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153B1 - 기계 제어용 로프 - Google Patents

기계 제어용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153B1
KR0160153B1 KR1019930010121A KR930010121A KR0160153B1 KR 0160153 B1 KR0160153 B1 KR 0160153B1 KR 1019930010121 A KR1019930010121 A KR 1019930010121A KR 930010121 A KR930010121 A KR 930010121A KR 0160153 B1 KR0160153 B1 KR 016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ire
strands
strand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012A (ko
Inventor
히로아끼 후루가와
사다히로 오니마루
유끼오 나리따
Original Assignee
데라우라 마꼬또
닛뽄 케이블 시스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우라 마꼬또, 닛뽄 케이블 시스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라우라 마꼬또
Priority to KR101993001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153B1/ko
Publication of KR95000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3)(4)95)(7)(8)를 꼬아서 만든 스트랜드(2)(6)를 포함하는 기계제어용 로프를 제공한다. 이 로프는 조임율이 4 내지 11%이고, 예비성형율이 65 내지 90%인 것으로서, 미끄럼 운동을 수반하는 굽힘에 대하여 뛰어난 내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기계 제어용 로프
제1도는 로프의 조임율(a tightening percentage)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제2도는 로프의 조임율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제3도는 로프의 조임율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제4도는 롤러를 사용하여 로프의 내굽힘 피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롤러의 설명도.
제6도는 제4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롤러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미끄럼운동 상태에서 로프가 굽힘변형되었을때 고정 가이드를 사용해서 로프의 내굽힘 피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설명도.
제8도는 제7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고정 가이드의 설명도.
제9도는 제7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고정 가이드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로프의 예비성형율(a preforming percentag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1 : 로프 2,12,22 : 코어 스트랜드
3,7,13,18,23,26 : 코어 와이어
4,5,8,14,15,16,19,24,25,27 : 사이드 와이어
31,35 : 웨이트 33,37 : 공기 실린더
32a,32b : 롤러 34,38 : 스토퍼
36a,36b : 고정 가이드
본 발명은 기계 제어용 로프(이하 단순히 로프라 칭함)에 관한 것이며, 특히 미끄럼운동을 수반하는 굽힘변형에 대한 내구성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자동차용 유리창 조절기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는 로프에 관한 것이다.
로프의 내굽힘 피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와이어의 직경을 작게 하고 그 가닥수를 늘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굽힘 피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는 종래 로프의 예로는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 62-64796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는 바, 이 로프는 여러가닥의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코어 스트랜드(core strand)의 둘레에 이 보다 직경이 작은 다수의 사이드 스트랜드(a plurality of side strand)를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로프는 스트랜드를 결속할 때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조임율(a tightening percentage)이 약 0 내지 2%의 범위내에 있도록 결속하게 된다. 시판중인 기계 제어용 로프를 조사해 본 결과, 그 조임율은 정확히 위의 범위내에 드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바꾸어 말해서, 시판중인 로프의 조임율은 극히 작았다.
상기 일본 공개공보에서 제안하고 있는 로프의 조임율은 다음의 식을 이용해서 구한다.
식에서, 계산된 직경은 각 와이어의 외경의 합을 의미하고, 실측직경은 로프의 외접원의 직경을 측정해서 얻은 결과이다.
또한, 로프를 이완시켰을 때의 스트랜드의 웨이브 직경을 실측 직경으로 나누어서 얻어지는 예비성형율(a preforming percentage)이 약 95 내지 100%로 되도록 사이드 스트랜드를 예비성형하면 내굽힘 피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일본의 하꾸아 쇼보사(白亞書房)에서 1967년 10월 15일에 발간한 와이어 로프 핸드북 편람 편집 위원회편의 와이어 로프 핸드북의 185페이지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꼬임구조를 갖는 로프, 예를 들면 다수의 스트랜드(a plurality of strands)를 결속시켜서 만든 종래의 로프는, 그 조임율이 0 내지 2%, 예비성형율이 95 내지 100%로 되도록 꼬여지는 것이 보통이다.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19+8×7의 구조를 갖는 로프에 대하여는, 다음의 식(1)을 이용해서 조임율을 구할 수 있다.
