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535B1 - 콘크리트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연결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535B1
KR0130535B1 KR1019940015701A KR19940015701A KR0130535B1 KR 0130535 B1 KR0130535 B1 KR 0130535B1 KR 1019940015701 A KR1019940015701 A KR 1019940015701A KR 19940015701 A KR19940015701 A KR 19940015701A KR 0130535 B1 KR0130535 B1 KR 013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od
primary
concrete pouring
shap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380A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4001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535B1/ko
Publication of KR96000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짧은 봉상체(40)를 일체로 결속끈으로 결속하여 콘크리트를 이어치기할 때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의 경계면(30)에 설치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일체로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봉상체(40)는 그 외주면(42)이 울퉁불퉁하도록 요철면(43)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42)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41)이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봉상체(40)의 구멍(41)을 통해 관통시켜 상기 봉상체(40)를 일체로 결속끈(50)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상기 봉상체(40)는 그 외주면(42)이 울퉁불퉁하도록 요철면(4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봉상체(40)의 종·횡방향으로 접착력이 증대되어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일체로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구성됨으로서,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므로 경계면(30)에 종·횡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되지 않고 바닥면을 시공할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연결부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로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구획을 도시한 구획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로 콘크리트타설부간을 접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로 콘크리트타설부간을 접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봉상체를 결속끈으로 결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차 콘크리트타설부 11 : 요철부
20 : 2차 콘크리트타설부 30 : 경계면
40 : 봉상체 41 : 구멍
42 : 외주면 43 : 요철면
50 : 결속끈 60 : 지지부재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1차 콘크리트타설부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를 콘크리트로 이어치기 할 때 그들 사이에 다수의 요철면 봉상체를 배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가 각각 종·횡방향으로 접착력이 증대되어 이들 연결부위의 균열방지 및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는 바닥기초를 형성하기 위해 대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 이때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기초가 넓거나 또는 바닥기초에 비해 콘크리트량이 적은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몇 차례에 걸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콘크리트간을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콘크리크간 연결은 대개 그 형상이 세로로 길이가 긴 목재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를 1차 콘크리트타설부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의 경계면에 설치하고, 1차 콘크리트타설부를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칸막이를 1차 콘크리트로부터 분리시킨 후 2차 콘크리트타설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연결방법은 먼저 칸막이를 설치하고 1차 콘크리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칸막이를 1차 콘크리트로부터 분리시킨 후 2차콘크리트부를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는데 이때 칸막이가 설치된 1차 콘크리트타설부의 경계면이 칸막이 형상에 따라 그 면이 매끄럽게 형성됨에 따라 2차 콘크리트타설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1차 콘크리트타설부에 타설된 콘크리트 경계면과 접착력이 약화되어 일체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타설부간에 콘크리트 강도가 약화되어 구조적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주면에 울퉁불퉁한 요철면이 형성된 다수개의 봉상체를 결속끈으로 일체로 결속끈으로 결속하여 콘크리트를 이어치기할 때 1차 콘크리트타설부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의 경계면에 설치한 뒤, 1차 콘크리트타설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를 일체로 긴밀하게 연결함으로써 종·횡방향으로 접착력이 증대되어 연결부위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짧은 봉상체를 일체로 결속끈으로 결속하여 콘크리트를 이어치기할 때 1차 콘크리트타설부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의 경계면에 설치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를 일체로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봉상체는 그 외주면이 울퉁불퉁하도록 요철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봉상체의 구멍을 통해 관통시켜 상기 봉상체를 일체로 결속끈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상기 봉상체는 그 외주면이 울퉁불퉁하도록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봉상체의 종·횡방향으로 접착력이 증대되어 1차 콘크리트타설부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를 일체화시키므로 경계면에 종·횡방향으로 접착력이 증대되어 연결부재의 균열방지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발명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로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구획을 도시한 구획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로 콘크리트타설부간을 접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로 콘크리트타설부간을 접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봉상체를 결속끈으로 결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짧은 봉상체(40)를 일체로 결속끈으로 결속하여 콘크리트를 이어치기할 때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의 경계면(30)에 설치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일체로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봉상체(40)는 그 외주면(42)이 울퉁불퉁하도록 요철면(43)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42)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41)이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봉상체(40)의 구멍(41)을 통해 관통시켜 상기 봉상체(40)를 일체로 결속끈(50)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상기 봉상체(40)는 종·횡방향으로 접착력이 증대되어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일체로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봉상체(40)는 파이프로 만들어진 것이 사용되고, 그 단면형상이 사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며, 그 외주면(42)은 울퉁불퉁한 요철면(43)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연결부재를 제작할 때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봉상체(4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41)을 천공하여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봉상체(40)를 수직하게 일렬로 세워서 그 구멍(41)을 통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와이어 로프 등과 같은 결속끈(50)을 관통시켜 각 봉상체(40)를 일체로 연결하거나, 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상체(40)를 일렬로 세워서 결속끈(50)으로 지그재그로 엮어서 일체로 연결하면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된 연결부재를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의 경계면(30)에 일렬로 세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10) 측에 위치되게 지지부재(60)를 설치하여 연결부재를 지지해 주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60)는 콘크리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것을 사용하고, 높이는 연결부재가 넘어지지 않을 정도로 바닥면으로부터 대략 2/3 정도를 가진 것을 사용하며,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에 콘크리트 타설시 연결부재가 밀려 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결부재와 지지부재(60)로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연속적으로 이어치기할 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량과 타설면적 및 기타 그 밖의 사정을 고려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로 콘크리트타설부(10,20)를 2개로 구획하여 경계면(30)에 다수개의 봉상체(40)가 결속된 연결부재를 세워서 설치하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콘크리트타설부(20)에 배치되게 지지부재(60)가 연결부재와 접촉되도록 설치하여 연결부재가 넘어지거나 밀려 나가지 않도록 하며,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에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부재의 봉상체(40)가 결속방향으로 약 1/2 정도가 매설되게 함과 동시에 각각의 봉상체(40) 사이로 콘크리트가 스며들게하여 양생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 후 2차 콘크리트타설부(2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할 때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와 지지부재(60)를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봉상체(40)에 의하여 형성된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의 면은 봉상체(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철부(1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에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콘크리트로 연속적으로 이어치기할 때 콘크리트가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의 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부(11)가 매꾸어지게 되므로, 제3도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콘크리트타설부(10)가 형성되기 때문에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가 형끼리 일체로 접속하게 되어 이들 사이에서 친화력이 발생됨과 동시에 경계면(30)의 부착강도가 증대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수행한 후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연속하여 이어치기할 때,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요철면(43)의 봉상체(40)가 결속방향으로 약 1/2 정도 일부 매설되게 함과 동시에 각 봉상체(40) 사이로 콘크리트가 스며들도록 한 후 양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를 양생시킨 후 1차 콘크리트타설부에 밀착된 연결부재를 분리시키면 연결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의 면은 봉상체(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철부(11)가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각 봉상체(40)의 외주면(42)에 형성된 요철면(43)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철부(11)가 형성된다.
