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279B1 -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279B1
KR0120279B1 KR1019940016867A KR19940016867A KR0120279B1 KR 0120279 B1 KR0120279 B1 KR 0120279B1 KR 1019940016867 A KR1019940016867 A KR 1019940016867A KR 19940016867 A KR19940016867 A KR 19940016867A KR 0120279 B1 KR0120279 B1 KR 012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pipe
septic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235A (ko
Inventor
박재하
김정용
이삼락
Original Assignee
박재하
김정용
이삼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하, 김정용, 이삼락 filed Critical 박재하
Priority to KR101994001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279B1/ko
Publication of KR96000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C02F3/046Soil fil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정화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기계적 또는 전기적 시설없이 자연여과처리하여 고급수질로 방류되게 하므로서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연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정화시설에서 배출되는 유출수에는 부유물질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비록 정화조에서 정화처리된 상태라 할지라도 그 방류수는 만족스럽지 못한 오수이며,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오수를 자연에 방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정화조 배출수(오수)를 재여과시켜 보다 고급수질로 방류시키게 함과 정화조 배출수를 전기적, 기계적 시설없이 풍력을 이용한 산소공급으로 자연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토양식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징적 기술은, 다공격벽(5)에 의해 일측은 여과실(3)로, 타측은 집수실(4)로 구성한 수로형 여과조(1) 상단에 정화시설과 연결되는 이송관(2)을 길이방향으로 안치시켜 여과조(1)와 일치되는 부위에만 다공관(10)을 형성하여 이루고, 다공관(10)에는 공기유입관(11)과 공기흡출관(12)(13)을 연관시켜서 공기순환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여과장치를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설하여 표토에 잔디 및 나무를 심어서 됨을 특징으로 한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임.

Description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수로형 여과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시공상태도.
제3도는 여과조의 측단면도.
제4도는 여재가 충진된 상태의 측단면도.
제5도는 다공관의 일부 절취 사시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장방형 여과조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제9도는 종래 정화조의 여과선로 개략도.
제10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여과선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로형 여과조 2 : 이송관
3 : 여과실 4 : 집수실
5 : 다공격벽 10 : 다공관
11 : 공기유입관 12,13 : 공기흡출관
100 : 장방형 여과조 104 : 제1여과실
105 : 제2여과실.
본 발명은 정화조 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정화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기계적 또는 전기적 사실없이 자연여과처리하여 고급수질로 방류되게 하므로서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연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정화시설에서 배출되는 유출수에는 부유물질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비록 정화조에서 정화처리된 상태라 할지라도 그 방류수는 만족스럽지 못한 오수이며,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오수를 자연에 방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정화시설의 폭기조에서는 미생물군과 유입하수내의 유기물이 접촉하여 미생물이 성장하고, 성장된 미생물은 침전지에서 침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혼합액 부유물이 그대로 외부에 방류되는 경우에는, 대부분 부유상태의 유기물질로서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부유물(SS)도 유발시키므로 적절히 혼합액 부유물을 제거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혼합액 부유물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9도와 같이 침전지가 사용되고, 침전된 슬러지는 다시 폭기조로 방송시키고 있다.
반송시키는 이유는 유입하수처리에 소요되는 충분한 미생물을 폭기조에서 확보시키기 위함이며, 더 나아가서는 폐기시켜야 할 슬러지양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나 단속적으로 하수를 주입하므로서 미생물이 계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결국 필요이상의 미생물은 폐기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목적하에 침전된 슬러지를 다시 폭기조로 반송시키게 되며 이러한 반송작용을 위해서는 전기적, 기계적 시설에 의한 동력장치가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이렇듯이 동력장치를 이용한 기존의 정화시설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인자 즉, 기계가 노후하여 효율이 떨어지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인한 기계의 고장, 적정시간에 동력을 공급하여 기계작동등 유기적인 싸이클이 맞지 않아 부하변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요인때문에 기계시설의 관리를 위한 많은 경비의 소요부담을 가지면서도 정화처리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며, 이렇게 만족스럽지 못한 오수가 그대로 자연에 방류되어 날로 심각한 수질오염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정화조 배출수(오수)를 재여과시켜 보다 고급수질로 방류시키게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다른 목적은 정화조 배출수를 전기적, 기계적 시설없이 풍력을 이용한 산소공급으로 자연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토양식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 시공부위의 표토가까이에 미생물이 살 수 있는 최대의 조건을 형성하여 인력이 아닌 자연먹이사슬 및 박테리아 운동으로 오니를 제거하고 또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되는 수로형 여과조(1)에 정화조 배출구와 연결하는 이송관(2)을 결합하여 지면에 일정깊이로 매설하는 것이다.
