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585B1 -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585B1
KR970009585B1 KR1019940011392A KR19940011392A KR970009585B1 KR 970009585 B1 KR970009585 B1 KR 970009585B1 KR 1019940011392 A KR1019940011392 A KR 1019940011392A KR 19940011392 A KR19940011392 A KR 19940011392A KR 970009585 B1 KR970009585 B1 KR 97000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waste
kitchen
treatment tank
carrier
waste dispo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꾸야 모리시다
도시 히라다
야스유끼 시부야
가쓰노리 이오꾸
히데오 야스다
요시히라 오니시
아끼히로 후꾸모도
겐지 아이다
히로유끼 사사꾸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243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280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24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4892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585B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상면도.
제4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혼합날개의 사시도.
제6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계의 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9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11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2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14도는 제4실시예에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
제16도는 제5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17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계의 블록도.
제18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평면도.
제19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조의 중량의 시간경과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
제21도는 제6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가로단면도.
제23도는 제7실시예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
제24도는 제7실시예의 다른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가로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6도는 제8실시예의 쓰레기 처리장치의 쓰레기 투입측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27도는 제8실시예의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A-A선에 따른 측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처리조 2 : 담체
3 : 혼합수단 18 : 송풍기
19 : 폐기로 20 : 주방쓰레기 폐기구
22 : 검출수단 23 : 살수수단
26 : 제어수단 31 : 검출수단
32 : 검출수단 36 : 검출수단
40 : 검출수단 70 : 부착틀
77 : 과부하검출수단 78 : 과부하검출수단
79 : 과부하검출수단 82 : 표시수단
98 : 분쇄수단 100 : 주방쓰레기 폐기구
111 : 장치본체 112 :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113 : 쓰레기상자 114 : 제1투입구
115 : 제2투입구 116 : 제1연결로
117 : 제2연결로 130 : 투입구부
본 발명은 주방내에 발생하는 유기물로 된 주방쓰레기(생쓰레기)를 윤충류 선충류등의 대형동물(Aschelmintha) 및 원충류 세균등의 미생물의 활동에 의한 분해적용을 이용해서 처리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가정 음식점등의 주방내에 있어서 매일 발생하는 주방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쓰레기의 감량화에 도움이 되고 쓰레기소각장 및 하수 처리장에서의 처리하부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환경보전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종류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로서는 종래로부터 콘포스트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한쪽의 개방구에 뚜껑판을 구비한 통형의 용기이며 다른 쪽의 개방구를 하향으로해서 땅속에 적당한 길이를 매립하여 뚜껑판을 개방해서 내부에 주방쓰레기를 투입하고 그후 뚜껑판을 폐색시킨 상태로 방치해서 투입된 주방쓰레기를 땅속에 번식하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분해시켜서 퇴비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콘포스트용기는 내부에 있어서의 주방쓰레기의 분해가 느리기 때문에 퇴비화의 속도가 늦고 처리능력에 문제가 있다. 또 이것을 매립하기 위한 흙의 존재가 사용에 있어서의 전제가 되고 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대용적의 용기를 필요로 하는 외에 분해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이상한 냄새가 주위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서 맨션이나 아파트등의 집합주택이 많은 도시권에서의 사용에 적당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또 도시권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는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퇴비의 취급이 곤란한 문제도 있다.
또 주방쓰레기를 분쇄해서 탈수하여 이것을 자동적으로 쓰레기봉지등에 투입하는 것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4-156959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는 쓰레기봉지등이 수납된 주방쓰레기를 폐기할 필요가 있고 폐기처리에 힘이드는 문제가 있고 환경보전의 관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다.
또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를 수납한 처리조내에 주방쓰레기를 폐기하고 주방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해 분해시키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가 일본국 실개평 2-1291호공보 동 실개평 2-125942호공보 등에 제안되어 있다. 이들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는 악취 해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는 옥외에 설치되지만 주방에서 발생한 주방쓰레기를 옥외까지 폐기할 필요가 있고 사용이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의 편리성이 양호한 주방쓰레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에 걸쳐서 효율이 양호하게 주방쓰레기를 분해처리할 수 있는 주방쓰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주방쓰레기를 단시간에 분해처리할 수 있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쓰레기의 분해처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항상 적절한 처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과부하상태를 회피해서 이상한 냄새의 발생 배수중의 유기물의 혼입을 저감시킬수가 있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쓰레기의 처리도 동싱 행할수 있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주방내에 발생하는 주방쓰레기(유기물)를 주방의 벽면 주방의 창의 부착틀 또는 설거지대등의 주방기기에 형성된 주방폐기구로부터 폐기로를 거쳐서 윤충류 선충류등의 대형동물 및 원충류 세균등의 미생물을 배양시키는 담체를 수납해서 옥외에 설치된 처리조내에 폐기하고 처리조내의 혼합수단으로 담체와 투입된 유기물과를 혼합하고 유기물을 대형동물 및 미생물로서 분해처리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옥내에 개방된 주방쓰레기 폐기구로부터 옥외에 설치한 처리조에 주방쓰레기를 폐기할 수가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폐기구로부터 옥외에 설치한 처리조에 주방쓰레기를 폐기할 수가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폐기로의 적어도 내면을 저마찰 재료로 형성하면 폐기로에 주방쓰레기가 부착되는 일이없고 폐기로내에서 주방쓰레기가 부패하는 일이 없다.
