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082B1 -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082B1
KR0152082B1 KR1019900023104A KR900023104A KR0152082B1 KR 0152082 B1 KR0152082 B1 KR 0152082B1 KR 1019900023104 A KR1019900023104 A KR 1019900023104A KR 900023104 A KR900023104 A KR 900023104A KR 0152082 B1 KR0152082 B1 KR 015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matotropin
composition
vivo
bov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513A (ko
Inventor
김남중
조흥수
이병건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0002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082B1/ko
Priority to AU70937/91A priority patent/AU653325B2/en
Priority to NZ237084A priority patent/NZ237084A/en
Priority to JP3041336A priority patent/JP2620417B2/ja
Publication of KR92001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513A/ko
Priority to US08/275,329 priority patent/US5520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콜린유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이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초산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와 조합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마토트로핀의 생체내 지속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내 부작용이 전혀 없으면서 오히려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과 함께 상승효과를 발휘할수 있으며 더우기 조성물에 적용될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에 금속 또는 전이금속을 결합시키지 않고서도 결합시킨 것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우수한 지속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형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체중증가 효 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체중증가 효 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체중증가 효 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형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체중증가 효 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형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체증증가 효 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형 소마토트로핀 조성물과 돼지 소마토트로핀 조성 물을 투여했을 때 체중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산유량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혈장내의 소마토 트로핀의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생체내 반감기가 짧은 것으로 알려진 소마토트로핀을 인간 및 동물에 비경구적으로 투여했을 때 그러한 소마토트로핀을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의 대부분은 생체내에서 그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생물학적인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는 동시에 원하는 기간 동안 그 효과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유효량보다 과량을 투여시켜야 하거나 또는 투여빈도를 높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투여 대상에게는 큰 손상을 입 힐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마토트로핀을 생체내에 투여할 경우에는 한번의 투여로 효과를 장기간 동안 지속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에 따라 생체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조성물을 개발하여 투여빈도를 최소화시키므로 투여대상의 손상을 줄이는 한편, 잦은 투여에 따른 번거로움과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89-2631 호에는 식물성 오일이나 광물성 오일,특히 땅콩오일과 참께오일을 사용하여 부형재 및 보습제를 첨가시켜서 된 농화 유비히클 형성한 후 전이금속 착체, 특히 아연을 결합시킨 성장 호르몬을 상기 농화유 비하클과 혼합함으로써 유효성분의 방출지속성을 연장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른 조성물은 지속효과가 2주정도 불과하며 성장호르몬을 그대로 사용 할 수가 없고 복잡한 공정을 거쳐 금속이나 전이금속을 결합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성장호르몬과 아연이온의 착체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제한된 조건하에서 성장호르몬에 염화아연을 첨가시켜 현탁액을 만들고 살균탈이온수로 침전물의 응집을 방지한 다음 원심분리시키는 일련의 과장을 수회 반복하고 동결건조시켜야 하는 데, 이러한 공정은 매우 까다로운데다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90-6886호에는 소마토트로핀의 