수로형 여과조(1)는 상면이 개방되고 직선형으로서 처리수 용량에 따라 그 길이를 길게하거나 짧게할 수 있다.
또한 수로형 여과조(1)의 일측은 여재가 충진되는 비교적 넓은 여과실(3)을 형성하고 타측은 여과된 물이 고여지는 집수실(4)을 형성하며, 이들 사이에 다공격벽(5)을 설치한 것이다.
이송관(2)은 정화조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정화조의 배출수를 본 발명의 여과조(1)로 이송하는 관체로서, 여과조(1)의 상단에 수평상으로 안착되며, 여과조(1) 위에 얹혀지는 부위 전체는 다공관(10)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관(2)으로 유입된 정화조 배출수는 다공관(10)에서 유출되어 여과실(3)로 유입, 여과되는 것이다.
다공관(10) 중간에는 외부 공기유입관(11)이 연결되어 그 상단이 지상으로 입설되어 있으며, 그 양측방에는 공기흡출관(12)(13)이 각각 다공관(10)과 연통되게 입설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 흡출관(12)(13)의 흡인력에 의해 공기유입관(11)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다공관(10)을 통해서 다시 흡출관(12)(13)으로 배출되는 작용에 의해 여과실(3)내에 공기(산소)가 공급되고 이러한 작용은 호기성 균의 서식을 돕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과실(3)내에는 모래, 자갈, 조개껍질, 목탄, 유황등을 혼합충진하여 여과재를 이루며 집수실(4) 상방에는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덮개(6)로 덮어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수로형으로 땅을 파고 그 속에 여과조(1)를 안치시킨 후 이송관(2)의 전단부를 정화시설의 배출관에 연결하며, 흡출관(12)(13)과 유입관(11)을 수직상으로 입설되게 고정블럭(7)(8)으로 고정시킨 다음 흙을 덮어주고 표토에는 잔디 및 나무를 심어준다.
여과조(1)는 약간 경사지도록 매설하므로서 물이 하향 유하식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유입수가 다공부를 통해서 여과실로 유입되어 여과된 상태로 집수실에 고여있게 되고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여과수에 의해 상층부의 여과수는 배출측 다공관을 통해서 배출되는 것이다.
제6도, 제7도, 제8도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도에 도시한 수로형 여과조(1)가 비교적 소형 정화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6도의 장방형 여과조(100)는 대형 정화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6도의 여과조(100)는 길다란 수로형이 아닌 장방형 여과조로서 중간을 격벽(101)으로 막고 그 뒷쪽에 통로(102)를 갖고 있다.
따라서 여과조는 제1여과실(104)과 제2여과실(105) 및 집수실(106)로 형성되며, 집수실(106)의 경계벽은 다공판으로 형성되어 여과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송관(107)은 제1여과실(104)과 통로(102)를 거쳐서 제2여과실(105) 과 집수실(106)을 경유한 후 여과조 외부로 설치하며, 특히 이송관(107)의 하부에는 또다른 동일형의 하부이송관(108)을 복층으로 설치하여 그 전·후단부(109)(200)를 상부이송관(107)에 연결하며, 전단부의 공기유입구(201)과, 후단부의 공기흡출구(202)를 설치하여 산소공급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장방형 여과조의 시공방법은 수로형 여과조의 시공방법과 같으며, 집수실(106) 상면을 덮개(203)로 덮어주는 것도 동일하다.
