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863B1 -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 Google Patents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863B1
KR0155863B1 KR1019950023528A KR19950023528A KR0155863B1 KR 0155863 B1 KR0155863 B1 KR 0155863B1 KR 1019950023528 A KR1019950023528 A KR 1019950023528A KR 19950023528 A KR19950023528 A KR 19950023528A KR 0155863 B1 KR0155863 B1 KR 015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olymer
emitting diode
blue ligh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455A (ko
Inventor
황도훈
심홍구
사공동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황도훈
심홍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황도훈, 심홍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863B1/ko
Priority to US08/562,025 priority patent/US5731599A/en
Publication of KR97000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4Poly-phenylenevinyl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하는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공역계 폴리머층 양면에 양전극측과 음전극층이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공역계 폴리머가 실리콘으로 치환된 페닐렌을 주쇄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발광을 할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다.

Description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제1도는 일반적인 발광 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에 전계를 가할 경우 전계 발광을 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양전극
3 : 고분자 물질 4 : 음전극
본 발명은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시간 청색 발광이 가능하고, 열 안정성이 우수한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하는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공역계 고분자(conjugated polymer)는 전기, 비선형 광학 및 발광 특성이 있다. 또한 고분자는 금속이나 반도체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그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전기/전자 산업 분야에서 공역계 고분자의 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대부분의 공역계 고분자는 용해도가 좋지 않으며,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주쇄에 알킬기로 이루어진 스페이서(spacer) 그룹의 길이를 길게 하면, 기계적 특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어 적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기전도성, 비선형 광학 응답 특성 및 발광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한편, 현재 액정표시소자(LCD)는 소비전력이 적어 경량화 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대형화 및 칼라화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의 한계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lighting-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를 채용한 표시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한 표시장치는 수광형 액정표시소자에 비해 응답성, 시각 의존성 및 콘트라스트가 훨씬 우수하기 대문에 음극선관 및 평면 패널형 표시소자인 액정표시소자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발광 다이오드는 무기 결정을 소재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무기물을 소재로 한 발광 다이오드는 저 전력화, 칼라화 및 대형화가 곤란하고, 구동전압이 높으며 녹색과 청색 영역의 빛을 얻기가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무기결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소재로서 유기 고분자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고분자를 소재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연구 성과는 1990년 영국의 캠브리지(Cambridge) 그룹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다(Nature 1992, 347, 539. 미국 특허 제 5,247,190호). 발광층으로 사용된 고분자 물질은 공역 이중 결합(conjugated double bond)을 갖는 폴리(1,4-페닐렌 비닐렌)으로서, 하기식 (I)과 같은 구조로서 표시된다.
상기 폴리(1,4-페닐렌 비닐렌)은 페닐 그룹과 이중 결합이 교대로 연결된 공역계 고분자(conjugated polymer)로서, 540nm 파장에서 녹색 발광을 하며, 알루미늄과 ITO(Indium Tin Oxide)를 각각 음극의 양극으로 사용했을 경우 0.01%의 발광 효율을 보였다.
그 후, 캠브리지 그룹과 히거 그룹(Heeger Group, U.S.Santa Barbara)에 의해 폴리(1,4-페닐렌 비닐렌)과 그 유도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WO9216023), 다양한 전극과 새로운 발광층의 개발을 통하여 발광효율이 약 4%까지 개선된 것으로 보고되었다(Nature 1993, 365, 628). 그러나, PPV와 그 유도체는 완전한 공역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녹색 이하의 파장 영역을 갖는 빛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청색 발광성 고분자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고, 폴리파라페닐렌(PPP)이 459nm 이하에서 청색발광하는 것이 발표되었고(Synth. Met. 1992, 51 383), 폴리 알킬 플로렌이 470nm에서 청색을 띠는 것이 발표되었다(Jpn. J. Appl. Phys. 1991, 30, L1941). 그러나, PPP와 알킬 플로렌은 합성이 어렵고, 필름의 질과 가공성이 떨어지며 발광 수명이 아주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국 메사추세츠 대학교의 카라츠(Karasz) 그룹 등에 의해 페닐렌 비닐렌으로 이루어진 일정한 공역 이중결합 단위를 가지는 청색발광 고분자(II)가 개발되었다.
