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776B1 -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776B1
KR0142776B1 KR1019940034365A KR19940034365A KR0142776B1 KR 0142776 B1 KR0142776 B1 KR 0142776B1 KR 1019940034365 A KR1019940034365 A KR 1019940034365A KR 19940034365 A KR19940034365 A KR 19940034365A KR 0142776 B1 KR0142776 B1 KR 0142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ump
flow
senso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292A (ko
Inventor
김남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3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776B1/ko
Publication of KR96002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는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일체형으로 된 압력 및 유량센서가 각기 검출하는 압력 및 검출신호 및 유량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보다 제어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별개로 구성된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사용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판단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였으므로 유체의 흐름을 정확히 제어하지 못하였으며,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모두 사용하는 것도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의 검출신호를 모두 고려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지 않았고, 단순제어를 하여 유체의 흐름을 정확히 제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일체로 구성하고, 압력 센서의 검출압력이 정상압력 이하이거나 유량센서가 검출한 유체의 흐름이 정상일 경우에 펌프를 구동시키게 하고, 펌프의 구동시에는 유체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 펌프를 정지시키게 하는 것으로 일체로 구성된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의 검출신호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펌프의 구동에 따라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 및 압력을 정밀하게 제어할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펌프 구동장치를 보인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펌프에 사용되는 압력센서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펌프에 사용되는 유량센서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어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펌프 제어회로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유체통로 30A:수직관로
30B:수평관로 31:유량센서
32:압력센서 41:압력검출부
42:유량 검출부 43:펌프구동 판단부
44:구동신호 출력부 45:무부하구동 판단부
46:펌프 구동부 47:펌프
310:플로트 이동축 311:리드스위치
312:영구자석 313:플로트
320:압력 검출구멍 321:압력검출용푸쉬버튼 스위치
322:다이어프램
본 발명은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일체형으로 된 압력 및 유량센서가 각기 검출하는 압력 검출신호 및 유량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선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 구동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상에 모터어셈블리(2)가 설치되고, 모터어셈블리(2)의 회전축(2A)에 흡입구(3A) 및 토출구(3B)를 구비한 펌프(3)가 설치되며, 모터 어셈블리(2)의 상부 또는 인접위치에 모터 어셈블리(2)의 구동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회로 등이 구비된 회로기판 어셈블리(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펌프 구동장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4)에 구성된 펌프 제어회로의 제어에 의해 모터 어셈블리(2)가 구동되고, 모터 어셈블리(2)의 구동에 따라 펌프(3)가 구동되어 흡입구(3A)로 물 및 기름 등의 유체가 흡입되고, 토출구(3B)로 토출하게 된다.
이러한 펌프 구동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펌프(3)의 흡입구(3A)또는 토출구(3B)에 압력센서나 유량센서를 설치하여 펌프의 구동에 따라 흡입 및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을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회로기판 에셈블리(4)에 구성된 펌프 제어회로에 입력시켜 모터 어셈블리(2)의 구동을 제어하게 하였다.
