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259Y1 -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259Y1
KR0138259Y1 KR2019950040848U KR19950040848U KR0138259Y1 KR 0138259 Y1 KR0138259 Y1 KR 0138259Y1 KR 2019950040848 U KR2019950040848 U KR 2019950040848U KR 19950040848 U KR19950040848 U KR 19950040848U KR 0138259 Y1 KR0138259 Y1 KR 0138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raking
brake shoe
guide rail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872U (ko
Inventor
심재우
Original Assignee
장영식
한국전력공사
송치순
대정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식, 한국전력공사, 송치순, 대정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영식
Priority to KR2019950040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259Y1/ko
Publication of KR970038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고층 철탑상으로 송전선로 장비의 시설이나 보수를 위해 작업자를 운반시키는 승강기의 운행시 자유낙하로 인한 비상시 승강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안전장치는 승강기 탑승실의 적당한 위치에 구동력이 단절되거나 또는 동력전달계통에 이상 발생으로 승강기가 무부하 상태로 자유낙하시 관성작용에 의해 승강기가 활주되는 가이드레일을 순간적으로 잡아주어 낙하되는 승강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제동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기의 안전 운행과 안전사고 위험을 예방하게 된다.

Description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승강기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첩탑용 승강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승강기 120 : 수용부
200 : 핀타입 랙 300 : 제동장치
310 : 본체 311 : 받침면
320 : 브레이크슈우 330 : 푸시버튼
340 : 탄성부재
본 고안은 송전선로 시설을 위해 설치되는 송전철탑 또는 그 이외 건축구조물의 고층첩탑에 장비 시설이나 그 설비의 보수관리를 위하여 작업자를 철탑 상하측으로 운반시키는 철탑용 자가동력 승강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 구동력이 상실 또는 동력전달 계통에 이상발생으로 승강기가 부하없이 자유낙하 발생시 승강기를 안전하게 제동시킬 수 있도록 한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탑은 산업장의 건축구조물 또는 설비구조물이나 그 이외 송전선로의 구조물로 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철탑중 송전선로 철탑의 경우를 보면 지역의 산업화와 더불어 전력소비가 증대되어 근래에 와서는 지역의 소비전력이 커지고 있어 발전소에서의 송전출력이 높은, 즉 고압전류의 공급이 요구되어 안전거리 유지를 위해 송전선로가 높아지고 있다. 이렇게 높아지는 송전선로의 시설을 위해 송전탑 역시 점차적으로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송전탑의 고층화로 탑상의 선로공사 작업을 위한 작업자의 자력승강은 불가하여 별도의 승강기를 사용하여 작업자를 운반시키고 있는데, 그러한 승강기는 고층하된 첩탑운행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대형사고를 초래하는 등 안전운행 보조기구에 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안전기구에 관해서는 현재 건물내의 내방객 운반을 위한 승강기나 그 외의 여러 승강기에서 많은 개발이 되어오고 있다. 그 일예를 들어 건물내의 승강기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와이어 방식, 즉 승강구동력을 와이어를 통하여 전달받아 레일을 타고 승강되게 하고 승강하는 레일의 접촉부분에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제동부재에 의해 이상 발생시 승강기가 정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는 대략 전기적인 신호체계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사용이 불가한 것일 뿐 아니라, 더욱이 전기적 신호에 의한 전자석 구동으로 동작되고 있어 제동동작이 안정되지 못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결함이 있었다.