상기 식 (II)와 같이 표시되는 고분자는 유기용매에 용해되며, 가공성과 필름의 질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발표되었다(Macromolecules 1993, 26, 1188).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를 발광 물질로서 채용할 경우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부가되는 스페이서(spacer) 그룹의 길이가 길어서 PPV가 가지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카라츠 그룹의 고분자 물질과는 별도로, 일본 특개공 제05-320635호에는 하기 식 (III)과 같은 청록색 및 청색 발광 고분자의 합성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식 (III)으로 표시되는 고분자 물질에서 가장 주가되는 부분은 Ar2단위로서, 이 Ar2단위는 페닐렌에 알콕시 그룹이 대칭적으로 치환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알콕시 그룹은 강한 전자 주게 그룹(electron donationg group)이기 때문에 고분자 흡수 파장을 장파장 쪽으로 이동시켜, 발광되는 빛의 파장을 장파장 쪽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알콕시 그룹이 치환된 고분자의 발광 파장은 520 내지 530nm으로서, 초록색을 강하게 띄는 청록색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반면, Ar2단위가 치환기를 갖지 않는 페닐, 나프탈렌, 바이페닐, 등일 경우 발광 파장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지만, 고분자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적용이 어려웠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 그룹을 증가시키면 필름의 열적 안정성이 좋지 않아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에 그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는 청색 발광 고분자 물질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제1도에는 일반적인 발광 다이오드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데, 일반적으로 기판(1) 위에 열증착 등의 방법으로 양전극(2)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박막 형태의 고분자막(3)을 형성한 다음, 음전극(4)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 경우 고분자막의 형성에 있어서, 고분자 물질 또는 고분자 전구체(precursor)를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스핀 코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고분자 또는 고분자 전구체의 용해도가 좋지 않으면 고분자막을 형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형성된 고분자의 발광 효율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2도에는 제1도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에 전계를 가할 경우 전계 발광을 하는 과정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제2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의 각 전극을 통해 전계를 가할 경우 고분자 사슬의 구조적인 이완 작용에 의해 음과 양으로 대전된 플라론(polaron)(p-, p+)이 발생되며, 이들은 곧 플라론-엑시톤을 형성한 다음, 극히 짧은 시간 내에 단일의 플라론 엑시톤을 재결합하면서 발광하게 된다.
그런데, 고분자 내에 흠(defect)이 있으면, 홈이 발광하지 않는 재결합 중심이 된다. 이러한 홈은 용해도가 좋지 않은 고분자를 채용할 경우 그 가공 과정에서 생기는 것으로서, 용해도가 좋지 않은 고분자를 채용하여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효율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시간 동안 청색 영역에서 빛을 발할 수 있고, 가공성도 뛰어난 청색 발광성 고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성 고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단, X는 하기 식 (V) 및 (V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Y는 하기식 (VII) 및 (VI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Z는 하기 식 (V) 및 (I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하나, n은 1∼20이고,
R1, R2, R3는 각각 C1∼C8알킬기임.
특히, 상기 n은 2 내지 5이고, 상기 R1, R2, R3는 각각 C1∼C4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동안 청색 영역에서 빛을 발할 수 있고, 열안정성이 뛰어난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역계 폴리머층 양면에 양전극층과 음전극층이 형성된 청색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공역계 고분자는 상기 식 (IV)로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으로 치환된 페닐렌이 주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리콘은 전자를 주거나 당기는 전기적 성질이 수소 원자와 비슷하므로, 종래의 알콕시 치환 고분자보다 훨씬 단파장의 청색 빛을 발할 수 있다. 또한 치환기가 없는 고분자와 달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좋기 때문에 균일하고, 홈이 매우 적은 고분자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스페이서 그룹이 짧더라도 용해도가 좋으므로 페닐렌비닐렌 그룹이 가지는 기계적 강도와 열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노머 합성]
(1) 2,5-비스(트리알킬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늄브로마이드)(X)의 합성
하기 식과 같이, 2,5-비스(트리알킬실릴)-1,4-비스(브로모메틸)벤젠과 트리페닐포스핀을 DMF에서 반응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에서 침전시킨다. 이어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진공 건조하면 희색의 2,5-비스(트리알킬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X)가 얻어진다.
(2) 2-트리알킬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XI)의 합성
하기 식과 같이, 2-트리알킬실릴-1,4-비스(브로모메틸)벤젠과 트리페닐포스핀을 DMF에서 반응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에서 침전시킨다. 이어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면, 하기 식 (XI)로 표기되는 흰색의 최종 생성물을 얻는다.
