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556Y1 -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 Google Patents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556Y1
KR0126556Y1 KR2019950004052U KR19950004052U KR0126556Y1 KR 0126556 Y1 KR0126556 Y1 KR 0126556Y1 KR 2019950004052 U KR2019950004052 U KR 2019950004052U KR 19950004052 U KR19950004052 U KR 19950004052U KR 0126556 Y1 KR0126556 Y1 KR 0126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plug
outlet
cas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817U (ko
Inventor
전순호
Original Assignee
전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호 filed Critical 전순호
Priority to KR2019950004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556Y1/ko
Publication of KR960032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20V용 콘센트 안정장치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1)의 몸체(17)에 결합된 케이스(2)에 플러그삽착부(3)가 요홈으로 형성되고, 이 삽착부(3)에 플러그단자(20)가 삽착되는 플러그단자 삽입공(5)이 복수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의 플러그삽착부(3) 중앙에 축공(4)을 형성하고, 축공(4)을 중심으로 플러그단자 삽입공(5)과 직각 되는 방향에 탄성력을 가진 고정수단(6)을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단자 삽입공(5) 외측에 스톱퍼(7)을 형성하고, 플러그삽착부(3)에 회전 결합되는 원판상의 안전장치수단(9)의 일측면 중앙에는 축(10)을 형성하며, 이 축(10)을 중심으로 좌우에 복수개의 통과공(11)을 형성하고, 통과공(11)과 교차되는 소정 방향에는 축(1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걸림돌기(12)를 형성하며, 주연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걸림돌부(14)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안전장치수단(9)의 축(10)을 케이스(2)의 축공(4)에 회전축으로 지지시키되, 축(10)에 비틀림스프링(16)을 설치하여 케이스(2)안전장치수단 안전장치수단(9)을 탄력 설치하고, 케이스(2)의 고정수단(6) 하부에는 콘센트(1) 몸체(17) 상부에 각각 지지돌기(18)을 형성하여 고전류 고전압의 220V용 콘센트단자에 전기배선기구의 플러그단자를 체결시 안전장치수단을 일측방향으로 회전 해제시켜 사용하며, 비사용시에는 콘센트의 플러그단자 삽입공을 차단시켜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본 고안은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케이스의 단자십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수단을 풀러그 삽착부 외부표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기구와 배선과의 접속에 사용하는 배선측에 설치되는 접속기로서, 상기 콘센트의 220V용 고전압(전위)의 전류가 통전됨에 따라 취급부주의 시에는 인체에 치명적으로 손상을 줌으로 인하여 전기기구에 연결된 플러그의 콘센트의 단자에 접속시 콘센트에 별도의 안전장치수단을 구비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안전장치수단은 도시된 도면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그가 삽착될 수 있는 플러그삽착부(33)를 콘센트(31)에 케이스(32)상부에 요홈 형성하고, 이 플러그삽착부(33)의 소정위치에 좌우 대향되는 플러그단자 삽입공(34)을 복수개 형성한다.
상기 플러그단자 삽입공(34)의 배면에는 고전류 고전압으로 전기배선을 취급하는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수단(39)을 플러그삽착부(33)의 배면중앙에 형성된 보스(B)에 회전되도록 축지시킨다. 안전장치수단(39)은 좌우 양측 상부면에 대칭방향으로 소정 경사각을 갖는 차단판(40)을 삽입공(34)크기와 비슷하게 각각 형성하여 케이스(32)의 플러그단자 삽입공(34)하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안전장치수단(39)에는 일측방향으로 걸림구(41)를 형성하고, 걸림구(41)에는 스프링(S)을 삽입시켜 케이스(32)의 배면으로 형성된 리브(R)의 소정위치에 탄지되고, 안전장치수단(39)의 하부에는 케이스(32)에 형성된 리브(R)와 결합되는 브라켓(36)이 설치되어 안전장치수단(39)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220V용 콘센트(31)의 안전장치수단은 케이스(32)의 배면에 회전축지된 안전장치수단(39)이 스프링(S)으로 탄지되고 소정 경사각을 갖는 차단판(49)이 플러그단자 삽입공(34)하부에 각기 위치시키도록 구비됨에 따라 케이스(32)의 삽입공(34)으로 삽입되는 플러그단자는 안전장치수단(39)의 대칭경사면의 차단판(40)에 접촉된 상태에서 콘센트단자(38)측으로 계속 이동된다.