또 건축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작업자의 운반 또는 자재운반을 위해 설치되는 승강기의 경우에는 구동모우터에 의한 동력을 피니언을 통해 출력시키고 이의 피니언이 랙을 타고 승강기를 승강 구동시키게 하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에서도 상기에서와 같이 승강기 운행의 이상 발생을 별도의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시키고, 이렇게 감지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전자석제동수단에 의해 제동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기에서 안전장치들은 대체적으로 별도의 감지수단으로 이상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해 제동장치를 구동시키어 승강기를 제동시키고 있는 것으로, 감지수단의 고장 또는 오동작에는 대비되지 못하고 그 감지수단의 동작에 이상 발생시에서는 대처되지 못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력전달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여 승강기가 자유낙하시에서는 무방비한 상태로 대형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승강기의 자유낙하시 수동 조작에 의해 기구적이고 물리적으로 안전하게 제동시키도록 한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층 철탑상으로 송전선로 장비의 시설이나 보수를 위해 작업자를 운반시키는 승강기의 운행시 자유낙하로 인한 비상시 승강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안전장치는 승강기 탑승실의 적당한 위치에 구동력이 단절되거나 또는 동력전달계통에 이상 발생으로 승강기가 무부하 상태로 자유낙하시 관성작용에 의해 승강기가 활주되는 가이드레일을 순간적으로 잡아주어 낙하되는 승강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제동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기읠 안전운행과 안전사고 위험을 예방하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승강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본 고안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승강기의 구동력이 단절되거나 또는 동력전달계통에 이상으로 승강기가 무부하 상태로 자유낙하시 승강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제동장치는 대략 승강기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상에 설치되어 제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적당한 너비를 가지며, 주위가 철망으로 감싸여져 구성되는 승강기(100)의 탑승실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기(100)는 엔진(10)에 의한 자가동력으로 운전된다.
즉 승강기(100)의 구동은 엔진(10)의 출력축에 구비되는 정역전장치(110)를 통해 차동감속기(120)와 감속기(130)로 전달되게 하고, 이렇게 감속기(130)에 전달된 동력을 그 감속기(130) 타측에 관출시킨 출력축(131)에 축착되는 피니언(132)으로 전달되게 하여 승강기의 운행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의 운전은 철탑 주벽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핀타입 랙(200)과 병설되고 승강기의 승강구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10)상에 본 고안의 제동장치(300)를 설치하여 승강기의 자연낙하 발생시 예를 들어 승강기의 동력원이 단절되거나 또는 동력전달계통에 이상이 발생하여 승강기가 부하없이 자유낙하시 승강기를 제동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될 것이다.
제3도에는 본 고안 제동장치(3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제동장치(300)는 상기에서와 같이 가이드레일(210)상에 설치되는데, 이 제동장치(300)는 승강기(100)의 탑승실(110)일측벽면을 구성하는 프레임(101)상에 구비되는 수용부(120)에 삽입, 이탈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때 제동장치(300)는 별도의 잠금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속시킨다. 이러한 제동장치(300)는 승강기(10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 제동장치(300)는 본체(310)와 브레이크슈우(320), 그리고 제동장치(300)의 수동조작을 위한 푸시버튼(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동장치(300)의 본체(310)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몸체 일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키어 형강의 가이드레일(210) 일측벽면 내벽에 미세한 간극을 유지하며 미끄럼 접촉되며 승강하는 받침면(311)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받침면(311)은 이후에 설명할 브레이크슈우(320)와의 사이에 레일(210)이 위치하므로 제동조작시 밀찰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슈우(320)는 본체(310)내에서 일측을 축핀(301)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그 브레이크슈우(320)는 도면에서 보아 좌향에서 하향으로 작용하는 편심이 발생한다. 이러한 블레이크슈우(320)의 편심작용은 브레이크슈우(320)를 자중에 의한 반시계방향의 하향으로 떨어뜨리어 가이드레일(210)로 부터 분리시키고 승강기의 이상발생을 대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브레이크슈우(320)의 길이, 즉 브레이크슈우(320)의 회동반경은 축핀(301)으로 부터 가이드레일(210) 외벽면의 사이 보다 다소 더 넓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브레이크슈우(3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축핀(301)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본체(310)의 받침면(311)과 브레이크슈우(320)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레일(210)에 긴밀히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또한 브레이크슈우(320)는 적당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3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승강기(100)가 자유낙하 발생시 브레이크슈우(320)의 제동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자유낙하시 브레이크슈우(320)의 관성력 때문에 승강기의 하강속도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브레이크슈우의 상승력과, 그 상승력에 탄성부재(340)의 복원력이 합산되어 브레이크슈우가 보다 신속히 자유낙하에 대처하여 승강기를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제동시키게 될 것이다.