(3) 1,3-비스(4-포르밀-페녹시)알칸의 합성
하기 식과 같이, 4-하이드록시벤잘데히드와 양말단이 각각 하나의 브롬으로 치환된 알칸(디브로모알칸)을 탄산칼륨이 용해된 DMF 용액에서 반응시킨 다음, 냉각하여 침전시킨다. 이어 침전물을 여과하여 진공건조한 다음, 침전물을 에탄올에 넣어 재결정하여 하기 식 (XII)로 표기되는 흰색의 생성물이 얻어진다.
(4) 1,3-비스(4-포르밀-2,6-디메톡시페녹시)알칸의 합성
하기 식과 같이, 4-하이드록시벤잘데히드와 양말단이 각각 하나의 브롬으로 치환된 알칸(디브로모알칸)을 탄산칼륨이 용해된 DMF 용액에서 반응시킨 다음, 냉각하여 침전시킨다. 이어 침전물을 여과하여 진공건조한 다음, 침전물을 에탄올에 넣어 재결정하여 하기 식 (i)로 표기되는 흰색의 생성물이 얻어진다.
[고분자 물질의 합성]
(1) P-1의 합성
하기 식과 같이, 동일한 당량의 (X)와 (XII) 모노머를 에탄올과 클로로포름 용매에 완전히 녹인 후, 약간 과량의 에톡시화나트륨을 넣고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이어 반응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다음, 메탄올에 침전시키면, P-1으로 표기되는 최종 고분자가 얻어진다.
(2) P-2의 합성
동일한 당량의 (XI)와 (XII) 모노머를 이용하여 상기 과정 (1)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P-2로 표기되는 최종 고분자가 얻어진다.
(3) P-3의 합성
동일한 당량의 (X)와 (i) 모노머를 이용하여 상기 과정 (1)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P-3로 표기되는 최종 고분자가 얻어진다.
(4) P-4의 합성
동일한 당량의 (XI)와 (i) 모노머를 이용하여 상기 과정 (1)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P-4로 표기되는 최종 고분자가 얻어진다.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1도와 같은 형태의 MIS(Metal-semiconductor-metal)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한다.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의 양전극은 높은 일함수(work function)를 갖는 금, 백금,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이루어지고, 음전극은 상대적으로 낮은 일함수를 갖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양전극과 음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해야 하는데, 이는 발광되는 빛이 쉽게 투과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따라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노머 합성]
1) 2,5-비스(트리메틸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의 합성
7.4g의 2,5-비스(트리메틸실릴)-1,4-비스(브로모메틸)벤젠과 4.3g의 트리페닐포스핀을 30ml의 DMF하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된 용액을 디에틸에테르에서 침전시켜 흰색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하기 식(X-1)로 표기되는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89%).
분해 온도 : 299-300℃
1H-NMR(DMSO-d6): δ 7.94-7.55 (m, 30H), 7.05 (s, 2H), 5.01 (d, 4H), -0.31 (s, 18H).
원소 분석: 계산치(C 64.35%, H 5.79%), 측정치(C 63.01%, H 6.04%)
2) 2-트리메틸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의 합성
3.0g의 2-트리메틸실릴-1,4-비스(브로모메틸)벤젠과 5.2g의 트리페닐포스핀을 30ml의 DMF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된 용액을 디에틸에테르에서 침전시켜 흰색의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하기 식 (XI-I)로 표기되는 흰색의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80%).
3) 1,3-비스(4-포르밀-페녹시)프로판의 합성
10.0g의 1,3-디브로모프로판을 10ml의 DMF와 6.2g의 탄산칼륨 용액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찬 증류수에 부어서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진공건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 에탄올에 넣어 재결정하여 하기 식 (XII-I)로 표기되는 흰색이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65%).
4) 1,5-비스(4-포르밀-2,6-디메톡시페녹시)펜탄의 합성
10.0g의 4-하이드록시벤잘데히드와 6.3g의 1,5-디브로로펜탄을 100ml의 DMF와 6.2g의 탄산칼륨 용액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찬 증류수에 부어서 침전시킨 후, 여과해서 진공건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하기 식 (i-I)로 표기되는 흰색의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60%).
[실시예 1]
[고분자 합성]
3.28g의 2,5-비스(트리메틸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X-1)와 1.00g의 1,3-비스(4-포르밀-페녹시)프로판(XII-1)(동일한 당량)을 에탄올과 클로로포름 용매 20ml에 넣고 완전히 녹인 다음, 여기세 0.6g의 에톡시화나트륨을 넣고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물을 제거한 다음, 메탄올에 침전시켜 폴리[1,3-프로판디옥시-1,4-페닐렌-1,2-에틸렌-(2,5-비스(트리메틸실린)-1,4-페닐렌)-1,2-에테닐렌-1,4-페닐렌](P-1-1)을 합성하였다.
