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154B1 -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 Google Patents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154B1
KR0162154B1 KR1019950009038A KR19950009038A KR0162154B1 KR 0162154 B1 KR0162154 B1 KR 0162154B1 KR 1019950009038 A KR1019950009038 A KR 1019950009038A KR 19950009038 A KR19950009038 A KR 19950009038A KR 0162154 B1 KR0162154 B1 KR 016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sleeve
press
latching devic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654A (ko
Inventor
스타인캄프 크리스토프
클라이넨스 베른트
Original Assignee
외르겐 에스. 라스무쎈
라스무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외르겐 에스. 라스무쎈, 라스무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외르겐 에스. 라스무쎈
Publication of KR95002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입 연결기를 삽입측으로부터 취급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삽입되어있는 유체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압입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압입 연결기는, 반경방향 구멍(12, 13)이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5), 보유리브2(2)의 후방을 붙잡기 위한 후크(20)와 반경방향 외측의 경사면(21)이 설치되고, 슬리브(5) 내에 압입할 수 있는 보유아암(18)을 지니는 래칭디바이스(6)을 지닌다. 슬리브(5)와 래칭디바이스(6)이 서로 떨어지도록 움직이는 경우, 경사면(21)은 후크(20)를 수용하는 구멍(12)의 전방 에지에, 압착되기 때문에, 후크(20)은 보유리브(2)에 대응하여 한층 단단하게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래칭디바이스(6)와 삽입되어 있는 유체관이 떨어지도록 당겨질 경우, 후크(23)의 반경방향 내부 경사면(23)은 보유리브에 접촉하고, 보유아암(18)이 확대되어, 보유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제1도는 압입 연결기에 삽입된 유체관이 보유리브를 지니는 파이프 소켓의 형태로써, 유체관이 압입 연결기의 타단부에 압착되어, 그곳에 단단하게 클램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 연결기를 도시하는 축방향 단면도이다. 또, 다른 도면은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유체관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압입 연결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압입 연결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압입 연결기를 그것의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제3도에 도시하는 압입 연결기에 대하여 90°회전한 위치에서 바라본 압입 연결기의 측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선 VI-V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제8도는 슬리브를 그것의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제7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대하여 90°회전한 위치에서 바라본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 연결기의 래칭디바이스로써,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선 IX-IX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래칭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제11도는 래칭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선 XII-X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 회전각도의 위치에서 바라본 래칭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 연결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제15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 연결기의 조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것의 사용이 있는 여러 가지 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9도 내지 제21도는 결합될 유체관의 서로 다른 폭 또는 서로 다른 치수공차를 지니는 보유리브와 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 연결기의 서로 다른 보유아암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유체관 2 : 보유리브
5 : 슬리브 6 : 래칭디바이스
12, 13 : 반경방향 구멍 18 : 보유아암
19 : 보유해제아암 20 : 후크
30 : 돌기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보유리브(retaining rib)가 설치되어 있는 1개의 유체관과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push-fit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연결기는 반경방향 구멍(aperture)이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sleeve);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보유아암(retaining arm)이 설치되어 있으며, 슬리브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원통형 래칭디바이스(latching device); 및 슬리브의 내측 쇼울더(inner shoulder)와 래칭디바이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씨일링 링(sealing ring)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보유아암은 후크(hook)를 지니고, 후크의 자유단부(free end)는, 래칭디바이스 내에 축방향을 삽입된 상기 1개의 유체관의 보유리브의 후방을 붙잡기 위한 형으로 되고, 상기 후크의 자유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외측의 경사진 표면과, 반경방향으로 내측의 경사진 표면이 설치되고, 슬리브와 래칭디바이스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표면은 슬리브 구멍의 전방 에지에 압착되고, 상기 구멍은 후크의 반경방향 외측의 부분을 축방향으로 수용하며, 결과적으로 관계있는 후크는 보유리브와 대응하여 한층 단단하게 맞물린 그대로 있게 되고, 래칭 디바이스 및 삽입된 유체관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경사면은 보유리브에 접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보유아암은 해제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되어 있는 형태의 종래의 압입 연결기(EP 465 896 B1)에 있어서, 래칭 디바이스는, 그것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flange)를 지닌다. 보유아암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동안에, 1개의 유체관을 인출하고, 래칭디바이스로부터 연결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래칭디바이스를 손으로 잡아서 플랜지의 외측으로 끼우고, 축방향 내측으로 밀어서 슬리브에 끼우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압입 연결기를 전방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취급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그것은 그렇지 않은데, 예를 들어, 래칭 디바이스에 삽입된 유체관이, 하우징, 예컨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motor vehicle radiator)와 같은 하우징(housing) 상에 성형된 파이프소켓(pipe socket)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 경우, 압입 연결기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가, 래칭디바이스의 플랜지를 손으로 편안하게 잡기에는 너무 짧을 때가 종종 있다. 파이프소켓을 보다 길게 하고, 보유리브를 라디에이터 하우징으로부터 큰 간격을 두고 제작하는 것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입 연결기를 삽입측으로부터 취급할 수 없는 경우에도, 압입 연결기에 삽입되어 있는 유체관의 연결을 한층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압입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래칭디바이스에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보유아암 사이에 적어도 1개의 보유해제아암(unlatching arm)이 설치되고, 그러한 아암이 축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한 구멍 중 1개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라서 해결된다.