주방쓰레기 폐기구로부터 처리조내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송풍기를 설치하면 폐기로내에서 주방쓰레기가 부패한 경우에도 주방쓰레기 폐기구로부터 악취가 누출되어서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일은 없다.
주방쓰레기 폐기구로부터 처리조에 폐기되는 주방쓰레기를 검출해서 혼합수단을 구동시키도록하면 혼합수단의 구동을 잊어버린 것에 의한 착오도 생기지 않는다. 또 폐기에 살수수단을 설치하면 폐기로에 부착된 주방쓰레기는 살수수단으로부터의 살수에 의해 처리조에 세정낙하되고 폐기로내에서의 주방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대형동물 및 미생물에 의한 주방쓰레기 분해처리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여 그 과부하상태를 처리자에게 알린다.
처리조의 전단에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분쇄수단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처리조내에서의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대형동물 및 미생물로서는 분해처리 되지 않는 일반쓰레기를 수용하는 상자와 주방쓰레기를 분해처리하는 처리조와를 옥외에 병행설치하여 처리조와 쓰레기상자와에 별개의 폐기로를 설치하면 주방쓰레기(부엌쓰레기)와 일반쓰레기를 용이하게 분리처리 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1)은 상면을 개방한 합성수지제의 처리조로서 담체(2)를 수납시키고 있다. 담체(2)는 톱밥등의 모길세편 왕겨 쌀겨 흙등의 대형동물 및 미생물 배양기 자재로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본국 특공평 2-34679호 공보「목질세편에 의한 흙의 미생물 처리방법」에 나타나있는 목질세편을 사용하고 있다. 이 담체(2)는 다공질로 형성되고 높은 통기성 및 통수성을 가짐과 동시에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번식에 아주적당한 수분과 공기를 유지하는 성질을 갖고 담체(2)에 유기물인 주방쓰레기를 혼합하면 주방쓰레기에 부착된 윤충류 선충류등의 대형동물 및 세균등의 미생물이 번식하여 그들의 대형동물 미생물이 주방쓰레기를 최종적으로 물과 탄산가스로 분해해서 주방쓰레기를 소멸시킨다.
처리조(1)내에는 혼합날개(3)이 배치되어있고 처리조(1)의 양측벽에 설치되는 보강판(6)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회전축(4)와 이 회전축(4)에 고정되는 복수의 혼합날개(5)로부터 혼합날개(3)은 구성되고 회전축(4) 및 혼합날개(5)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어 있다. 혼합날개(3)은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단면형상이 대략 브이(V)자 형상으로 그 능선축으로 향해서 만곡형성됨과 동시에 회전축(4)에 나선상으로 용접 고정되어 있다. 스프로켓(9)와 이 스프로켓(7)과의 사이에 체인(38)을 가설하고 전동기(8)에의해 체인(38)을 거쳐서 혼합날개(3)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스테인레스제의 파이프내에 가열기를 배치해서된 가열부(10)이 처리조(1)내의 혼합날개(30)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담체(2) 전체를 담체(2)에 배양되는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활동이 활성화하고 주방쓰레기에 발생하는 해충의 발생이 방해되는 정도의 온도 본실시예에서는 약 20℃∼45℃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담체(2)가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다수의 작은구멍을 형성한 금속제의 구획판(12)에 의해 구획되는 배수부(11)이 처리부(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배수구(13)에 도시하지 않은 배수관을 접속해서 정화조 또는 하수로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처리조(1) 외부원주에는 통형상의 금속제의 측면벽판(14)로 덮여있고 측면벽판(14)는 도시하지 않은 부착기구에 의해 가옥벽면의 옥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측면벽판(14)상에 합성수지제의 천정판(15)가 탑재 고정되어 있고 천정판(15)에는 제3동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처리조(1) 내부 및 외부와 수밀적으로 구획된 기판수납실(16)과 기판수납실(16)에 인접해서 형성되고, 처리조(1)내부 및 외부를 연달아 통하는 배기실(17)이 설치되어 있다. 배기실(17)의 아래쪽에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송풍기(18)이 장착되어 있고 주방쓰레기 폐기구(20)로부터 폐기관(19)를 거쳐서 처리조(1)내에 흡입된 공기를 배기실(17)을 거쳐서 배기구(39)로부터 외부로 배기하도록 되어 있다..
폐기관(19)의 한쪽단이 천정판(15)를 관통해서 처리조(1)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벽면을 관통해서 주방의 설거지대의 약간 위쪽에 개방되어있고 타단의 옥내측 개방구를 주방쓰레기 폐기구(20)으로 하고 있다. 폐기관(19)는 올레핀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등의 저마찰 저항재료로 형성하든가 또는 수지 금속으로 형성한 관의 내면에 테프론등의 저마찰재료를 피복해서 형성된다.