이때 대칭경사면의 차단판(40)은 플러그단자의 압압에 의해 보스(B)를 중심으로 일측 방향 회전하게 된다.
이는 차단판(40)이 대칭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단자의 압압에 따라 경사면의 차단판(40)이 일측으로 밀려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상기 안전장치수단(39)이 스프링(S)의 탄력성을 극복하면서 회전 이동되면 케이스(32)의 플러그 단자 삽입공(34)이 해제되게 되고, 삽입공(34)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는 콘센트(31)의 몸체(37)에 구비된 단자(38)와 접속된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장치수단(39)은 평상시에 스프링(S)의 탄발력을 받아 케이스(32)의 삽입공(34)을 차단판(40)이 차단시킴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였으나, 플러그단자의 삽입과 동시에 차단판(40)의 경사면을 밀어 단자(38)에 접속되어지는 플러그단자의 압압힘에 의해 회전 이동되는 안전장치수단(39)의 회전 이송이 플러그단자와의 마찰력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플러그단자를 케이스(32)의 삽입공(34)에 삽착시키게 되면 안전장치수단(39)의 회전 작동불량에 의해 단자(38)와의 접속이 잘되지 못하여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상기 안전장치수단(39)을 장기간(다수회) 사용하게 되면 안전장치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압압력으로 안전장치수단(39)이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하여 고전압 상태의 220V용 콘센트에서의 안전장치수단(39)의 제구실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안전장치수단(39)은 케이스(32)의 내부측에 위치되고 플러그단자 삽입공(34)의 외부표면에 노출되어 영아 및 유아들의 호기심을 유발시킴에 따라 플러그단자 삽입공(34)으로 금속재의 송곳이나 물품 등을 삽입하므로서 고전류 고전압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하여 인사사고를 일으키는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콘센트 안전장치수단에서 발생하는 폐단을 보안하고자 케이스(32)의 플러그단자 삽입공(34) 외부로 별도의 보호구를 구비하여 전기배선기구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 보호구를 플러그단자 삽입공(34)에 삽착시켜 사용하였으나 이는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또한 안전장치수단으로서의 효과적 대응을 하지 못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국내실용신안공보 제92-18705호와 같은 콘센트 안전장치는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회전캡을 개폐시키도록한 콘센트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콘센트판 전면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그 내측에 스프링지지턱과 지지턱을 돌출시키고, 상기 회전캡의 저면에 지지턱을 돌출시켜 스프링을 삽입하며, 상기 회전캡의 단자 삽입공의 회전방향의 원호상에 경사로가 형성된 플러그접촉부를 요설하여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할 때 플러그를 1차로 회전캡의 단자삽입공에 끼운후 2차로 플러그와 회전캡을 일정각도 돌리고 3차로 플러그단자를 콘센트단자에 끼워 접속시키는 등의 여러 단계를 걷히지 않고도, 플러그단자를 플러그접촉부에 대고 누르는 1회 동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안전콘센트에 보다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안전수단이 없기 때문에 안전장치수단 만으로 안전장치수단의 일시적 정지역할을 항 수 없어 콘센트를 이용해 유희놀이를 하는 어린이에게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없었으며, 또한 안전장치수단에 회전범위를 한정하고 있지 못하여 콘센트사용시에 플러그와 플러그삽입공의 조정이 어려워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콘센트 케이스의 플러그단자 삽착부 중앙에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을 중심으로 플러그단자 삽입공과 직각 되는 방향에 탄성고정수단을 복수개 형성하며 플러그단자 삽입공 외부에는 스톱퍼를 형성하고,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구멍과 구멍의 교차방향에 복수개의 걸리돌기를 형성하고, 원판상 주연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안전장치수단의 축을 콘센트의 축공에 회전 축지시키며, 축에는 비틀림스프링들 삽입 설치시켜 안전장치수단을 케이스에 탄력 설치하고, 탄성고정수단 하부의 몸체에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므로서 고전류 고전압의 220V용 콘센트단자에 전기배선구의 플러그단자를 체결시 안전장치수단을 일측방으로 회전 해제시켜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콘센트의 플러그단자 삽입공을 차단시켜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수단이 제거된 상태의 콘센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수단이 설치된 상태의 콘센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플러그단자가 안전장치수단의 플러그단자 삽입공으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콘센트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플러그단자가 안전장치수단의 플러그단자 삽입공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안전장치수단이 일지정지(록킹)부분으로 회전한 상태의 작용상태 평면도.
