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927Y1 -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927Y1
KR0123927Y1 KR2019950006895U KR19950006895U KR0123927Y1 KR 0123927 Y1 KR0123927 Y1 KR 0123927Y1 KR 2019950006895 U KR2019950006895 U KR 2019950006895U KR 19950006895 U KR19950006895 U KR 19950006895U KR 0123927 Y1 KR0123927 Y1 KR 0123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vel measuring
sludge
measuring tub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299U (ko
Inventor
백남철
정상태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50006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927Y1/ko
Publication of KR960035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4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4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수처리를 위한 농축조 내부의 상정수와 농축슬러지와의 경계층 높이를 용이하게 측정토록 한 농축 슬러지 레벨(Level)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농축조(110)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된 파이프형 레벨측정관(40)을 설치하고, 상기 레벨 측정관(40)은 담수 공급관(70)을 갖춘 사이폰(siphon)낙하 유도관(60)과 줄(string)(80)에 연결되며, 상기 줄(80)은 레벨 측정관 위치조정기(90)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 측정관(40)을 상,하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농축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을 위한 기구를 도시한 개략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를 장착한 농축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레임(Frame) 30 : 유도관
40 : 레벨 측정관 50 : 가요성 호스(Flexibel Hose)
60 : 사이폰 낙하 유도관 62,72 : 밸브(Valve)
70 : 담수 공급관 80 : 줄(string)
90 : 레벨측정관 위치조정기 92 : 호퍼(Hopper)
본 고안은 폐수처리를 위한 농축조에서의 상정수와 농축 슬러지와의 경계 위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 슬러지(Sludge)법에 의한 폐수처리를 의해서는 그 슬러지가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관계로 수분함유율을 낮추기 위한 농축조가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농축조(1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벽(112)이 중앙측으로 하향경사토록 형성되고, 상기 하벽(112)의 중앙에는 농축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농축 슬러지 배출관(14)이 연결되고, 상기 하벽(112)의 내부면 상측으로는 스크레이퍼(Scraper)(116)를 하단부에 형성한 회전날개(118)가 설치되며, 이 회전날개(118)는 축(120)을 매개로 하여 모터(12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농축조(110) 내부로 물을 함유한 슬러지가 슬러지 투입관(130)을 통해 유입되면, 물성분인 상정수(140)는 농축조 상부에 위치되고 슬러지(142)는 하부에 농축되어 이들 사이에는 경계층(14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모터(122)에 의해 회전날개(118)가 회전하여 농축조 하부의 농축슬러지(142)는 농축슬러지 배출관(114)을 통해 배출되고, 농축조(110)에서의 유입슬러지와 배출슬러지의 양을 적정하게 조절한다면 또한 상정수(140)와 농축슬러지(142)와의 경계층(141) 높이를 적정하게 유지한다면 상정수(140)는 오버플로우벽(Overflow Wall)(150)을 통해 배출되고 경계층(141)의 높이는 h지점에서 유지되어 모터(12) 등에 과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러한 원활한 운전은 불가능하여 경계층(141)의 높이(h)는 상,하 유동되는 바, 이는 모터(122)에 과부하를 발생시켜 모터(122)를 파손시킴은 물론, 슬러지가 과적되어 부패하거나 상정수의 슬러지 함유량이 증가하여 폐수처리에 어려운 문제를 발생시켰다.
종래에는 이러한 상정수(140)와 농축슬러지(142)와의 경계층(141) 높이(h) 관리를 위해 제2도와 같은 기루를 이용하였는바, 이 기구(210)는 상부 뚜껑(212)에 의해 그 몸체(214) 내부가 적정하게 폐쇄되고, 상기 뚜껑(212)과 몸체(214) 각각에는 줄(String)(213)(215)이 설치되며, 상기 몸체(214)의 줄(215)은 뚜껑(212)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줄(213)(215)의 어느 하나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을 형성하였다.
