린더(activation cylinder) 42에 의해 수행된다. 펄아암 30의 강제제어는 A부가 비워질 때까지, 즉 하중체가 A부에서 감응로울러 10을 통과할때까지 강제제어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펄아암 30의 상향 요동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감응로울러 10의 요동에 의하여 얻어지고 또한 하향 시스템 14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예컨데, A부에서 연결로드 26가 상향요동부의 펄아암 30의 슬롯트홈 28에 계합되면 자동적으로 대응되는 제어캠 38과의 계합부 밖으로 펄아암 30을 움직이고, 도면 제2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좌우로 일정거리로 움직이는 연결로드 26에 의하여, 펄아암 30의 하부에서 잡아당김으로 작용하여 점선위치로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이 펄아암 30은 대응되는 클럿치 40의 제어캠 38과의 계합부를 벗어나 흔들거리면서 요동된다.
하중체의 정규적치인 경우, 예컨데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 8가 비거나 또는 일부 빈 적치용 콘베이어 상에서 본 발명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 가능하다. 최선단의 하적이 A부에 도착되고 감응로울러 10상에서 아래로 요동되면, A부의 펄아암 30은 즉시 클럿치 제어캠 38과 계합된 계합부속으로 요동되고 A부에서 정지된다. B부의 펄아암 30은 B부의 클럿치 제어캠 38과의 계합부 밖에서 남게 되는데 이는 B부에서 펄아암 30이 제어된 24와 절단면 34의 상부 플랜지 상기의 계합에 의하여 펄아암의 요동단부에서 클럿치 제어캠으로 부터의 요동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상태에서만 가능한데, 이는 연결로드 26와 펄아암 30상기의 계합이 슬롯트홈 28을 거쳐 만들어지고, 이는 B부에서의 펄아암의 사전정치(pre-setting)를 가능케 한다. 다음, 제2하중체가 B부에서의 감응로울러 10상에서 작용하면, B는 펄아암 30에 의해 풀어지며, 이 펄아암 30은 제어핀 24의 동작으로 클럿치 제어캠 38의 회전경로속으로 요동된다. B부에서의 감응로울러의 하향요동에 의하여 C부에서의 펄아암 30은 이에 대응되어 사전정치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의 콘베이어부 A, B, C에 있는 이송로울러 6속으로 장착되는 클럿치 40는 이송로울러 6에 대해 이송차축 46상에서 내부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연결슬리브(connector sleeve) 48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구조로 되는 클럿치허브(clutch hub) 44와, 상기 연결슬리브 48 밖에서 이송되는 클럿치허브 44와 구동체인 52와 영구적으로 구동계합되는 체인휠 형상으로 되고, 후자는 A, B, C부에 대한 대응되는 구동휠 50을 따라 달리는 구동휘일 50과 제2도의 체인휠 54의 전회를 거쳐 모터받침판 60상의 구동모터의 체인 드라이브(chain drive) 58 및 조임휠 56로 크게 나누어 구성된다.
연결슬리브 48의 일단부는 이송로울러 6의 단부내에 고정되고 이에 반하여 연결슬리브 48의 반대편 단부는 이송로울러 6의 외측에서 링몸체 62를 구비하는데, 이는 연결슬리브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고 그 속에서 상기 반원상의 돌출형 제어캠 38이 형성되고 고정된 체인휠 64과 더불어 형성되며, 이송로울러 6는 다른 이송로울러 4에 계합되어 계속 구동된다. 제3도에 나타나 있는 연결슬리브 48와 클럿치허브 44 상기에서 후자는 반원형의 돌출단부를 가진 코일스프링 66형으로 되는 클럿치 작동부재에 의해 둘러 싸이고, 소위 짧은 단부 68는 이송로울러 6의 내측에 고정되는 연결슬리브 48의 단부에 있는 반원형 구멍과 계합하며, 소위 긴 단부 70는 이송로울러 6의 외측에서 연결슬리브 48의 벽에 있는 굽은 슬롯트홈을 거쳐 링몸체 62와 계합된다.
코일스프링 66은 자유롭게 클럿치허브 44에 제동을 걸러나 클럿치허브에 계합 가능하도록 칫수가 정해지고, 주위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각각의 단부 68 및 70를 이송시키므로서 내측으로 팽창가능케 되고, 또한 클럿치허브에 관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한다. 즉, 스프링 체결밴드에 대응하는 체결기능을 가지고 통상 튜브편(tubing stub)위에서 지지호스로 사용되기도 한다.
