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779B1 -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779B1
KR0141779B1 KR1019940019368A KR19940019368A KR0141779B1 KR 0141779 B1 KR0141779 B1 KR 0141779B1 KR 1019940019368 A KR1019940019368 A KR 1019940019368A KR 19940019368 A KR19940019368 A KR 19940019368A KR 0141779 B1 KR0141779 B1 KR 014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on
ion selective
forming
bio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308A (ko
Inventor
박제균
이희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1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779B1/ko
Publication of KR96000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33Ion-selective electrodes or memb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요가수분해효소 반응결과 생성되는 암모늄이온과 바이카보네이트 이온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을 한 기판위에 구현한 멀티일렉트로드형으로 상기 두 개의 이온을 두 개의 전극을 이용해 동시에 차동방식으로 측정함으로써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른 간섭물질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고, 효소고정화를 포함하여 바이오센서를 제조하는 모든 프로세스를 후막형 고제전극소자를 만드는 프로세스에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요소센서의 소형화 및 양산에 유리하므로 이를 활용하면 휴대용 요소측정기, 병원 임상용 자동분석기들에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효소막이 건조된 상태로 바이오센서를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포장 후 측정시에만 시료와 반응시킴으로써 센서의 보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감도측정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출력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요소측정용 바이소센서의 요소농도의 변화에 따른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수직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판2:전도성라인
3,3',4,4':이온선택성전극5:기준전극
6:절연층7:효소고정화층
8:외부막9:단백질층
본 발명은 요소(尿素, (H2N)2CO) 측정용 바이오센서(biosens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회용으로의 제조가 용이하고 감도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소는 포유류의 간장(肝臟)에서의 요소사이클에 의한 각종 아미노산의 대사산물인 질소성분으로부터 합성되고 신장(腎臟)을 통해 분비되어 혈중 및 소변중의 포함된 양이 변호하며, 이것은 신장기능의 이상을 판별할 수 있으므로 그 측정이 매우 중요하며 현대에 들어와서는 요소 측정용 바이오센서를 사용하여 혈액이나 소변중에 함유된 요소의 양을 전기화학적 측정법을 이용해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상기 요소 측정용 바이오센서는 주로 요소가수분해효소(urease)를 전극표면에 막(membrane) 형태로 고정시켜 다음과 같은 반응식(1,2,3)에 의한 효소반응결과 생성되는 전극활성물질인 암모늄이온(NH4 +) 및 H+이온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암모늄 이온 선택성 전극과, pH전극, 이온선택성 전계효과 트랜지스터(ISFET:Ion Selective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의 소자를 이용하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최근에 들어서는 전도도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전기화학적 측정원리에 입각한 바이오센서의 경우 효소반응시 생성되는 이온들의 간접적 측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들 이온을 측정할 수 있는 변환장치(transducer)의 감도 및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바이오센서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변환장치의 소형화와, 상기 변환장치와 생체물질간의 고정화기술에 관한 기술개발이 매우 중요하며, 현재까지는 일반적인 바이오센서의 경우 효소와 같은 생체물질을 센서감지막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생체물질들이 가지는 수명의 한께, 즉 보관성이 떨어지므로 보관성을 향상시키거나 바이오센서를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의 연구개발이 시급하다.