식에서, a는 코어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3)의 외경, b1은 코어 스트랜드의 제1 사이드 와이어(4)의 외경, b2는 코어 스트랜드의 제2 사이드 와이어(5)의 외경, c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7)의 외경, d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사이드 와이어(8)의 외경, D는 로프(1)의 실측 외경이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를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와링톤(Warrington)형 평행 배열을 이루도록 꼬아서 만든 W(19)+8×7 구조의 로프에 대하여는, 다음의 식(2)을 이용하여 조임율을 구할 수 있다.
식에서, a는 코어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13)의 외경, b1은 코어 스트랜드의 제1 사이드 와이어(14)의 외경, b2는 코어 스트랜드의 제2 사이드 와이어(16)의 외경, c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18)의 외경, d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사이드 와이어(19)의 외경, D는 로프(11)의 실측 외경이다.
한편,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7×7의 구조를 갖는 로프의 조임율은 다음의 식(3)으로 구할 수 있다.
식에서, a는 코어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23)의 외경, b는 코어 스트랜드의 사이드 와이어(24)의 외경, c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26)의 외경, d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사이드 와이어(27)의 외경, D는 로프(21)의 실측외경이다.
예비성형율(Φ)은 다음의 식(4)으로 구할 수 있다.
식에서, D는 제10a도에 나타낸 로프의 실측 외경이고, T는 로프의 스트랜드를 제10b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완시켰을때의 웨이브 직경이다.
그러나, 조임율이 작고 예비성형율이 큰 종래의 로프, 즉 별로 강하게 결속되지 않은 로프는, 미끄럼운동 굽힘이 발생하는 용도, 예를 들면 회전불능의 가이드에 사용할 경우 반경방향으로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로프에 있어서는, 와이어가 2차 굽힘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즉 와이어가 외압에 의해 국부적인 굽힘 변형을 일으켜서 내측의 와이어층쪽으로 눌리기 때문에 내굽힘 피로 특성이 불량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임율 및 예비성형율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미끄럼운동을 수반하는 굽힘변형시의 내굽힘 피로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로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가닥의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다수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기계 제어용 로프로, 조임율이 4 내지 11%이고, 예비성형율이 65 내지 90%인 로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조임율이 크기 때문에 종래의 로프에 비해서 보다 강하게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와이어에 2차적인 굽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비성형율이 작으므로, 결속된 로프의 사이드 스트랜드가 로프의 중심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반경방향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의 2차적인 굽힘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프에 의하면, 미끄럼운동을 수반하는 굽힘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면, 로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단면의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단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에 도시된 로프는 19+8×7 구조로 불려진다. 즉, 코어 스트랜드(2)는 단이 코어 와이어(3) 주위에 배열되어 제1층을 이루는 6개의 제1 사이드 와이어(4)와, 제1층 주위에 배열되어 제2층을 이루는 12개의 제2 사이드 와이어(5)를 결속하므로써 형성되고, 사이드 스트랜드(6)는 단일 코어 와이어(7) 주위에 배열된 6개의 사이드 와이어(8)을 결속하므로써 형성된다. 스트랜드 구조를 갖는 상기 로프(1)는 코어 스트랜드(2) 주위에 배열된 8개의 사이드 스트랜드(6)를 결속하므로써 얻어진다.
또, 로프(1)의 조임율은 4% 내지 11%의 범위이고 로프(1)의 예비성형율은 65% 내지 90% 범위이다.
