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541Y1 -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541Y1
KR0134541Y1 KR2019950044548U KR19950044548U KR0134541Y1 KR 0134541 Y1 KR0134541 Y1 KR 0134541Y1 KR 2019950044548 U KR2019950044548 U KR 2019950044548U KR 19950044548 U KR19950044548 U KR 19950044548U KR 0134541 Y1 KR0134541 Y1 KR 0134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unit
external power
volt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517U (ko
Inventor
천경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44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541Y1/ko
Publication of KR970047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5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부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가 차단되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나 배터리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의 동작 상태와, 상기 DC/DC컨버터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흐 제어 장치는 스위치부를 구동하기 위한 차지 펌프 회로를 직류/직류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스위치 파형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여 부품 원가를 절약하고, 스위치 제어부가 외부 전원 공급부가 시스템에 장착될 때 발생하는 순간 과전류를 차단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이 고안은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휴대용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시스템에 장착된 배터리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의 구성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어 해당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0)와;
상기 충전부(20)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가 차단되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30)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배터리(3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와 배터리(30)에서 입력된 전압을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직류 변환부(DC/DC Converter,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의 출력단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제1다이오드(D41)와;
상기 제1다이오스(D41)의 캐소드 단자에 일측단이 연결된 제1저항(R42)과;
상기 제1저항(R42)의 타측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접지된 제2저항(R43)과;
상기 제1저항(R42)의 일측단과, 제2저항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해당장치르 동작시키는 구동부(44)와,
상기 구동부(44)의 동작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변화하는 스위치부(SW45)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44)는 상기 제1저항(R42)의 일측단에 연결된 차지 펌프(CP440)와;
제2저항(R43)의 일측단에 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가 기준 전압(REF)과 연결되고, 전원 단자가 상기 차지 펌프(CP440)에 연결된 비교기(OP4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부(SW45)는 상기 비교기(OP441)의 출력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1저항(R42)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가 상기 배터리(30)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가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소스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51)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외부 전원 공급부(10)가 시스템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할 때는, 외부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제1다이오드(D41)를 통해 직류/직류/변환부(5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는 상기 제1다이오드(D41)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에서 출력된 전압은 상기 제1, 제2저항(R42,R43)에 의해 분압되어 상기 구동부(44)의 비교기(OP441)의 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비교기(OP441)는 반전/비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된 전압의 전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된 전압이 비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된 기준 전압(REF)보다 전위가 높으므로 로우 상태의 전압을 상기 스위치부(SW45)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51)로 출력한다.
로우 상태의 전압을 게이트 단자로 입력 받은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51)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사기 배터리(30)는 직류/직류 변환부(50)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고,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에서 상기 충전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 받아 충전 상태에 있게 된다.
외부 전원 공급부(10)가 시스템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구동부(44)의 비교기(OP441)의 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이 없으므로, 상기 비교기(OP441)는 하이 상태의 전압을 스위치부(SW45)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51)의 게이트 단자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비교기(OP441)에서 출력되는 하이 상태의 전압은 상기 차지 펌프(CP440)에 의해 승압되므로,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5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배터리(30)에서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전위가 높게 된다.
게이트 단자가 소스 단자보다 전위가 높으면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51)는 턴온된다.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51)가 턴온되며, 상기 배터리(30)는 상기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를 통해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를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3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451)를 통해 입력받은 직류/직류 변환부(50)는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로부터 변환된 전압을 공급받은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는 스위치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차지 펌프와 비교기가 내장된 하나의 집적회로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사용해야 하므로 부품의 원가가 상승하고,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을 때도 구동부가 동작하여 흐르는 누설 전류로 인하여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류/직류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파형에 의해 동작하는 차지 펌프 회로를 이용해서 스위치부를 동작시켜서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로를 간소화하여 부품 원가를 절약하고, 누설 전류로 인하 배터리 방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고안의 구성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부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가 차단되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나 배터리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의 동작 상태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의 구성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0)와;
상기 충전부(20)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가 차단되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30)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나 배터리(30)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직류/변환부(50)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의 동작 상태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3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SW61)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직류/직류 변환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차지 펌프(CP62)와;
상기 스위치 제어부(SW61)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차지 펌프(CP6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30)에서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부(SW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SW61)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된 제1저항(R611)과;
상기 제1저항(R611)의 타측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접지된 제2저항(R612)과;
상기 제2저항(R612)의 일측단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된 제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와;
상기 제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의 드레인 단자에 일측단이 연결된 제3저항(R614)의 이루어진다.
상기 차지 펌프(CP62)는 외부 전원 공급부(10)의 출력단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제1다이오드(D620)와;
상기 제1다이오드(D620)의 캐소드 단자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에 연결된 제1커패시터(C621)와;
상기 제1커패시터(C621)의 일측단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3저항(R614)이 타측단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D622)와;
상기 제2다이오드(D622)의 캐소드 단자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접지된 제2커패시터(C6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부(SW63)는 상기 스위치 제어부(SW61)의 제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의 드레인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의 출력단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고, 배터리(30)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소스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3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 전원 공급부(10)가 시스템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스위치 제어부(SW61)의 분압 저항쌍(R611,R61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어 제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를 턴온시킨다.
상기 제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가 턴온되면 상기 스위치부(SW63)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3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스위치부(SW63)는 오프 상태가 된다.
상기 스위치부(SW63)가 오프 상태이므로 배터리(30)는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고,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에서 충전부(20)로 출력되는 충전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에 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에 입력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10)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으로 출력한다.
직류/직류 변환부(50)로부터 변환된 전원을 공급받은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외부 전원 공급부(10)가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배터리(3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시스템을 구동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외부 전원 공급부(10)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없으므로 스위치 제어부(SW61)의 제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가 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30)는 상기 스위치부(SW63)의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의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3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은 직류/직류 변환부(50)는 시스템이 동작하면 스위칭 파형을 차지 펌프(CP62)로 출력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파형이 로우 상태이면 상기 차지 펌프(CP62) 는 배터리(3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제1다이오드(D620)를 통해 상기 제1커패시터(C621)로 충전하고, 스위칭 파형이 하이 상태라면 배터리(30)에서 공급되는 전압의 약2배 전압이 제2다이오드(D622)를 통해 제2커패시터(C623)에 발생한다.
상기 차지 펌프(CP62)의 제2커패시터(C623)에 발생한 배전압은 상기 제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스위치부(SW63)의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스위치부(SW63)의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의 게이트 단자에 차지 펌프(CP62)에 의해 배압된 전압이 인가되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소스 단자에 인가된 배터리(30) 전압의 전위 보다 높게 되어 상기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는 턴온된다.
상기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가 턴온되면 상기 배터리(30)는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를 통해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DC/DC컨버터(50)에 공급한다.
상기 DC/DC컨버터(50)는 상기 배터리(30)에서 입력된 전압을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에 공급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50)에서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스위치부를 구동하기 위한 차지 펌프 회로를 직류/직류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스위치 파형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여 부품 원가를 절약하고, 스위치 제어부가 외부 전원 공급부가 시스템에 장착될 때 발생하는 순간 과전류를 차단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3)