이러한 보유해제아암에 의해, 다른 물체로부터 대단히 짧은 거리의 장소, 또는 전혀 거리를 두지 않은 장소에 슬리브가 있는 경우에도, 삽입되어 있는 유체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래칭디바이스를 슬리브의 내부 측방향으로 더욱 압착시킬 수 있다.
래칭디바이스에 링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링 위에 보유아암 및 보유해제아암이 축방향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재료가 절약되고, 래칭디바이스가 슬리브의 축방향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래칭디바이스를 슬리브 내로 완전하게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슬리브와 래칭디바이스를 삽입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까지 밀 수가 있기 때문에, 유체관을 형성하는 파이스소켓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래칭디바이스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보유아암과 보유해제아암 중 저어도 하나는, 관계하는 구멍의 후방 에지와 접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반경방향 접촉면을 설치하는 것도 유리하다. 이러한 삽입제한은, 조립중에 래칭디바이스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개의 유체관을 래칭디바이스 내로 삽입하는 동안에, 그러한 삽입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슬리브 내의 래칭디바이스의 위치변동에 의해 씨일링링이 압착되지 않도록 한다. 더 나아가, 씨일링링을 위한 링을 씨일링링과 래칭디바이스 사이에 축방향으로 보유할 필요가 없다.
후크의 반경방향 내측에 보유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리세스의 축방향 외부의 내측은 만곡된 형의 반경방향 내부 경사면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상기 리세스의 축방향 내부의 내측은 반경방향면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며, 상기 리세스의 크기는, 리세스의 축방향 폭의 오차(tolerance)와는 무관한 것으로써, 보유리브를 간극(clearance)없이 리세스가 수용하게 되는 크기로 한다.
각각의 보유해제아암은, 그것이 수용되는 구멍의 영역에 있어서, 슬리브의 원통형 외면을 초월하여 돌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삽입되어 있는 유체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그것을 손으로 잡는 것이 용이하고, 래칭디바이스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유해제아암을 수용하는 각각의 구멍의 양측에 슬리브의 길이방향축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편평하게 된 영역을 슬리브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보유해제아암은 상기 편평하게 된 영역을 초월하여, 가능한한, 구멍의 축방향에 인접하는 양쪽 측면에 있어서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슬리브면내, 직경이 짧은 쪽의 1개의 슬리브면까지 연장하고,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보유해제아암의 부분과, 직경이 긴 쪽의 슬리브 표면과의 사이에, 보유해제공구를 삽입하기 위하여 축방향에 중간 스페이스를 존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포크렌치(fork wrench)와 같은 공구에 의해 래칭디바이스를 위치이동시킬 수도 있다.
슬리브의 길이방향축에 관하여 직경의 양측에 2개의 보유해제아암이 설치된 경우에는,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한 손으로, 또는 포크렌치와 같은 공구로 그러한 아암을 동시에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힘이 압입 연결기에 가해질 때, 2개의 보유아암은 압입 연결기의 반경방향 위치 변동에 대하여 넓은 범위까지 대항한다.