뚜껑체(21)이 가옥벽면에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있고 주방쓰레기 폐기구(20)을 개폐가 자유롭게 덮도록 되어 있다.. 뚜껑체(21)의 주방쓰레기 폐기구(20)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센서(22)가 폐기관(19)에 장착되어있고 뚜껑체(21)의 개방상태로 전동기(8)에의 급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뚜껑체(21)이 주방쓰레기 폐기구(20)을 개방해서 재차폐색시킨때에 전동기(8)을 구동시켜서 주방쓰레기 폐기구(20)으로부터 처리조(1)내로 폐기된 주방쓰레기와 담체(2)와를 혼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폐기관(19)의 주방쓰레기 폐기구(20)측 상부에 다수의 살수구멍을 형성한 살수관(23)이 배치되어 있고, 제6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벽과 폐기관(19)와의 사이에 공간에 배치된 전자밸브(24)에 의해 폐기관(19)에의 살수를 제어하고 있다. 처리조(1)내의 상부로서 담체(2)보다 위쪽의 공간에 스테인레스제의 파이프내에 가열기를 배치해서된 가열부(43)이 배치되어 있다. 가열부(43)의 위쪽에는 반사판(44)가 배치되고 가열부(43)의 열을 처리조(1)측벽을 향해서 반사시키고 처리조(1) 측면을 오르는 습성을 갖는 해충의 유충을 구제하도록 되어 있다.. 해충의 성충과 유충은 담체(2)상으로 나오는 성질을 갖고있고 혼합날개(3)의 회전에 의해 해충의 성충과 유충이 담체(2)에 혼합되어도 어느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재차 해충의 성충과 유충이 담체(2)상으로 나온다. 여기서 전동기(8)의 운전정지로부터 일정시간후 즉 혼합날개(3)의 회전에 의해 담체(2)에 혼합된 대부분의 해충이 담체(2)상으로 나오기까지에 요하는 시간후에 가열부(43)을 가열시켜 처리조(1)내의 담체(2)보다 위쪽의 공간의 해충의 성충 및 유충이 사멸하고, 또한 담체(2)내의 대형동물 및 미생물이 사멸하지 않는 온도 약 50℃∼65℃로 유지하여 해충을 확실히 사멸시킨다.
처리조(1)의 측면에 처리조(1) 내면측을 향해서 복수의 보강부(45)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측의 보강부(45)를 처리조(1)에 수납되는 담체(2)의 표준용적을 나타내는 눈금으로 하고 있다. 담체(2)는 목질세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동물 및 미생물에 의한 분해는 거의 없으나 배수와 동시에 유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감소한다. 뚜껑체(21)을 개방해서 처리조(1)내를 살필 때 상측의 보강부(45)가 담체(2)로부터 보이는 경우에는 담체(2)가 기준용적 미만이기 때문에 담체(2)를 적절히 보충한다. 따라서 처리조(1)내의 담체(2)의 용적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확인할 수가 있고 담체(2)의 부족에 의한 주방쓰레기 처리능력 저하를 방지하고 높은 주방쓰레기 처리능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7도에 기초해서 제1실시예의 제어계를 설명한다. (26)은 마이크로컴퓨터로된 제어회로이다. 제어회로(26)의 입력측에는 검출센서(22)를 갖는 검출회로(25)가 접속되어 있고 제어회로(26)의 출력측에는 혼합날개(3)의 회전구동용의 전동기(8)을 제어하는 혼합날개 구동부(27)과 가열부(10)의 가열기에의 통전단전을 제어하는 가열기구동부(28)과 전자밸브(24)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24)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구동부(29)와 송풍기(18)을 구동시키기 위한 송풍기구동부(30)이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취사에 의해 생긴 주방쓰레기를 뚜껑체(21)을 개방해서 주방쓰레기 폐기구(20)으로부터 폐기관(19)를 거쳐서 처리조(1)에 폐기한다. 폐기관(19)는 저마찰 저항재료로 형성되고 또 적어도 내면을 저마찰 저항재료로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주방쓰레기가 부패하는 일은 없다. 또 만일 폐기관(19)내에서 주방쓰레기가 부패한 경우에도 송풍기(18)이 폐기관(19)를 거쳐서 공기를 흡인하고 있기 때문에 부패냄새가 주방으로 누출되는 일은 없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다.
주방쓰레기의 투입이 종료되면 뚜껑체(21)을 폐색시킨다. 검출센서(22)가 뚜껑체(21)의 폐색을 검출하고 검출센서(2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제어회로(26)이 전동기(8) 및 전자밸브(24)를 제어한다. 우선 제어회로(26)은 뚜껑체(21)의 폐색을 검출센서(22)가 검출하고나서 소정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10초간 뚜껑체(21)의 개폐가 행해지지 않은때 전자밸브(24)를 개방해서 살수관(23)으로부터 폐기관(19)내에 살수하고 폐기관(19)내를 세정한다. 제어회로(26)은 뚜껑체(21)이 주방쓰레기 폐기구(20)를 폐색하고나서 소정시간 후에 살수관(23)에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번의 취사로 생긴 주방쓰레기를 폐기하기 위해 뚜껑체(21)을 몇번이고 개폐한 경우에도 뚜껑체(21)의 개폐때마다 폐기관(19)에 살수하는 일이 없고 물을 헛되이 사용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제어회로(26)은 전동기(8)을 정회전시켜서 혼합날개(3)을 제5도에 나타나는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혼합날개(3)은 혼합날개(5)의 브이(V)자 형상으로 굴곡된 능선축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주방쓰레기와 담체(2)는 용이하게 축방향으로 밀어붙여지고 비교적 적은 부하로 회전한다. 또 혼합날개(5)는 능선측으로 향해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담체(2)상에 위치하는 주방쓰레기는 담체(2)내로 효율적으로 빨려들어가고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담체(2)와 혼합된다.