클럿치 40는 적치 콘베이어 2가 작동중에 있을 경우에는 클럿치허브 44가 영구히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구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펄아암 30의 제어펄 36과 제어캠 38의 하나의 상기에서의 계합에 의하여, 즉, 감응로울러 10의 하향요동에 의하여 링몸체 62가 코일스프링 66의 긴단부 70에 의하여 회전됨을 방지하고, 이는 링몸체 62와 같이 조합되어 코일스프링 66의 짧은 단부 68로 향하여 주위방향으로 이송되며, 연결슬리브 48과 계합하며, 전자의 내경은 이에 따라서 커지게 되므로 클럿치허브는 다른 부분의 이송로울러 4와 더불어 정지하는 이송로울러 6에 관하여 자유로이 회전한다.
코일스프링 66은 회전경로를 통하여 링몸체 62가 약 15°로 맞추어져 유지될 때 클럿치가 작동하도록 칫수가 정해진다. 즉, 연결슬리브 48의 벽안에서 주위로 굽은 슬롯트(bent slot)의 길이는 적어도 대응되는 상기즈를 가진 원호의 너비이상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매우 간편하고도 확실한 제어동작을 갖고 아울러 경제성과 핸들링에 편리한 콤팩트화 한 적치용 콘베이어가 얻어질 수 있다.

Claims (5)

  1. 다수의 콘베이어부(A, B, C...)로 구성되고 이 콘베이어부는 상호 연결구동되는 이송로울러(4)를 가지며, 이 이송로울러 위에는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8
    )와 같은 하중체가 실려서 이송가능하게 되거나 지지가능하게 되고, 콘베이어(2)는 구동체인(52)에 의하여 통상의 구동모터와 구동체인(52)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구동체인은 상기 이송로울러(6)속으로 장착되는 클럿치(40)와 구동휠(50)을 거쳐 각 콘베이어부(A, B, C...)의 이송로울러를 구동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클럿치는 콘베이어부에 위치되는 하중체를 정렬하고 점검하는 점검부재(detecting member)(10)와 연결되어 상향요동 콘베이어부(upstream conveyor section)(B, C...)로 되는 적치용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클럿치는 상기 이송로울러(6)의 단부에서 이송차축(46)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지지되는 클럿치허브(clutch hub)와 상기 구동휠(50)을 나르는 운반체로 구성되고, 상기 클럿치허브는 이 클럿치허브(44)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상기 이송로울러의 단부 내측에 수납되는 연결슬리브(48)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상기 연결슬리브는 반원형으로 외향돌출한 제어캠(38)을 가진 링몸체(6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인접 이송로울러에 계합구동되는 기어휠(64)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클럿치허브(44)와 연결슬리브(48)상기에는 클럿칭부재(66)가 구비되어 상기 링몸체(62)가 제어펄(controlling pawl)(36)과 상기 제어캠(38)의 어느 하나의 상기에서 외부계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럿치허브(44)를 해제하도록 정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치용 콘베이어(An accumulation conveyo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럿치부재는 반원형으로 돌출된 단부(68)(70)를 가진 코일 스프링(66)으로 구성되고, 이 코일스프링(66)은 자유조건하에서 스프링 클램핑 밴드(spring clamping band)형으로 칫수를 가지며, 또한 이 코일스프링(66)은 클럿치허브(44)를 클럿칭시키고 계합시키며 상기 돌출단부(68)(70)를 상기 코일스프링의 주위를 따라 상호 대향하여 이동시키며, 상기 코일스프링(66)은 클럿치허브(44)로 부터 해제가능하며, 코일스프링(66)의 짧은 돌출단부(68)로서 연결슬리브(48)의 부분에 있는 라디알 구멍(radial hole)에 계합되며, 상기 연결슬리브는 이송로울러(6)의 내측에 재치되며 그 반면 코일스프링(66)의 긴 돌출단부(70)는 이송로울러(6)의 상기 단부 바깥에서 연결슬리브(48)의 벽에서의 굽은 슬롯트 홈(bent slot)을 거쳐 상기 링몸체(62)에 계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치용 콘베이어.