그러나 상기의 전기화학적 측정법을 이용한 요소측정용 바이오 센서의 경우에는 막대모양의 암모니윰이온 선택성전극 및 pH전극을 변환장치로 활용하는 경우 센서의 소형화가 어렵고, pH-ISFET의 경우에는 소형화는 가능하나 ISFET 단위 소자의 출력편차 때문에 안정된 센서신호를 얻는 것이 어려우며, 시료용액내에 존재하는 다른 이온, 즉 간섭물질에 의한 영향으로 정량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준전극양측에 효소반응결과 생성되는 전극활성물질중 두 개의 이온을 측정하기 위한 두 개의 이온선택성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전극활성물질을 동시에 측정하여 감도를 높이고 다른 간섭물질의 영향을 배재하며, 스트립형(strip type)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정량의 혈액이나 뇨시료와 반응시키기 편리하고, 이온선택성 고체전극 상부에 효소감응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시료와의 반응시 센서가 충분한 전기적신호를 나타낼 수 있으며, 효소막이 건조된 상태에서 센서를 보관하므로 저장성이 우수한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기준전극 없이 4개의 이온선택성전극으로 구성되어 멀티일렉트로드를 구현할 수 있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및 제4목적은 상기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상기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감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감도측정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는 기판위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의 전도성라인과, 상기 전도성 라인중 중앙의 전도성라인상에 형성된 기준전극과, 상기 기준전극을 중심으로 양측의 전도성라인상에 형성된 이온선택성전극과, 상기 기준전극 및 각각의 이온선택성 전극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각 전극의 상부만 노출되도록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의 노출부분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효소고정화층과, 상기 모든 전극 전면에 걸쳐 형성된 외부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는 기판위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의 전도성라인과, 두 개의 전도성 라인을 한쌍으로 하여 쌍별로 서로 다른 이온을 측정하여 상기 각각의 전도성 라인상에 형성된 이온선택성전극과, 상기 이온선택성 전극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각 전극의 상부만 노출되도록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한쌍의 이온선택성 전극마다 하나의 이온선택성전극을 선택하여 선택된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효소고정화층과, 나머지 이온 선택성전극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단백질층과, 상기 모든 이온선택성전극 전면에 걸쳐 형성된 외부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로 다수의 상호 평행한 전도성라인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도성라인 형성 후 중앙의 전도성 라인을 제외한 양측 전도성라인상에 서로 다른 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이온선택성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의 전도성 라인상에 은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기준전극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전극 형성 후 결과물 전면에 상기 기준전극 및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 일부영역만 노출되도록 유전물질을 프린트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에 효소/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효소고정화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전극 및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에 걸쳐 외부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기판위에 전도성 물질로 다수의 상호평행한 전도성라인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두 개의 전도성라인을 한쌍으로 하여 각쌍별로 서로 다른 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이온선택성전극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일부영역이 노출되도록 유전물질을 프린트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한쌍의 이온선택성전극마다 하나의 이온선택성전극을 선택하여 선택된 이온선택성전극 상부에 효소/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효소고정화층을 형성하고 나머지 이온선택성전극 상부에 단백질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모든 이온선택성전극에 걸쳐 외부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감도측정회로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각 전극의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부와, 기준전극의 신호가 공통으로 비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고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의 신호가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는 두 개의 차동증폭기를 통해 기준전극의 신호와 이온선택성 전극간의 신호차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1차동증폭부와,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이득조절하여 다시 차동증폭시키는 제2차동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기준전극 양측에 각기 다른 이온을 측정하기 위한 이온선택성전극을 형성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먼저 후막형 고체전극 제조용 절연성기판으로, 예를 들어 0.3mm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기판(1) 위에 은(Ag)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한 후 110℃에서 약 10분간 건조시켜 두 개의 이온선택성전극(3,4) 및 기준전극(5)용 전도성라인(2) 및 연결패드를 형성한다.
다음 상기 전도성라인(2) 위에 염화은(AgCl)이 함유된 은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Ag/AgCl로 이루어진 기준전극(5)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전극(5)을 중심으로 양측의 전도성라인(2)에 고분자 페이스트를 각각 프린트하여 암모늄이온(NH4 +)과 바이카보네이트이온(HCO3 -)을 측정하기 위한 이온선택성막(3,4)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고분자 페이스트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판(1)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도록 일반적인 이온선택성 고분자막을 변용시켜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를 적정비율로 섞은 코폴리마(coploymer)에 이온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오노포아(ionopHore)로서 암모늄이온 측정용은 노낙틴(nonactin)을, 바이카보네이트이온 측정용은 트리훌루오로아세틸 부틸벤젠(trifluoroacetyl-p-butylbenzene)을 각각 1%가 되도록 첨가하고, 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는 다이옥틸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암모늄이온 및 바이카보네이트이온 선택성막은 이들 이온에 대한 선택성만 우수하면 어떤 형태라도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페이스트를 제조해도 된다.
