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762B1 -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762B1
KR0133762B1 KR1019950021702A KR19950021702A KR0133762B1 KR 0133762 B1 KR0133762 B1 KR 0133762B1 KR 1019950021702 A KR1019950021702 A KR 1019950021702A KR 19950021702 A KR19950021702 A KR 19950021702A KR 0133762 B1 KR0133762 B1 KR 013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moisture
wet
hollow casing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05193A (en
Inventor
이진방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762B1/en
Publication of KR97000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7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및 건식(Wet and Dry type)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수분을 포함한 이물질에서 수분을 제거시키고, 구동모터 측으로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다량의 수분을 포함한 이물질의 청소작업이 가능한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른먼지 및 이물질의 흡입청소가 쉽게 이루어 질수 있음은 물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이물질도 흡입하여 수분을 분리시켜 집진처리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크게 향상된다. 뿐만아니라 중공형 케이싱 내부에 수집된 수분을 쉽게 제고 시킬 수 있고, 종래의 연장관 구조를 변형시킬 필요없이 기존의 진공청소기에 중공형 케이싱을 장착하여 사용가능함으로서 쉽게 수분이 함유된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et and dry vacuum cleaners, and more particularly, to remove moisture from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moisture,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to the driving motor side, to clean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This relates to possible wet and dry vacuum clea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suction and cleaning of dry dust and foreign matters can be easily made, the foreign matter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also sucked to separate the water and the dust collection treatment greatly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crease the moisture collected inside the hollow casing,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casing with the hollow casing without the need to modify the conventional extension tube structure, so that it is easy to clean the moisture-containing foreign matter. will be.

Description

습식 및 건식(wet and dry type) 진공청소기Wet and dry type vacuum cleaner

제1도는 일반적인 건식(dry type)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dry type vacuum cleaner.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wet and dr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에 갖춰진 수분 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ater removal device equipped with a wet and dr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의 작동상태도.5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wet and dr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의 변형 실시예로서, 가)도는 수분제거장치가 연장관의 하부측에 장착된 구조도, 나)도는 수분제거장치의 용량을 크게하여 하부면에 바퀴를 장착한 구조도이다.6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wet and dr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ructure diagram in which the moisture removal device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extension tube, b) the wheel on the lower surface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moisture removal device It is a structural diagram equipped with.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2 : 본체13 : 흡입브러쉬12: main body 13: suction brush