다시 또 혼합날개(5)는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방쓰레기와 담체(2)와를 회전방향만이 아니고 축방향으로도 이동시켜서 혼합시키게 되어 일층 혼합효율이 향상된다.
제어회로(26)은 전동기(8)을 일정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20초간 정회전시키면 운전을 정지시키고 전동기(8)이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소요시간후 본 실시예에서는 3초 경과후에 역회전시키고 혼합날개(3)을 제5도에 나타내는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동기(8)은 완전히 정지한 후 역회전 하기때문에 전동기(8)의 기동시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전동기(8)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전동기(8)의 역회전 상태에서는 혼합날개(5)는 주방쓰레기와 담체(2)를 외부원주로 밀어붙이는 식으로 혼합시키고 처리조(1)과의 측면벽과의 사이에서 주방쓰레기를 분쇄한다. 이 회전방향은 정회전방향의 회전에 비하면 부하가 커지지만 분쇄능력이 향상된다.
제어회로(26)은 전동기(8)을 일정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10초간 역회전시키면 정지하기까지의 소요시간 후에 재차 정회전시킨다. 이 정회전과 역회전과를 교대로 반복하여 합계 20분 경과하면 운전을 정지시킨다.
담체(2)에는 주방쓰레기의 처리조(1)내에의 폐기에 의해 주방쓰레기에 부착된 윤충류 선충류 및 원충이 주방쓰레기를 먹어서 소멸시킨다. 처리조(1)에 폐기되는 혼합날개(3)과 처리조(1)의 측면벽과의 사이에서 분쇄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단시간에 분해소멸된다. 또 담체(2)는 가열부(10)에 의해 대형동물 및 미생물이 활성화하는 온도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활성화가 활발화해서 주방쓰레기의 분해처리효율이 일층 향상된다.
주방쓰레기와 함께 처리조(1)에 공급된 물은 주방쓰레기를 분해시킴으로서 생긴 물과 함께 배수부(11)로 배수된다. 주방쓰레기가 완전히 분해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생긴 중간성분 즉 당류 아미노산 유기산등은 담체(2)에 번식하는 미생물 특히 세균에 의해 분해된다. 이와같은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식물연쇄에 의해 악취 및 잔류물을 거의 발생시키는 일이 없이 거의 완전히 주방쓰레기를 분해 처리할 수가 있다. 따라서 퇴비의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배수중의 BOD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8도 제9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뚜껑체(21)의 개폐에 의해 주방쓰레기의 폐기를 검출했으나 제8도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폐기관(19)내에 발광소자(31)과 수광소자(32)로된 광학센서를 설치하여 발광소자(31) 수광소자(32)간을 주방쓰레기가 통과하는 것에 의한 수광소자(31)의 수광량 변화에 의해 주방쓰레기를 검출하고 전동기(8) 및 전자밸브(24)를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폐기관(19)에 광학센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폐기관(19)를 통과하는 주방쓰레기를 확실히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 발광소자(31) 및 수광소자(32)는 폐기관(19)에 형성한 개방구에 수밀하게 장착한 투과부재(33)을 거쳐서 수광발광하도록 해서 살수관(23)으로부터 폐기관(19)에 살수되는 물등에 의해 발광소자(31) 및 수광소자(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방쓰레기 폐기구(20)으로부터 투입되는 주방쓰레기가 광학센서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주방쓰레기의 투입에 의해 자동적으로 혼합날개(3)이 구동되고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2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폐기관(19)의 처리조(1)측 개방구부에 셔터(34)가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셔터(34)는 용수철(35)에 의해 항상 폐기관(19)를 폐색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주방쓰레기가 부착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셔터(34)는 올레핀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등의 저마찰 저항재료로 형성하든가 또는 수지 금속으로 형성한 판형상 부재의 표면에 테프론 등의 저마찰 저항재료를 피복시켜서 형성된다. 용수철(35)는 셔터(34)상에 주방쓰레기가 폐기된때 주방쓰레기의 중량으로 셔터(34)가 용이하게 개방되는 정도의 가하는 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리이드스위치(36)이 천정판(15)에 장착되어 있고 리이드스위치(36)은 셔터(34)에 고정된 자석(37)의 자력에 의해 셔터(34)의 개폐를 검출하고 전동기(8) 및 전자밸브(24)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12도에 있어서 마이크로 스위치(40)이 폐기관(19)의 처리조(1)측 개방구 부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주방쓰레기가 투입되어서 셔터(34)가 개바되고 용수철(35)의 탄성에 의해 재차 폐기관(19)를 폐색시키는 때에 「ON」되는 것에 의해 주방쓰레기의 투입을 검출하고 전동기(8) 및 전자밸브(24)를 구동시켜서 폐기구(20)으로부터 처리조(1)내로 폐기된 주방쓰레기와 담체(2)와를 혼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방쓰레기 폐기구(20)로부터 주방쓰레기를 투입하면 셔터(34)가 개방되고 용수철(35)의 탄성에 의해 셔터(34)가 재차 폐기관(19)를 폐색하면 마이크로스위치(40)이「ON」이 되고 혼합날개(3)이 구동된다. 따라서 주방쓰레기의 투입에 의해 자동적으로 혼합날개(3))이 구동되고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1내지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회로(26)은 뚜껑체(21)의 폐색을 검출센서(22)가 검출하고나서 소정시간의 사이 뚜껑체(21)의 개폐가 행해지지 않은때 다시 말하면 주방쓰레기의 폐기가 종료되면 전자밸브(24)를 개방해서 살수관(23)으로부터 폐기관(19)내로 살수하고 폐기관(19)내를 세정하도록 구성했으나 뚜껑체(21)의 개방과 동시에 폐기관(19)내로 살수시키는 구성으로 해도된다. 