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881B1 -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881B1
KR0156881B1 KR1019950054223A KR19950054223A KR0156881B1 KR 0156881 B1 KR0156881 B1 KR 0156881B1 KR 1019950054223 A KR1019950054223 A KR 1019950054223A KR 19950054223 A KR19950054223 A KR 19950054223A KR 0156881 B1 KR0156881 B1 KR 0156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riazole
reaction
compound
lower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482A (ko
Inventor
히데오 오오이
노리유키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나가야마 오사무
츄가이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모찌즈키 노부히코
이하라케이칼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야마 오사무, 츄가이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모찌즈키 노부히코, 이하라케이칼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야마 오사무
Publication of KR96002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07D249/10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49/12Oxygen or sulfur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체화합물의 제조시 중간체로서 유용한 3-(2,4,5-트리알킬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의 제조를 위한, 구리촉매존재하의 1,3,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과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알카리금속염의 반응에 일반식
(식중, R는 저급알킬기, Y는 메틸렌기 또는 N-(저급알킬)이미노기이고, Z는 -N-CO-Y-기와 함께 5원고리 또는 6원고리를 형성하는 2가탄화수소기)로 표현된 화발물, 예를들면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및 N,N'-디메틸프로필렌요소를 반응용매로서 사용하여, 폭발위험없이 고수율로 생성물을 얻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특이한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카르바모일트리아 졸계제초체의 합성시 중간체로서 유용한 3-(2,4,6,-트리알킬페닐티오)-1H-1,2,4-트리아졸화합물을 공업적으로 효율좋게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몇몇 카르바모일트리아졸유도체는 제초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초제의 개발연구가 왕성하게 행해지고 있다.
상기 언급한 카르바모일트라이졸유도체는, 중간체로서 알킬치환페닐술피드기를 지니는 트리아졸유도체로부터 합성될 수 있어, 이들의 중간체화합물의 합성하기 위해 각종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특공평5-73745호에는 아미노메시틸렌에서 출발하여 디아조늄염을 거치는 합성루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생성화합물의 수율이 50%를 넘을 수 없고, 유기합성시 방향족 디아조늄염과 티올화합물의 반응이 디아조술피드의 폭발분해를 내재하고 있다는 안내책자의 기재와 같이 반응에 폭발위험이 있다는 것은 물론 디아조늄화합물의 제조반응이 번잡한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업적인 방법으로서 만족스럽지 못한다. 반면, 일본개평 1-121279호에는 3-메리캅토-1H-1,2,4-트리아졸과 염기존재하에, 비치환 또는 니트로기 및 트리플루오르메틸기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할로겐벤젠을 반응시켜 트리아졸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참고예로서,3,5-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브로모벤젠을 사용하여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중에서 촉매량의 염화구리(Ⅰ)존재하에 반응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개시된 바에 따라, 본 발명자는 마찬가지조건하에서 1,3,4-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에 의한 반응이 진행할거라는 가정하에 실험을 행하였으나 상기 가정과는 달리 소정의 트리아졸화합물은 거의 얻을 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 이유를 다음과 같이,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니트로기 등의 전자흡인성기를 벤젠핵내로 도입하면, 벤젠에서의 할로겐원자의 제거가 쉽게 진행되어 반응진행을 촉진함으로서,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도 소정의 트리아졸화합물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전자공여성기로서 3개의 저급알킬기를 1,3,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으로서 벤젠핵에 도입하면, 번젠핵에서의 할로겐원자의 제거가 방해되어 반응지연을 야기함으로서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해서는 소정의 트리아졸화합물을 얻을 수 없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상의 상술한 문제점과 불리점을 해결함으로써 폭발위험없이 간단하고 편리한 공정으로, 카르바모일트리아졸계제초제의 제조시 중간체로서 유용한 특정의 트리아졸계화합물을 공업적으로 효율좋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는,구리촉매의 존재하에 1,3,4-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과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알카리금속염간의 반응에 관한 예의연구에 의하면,반응을 촉진하는 주요요인은 반응용매의 선택으로, 적당한 용매를 선택함으로서 소정의 트리아졸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구리촉매의 존재하에, 일반식(Ⅱ)