로프(1)의 조임율이 4% 내지 11% 범위에 있는 이유는 조임율이 11% 이상인 경우에는 로프를 결속하기가 어렵고, 파손이 일어나거나 로프를 제조할 때 와이어 표면이 과도한 꼬임에 의해서 종종 손상을 입으며, 반면에 조임율이 4% 이하인 경우에는 이후 설명된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프가 미끄럼 운동에 의해서 굽힘을 받을 때 내구성이 불충분하다는 이런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예비성형율이 65% 내지 90% 범위에 있는 이유는 예비성형율이 90% 이상인 경우에, 로프가 고정 가이드에서와 같은 미끄럼 운동에 의해서 굽힘을 받는 부분에 사용될 때, 로프 중앙쪽을 향한 결속력이 사이드 스트랜드로 충분하게 가해지지 않으므로 와이어의 제2 굽힘이 로프내에 발생하는 성향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구성은 본 실시예와, 후술하는 비교 실시예에서 명확히 설명된 바와 같이 더 작아진다.
반대로, 로프에 대해서 예비성형율이 65% 이하인 경우에는 로프가 절단될 때 사이드 스트랜드가 느슨해지므로 로프를 사용할 수 없다.
다음에, 제2도에 도시된 로프(11)는 본 발명의 로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이다. 로프(11)는 19+8×7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코어 스트랜드(12)는 평행 배열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코어 스트랜드(12)는 각각의 코어 스트랜드 와이어가 서로 선형적으로 접촉되는 방법으로 꼬여진다. 평행 배열 스트랜드는 상기 스트랜드내에 상이한 외경을 갖는 스트랜드 와이어 형태이다. 평행 배열 스트랜드에 따르면, 스트랜드(12)의 각층은 동일한 꼬임 피치와 동일한 꼬임 방향을 갖는다. 상기 와이어가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꼬여질 때, 제2층(외부층)의 각 와이어는 제1층(내부층)의 인접한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홈안으로 맞물려지고, 하나의 와이어는 다른 와이어와 서로 교차함이 없이 선형접촉을 이룬다. 결국, 상기 스트랜드는 견실하게 꼬여지고 반경방향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와이어간의 마찰로 인한 스트랜드의 내부 마모는 적어지고 와이어의 제2 굽힘으로 인한 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제2도에 도시된 로프는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
제2도의 로프(11)는 (평행 배열 스트랜드)+8×7 구조를 갖는다. 평행 배열 스트랜드로서, 와링톤형 스트랜드(a Warrington type strand) 구조를 갖는 코어 스트랜드(12)가 사용된다. 즉, 로프(11)는 W(19)+8×7 구조를 갖는다. 와링톤형 스트랜드에 관하여, 코어 스트랜드의 와이어에서 최대직경과 최소직경간의 차이는 19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평행 배열 스트랜드 구조를 갖는 스트랜드에서 가장 작다. 그 이유는 스트랜드(12)가 작은 직경을 갖는 로프에 적절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코어 와이어(13)의 직경보다 다소 작고 제1층을 형성하는 6개의 제1 사이드 와이어(14)를 1개의 코어 와이어(13) 주위에 배열한다. 인접한 제1 사이드 와이어(14)에 의해서 형성된 홈에 코어 와이어(1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6개의 제3 사이드 와이어(15)의 각각을 배열하고, 제1 사이드 와이어(14)를 따라서 제1층 주위에 6개의 제2 사이드 와이어(16)의 각각을 배열한다. 제2 사이드 와이어(16)의 직경은 제1 사이드 와이어(14)의 직경보다 훨씬 더 작다. 또, 상술한 코어 와이어(13) 주위에 사이드 와이어(14, 15, 16)를 동시에 동일한 피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꼬음으로써 코어 스트랜드(12)가 형성된다. 또, 각 와이어의 직경은 상술된 직경에 한정되지 않는다. 간단히 말해서, 각 와이어의 직경은 각 와이어가 동일 피치와 동일 방향으로 꼬여질 경우 상기 와이어가 서로 선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더우기, 8개의 사이드 스트랜드(17)는 코어 와이어(18) 주위에 6개의 사이드 와이어(19)를 꼬음으로써 얻어진다.
또, 상기 로프(11)도 조임율은 4% 내지 11% 범위에 있으며, 예비성형율은 65% 내지 90% 범위에 있다.
또,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로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로프(21)에 있어서, 조임율은 4% 내지 11% 범위에 있고 예비성형율은 65% 내지 90% 범위에 있다. 상기 로프(21)는 7×7 구조를 갖는다.