보유해제아암은 탄성적으로 구부릴 수 있고, 보유리브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상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내면을 그러한 아암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내면은 보유해제아암의 자유단부를 향하여 경사면으로 변화한다. 보유해제 아암의 이러한 구성은, 압입 연결기의 반경방향 위치이동을 저지하기도 하고, 그럼으로써, 래칭디바이스에 삽입되어 있는 유체관을 안내하기도 한다. 그럼으로써, 보유해제아암의 자유단부의 경사면은 래칭디바이스로 유체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슬리브의 내부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횡돌기(lateral projection)를 후크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입 연결기의 축방향으로의 위치이동(lateral displacement)에 대한 보유아암의 저항이 증가한다.
각각의 보유해제아암의 자유단부에 반경방향 외측 경사면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래칭디바이스에 삽입되어 있는 유체관이 파이프라인의 내압 때문에 축방향 외측으로 압력을 받을 때에, 그것은 보유리브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도 압력을 받는다. 그렇게 하면, 보유아암은 삽입되어 있는 유체관을 축방향으로 보유하는 것에도 기여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압입 연결기는, 연속외부보유리브(2)가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소켓 형의 유체관(1)을, 플라스틱제 호스 형상의 유체관(4)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유체관(1)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의 하우징(3)에 성형된다. 이러한 압입 연결기는 원통형 슬리브(5), 래칭디바이스(6), 보유링(9)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O-링 형상의 2개의 씨일링 링(7, 8) 및 장력을 줄 수 있는 호스밴드클립(tensionable hose band clip; 10)으로 구성된다. 호스밴드클립(10)은, 호스(4)의 주위에서 고정되고, 호스를 슬리브(5)의 리브부착단부(ribbed end section; 11)에 단단하게 클램프(clamp)하는 클램프 슬리브 또는 그것과 유사한 클램프이다.
슬리브(5)의 타단부의 외면에는 4개의 장방형의 반경방향구멍(12, 1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구멍은 슬리브(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구멍(12, 13)이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5)의 단부의 직경은, 슬리브(5)의 링(7, 8, 9)을 수용하는 슬리브(5)의 인접 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는 반면, 단부(11)에 인접하는 슬리브(5) 부분의 내경은 유체관(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단부(11)의 내경은 유체관(1)의 내경과 같다. 제3도, 제4도 및 제6도 내지 제8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슬리브(5)의 각각의 구멍(13)의 양측 외부에는 편평한 영역(flattened area; 14)이 설치된다. 상기 영역(14)은 슬리브의 길이방향축을 횡단하여 연장한다. 구멍(12) 및 (13)의 양측에는 직경이 다른 원통면(15, 16)이 설치된다. 슬리브(5)의 단부에 가까운 표면(16)의 직경은 표면(15)의 직경보다 크다.
특히 제9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래칭디바이스(6)는 폐쇄링(closed ring; 17),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2개의 보유아암(18) 및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2개의 보유해제아암(19)으로 구성된다. 링(17), 보유아암(18) 및 보유해제아암(19)은 래칭디바이스(6) 에 성형된다. 각각의 보유아암(18)의 자유 단부에는, 유체관(1)이 래칭디바이스(6)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될 경우에, 보유리브(2)를 붙잡기 위한 후크(20)가 설치된다. 후크(20)의 자유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표면(21)이 설치되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리세스(22)가 설치된다. 상기 리세스의 축방향 외부 내측은 만곡된 형(curved shape)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표면(23)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상기 리세스의 축방향 내부 내측은 만곡된 형의 반경방향 표면(24)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상기 리세스의 크기는, 보유리브의 축방향 폭의 허용오차와는 무관한 것으로써, 보유리브(2)를 간극없이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각각의 후크(20)의 자유단부에 인접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표면(25)이 설치되고, 래칭디바이스(6)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멍(12)의 후방 에지에 접촉하는 반경방향 접촉면(26)이 축방향 전단부와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후크(20)의 전단부에 있어서 각각의 보유아암에는, 슬리브(5)의 내측에 접촉하기 위한 횡돌기(27)가 설치된다. 각각의 보유아암(18)의 반경방향 내면(28)은 부분적으로 원통형이고, 그것의 직경은 유체관(1)의 직경에 대응한다.