(식중, R1, R2및 R3는 각각 저급알킬기로, 서로 독립적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다)
로 표현된 1,3,5-트라알킬-2할로게노벤젠과,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알카리금속염을, 용매로서, 일반식(Ⅲ)
(식중, R은 저급알킬기, Y는 메틸렌기 또는 N-(저급알킬)이미노기이고, Z는 -N-CO-Y-기와 함께 5원고리 또는 6원고리를 혜택하는 2가 탄화수소기이다)
로 표현되는 유기화합물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식(Ⅰ)
로 표현되는 3-(2,4,5-트리알킬페닐티오)-1H-1,2,4-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응에 사용된 원료중의 하나는 일반식(Ⅱ)
로 표현된 1,3,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이다.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저급알킬기로,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르필기, 부틸기, 펜틸기 및 헥실기이다. 이들 알킬기는 직쇄의 것에 한정되지 않아, 분지를 지닌 것 또는 환상의 것일 수도 있으나, 반응속도 및 소정생성물의 수율과 관련하여,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n-부틸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4의 직쇄상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식에서 X는, 반응속도 및 소정생성물의 수율과 관련하여 브롬 또는 요오드의 할로겐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Ⅱ)로 표현된 1,3,5-트리알틸-2-할로게노벤젠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브로모메시틸렌, 요오도메시티렌, 2-브로모-1,3,5-트리에틸벤젠, 1,3,5-트리에틸-2-요오도벤젠, 2-브로모-1,3-디메틸-5-에틸벤젠, 1,3-디메틸-5-에틸-2-요오도벤젠, 2-브로모-1,3-디에틸-5-메틸벤젠, 1,3-디에틸-5-메틸-2-요오도벤젠, 2-브로모-1,5-디메틸-3-에틸벤젠, 1,5-디메틸-3-에틸2-요오도벤젠, 2-브로모-1,5-디메틸-3-메틸벤젠, 1,5-디메틸-3-메틸-2-요오도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한 1, 3, 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화합물은 화합물에 대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 가능한 몇몇 공지의 합성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방법으로 대응하는 1,3,5-트리알킬벤젠의 할로겐화 반응을 통해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1,3,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과 반응하는 다른 원료는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알카리금속, 즉, 리튬, 나트듐, 칼륨, 류비튬 또는 세슘염으로, 이들중 나트륨염과 칼륨염이 비용면에서 보아 바람직하다.
본 방법에서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알카리금속염의 사용량은 1,3,5-트리알틸-할로게노벤젠의 몰당 1.0-1.5몰이며, 1.0-1.1몰이 바람직하다. 알칼리금속명은 미리 제조한 염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응혼합물내에서 형성될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알카리금속염은 다음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와 알카리금속 들은 알카리금속수산화물을 알콜용매에 첨가한 반응혼합물을 환류하에 가열하고, 알콜용매와 반응으로 형성된 물을 제거한다. 적당한 알콜용매로는 메틸 및 에틸알콜을 들 수다.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알카리금속염을,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 및 염기화합물로부터 반응혼합물내에서 형성하는 경우, 염기화합물은, 수산화물, 탄산염, 수소화물 등의 알카리금속의 무기화합물에서 선택한다. 바람직한 염기화합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수소화나트륨을 들 수 있다. 알카리금속염의 반응계내 형성에 사용된 염기화발물량은 메르캅화합물의 1몰에 대해 1.0-2.4몰, 바람직하게 1.0-2.0몰, 보다 바람직하게 1.0-1.5몰이다.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을 공지화합물로, 여러 문헌에 기재된 합성법에 의해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법에서, 상술한 2개의 원료를 촉매로서 구리화합물의 존재하에 반응시킨다. 적당한 구리화합물로는, 구리(Ⅰ)염, 특히 염화구리(Ⅰ), 브롬화구리(Ⅰ) 및 요오드화구리(Ⅰ) 등의 구리(Ⅰ)할라이드, 산화구리(Ⅰ) 등의 구리산화물 및 금속구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중, 소정생성물의 고수율과 경제성면에서 보아 구리(Ⅰ)할라이드 등의 1가 구리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리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2종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반응에서 촉매로서 사용될 구리화합물의 양은 1,3,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의 1몰에 대해 0.005-03.몰이며 바람직하게는 0.007-0.2몰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반응용매로서 특정한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있다.
용매화합물을 식은 식(Ⅲ)
으로 표현된다.
