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093B1 -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093B1
KR0155093B1 KR1019950022741A KR19950022741A KR0155093B1 KR 0155093 B1 KR0155093 B1 KR 0155093B1 KR 1019950022741 A KR1019950022741 A KR 1019950022741A KR 19950022741 A KR19950022741 A KR 19950022741A KR 0155093 B1 KR0155093 B1 KR 015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vehicle
airbag
microcomputer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975A (ko
Inventor
변성광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2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093B1/ko
Publication of KR97000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comprising variable thresholds, e.g. depending from other collision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물체와 충돌시 이를 검출하는 충돌감지센서와, 주행중인 자동차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전방의 물체에 레이져 광선을 입사하는 레이져광선송신부와, 상기 레이져광선 송신부에서 출력된 레이져광선이 물체에 충돌한 반향파를 수신하는 레이져광선수신부와, 상기 레이져광선수신부의 입력된 신호를 비교판단하여 물체의 경화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가속도센서와 충돌감지센서의 검출신호를 비교판단하여 선별적으로 에어백전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각 물체마다 상이한 반향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자동차가 충돌시에 물체의 경화정도를 판단하여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므로써, 자동차가 충돌시 대상 물체에 따라 선별적으로 에어백 전개 동작이 실행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의 블럭도.
제3도는 물체에 따라 레이져광선이 반사되는 반향파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돌 감지 센서 11 : 가속도센서
12 : 마이컴 13 : 인플레이터
20 : 레이져광선송신부 30 : 레이져광선수신부
40 : 데이터저장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가 충돌시에 물체의 경화정도를 판단하여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므로써, 자동차가 충돌시 대상 물체에 따라 선별적으로 에어백 전개 동작이 실행되므로 에어백 전개동작시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탑승자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은 자동차의 충돌 시에 전개되어 탑승자들의 안전을 도모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에어백시스템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자동차가 주행중에 물체와 충돌할 경우 이를 검출하는 충돌 감지센서(10)와, 자동차의 속도에 따른 신호 변화값을 발생하는 가속도센서(11)와, 상기 가속도센서(11)와 충돌감지센서(10)의 출력신호를 비교판단하여 소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12)과, 상기 마이컴(12)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13)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가 운행하다가 물체에 충돌을 하게 되면 충돌감지센서(10)가 이를 검출하여 마이컴(12)에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이 마이컴(12)은 이 신호를 인식하여 가속도센서(11)를 통해 현재 자동차의 속도에 따른 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컴(12)은 가속도센서(11)에서 검출된 속도 데이터를 비교판단하여 에어백 전개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12)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자동차가 위험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면서 물체에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마이컴(12)은 인플레이터(13)로 에어백을 전개시키게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13)에서는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고로 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즉,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가 위험속도이상에서 충돌감지센서(10)의 충돌정보가 마이컴(12)에 입력되면 인플레이터(13)가 작동되어 에어백이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은 자동차가 소정속도 이상에서 충돌신호가 입력되면 무조건 전개됨으로서 자동차가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물등 연성물질과 충돌하더라도 에어백이 전개되게 된다.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체에 충돌할 때 에어백이 전개되면 오히려 탑승자의 안전이 위험하게 된다. 더구나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한번 전개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성물질과 충돌시에 에어백이 전개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면 경제적인 손실 뿐만 아니라 에어백시스템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에 레이져광선을 송신하고 반사되는 반향파에 의하여 물체의 경화정도 즉, 물체의 단단함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체에 충돌시는 에어백을 전개하지 않고,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강성물체에 충돌시를 선별하여 에어백을 전개 동작함으로써 경제적인 에어백시스템을 구현함은 물론 에어백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되는 물체와의 충돌신호와 가속도센서로부터 주행중인 자동차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물체마다 상이한 반향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터 저장부와,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전방의 물체에 레이져 광선을 입사하는 레이져광선송신부와, 이 레이져광선송신부에서 출력된 레이져 광선이 물체에 충돌하여 반사될 때 이 반사된 특정의 반향파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레이져광선수신부와, 이 레이져광선수신부로 입력된 반향파 신호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반향파 데이터에 의해 물체의 경화정도를 비교판단하고, 상기 가속도센서 및 충돌감지센서의 검출신호를 판단하여 인플레이터로 에어백의 전개신호를 선별적으로 출력하는 마이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면부 혹은 후면부의 적절한 곳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물체에 충돌시 이를 검출하는 충돌감지센서(10)와,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에 따른 변화된 신호를 발생하는 가속도센서911)와,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전방에 레이져 광선을 입사하는 레이져광선송신부(20)와, 이 레이져광선송신부(20)에서 출력된 레이져 광선이 물체에 충돌하여 반사될 때 이 반사된 특정의 반향파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레이져광선수신부(30)와, 이 레이져 광선수신부(30)와 상기 충돌감지센서(10) 및 가속도센서(11)에서 검출된 신호를 비교판단하여 에어백 전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12)과, 이 마이컴(12)에 각 물체에 레이져광선이 충돌하여 반사되는 반향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40)와, 상기 마이컴(12)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1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전방 및 측면에 장착된 레이져광선송신부(20는 전방을 향하여 레이져 광선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이 레이져광선송신부(20)에서 출력된 레이져 광선의 유효 검출거리내에 위치한 물체가 있다면 레이져 광선은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레이져광선수신부(30)에 수신 신호처리되는데 이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입사되는 레이져 광선은 각 물체의 경화정도에 따라 각가 다른 반향파의 특성을 갖는다.