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제형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방벽 제피(Barrier coating)를 한 형태로 체내에 이식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는 바, 이 경우 지속효과는 다소 연장되어 질 수 있으나 이 방법은 동물에게 투여할 때 수술적인 방법이나 특수기구를 사용해야만 하며 동물이 느끼는 이물감도 액체상 보다는 크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유럽특허 제 193,917호에는 동물 성장호르몬을 수용성 또는 물에 분산되는 탄수화물 중합체, 예컨데 덱스트란, 텍스트린, 전분, 글리코겐, 셀루로즈 및 치토산 등과 혼합시켜 소와 양에 투여하여 실험하였으나, 지속기간이 7일 정도로 짧고 덱스트란과 탄수화물 중합체는 경우에 따라 향원으로 작용하여 감수성 반응을 보일 수도 있으므로 의약 조성물로서는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유럽특허 제 314,421호에서도 역시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여 보조제 및 탄수화물 중합체인 텍스트란을 사용하는 조성물을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상기 유럽특허 제 193,917호와 유사한 것으로 같은 문제점을 보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87-1825호에서도 역시 아연을 사용하여 성장호르몬에 부착시키고 땅콩오일을 이용하여 오일 비히클을 제조한후 이 오일비히클 8mg과 상기성장호르몬 40mg을 돼지에게 투여시켰으나, 9일 정도의 짧은 지속효과 밖에는 보이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자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생체내에 투여시켰을 경우에는 초기 방출이 지나치게 과다하거나 생체내에서의 손실이 많기 때문에 그 지속성이 짧을 뿐만 아니라 조성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따르기도 하고 투여시키고자 하는 소마토트로핀을 사전에 미리 금속 또는 전이금속과 결합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0-1689호에서 초산토 코페롤에 지연보조제를 첨가하여 동물 성장호르몬을 혼합한 형태의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이 비록 기존의 다른 조성물에 비해서는 지속성면에서나 생체에 대한 안정성면등에서 놀라올 정도로 효과가 개선된 것이기는 하지만, 생체내 투여시 점도가 상승하거나 유효성분이 소진된 후에도 나머지 조성성분들이 생체내에 상당기간 잔류할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생체내에 투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고도 지속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대해 예의 연구해온 결과,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콜린유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초산 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와 구성시키게 되면 생체내 투여시 점도의 이상 상승을 막고 초기 방출을 최적으로 하며 지속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내 부작용 전혀 없으면서 오히려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과 함께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더우기 조성물에 적용될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에 금속 또는 전이금속을 결합시키지 않고서도 결합시킨 것고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우수한 지속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더욱 안정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생체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비경구적으로 투여하여 유효성분을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면서 매우 안정한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콜린유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이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초산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와 조합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콜린 유도체와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혼합 분산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Microfluidizer)를 통과시켜서 동결건조시에 우수한 물성을 얻을 수 있도록 조작한 다음 이를 초산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에 분산시킴으로써 이렇게 하여 얻어진 조성물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었을 때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이 생체내에서 지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기술이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은 우형 소마토트로핀(BST : Bvine Somatotropine), 돼지소마토트로핀(PST : Porcine Somatotropine) 을 포함한 각종 동물의 성장호르몬, 인간 성장호르몬 및 기타의 호르몬으로, 비교적 생체내 반감기가 짧은 소마토트로핀에 모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마토트로핀의 형태는 화학적으로 비결합된 형태로서도 충분한 바, 착이온금속이나 기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분야에서 수용성 유체에 대한 소마토트로핀의 