계속하여 상기 기준전극(5) 및 이온선택성전극(3,4)이 형성되면 유전체페이스트를프린팅하여 80W/cm 용량의 자외선을 9m/min의 속도로 조사시켜 절연층(6)을 형성한 후 상기 상부영역이 노출된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3,4)의 상부에 효소/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효소고정화층(7)을 형성하며, 이어서 6%의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ydroxyethyl cellulose) 페이스트를 상기 기준전극(5)과 두 개의 이온선택성전극(3,4)에 걸쳐 프린팅하여 외부막(8)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효소/고분자 페이스트는 효소로서 역가 250U/mg protein인 잭 빈(jack beans)에서 추출한 요소가수분해효소 500mg을 2%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5ml와 함께 넣은 후 충분히 섞어 균질의 효소용액을 형성한 후 고분자인 친수성 폴리우레탄 1.5g을 상기 효소용액과 완전히 섞음으로써 형성하며, 이 효소/고분자 페이스트는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스크린 프린팅시 일정량씩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은 센서를 후막형태의 고체전극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센서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막대모양의 일반적인 이온선택성전극과 달리 내부표준전위용액(internal reference electrolyte solution)이 필요없을 뿐 아니라 혈액이나 뇨 시료 약 20μl와 반응시키기 편리하도록 스트립형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만들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외부막으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가 함유된 페이스트를 제조, 프린팅하여 센서의 사용시 시료용액이 전극 감응부위에 잘 분산되도록할 뿐만 아니라 바이소센서를 제조하는 전 프로세스를 후막형 고체전극소자를 만드는 프로세스에 포함시킬 수 있어 양산에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측정원리는 다음과 같다.
위에서 설명한 반응식(1,2,3)에서와 같이 효소반응결과 생성되는 전극활성물질인 암모니아 가스(NH3)및 탄산가스(CO2)에 의한 포텐시오메트릭(potentiometric) 측정이 기본원리이며, 암모늄이온(NH4 +)을 측정하기 위한 이온선택성막과 바이카보네이트이온(HCO3 +)을 측정하기 위한 이온선택성막을 동일한 기판상에 각각 제조한 후 그 위에 요소가수분해효소를 고정화시켜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요소측정을하게 된다.
먼저(반응식 1)과 같은 효소반응에서 생성된 암모니아가스의 경우(반응식 2)에서와 같이 막내에서 가수분해되어 암모늄이온과 하이드록실이온(OH-)이 생성되는데, 결과적으로 시료용액내 존재하는 요소농도에 비례하여 감응막내에 이들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암모늄이온 농도에 비례하는 이온선택성전극의 전위차는 센서출력에 정(+)방향의 신호로 작용하게 되며, 탄산가스의 경우는 (반응식 3)과 같이 막내에서 가수분해되어 바이카보네이트이온과 수소이온(H+)을 생성하고, 결과적으로 시료용액내 존재하는 요소농도에 비례하여 감응막내에 이들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바이카보네이드이온 농도에 비례하는 이온선택성전극의 전위차가 센서출력에 부(-)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실온에서 pH 7.9인 1mM 트리스버퍼(tris buffer) 용액상에서 표준요소용액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응답을 살펴보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암모늄이온 선택성 전극의 전압(실선)과 바이카보네이드이온 선택성 전극의 전압(일점쇄선)에 의한 전위차를 차동증폭시켜(점선) 암모늄이온 선택성 전극만을 이용할 때보다 약 두배의 신호증폭효과를 가져오며,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농도 10-5~10-2[M]까지 좋은 응답특성을 나타낸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이온선택성전극(3,4)의 신호를 비반전입력으로 하며 반전입력단자는 자신의 출력단과 연결된 오피엠프(34,36)와, 상기 기준전극(5)의 신호를 비반전입력으로 하며 반전입력단자는 자신의 출력단과 연결된 오피엠프(35)로 구성된 버퍼부(31)에서 상기 기준전극(5) 및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3,4)의 신호를 버퍼링한 후 상기 버퍼링된 기준전극의 신호가 공통으로 비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고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의 신호가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는 두 개의 차동증폭기(37,38)로 구성된 제1차동증폭부(32)에서 상기 기준전극의 신호와 이온선택성전극간의 신호차를 증폭시킨 후 다시 제2차동증폭부(33)에서 상기 제1차동증폭부(32)의 출력신호를 이득조절하여 다시 차동증폭시킨다.
이 때 상기 제2차동증폭부(33)는 상기 제1차동증폭부(32)의 차동증폭기(37)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전압플로워(39)와, 차동증폭기(38)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전압플로워(40)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가변저항(42)을 통해 적절한 출력범위를 갖도록 차동증폭기(41)의 이득값을 조절한다.