이 구성에서는 폐기관(19)에 살수시키면서 주방쓰레기를 폐기하기 때문에 폐기관(19)에의 주방쓰레기의 부착이 확실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주방쓰레기 폐기구(20)에의 악취의 누출이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13도 제14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70)은 가옥의 창 본 실시예에서는 주방의 창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등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틀이다. 부착틀(70)은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틀(71)과 고정틀(71)의 상하에 고정틀(71)에 대해 미끄러저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부착틀(7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틀(72)(72)로 이루어져 있다. 폐기관(19)에 연결되는 주방쓰레기 폐기구(20)은 이 고정틀(71)에 형성되어 있다. 폐기관(19)의 일단은 천정판(15)를 관통해서 처리조(1)에 위치하고 타단은 부착틀(70)의 주방쓰레기 폐기구(20)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처리조(1)을 설치하는 때에는 창틀의 하측에 고정틀(71)의 하측의 조정틀(72)를 끼워넣어 나사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창틀의 상측에 고정틀(71) 상측의 조정틀(72)를 끼워넣어 나사로서 고정시키고 창틀과 부착틀(70)과의 길이를 맞추어서 부착시킨다. 그리고 고정틀(71)을 미끄러져 움직이게 해서 고정틀(71)의 주방쓰레기 폐기구(20)을 처리조(1)에 부착된 폐기관(19)가 장착될 수 있는 높이로 맞추어서 고정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제15도 내지 제9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5실시예에서는 처리조(1)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앙센서(76)이 처리조(1)의 저면벽에 설치되어 있다. 처리조(1)의 중간부 측면벽에는 처리조(1)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77)이 설치되어 있다.
제17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주방쓰레기의 처리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81)의 입력측에는 중량센서(76)과 수위센서(77)이 접속되고 제어부(81)의 출력측에는 처리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82)가 접속되어 있다. 제18도는 표시부(82)의 평면도이며 이 표시부(82)는 예를들면 옥내의 설거지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중량센서(76)의 검출결과에 기초한 처리동작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중량센서(76)은 처리조(1)의 중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제어부(81)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81)은 이상과 같은 처리조(1)내부에서의 처리상태를 중량센서(76)의 검출결과에 의해 감시하고 있다. 제19도는 중량센서(76)의 검출결과의 시간적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처리조(1)의 중량은 주방쓰레기의 도입시에 이 도입분 만큼 급증하고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분해처리의 진행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고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톱니형상의 변화양태를 나타낸다. 처리조(1)내에서의 주방쓰레기의 처리능력은 담체(2)내에서의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번식상태에 의존하지만 사용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번식상태가 평형이 되어 담체(2)의 양에 대응하는 처리능력이 안정해서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주방쓰레기의 투입이 빈번히 행해지는 경우 또 주방쓰레기의 투입량이 과대한 경우에는 처리조(1)의 중량은 도면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제어부(81)은 중량센서(76)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인식되는 처리조(1)의 중량이 소정의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 처리조(1)내에서의 처리능력을 초과한 주방쓰레기의 처리상태를 항상 적절히 유지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 처리조(1)내부의 담체(2)는 전술한 바와같이 본래 보충의 필요는 없으나 주방쓰레기 처리중에 외부로 배수와 함께 누출되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약간씩 감량한다. 이와 같은 감량이 생긴 경우 처리조(1)의 중량은 제19도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장기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제어부(81)은 중량센서(76)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인식되는 처리조(1)의 중량이 소정의 하한치를 초과한 경우 담체(2)의 감량이 생기고 있고 보충의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여 담체(2)의 보충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도면중에 백색화살표로 나타내는 시점에서 표시부(82)에 표시지령을 발신한다. 이 표시지령에 따라 표시부(82)에 있어서는 보충램프(82b)(제18도 참조)가 점등된다. 그리고 보충램프(82b)의 점등에 따라 담체(2)를 보충하므로서 담체(2)의 부족에 따른 처리능력의 저하를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중량센서(76)에 의한 처리조(1)의 중량의 검출결과는 처리조(1) 내부에서의 처리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주방쓰레기의 투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충만램프(82a)의 점등 및 담체(2)의 보충을 지시하기 위한 보충램프(82b)의 점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목적으로 이용해도 된다. 