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262B1 - 침강 원심 분리기 - Google Patents

침강 원심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262B1
KR0156262B1 KR1019910014362A KR910014362A KR0156262B1 KR 0156262 B1 KR0156262 B1 KR 0156262B1 KR 1019910014362 A KR1019910014362 A KR 1019910014362A KR 910014362 A KR910014362 A KR 910014362A KR 0156262 B1 KR0156262 B1 KR 0156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hollow
solid
hollow cylindr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966A (ko
Inventor
소오로꾸 스즈끼
Original Assignee
마쯔모도 미노루
코토부키 테크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모도 미노루, 코토부키 테크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모도 미노루
Priority to KR101991001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262B1/ko
Publication of KR93000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침강원심분리기는 원료 혼합물, 즉 고-액 혼합물을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보올(bowl)을 갖는다. 보올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 무거운 고형물은 방사형으로 외부로 향하여 이동되고 보올의 내벽면에 침강된다.
다음에 고형입자는 보올내에 있는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보올의 분출구 유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보올이 회전할 동안 스크류 컨베이어에 있는 핀은 액체를 분리 효율이 우수하게 중 및 경액상으로 분리하게 해준다.
분리된 중 및 경액은 보올로부터 각각의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된다.

Description

침강 원심 분리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침강 원심분리기의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침강 원심분리기의 핀 및 스크류 컨베이어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며의 다른 태양에 따른 핀과 스크류 컨베이어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고체입자와 액체 혼합물을 고형분과 액세상으로 분리하기 위한 침강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체입지과 두 액상 즉, 중 및 경액의 혼합물을 고체입자와 중액 및 경액으로 분리하기 위한 침강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원심분리기 또는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기는 고체입자와 액체혼합물을 고형분과 액상으로 분리하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고형입자와 중 및 경액의 혼합물을 고체입자와 중액 및 경액으로 분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십력 침강에 사용되는 디스크 디켄터(Disk decanter) (또는 콘디스크 디켄터라고도 함) 에는 절두형 원추형상의 다수의 빈 원추형 디스크가 있다. 고형분의 함령이 많은 고-액 혼합물의 원료 슬러리를 디스크 디캔터로서 분리하는 경우에 혼합물내에 축적된 고체입자가 디스크사이의 빈틈을 막게되어 디스크 디캔터가 작동을 못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들면, 스크류 디캔터를 사용하여 혼합물에 함유된 고체입자의 양을 줄여준다음 혼합물을 디스크 디캔터로써 고형분 및 액상으로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윽 고아니 두 개의 디캔터를 직렬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더욱이 혼합물을 두배로 센 원심력하에서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디캔터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지나치게 많고 낭비이다.
본 발명자는 고체입자와 액체혼합물을 고형분 및 액상으로 분리하는 침강 원심분리기 및 또한 일본국 특허 제 1,007,732 호(일본특허 공개 제054961/75호) 및 일본특허 공개 제152556/87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고체입자와 두 개의 액상, 즉 중액과 경액의 혼합물을 고형분 및 중액 및 경액으로 분리하기 위한 침강 원심분리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침강 원심분리기에는 (이중 경사면으로된 스크류 디캔터라고도 한다)침강된 고체입자를 배출시키기 위한 절두 원목형의 보올(frustoconical bowl)이 있다. 보올은 보올의 중심축에 대해서 축적된 고형분을 배출시키는 방향을 따라서 처음에는 큰각으로 다음에는 작은각으로 경사된 내벽면을 갖는다. 이중 경사면으로된 보올의 내벽면은 고형분을 보올의 끝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또한 액체를 고체 입자로부터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올의 구조는 증가된 시간동안 원심분리기에 정체하는 원료의 양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원심분리기의 분리의 정확도와 단위시간당 원심분리기의 처리 용량이 증가한다.