즉, 코어 스트랜드(22)는 코어 와이어(23) 주위에 배열된 6개의 사이드 와이어(24)를 꼬음으로써 형성되고, 사이드 스트랜드(25)는 코어 와이어(26) 주위에 배열된 6개의 사이드 와이어(27)을 꼬음으로써 형성되며, 꼬인 로프는 상기 코어 스트랜드(22) 주위에 배열된 6개의 사이드 스트랜드(25)를 결속하므로써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로프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1]
0.93㎜의 외경을 갖는 와이어 로드(rod)는 강선(물질:JIS G 3506 SWRH 62A)을 아연 도금하므로써 얻어졌다.
다음에, 와이어 로드를 인발하여서 0.17㎜의 외경을 갖는 코어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3), 0.15㎜의 외경을 갖는 코어 스트랜드의 제1 사이드 와이어(4), 0.15㎜ 외경을 갖는 코어 스트랜드의 제2 사이드 와이어(5), 0.15㎜의 외경을 갖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7), 0.14㎜의 외경을 갖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사이드 와이어(8)를 제조하였다.
상기 와이어는 표 1에 설명한 방법으로 꼬여졌으며, 그 다음에 19+8×7 구조를 갖는 로프가 얻어졌다. 또, 측정된 로프의 외측 직경(D)은 실시예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5㎜였다.
로프의 계산된 외경은 1.63㎜였다. 따라서, 로프의 조임율은 4.91%였고 로프를 느슨하게 한 후에 측정된 사이드 스트랜드의 파형 높이는 1.25㎜였으며, 그다음에 예비성형율은 80.6%였다.
또, 상술한 조임율과 예비성형율을 갖는 로프는 제조 단계에서 로프에 가해지는 압력, 장력, 예비성형 정도의 조절없이는 얻어질 수 없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로프는 로프의 외경과 조임율, 표 1에 설명된 스트랜드의 파형 높이와 예비성형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로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졌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로프는 로프의 외경과 조임율, 표 1에 설명된 스트랜드의 파형 높이와 예비성형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로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졌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로프는 로프의 외경과 조임율, 표 1에 설명된 스트랜드의 파형 높이와 예비성형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로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로프는 사이드 스트랜드 와이어용 와이어 로드로서, 강선(물질:JIS G 3506 SWRH 62A)을 아연-알루미늄 합금으로 도금한 0.93㎜의 외경을 갖는 와이어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로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졌다.
또, 아연-알루미늄 합금 도금은 4 중량%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아연 도금 탱크에 열간 침지하므로써 도금된다.
[실시예 6(제2도 참조)]
0.93㎜의 외경을 갖는 와이어 로드는 강선(물질:JIS G 3506 SWRH 62A)을 아연 도금하므로써 얻어졌다.
다음에, 와이어 로드를 인발하여서 코어 스트랜드(12)를 형성하기 위해서 각각 0.17㎜의 외경을 갖는 코어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13), 0.16㎜의 외경을 갖는 코어 스트랜드의 제1 사이드 와이어(14), 0.17㎜의 외경을 갖는 코어 스트랜드의 제3 사이드 와이어(15), 0.13㎜의 외경을 갖는 코어 스트랜드의 제2 사이드 와이어(16)를 제조하였다.
0.93㎜의 외경을 갖는 와이어 로드는 강선(물질:JIS G 3506 SWRH 62A)을 아연-알루미늄 합금으로 도금하므로써 얻어졌다. 또, 와이어를 인발하여서 사이드 스트랜드(17)를 형성하기 위해서 각각 0.15㎜의 외경을 갖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코어 와이어(18), 0.14㎜의 외경을 갖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사이드 와이어(19)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와이어는 표 1에 설명된 방법으로 꼬여지고 코어 스트랜드(1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링톤형 스트랜드로 형성되었고, 그 다음에 코어 스트랜드(12)와 사이드 스트랜드(17)를 꼬음으로서 W(19)+8×7 구조와 1.50㎜의 직경 D를 갖는 실시예 6의 로프가 얻어졌다.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1의 로프는 상기 로프의 실측 외경 및 조임율과, 표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드 스트랜드의 파형 높이와 예비성형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로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졌다.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2의 로프는 표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드 스트랜드의 파형 높이와 예비성형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로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졌다.