제6도는 기준전극 없이 4개의 이온선택성전극으로 멀티일렉트로드를 구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폴리에스테르 기판(1) 위에 은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한 후 소정시간 건조시켜 이온선택성전극(3,3')(4,4')용 전도성라인(2) 및 연결패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전도성라인(2)을 한 쌍으로 하여 각쌍별로 서로 다른 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두 쌍의 이온선택성전극(3,3')(4,4)을 형성하는데, 이 때 예를들어 한쌍의 이온선택성전극(3,3')은 암모늄이온을 선택하도록 하고, 다른 한쌍의 이온선택성전극(4,4')은 바이카보네이트이온을 선택하도록 하며,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3,3')(4,4')의 상부 일부영역이 노출되도록 유전물질을 프린트하여 절연층(6)을 형성한 후 상기 한쌍의 이온선택성전극(3,3')(4,4') 마다 하나의 이온선택성전극을 선택하여 선택된 이온선택성전극 상부에 효소/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효소고정화층(7)을 형성하고 나머지 이온선택성전극 상부에 단백질층(9)을 형성하며, 계속하여 상기 모든 이온선택성전극(3,3')(4,4')에 걸쳐 외부막(8)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기판(1) 위에 형성된 모든 구조물들, 즉 전도성라인(2), 이온선택성전극(3,3')(4,4'), 절연층 효소고정화층(7) 및 외부막(8)은 상술한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는 상기 반응식(1)과 (2)에서 생성된 암모늄이온의 농도에 비례하는 전위차가 이온선택성전극(3,3')에 의해 차동출력되므로 온도 및 기타 간섭물질의 영향이 보정된 후 센서의 출력에 정방향의 신호로 작용하고, 또한 반응식(1)과 (3)에서 생성된 바이카보네이트 이온의 농도에 비례하는 전위차도 이온선택성전극(4,4')에 의해 차동출력되어 온도 및 기타 간섭물질에 의한 영향이 보정된 후 센서의 출력에 부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암모늄이온과 바이카보네이트 이온에 의한 차동전위차를 다시 차동증폭하여 측정해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실시에에서와 달리 이온선택성전극이 가지고 있는 간섭물질의 영향, 예를 들면 암모늄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이온선택성전극의 경우 칼륨(K+)에 의한 간섭효과를 배제시킴으로써 실제 혈액이나 요시료를 분석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요가수분해효소 반응결과 생성되는 암모늄이온과 바이카보네이트 이온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을 한 기판위에 구현한 멀티일렉트로드형이므로 상기 두개의 이온을 두개의 전극을 이용해 동시에 차동방식으로 측정함으로써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른 간섭물질의 영향을 배재할 수 있고, 효소고정화를 포함하여 바이오센서를 제조하는 모든 프로세스를 후막형 고체전극소자를 만드는 프로세스에 포함시킬 수 있게되어 요소센서의 소형화 및 양산에 유리하므로 이를 활용하면 휴대용 요소측정기, 병원 임상용 자동분석기들에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효소막이 건조된 상태로 바이오센서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포장 후 측정시에만 시료와 반응시킴으로써 센서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기판위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의 전도성라인과, 상기 전도성 라인중 중앙의 전도성라인상에 형성된 기준전극과, 상기 기준전극을 중심으로 양측의 전도성라인상에 형성된 이온선택성전극과, 상기 기준전극 및 각각의 이온선택성 전극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각 전극의 상부만 노출되도록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의 노출부분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효소고정화층과, 상기 모든 전극 전면에 걸쳐 형성된 외부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2. 기판 위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의 전도성라인과, 두 개의 전도성 라인을 한쌍으로 하여 쌍별로 서로 다른 이온을 측정하도록 상기 각각의 전도성 라인상에 형성된 이온선택성전극과, 상기 이온선택성 전극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각 전극의 상부만 노출되도록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한쌍의 이온선택성전극마다 하나의 이온선택성전극을 선택하여 선택된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효소고정화층과, 나머지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단백질층과, 상기 모든 이온선택성전극 전면에 걸쳐 형성된 외부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3. 기판위에 전도성 물질로 다수의 상호 평행한 전도성라인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도성라인 형성 후 중앙의 전도성 라인을 제외한 양측 전도성라인상에 서로 다른 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이온선택성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의 전도성 라인상에 은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기준전극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전극 형성 후 결과물 전면에 상기 기준전극 및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 일부영역만 노출되도록 유전물질을 프린트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에 효소/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효소고정화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전극 및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에 걸쳐 외부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4.