본 발명자는 원심분리기의 처리용량, 분리의 정확도 및 실제사용시 요구되는 에너지의 양의 관점에서 개량해야 될점이 많다는 것을 알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크스 디캔터는 원료에 고체함량이 높은 경우에, 침강된 고형분이 디스크사이의 빈틈을 막기대문에 종종 작동되지 않는다. 이 문제는 먼저 스크류 디캔터를 사용하여 슬러리에 있는 고체의 함량을 감소시킨다음 디스크 디캔터에서 슬러리를 처리하므로서 피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두 개의 디캔터나 원심분리기를 서로 직렬로 연결할 필요가 있는데 그 결과 디캔터에 두배의 강력한 원심력을 가해 주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너무 많다.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이중 경사 스크류 디캔터는 슬러리가 원심분리기로 단지 한 번 통과할 때 분리 공정을 끝마칠 수 있는 반면에, 제안된 디캔터의 실제 사용에서 제안된 디킨터는 직렬로 연결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였을 때 기대하였던 이상의 장점이 없었고, 그리고 처리 능력 및 정확한 상분리가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에너지 소모의 관점을 더 개량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분의 함량이 많은 슬러리나 혼합물에 의해 일어나는 디스크사이의 막힘에 기인한 파손이 없고, 슬러리를 고도로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고, 에너지 소비량도 감소시키며 그리고 비교적 많은 양의 원료를 단주기만의 원심력을 적용하여 고도로 정확하게 분리 할 수 있는 침강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강 원심분리기는 자신의 중심 축 주위를 회전가능한 중공 원통형 몸체, 상기 중공 원통형몸체에 고-액 혼합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중심축에 보다 큰 각으로 경사져 있는 내부 벽면을 갖고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의 일단에 인접하여 접속된 대 직경 개구간 및 상기 대 직경 개구단에 축상에서 대향하는 소직경 개구단을 갖는 제1 중공 절두 원추형부분, 상기 중심 축에 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는 내부 벽면을 갖고 상기 제1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의 소직경 개구단에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접속하여 있는 하나의 개구단 및 불출구인 대향 개구단을 갖고, 상기 개구단은 중공 원통형 몸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내 원통형상인 고-액 혼합물의 자유 액면 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하에 위치하는 제2 중공 절도 원추형 부분,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에 위치하고, 중공 원통형 물체에서 제1 및 제2 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을 통하여 분출구로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침강 고형분을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분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중공 원통형 몸체의 단부에 있고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의 유출물을 조절하는 제방 장치, 액체의 유출물을 분출하는 분출장치, 및 스크류 켄베이어상에 탑재되어 있고 스크류 컨베이어의 날의 회전 간의 공간에 위치하고, 중심 축에 경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방장치는 분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중공 원통형 몸체의 말단에 위치하고,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중액을 유출하는 조절하는 제1 제방 및 분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중공 원통형 몸체의 말단에 위치하고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경액의 유출을 조절하는 제2 제방을 함유할 수 있다.
분출장치는 중액 및 경액 각각의 유출물을 분출할 수 있다. 액체를 분출할 목적으로 스키밍법(skimming method)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을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관련한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상 분리기는, 축상으로 뻗어 있고 중공 원통상 모메를 구성하는 보울 2의 대 직경 원통상부중에 개방되어 있는 공급 파이프 1을 포함한다.
분리할려고하는 원료 슬러리 또는 고-액 혼합물은 주로 고형분과 중 및 경경액으로 구성되고, 보올2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안 공급관 1 및 구멍 12를 통하여 공급된다. 혼합물내에 함유된 고체입자는 보올2의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생성된 원심력하에서 보올2의 내부벽면을 향해 방사형으로 외부쪽으로 옮겨진다.
보올2는 공급관 1주위에 개구 배출단 4를 가지고 있으며 개구 배출단 4를 배출구로 정의한다. 보올2는 내부에 밀집하여 배치되어 있고 보올2의 대향단 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크류 컨베이어 3을 덮고 있다. 보올2의 내벽면에서 침강된 고체입자는 보올2가 회전하는 속도와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3에 의해 분출구로 이송된다. 다음에 고체입자는 배출통로 5를 통하여 심상분리기 외부로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보올2는 공급관 1주위에 설치한 스크류 켄베이어 3의 한 말단부분주위에 부분적으로 위치한 이중경사 부분을 갖는다. 이중경사 부분은 내벽면이 보올2의 중심축에 대해서 큰 각으로 기울어져 있고 대직경 개구단이 보올 2의 원통형부분의 한 말단에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1 절두 원추형 부분 및 대직경 개구단이 제1 절두 원추형 부분의 소직경 개구단에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고, 내부벽면이 보올2의 중심축에 대해 작은 각도로 경사되어 있는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을 포함한다. 제2 말단 원추형 부분의 대직경 개구단은 보올2가 회전하는 동안 생성된 원추형상의 고-액 혼합물의 자유 또는 자유 액면과 동일 수준 또는 그 이하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의 대향 개구단은 분출단 4로써 역할을 한다.