여기서, 압력센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또는 토출관로(11)에 'T'자 형으로 탭을 형성하여 장착하는 구조로서 흡입 또는 토출관로(11)에 압력 검출구멍(12)이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 커버(13)가 설치되고, 압력 검출구멍(12)및 커버(13)내에 다이어프램(14)과, 다이어프램(14)에 의해 동작되는 압력검출 스위치(15) 및 압력검출 스위치(15)를 원상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1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력센서는 펌프(3)가 구동되어 흡입 또는 토출관로(11)에 유체가 흐를 경우에 유체의 압력에 따라 다이어프램(14)이 스프링(16)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승하여 압력검출 스위치(15)의 가동 접점부(15A)를 상승시키게 되고,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이상으로 될 경우에 압력검출 스위치(15)의 가동 접점부(15A)가 계속 상승하여 고정 접점부(15B)에 접속 및 압력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유량센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수직으로 상승하는 수직관로(2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플로트 이동축(22)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플로트 이동축(22)의 내측의 유량을 검출할 위치에 리드 스위치(23)를 설치하고, 플로트 이동축(22)의 외측에는 영구자석(24)를 구비한 플로트(25)가 플로트이동축(22)을 따라 승강되게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량센서는 펌프(3)의 구동에 따라 수직관로(21)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유체의 양 즉, 유량에 따라 플로트(25)가 플로트 이동축(22)을 따라 상승하고, 유량이 설정값일 경우에 리드 스위치(23)의 위치에 영구자석(24)이 위치되어 리드 스위치(23)가 접속되면서 유량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사용하는 종래의 펌프 제어회로는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판단하고, 판단한 값에따라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였으므로 유체의 흐름을 정확히 제어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모두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각기 별도로 설치해야 되므로 고정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생산원가가 상승하였으며, 또한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의 검출신호를 모두 고려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지 않고, 단순히 압력센서가 일정압력 이상을 검출하거나 유량센서가 일정유량 이상을 검출할 경우에 모터 어셈플리(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 단순제어를 하여 유체의 흐름을 정확히 제어하지 못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일체로 구성하고, 일체로 구성된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유체의 흐름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4도 내지 제7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부호 30은 수직관로(30A) 및 수평관로(30B)를 구비한 유체통로로서, 유체통로(30)의 수직관로(30A)에는 유량센서(31)가 설치되고, 수평관로(30B)에는 압력센서(32)가 설치된다.
유량센서(31)는, 플로트 이동축(31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플로트 이동축(310)의 내측에 유량을 검출할 위치에 리드 스위치(311)가 설치되고, 플로트 이동축(310)의 외측에는 하부에 영구자석(321)이 구비된 플로트(313)가 플로트 이동축(310)을 따라 승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압력센서(32)는, 수평관로(30B)에 압력 검출구멍(320)이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 압력검출용 푸쉬버튼 스위치(321)가 설치되고, 압력 검출구멍(320)에는 다이어프램(32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압력 및 유량센서는 펌프의 구동에 따라 흡입되는 유체가 유체통로(30)의 수직관로(30)를 통해 유입되어 수평관로(30B)를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서, 수직관로(30)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 즉, 유체의 흐름에 따라 플로트(313)가 플로트 이동축(310)을 따라 상승하여 플로트(313)가 리드 스위치(311)의 외측위치까지 상승하므로 플로트(31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321)의 자력선에 의해 리드 스위치(311)가 접속되면서 고전위에 유량 검출신호를 출력하게되고, 유체의 흐름이 없을 경우에는 플로트(313)가 리드 스위치(311)의 외측 위치까지 상승하지 못하여 리드 스위치(311)가 개방되면서 저전위에 유령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관로(3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수평관로(32)를 통해 흐르는 것으로서 수평관로(32)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다이어프램(322)이 변형되어 상승되고, 유체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 다이어프램(322)이 계속 변형되면서 압력검출용 푸쉬버튼 스위치(321)의 푸쉬버튼(321A)를 눌러 압력검출용 푸쉬버튼 스위치(321)가 접속되면서 고전위의 압력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유체의 압력이 정상일 경우에는 다이어프램(322)이 적게 변형되고, 압력검출용 