폴리스티렌을 표준으로 하여, 상기 얻어진 P-1-1에 대한 분자량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는데, 수평균 분자량 2100 및 중량평균 분자량 7200로 나타났다. 또한, 광원으로서 330nm 크세논 램프를 사용하여 고분자 P-1-1을 여기시켜, 고분자에서 방출되는 광발광(PL) 스펙트럼을 기록하여 [표 1]에 나타냈는데, 청색 영역에서 발광하였다. 여기에서, 150Hz 초핑 주파수(chopping frequency)를 갖는 록인증폭기 (lock-in amplifer)를 이용하는 퍼킨 엘머사의 LS-50 형광계를 이용하여, 기록이 이루어졌다.
[발광 다이오드 제작]
상기 얻어진 P-1-1 1.2g을 사이클로헥사논 12ml에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먼지를 제거하였다. 이어, 기판 위에 형성된 ITO층을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한 다음, 4000rpm의 속도로 15초 동안 기판을 회전시키면서 ITO층 위에 상기 용액을 스핀코팅하여 140nm 두께의 고분자층을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진공증착법에 의해 알루미늄을 코팅하여 지름 5mm의 구형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의 각 전극을 통하여 25V의 전압을 가하여 알루미늄 전극에서 ITO 전극 쪽으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는데, 파장이 470nm로서 청색 영역이었다.여기에서, 빛의 파장은, 검출기로서 광전자 증배관(photomultiplier)(Hammamtzu R955)이 구비된 이중 그레이팅 단색화 장치(grating monochrometer)(Spex 270M)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실시예 2]
3.02g의 2-트리메틸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XI-I)와 1.00g의 1,3-비스(4-포르밀-페녹시)프로판 (XII-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폴리[1,3-프로판디옥시-1,4-페닐렌-1,2-에테닐렌-(2-트리메틸실릴-1,4-페닐렌)-1,2-에테닐렌-1,4-페닐렌](P-2-1)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P-2-1에 대한 분자량 및 PL 스펙트럼을 측정한 다음,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하여 EL 파장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2,14g의 2,5-비스(트리메틸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X-I)와 1.00g의 1,5-비스(4-포르밀-2,6-디메톡시페녹시)펜탄 (i-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폴리[1,5-프로판디옥시-(2,6-디메톡시-1,4-페닐렌)-1,2-에테닐렌-(2,5-비스(트리메틸실릴-1,4-페닐렌)-1,2-에테닐렌-(3,5-디메톡시-1,4-페닐렌] (P-3-1)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P-3-1에 대한 분자량 및 PL 스펙트럼을 측정한 다음,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하여 EL 파장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
2.00g의 2-트리메틸실릴-1,4-크실렌비스(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XI-l)와 1.00g의 1,5-비스(4-포르밀-2,6-디메톡시페녹시)펜탄 (i-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폴리[1,5-프로판디옥시-(2,6-디메톡시-1,4-페닐렌)-1,2-에테닐렌-(2-트리메틸실릴-1,4-페닐렌)-1,2-에테닐렌-(3,5-디메톡시-1,4-페닐렌] (P-4-1)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P-4-1에 대한 분자량 및 PL 스펙트럼을 측정한 다음,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하여 EL 파장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는 청색 발광을 한 뿐만 아니라,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여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는 우수한 청색 발광을 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성 고분자.
    단, X는 하기 식 (V) 및 (V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Y는 하기식 (VII) 및 (VI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Z는 하기 식 (V) 및 (I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하나, n은 1∼20이고,
    R1, R2, R3는 각각 C1∼C8알킬기임.