제2 절도원추형 부분은 분출단부근에 위치하고 보올2내에 있는 혼합물의 수준 이상에 위치한 비취 6을 포함한다.
침강된 고체입자가 분출단 4에 도달히기 직전에 고체입자는 비취6을 통과하여, 그곳에서 잔류 액체는 고형분으로부터 거의 제거된다.
또한 삼상분리기는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스크류 컨베이어 3의 날개의 회전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나선형 핀 7을 포함하고, 핀7은 스크류 컨베이어 샤프트에 탑재되어 있다. 핀7은 보올2의 중심축, 즉 보올2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안 보올2내에 원통형의 고-액 혼합물의 자유액면에 대해 경사되어 있다.
분리기에 공급되는 혼합물의 대부분이 스크류 컨베이어 3의 날개와 핀7을 따라 흐르고, 따라서 그와의 마찰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혼합물은 스크류 컨베이어 3과 핀 7주위에 있는 보올2의 내벽면 주위 지역으로 흐르게 된다. 보올2내의 내벽면 부근의 영역은 스크류 컨베이어 3과 핀7이 회전하는 축주위로부터 떨어진 공간이기 때문에, 이 영역내로 흐르는 혼합물은 큰원심력을 받게 되고 그 효율로 분리 될 수 있다.
삼상분리기는 한 개 이상 및 20개 이하의 나선형핀을 가질수 있다. 핀의 방사형의 외측끝과 보올2의 내벽면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100㎜이고 핀의 두께는 0.5㎜에서 2㎜의 범위이다.
핀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짧게하여 혼합물의 입자가 역전거리, 측 침강거리를 감소시켜 주어야 하며 그 결과 침강효율이 증대된다. 만약 핀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으면 핀사이의 틈이 고체 입자로 막히게 되어 입자가 핀사이로부터 방출되지 못한다. 따라서 핀사이의 거리는 처리 할려고 하는 고-액 혼합물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고-액 혼합물이 많은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다면 핀의 방사형의 외측끝과 보올2의 내벽면사이의 거리가 보다 먼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고-액 혼합물이 보다 적은양의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다면 핀의 방사형의 외측끝과 보올 2의 내벽면 사이의 거리가 보다 짧아서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핀의 작용 표면적이 증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른 방사형길이의 핀을 갖는 다수의 스크류 컨베이어를 사용하고 이용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중의 한 개는 처리할려는 고-액 혼합물의 고형물 함량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 또는 분리기는 이주영사 디캔터의 형상이기 때문에, 보올2를 통하여 흐르는 혼합물의 자유 액면과 보올2의 내벽면 사이의 거리가 크다. 따라서, 보올2내의 혼합물에 삽입되어 있는 핀의 길이는 분리의 정확성과 능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해 길어야 한다.
핀이 보올2의 중심축, 즉 스크류 컨베이어의 샤프트에 기울어져 있는 각은 작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침강거리를 감소시키고 분리효율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각이 너무 작으로 핀사이의 틈이 고체입자에 의해 막히게 되어 고체 입자는 핀사이로부터 분출되지 못한다.
그 각은 30-80도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핀의 표면은 표면적을 증가시키기위해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평활하거나 또는 평활한 방사혀 흠이나 능선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태양의 핀은 얇은 판의 그룹형태로하여 이에 평행한 스크류 컨베이어 샤프트상에 탑재하고 보올2가 회전하는 동안 스크류 컨베이어 샤프트로부터 보울2내에 있는 혼합물의 자유 액면가지 비스듬하게 방사형으로 외부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1군의 박판 형상일 수 있고 스크류 컨베이어 날개는 바깥끝에서 감겨질 수 있다.