16 : 연장관22 : 중공형 케이싱16: extension tube 22: hollow casing

30 : 클램프부재32 : 유입도관30: clamp member 32: inlet conduit

34 : 돌출턱35 : 원형리브34: protruding jaw 35: round rib

40 : 배출구45 : 수분차단기구40: outlet 45: moisture blocking mechanism

47 : 다공성 덮개47a : 직선부47 porous cover 47a straight part

48 : 부레48a : 원주면48: bere 48a: circumferential surface

H : 구멍S : 공간H: Hole S: Space

W : 수분W: moisture

본 발명은 습식 및 건식(Wet and Dry type)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수분을 포함한 이물질에서 수분을 제거시키고, 구동모터측으로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다량의 수분을 포함한 이물질의 청소작업이 가능한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and dry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remove moisture from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moisture,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to the driving motor side, to clean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This relates to possible wet and dry vacuum cleaners.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모터 구동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인력에 의해 먼지나 기타 이물질등을 집진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1도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10)가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10)는 건식(dry type)의 이물질을 흡인제거하도록 내부 격벽에 의해 구획 되어진 집진실 및 구동실(도시생략)을 가지며 바퀴(11)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운 본체부(12)와, 일측 끝단부에 먼지등을 흡입하는 브러쉬(1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측 끝단부에는 흡인력 조절 스위치부(14)를 갖는 손잡이(15)가 장착되어 다단으로 연결 접속되는 연장관(16)들과, 이 연장관(16)에 연결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12)내의 집진실로 착탈이 자유롭도록 플렉시블(Flexible)하게 연결된 주름관(17)등을 갖추고 있다.A general vacuum cleaner has a function of collecting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by a strong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motor drive. FIG. 1 shows a general vacuum cleaner 10. The vacuum cleaner 1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 driving chamber partitioned by an internal partition wall to remove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of a dry type. And a detachable body 13 attached to the wheel 11 and a brush 13 for sucking dust on one end thereof, and a suction force control switch 14 attached to the other end thereof. The extension pipes 16 which are attached to the casing 15 and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and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s 16 to form an air passage, and at the same time flexible to detachable to the dust collection chamber in the main body portion 12 ( Flexible corrugated pipe 17 is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본체부내의 구동실에 장착된 모터(도시생략)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강력한 흡인력에 의해 상기 흡입 브러쉬(13)를 통하여 외부 먼지나 기타 이물질들을 흡입하게 되고, 이 먼지나 이물질들은 집진실내에 교환가능하도록 장착된 통상의 먼지봉투(도시생략)내를 통과하면서 잔류하게 됨에 따라 깨끗한 공기만이 구동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Th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sucks external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through the suction brush 13 by a powerful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a motor (not shown) mounted in the drive chamber in the main body. As foreign substances remain in the normal dust bag (not shown) mounted interchangeably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only clea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iving chamb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마른먼지 즉 건식의 먼지만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만일 수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이물질이 흡입된 경우는 종이재료로 이루어진 먼지봉투가 젖게 되어 터지며, 구동모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면, 모터의 수명단축은 물론 누전의 위험성이 매우 큰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청소할 수 있는 대상이 마른먼지 즉, 건식의 이물질만에 제한됨으로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습식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는 사용상의 한계를 갖춤으로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이었다.However, th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suck only dry dust, that is, dry dust. If a foreign substanc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inhaled, the dust bag made of paper material is wetted, and the moisture is blown into the driving motor. If this flows in, the life of the motor is shortened, as well as the risk of leakage. Therefore, the vacuum cleaner as in the prior art is limited to dry dust, that is, only dry foreign matters, and thus has inconvenience in use because it has a limitation in use that cannot remove wet foreign matter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It w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마른먼지를 흡입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습식의 이물질을 흡입 제거할 수 있음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개선할 습식 및 건식(Wet and Dry type)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ry dust, as well as to be able to inhale and remove the wet foreign substance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Its purpose