[비교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3의 로프는 표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스트랜드의 파형 높이와 예비성형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로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졌다.
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예 3의 각각의 로프의 조임율(%)이 공식(1)에 의해서 얻어졌고, 실시예 6의 로프의 조임율(%)은 공식(2)에 의해서 얻어졌다.
더우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비교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예 3의 예비성형율(%)은 공식(4)에 의해서 얻어졌다.
다음에, 롤러 사용으로 인한 굽힘 피로 시험과 고정 가이드 사용으로 인한 굽힘 피로 시험이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비교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에 3에 실행되었다.
굽힘 피로 시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한쌍의 롤러를 이용한 시험 방법]
제4도의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길이가 1,000㎜인 로프(1,11)(여기 본원 이하에서 참조번호 1이 로프의 참조번호를 대표한다)의 하나의 단부에는 10㎏의 웨이트(31)가 연결되었다. 그 다음에, 로프(1)는 하나의 롤러(32b)에 의해서 90°정도 회전하고, 그 후에 또다른 롤러(32a)에 의해서 180°정도 회전하도록 배열되었다. 또, 로프(1)의 다른 단부는 공기 실린더(33)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었다.
공기 실린더(33)는 화살표(E)와 화살표(F)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롤러(32a)는 화살표(G)와 화살표(H)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32b)는 화살표(J)와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뿐만 아니라, 공기 실린더(33)는 우선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에 웨이트(31)는 상측으로 상승되고 그것에 의해서 스토퍼(34)(stopper)에 접촉하며, 공기 실린더는 0.5초 동안 35㎏f의 실속력(stallforce)을 발생시킨다. 그 다음에 공기 실린더는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로프의 스트로크(stroke)는 100㎜이었고 역회전 속도는 분당 20 사이클이었다. 더우기, 로프(1)가 접촉되는 롤러(32a, 32b)에는 충분한 양의 올레핀유가 도포되었다.
제5도는 상기 롤러(32a, 32b)의 정면도(제5a도)와 측면도(제5b도)를 도시하는데, 롤러(32a, 32b)의 홈 트랙직경(L)은 30㎜이고 롤러의 재료는 나일론 6이다.
제6도는 롤러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홈 트랙의 내측반경(R)은 1.0㎜이고, 홈 양측의 내측 표면으로 형성된 각도(θ)는 30°이며, 상기 시험용 로프(1)는 20,000 사이클로 왕복운동되었다.
[한쌍의 고정 가이드를 사용한 시험 방법]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길이가 1,000㎜인 로프(1)에는 하나의 단부에 10㎏의 웨이트(35)가 연결되었다. 그 다음에, 로프(1)는 하나의 고정 가이드(36b)에 의해 90°로 회전하고, 다른 고정 가이드(36a)에 의해 180°로 회전하도록 배열되었다. 또, 로프(1)의 다른 단부는 공기 실린더(37)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었다.
공기 실린더(37)가 화살표(M)과 화살표(N)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때, 로프(1)는 화살표(P)와 화살표(Q) 방향으로 고정 가이드상을 미끄럼 이동한다. 또, 공기 실린더(37)는 최초에 화살표(M)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다음에 웨이트(35)는 상측으로 상승되고 스토퍼(38)에 접촉한다. 그것에 의해서, 공기 실린더는 0.5초 동안 35Kgf의 실속력을 발생시킨다. 그 후에 공기 실린더(37)는 화살표(N)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로프의 스트로크는 100㎜이었고 역회전 속도는 분당 20사이클이었다. 더우기, 로프(1)가 접촉하는 고정 가이드(36a, 36b)에는 충분한 양의 올레핀유가 도포되었다.