제8도는 플러그단자가 콘센트단자에 체결되는 위치로 본 고안의 안전장치수단이 이동된 상태의 작용상태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플러그단자가 콘센트단자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수단이 회전되면서 일시정지(록킹)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a)는 안전장치수단이 걸림돌기가 케이스의 고정수단에 걸려진 상태이고,
(b)는 걸림돌기가 고정수단을 압압시킨 후 이동되는 상태이며,
(c)는 걸림돌기가 고정수단에서 완전히 해제된 상태의 작용도이다.
제11도는 종래의 220V용 콘센트의 평면 구조도.
제12도는 종래의 220V용 콘센트의 단면 구조도.
제13도는 종래의 220V용 콘센트의 안전장치수단의 요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 2 : 케이스
3 : 플러그삽착부 4 : 축공
5 : 플러그단자 삽입공 6 : 고정수단
7 : 스톱퍼 9 : 안전장치수단
14 : 걸림돌부 11 : 플러그단자 통과공
12 : 걸림돌기 18 : 지지돌기
16 : 비틀림스프링 17 : 몸체
19 : 플러그단자 20 : 콘센트단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220V용 콘센트(1)의 케이스(32)에 형성된 플러그삽착부(3) 외부에 회전 설치되는 안전장치수단(9)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콘센트 케이스(2)의 요홈 삽착부(3)에는 중앙에 축공(4)이 형성되고, 이 축공(4)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플러그단자 삽입공(5)을 대응 형성한다. 플러그단자 삽입공(5)의 직각방향에는 축공(4)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고정수단(6)이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수단(6)은 외부가 절결 형성되어 탄력성을 가진다.
케이스(2)의 플러그삽착부(3) 소정위치에는 비틀림스프링(16)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공(8)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플러그단자 삽입공(5)의 외부측에는 각각 스톱퍼(7)를 돌출 성형시킨다.
상기 콘센트 케이스(2)의 플러그삽착부(3)에 회전 설치되는 원판상의 안전장치수단(9)일측면 중앙에는 탄성력이 주어진 축(10)을 형성하고, 이 축(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통과공(11)과 직각 되는 안전장치수단(9)의 축(10)을 중심으로 일측에 경사면(13)을 가진 복수개의 걸림돌기(12)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안전장치수단(9)의 외주연에는 축(10)을 중심으로 소정위치에 90°각도의 걸림돌부(14)를 상호 대응 형성하고, 축(10)에 삽입 설치된 비틀림스프링(16)의 타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공(15)을 소정위치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콘센트케이스(2)의 요홈 플러그삽착부(3) 중앙 내에 형성된 축공(4)에는 원판상의 안전장치수단(9)에 형성된 탄성축(10)을 삽입 설치하여 플러그삽착부(3)에서 안전장치수단(9)이 회전되게한다.