용해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물질들과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하지 않아도 본 발명에 따라 콜린유도체와 분산시켜서 투여되는 소마토트로핀은 충분한 정도의 지속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결합된 형태의 소마토트로핀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마토트로핀은 성장호르몬, 특히 우형 소마토트로핀과 돼지 소마토트로핀으로서, 이러한 성장호르몬은 각종 동물의 뇌하수체로부터 추출하고 농축시켜 얻을 수 있으며, 재조합 DNA 방법으로 제조된 성장호르몬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의 함량은 상당히 넓은 범위인 바, 그 하한선은 생체내에서 요구되는 소마토트로핀의 최소 요구량이며 상한선은 조성물내에서 초산토코페롤 등이 소마토트로핀 전부를 사실상 포함할 수 있는 양이면 무방하나 뚜렷한 목적이 없는 한 소마토트로핀을 과량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초산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는 그 자체가 약리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쥐나 생쥐, 기나아피그, 돼지 또는 가금에서는 정상적인 생산 과정을 도와 주고, 어린면양, 송아지 또는 개에서는 근육발달 이상을 예방해주며, 병아리에서는 뇌연화증, 근육활동 불규칙, 근 경축, 운동 실조 및 강직성 경련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밍크, 돼지 또는 고양이에서는 지방조직염(steatitis)을 예방하는데 도움이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소마토트로핀의 방출을 더욱 지연시키기 위해 초산토코페롤류 이외에도 콜린유도체가 사용된다. 그러한 콜린유도체는 많이 공지되어 있는 바,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콜린유도체는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포리피드, 플라스마로겐, 스핀고마이엘린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콜린유도체와 초산토코페롤류를 합한 중량을 100으로 했을 때, 일반적으로 초산토코페롤류를 90내지 98중량%, 바람직하게는 93내지 98중량%, 포함시키며 그 나머지는 콜린 유도체를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종래에 알려진 조성물의 경우 그 자체만으로 지속효과가 충분치 못했기 때문에,투여되었을 때의 소마토트로핀의 체내 용해도를 낮춰주지 않으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어서 투석등의 번거로운 공정을 거치면서까지 금속 또는 전이금속등을 결합시켜야 했을 뿐만 아니라 과다한 초기방출의 손실을 메우기 위해 소마토트로핀을 과량으로 투여시킬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방출지속성이 우수하다는 잇점 이외에도 종래와는 달리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금속연 또는 착화합물의 형태가 아닌 화학적으로 비결합된 상태로 사용해도 놀라운 지속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콜린 유도체를 소마토트로핀에 분산시켜 초산토코페롤에 혼합, 분산하여서 우수한 지속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가 있으므로 그 제조공정이 매우 간편해 졌고 초기방출이 온화하며 소마토트로핀의 생체이용율 또한 종래기술에 비해 월등하게 향상됨으로써 소량을 부여하여도 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종래기술에서 소마토트로핀과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던 금속 또는 전이금속들은 생체에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부작용의 우려가 없으며 오히려 초산토코페롤류가 생체에 유용한 약리작용을 하여 이물질에 대한 생체 거부 반응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키는 작용도 겸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실시예 1]
500㎖ 용량의 비이커에 우형 소마토트로핀 액((주) 럭키의 재조합 우형 소마토트로핀) 300㎖과 타입 Ⅳ-에스의 대두에서 추출한 L-α-포스파티딜콜린(L-α-레시틴) 3g을 호모믹서에서 10분간 고르게 혼합한 후 4℃를 유지하는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에 투입하여 이를 5분동안 작동시켰다.
이액을 수집하여 동결건조용 병에 투입하고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70℃에서 급속 동결시킨 후 12시간 이상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주발에 넣고 고르게 갈아준 후, 초산토코페롤1㎖에 L-α-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첨가하고 호모믹서기에서 5분간 분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우형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체중의 증가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동물로는 80내지 100g 정도의 암컷SD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뇌하수체 제거수술(Hypophysectomy)의 한 방법인 인두주위를 수술하는 방법(Parapharyngeal method)을 이용하여 뇌하수체를 제거한 다음, 수술 한 2주부터 1주일 동안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에 측정하여 체증의 변화가 없는 랫트를 선별하고, 이들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체증의 변화가 없는 랫트 3마리에 상기에서 제조된 우형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마리당 0.1㎖의 양으로 복측 피하에 투여하였다.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여 부여전 3일간의 체중과 비교하고 증체율을 다음의 표1과 제1도에 나타내었다.