제8도는 고정 가이드(36a, 36b)의 정면도(제8a도)와 측면도(제8b도)를 도시하는데, 고정 가이드(36a, 36b)의 홈 트랙직경(S)은 30㎜이고, 고정 가이드의 재료는 나일론 6이다.
제9도는 고정 가이드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홈 트랙의 내측반경(R)은 1.0㎜이고, 각도(γ)는 30°이다. 상기 시험용 로프(1)는 20,000 사이클로 왕복운동되었다. 또, 로프의 파괴 시험은 로프가 파괴될때까지 가해졌으며, 그때의 파괴 사이클수가 기록되었다.
표 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비교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예 3에 있어서 굽힘 피로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2에 설명된 시험 결과에 의하면, 한쌍의 롤러를 사용하여 20,000 사이클에서 시험한 굽힘 피로 시험에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비교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예 3의 모든 와이어는 절단되지 않았지만, 한쌍의 고정 가이드를 사용하여 20,000 사이클에서 시험한 굽힘 피로 시험에서는 비교 실시예 1의 와이어가 63개 절단되었고, 비교 실시예 2의 와이어는 18개 절단되었으며 비교 실시예 3의 와이어는 17개 절단되었다. 반대로, 20,000사이클에서 굽힘 피로 시험을 거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와이어는 모두 절단되지 않았다.
또, 굽힘 피로 시험은 로프가 절단될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되었는데 비교 실시예 1의 로프는 25,000 사이클에서 절단되었고 비교 실시예 2와 비교 실시예 3의 로프는 31,000 사이클에서 절단되었다. 반대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5의 내굽힘 피로 시험에서는 비교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예 3에 비해서 2배 이상의 사이클에서 절단되었으며, 실시예 3과 실시예 4의 내굽힘 피로 시험에서는 비교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예 3에 비해서 4배 이상의 사이클에서 절단되었고, 실시예 6의 내굽힘 피로 시험에서는 비교 실시예 3에 비해서 6배 이상의 사이클에서 절단된 것으로 밝혀졌다.
한쌍의 롤러를 사용한 굽힘 피로 시험, 즉 단지 굽힘만을 받는 상태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비교 실시예 1 내지 비교 실시예 3에는 상당한 차이가 없다. 그러나, 로프가 가이드 상에서 미끄러지는 동안에 굽힘을 받을 때 내굽힘 피로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4% 내지 11% 범위의 조임율과 65% 내지 90%의 예비성형율로 결합되는 로프는 내굽힘 피로에 있어서 우수하다.
한편, 실시예 1을 실시예 5와 비교하면, 비록 사이드 스트랜드의 와이어가 아연 대신에 아연-알루미늄 합금으로 도금될지라도, 내굽힘 피로는 개선된다(즉, 정상 아연 도금과 고부식 저항 도금에 가해진 사이드 스트랜드의 와이어 사이의 내굽힘 피로에는 차이가 없다).
또, 19+8×7 구조 또는 W(19)+8×7 구조를 갖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은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대경 와이어를 사용한 7×7 구조와, 7×19 구조 또는 7×W(19) 구조를 갖는 로프가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4% 내지 11% 범위의 조임율과 65% 내지 90% 범위의 예비성형율을 갖는 본 발명의 로프에 있어서, 로프가 미끄럼 운동으로 인해 굽힘을 받는 가이드부에 사용될지라도, 내굽힘 피로는 더 낮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로프는 자동차의 유리창 조절기용 제어선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가 위에 설명되었다 할지라도, 본 발명이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져야 하며, 여러 가지 변화와 개선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7)

  1. 다수의 와이어 스트랜드(a plurality of wire strands)를 포함하는 로프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와이어 스트랜드는 밀착 관계로 결속되어 있으며, 그 조임율(a tightening percentage)이 4 내지 11%이고, 예비성형율(a preforming percentage)이 65 내지 90%이며, 상기 로프의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와이어는 소정 범위의 조임율을 갖도록 배열되고, 상기 조임율은 하기의 식으로 규정되며,
    상기 로프의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와이어는 소정 범위의 예비성형율을 갖도록 배열되고, 상기 예비성형율은 하기의 식으로 규정되며,
    상기 식에서 D는 로프의 실측 외경이고, T는 와이어가 이완되었을 때의 웨이브 직경이며, 상기 로프는 19+8×7의 구조를 동시에 갖는 로프.