상기 플러그삽착부(3)에 회전 설치된 안전장치수단(9)은 축(10)에 삽설된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해 플러그삽착부(3)에서 탄력 설치된다. 이렇게 안전장치수단(9)이 콘센트케이스(2)에 회전 설치된 구성은 도시된 도면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해 일측으로 탄력 설치된 안전장치수단(9)이 축공(4)을 중심으로 통과공(11)이 수직방향에 위치된다. 수직방향에 위치된 통과공(11)은 케이스(2)의 탄성고정수단(6)의 돌기가 삽입된다.
상기 안전장치수단(9)의 통과공(11)과 교차되는 위치의 소정 방향에 형성된 걸림돌기(12)는 탄성고정수단(6)에서 일측으로 소정각도(α)에 위치된다.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돌부(14)는 고정수단(6)에서 걸림돌기(12)의 소정각도보다 좀 더 큰 각도로 소정각도(β)위치된다. 또한, 안전장치수단(9)의 수직방향에 위치된 복수개의 통과공(11)은 케이스(2)에 형성된 플러그단자 삽입공(5)과 직각방향에 위치된다.
상기한 콘센트케이스(2)에 탄성력을 가지며 회전축지된 안전장치수단(9)은 플러그단자(20)가 통과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단자 삽입공(5)으로 회전 이송될 때 초기의 잠금상태와 우측으로 일시정지(록킹)상태와 플러그단자(20)가 콘센트단자(19)에 체결되는 체결위치표시가 케이스(2)의 플러그삽착부(3) 외부에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단자를 콘센트단자에 결속시키는 과정]
o. 제1단계: 안전장치수단이 콘센트케이스의 고정수단에서 해제되는 상태
도시된 도면 제3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안전장치수단(9)의 통과공(11)이 케이스(2)의 고정수단(6)돌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단자(20)를 상기 통과공(11)으로 삽입시킨 후 고정수단(6)의 돌기를 하측으로 압압시키면 고정수단(6)은 통과공(11)에서 이탈되어 안전장치수단(9)이 고정수단(6)으로부터 해제된다.
o. 제2단계: 안전장치수단의 걸림돌기가 콘센트케이스의 고정수단에 걸려져 일시정지된 상태
고정수단(6)으로부터 해제된 안전장치수단(9)은 플러그단자(20)가 통과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안전장치수단(9)은 비틀림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시된 도면 제7도와 같이 축공(4)을 중심으로 일시정지 위치로 회전된다. 이때 안전장치수단(9)의 걸림돌기(12)중 경사면(13)이 탄성고정수단(6)에 걸려지므로 회전되는 안전장치수단(9)을 일시정지 시킬 수 있는 것이다.
o. 제3단계: 안전장치수단의 걸림돌기가 콘센트케이스의 고정수단에서 록킹이 해제된 상태
상기 안전장치수단(9)의 통과공(11)에 삽입된 플러그단자(20)를 사용자가 일측으로 계속 무리한 힘을 가해 회전시키면 이 탄력성을 갖는 고정수단(9)이 걸림돌기(12)의 경사면(13)에 의해 하측으로 압압되고, 이어서 걸림돌기(12)의 평면부가 고정수단(6)을 통과하여 안전장치수단(9)의 록킹이 해제 된다. 또한 비틀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안전장치수단(9)이 복귀되는 것을 고정수단(6)의 돌기에 걸림돌기(2)가 걸려저 안전장치수단(9)이 역방향으로 초기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o. 제4단계: 플러그단자 콘센트단자와 결속되는 상태
록킹이 해제된 안전장치수단(9)은 도시된 도면 제8도에서와 같이 플러그단자(20)가 통과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회전시켜 체결위치에 도달되면 케이스(2)에 고정된 비틀림스프링(16)위치로 안전장치수단(9)에 고정된 비틀림스프링(16)이 근접되고, 안전장치수단(9)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부(14)의 타단(안정장치수단이 회전하는 방향의 선단부)은 플러그단자 삽입공(5) 외부측에 형성된 스톱퍼(7)와 접촉되어 안전장치수단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안전장치수단(9)의 통과공(11)은 케이스(2)의 플러그단자 삽입공(5)과 일치되어 각 구멍이 연통되고, 플러그단자(20)는 플러그단자 삽입공(5)으로 삽입되어 도시된 도면 제9도와 같이 콘센트단자(19)와 결속된다.