보유아암(18) 사이에 보유해제아암(19)이 배치된다. 보유아암(18)과 보유해제아암(19)은 거의 원통형인 래칭디바이스(6)의 외주면에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분포되고, 그럼으로써, 2개의 보유아암(18) 및 그 후크(20)는, 보유해제아암(19)과 동일한 방법으로, 슬리브(5)의 길이축방향 또는 래칭디바이스(6)의 길이축방향에 관하여 직경의 양측에 배치된다. 후크(20)의 반경방향 외측의 부분은 슬리브(5)의 구멍(12) 내로 들어가서, 상기 구멍 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이동할 수 있는 반면, 보유해제아암(19)의 축방향 외측부분(29)은 구멍(13) 내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한다(특히 제4도 참조). 보유해제아암(19)의 축방향 외측부분(29)의 각각에는, 원통면(15)을 초월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30)가 설치되고, 축방향 외측부분(29)의 외측은 외접원 상에 배치된다. 상기 외접원의 직경은 표면(15)의 직경보다 작다. 축방향 외측부분(29) 및 돌기(30)는, 그것을 수용하는 구멍(13) 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이동할 수도 있다. 후크(20)와 같이, 축방향 외측부분(29) 및 돌기(30)는, 래칭디바이스(6)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구멍(13)의 후방 에지와 접촉하는 반경방향 접촉면(31)을 지닌다. 보유해제아암(19)은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보유리브(2)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와 접촉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내면(32)을 지닌다. 상기 내면(32)은 보유해제아암(19)의 자유단부를 향하여 경사면(33)으로 변환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보유해제아암(19)의 자유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의 경사면(34)이 설치된다.
제14도에 도시하는 압입 연결기는, 돌기(30a)가 돌기(30) 보다 작고, 표면(15)을 초월하여 돌출하지 않는 것만이, 제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하는 압입 연결기와는 다르다.
이하, 제15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제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하는 압입 연결기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체관(1)과 (4)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하는 유체관(4)이 연결되어 있는 압입 연결기는 유체관(1)에 삽입된다. 그런 다음 보유리브(2)는 후크(20)의 경사면(25)에 압착되고, 다시 한편으로는 보유아암(18)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고, 다른 한편 래칭디바이스(6) 전체를 제1도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밀어서, 보유아암(18)의 접촉면(26)과 (31), 또는 보유해제아암(19)이,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멍(12) 또는 (13)의 후방 에지에 놓이게 될 때까지, 슬리브(5) 내로 더 들어가게 된다. 이 위치에 있어서, 씨일링 링(7, 8)은 슬리브(5)의 내측 쇼울더(35)와 래칭디바이스(6) 사이에서, 씨일링 링(7, 8)이 압축되는 것 없이 둘러싸여진다.
압입 연결기와 유체관(1)을 함께 다시금 밀어줌으로써, 보유아암(18)은 후크(20)에 의해 보유리브(2)를 넘어 마지막으로 붙잡는다. 제15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확장에 의해 얻어지는 보유아암의 장력 때문에, 그러한 보유아암은 제16도에 도시하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되돌아온다. 제16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유체관(1)과 호스(4)는 서로 단단하게 연결되고, 유체관(1)은 그것이 측면이 여러 개의 점에서 안내될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슬리브(5) 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래칭디바이스(6)의 링(17) 및 보유아암(20)과 보유해제아암(19)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보유해제아암(19)은, 그것의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내면(32)도 또한 보유리브(2)의 외주상에 꼭맞추어짐으로써 지지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유체관(1)에 대하여 압입 연결기가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일이 없이, 연결은 반경방향의 큰 힘에도 견딘다.