  1.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부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가 차단되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나 배터리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SW61)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직류/직류 변환부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차지 펌프(CP62)와; 상기 스위치 제어부(SW61)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차지 펌프(CP6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에서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부(SW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치 펌프(CP62)는, 외부 전원 공급ㅂ의 출력단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제1다이오드(D620)와; 상기 제1다이오드(D620)의 캐소드 단자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에 연결된 제1커패시터(C621)와; 상기 제1커패시터(C621)의 일측단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3저항(R614)이 타측단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D622)와; 상기 제2다이오드(D622)의 캐소드 단자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접지된 제2커패시터(C6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
  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SW63)는, 상기 스위치 제어부(SW61)의 제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의 드레인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의 출력단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고, 배터리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소스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
KR2019950044548U 1995-12-20 1995-12-20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KR0134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548U KR0134541Y1 (ko) 1995-12-20 1995-12-20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548U KR0134541Y1 (ko) 1995-12-20 1995-12-20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517U KR970047517U (ko) 1997-07-31
KR0134541Y1 true KR0134541Y1 (ko) 1999-04-15

Family

ID=1943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548U KR0134541Y1 (ko) 1995-12-20 1995-12-20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5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46B1 (ko) * 2004-02-03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기의 과전류 차단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517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528B1 (ko) 전원 공급 회로
US6597158B2 (en) Adjustable current consumption power supply apparatus
KR100401100B1 (ko) 엘시디 백라이트 인버터
US6121694A (en) Back-up power supply serving to compensate temporarily for main power supply deficiency
KR970060649A (ko) 벽 조절기 회로
US5598089A (en) Secondary battery charging apparatus
JP3573888B2 (ja) 電源駆動装置
KR0134541Y1 (ko)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US5877614A (en) Electronic switch-mode power supply
US6559624B1 (en) Voltage converter capable of outputting a stable output voltage
JP2000316280A (ja) 電源装置
JPH06276677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US10547194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JP2803151B2 (ja) 電源装置
SU1273906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KR100236645B1 (ko) 마이콤을 이용한 정전압 회로
KR100876112B1 (ko) 배터리 과방전 보호회로
KR100195155B1 (ko) 스위칭회로
KR100328248B1 (ko) 과전압 방지기능을 구비한 인버터 제어기
JPH06106020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ユレータ
KR960013950B1 (ko) 충전지의 정전류 방전장치
KR100543306B1 (ko) 전원 제어 장치
KR0149260B1 (ko) 전원 공급 회로
JPH02254935A (ja) 充電装置
SU1191896A1 (ru) Вторич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 посто нного или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