핀7이 삽입되어 있는 혼합물에 가해진 원심력은 비교적 작다. 그러나 핀 7사이의 거리 및 또한 핀7과 스크류 컨베이어 날개, 즉 침강거리가 짧기 때문에 침강이나 또는 제2도에 나타낸 침전입자와 부유입자와 같은 중 및 경 입입자가 유동되어 서로 엉키어 붙는 현상이 증진되므로 분리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특히, 혼합물이 고형분과 중 및 경액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핀7과의 접촉에 의해서 야기되는 합착때문에 중 및 경액은 도면2에 나타낸바와 같은 경계면을 형성하면서 고도로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되고 보울2를 통과한 경액은 제방8을 유출하고 분리기의 외부로 분출구 9를 통해 분출된다. 유사하게 분리되고 보울2를 통과한 중액은 제방10을 유출하고 분리기의 외부로 분출구 11을 통해 분출된다. 따라서, 제방8과 10은 중 및 경액의 유추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도는 스크류 컨베이어 3의 날개와 핀7 확대도이다. 또한 제2도는 핀7사이에 침강되고 활발하게 이동하는 입자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또다른 태양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3과 핀7을 도시한 것이다. 스크류 컨베이어 3의 날개와 핀7은 제2도에 나타낸 스크류 컨베이어 날개 및 핀7이 기울어져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이한 각도에서 경사되어 있다.
또다른 태양에 있어서, 이에 평행하고, 회전 보울2 중의 혼합물의 자유 액면까지 비스듬하게 스크류 컨베이어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스크류 컨베이어 상에 탑재된 1군의 박판 형태로 핀을 정돈하고, 스크류 컨베이어 날개를 박판의 외부끝이 감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디캔터를 사용하여 원료 혼합물을 분리하는 비교예 1 및 2 및 본발명에 따른 삼상분리기를 사용하여 원료 혼합물을 분리하는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비교예 1]
분리하고자 하는 원료 혼합물을 정어리 어육 공장에서 스크류 압착으로 시간당 1000ℓ를 생산하고 회전체를 통과시킨다. 원료 혼합물은 30.8 부피%의 기름, 61.5부피%의 물. 7.7부피%의 고형물로 이루어져 있다. 원료 혼합물을 보올의 내부직경이 250㎜이고 종래의 단일 경사면을 갖는 삼상 분리 디캔터에 공급한다. 원료 혼합물 95℃, 3000G 의 원심력하에서 분리하여 수분이 2.5부피% 또는 그 이하, 고형분이 2.0부피% 또는 그이하, 나머지가 기름으로 된 경액, 물 98.7부피%, 고형분 1.3부피%, 기름 0.83부피%로 된 중액, 물 70중량%, 기름 3.0중랑%, 나머지가 고형분으로된 케이크를 얻는다.
경액은 콘 다스크 디캔터로 마무리처리하여 어유로 판매한다. 중액은 단백질 농도가 높게 농축하고 케이크는 건조기로 건조한다.
종래의 삼상분리 디캔터로 얻은 경액에서 수분함량은 평군 1.8부피%로 이는 높은 값이다. 경액에서 원심력하에서 침강된 고형분은 2.0체적%였으며 이것 역시 높은 값이다. 경액은 어유 생성물로 바로 이용할 수 없다. 중액에서 기름은 0.83중량%이고 원심력하에서 침강된 고형분은 1.3부피%이다. 이들 값 역시 높은 값이고 중액은 이것을 농축할 때 뜨겁게 된 관을 파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원료혼합물을 삼상분리 디캔터로 1회만 처리한다면 종래의 삼상분리 디캔터는 삼상분리기로는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어유 생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액을 얻기 위해서는 경액을 콘 디스크 디캔터로 후속처리하여야 한다.