즉, 상기 경계층(141)의 높이(h)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212)을 몸체(214)에 덮은 다음 농축조(110)의 적정위치에 담근후 뚜껑(212)을 줄(213)을 통해 잠시 연후 다시 닫아 끌어올려 몸체(214)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로 그 위치의 성분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는 다수번의 시도를 행한 후에야 경계층(141)의 위치를 대략 짐작하는 것인바, 이는 정확한 경계층(141)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신뢰성이 떨어지고 그 작업에 과다한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폐수처리를 위한 농축조의 상정수와 농축슬러지와의 경계층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그 적정레벨(Level)을 유지함으로서 설비의 안전 유지 및 효율적인 폐수처리가 가능토록 한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농축조 내측에 고정된 유도관 내측으로 파이프형 레벨 측정관이 줄(String)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토록 끼워지고, 상기 레벨측정관은 가요성 호스를 통해 사이폰 낙하유도관에 연결되며, 상기 사이폰 낙하유도관은 상기 레벨 측정관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밸브를 갖추고 또한 담수관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가 농축조에 설치된 개략적인 구성을 보이며, 농축조(110)의 일측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프레임(20)이 나타난다.
상기 프레임(20)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그리고 그 하부측은 상정수(140)에 적정깊이로 잠겨진 파이프 형상의 유도관(30) 내측으로는 파이프형상의 레벨 측정관(40)이 미끄럼 가능토록 끼워지고, 상기 레벨측정관(40)의 상단부는 가요성 호스(5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가요성 호스(50)는 적정한 길이를 갖추어 그 타측 단부가 파이프 형상의 사이폰(Siphon) 낙하 유도관(60)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사이폰 낙하 유도관(60)은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그 중앙측이 밸브(Valve)(72)를 갖춘 담수공급관(70)과 연결되고 그 하단부측에 밸브(62)를 설치하며 이 밸브(62)의 위치는 레벨측정관(40) 하단부보다 더 낮은 위치, 바람직하게는 농축조(110)의 하벽(112)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레벨측정관(40)의 상단은 줄(String)(80)에 연결되고, 이 줄(80)은 프레임(20)의 상부측 적정높이에 설치된 도르래(82)를 거쳐 레벨 측정관 위치조정기(90)에 연결되며, 이때 상기 줄(80)은 농축조(110) 외주면과 일정간격 띄어져 평행하도록 위치시켜 지시계(88)를 부착함으로서 농축조(110) 외주면에 형성된 눈금(86)을 가리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사이폰 낙하 유도관(60)의 하측 단부에는 호퍼(92)를 위치시키고 상기 호퍼(92)는 처리수 피트(Pit)(미도시)와 연결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우선 레벨 측정관 위치 조정기(90)를 수동 또는 전동으로 회전시켜 이에 줄(80)을 매개로 연결된 레벨 측정관(40)을 승,하강시켜 그 하단부를 적정위치에 있도록 한다.
그후에 사이폰 낙하 유도관(60)의 밸브(62)를 잠그고, 담수 공급관(70)의 밸브(72)를 열어 레벨 측정관(40), 가요성 호스(50) 및 사이폰 낙하유도관(60)을 담수로 채운다.(물론, 이러한 작업은 미설명, 또한 미도시된 담수 유량계등을 통해 확인될 수 있는 공급 담수 유량과 레벨 측정관(40), 가요성 호스(50) 및 사이폰 낙하유도관(60)의 내부 체적을 계산하여 이들이 동일한 정도의 값이 되도록 담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 담수 공급관(70)의 밸브(72)를 잠그고 사이폰 낙하유도관(60)의 밸브(62)를 열어주면, 상기 밸브(62)가 레벨 측정관(40)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고 레벨 측정관(40), 가요성 호스(50) 및 사이폰 낙하유도관(60)의 내부가 담수로 채워져 있으므로 사이폰 원리에 의해 농축조(110) 내부의 유체가 레벨 측정관(40), 가요성 호스(50) 및 사이폰 낙하유도관(60)을 통해 호퍼(92)로 방출되어지고, 따라서 초기에 공급된 담수들이 호퍼(92)에 방출된 후 레벨 측정관(40) 하단부 주위의 유체가 호퍼(92)로 방출되기 시작하면 그 유체의 성분을 육안 등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 레벨 측정관 위치 조정기(90)를 조작하여 레벨 측정관(40)을 상,하 승강시키면서 그 배출 유체의 성분을 확인함으로서, 상정수(140)와 농축슬러지(142)와의 경계레벨을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고, 이는 농축조의 슬러지층 관리 운전을 원활하게 수행토록 하여 주고, 