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실린더에 충돌하여 반사된 레이져광선과 바위에 충돌하여 반사된 레이져광선은 에너지 감쇄에 의한 각기 다른 반향파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컴(12)은 레이져광선수신부(30)에서 입력된 반향파에 따른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부(4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각 물체에 대한 반향파 데이터를 비교.판단하여 각 물체의 재질 즉, 물체의 경화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 마이컴(12)은 물체에 부딪힌 레이져광선의 반향파를 판단하여, 이를 에어백 전개시 그 제어조건으로 활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컴(12)은 자동차가 운행시에 전방 및 측면에 있는 물체의 경화정도를 판단하여 물체의 경화정도가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연성물체에 충돌을 하게 되면 충돌감지센서(10)가 이를 검출하여 마이컴(12)으로 전송하더라도 에어백을 전개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마이컴(12)은 레이져광선수신부(30)에서 전방 및 측면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어 입력된 반향파를 판단하여, 물체의 경화정도가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물체에 충돌을 하게 되면 충돌감지센서(10)가 이를 검출하여 마이컴(12)으로 전송하고, 마이컴(12)은 이를 인식하여 가속도센서(11)를 통해 현재 자동차의 속도를 검출하여 주행중인 자동차의 가속도를 판단한다.
따라서, 이 마이컴(12)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위험속도이상으로 자동차가 운행하다가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물체에 충돌을 했을 경우 마이컴(12)은 인플레이터(13)로 에어백 전개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13)는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에 레이져광선을 송.수신하여 물체의 경화정도 즉, 물체의 단단함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체에 충돌시는 에어백을 전개하지 않고,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강성물체에 충돌시를 선별하여 에어백을 전개 동작함으로써 경제적인 에어백시스템을 구현함은 물론 에어백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검출되는 물체와의 충돌신호와 가속도센서(11)로부터 주행중인 자동차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13)를 구비한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물체마다 상이한 반향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40)와, 자동차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전방의 물체에 레이져 광선을 입사하는 레이져광선송신부(20)와, 이 레이져광선송신부(20)에서 출력된 레이져 광선이 물체에 충돌하여 반사될 때 이 반사된 특정의 반향파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레이져광선수신부(30)와, 이 레이져광선수신부(30)로 입력된 반향파 신호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된 반향파 데이터에 의해 물체의 경화정도를 비교판단하고, 상기 가속도센서(11) 및 충돌감지센서(10)의 검출신호를 판단하여 인플레이터(13)로 에어백의 전개신호를 선별적으로 출력하는 마이컴(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KR1019950022741A 1995-07-28 1995-07-28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KR015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741A KR0155093B1 (ko) 1995-07-28 1995-07-28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741A KR0155093B1 (ko) 1995-07-28 1995-07-28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75A KR970005975A (ko) 1997-02-19
KR0155093B1 true KR0155093B1 (ko) 1998-10-15

Family

ID=1942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741A KR0155093B1 (ko) 1995-07-28 1995-07-28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0019A1 (de) * 1997-09-11 1999-03-25 Siemens Ag Einrichtung für den Insassenschutz in einem Kraftfahrzeug
KR100452559B1 (ko) * 2001-12-06 2004-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늄 판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75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188A (en) Vehicle collision detecting system
EP1028039B1 (en) Activation control apparatus of occupant safety system with a collision identifier
EP1024977B1 (en) Crash detection system
EP0987151B1 (en) Control apparatus of safety device for crew
JP3333813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H10181520A (ja) 車両における乗客拘束装置用始動装置
US6196578B1 (en) Activa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assive safety device
EP1026052B1 (en) Activating control of a vehicle passenger restraint system
US6047985A (en) Occupant protective device
JP2877145B2 (ja) 乗員保護装置の制御装置
JPH0930368A (ja)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632619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JP5119045B2 (ja) 乗員保護装置、乗員保護方法
JP3013676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KR0155093B1 (ko)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JP3003484B2 (ja) 車両衝突検知装置
JP3452014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0154032B1 (ko) 자동차 변형속도에 따른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방법
EP1031475A2 (en) Protection system for rear impact crashes
JP3452012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452013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2005528274A (ja) 膨張式拘束システムのための衝突パルスエネルギ演算方式
KR0150801B1 (ko) 차량용 에어백 구속 시스템
KR100204992B1 (ko) 측면 충돌시 에어백의 구동방법
JP2964796B2 (ja) 乗員拘束装置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