예를들면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생기는 처리조(1)의 중량변화의 상태를 적절한 시간축으로 그래프로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이 표시를 보고 확인시켜 주방쓰레기의 처리상태의 양부 및 처리조(1) 내부에서의 각종의 이상의 발생을 판정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처리조(1)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센서(76)을 구비하고 있고 중량센서(76)의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처리조(1) 내에서의 주방쓰레기의 처리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처리조(1)내를 항상 적절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고, 담체(2)중의 대형동물 및 미생물에 의해 주방쓰레기의 완전한 분해처리가 행해지고 번잡함이 없이 위생적인 주방쓰레기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수위센서(77)에 의한 처리조(1) 내의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과부하상태는 처리조(1)의 벽면측에 장착된 수위센서(77)에 의해 검출된다. 처리조(1)내에 투입하는 주방쓰레기량이 많아서 대형동물 및 미생물이 이것을 분해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처리조(1)냐의 수분이 증대하여 처리조(1)내의 주방쓰레기가 페이스트형상이 되고 담체(2)의 상호간의 접착력이 증대하여 혼합날개(3)의 회전의 영향이 적은 주위 가장자리부에 물이 침투해서 고이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부분의 수위는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과부하상태의 정도와 대응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되어 있고 이 부분의 수위를 계측하므로서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할 수가 있다. 처리조(1)내에 투입되는 주방쓰레기가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분해처리능력을 초과해서 수위센서(77)의 검출결과가 상한에 달하면 그 검출결과가 제어부(81)로 입력되어 표시부(82)에 있어서의 투입금지램프(82c)(제18도 참조)를 점등시켜서 이 이상의 주방쓰레기의 투입을 금지하도록 사용자에게 그 뜻을 알린다.
이상과 같이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했기 때문에 불완전한 분해처리상태로부터 신속하게 벗어날 수가 있고 계속적으로 안정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로서는 상기한 중량센서(76) 및 수위센서(77)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처리조(1)내의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센서(78) 또는 처리조(1)로부터의 배수의 BOD를 검출하는 BOD 센서(79)를 설치해도 된다. 예를들면 제15도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냄새센서(78)은 처리조(1)의 상부벽면에 설치되고 BOD센서(79)는 배수구(80)에 장착된다.
또 제5실시예에 있어서 처리조(1)의 측면벽에 부착된 수위센서(77)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배수구(13)의 막힘도 검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검출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서 배수구(13)의 청소를 행하도록 한다. 또 이 보고동작을 뚜껑판(21)의 개방의 감지를 조건으로 해서 결국 뚜껑판(21)이 개방되어서 새로운 주방쓰레기가 투입되려고 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행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확실히 통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제20도 제21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에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0도 및 제21도에 있어서 처리조(1)의 측면벽 내면에는 스테인레스판으로 절단형성된 고정톱니(830과 혼합날개(5)와의 사이에서 주방쓰레기를 분쇄하도록 되어 있다. 제6실시예에 의하면 혼합날개(3)과 고정톱니(83)과의 사이에서 주방쓰레기를 분쇄하도록 되어 있다. 제6실시예에 의하면 혼합날개(3)과 고정톱니(83)과의 사이에서 주방쓰레기를 분쇄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단기간에 주방쓰레기를 분해처리할 수가 있고 주방쓰레기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제22도 내지 제24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91)은 설거지대(92)는 저면부에 물받이통(93)을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수납시키는 주방쓰레기 수용부(94)를 갖고있는 싱크대이다. 주방쓰레기 수용부(94)의 저면에는 배수관(95)가 접속됨과 동시에 물받이통(93)의 저면에는 설거지대(91)의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분쇄기(98)의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에 연달아 통하는 주방쓰레기 폐기용 개방구(96)에는 주방쓰레기 압축봉(97)이 삽입되어 있고 취사시에 주방쓰레기 압축봉(97)로서 물받이통(93)의 주방쓰레기 폐기용 개방구(96)을 폐색시키고 싱크대(92)로부터의 물이 분쇄기(98)의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분쇄기(98)은 이송통(99)의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을 물받이통(93)의 주방쓰레기 폐기용 개방구(96)에 접속함과 동시에 선단에 고정톱니(101)을 장착하고 있다. 동기(103)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나선체(102)가 이송통(99)내에 배치되어 있고 나선체(102)는 그 선단에 회전톱니(104)를 갖고 있다.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으로부터 공급된 주방쓰레기를 나선체(102)의 회전에 의해 선단으로 이송하고 회전톱니(104)와 고정톱니(101)에 의해 분쇄하도록 되어 있다..