푸쉬버튼 스위치(321)의 푸쉬버튼(321A)을 누르지 못하여 압력검출용 푸쉬버튼 스위치(321)가 개방되면서 자전위의 압력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수직관로(31)의 상부에 리드 스위치(311)가 설치되고, 플로트(313)의 상부영구자석(31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관로(3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서 플로트(313)가 플로트 이동축(310)을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서 유체의 흐름이 있을 경우에 플로트(313)가 수직관로(31)의 상부까지 상승하여 플로트(3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321)의 자력선에 의해 리드 스위치(311)가 접속되면서 고전위의 유량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유체의 흐름이 없을 경우에는 플로트(313)가 상부까지 상승하지 못하여 리드 스위치(311)가 개방되면서 저전위의 유량 검출신호를 출력하게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펌프 제어회로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의 제어회로의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센서(32)의 검출신호로 유체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별 하는 저항(R1-R4), 콘덴서(C1), 비교기(CP1) 및 다이오드(D1)로 된 압력 검출부(41)와, 유량센서(31)의 검출신호로 설정값의 유체가 흐르는지를 판별하는 저항(R5-R7),콘덴서(C2), 비교기(CP2) 및 다이오드(D2)로 된 압력 검출부(42)와, 상기 압력 검출부(41) 및 유량 검출부(42)의 출력신호로 펌프(47)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저항(R8-R15),트랜지스터(Q1, Q2), 콘덴서(C3), 비교기(CP3) 및 다이오드(D3)로 된 펌프구동 판단부(43)와, 상기 펌프구동 판단부(43)가 펌프(47)의 구동을 판단할 경우에 펌프(47)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저항(R16-R21),트랜지스터(Q3, Q4), 콘덴서(C4), 비교기(CP4)된 펌프 구동신호 출력부(44)와, 상기 압력 검출부(41) 및 유량 검출부(42)의 출력신호 펌프(47)가 무부하상태로 구동되는지를 판단하여 무부하 구동일 경우에 상기 펌프 구동신호 출력부(43)가 펌프 구동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도록 하는 저항(R22-R27),비교기(CP6), 다이오드(D5), 콘덴서(C5)및 트랜지스터(Q5)로 된 무부하 구동 판단부(45)와, 상기 펌프 구동신호 출력부(43)가 출력하는 펌프 구동신호에따라 펌프(47)를 구동시키는 저항(R28-R31),포토트라이악(PC), 콘덴서(C6) 및 트라이악(TRI)으로 된 펌프 구동부(46)로 구성하였다.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R32및 R33과, R34및 R35는 각기 전원(B+)을 분할하여 기준전원(VR1)(VR2)을 공급하는 저항이고, PC는 교류전원(AC)을 브리지 정류한 맥류전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는 교류전원(AC) 및 전원(B+)이 인가된 상태에서 압력센서(32) 및 유량센서(31)는 펌프(47)의 구동에 따른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을 각기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압력 검출부(41)의 비교기(CP1)의 반전 입력단자(-)와 유량 검출부(42)의 비교기(CP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압력센서(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 압력검출용 푸쉬버튼 스위치(321)가 접속되어 고전위의 압력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출력한 고전위는 압력 검출부(41)의 비교기(CP1)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비교기(CP1)는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유체의 압력이 정상 경우에는 압력검출용 푸쉬버튼 스위치(321)가 접속되지 않아 저전위의 압력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비교기(CP1)의 반전 입력단자(-)는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비교기(CP1)는 그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기준전압(VR1)에 의해 고전위의 압력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유량센서(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이 있을 경우에 리드 스위치(311)가 접속되어 고전위의유량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출력한 고전위는 유량 검출부(42)의 비교기(CP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비교기(CP2)는 고전위의 유량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유체의 흐름이 없을 경우에는 리드 스위치(311)가 접속되지 않아 저전위의 유량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비교기(CP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비교기(CP2)는 그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기준전압(VR1)에 의해 저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유체의 압력이 정상으로 압력검출부(41)가 고전위를 출력하거나 또는 유체의 흐름이 있어 유량 검출부(42)가 고전위를 출력하면, 펌프구동 판단부(43)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온되고, 비교기(CP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비교기(CP3)는 저전위의 펌프구동 판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펌프구동 