제16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유체관(1)과 (4)의 내부압이 높아지게 되면, 슬리브(5)와 유체관(10이 축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과 같이, 유체관(1)과 (4)의 축방향 부품이 슬리브(5)와 유체관(1)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아암(18)의 경사면(21) 및 보유해제아암(19)의 경사면(34)이 구멍(12)와 (13)의 전방 내측 에지에 각각 충돌함으로써, 후크(20)와 보유해제아암(19)의 전방 단부는,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유리브(2)에 한층 더 강고하게 압착될 수 있게 한다. 유체관(1)과 (4) 사이의 연결을 분리하게 위하여, 제4도에 도시하는 표면(15)의 외주를 초월하여 돌출하고 있는 보유해제아암(19)의 돌기(30)를 손으로 잡을 수가 있고, 그런 다음 래칭디바이스(6)를 제16도에 도시하는 위치로 재차 밀려 되돌아올 수 있게 한다. 돌기(30)가 단단하게 보유되고 있는 동안, 압입 연결기 전체를 유체관(1)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고, 보유아암(18)은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장한다.
예를들어 포크렌치와 같은 공통공구를 사용하여 보유해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공구를 돌기(30; 제4도 참조)와 슬리브(5)의 전방 플랜지의 사이에, 슬리브(5)의 길이방향을 횡단하여 삽입하고, 보유아암(30)에 대하여 후방으로 민다.
안전대책을 위하여 많은 경우에 바람직한 예가 있으나, 수동에 의한 보유해제를 한층 더 어렵게 하기 위하여, 제14도에 도시하는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30a)가 표면(15)을 초월하여 돌출하지 않도록, 돌기(30a)는 짧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크렌치 등의 공구에 의한 보유해제는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압입 연결기는 하우징(3)으로부터 매우 짧은 거리의 장소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보유해제는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래칭디바이스를 오직 압입 연결기의 전방으로부터만 조작할 수 있는 종래의 압입 연결기와는 대조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유체관(1)을 형성하는 파이프 소켓을 대응하여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제19도 내지 제21도는 보유아암(18)과 유체관(1)의 협동을 도시한다. 허용오차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유체관의 보유리브(2)는 상이한 축방향 폭을 지닌다. 제19도에 도시하는 보유리브(2)는 제20도에 도시하는 것보다 약간 협소하고, 제20도에 도시하는 보유리브는 제21도에 도시하는 것보다도 다소 협소하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경사면(23)의 경사 또는 만곡 때문에, 보유리브(2)는 축방향 간극 없이 후크(20)의 리세스(22) 내에 확실하게 수용된다.

Claims (10)

  1. 적어도 1개의 보유리브(2)가 설치되어 있는 1개의 유체관(1)과 유체관(4)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push-fit connector)에 있어서, 반경방향의 구멍(12, 13)이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5);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탄성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보유아암(18)이 설치되어 있으며, 슬리브(5)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원통형 래칭디바이스(6); 및 슬리브(5)의 내측 쇼울더(35)와 래칭디바이스(6) 사이의 적어도 1개의 씨일링링(sealing ring; 7, 8)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보유아암(18)은 후크(20)를 지니고, 후크의 자유단부는, 래칭디바이스(6) 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상기 1개의 유체관(1)의 보유리브(2) 후방을 붙잡기 위한 형으로 되고, 후크(20)의 자유단부에는 반경방향 외부 경사면(21), 반경방향 내부 경사면(23)이 설치되며, 슬리브(5)와 래칭디바이스(6)가 서로 떨어지게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경우에, 상기 표면(21)은 슬리브(5)의 구멍(12)의 전방 에지로 압착되고, 상기 구멍은 후크(20)의 반경방향에 외부의 부분을 축방향으로 수용하며, 그럼으로써 관계있는 후크(20)는 보유리브(2)와 대응하여 한층 단단하게 맞물리게 된 그대로 있게 되며, 래칭디바이스(6) 및 삽입된 유체관(1)이 서로 떨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경우에, 상기 경사면(23)은 보유리브(2)에 접촉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보유아암(18)은 해제되는 방향에서 확장되는,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에 있어서, 래칭디바이스(6)에는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보유아암(18)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보유해제아암(19)이 설치되고, 그러한 아암은 축방향으로 위치이동할 수 있게 한 구멍(13)의 1개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디바이스(6)에 링(17)이 설치되고, 상기 링위에 보유아암(18)과 보유해제아암(19)이 축방향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3. 