(105)는 옥외에 설치된 처리조장치이며 처리조(1)과 혼합날개(3)를 구동시키는 전동기(8)을 수납시키는 구동실(107)과로 구획되어 있다. 처리조(1)의 일부를 설거지대(91)의 아래쪽에 배치된 분쇄기(98)의 이송통(99)의 선단이 관통하고 있고 분쇄기(98)에 의해 분쇄된 주방쓰레기가 처리조(1)내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처리조(1)의 상면에는 배기구(106)이 형성되고 처리조(1)의 외주벽에는 처리조(1)내의 온도를 소정온도 영역으로 유지하기 위한 열선(108)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취사시에는 주방쓰레기 압축봉(97)을 분쇄기(98)의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에 삽입해서 물받이통(93)의 주방쓰레기 폐기용 개방구(96)을 폐색시킨다, 이 상태에는 주방쓰레기 압축봉(97)을 떼어내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동기(103)을 구동시켜서 나선체(102)를 회전시키면서 주방쓰레기 압축봉(97)에 의해 물받이통(93)의 주방쓰레기 폐기용 개방구(96)을 거쳐서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에 주방쓰레기를 넣는다.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으로부터 분쇄기(98)내에 폐기된 주방쓰레기는 나선체(102)에 의해 이송통(99)의 선단측으로 이송되고 고정톱니(101)과 회전톱니(104)에 의해 분쇄되어서 처리조(1)로 배출된다.
혼합날개(3)을 구동시키는 전동기(8)은 전동기(103)과 동기해서 동시에 회전을 개시하고 분쇄기(98)로부터 배출된 주방쓰레기는 혼합날개(3)의 회전에 의해 담체(2)와 혼합된다. 주방쓰레기 폐기구(98)로부터 배출된 주방쓰레기는 혼합날개(3)의 회전에 의해 담체(2)와 혼합된다.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에의 주방쓰레기의 폐기가 종료되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해서 분쇄기(98) 구동용의 전동기(103)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이지만 분쇄기(98)내에 주방쓰레기가 잔류해서 분쇄기(98)내에서 주방쓰레기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정지후 분쇄기(98)내의 주방쓰레기가 처리조(1)에 배출되기에 충분한 시간경과 후에 전동기(103)을 정지시킨다. 또 분쇄기(98)로부터 공급된 주방쓰레기를 담체(2)와 충분히 혼합시키기 위해 전동기(103)의 운전정지로부터 소정시간후에 혼합날개(3)의 회전용의 전동기(8)을 정지시킨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주방쓰레기를 나선체(102)에 의해 이송통(99)의 선단으로 이동하고 고정톱니(101) 및 회전톱니(104)에 의해 분쇄시키는 구성으로 했으나, 제2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주방쓰레기 수용부(94)의 저면에 배치한 원판형상 절단기(109)를 전동기(110)에 의해 회전시켜서 주방쓰레기를 분쇄시키고 처리조(1)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된다.
제7실시예에서는 분쇄기로서 분쇄한 후의 주방쓰레기를 처리조내에 투입하기 때문에 처리조내에서 비교적 단시간에 주방쓰레기를 분해처리할 수가 있고 주방쓰레기 처리의 수고를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처리조가 옥외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거지대의 수납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제25도 내지 제28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8실시예는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분해적용에 의해 주방쓰레기(생쓰레기)를 처리하는 상술한 바와같이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와 대형동물 및 미생물로서는 분해처리되지 않는 일반쓰레기를 폐기하는 쓰레기상자와 병행설치한 구성을 한 쓰레기 처리장치이다. 제28도는 주방의 밖에 배치된 제8실시예에 관한 쓰레기 처리장치의 정면도 제26도는 주방내로부터 본 주방쓰레기 일반쓰레기의 폐기구인 투입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7도는 이 쓰레기 처리장치의 확대정면 단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쓰레기 처리장치는 주방과 간막이벽을 둔 다른방 또는 옥외에 설치되어있고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를 사용해서 중공직방체형으로 형성된 외부상자(111)내에 주방쓰레기(생쓰레기) 처리장치(112)와 일반쓰레기의 쓰레기상자(113)과를 병렬 수용한다. 주방쓰레기 처리장치(112) 쓰레기상자(113)과 간막이에 개방되는 투입구부(130)의 주방쓰레기 투입구(114)와 일반쓰레기 투입구(115)와는 주방쓰레기 폐기로(116) 일반쓰레기 폐기로(117)을 거쳐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주방쓰레기 투입구(114) 일반쓰레기 투입구(115)는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주방내의 조리장치(U)의 바로위의 벽면등에 개방되어 있고 각각 하부개방식의 뚜껑(114a)(115a)로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주방에서 발생한 주방쓰레기(생쓰레기)는 그대로 또는 생물분해성 재료 예를들면 셀룰로오스유도체 키친질등의 천연다당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천연섬유 그 재생섬유 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삭시네이트등의 합성고분자 히드록시부틸레이트등의 천연고분자를 사용해서 형성된 봉지에 수납서 주방쓰레기 입구(114)로부터 투입된다. 일반쓰레기는 그대로 또는 쓰레기봉지에 수용해서 일반쓰레기 투입구(115)로부터 투입된다.
외부상자(111)은 쓰레기상자(113)을 수납한 부분과 대향하는 전면벽에는 가로개방식의 문(111a)가 설치되고, 이들 쓰레기상자(113)의 출입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주방쓰레기 폐기로(116) 일반쓰레기 폐기로(117)의 상단부는 각각 주방쓰레기 투입구(114) 일반쓰레기 투입구(115)로 연결되고 다시 또 하단부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112) 쓰레기상자(113) 각각의 수용구(112a)(113a)에 위치시키고 있다.