  2. 공역계 고분자층 양면에 양전극층과 음전극층이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공역계 고분자로서 제1항의 공역계 고분자가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은 금, 백금 및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는 각각 C1∼C4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층과 음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KR1019950023528A 1995-07-31 1995-07-31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KR0155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528A KR0155863B1 (ko) 1995-07-31 1995-07-31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US08/562,025 US5731599A (en) 1995-07-31 1995-11-22 Blue light-emitting polymer and light-emitting diode adop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528A KR0155863B1 (ko) 1995-07-31 1995-07-31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455A KR970006455A (ko) 1997-02-21
KR0155863B1 true KR0155863B1 (ko) 1998-11-16

Family

ID=1942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528A KR0155863B1 (ko) 1995-07-31 1995-07-31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731599A (ko)
KR (1) KR0155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64B1 (ko) * 2000-12-16 2004-12-23 박광용 알켄 또는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화합물 및 이를이용한 전기발광소자
KR100605249B1 (ko) * 1998-09-23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시디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606B1 (ko) * 1999-08-23 2002-02-19 김순택 칼라 튜닝이 우수한 고효율의 전기발광 고분자
TWI238183B (en) 2000-01-12 2005-08-21 Sumitomo Chemical Co Polymeric fluorescent substance and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KR100441200B1 (ko) * 2001-06-18 2004-07-23 대한민국 게르밀기가 치환된 폴리 페닐렌 비닐렌 중합체 및 그제조방법
SG118077A1 (en) * 2001-06-21 2006-01-27 Univ Singapore Light emitting polymers and polymer light emittingdiodes
JP3811142B2 (ja) * 2003-06-24 2006-08-16 株式会社東芝 希土類錯体を用いたled素子及び発光媒体
KR100886949B1 (ko) * 2007-05-17 2009-03-09 제일모직주식회사 실리콘 또는/및 주석을 포함하는 비닐단위를 기본으로 하는oled 유기막용 고분자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9011D0 (en) * 1989-04-20 1989-06-07 Friend Richard H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5220181A (en) * 1989-12-11 1993-06-15 Canon Kabushiki Kaisha Photovoltaic element of junction type with an organic semiconductor layer formed of a polysilane compound
US5408109A (en) * 1991-02-27 1995-04-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isible light emitting diodes fabricated from soluble semiconducting polymers
JP3223571B2 (ja) * 1992-05-28 2001-10-2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5514878A (en) * 1994-03-18 1996-05-07 Holmes; Andrew B. Polymers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5589320A (en) * 1993-07-21 1996-12-3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meric fluorescent substan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249B1 (ko) * 1998-09-23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시디 모듈
KR100463264B1 (ko) * 2000-12-16 2004-12-23 박광용 알켄 또는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화합물 및 이를이용한 전기발광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455A (ko) 1997-02-21
US5731599A (en) 199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74070B2 (ja) 発光ダイオード用有機電気発光高分子
JPH0945478A (ja) 高分子蛍光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1036487A (ja) El素子用フルオレン系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el素子
KR20010050735A (ko) 페닐안트라센계 중합체를 갖는 전자 발광 소자
JP3546645B2 (ja) 高分子蛍光体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8231051A (ja) フルオレン−ベンゾチアジアゾール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0155863B1 (ko) 청색 발광성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KR20020020204A (ko) 전계 발광 소자용 저분자 발색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 전계 발광소자
KR100528322B1 (ko) 청색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020027106A (ko) 스피로바이플로레닐기가 치환된 폴리(페닐렌비닐렌)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발광소자
JP3272230B2 (ja) 青色発光性高分子およびこれを採用した青色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JP2004538350A (ja) シクロヘキシル又はフェニルが置換されたシリル基を側鎖で備えるポリ(p−フェニレンビニレン)誘導体、これを含む電界発光素子及び同誘導体の製造方法
EP0745658A1 (en) Light-emitting copolymers
KR100619356B1 (ko) 플로레닐렌 비닐렌계 발광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전기발광소자
KR100378742B1 (ko) 폴리(스피로바이플로레닐렌 비닐렌) 유도체 및 이를이용한 전기발광소자
JP3707081B2 (ja) 高分子蛍光体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408233B1 (ko) 신규한 유기 발광 중합체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발광 다이오드
JP3894216B2 (ja) 高分子蛍光体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440901B1 (ko) 폴리(아세안스릴렌)과폴리(아세안스릴렌-코-비닐카르바졸) 발광고분자 및 이를사용한 전기발광소자
KR100318381B1 (ko) 저분자 발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저분자 전기 발광 소자
KR100394509B1 (ko) 네개의 치환체를 갖는 페닐렌기를 포함하는 고기능성전기발광고분자
KR100710985B1 (ko) 아릴기를 포함하는 스티릴기가 치환된 폴리(페닐렌비닐렌)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발광소자
KR100710986B1 (ko) 청색발광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발광소자
KR100423703B1 (ko) 전계 발광소자의 발광재료용 플로렌계 중합체 및 이를이용한 전계 발광소자
KR100710987B1 (ko) 비닐기의 1,2-위치에 플루오렌이 치환된 에틸렌기를함유하는 폴리아릴렌 주쇄를 갖는 유기발광고분자 및 이를이용한 유기전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