  3. 상기 점검부재와 상기 클럿치 상기의 제어연결을 위해, 상기 상향요동 콘베이어부(B, C...)는 견고한 연결로드(26)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 속에서 상기 점검부재는 클럿치(40)가 그 속에서 정렬되는 이송로울러(6)의 하향배열로 되는 피봇팅 가능하게 회전지지되는 감응로울러(pivotably journaled sensing roller)(10)로 구성되는 상기 제1항 및 제2항에 기재된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감응로울러(10)는 피봇팅 가능하게 회전지지되는 아암시스템(14)의 아암부재(12)들 상기에서 설치되고 상기 아암시스템은 콘베이어부(A, B, C...)의 일측에서 피봇가능하게 회전지지되는 펄아암(30)의 절단부(34)에 계합되는 측부로 돌출된 제어핀(24)을 가지며 상기 펄아암은 상기 절단부(34)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어펄(36)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펄(36)이 클럿치(40)의 상기 링몸체(62)의 상기 라디알 제어캠(radial control cam)(38)의 회전경로 속으로 뻗는 위치와 상기 제어펄(36)이 상기 회전경로 속으로 뻗지 않는 위치 상기에서 요동되어 정렬되며, 상기 펄아암의 무게중심은 제어핀(24)과 펄아암(30)상기에서의 계합이 이루어질 때 펄아암(30)이 앞서 언급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들어가도록 해주고, 상기 아암시스템(14)은 역하중체(counter weight)(22)로 구성되며, 통상 상기 이송로울러(6)의 상향요동으로 위치되고, 감응로울러(10)가 이송경로 속으로 상향요동되도록 하며, 연결로드(26)에 의하여, 아암시스템(14)은 상향 콘베이어부(B, C...)의 대응되는 펄아암에 연결되므로서 상향요동 콘베이어부(B, C...)에서의 펄아암(30)이 하향요동 콘베이어부(A)의 감응로울러가 팔렛트 콘테이너(pallet container)(8)과 같은 하중체의 역할에 의해 요동될 때에만 대응되는 제어캠에 계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치용 콘베이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근접하여, 펄아암(30)은 주로 길이방향으로 뻗는 슬롯트홈(28)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향요동하는 콘베이어부(A)의 상기 연결로드(26)의 단부에 의하여 계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치용 콘베이어.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최종 콘베이어부(A)는, 콘베이어(2)의 배출단에서, 펄아암(30)과 각개 감응로울러(10)와 아암시스템(14)이 상기 제어펄(36)이 클럿치의 상기 라디알 제어캠(38)에 계합되지 않는 위치속으로 유도되도록 정렬되는 활성화부재(activation memb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치용 콘베이어.
KR1019910700987A 1989-03-01 1990-02-28 적치용 콘베이어 KR0165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0973/89 1989-03-01
DK973/89 1989-03-01
DK097389A DK161591C (da) 1989-03-01 1989-03-01 Akkumuleringstransportoer
PCT/DK1990/000057 WO1990009940A1 (en) 1989-03-01 1990-02-28 An accumulation convey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017A KR920701017A (ko) 1992-08-10
KR0165551B1 true KR0165551B1 (ko) 1998-12-01

Family

ID=809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987A KR0165551B1 (ko) 1989-03-01 1990-02-28 적치용 콘베이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168979A (ko)
EP (1) EP0461164B1 (ko)
KR (1) KR0165551B1 (ko)
AT (1) ATE105823T1 (ko)
AU (1) AU5263590A (ko)
BR (1) BR9007179A (ko)
CA (1) CA2046347A1 (ko)
DE (1) DE69009046T2 (ko)
DK (1) DK161591C (ko)
ES (1) ES2056454T3 (ko)
WO (1) WO1990009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610A (en) * 1986-09-10 1988-11-08 Marketing Displays, Inc. Display assembly with illumination system
US4958458A (en) * 1987-03-13 1990-09-25 Marketing Displays, Inc. Poster display device with longitudinal retention of frame sections by inserts
DE19921165C2 (de) * 1999-05-07 2002-11-14 Wtt Foerdertechnik Gmbh Rundriemen-Rollenbahn
US6435035B1 (en) * 1999-11-23 2002-08-20 Jervis B. Webb Company Chain tens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DE10240794A1 (de) * 2002-08-30 2004-03-11 Grob-Werke Burkhart Grob E.K. Transport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Werkstücken
US20060260913A1 (en) * 2005-05-20 2006-11-23 Wolf Stephen C Retractable multiple-stage trailer loader/unloader apparatus