[플러그단자를 콘센트단자에 해제시키는 과정]
o. 제5단계: 콘센트단자에 플러그단자를 해제시킨 상태
도시된 도면 제9도 상태에서 콘센트단자(19)에서 플러그단자(20)를 해소시키면 비틀림스프링(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안전장치수단(9)이 역회전하여 일시정지 위치로 복귀된다.
o. 제6단계: 안전장치수단이 일지 정지된 후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초기상태(안전장치수단이 고정수단에 걸려진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
안전장치수단(9)이 스프링(16) 복원력으로 일시정지 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플러그단자(20)를 통과공(11)에 삽입시킨 후 타측 역방향으로 무리한 힘을 가하여 안전장치수단(9)을 회전 이송시킨다. 회전되는 안전장치수단(9)의 걸림돌기(12)는 도시된 도면 제10도 (a)∼(c)에 표현된 바와 같이 평면부가 탄성력을 가진 걸림돌기(12)를 강제 압압시켜 하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걸림상태를 해제시킨다.
걸림돌기(12)와의 걸림이 해제된 고정수단(9)이 경사면(13)과 위치하게 되면 탄성력을 가진 고정수단(6)은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안전장치수단(9)은 비틀림스프링(16)의 탄성복원력으로 도시된 도면 제3도와 같이 통과공(11)이 고정수단(6)에 걸려져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렇게 콘센트단자(19)에서 플러그단자(20)가 결속 및 해제시 작동하는 220V용 콘센트(1)의 안전장치수단(9)은 고정수단(6)에 걸려진 통과공(11)을 해재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플러그단자(20)를 동시에 통과공(11)에 삽입시켜 탄성력을 가진 고정수단(6)을 압압시킨 후 안전장치수단(9)을 회전되게 하고, 일측으로 회전되는 안전장치수단(9)의 걸림돌기(12)가 고정수단(6)에 1차 걸려진 후 무리한 강제 힘을 가해 록킹해제한 상태에서 플러그단자(20)를 콘센트단자(19)에 결속시킴에 따라 고전류 고전압의 220V용 콘센트(1)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수단(9)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특히 호기심이 많은 영아 및 유아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전기안전사고, 즉 콘센트단자(19)로 날카로운 기구물을 삽입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누전 및 감전사고 등의 인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안전장치수단(9)은 플러그단자(20)가 콘센트단자(19)에서 해제시 스프링(16)의 복원력으로 복귀되는 과정에 고정수단(6)에 의해 걸림돌기(12)가 일시정지한 후 강제 가압력으로 록킹을 해제되어 초기상태로 복귀시킴에 따라 콘센트(1)를 이용해 유희놀이를 하는 유아들에게 안전차단기능을 부여함으로 인해 더욱 안전사고예방을 기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콘센트케이스(2)의 고정수단(6)은 탄성편으로 구비되고, 이 고정수단(6)하부에는 몸체(17)에서 상향 돌출된 지지돌기(12)를 각 고정수단(6)에 맞춰 구비하므로서 플러그단자(20)의 압압력으로 하향 변형되는 고정수단(16)을 적정거리에서 지지하여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콘센트 케이스의 플러그단자 삽착부 중앙에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을 중심으로 플러그단자 삽입공과 직각 되는 방향에 탄성고정수단을 복수개 형성하며 플러그단자 삽입공 외부에는 스톱퍼를 형성하고, 플러그단자 삽착부에 회전 결합되는 원판상의 안전장치수단 일측면 중앙에는 축을 형성하며,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구멍과 구멍의 교차방향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원판상 주연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안전장치수단의 축을 콘센트의 축공에 회전 축지시키며, 축에는 비틀림스프링을 삽입 설치시켜 안전장치수단을 케이스에 탄력 설치하고, 탄성고정수단 하부의 몸체에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므로서 고전류 고전압의 220V용 콘센트 단자에 전기배선구의 플러그단자를 체결시 안전장치수단을 일측방으로 회전 해제시켜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콘센트의 플러그단자 삽입공을 차단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특히 호기심이 많은 영아, 유아들이 호기심에 의해 유희용 기구로 이용하는 콘센트의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콘센트케이스의 플러그삽착부 전체를 안전장치수단이 차단 폐쇄시킴에 따라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의 전기누전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콘센트(1)의 몸체(17)에 결합된 케이스(2)에 플러그삽착부(3)가 요홈으로 형성되고, 이 삽착부(3)에 플러그단자(20)가 삽착되는 플러그단자 삽입공(5)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의 플러그삽착부(3) 중앙에 축공(4)을 