상기 식에서, R는 메틸, 에틸,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기 등의 탄소수 1-4의 저급알킬기이며, Y는 메틸렌기 또는, N-메틸이미노, N-에틸이미노, N-n-프로필이미노 및 N-이소프로필이미노기 등의 저급알킬이미노기이다. 또, Z는 -N-CO-Y기와 함께 5원고리 또는 6원고리구조를 형성이라는 2가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식으로 표현된 용매화합물의 예로는, 5원고리구조를 지니는 화합물로서, N-메틸-2피롤리돈, N-에틸-2-피롤리돈, N-n-프로필-2-피롤리돈, N-이소프로필-2-피롤리돈 등의 N-(저급알킬)-2피롤리돈, N,N'-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N,N'-디에틸-2-이미다졸리디논, N,N'-디-n-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N,N'-디이소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N-메틸-N'-에틸-2-이미다졸리디논, N-메틸-N'-n-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N-메틸-N'-이소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N-에틸-N'-n-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N-에틸-N'-이소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N,N'-디(저급알킬)-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N,N'-디(저급알킬)-2-이미다졸리디논을 들 수 있고, 6원고리구조를 지니는 화합물로서, N-메틸-2-피페리돈, N-에틸-2-피페리돈, N-n프로필-2-피페리돈, N-이소프로필-2-피페리돈 등의 N-(저급알킬)-2피페리돈, N,N'-디메틸프로필렌요소, N,N'-디에틸프로필렌요소, N,N'-디-n-프로필렌 요소, N, N'-디이소프로필프로필렌요소, N-메틸-N'-에틸프로필렌요소, N-메틸-N'-n-프로필 프로필렌 요소, N-메틸-N'-이소프로필 프로필렌요소, N-에틸-N'-n-프로필프로필렌요소, N-에틸-N,이소프로필 프로필렌요소 등의 N,N'-디(저급알킬)프로필렌 요소를 들 수 있고, 이들중,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2이미다졸리돈 및 N,N'-디메틸프로필렌 요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화합물을 단독적으로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고, 혼합비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반응에 사용된 용매는 상기 규정된 용매화합물과 다른 불활성용매를 예를 들어, 10용량%이하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런 불활성용매의 예로는, 벤젠, 톨루엔,크실렌 및 에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규정된 용매화합물의 또는 이들과 다른 불활성용매의 혼합물일 수 있는 반응용매의 사용량은, 반응혼합물이 교반에 적당한 농도를 지닌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1,3,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의 1몰의 대해 0.1-21이고, 바람직하게는 0.25-1.01이다.
상술한 제제형식으로 제조한 반응혼합물은 150℃이상, 바람직하게는 170-210℃에서 가열하여 반응을 촉진한다. 반응온도가 너무 높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부반응이 우세하게 되어 문제점이 발생한다. 원료화합물의 종류, 촉매화합물의 종류와 양, 용매화합물의 종류, 반응온도 등의 각종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본 발명은 1-24시간내로 완결되어, 종래기술상에서 불가피했던 용매의 폭발 또는 분해등과 같은 문제점의 발생없이 우수한 수율로 식(Ⅰ)의 소정의 트리아졸화합물을 형성한다.
본 방법의 생성물으로부터 일반식(Ⅰ)의 트리아졸화합물은 예를 들면, 일본특공평 5-73745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다음 기구에 따라 트리아졸계제초제의 유효성분으로 작용하는 화합물로 변환될 수 있다.
(식중, R'은 알킬기이고 R1, R2, R3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온도계,환류응축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랑 250ml의 플라스크내에 브로모메시틸렌 40g(0.20몰), 3-메트캅토-1H-1,2,4-트리아졸의 나트륨염 24.6g(0.20몰), N.N'-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이하, DMI라 한다)100ml 및 산화구리(Ⅰ), Cu2O 0.25g(0.0017몰)을 도입하여 반응혼합물을 형성해서 190℃에서 9시간 가열한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혼합물을 빙수에 부어넣어 불용성물질을 여과제거한다. 여액을 묽은 염산을 첨가하여 중성내지 산성으로 조정하여 고형물을 석출시키고 이것을 여과하여 모은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한 후 여과로 불용성물질을 제거한다. 여액을 증류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함으로서,융점이 188-190℃인 생성물로서 무색결정 32.9g를 얻는다. 이것은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로 판별되며 이것의 수율은 이론치의 75%에 상당한다.
상기 반응에서 원료로 사용된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나트륨염은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과 수산화나트륨의 혼합물을 에틸알콜내에서 환류하에 1시간 가열한 후, 에틸알콜과 반응으로 형성된 물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함으로서 미리 얻은 생성물이다.