is to provide wet and dry type vacuum clean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가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연결된 다단연장관과 주름관, 상기 연장관에 장착된 흡입브러쉬, 상기 다단연장관의 공기통로에 연결되는 일정크기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중공형 케이싱, 상기 중공형 케이싱의 일측벽으로 부터 흡입브러쉬에서 연장된 다단연장관에 연결되는 유입도관, 상기 중공형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모터의 흡입력이 미치도록 연결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감싸는 다공성 덮개를 갖추고 다공성 덮개의 내측에는 부레(Float)를 갖추어 상기 케이싱내부의 수분이 본체의 모터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주는 수분 차단기구를 포함하는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수분 차단기구의 다공성 덮개는 배출구를 감싸는 상광하협(上廣下挾)의 구조를 갖추고, 상기 다공성 덮개의 하부측은 직경이 축소되어 부레가 배출구측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구 역할을 하도록 원통형의 직선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를 마련함에 의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is built-in, the multi-stage extension pipe and corrugated pip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he suction brush mounted on the extension pipe, a predetermined size space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of the multi-stage extension pipe A hollow casing formed therein, an inlet conduit connected to a multistage extension tube extending from a suction brush from one side wall of the hollow casing, an outlet and a outlet connected to the suction space of the motor to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casing In the wet and dry vacuum cleaner having a porous cover surrounding the cover and the inside of the porous cover (Float) to prevent the moisture in the casing to flow into the motor side of the main body, the wet and dry vacuum cleaner, Of the porous cover has a structure of a normal light down strait surrounding the discharge port, Wet and dry vacuum clean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ide of the siege cover is reduced in diameter to form a cylindrical straight portion to serve as a guide to move the ball to the outlet side linearly By providing.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2도 내지 제4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청소기(20)는 다단 연장관(16)에 중공형 케이싱(22)이 부착되는 바,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은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S)는 갖추어 다단 연장관(16)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 부터 수분을 중력에 의하여 낙하시킨다.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크기의 몸체(24)와 상부 커버(24b)가 서로 분리가능하고, 서로 결합되는 테두리부(25)에는 밀봉링(27)이 끼워지며, 상기 몸체(24a)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클램프 부재(clamp)(30)가 장착되고, 이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24b)에는 상기 클램프 부재(30)의 걸고리(31)가 끼워지는 돌출턱(34)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몸체(24a)와 상부 커버(24b)는 다수개의 클램프 부재(30)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됨으로서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S)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공형 케이싱(24a)의 일측벽에는 유입도관(32)이 형성되는바 상기 유입도관(32)은 종래와 같이, 휘어짐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진 몸체(33a)를 갖추며, 상기 몸체(33a)의 하단부(33b) 케이싱(22)의 측면에 마련된 원형리브(35)에 끼워질 수 있음으로서, 상기 원형리브(35)의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연장관(16)에 서로 연통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유입도관(32)의 상단부(33c)는 중공형 케이싱(22)의 내측에서 하부를 향하여 출구(36)를 형성한 절곡부(33d)를 갖는다.2 to 4 show wet and dry vacuum cleaners 20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20 is a bar casing 22 is attached to the multi-stage extension tube 16, the hollow casing 22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ize of space (S) therein through the multi-stage extension tube 16 Drops moisture from the air flowing into it by gravity. As shown in FIG. 3, the hollow casing 22 may have a body 24 and a top cover 24b of a predetermined siz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sealing ring 27 may be provided at an edge portion 25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30 ar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4a, and the protrusion 31 of the clamp member 30 is fitted to the upper cover 24b coupled thereto. A plurality of jaws 34 are formed so that the body 24a and the upper cover 24b are integrally coupled by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30 to form a space 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In addition, the inlet conduit 32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hollow casing 24a. The inlet conduit 32 has a body 33a made of a flexible tube that is free to bend as in the prior art, and the body 33a. It can be fitted to the circular rib 35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sing 22 of the lower end (33b) of the (),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n the extension pipe (16) f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ircular rib (35). . The upper end 33c of the inlet conduit 32 also has a bent portion 33d which forms an outlet 36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casing 22 toward the bottom.