제1항에 있어서, 래칭디바이스(6)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보유아암(18)과 보유해제아암(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계하는 구멍(12, 13)의 후방 에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반경방향 접촉면(26, 3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4. 제1항에 있어서, 후크(20)의 반경방향 내측에 보유리브(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2)가 설치되고, 상기 리세스의 축방향 외부의 내측은 만곡된 형의 반경방향 내부 경사면(23)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상기 리세스의 축방향 내부의 내측은 반경방향면(24)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며, 상기 리세스의 크기는, 리세스의 축방향 폭의 허용오차와는 무관한 것으로써, 보유리브(2)를 간극없이 리세스가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유해제아암(19)은, 그것이 수용되는 구멍(13)의 영역에 있어서, 슬리브(5)의 원통형 외면을 초월하여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6. 제1항에 있어서, 보유해제아암(19)을 수용하는 각각의 구멍(13)의 양측에 슬리브(5)의 길이방향축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편평하게된 영역(14)이 슬리브(5)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13)을 통과하여 연장하는 보유해제아암(19)은 상기 편평하게된 영역(14)을 초월하여 가능한한, 구멍(13)의 축방향에 접촉하는 양쪽 측면에 있어서 직경이 상이한 2개의 원통형 슬리브면(15, 16)내, 직경이 짧은 쪽의 1개의 슬리브면까지 연장하고, 구멍(13)으로부터 돌출하는 보유해제아암(19)의 부분(30a)과, 직경이 긴 쪽의 슬리브 표면(16)과의 사이에, 보유해제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축방향의 중간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5)의 길이방향축에 관하여 직경의 양측에 2개의 보유해제아암(19)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8. 제1항에 있어서, 보유해제아암(19)은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보유리브(2)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 상에 끼워지기 위한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내면(32)이 설치되고, 상기 내면은 보유해제아암(19)의 자유단부를 향하여 경사면(33)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9. 제1항에 있어서, 후크(20)에는 슬리브(5)의 내부와 맞물리기 위한 횡돌기(2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유해제아암(19)의 자유단부에는 반경방향 외부 경사면(3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연결기.
KR1019950009038A 1994-04-18 1995-04-18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KR0162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4P4413346.4 1994-04-18
DE4413346A DE4413346C1 (de) 1994-04-18 1994-04-18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DE94-P4413346.4 1994-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654A KR950029654A (ko) 1995-11-24
KR0162154B1 true KR0162154B1 (ko) 1999-01-15

Family

ID=651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038A KR0162154B1 (ko) 1994-04-18 1995-04-18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11827A (ko)
JP (1) JP2616743B2 (ko)
KR (1) KR0162154B1 (ko)
CN (1) CN1047834C (ko)
AU (1) AU680110B2 (ko)
CA (1) CA2145930C (ko)
DE (1) DE4413346C1 (ko)
FR (1) FR2718822B1 (ko)
GB (1) GB2288646B (ko)
IT (1) IT12808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00Y1 (ko) 2017-06-29 2017-09-05 정소용 휴대용 질세정기
KR20230128823A (ko) 2022-02-28 2023-09-05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2유체 분사 노즐
KR20230130221A (ko) 2022-03-03 2023-09-12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2유체 분사 노즐
KR20230144321A (ko) 2022-04-07 2023-10-16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미스트 분사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1088B1 (fr) * 1994-06-10 1997-09-12 Bosch Gmbh Robert Raccord de conduites de carburant comportant un ajutage et un dispositif de son blocage axial dans le perçage de branchement.