[실시예 2]
온도계, 환류응측기,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250ml의 플라스트내에,브로모메시틸렌 40g(0.20몰),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 20g(0.20몰), DMI 100ml, 탄산나트륨 21g(0.020몰) 및 산화구리(Ⅰ), Cu2O 0.25g(0.0017몰)을 도입하여 반응혼합물을 형성한 후, 190∼200℃에서 9시간 가열하며, 동시에, 반응으로 형성된 물을 반응계밖으로 계속제거한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반응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불용성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여액을, 묽은 염산을 첨가하여 중성내지 산성으로 조정함으로서 고형물을 석출하고, 이것을 여과하여 모은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한 후 불용성물질을 여과제거한다. 여액을 증류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함으로서, 융점이 188-190℃인 생성물로서 무색결정 34.1g를 얻는다. 이것은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로,수율은 이론치의 79%이다.
[실시예 3]
탄산나트륨의 양을 0.21몰로, 산화구리(Ⅰ)의 양을 0.0040몰로 증가시키고 반응혼합물을 8시간 가열한 후에 반응을 종결시키는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방법으로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을 제조한다. 생성물의 수율은 이론치의 71.0%이다.
[실시예 4]
산화구리(Ⅰ)를 요오드화구리(Ⅰ) 0.0040몰로 교체하고 반응시간을 10시간으로 늘리는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방법으로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을 제조한다. 생성물의 수율은 이론치의 80.1%이다.
[실시예 5]
반응용매로서 DMI를 동일용량의 N-메틸-2-피롤리돈으로 교체하고 반응시간을 10시간으로 늘리는 이외는 실시예3와 동일방법으로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을 제조한다. 생성물의 수율은 이론치의 76.8%이다.
[실시예 6]
반응용매로서 DMI를 동일용량의 N,N-디메틸플로필렌요소로 교체하고, 산화구리(Ⅰ)양을 0.0060몰으로 증가시키며, 반응온도를 190-193℃로 조정하는, 반응시간을 9시간으로 늘리는 이외에 실시예3와 동일방법으로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을 제조한다. 생성물의 수율은 이론치의 73.1%이다.
[실시예 7]
탄산나트륨을 수산화칼륨 0.20몰으로 교체하고 산화구리(Ⅰ)양을 0.0020몰로 감소시키고 반응온도를 190-193℃로 조정하고, 반응을 7시간 후에 종결하는 이외는 실시예3와 동일방법으로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을 제조한다. 생성물의 수율은 이론치의 73.4%이다.
[실시예 8]
탄산나트륨의 양을 0.20몰로 감소시키고, 산화구리(Ⅰ)양을 0.0020몰로 감소시키고 반응온도를 170℃로 일정하게 하고 반도체를 7시간 후에 종결하는 이외는 실시예3와 동일방법으로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을 제조한다. 생성물의 수율은 이론치의 66.7%이다.
[실시예 9]
산화구리(Ⅰ)를 금속구리 0.0040몰로 교체하고 반응시간을 10시간으로 늘리는 이외는 실시예3와 동일방법으로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을 제조한다. 생성물의 수율은 이론치의 67.2%이다.
[실시예 10]
보로모시틸렌을 요오도메시틸렌 50.0g(0.20몰)로 교체하고 반응시간을 4시간으로 줄이는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방법으로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을 제조한다. 생성물의 수율은 이론치의 86.0%에 상당하는 37.1g이다.
[비교예 1]
DMI를 동일용량(10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로 교체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행한다. 반응혼합물은 9시간 가열후에, 반응혼합물의 일부를 취하여 가스크로마토그라피분석한 바, 소정의 3-(2,4,6-트리메틸페닐티오)-1H-1,2,4-트리아졸은 단지 소량만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반응혼합물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분해에 기앤하여 불쾌한 냄새를 피운다.
[비교예 2]
DMI를 동일용량의 디메틸술폭시드로 교체하고, 탄산나트륨의 양을 0.21몰로 산화구리(Ⅰ)의 양을 0.0060몰로 증가시키고, 반응혼합물을 환류하에 대략 185℃에서 15시간 가열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행한다. 그 결과, 소정의 생성물은 단지 소량만 얻을 수 있을 뿐이었다.
[비교예 3]
DMI를 동일용량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 교체하고, 탄산나트륨의 양을 0.21몰로, 산화구리(Ⅰ)의 양을 0.0020몰로 증가시키고, 반응혼합물을 환류하에 165℃에서 15시간을 가열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행한다. 그 결과 소정의 생성물은 단지 소량만 얻을 수 있을 뿐이었다.