한편, 체중의 변화가 없는 랫트 3마리에 초산토코페롤만을 투여하여 이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만을 통과시키지 않은 L-α-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뇌하수체 제거쥐 3마리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1 과 제1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돼지 소마토트로핀 액 200㎖과 L-α-포스파티디콜린 1.58g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초산 토코페롤 1㎖에 L-α-포스파티딜콜린이 혼합된 돼지 소마토트로핀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2와제2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L-α-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된 돼지 소마토트로핀과 초산토코페롤 0.5㎖, 참께오일 0.5㎖을 넣고 실시예 1 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2와 제2도에 나타내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와 같고 참깨오일 대신 같은 양의 땅콩오일을 사용하고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2와 제2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초산토코페롤 1㎖에 L-α-포스파티딜콜린 33mg을 넣고 호모믹서로 분산시킨후 여기에 동결건조된 돼지 소마토트로핀을 넣고 실시예1 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3과 제3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3과 같고 초산토코페롤의 양을 2㎖로 하여 같은 농도의 돼지소마토트로핀을 뇌하수체 제거쥐에 주사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3과 제3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3과 같고 초산토코페롤 대신 땅콩오일을 같은 양 사용하여 실시에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3과 제3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우형 소마토트로핀 액 400㎖와 L-α-포스파티딜콜린 3.102g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초산토코페롤 1㎖에 L-α-포스파티딜과 혼합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4와 제4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
실시예 9와 같고 L-α-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사용하여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4와 제4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L-α-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되지 않은 동결건조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초산토코페롤 1㎖와 혼합하여 실시예1 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4와 제4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초산 토코페롤 1㎖과 20mg의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를 넣고 150℃로 가열하여 5분간 교반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충분히 식히고 여기에 L-α-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되지 않은 동결건조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4와 제4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와 같고 우형 소마토트로핀에 착이온 금속인 아연이 결합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4와 제4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초산토코페롤 1㎖에 20mg의 폴리에틸렌글리콜-75 라놀린(PEG-75 Lanolin 또는 Solan E)를 호모믹서로 분산시킨 후 아연이 결화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넣고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5와 제4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와 같고 폴리에틸렌글리콜-75 라놀린 대신 아라셀165(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와 PEG-100 스테아레이트가 결합된 물질)를 사용하여 실시에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5와 제5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2와 같고 동결건조된 우형 소마토트로핀 대신 스프레이 건조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5과 제5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2와 같고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를 10mg으로 줄이고 대신 10mg의 콜레스테롤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5와 제5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2와 같고 동결건조된 우형 소마토트로핀과 아연 결합된 우형 소마토트로핀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6과 제6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12와 같고 우형 소마토트로핀 대신에 아연이 결합된 돼지 소마토트로핀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6과 제6도에 나타내었다.
[실험 Ⅰ]
수유 증기에 있는 홀스타인 젖소 3마리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L-α-포스파티딜콜린이 혼합된 우형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7.5㎖을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으로서 3마리의 젖소에 초산토코페롤을 같은 양 주사하였다. 주사전 2주 동안 6마리의 젖소 산유량을 매일 측정하였으며, 주사후와 비교하는데 지표로 삼았다.
충진된 조성물을 젖소의 견갑골 위쪽 피하에 주사한 다음, 주사후 매일의 산유량을 측정하고 일일 산유량을 정리하여 다음 표 7에 나타내고 시간의 추이에 따른 산유량 증가율의 그래프를 제7도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kg/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주사전과 주사후의 3일,7일,14일,21일,28일째에 젖소의 미정맥에서 체혈하여 방사선면역분석법(Radioimmunoassay)으로 혈청내 우형 소마토트로핀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표8에 나타내고, 표8에 대한 시간의 추이에 따른 그래프를 제 8도에 나타내었다.
[실험Ⅱ]
체중이 60kg 정도인 거세된 숫돼지 15마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들 중 5마리의 돼지에는 L-α-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된 돼지 소마토트로핀을 마리당 1.2㎖의 양으로 2주에 한번씩 3번 투여하고(투여군 1), 다른 5마리의 돼지에는 L-α-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된 돼지 소마토트로핀을 마리당 1.8㎖을 3주에 한번씩 2번 부여하며(투여군 2), 나머지 5마리의 돼지에는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고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돼지의 체중을 투여전에 측정하였고, 투여후 매주 같은 시간에 1번씩 측정하였으며, 사료효율과 등지방 두께도 더불어 측정하였다.
돼지의 체중을 1일 평균 무게증가량(ADG, 단위 : kg/일)으로 표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사료 효율(FE = 섭취사료량/무게증가량,FE가 낮을수록 좋은 사료 효율이다)과 등지방두께를 다음의 표 9에 나타내었다.
[실험Ⅲ]
실시예 19와 같이 제조된 돼지 소마토트로핀 조성물을 5마리의 돼지에는 마리당 0.9㎖의 양으로 3주에 한번씩 주사하고(투여군 1), 다른 5마리의 돼지에는 마리당 1.8㎖의 양으로 3주에 한번씩 주사하며(투여군 2), 또 다른 5마리의 돼지에는 마리당6㎖의 양으로 매일 주사하였다(매일투여군), 나머지 5마리의 돼지에는 아무 것도 투여하지 않고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체중은 2주에 한번씩 측정하였으며, 사료 효율과 등지방 두께도 측정하였다.