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라인은 기판 위에 은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한 후 약 110℃에서 10분정도 건조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선택성전극은 각각 암모늄 이온(NH4 +)과 바이카보네이트이온(HCO3 -)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이온선택성전극은 폴리우레탄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적정비율로 섞은 코폴리마에 이온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낙틴을 첨가시키고 가소제로서 다이옥틸세바케이트를 사용한 고분자페이스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카보네이트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이온선택성전극은 폴리우레탄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적정비율로 섞은 코폴리마에 이온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리훌루오로아세틸 부틸벤젠을 첨가시키고, 가소제로서 다이옥틸세바케이트를 사용한 고분자페이스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기준전극 형성 후 전극의 상부영역을 제외한 구조물 전면에 유전체페이스트를 프린팅하여 80W/cm의 자외선을 9m/min의 속도로 조사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고분자페이스트는 500mg 정도의 요소가수분해효소와 2%의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를 섞어 효소용액을 만든 후 1.5g의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섞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막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임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12. 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로 다수의 상호평행한 전도성라인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두개의 전도성라인을 한쌍으로 하여 각쌍별로 서로 다른 이온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이온선택성전극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각각의 이온선택성전극의 상부 일부영역이 노출되도록 유전물질을 프린트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한쌍의 이온선택성전극마다 하나의 이온선택성전극을 선택하여 선택된 이온선택성전극 상부에 효소/고분자 페이스트를 프린트하여 효소고정화층을 형성하고 나머지 이온선택성전극 상부에 단백질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모든 이온선택성전극에 걸쳐 외부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KR1019940019368A 1994-08-05 1994-08-05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014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368A KR0141779B1 (ko) 1994-08-05 1994-08-05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368A KR0141779B1 (ko) 1994-08-05 1994-08-05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08A KR960008308A (ko) 1996-03-22
KR0141779B1 true KR0141779B1 (ko) 1998-07-01

Family

ID=1938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368A KR0141779B1 (ko) 1994-08-05 1994-08-05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553B1 (ko) * 2013-04-15 2014-10-31 (주)유 바이오메드 이온선택성 막전극을 이용한 다채널 스트립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56B1 (ko) * 2002-12-12 2007-03-26 이상문 생체 표피 조직의 특성 및 기능과 생체의 표피조직을 이용한 전자기 시그널 감응용(感應用) 고형생체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79651B1 (ko) * 2018-11-15 2021-07-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쉘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553B1 (ko) * 2013-04-15 2014-10-31 (주)유 바이오메드 이온선택성 막전극을 이용한 다채널 스트립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08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58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species, substances and substrates using oxidase
KR970001146B1 (ko) 가스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3135959B2 (ja) バイオセンサ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離定量方法
JP3387926B2 (ja) 電位差式バイオセンサー及びその使用方法
KR970010981B1 (ko) 알콜농도 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센서 제조방법과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음주 측정기
EP0251915A2 (en) Enzyme sensor
Zamarayeva et al. Optimization of printed sensors to monitor sodium, ammonium, and lactate in sweat
JPH08233774A (ja) 多重電極型バイオ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Tsukada et al. An integrated chemical sensor with multiple ion and gas sensors
WO2009125563A1 (ja) バイオセンサシステム、センサチップおよび血液試料中の分析物濃度の測定方法
WO2020094082A1 (zh) 电势型生物传感器和检测方法
EP0759551A2 (en) Planar bicarbonate sensor
CN105784814A (zh) 一种基于浓差电池原理的传感器
KR0141779B1 (ko) 요소측정용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3358726A (zh) 用于电化学方法检测肌酐的电极、试纸及其制备方法
Cui et al. Differential Thick‐Film Amperometric Glucose Sensor with an Enzyme‐Immobilized Nitrocellulose Membrane
Silber et al. Thick-film multichannel biosensors for simulataneous amperometric and potentiometric measurements
Uemura et al. Development of Small-sized Lysine Enzyme Sensor for Clinical Use.
KR101163678B1 (ko) 크레아틴의 방해영향을 줄인 크레아티닌 바이오센서
JPS59206756A (ja) 参照電極を一体化したfet化学センサ−
JP4404433B2 (ja) 使い捨てbun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法
US20090266719A1 (en) Potentiometric Urea Sensor Based on Ion-Selective Electrode
Chou et al. All solid-state potentiometric biosensors for creatinine determination based on pH and ammonium electrodes
JP3803945B2 (ja) 過酸化水素分析型酵素電極
RU2731411C1 (ru) Биосенсор с повышенным коэффициентом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