BR9603177A (pt) * 1995-07-28 1997-09-09 Guest John D Acoplamento de tubo
DE19540279A1 (de) * 1995-10-28 1997-04-30 Balfo Verwaltungs Anstalt Anschlußstück für Profilrohre, Profilstutzen, Wellschläuche oder dergleichen Stränge
DE19543318A1 (de) * 1995-11-21 1997-05-22 Rasmussen Gmbh Verbindung einer Fluidleitung aus Kunststoff mit einem rohrförmigen Kupplungselement aus Kunststoff
JP2880453B2 (ja) * 1996-06-07 1999-04-12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DE19650601A1 (de) * 1996-12-06 1998-06-10 Raymond A & Cie Anschlußkörper für druckmittelleitende Steckverbindungen
US5882047A (en) * 1996-12-20 1999-03-1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fluid coupling
US5984378A (en) * 1996-12-20 1999-11-16 Itt Automotive, Inc. Inline quick connector
DE19704096C1 (de) * 1997-02-04 1997-12-11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DE19735491C1 (de) * 1997-08-16 1998-07-1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DE29900796U1 (de) 1998-04-03 1999-04-08 Geberit Technik Ag, Jona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Rohrstutzens, rohrförmigen Armaturenteils oder Fittings mit einem Rohr
FR2780765B1 (fr) * 1998-07-01 2000-09-29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ayant une piece monobloc formant un organe de verrouillage et une bague de blocage du joint
JP3674390B2 (ja) * 1998-07-09 2005-07-2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ィックコネクターカップリング及び雌ハウジング
DE19831897C2 (de) * 1998-07-16 2000-07-0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SE512411C2 (sv) * 1998-08-11 2000-03-13 Aba Sweden Ab Anordning för hopkoppling av två styva rörformiga föremål
EP1173700A4 (en) 1999-04-06 2003-05-02 Optimum Innovations Australia FLUID CONDUIT CONNECTOR
US6257626B1 (en) 1999-04-27 2001-07-10 Flow-Rite Controls, Ltd. Connector for fluid handling system
WO2002025054A1 (en) * 2000-09-22 2002-03-28 Ingersoll-Rand Company Quick release drill bit for down-hole drills
JP4522568B2 (ja) * 2000-10-26 2010-08-1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管コネクタ用プラグ
US20040124635A1 (en) * 2002-09-18 2004-07-01 Checkfluid Inc. Removable Quick Connection
DE10250421A1 (de) * 2002-10-30 2004-05-13 A. Raymond & Cie Verbindungselement
DE10322972B4 (de) * 2003-05-21 2013-12-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bindungselement
SE0303016L (sv) * 2003-11-14 2005-04-12 Aba Sweden Ab Anordning för hopkoppling av två styva rörformiga föremål
NO20040441L (no) * 2004-01-30 2005-08-01 Raufoss United As Koblingsdel til bruk i et system med strommende fluid, med i det minste þn koppformet hunndel.
US20050196231A1 (en) * 2004-03-03 2005-09-08 Mckay Frederick D. Quick-locking connector
DE102004053541A1 (de) * 2004-11-05 2006-05-11 Veritas Ag Kuppl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Leitungen und Kraft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Kupplungsvorrichtung
US20060108705A1 (en) * 2004-11-23 2006-05-25 Rowley William W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component fittings on extrudates
DE102005060135A1 (de) * 2005-12-16 2007-07-05 A. Raymond Et Cie Kupplung
GB2462230B (en) * 2006-07-19 2010-07-28 Discreteheat Company Ltd A radiator
JP5311795B2 (ja) * 2007-10-25 2013-10-09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管継手
RU2443933C1 (ru) * 2007-12-21 2012-02-27 Норма Свидн Аб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жестких объектов
JP5399409B2 (ja) * 2007-12-21 2014-01-29 ノルマ・スウェーデン・エービー 2つの硬質物体を接続するための装置
DE102008013565A1 (de) 2008-03-11 2009-09-17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Einsteckkupplung
JP5306868B2 (ja) 2009-03-23 2013-10-02 株式会社ニフコ パイプ連結用コネクタ
DE102009050076B3 (de) 2009-10-20 2011-04-07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Einsteckkupplung
JP5455872B2 (ja) * 2010-11-17 2014-03-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管継手およびバルブ装置
DE102011107186B3 (de) * 2011-07-14 2012-12-13 A. Raymond Aufnahmeteil einer Kupplung für eine Fluidleitung und Kupplung für eine Fluidleitung
DE102011085398A1 (de) * 2011-10-28 2013-05-02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einheit
US9283344B2 (en) * 2012-01-03 2016-03-15 Carefusion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fluid delivery connection