돼지의 체중을 1일 평균 무게증가량(ADG,단위 : kg/일)으로 표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사료 효율(FE = 섭취사료량/무게증가량, FE가 낮을수록 좋은 사료 효율이다)과 등지방두께를 다음의 표 9에 나타내었다.

Claims (7)

  1. 생체내 활성을 갖는 소마토트로핀을 콜린 유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이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초산 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와 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마토트로핀은 동물 성장 호르몬 또는 인간 성장호르몬 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성장 호르몬은 우형 소마토트로핀 또는 돼지 소마토 트로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마토트로핀은 착인온 금속을 부착시킨 것이나 부착시 키지 않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마토트로핀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합을 100중량%로 할 때 콜린 유도체가 2내지 7중량%함유되고, 초산 토코페롤 또는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가 93내지 98중량%함유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소마토트핀로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린 유도체는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포리피드, 플라스마로겐 또는 스핀고마이엘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콜린은 대두 및 소의간 , 소의심장, 난황등에서 추출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KR1019900023104A 1990-02-12 1990-12-31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KR0152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3104A KR0152082B1 (ko) 1990-12-31 1990-12-31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AU70937/91A AU653325B2 (en) 1990-02-12 1991-02-11 A composition durably releasing bioactive polypeptides
NZ237084A NZ237084A (en) 1990-02-12 1991-02-11 Composition for the prolonged release of somatotropin comprising the somatotropin, a tocopherol component, and an assistant delaying agent
JP3041336A JP2620417B2 (ja) 1990-02-12 1991-02-12 生物学的活性を有するポリペプチドを持続的に放出する組成物
US08/275,329 US5520927A (en) 1990-02-12 1994-07-14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ustained release somatotropi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3104A KR0152082B1 (ko) 1990-12-31 1990-12-31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513A KR920011513A (ko) 1992-07-24
KR0152082B1 true KR0152082B1 (ko) 1998-10-15

Family

ID=1930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3104A KR0152082B1 (ko) 1990-02-12 1990-12-31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78B1 (ko) * 2000-03-24 2002-12-26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주사능이 개선된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78B1 (ko) * 2000-03-24 2002-12-26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주사능이 개선된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513A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34653T2 (de) Pharmazeutische formulierung, bestehend aus menschlichem wachstumshormon, histidine und einem nichtionischen detergenz
JP3053116B2 (ja) 医薬組成物
JP2620417B2 (ja) 生物学的活性を有するポリペプチドを持続的に放出する組成物
Tanner Human growth hormone
JPS63303930A (ja) インシユリンおよびインシユリン誘導体の混合結晶
KR0152082B1 (ko) 소마토트로핀 조성물
Desjardins et al. Anterior pituitary levels of FSH, LH, ACTH and prolactin after mating in female rabbits.
US7030091B2 (en) Non-aqueous injectable formulation preparation with pH adjusted for extended release of somatotropin
AU783240B2 (en) A somatotropin composition with improved syringeability
DD258943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usammensetzungen, die zur intramammaeren infusion an einem saeugetier vorgesehen sind
KR100355517B1 (ko) 수성의지속성방출제제
US5595752A (en) Increasing dressing percentage and carcass weight in finishing beef cattle
KR920005688B1 (ko) 생체내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조성물
CN1103601C (zh) 含生长激素的缓释组合物及其制备方法
AU716492B2 (en) Somatotropin compositions mixed with vitamins
KR0177306B1 (ko) 소마토트로핀과 비타민의 합제 조성물
MXPA02008261A (es) Formulaciones inyectables no acuosas para liberacion prolongada de somatotorpina.
EP0427998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ctal administration of calcitonin
EP0672420A1 (en) Wound remedy
MXPA99008842A (en) Somatotropin compositions mixed with vitam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