형성하고, 축공(4)에는 복수개의 플러그단자 통과공(11)이 형성된 원판상의 안전장치수단(9)을 축지시키며, 안전장치수단(9)은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해 탄지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의 플러그삽착부(3)에는 축공(4)을 중심으로 양측에 복수개의 고정수단(6)이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안전장치수단(9)의 일측면 주연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걸림돌부(14)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KR2019950004052U 1995-03-09 1995-03-09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KR0126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052U KR0126556Y1 (ko) 1995-03-09 1995-03-09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052U KR0126556Y1 (ko) 1995-03-09 1995-03-09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817U KR960032817U (ko) 1996-10-24
KR0126556Y1 true KR0126556Y1 (ko) 1998-10-15

Family

ID=1940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052U KR0126556Y1 (ko) 1995-03-09 1995-03-09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5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06B1 (ko) * 2006-09-21 2007-04-27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 벽체 전기 콘센트
KR100904219B1 (ko) * 2008-03-03 2009-06-25 노승현 콘센트 안전커버
KR100920673B1 (ko) * 2007-10-31 2009-10-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콘센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806B1 (ko) * 2000-12-28 2003-07-02 주식회사 진광컨설턴트 건축사사무소 콘센트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06B1 (ko) * 2006-09-21 2007-04-27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 벽체 전기 콘센트
KR100920673B1 (ko) * 2007-10-31 2009-10-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콘센트 장치
KR100904219B1 (ko) * 2008-03-03 2009-06-25 노승현 콘센트 안전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817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1788A (en) Electrical outlet safety plate
US4662697A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al outlet
US5477010A (en) Safety plate assembly
US6079995A (en) Protective grounding electrical receptacle with repositional plug acceptors
US4618200A (en) Electrical plug restraint system
US4584430A (en) Safety electrical receptacle cover plate
US2559151A (en) Safety guard for electric outlets
US6364673B1 (en) Electrical outlet cover
KR20010084128A (ko) 콘센트
EP0021610B1 (en) Obturator and an electrical plug/socket adaptor incorporating such an obturator
GB2214716A (en) Operating handle for an enclosed electric switch
KR0126556Y1 (ko) 220v용 콘센트 안전장치수단
US5624270A (en) Safety and/or polarizing devices of electric-power connectors
US5272281A (en) Electrical outlet safety cover
US4711596A (en) Apparatus for securing a connection
WO2000008714A2 (en) Safety plug socket
IE52369B1 (en) Cable clamping device
US7066758B2 (en) Electrical socket
US5277600A (en) Electrical plug safety lock
US5947755A (en) Electrical outlet safety cap with rotatable prongs
US4953420A (en) Key lock apparatus
KR0125092Y1 (ko) 전원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0920673B1 (ko) 안전 콘센트 장치
JPH0529330Y2 (ko)
KR20190109927A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