따라서 장방형 여과조는 수로형 여과조에 비해서 여과실이 크고, 정화조 배출수의 수용능력 및 여과능력도 크기 때문에 대형 정화시설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이렇게 된 본 발명은 기존의 정화시설에 방류되는 오수를 재여과시키되 기계적, 전기적 시설없이 자연여과시켜 고급수질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며, 풍력을 이용해서 여과조에 산소를 공급하므로서 혐기성 세균의 독성을 나타내는 유기물도 효과적으로 분해되고 호기성 균과 혐기성 균 일부의 배양을 극대화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악취,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여과조 상방이 개방되어 그 윗쪽의 지층에 수분과 산소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최상의 생물 생육조건을 조성할 수 있어 자연먹이사슬 및 박테리아운동으로 오니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정화조 유출수 뿐만 아니라 스며드는 빗물도 여과시켜 공급수질로 방류할 수 있으므로 수질오염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콘크리트 재질의 수로형 여과조나 장방형 여과조에 기존 정화조에서 1차 정화된 배출수를 이송관으로 유입시켜 여과되게 하는 여과장치와, 이에 풍력을 이용한 흡출기로 공기를 공급하여 여과조내에 호기성 균의 서식을 돕게 하는 공기순환장치를 형성하여, 악취없는 고급수질의 여과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 정화조 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여과장치는 다공격벽(5)에 의해 일측은 여과실(3)로, 타측은 집수실(4)로 구성한 수로형 여과조(1) 상단에 정화시설과 연결되는 이송관(2)을 길이방향으로 안치시켜 여과조(1)와 일치되는 부위에만 다공관(10)을 형성하여 이루고, 공기순환장치는 다공관(10)에 공기유입관(11)과 공기흡출관(12)(13)을 연관시켜서 이루며, 상기 여과장치를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매설하여 표토에 잔디 및 나무를 심어서 됨을 특징으로 한 정화조 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장방형 여과조는 제1여과실과 제2여과실로 형성하여 중간격벽(101)에 통로(102)를 형성하고 이들 여과실에 설치되는 이송관은 복층구조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정화조 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KR1019940016867A 1994-07-13 1994-07-13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KR012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867A KR0120279B1 (ko) 1994-07-13 1994-07-13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867A KR0120279B1 (ko) 1994-07-13 1994-07-13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235A KR960004235A (ko) 1996-02-23
KR0120279B1 true KR0120279B1 (ko) 1997-10-29

Family

ID=1938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867A KR0120279B1 (ko) 1994-07-13 1994-07-13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2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235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9922A1 (en) Modula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N102120677A (zh) 多级污水处理用生物反应***及制作方法和污水处理方法
US20100326904A1 (en) Wastewater treatment
KR100458564B1 (ko)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CN105152487B (zh) 水域污水处理装置和方法
CN111392964B (zh) 一种雨污合流泵站污水的处理方法及其装置
KR100680899B1 (ko)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KR0120279B1 (ko) 정화조배출수의 자연여과장치
CN108358403A (zh) 一种农村生活污水净化槽装置
CN214654276U (zh) 一种填料强化生活污水处理***
CN108083507A (zh) 一种集成式给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01172733A (zh) 一种高藻水处理工艺
JP2004276011A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JP2611148B2 (ja) 2系統並列式酸化処理施設
KR200293086Y1 (ko) 자연친화형 무동력 하수 처리장치
JPH09155391A (ja) 生物学的水処理装置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200303060Y1 (ko) 인위적인 공기공급식 자연친화형 하수 처리장치
JP2573902B2 (ja) 水浄化方法及び装置
CN111908716A (zh) 一种村镇污水过渡环型生态处理***及方法
KR20020086137A (ko) 정화처리용 자연평형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시스템
SU947081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KR100226213B1 (ko) 분뇨정화조
KR930000539B1 (ko) 합병 처리 분뇨 정화조
KR102320364B1 (ko) 수처리용 여과정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