따라서, 상기 유입도관(32)으로 인입된 공기 및 이물질과 수분은 중공형 케이싱(22)의 내측 하부를 향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의 상부 커버(24b)에 형성되어 모터의 흡입력의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의 내부공간(S)에 작용하도록 배출구(4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40)의 상단부는 중공형 케이싱(24a)의 외측에서 손잡이(Handle)(15)의 선단부에 끼워지고, 하단부(40a)는 중공형 케이싱(22)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0)를 감싸고, 상기 배출구(40)를 통하여 중공형 케이싱(22)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차단기구(45)가 갖춰지는바, 상기 수분 차단기구(45)는 배출구(40)를 감싸는 상광하협(上廣下挾)의 다공성 덮개(47)를 갖추고, 상기 덮개(47)의 내측에는 배출구(40)를 폐쇄시킬 수 있는 부레(Float)(48)가 배출구(40)의 하단부로 부터 일정간격 떨어져서 배치되며, 상기 부레(48)가 위치된 다공성 덮개(47)의 하부측은 부레(48)가 배출구 측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구 역할을 하도록 원통형의 직선부(47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부레(48)의 상단부는 배출구(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원추면(48a)이 형성되며, 상기 부레(48)의 직경이 배출구(4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서 부레(48)가 상승되면 배출구(4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H)는 구멍, (W)는 수분이다.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conduit 32 and the foreign matter and water is discharged toward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hollow casing 22. In addition, an outlet 40 is formed on the upper cover 24b of the hollow casing 22 to act on the internal space S of the hollow casing 22 of the suction force of the motor, and the outlet 40 ), The upper end is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15) on the outside of the hollow casing (24a), the lower end portion (40a)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inside of the hollow casing (22). Then, the moisture barrier mechanism 45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let 40 and prevent wate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casing 22 through the outlet 40. Is equipped with a porous cover 47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s surrounding the outlet 40, the inside of the cover 47 is a float (48) for closing the outlet 40 is discharge outle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lower end of the 40, the lower side of the porous cover 47, where the bure 48 is located, the cylindrical straight portion to serve as a guide for the bure 48 to move linearly to the outlet side It forms 47a. In addi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ridle 48 is formed with a conical surface 48a for facilitating insertion into the discharge port 40, the diameter of the bridle 48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 40 When the 48 is raised is configured to close the outlet 40. Unexplained code (H) is a hole, (W) is w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20)는 본체(12) 내부의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흡입브러쉬(13)를 통하여 공기와 이물질을 흡수하게 된다. 만일, 흡입브러쉬(13)를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등이 마른것, 즉 건식의 것이라면 종래와 같이 공기와 이물질들은 다단연장관(16)과 중공형 케이싱(22) 및 손잡이(15)와 주름관(17)을 통하여 본체(12)내로 흡입되고, 먼지 및 이물질등은 집진처리된다.The wet and dry vacuum clean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bsorbs air and foreign matter through the suction brush 13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inside the main body 12. If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brush 13 are dry, i.e., dry, air and foreign substances are multistage extension tubes 16, hollow casings 22, handles 15, and corrugated tubes (as in the prior art). 17)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2, dust and foreign matter is collected.