생성된 중액은 이것을 농축할 때 뜨거운 관을 파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비교예 2]
정어리를 스크류압착하고 회전체를 통과시켜 분리하고자 하는 원료 혼합물을 시간당 3000ℓ를 생산한다. 원료 혼합물은 기름이 15.6 내지 31.5부피%, 고형분이 3.2 내지 12.1부피%, 나머지가 물로 구성되어 있다. 원료 혼합물을 보올의 내부직경이 320㎜이고 종래의 단일경사면을 갖는 삼상분리 디캔터에 공급한다. 공급혼합물을 90℃, 3000G 의 원심력하에서 분리하여 수분이 0.15중량%, 고형분 미량, 나머지가 기름으로된 경액, 기름이 0.1 내지 0.26 중량%, 고형분이 0.3부피%, 나머지가 물로된 중액, 기름이 1.8중량%, 물이 65중량%정도, 나머지가 고형분으로된 케이크를 얻는다.
경액은 질이 우수하여 어유 생성물로 바로 선적할 수 있다. 중액과 케이크는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중액세어 얻은 단백질 농출물은 농출할 때 뜨거운 관을 파괴시키지 않기 때문에 비교예 1에서 얻은 단백질 농축물보다 질이 더 우수하다. 케이트는 비교예 1에서의 케이크보다 더 빨리 건조되었다.
[실시예]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원료 혼합물을 시간단 5100ℓ로 본 발명에 따른 삼상분리기에 공급한다. 사용한 삼상분리기는 내경이 320㎜인 보올과 보올의 내면벽으로부터 20㎜ 떨어진 6개의 핀을 함유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갖는다.
스크류 컨베이어 사프트에서 70㎜의 높이를 갖는 핀은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서로서로 60㎜ 떨어져서 스크류 컨베이어 날개의 회전면사이에 동일한 공간 간격으로 설치한다. 원료 혼합물을 93℃에서 3000G 의 원심력하에서 분리하여 수분 0.12중량%, 고형물 미량, 나머지가 기름으로 된 경액, 기름 0.1에서 0.2중량%, 고형물 0.3부피%, 나머지가 물로된 경액, 그리고 그리고 기름 1.8중량%, 물이 약 65중량%, 나머지가 고형분인 케이크를 얻는다.
경액은 질이 우수하여 어유 생성물로서 바로 선적할 수 있다. 중액과 케이크는 비교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중액에서 얻는 단백질 농축물은 비교예 2에서 얻은 단백질 농출물과 같은 정도로 우수하다. 케이크는 비교예 2에서의 케이크보다 더 빨리 건조되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삼상분리기는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이중 경사 삼상 분리 디캔터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규격을 갖는다. 그러나 스크류 컨베이어내에 핀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예에서의 삼상분리기의 처리 능력이 비교예 2에서의 이중 경사 삼상분리디캔터의 것에 비해 1.7배가 되며(5100ℓ/ 시간대 3000ℓ/시간)경액인 어유와 중액인 단백질 농축 묽은 수용액이 비교예 2에서의 것보다 순도가 더 높다. (경액에서 수분 : 0.12중량% 대 0.15 중량%, 중액에서 기름 : 0.1 내지 0.2중량%, 대 0.1 내지 0.26중량%)
핀 7의 존재가 경 및 중액사이의 동적 계면 경계의 안정성 역효과를 미친다고 측정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나타낸 실시예와 비교예의 실험적 결과는 분리된 경 및 중액의 향상된 질이 경 및 중액 사이에 안정한 동적 계면 경계의 존재가 증명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임의의 바람직한 태양이 개시되고 더욱 자세히 기재되었지만, 다양한 변화나 변형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

  1.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중공 원통형 몸체;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에 고-액 혼합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중심축에 보다 큰 각으로 경사져 있는 내부 벽면을 갖고 상기 중공원통형 몸체의 일단에 인접하여 접속된 대직경 개구단 및 상기 대직경 개구단에 축상에서 대향하는 소직경 개구단을 갖는 제1중공 절도 원추형 부분; 상기 중심축에 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는 내부 벽면을 갖고 상기 제1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의 소직경 개구단에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접속하여 있는 하나의 개구단 및 분출구인 대향 개구단을 갖고, 상기 개구단은 중공 원통형 몸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내 원통형상인 고-액 혼합물의 자유 액면상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에 위치하는 제2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 및 사익 제1 및 제2 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에 위치하고 중공 원통형 몸체에서 제1 및 제2 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을 통하여 분출구가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침강 고형부늘 이동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분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의 단부에 있고 상기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액체의 유출물을 조절하는 제방장치; 액체의 유출물을 분술하는 분출 장치 ; 및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상에 탑잭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날의 회전 간의 공간에 위치하고, 중심 축에 경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는 침강 원심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중공 원통형 몸체;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에 고-액 혼합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중심축에 보다 큰 각으로 경사져 있는 내부 벽면을 갖고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의 일단데 인접하여 