폐수처리의 적절한 관리가 가능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슬러지중 레벨 측정이 완료되면 밸브(62)를 잠궈 차기 작업에 대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농축조내의 슬러지 레벨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가능하여 그 레벨을 항상 적정수준에 유지시켜 농축조를 관리함으로서 설비를 안전하게 작동시킴은 물론, 수질의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폐수처리를 위한 농축조(110)의 내부에 층을 이룬 상정수(140)와 농축슬러지(142)의 경계층(141) 높이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축조(110) 내측에 고정된 유도관(30) 내측으로 파이프형 레벨 측정관(40)이 상,하 이동가능토록 끼워지고, 상기 레벨 측정관(40)의 상부측은 가요성 호스(50)와 줄(String)(80)에 연결되며, 상기 가요성 호스(50)는 레벨 측정관(40)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밸브(62)를 갖춘 사이폰(siphon) 낙하 유도관(60)과 연결되며, 상기 줄(80)은 농축조(110)에 형성된 눈금(86)을 지시하는 지시계(88)를 갖추어 레벨 측정관 위치조정기(90)과 연결됨은 물론, 상기 사이폰 낙하유도관(60)은 밸브(62)보다 상측 위치에 밸브(72)를 갖춘 담수관(70)을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
KR2019950006895U 1995-04-07 1995-04-07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 KR0123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895U KR0123927Y1 (ko) 1995-04-07 1995-04-07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895U KR0123927Y1 (ko) 1995-04-07 1995-04-07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299U KR960035299U (ko) 1996-11-21
KR0123927Y1 true KR0123927Y1 (ko) 1999-03-30

Family

ID=1941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895U KR0123927Y1 (ko) 1995-04-07 1995-04-07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401B1 (ko) * 2004-11-22 2012-05-22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액 채취장치 및 성분 분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401B1 (ko) * 2004-11-22 2012-05-22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액 채취장치 및 성분 분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299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942A (ko) 수심별 맞춤형 수질 측정용 채수기
US5108514A (en) In-situ method for cleaning swimming pools without draining the water
US5746983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alcification
US3901653A (en) Liquid sampling device
FI96364B (fi) Laite vesinäytteiden ottamista varten
KR0123927Y1 (ko) 농축조 슬러지 레벨 확인장치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CN209416775U (zh) 一种用于浅水的采样器
CN213269880U (zh) 一种水文地质试验孔钻探装置
US4172385A (en) Sampling device for septic tanks
CN210374920U (zh) 一种污水处理沉淀池污泥厚度的检测装置
CN111239358A (zh) 水质检测装置
CN216198061U (zh) 一种钻井溢流漏失监测装置
RU202449U1 (ru) Водоот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9015546U (zh) 一种船舶浮性原理互动演示展示柜
CN209911056U (zh) 一种非均匀液态散料抽样装置
US2872818A (en) Liquid sampling system
EP0777117A2 (de) Vorrichtung zur Entnahme einer feststoffarmen Abwasserprobe
CN220019038U (zh) 一种生态环境监测地下水取样装置
CN110686935A (zh) 一种河道水处理用取样装置
JPS5845318B2 (ja) 活性汚泥法の沈澱池滞留汚泥量の制御方法
CN117147235B (zh) 一种高浓高盐工业废水零排放监测控制***
AT506279A1 (de) Dis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abwasserreinigung
CN217765939U (zh) 一种自洁式钻井液性能测量装置
CN221347218U (zh) 一种掘进隧道用自动排水污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