한편, 흡입되는 공기 및 이물질중에 다량의 수분(W)이 흡입되어 흡입브러쉬(13)내로 흡이되면, 공기와 이물질 및 수분(W)등은 다단연장관(16)을 통하여 중공형 케이싱(22)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도관(32)의 절곡부(33d)를 통하여 중공형 케이싱(22)의 내측하부로 배출되어 공기와 이물질 보다 비교적 무거운 수분(W)은 중력(Gravity)에 의해성 중공형 케이싱(22)의 내부에 수집된다. 또한, 수분이 분리된 공기 및 이물질등은 수분 차단기구(45)의 다공성 덮개(47)와 배출구(40) 등을 통하여 본체(12) 내부로 유입되어 먼지봉투에 의해서 먼지 및 이물질등이 여과되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W) is sucked in the suction air and the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suction brush (13), the air, foreign matter and moisture (W), etc. through the casing (22) casing hollow 22 The water (W), which is heavier than air and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hollow casing 22 through the bent part 33d of the inlet conduit 32 and is released by the gravity It is collected inside the mold casing 22. In addition, the air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2 through the porous cover 47 and the outlet 40 of the water blocking mechanism 45, dust and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by the dust bag.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중공형 케이싱(22) 내부에 모아진 수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차오르게 되고,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관(16)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작동됨으로서 케이싱(22) 내부의 수분이 일정범위 이상 차오르게 되면 수분차단기구(45)의 다공성 덮개(47) 내부에 위치된 부레(48)를 상부측으로 밀어올려서 부레(48)의 원추면(48a)이 배출구(40)의 하부로 끼워져서 제4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배출구(40)를 폐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배출구(40)를 통해서는 수분(W)은 물론 공기및 이물질의 통과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공형 케이싱(22)의 내부에 수분이 모아지면, 사용자는 이를 제거하게 되는바 이때 중공형 케이싱(22)의 몸체(24a)외부에 다수개 부착된 클램프 부재(30)의 레버(33)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리고, 걸고리(31)를 상부 커버(24b)의 돌출턱(32)으로 부터 해방시켜서 몸체(24a)와 상부커버(24b)를 분리시키고 몸체(24a)의 내부에 담겨진 수분(W)을 외부로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장관(16)으로 부터 몸체(24a)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원형리브(35)에 연장관(16)이 단순히 끼워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내부의 수분이 제거된 몸체(24a)와 상부커버(24b)는 다수개의 클램프 부재(30)와 돌출턱(34)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킴으로서 다시 연장관(16)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24a)와 상부 커버(24b)의 맞닿은 테두리부(25)에는 밀봉링(27)이 끼워지기 때문에 몸체(24a)와 상부 커버(24b) 사이에는 아무런 누수 현상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24a)와 상부 커버(24b)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수분차단기구(45)의 부레(48)는 자중(自重)에 의해서 다공성 덮개(47)의 원통형 직선부(47a)내에 위치도어 또 다시 중공형 케이싱(22)의 내부에서 수분(W)이 차오르게 되면 배출구(4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isture collected in the hollow casing 22 in the above process gradually rises over time, and as shown in FIG. 5, the extension tube 16 is operated in an inclined state. When the water inside the casing 22 is filled to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the conical surface 48a of the concave 48 is discharged by pushing up the concave 48 positioned inside the porous cover 47 of the moisture blocking device 45 to the upper side.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40 to close the outlet 40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Therefore, through the outlet 40, water (W) as well as the passage of air and foreign matter is not made. On the other hand, if the moisture is collected in the interior of the hollow casing 2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s to remove it at this time of the clamp member 30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24a of the hollow casing 22 Lift the lever 33 to the upper side and release the hook 31 from the protruding jaw 32 of the upper cover 24b to separate the body 24a and the upper cover 24b and to the inside of the body 24a. The contained water (W) can be remov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body 24a from the extension tube 16, the extension tube 16 is simply fitted into the circular rib 35 and thus can be easily separated. On the other hand, the body 24a and the upper cover 24b from which the water is removed can be mounted and used again on the extension pipe 16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plurality of clamp members 30 and the protruding jaw 34. Since the sealing ring 27 is fitted to the edge portion 25 of the body 24a and the upper cover 24b, no leakage occurs between the body 24a and the upper cover 24b. In addition, when the body 24a and the upper cover 24b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ead 48 of the moisture barrier mechanism 45 is positioned in the cylindrical straight portion 47a of the porous cover 47 due to its own weight. If the water (W)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hollow casing 22 again the door is configured to close the outlet 40.