접속된 대직경 개구단 및 상기 대직경 개구단에 축상에서 대향하는 소직경 개구단을 갖는 제1 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 상기 중심축에 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는 내부 벽면을 갖고 상기 제1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의 소직경 개구단에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접속하여 있는 하나의 개구단 및 분출구인 대향 개구단을 갖고 상기 개구단은 중공 원통형 몸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내 원통 형상인 고-액 혼합물의 자유 액면 상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에 위치하는 제2 중공절두 원추형 부분;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 및 제1 및 제2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에 위치하고, 중공 원통형 몸체에서 제1 및 제2중공 절두 원추형 부분을 통하여 분출구로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침강 고형분을 이동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분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의 말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중액의 유출을 조절하는 제1제방; 상기 분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의 말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액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경액의 유추를 조절하는 제2제방; 중액 및 경역의 상기 유출물을 분출하는 분출 장치 ; 및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상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날의 회전간에 공간에 위치하고, 중심 축에 경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는 침강 원심 분리기.
KR1019910014362A 1991-08-21 1991-08-21 침강 원심 분리기 KR0156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362A KR0156262B1 (ko) 1991-08-21 1991-08-21 침강 원심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362A KR0156262B1 (ko) 1991-08-21 1991-08-21 침강 원심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966A KR930003966A (ko) 1993-03-22
KR0156262B1 true KR0156262B1 (ko) 1999-02-18

Family

ID=1931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362A KR0156262B1 (ko) 1991-08-21 1991-08-21 침강 원심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4784A (zh) * 2016-11-29 2017-03-08 航天电工集团有限公司 一种离心式自动油泥分离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4784A (zh) * 2016-11-29 2017-03-08 航天电工集团有限公司 一种离心式自动油泥分离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966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8906A (en) Solid jacket centrifuge for material exchange between liquids
US4743226A (en) High capacity continuous solid bowl centrifuge
US3795361A (en) Centrifuge apparatus
US5769776A (en) Feed accelerator system including accelerating vane apparatus
US20110003676A1 (en) A separation device
EP0897752B1 (en) Centrifuge with cake churning
JPH06190302A (ja) ビーチ部において途切れたフライトを有するデカンタ型遠心分離機
JPH06206005A (ja) デカンター型遠心分離装置
KR890003430B1 (ko) 2단경사 데칸터를 사용한 3상 분리장치
EP0574364B1 (en) Centrifuge for oil extraction from oily slurries working without addition of drinkable water
US51510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particle disintegration
US4654022A (en) Rinsing on a solid bowl centrifuge
US5310399A (en) Sedimentation centrifuge containing screw conveyor with fins
KR20130031375A (ko) 헤비 페이즈 토출류로부터 멀티 페이즈의 고체를 효율적으로 유동하게 하는 원심 액체 분리 기계
US5252209A (en) Solid bowl worm centrifuge with improved discharge openings
KR0156262B1 (ko) 침강 원심 분리기
US5314399A (en) Sedimentation centrifuge with helical fins mounted on the screw conveyor
EP0528067B1 (en) Sedimentation centrifuge
SU1071212A3 (ru) Центрифуга дл разделений суспензий
US5792039A (en) Decanter centrifuge for separating feed suspension into fraction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0741680B1 (ko) 원심분리장치
US5674174A (en) Low-shear feeding system for use with bottom feed centrifuges
RU2185892C2 (ru) Центрифуга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суспензий
JP3942402B2 (ja) 遠心分離装置
JPH04310255A (ja) スクリュウ型デカ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