여기서,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에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콘크리트 이어치기할 때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가 봉상체(40)의 형상과 그 외주면(42)에 의하여 형성된 요철면(43)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매꾸어지므로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가 불규칙한 형합으로 더욱 일체로 접속하게 되어 친화력의 강도를 높여 경계면(30)을 더욱 견고하게 접속시킬 수가 있어 경계면(30)에 종·횡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될 염려가 없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결속된 다수개의 봉상체(40)의 요철면(43)에 의하여 봉상체(40)가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에 불규칙하게 매설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 및 봉상체(40)를 일체로 하기 때문에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므로 경계면(30)에 종·횡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되지 않고 바닥면을 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연결부재는 봉상체(40)를 매설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가 일체로 접착하게 됨으로서 상기 봉상체(40)는 종·횡방향으로 접착력이 증대되어 연결부재 부위의 균열방지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짧은 봉상체(40)를 일체로 결속끈으로 결속하여 콘크리트를 이어치기할 때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의 경계면(30)에 설치하여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일체로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봉상체(40)는 그 외주면(42)이 울퉁불퉁하도록 요철면(43)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42)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41)이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봉상체(40)의 구멍(41)을 통해 관통시켜 상기 봉상체(40)를 일체로 결속끈(50)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상기 봉상체(40)는 그 외주면(42)이 울퉁불퉁하도록 요철면(4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봉상체(40)의 종·횡방향으로 접착력이 증대되어 1차 콘크리트타설부(10)와 2차 콘크리트타설부(20)를 일체로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콘크리트 연결부재.
KR1019940015701A 1994-06-30 1994-06-30 콘크리트 연결부재 KR013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701A KR0130535B1 (ko) 1994-06-30 1994-06-30 콘크리트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701A KR0130535B1 (ko) 1994-06-30 1994-06-30 콘크리트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80A KR960001380A (ko) 1996-01-25
KR0130535B1 true KR0130535B1 (ko) 1998-04-10

Family

ID=1938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701A KR0130535B1 (ko) 1994-06-30 1994-06-30 콘크리트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5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58B1 (ko) * 2006-12-26 2007-03-08 박동수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101585942B1 (ko) 2014-09-03 2016-01-18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20200001802U (ko) * 2019-02-01 2020-08-11 심선숙 타설막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971B1 (ko) * 2001-03-19 2004-07-30 김진규 에어펜스
KR100411896B1 (ko) * 2001-05-28 2003-12-24 윤석현 콘크리트 타설 거푸집
KR100683024B1 (ko) * 2005-03-29 2007-02-15 흥송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시 이음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시공방법
KR101646712B1 (ko) * 2014-08-13 2016-08-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잔교 함체의 수상 연결구조, 및 이러한 함체의 연결구조를 구비한 부잔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58B1 (ko) * 2006-12-26 2007-03-08 박동수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101585942B1 (ko) 2014-09-03 2016-01-18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20200001802U (ko) * 2019-02-01 2020-08-11 심선숙 타설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80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8343B1 (en) Reinforced concrete deck structure for bridge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04983306U (zh) 一种拼合预制板
US4394201A (en) Concrete slab assembly, especially for building facades
CN205153139U (zh) 一种拼合预制建筑物
KR0130535B1 (ko) 콘크리트 연결부재
CN105297921A (zh) 一种预制板与预制墙的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20060041078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CN105155690A (zh) 一种预制板连接节点和拼合预制板的施工方法
US4359848A (en) Concrete slab assembly, especially for building facades
KR102069419B1 (ko) 내부가 강관으로 보강된 복합말뚝
CN205153138U (zh) 一种拼合预制建筑物
JPH0475322B2 (ko)
KR19980063010U (ko) 철근이음용슬리브
JPH0315605Y2 (ko)
JPH0334967Y2 (ko)
JPH0426483Y2 (ko)
JPS5910441B2 (ja) 床版の固定接合方法
JP2019183481A (ja) 合成床版の接合構造
CN208152342U (zh) 一种预制叠合板
JPH11336251A (ja) 柱構造および柱の補強方法
JP3579333B2 (ja) 床版構造体及び床版の施工方法
CN105155689A (zh) 一种预制板连接节点和叠合预制板的施工方法
JPS626005A (ja) 橋桁の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JPH0459426B2 (ko)
JPH061954Y2 (ja) 床版とセメント製型枠板と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