한편, 제6도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지 않는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6도의 가)도에 도시된 변형예는 연장관(16)의 최하단측에 중공형 케이싱(22')이 형성되고, 중공형 케이싱(22')의 원형리브(35') 내에 흡입브러쉬(13)의 상단부가 직접 끼워지는 구조를 갖추며, 그 밖의 구성은 제2도 내지 제5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Fig. 6 shows a modification which does not constitute the present invention. 6, the hollow casing 22 'is formed on the lowermost side of the extension tube 16, and the suction brush 13 is formed in the circular rib 35' of the hollow casing 22 '. The upper end portion of)) is fitted directly,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이러한 변형예는 중공형 케이싱(22')의 내부에 수분이 담겨져서 무거워지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즉 중공형 케이싱(22') 내의 수분에 의해서 증가된 흡입브러쉬(13)와 연장판(16) 및 손잡이(15)의 무게 중심이 하부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청소도중에 흡입브러쉬(13)의 이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 질수 있다. 제6도에 나)도에는 또다른 병형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변형실시예는 중공형 케이싱(22')이 대용량을 갖는 것으로서 흡입브러쉬(13)에 플렉시블 튜브(16')가 장착되어 연결되고,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에는 손잡이(15)가 연결되며,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의 하부면에는 바퀴(22a')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는 중공형 케이싱(22')의 크기를 대형화하여 장시간동안 내부로 청소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하부면의 바퀴(22a')로 인하여 이를 청소면에서 쉽게 끌고 다니면서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This variant allows the user to easily move it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hollow casing 22 'becomes heavy. That is,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ction brush 13, the extension plate 16, and the handle 15 increased by the moisture in the hollow casing 22 ′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 movement of the suction brush 13 is prevented during cleaning. It can be done more easily. Another bottled embodiment is shown in FIG. 6 b). In the modified embodiment, the hollow casing 22 'has a large capacity, and a flexible tube 16' is attached to the suction brush 13, and a handle 15 is connected to the hollow casing 22 '. The wheel 22a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casing 22'. It can be used without cleaning the inside for a long time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hollow casing (22 '), it can be cleaned while dragging it easily on the cleaning surface due to the wheel (22a') of the lower surface.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른먼지 및 이물질의 흡입청소가 쉽게 이루어 질수 있음은 물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이물질도 흡입하여 수분을 분리시켜 집진처리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크게 향상된다. 뿐만아니라 중공형 케이싱 내부에 수립된 수분을 쉽게 제거시킬 수 있고, 종래의 연장관 구조를 변형시킬 필요없이 기존의 진공청소기에 중공형 케이싱을 장착하여 사용가능함으로서 쉽게 수분이 함유된 이물질등을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식 및 습식의 이물질을 모두 흡입제거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the suction of dry dust and foreign matters,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use is greatly improved since the foreign matter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also sucked to separate the water to collect the du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moisture established inside the hollow casing, and can be used to install the hollow casing in the existing vacuum cleaner without modifying the conventional extension tube structure, it is easy to clean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ing moisture. It i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dry and wet foreign matter can be removed by suction, the convenience of use is greatly improved.