한편 제동장치(300)의 브레이크슈우(320)는 또한 별도의 푸시버튼(330)에 의해 수동적으로도 조작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푸시버튼(330)은 브레이크슈우(320)의 저면에 압력을 가하여 브레이크슈우(320)의 끝단을 상승시켜 회동시키므로서 제동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기의 자유낙하시 브레이크슈우가 동작되지 않는 비상시 경우 탑승자가 푸시버튼(330)을 수동적으로 조작시키어 승강기를 제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331)는 그 선단이 브레이크슈우(320)의 저면에 미끄럼접촉식으로 맞닿아 있고, 탄성부재(33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조작이후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고 있다. 또 푸시버튼(330)은 파기막(332)으로 복개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은폐되어 보호되어 있고 비상발생시 이의 파기막(332)을 파기시키고 푸시버튼을 사용하게 하고 있다.
그러면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승강기(100)의 정상운행시에서는 제3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동장치(300)의 브레이크슈우(320)는 하향으로 내려앉아 대기한다. 이렇게 승강기가 정상운행을 하다 엔진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또는 동력전달계통에 이상이 발생하여 출력이 순간적으론 상실되는 비상시의 경우 일차적으로 제1제동장치(본 원인이 선출)에 의해 1차적으로 운행을 제어한다. 그런데 상기 제1제동장치에서 제동을 이루지 못하고 승강기가 무부하 상태로 자유낙하의 비상시가 발생하면 제동장치(300)의 브레이크슈우(320)는 관성작용에 의해 도면에서 표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슈우(3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축핀(310)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며 가이드레일(210)을 받침면(311)측으로 밀착시키며 목적하는 제동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제동장치는 특히 물리적이고 기구적인 가속감지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승강기가 무부하 상태로 자유낙하시 신속히 그 가속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승강기를 안전하게 제동시키게 한 것으로, 이로서 승강기의 운행이 보다 안정되고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엔진의 구동력이 다단의 감속기를 통해 피니언으로 출력되고, 상기 피니언을 철탑에 설치되는 핀타입 랙에 치합시키어 피니언이 정,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보조 제동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근접되어 미끄럼 접촉하는 받침면(311)이 일체로 구비된 본체(310)와; 상기 본체(310)내에 축핀(301)에 축설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받침면(311)과의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레일(210)을 밀착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브레이크슈우(320)와; 상기 브레이크슈우(320)의 일측 경사면을 밀어 회동되도록 하여 제동기능을 하는 푸시버튼(330)과; 상기 푸시버튼(330)을 후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331)를 포함하는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승강기와는 별개로 상기 승강기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수용부에 삽탑식으로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2019950040848U 1995-12-13 1995-12-13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0138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848U KR0138259Y1 (ko) 1995-12-13 1995-12-13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848U KR0138259Y1 (ko) 1995-12-13 1995-12-13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872U KR970038872U (ko) 1997-07-29
KR0138259Y1 true KR0138259Y1 (ko) 1999-04-15

Family

ID=1943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848U KR0138259Y1 (ko) 1995-12-13 1995-12-13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2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191B1 (ko) * 2010-09-08 2013-03-12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타워 구조물 유지점검보수작업용 승강시스템용 브레이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17B1 (ko) * 2002-05-09 2004-10-26 한전기공주식회사 고압 전선 보수용 스페이서 카 설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191B1 (ko) * 2010-09-08 2013-03-12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타워 구조물 유지점검보수작업용 승강시스템용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872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104B2 (en) Activating a safety gear
CN103261073B (zh) 具有轿厢和对重的电梯设备
CN1953926B (zh) 电梯装置
EP2108609B1 (en) Electronic elevator safety system
EP261637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CN111620216B (zh) 带有平移的安全设备块的电梯安全设备
CN111099469B (zh) 电梯***
CN101287670B (zh) 具有电子紧急安全钳的电梯
US7819229B2 (en) Elevator safety system
CN110872041B (zh) 电梯电气安全致动器控制
US4106594A (en) Elevator system
KR20120023105A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150251877A1 (en) Elevator apparatus
EP3309104B1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US20150083527A1 (en) Back-up brake system of lifts
CN101258088A (zh) 扩展井道备份的应用
KR0138259Y1 (ko)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CN100572245C (zh) 电梯轿厢的紧急制动装置
ES2403162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el mantenimiento a nivel de una cabina de ascensor en un desembarco en planta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KR102114254B1 (ko)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JP5829869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EP3960678A1 (en) Ropeless elevator building to building mobility system
JPH10109851A (ja) リニアモータのギャップ検出装置及び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9153531B (zh) 电梯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