판단부(43)가 저전위의 펌프구동 판단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구동신호 출력부(44)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오프되고, 전원(B+)이 저항(R18, R19)에의해 분할된 후 비교기(CP4)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며, 이때 교류전원(AC)을 정류한 맥류전원(PC)에 따라 트랜지스터(Q4)가 온 및 오프되면서 교류전원(AC)의 제로 크로싱을 검출하여 비교기(CP4)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비교기(CP4)는 교류전원(AC)의 제로 크로싱에 따라 저전위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펌프 구동부(46)의 포토 트라이악(PC)의 발광부가 점등되고, 발광부의 광을 수광부가 수광하여 트라이악(TRI)에 트리거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트라이악(TRI)이 도통상태로 되고, 교류전원(AC)이 트라이악(TRI)을 통해 펌프(47)에 인가되어 펌프(47)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펌프(47)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유체의 압력이 매우 높아 압력 검출부(41)가 저전위를 출력함과 아울러 유체의 흐름이 없어 유량 검출부(42)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면, 펌프구동 판단부(43)의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전원(B+)이 저항(R10, R11)을 통해 콘덴서(C3)에 충전되면서 비교기(CP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고전위를 인가하게 되므로 비교기(CP3)가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구동신호출력부(44)의 트랜지스터(Q3)가 온되고, 비교기(CP4)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비교기(CP4)가 고전위를 출력하여 펌프 구동부(46)의 포토 트라이악(PC)이 동작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트라이악(TRI)이 차단상태로 되면서 펌프(47)에 교류전원(AC)이 인가되지 않아 펌프(47)가 구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비교기(CP3)가 출력한 고전위는 저항(R13) 및 다이오드(D3)를 통해 비교기(CP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유량 검출부(42)가 유체의 흐름을 검출하여 고전위를 출력하고,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도 비교기(CP3)가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여 펌프(47)가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압력 검출부(41)가 유체의 압력을 정상으로 검출하여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온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온되므로 펌프구동 판단부(43)가 저전위를 출력하여 상이한 바와 같이 펌프(47)가 구동되며, 다시 유체의 압력이 매우 높아 압력 검출부(41)가 저전위를 출력함과 아울러 유체의 흐름이 없어 유령 검출부(42)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될 경우에 펌프구동 판단부(43)가 고전위를 출력하면서 펌프(47)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상기와 같이 펌프(47)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펌프(47)가 무부하로 구동 즉, 유체가 흡입 및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유체의 압력 낮아 압력 검출부(41)가 고전위를 출력함과 아울러 유체의 흐름이 없이 유량 검출부(42)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압력 검출부(41) 및 유량 검출부(42)가 출력한 고전위 및 저전위가 무부하구동 판단부(45)의 비교기(CP5)의 비반전 입력단자(+)및 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인가되므로 비교기(CP5)가 고전위를 출력하고, 출력한 고전위는 저항(R34) 및 콘덴서(C5)를 통해 설정시간 지연된 후 비교기(CP6)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러면, 비교기(CP6)가 고전위를 출력하고, 출력한 고전위에 의해 트랜지스터(Q5)가 온되어 비교기(CP4)의 반전 입력단자(-)에 계속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비교기(CP4)는 펌프구동판단부(43)의 출력신호에 관계없이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여 펌프(47)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비교기(CP5)의 출력신호를 저항(R24) 및 콘덴서(C5)로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것은 펌프(47)가 순간적으로 무부하 운전을 할 경우에 펌프(47)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를 일체로 구성하므로 압력 및 유량센서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며, 또한 압력센서 및 유량센서의 검출신호를 모두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펌프의 구동에 따라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 및 압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Claims (6)