US8967209B2 (en) * 2012-03-29 2015-03-03 Superior Power Tool Co., Ltd. Adapter structure for a gas fuel bottle
DE102012107463A1 (de) * 2012-08-15 2014-06-12 Contitech Schlauch Gmbh Schnellverbindungsanordn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r Medienleitung mit einem Stutzen
CA2882577C (en) * 2012-09-06 2018-09-11 Kemkey, Llc Material transfer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material
JP7102505B2 (ja) * 2017-08-11 2022-07-19 ノーマ・ユー・エス・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固定検出を有する流体ラインコネクタおよびアセンブリ
US11306857B2 (en) 2017-08-11 2022-04-19 Norma U.S. Holding Llc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11199282B2 (en) 2017-08-11 2021-12-14 Norma U.S. Holding Llc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10962153B2 (en) * 2018-07-24 2021-03-30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Terminal component for plumbing configuration
CN112065825A (zh) * 2020-09-11 2020-12-11 浙江华东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分离式扳机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6580A (en) * 1988-03-01 1989-06-06 Scepte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Conduit connector
US4943091A (en) * 1988-04-07 1990-07-24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WO1993020379A1 (en) * 1992-04-02 1993-10-14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with one-piece retainer
JP2538385B2 (ja) * 1990-03-30 1996-09-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439492A (ja) * 1990-05-31 1992-02-10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DE4020171C1 (ko) * 1990-06-25 1991-12-05 Flexa Gmbh & Co Kg
US5284369A (en) * 1990-08-24 1994-02-08 Tokai Rubber Industries, Ltd. Quick connector
US5320390A (en) * 1991-11-29 1994-06-14 Tokai Rubber Industries, Ltd. Quick connector
DE4334529C2 (de) * 1992-10-15 1996-06-13 Furukawa Electric Co Ltd 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 flexibles Wellroh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00Y1 (ko) 2017-06-29 2017-09-05 정소용 휴대용 질세정기
KR20230128823A (ko) 2022-02-28 2023-09-05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2유체 분사 노즐
KR20230130221A (ko) 2022-03-03 2023-09-12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2유체 분사 노즐
KR20230144321A (ko) 2022-04-07 2023-10-16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미스트 분사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45930A1 (en) 1995-10-19
DE4413346C1 (de) 1995-08-17
ITTO950288A0 (it) 1995-04-12
AU1641395A (en) 1995-10-26
JP2616743B2 (ja) 1997-06-04
US5511827A (en) 1996-04-30
CN1118853A (zh) 1996-03-20
ITTO950288A1 (it) 1996-10-12
GB2288646B (en) 1997-12-10
FR2718822A1 (fr) 1995-10-20
GB9507754D0 (en) 1995-05-31
JPH07293771A (ja) 1995-11-10
CN1047834C (zh) 1999-12-29
FR2718822B1 (fr) 1997-08-14
KR950029654A (ko) 1995-11-24
GB2288646A (en) 1995-10-25
IT1280864B1 (it) 1998-02-11
AU680110B2 (en) 1997-07-17
CA2145930C (en)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154B1 (ko)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EP0846907B1 (en) Quick acting connector with insertion check element
CA1324627C (en) Quick connector assembly
JP2880453B2 (ja)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KR100313368B1 (ko) 2개의유체도관연결용플러그-인커플링
US5683117A (en) Retainer clip for a connector
JP5120618B2 (ja) プラグ連結型のコネクタ装置
US7328922B2 (en) Quick connector
EP0753696B1 (en) Gasket assembly for a fluid coupling
JPH06341586A (ja) パイプ連結用の複式継手
US20040108717A1 (en) Pipe joint
JPH0374695A (ja) チューブとホースとを継ぐ継手
MXPA06006445A (es) Acoplamiento de conexion rapida.
JP2001200963A (ja) コネクタ
EP0530778A2 (en) Pipe connector
JP4703044B2 (ja) スピゴット継手
US6106028A (en) Snap-fastening coupling for a fluid duc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KR100251267B1 (ko) 신속하게 작동되어지는 관 연결구
JP4871749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4881753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KR0145311B1 (ko) 튜브를 빠르게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JP3669222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ー
JP4034433B2 (ja) 管体接続構造
JP3700851B2 (ja) コネクタ用半嵌合防止クリップ
JP3521276B2 (ja) 合成樹脂製管体の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