Claims (5)

  1. 구리촉매의 존재하에, 일반식
    (식중, R1, R2및 R3는 각각 서로 독립적인 저급알킬기이며 X는 할로겐원자이다)
    로 표현된 1,3,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과 3-메르캅토-1H-1,2,4-트리아졸의 알카리금속염을 반응시켜 일반식
    (식중,R1, R2및 R3는 상기와 동일)
    로 표현되는 3-(2,4,6-트리알킬페닐티오)-1H-1,2,4-트리아졸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용매로서 일반식
    (식중, R는 저급알킬기,Y는 메틸렌기 또는 N-(저급알킬)이미노기이고 Z는 -N-CO-Y-기와 함께 5원고리 또는 5원고리를 형성하는 2가탄화수소기)
    로 표현되는 유기화합물하에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R로 표현된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Y로 표현되는 (저급알킬)이미노기는, N-메틸이미노기, N-에틸이미노기, N-n-프로필이미노기 및 N-이소프로필이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용매로서 유기화합물은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및N,N'-디메틸프로필렌요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용매로서 유기화합물량은 1,3,5-트리알킬-2-할로게노벤젠의 1몰에 대해 0.1-2.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9950054223A 1994-12-22 1995-12-22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KR0156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0865A JPH08176117A (ja) 1994-12-22 1994-12-22 トリアゾ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94-320865 1994-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82A KR960022482A (ko) 1996-07-18
KR0156881B1 true KR0156881B1 (ko) 1998-12-15

Family

ID=1812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223A KR0156881B1 (ko) 1994-12-22 1995-12-22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67825A (ko)
EP (1) EP0718291B1 (ko)
JP (1) JPH08176117A (ko)
KR (1) KR0156881B1 (ko)
DE (1) DE69503346T2 (ko)
TW (1) TW307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6806B2 (ja) 1997-04-24 2009-08-05 ダウ・アグロサイエンス・エル・エル・シー 有害生物防除性 3―(置換フェニル)―5―(チエニルまたはフリル)―1,2,4―トリアゾ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9877A (en) * 1962-09-24 1964-01-28 Monsanto Chemicals Preparation of thioethers
JP2503547B2 (ja) * 1987-11-04 1996-06-05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バモイルトリアゾ―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DE68917617T2 (de) * 1988-03-07 1994-12-22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Triazol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herbizide Zusammensetzungen.
ATE172967T1 (de) * 1990-08-03 1998-11-15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Triazolderivat
JP3060052B2 (ja) * 1991-06-06 2000-07-04 中外製薬株式会社 トリアゾール系化合物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7762B (ko) 1997-06-11
KR960022482A (ko) 1996-07-18
DE69503346D1 (de) 1998-08-13
JPH08176117A (ja) 1996-07-09
US5567825A (en) 1996-10-22
EP0718291A1 (en) 1996-06-26
DE69503346T2 (de) 1998-12-03
EP0718291B1 (en) 199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805B1 (ko) 트리아졸린티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MXPA00003448A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derivados de triazolintiona.
KR20030004446A (ko) 설폰아미드의 제조방법
KR0156881B1 (ko) 트리아졸화합물의 제조방법
US463299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xiranes
US5266705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2-acetylbenzo[b]thiophene
KR20200110381A (ko) 술펜트라존의 합성 방법
DK166321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2-hydrazino-1,3-diazacycloalk-2-en-hydrohalogenider
KR0146349B1 (ko) 5-아미노-1,2,4-트리아졸-3-설폰아미드의 제조방법
KR100632521B1 (ko)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의 제조방법
US3952010A (en) Catalytic dehydrogen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5-disubstituted pyrazoles
RU224834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цилированных 1,3-дикарбони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US4711959A (en) 2-cyanoamino-pyrimidines
US6248887B1 (en) Process for preparing bis-alkoxy-triazinyl-amino-containing stilbene disulphon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KR830000634B1 (ko) N-트리틸 이미다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EP0835866B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3-piperazinylbenzisothiazoles
KR100348225B1 (ko) 헥사히드로피리다진및헥사히드로피리다진-1,2-디카르복시유도체의제조방법
US5856483A (en) Process for preparing 4.6-bis(difluoromethoxy)pyrimidine derivatives
JP4183781B2 (ja) S,s−(6−メチルキノキサリン−2,3−ジイル)ジチ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CA1314890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nzoin sulfonates
KR930007381B1 (ko) 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S5892663A (ja) アルキルシクロアルキルイミダゾリルメチルケト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4645852A (en) One step conversion of epoxyalkanes to alkyl esters of alkyl and aryl sulfonic acids
KR790001309B1 (ko) 우라실 유도체의 제조법
KR20210043801A (ko) 신규 유기설핀염인 소듐 (tert-뷰틸다이메틸실릴)옥시메테인설핀염을 이용한 설폰 및 설포닐 유도체 화합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