  2. 다수의 와이어 스트랜드(a plurality of wire strands)를 포함하는 로프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와이어 스트랜드는 밀착 관계로 결속되어 있으며, 그 조임율(a tightening percentage)이 4 내지 11%이고, 예비성형율(a preforming percentage)이 65 내지 90%이며, 상기 로프의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와이어는 소정 범위의 조임율을 갖도록 배열되고, 상기 조임율은 하기의 식으로 규정되며,
    상기 로프의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와이어는 소정 범위의 예비 성형율을 갖도록 배열되고, 상기 예비성형율은 하기의 식으로 규정되며,
    상기 식에서, D는 로프의 실측 외경이고, T는 와이어가 이완되었을 때의 웨이브 직경이며, 상기 로프의 코어 스트랜드(core strand)의 와이어는 평행 층 구조(a parallel lay construction)를 동시에 갖는 로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가(평행 층 스트랜드)+8×7 구조를 갖도록 결속된 로프.
  4. 제1항에 있어서, 고내식성 강철 와이어를 사이드 스트랜드(side strand)용으로 사용하는 로프.
  5. 제1항에 있어서, 아연-알루미늄 합금으로 도금된 와이어를 사이드 스트랜드용으로 사용하는 로프.
  6. 제2항에 있어서, 고내식성 강철 와이어를 사이드 스트랜드용으로 사용하는 로프.
  7. 제2항에 있어서, 아연-알루미늄 합금으로 도금된 와이어를 사이드 스트랜드용으로 사용하는 로프.
KR1019930010121A 1993-06-04 1993-06-04 기계 제어용 로프 KR016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121A KR0160153B1 (ko) 1993-06-04 1993-06-04 기계 제어용 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121A KR0160153B1 (ko) 1993-06-04 1993-06-04 기계 제어용 로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12A KR950001012A (ko) 1995-01-03
KR0160153B1 true KR0160153B1 (ko) 1998-12-01

Family

ID=1935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121A KR0160153B1 (ko) 1993-06-04 1993-06-04 기계 제어용 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727A (ko) * 2001-12-26 2003-07-02 고려제강 주식회사 기기 작동 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727A (ko) * 2001-12-26 2003-07-02 고려제강 주식회사 기기 작동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12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0005B1 (en) Rope for operating
KR100609931B1 (ko) 엘라스토머 보강용 강구조물
JP2669754B2 (ja) 操作用ロープ
EP0864688A1 (en) Push-pull cable with polymer coating
SG190093A1 (en) Compacted hybrid elevator rope
JP4704091B2 (ja) ワイヤロープおよび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H07279940A (ja) 高屈曲耐久性ロ−プ
KR0160153B1 (ko) 기계 제어용 로프
EP0896087A1 (en) A wire rope having an independent wire rope core
JP4488761B2 (ja) ワイヤロープおよび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H06300032A (ja) 操作装置
IE66749B1 (en) Reinforced transmission belt
JP4153471B2 (ja) 操作用ロープ
WO2019004393A1 (ja)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JPH0650557Y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用ワイヤロープ
CN1046333C (zh) 钢丝绳
JPH05179585A (ja) 操作用ロープ
KR100267286B1 (ko) 기계제어용 와이어 로프
JP2595453B2 (ja) 押し引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2920074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用ワイヤロープ
JP2862543B2 (ja) 複合撚合型抗張力体
KR100409105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자가도유식 주행용 와이어로프 및 그제조방법
KR19980028334A (ko) 자동차 자동창문 개폐용 로프
JPH0874190A (ja) 耐内部腐食及び耐内部摩耗ワイヤロープ
JP3101757B2 (ja) ゴム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及びラジアル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G171 Publication of correction by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