US7364035B2 (en) * 2005-05-25 2008-04-29 Dematic Corp. Airless accumulation conveyor
DE102015204733A1 (de) * 2015-03-16 2016-09-22 Voith Patent Gmbh Fördereinheit, insbesondere Bandfördereinheit, Förderanordnung und Verwendung
US11958692B2 (en) * 2022-07-08 2024-04-16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Conveyo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7568A (en) * 1969-01-10 1970-11-03 John M Leach Article handling conveyors
DE2519374C2 (de) * 1975-04-30 1986-01-09 Interroll-Fördertechnik GmbH & Co KG, 5632 Wermelskirchen Abschaltbare Treibrolle für Rollenförderbahnen
US4362238A (en) * 1980-04-10 1982-12-07 Mid-West Conveyor Company Selective drive arrangement for roller conveyor
US4406360A (en) * 1980-12-22 1983-09-27 Conveyersmith, Inc. Accumulating conveyer
SE427020B (sv) * 1981-02-26 1983-02-28 Sirefelt Lars Kopplingsanordning for till- eller frankoppling av foretredesvis en drivrulle for rulltransportorer
FR2510528B1 (fr) * 1981-07-30 1987-04-30 Jaffre Felicien Perfectionnements aux transporteurs a rouleaux avec accumulation de charges
GB8406923D0 (en) * 1984-03-16 1984-04-18 Dexion Comino Int Ltd Accumulation conveyors
DE3663649D1 (en) * 1985-02-16 1989-07-06 Garwood Ltd Conveyors
IT1186594B (it) * 1985-07-12 1987-12-04 Dugomrulli Srl Trasportatore a rulli motorizzati per la realizzazione di corsie di alimentazione con stazioni di sosta
SE462483B (sv) * 1987-02-19 1990-07-02 Lars Sirefelt Aktiveringsdon
US4798282A (en) * 1987-11-17 1989-01-17 Hitech Robotics Ltd. Zoning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46347A1 (en) 1990-09-02
DK161591B (da) 1991-07-22
BR9007179A (pt) 1991-11-26
US5168979A (en) 1992-12-08
WO1990009940A1 (en) 1990-09-07
DE69009046D1 (de) 1994-06-23
KR920701017A (ko) 1992-08-10
ATE105823T1 (de) 1994-06-15
DK97389D0 (da) 1989-03-01
DE69009046T2 (de) 1994-09-15
EP0461164A1 (en) 1991-12-18
ES2056454T3 (es) 1994-10-01
AU5263590A (en) 1990-09-26
DK97389A (da) 1990-09-02
EP0461164B1 (en) 1994-05-18
DK161591C (da) 199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551B1 (ko) 적치용 콘베이어
EP0614834B1 (en) Package transporting and loading system
CN110182524A (zh) 一种配网应急物资智能化储备库
KR100990485B1 (ko) 가스용기의 적재 및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JPH06171743A (ja) 小口貨物用運搬装置の台車
JPH0826485A (ja) タイヤの移載装置及び方法
KR101000432B1 (ko) 과일 트레이 이송기의 과일 적재 트레이 정지 및 빈 트레이 자동반출방법 및 장치
JP3954930B2 (ja) 空容器の三つ組装置
CN114226261B (zh) 行李输送分拣***以及行李自动输送分拣方法
US20050220580A1 (en) Dual mode stack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950001819B1 (ko) 포대 다단적재용 콘베이어
CN209455742U (zh) 一种成型机半制品小车导开机构
JP3455883B2 (ja) パレット式アキュームレートストックコンベヤ
US5096245A (en) Package palletizing system
US4052837A (en) Multiple pouch bagging apparatus
JP3783569B2 (ja) 荷高検出装置
SU14758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штучной выдач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грузов
JP3573306B2 (ja) 移載装置
JP3684827B2 (ja) コンベア装置
US2792102A (en) Elevating and conveying apparatus
JP7242269B2 (ja) 機械式駐車装置
CN210635332U (zh) 一种异型烟包装机翻转装置
SU11211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кладки изделий в тару
JP2018111587A (ja) 搬送装置
JPS614268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