  1. 수직관로(30A)및 수평관로(30B)를 구비한 유체통로(30)와, 상기 수직관로(30A)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검출하는 유량센서(31)와, 상기 수평관로(30B)에 설치되어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압력센서(32)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센서(31)는, 플로트 이동축(31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플로트 이동축(310)의 내측에 유량을 검출할 위치에 리드 스위치(311)를 설치하고, 플로트 이동축(310)의 외측에는 하부에 영구자석(312)이 구비된 플로트(313)가 플로트 이동축(310)을 따라 승강되게 설치하며, 상기 압력센서(32)는, 수평관로(30B)에 압력 검출구멍(320)이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 압력검출용 푸쉬버튼 스위치(321)가 설치되고, 압력 검출구멍(320)에는 다이어프램(322)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유량센서(31)는, 리드 스위치(311)는 수직관로(31)의 상부에 설치되고, 영구자석(321)은 플로프(313)의 상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
  3. 압력센서(32)의 검출신호로 유체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별 하는 압력 검출부(41)와, 유량센서(31)의 검출신호로 설정값의 유체가 흐르는지를 판별하는 유량 검출부(42)와, 상기 압력 검출부(41) 및 유량 검출부(42)의 출력신호로 펌프(47)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펌프구동 판단부(43)와, 상기 펌프구동 판단부(43)가 펌프(47)의 구동을 판단할 경우에 펌프(47)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펌프 구동신호 출력부(44)와, 상기 압력 검출부(41) 및 유량 검출부(42)의 출력신호 펌프(47)가 무부하상태로 구동되는지를 판단하여 무부하 구동일 경우에 상기 펌프 구동신호 출력부(43)가 펌프 구동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도록 하는 무부하 구동 판단부(45)와, 상기 펌프 구동신호 출력부(43)가 출력하는 펌프 구동신호에따라 펌프(47)를 구동시키는 펌프 구동부(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펌프구동 판단부(43)는, 압력 검출부(41)의 검출압력이 정상압력 이하이거나 유량 검출부(42)가 검출한 유체의 흐름이 정상일 경우에 펌프(47)가 구동시키게 하고, 펌프(47)의 구동시에는 유체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 펌프(47)를 정지시키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를 이요한 펌프 제어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펌프 구동신호 출력부(44)는, 교류전원(AC)의 제로 크로싱을 검출하여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무부하 구동 판단부(45)는 지연수단으로펌프(47)의 정지를 설정시간지연시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KR1019940034365A 1994-12-15 1994-12-15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KR014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365A KR0142776B1 (ko) 1994-12-15 1994-12-15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365A KR0142776B1 (ko) 1994-12-15 1994-12-15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292A KR960024292A (ko) 1996-07-20
KR0142776B1 true KR0142776B1 (ko) 1998-07-15

Family

ID=1940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365A KR0142776B1 (ko) 1994-12-15 1994-12-15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697A (ko) * 2002-10-02 2004-04-08 김재응 가압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6812A4 (en) * 2017-02-23 2020-08-0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INJECTION SITE PRESS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697A (ko) * 2002-10-02 2004-04-08 김재응 가압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292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780B1 (en) Pump and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US20060176000A1 (en) Control and alarm system for sump pump
EP1819885B1 (en) Pumped waste
KR0142776B1 (ko) 일체형 압력 및 유량센서와 이를 이용한 펌프 제어회로
GB2310374A (en) Apparatus for draining a shower tray
KR101362782B1 (ko) 수중펌프 제어장치
US5340281A (en) Protective device for a water-pump apparatus
JP3483305B2 (ja) 自動水位制御装置
KR900001204Y1 (ko) 자동펌프의 모타 과열 방지회로
US5582508A (en) Auto-control device for lift pumps
US3770239A (en) Liquid flow control arrangement
KR930001926Y1 (ko) 에어크리너의 필터 청소경보장치
KR950008495Y1 (ko) 플로트 센서(float sensor)를 이용한 저장 수조의 동시 액면 제어 장치
JPH0523956Y2 (ko)
JPH10300535A (ja) 流量圧力検出装置
JPS62240497A (ja) ポンプ装置
KR200176995Y1 (ko) 전류감지 스위치
KR900006390Y1 (ko) 볼류우트 펌프를 이용한 자동급수장치
KR960009221Y1 (ko) 세탁기
KR900006044Y1 (ko) 센서를 이용한 환풍기 자동 제어회로
KR200182449Y1 (ko) 액면제어기의 수위경보장치
KR900002108Y1 (ko) 공기청정기의 실내 오염도 감지장치
JPS63235691A (ja) 自動式ポンプ
KR880002857Y1 (ko) 블류우트 펌프를 이용한 자동급수장치
JPH0278776A (ja) 液面検出型自動揚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