Claims (4)

모터가 내장된 본체(12), 상기 본체(12)의 전방측에 연결된 다단연장관(16)과 주름관(17), 상기 연장관(16)에 장착된 흡이브러쉬(13), 상기 다단연장관(16)의 공기통로에 연결되는 일정크기의 공간(S)을 내부에 형성하는 중공형 케이싱(22),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의 일측벽으로부터 흡입브러쉬(13)에서 연장된 다단연장관(16)에 연결되는 유입도관(32),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의 내부공간(S)에 모터의 흡입력이 미치도록 연결되는 배출구(40) 및 상기 배출구(40)를 감싸는 다공성 덮개(47)를 갖추고 다공성 덮개(47)의 내측에는 부레(Float)(48)를 갖추어 상기 케이싱(22)내부의 수분(W)이 본체(12)의 모터측으로 유입도지 않도록 하여주는 수분 차단기구(45)를 포함하는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수분 차단기구(45)의 다공성 덮개(47)는 배출구(40)를 감싸는 상광하협(上廣下挾)의 구조를 갖추고, 상기 다공성 덮개(47)의 하부측은 직경이 축소되어 부레(48)가 배출구(40)측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구역할을 하도록 원통형의 직선부(47a)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Body 12, motor built-in multi-stage extension tube 16 and corrugated tube 17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2, the suction brush 13 mounted on the extension tube 16, the multi-stage extension tube 16 Hollow casing 22 to form a space (S) of a predetermined size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of the inside, multi-stage extension tube 16 extending from the suction brush 13 from one side wall of the hollow casing 22 It is provided with an inlet conduit 32 connected to the outlet 40 connected to the suction force of the motor to the inner space (S) of the hollow casing 22 and the porous cover 47 surrounding the outlet 40 Inside the porous cover 47 is provided with a float (48) to include a water blocking mechanism 45 to prevent the water (W) inside the casing 22 to flow into the motor side of the main body 12 In the wet and dry vacuum cleaners, the porous cover 47 of the moisture blocking device 45 has a normal light covering the outlet 40. It has a structure of (上 廣 下 의), the lower side of the porous cover 47 is reduced in diameter, the cylindrical straight portion 47a to serve as a guide zone that can be moved linearly to the outlet port 48 side 48 Wet and dry vacuum cleaner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케이싱(22)은 일정크기의 몸체(24a)와 상부커버(24b)가 서로 분리가능하고, 테두리부(25)에는 밀봉링(27)이 끼워지며, 상기 몸체(24a)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클램프 부재(clamp)(30)가 장착되고 이에 결합된 상부 커버(26b)에는 상기 클램프 부재(30)의 걸고리(31)가 끼워지는 돌출턱(34)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몸체(24a)와 상부커버(24b)는 다수개의 클램프 부재(30)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됨으로서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S)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llow casing 22, the body 24a and the upper cover 24b of a predetermined size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dge ring 25 is fitted with a sealing ring 27, the body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30 ar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24a, and the upper cover 26b coupled thereto has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34 into which the hooks 31 of the clamp members 30 are fitted. And the body 24a and the upper cover 24b are integrally coupled by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30 to form a space 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40)의 상단부는 중공형 케이싱(22)의 외측에서 손잡이(handle)(15)의 선단부에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및 건식 청소기.The wet and dry cleaner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an upper end of the outlet (40) is fitted to a tip of a handle (15) at an outer side of the hollow casing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레(48)의 상단부는 배출구(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원추면(48a)이 형성되며, 상기 부레(48)의 직경이 배출구(4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서 부레(48)가 상승되면 배출구(4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및 건식 청소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bridle 48 is formed with a conical surface (48a)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interior of the outlet 40, the diameter of the bridle 48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40 Wet and dry cleaner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lose the outlet 40 is formed by being formed larger than the 48.
KR1019950021702A 1995-07-21 1995-07-21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KR0133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702A KR0133762B1 (en) 1995-07-21 1995-07-21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702A KR0133762B1 (en) 1995-07-21 1995-07-21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193A KR970005193A (en) 1997-02-19
KR0133762B1 true KR0133762B1 (en) 1998-04-24

Family

ID=1942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702A KR0133762B1 (en) 1995-07-21 1995-07-21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7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170A (en) * 2002-03-05 2003-09-13 정준호 Environmental Vacuum Cleaner Filter System
WO2022010079A1 (en) * 2020-07-06 2022-01-13 조성규 Multi-functional wet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470A (en) * 2002-03-19 2002-05-03 김도훈 Dry and wet type vacuum collector
KR20040017195A (en) * 2002-08-20 2004-02-26 남도금형(주) Wet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170A (en) * 2002-03-05 2003-09-13 정준호 Environmental Vacuum Cleaner Filter System
WO2022010079A1 (en) * 2020-07-06 2022-01-13 조성규 Multi-functional wet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193A (en)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606B1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382451B1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7669282B2 (en) Vacuum cleaner
US6195835B1 (en)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US7140068B1 (en)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separation
KR100615360B1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445806B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100932760B1 (en)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US20050198769A1 (en) Vacuum cleaner
JP2002051952A (en) Vacuum cleaner
KR100470558B1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WO2001005291A1 (en) Vacuum cleaner
JP2006110321A (en) Cyclone dust collector
KR20060125952A (en) Dust collecting unit
GB2364939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100500844B1 (en) Handle and cyclone vacuum cleaner equipped whth such a device
KR100593094B1 (en) Dust removing unit in vacuum cleaner
KR100601451B1 (en) Dust removing unit in vacuum cleaner
KR20000047413A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KR0133762B1 (en)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KR100437374B1 (en) Cyclone dust-collec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545378B1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0437365B1 (en) A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JP2004024887A (en) Vacuum cleaner
KR0133761B1 (en)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