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722Y1 -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722Y1
KR0111722Y1 KR2019940036229U KR19940036229U KR0111722Y1 KR 0111722 Y1 KR0111722 Y1 KR 0111722Y1 KR 2019940036229 U KR2019940036229 U KR 2019940036229U KR 19940036229 U KR19940036229 U KR 19940036229U KR 0111722 Y1 KR0111722 Y1 KR 0111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rectifier
switching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6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818U (ko
Inventor
김덕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36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722Y1/ko
Publication of KR960025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공급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부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공급 장치를 보호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이 축적되는 변압기, 변압기에 축적된 전압을 정류부에서 정류시켜 부하단으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 부하단의 과부하를 감지하여 제1스위칭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 전압 감지부의 제1스위칭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1스위칭용 트랜지스터 ; 정류부 및 부하단사이에 연결되며, 제1스위치용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따라 정류부의 출력을 부하단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2스위치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써, 전원 공급 장치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여 부하단의 부품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압기 11 : 정류부
12 : 퓨즈 20 : 전압 감지부
Q1 : 제1스위칭용 트랜지스터 Q2 : 제2스위칭용 트랜지스터
R1∼R4 : 저항 D1,D2 : 다이오드
본 고안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부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공급 장치를 보호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로서, 전원 공급 장치의 부하단사이에 퓨즈(Fuse)(12)를 연결하여 입력되는 전압을 부하단으로 공급하는 회로도이다.
즉, 제1도의 (A)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이 변압기(Transformer)(10)에 인가하면, 변압기(10)의 1차측에 전압이 유기되고, 이 유기된 전압에 의하여 플럭스(Flux)가 발생하여 변압기의 2차측에 전압이 축적된다. 이때, 변압기(10)의 2차측에 축적된 전압은 교류 전압이므로 변압기(10)에 연결된 정류부(11)에서 직류 전압으로 정류시킨다. 그리고, 정류된 전압은 퓨즈(12)를 통하여 커패시터(C1)에서 평활되어 각각의 회로소자에 공급된다.
제1도의 (B)는 변압기(10)와 정류부(11)사이에 퓨즈(12)를 연결하여, 변압기(10)의 2차측에 축적된 전압이 정류부(11)에서 정류되고 커패시터(C1)에서 평활되어 각각의 회로 소자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에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면, 부하단의 부품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압기(10)나 정류부(11)에 과부하 보호용 퓨즈(12)를 연결하였다. 즉, 퓨즈(12)는 부하단에 과부하가 걸리면 단선되어 전원 공급 장치에서 부하단으로 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퓨즈(12)는 변압기(10)나 정류부(11)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 장치에 과부하 발생할 때 부하단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차단하였으나, 전원 공급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할 때마다 사용자가 일일히 퓨즈(12)를 갈아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 공급 장치와 부하단에 과부하 보호 회로를 구성하여 부하단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이 축적되는 변압기, 변압기에 축적된 전압을 정류부에서 정류시켜 부하단으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 부하단의 과부하를 감지하여 제1스위칭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 전압 감지부의 제1스위칭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1스위칭용 트랜지스터; 정류부 및 부하단사이에 연결되며, 제1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따라 정류부의 출력을 부하단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2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보회 회로도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압기(10), 정류부(11)로 구성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 정류부(10)의 출력단에 에미터(Emitter)가 연결되고 콜렉터단이 부하단에 연결된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와; 정류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Base)에 연결된 저항(R1)과; 저항(R1)과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R2)과; 저항(R2)에 콜렉터(Collector)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접지되는 스위치용 제1트랜지스터(Q1)와; 정류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4)과, 저항(R4)에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R3)과, 저항(R3)과 저항(R4)에 연결된 다이오드(D2)로 구성되는 전압 감지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 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부하단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은 정상상태에서는 외부로 부터 교류 전원(ACIN)이 공급되면, 종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압기(10)의 1차측에 전압에 유기되고, 플럭스가 발생하여 2차측에 전압이 축적된다.
이때, 2차측에 축적된 전압은 정류부(10)에서 전파 정류되어, 제2도에 도시된 (A)단에는 직류(DC : Direct Current)전압이 걸린다.
즉, (A)단에 걸린 직류 전압은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 인가되고, 이 (A)단에 걸린 전압은 전압 분배 저항 (R4)(R3)를 통하여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전압이 인가되면,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Q1)는 턴온(Turn On)되어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전압 분배 저항(R1)(R2)을 통하여 그라운드(Ground : GND)된다.
이때,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과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전압 분배 저항(R1)(R2)에 의하여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도 턴온되어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부하단 즉, 각각의 회로 소자에 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Q1)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는 PNP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그러나, 부하단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은 그라운드에 단락(Short)된다. 따라서, 다이오드(D2)는 온되고, 접점(B)에는 0.6V이하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즉,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는 0.6V이하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Turn Off)되어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는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는 턴 오프되어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부하단으로 출력되지 못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는, 정류부에 연결된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를 온 시키어 정류부에서 부하단으로 전압을 출력하고, 과부하가 걸린 상태에서는 스위칭용 제2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킴으로써 정류부에서 부하단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차단시키어, 전원 공급 장치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므로 부하단의 부품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이 축적되는 변압기(10), 상기 변압기에 축적된 전압을 정류부(11)에서 정류시켜 부하단으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 상기 부하단의 과부하를 감지하여 제1스위칭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20); 상기 전압 감지부의 제1스위칭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1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 상기 정류부 및 상기 부하단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상기 부하단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2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회로.
KR2019940036229U 1994-12-27 1994-12-27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KR0111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229U KR0111722Y1 (ko) 1994-12-27 1994-12-27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229U KR0111722Y1 (ko) 1994-12-27 1994-12-27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818U KR960025818U (ko) 1996-07-22
KR0111722Y1 true KR0111722Y1 (ko) 1998-04-07

Family

ID=1940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6229U KR0111722Y1 (ko) 1994-12-27 1994-12-27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7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818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635B1 (ko) 저전압보호회로를갖는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KR0184568B1 (ko) 에스엠피에스의 이상 전원 보호장치
US5532528A (en) Converter including direct current detection
KR0111722Y1 (ko)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KR200156377Y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KR970004437B1 (ko) 텔레비젼의 스위칭 전원 트랜스 2차측 정류단 단락 보호회로
KR200144429Y1 (ko) 과전류 보호회로
KR200159250Y1 (ko) 과전류 보호회로
KR910001694Y1 (ko) 다출력전원회로의 보호회로
KR970005102Y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과전압 보호회로
KR19980030035U (ko) 모니터의 스위칭 전원 보호 회로
KR960003419Y1 (ko) 과전압 보호회로
KR20000015607A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KR970002428Y1 (ko) 과전압 보호회로
KR0114761Y1 (ko) 정전판단회로버
KR19980042929U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보호 회로
KR19990031364U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과전압 보호회로
KR0110775Y1 (ko) 교류전원 언더전압 검출회로
JPH0716314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200160874Y1 (ko) 수평편향 발진제어장치
KR200145144Y1 (ko) 전원장치의 과도상태 안정화회로
KR200145188Y1 (ko) 전원장치의 입력전압 보호회로
KR19990053450A (ko) 전원공급장치의 과전압 및 과전류 보호회로
KR0126050Y1 (ko) 전자제품의 과전압 보호 회로
KR0133431Y1 (ko) 과전압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