외부상자(111)내에 설치된 주방쓰레기 처리장치(112)의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쓰레기 수납용의 쓰레기상자(113)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색된 중공직방체형으로 형성되고 문(111a)측의 측면벽 위쪽에는 손잡이(119)를 구비하고 지면에는 네구통이부에 차륜(120)이 고정되어 있고 외부상자(111)의 저면부에 배치된 레일(111b)상에 탑재되어 있다. 이 레일(111b)는 문(111a)측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해서 외부상자(111)의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쓰레기상자(113)내에는 쓰레기봉지(121)이 장착되고 이 쓰레기봉지(121)의 개방구부에는 쓰레기상자(113)의 수용구(113a)의 원주 가장자리분으로 접어꺾어서 고정시키고 있다.
주방에서 발생한 주방쓰레기(생쓰레기)는 생물분해선 재료로 형성된 봉지에 수용해서 뚜껑(114a)를 개방하여 주방쓰레기 투입구(114)로부터 주방쓰레기 폐기로(116)으로 투입된다. 뚜껑(114a)를 폐색시키면 검출센서가「ON」되고 전동기(8)이 회전되고 혼합날개(3)을 회전구동시킨다. 투입된 주방쓰레기는 혼합날개(3)의 혼합날개(5)에 의해 봉지가 파괴되고 주방쓰레기 봉지는 함께 담체(2)와 혼합된다. 그리고 대형동물 및 미생물의 식물연쇄에 의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방쓰레기 봉지는 함께 분해처리된다.
한편 대형동물 및 미생물로 분해되지 않는 일반쓰레기는 폴리에틸렌등의 봉지에 수용해서 같은 모양으로 뚜껑(115)를 개방하여 일반쓰레기 투입구(115)로부터 투입된다. 투입된 쓰레기봉지는 일반쓰레기 폐기로(117)을 경유해서 쓰레기상자(113)내의 쓰레기봉지(121)내로 낙하 수용된다. 쓰레기상자(113)의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는 문(111a)를 개방하여 손잡이(119)를 손으로 잡고 앞쪽으로 빼내면 쓰레기상자(113)은 레일(111a)상을 이동해서 외부상자(111)로부터 외부로 빼내진다. 그대로 쓰레기 폐기장으로 쓰레기상자(113)을 밀고가서 쓰레기를 폐기하면 된다. 제8실시예에서는 주방쓰레기(생쓰레기) 일반쓰레기를 각각의 투입구로부터 투입하는 것만으로 주방쓰레기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수용되어서 무기물로 분해되고 또 일반쓰레기는 쓰레기상자에 수용되기 때문에 주방쓰레기 일반쓰레기를 용이하게 분별처리할 수 있고 더구나 냄새가 주방내로 들어오는 일이 없다.

Claims (12)

  1. 옥외에 설치되고 담체(2)를 수납시키는 처리조(1)과, 그 처리조(1)내에 설치되고 주방쓰레기와 담체(2)를 혼합시키는 혼합수단(3)과, 옥내로 개방되는 주방쓰레기 폐기구(20)과, 그 주방쓰레기 폐기구(20)과 상기한 처리조(1)과를 연결하는 폐기로(1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방쓰레기 폐기구(20)이 가옥의 벽면 또는 주방기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폐기로(19)의 적어도 내면은 저마찰저항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방쓰레기 폐기구(20)으로부터 상기한 처리조(1)내로 흡인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송풍기(1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방쓰레기 폐기구(20)으로부터 처리조(1)에 폐기되는 주방쓰레기를 검출하는 검출수단(22)(31)(32)(36)(40)과, 그 검출수단(22)(31)(32)(36)(40)의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상기한 혼합수단(3)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폐기로(19)에 살수하는 살수수단(2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방쓰레기 폐기구(20)으로부터 처리조(1)에 폐기되는 주방쓰레기를 검출하는 검출수단(22)(31)(32)(36)(40)과, 그 검출수단(22)(31)(32)(40)의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상기한 살수수단(23)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수단(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담체(2)에 배양되는 대형동물 및 미생물에 의한 주방쓰레기 분해처리의 과부하 상태를 검출하는 과부하검출수단(77)(78)(7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과부하검출수단(77)(78)(79)이 과부하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8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10. 옥외에 설치되고 담체(2)를 수납시키는 처리조(1)과, 그 처리조(1)내에 설치되고 주방쓰레기와 담체(2)와를 혼합하는 혼합수단(3)과, 가옥의 창에 장착되고 주방쓰레기 폐기구(20)을 갖는 부착틀(70)과, 그 주방쓰레기 폐기구(20)과 상기한 처리조(1)을 연결하는 폐기로(1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11. 옥내에 개방되는 주방쓰레기 폐기구(100)과, 그 주방쓰레기 폐기구(100)에 투입될 주방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주방쓰레기를 배출하는 분쇄수단(98)과, 옥외에 배치되고 담체(2)를 수납시키고 상기한 분쇄수단(98)으로부터 배출된 주방쓰레기를 수납시키는 처리조(1), 그 처리조(1)내에 설치되고 그 처리조(1)내의 담체(2)와 주방쓰레기와를 혼합시키는 혼합수단(3)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12. 옥외에 설치되고 담체(2)를 수납시킨 주방쓰레기와 담체(2)와를 혼합시키는 혼합수단(3)과를 갖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112) 및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일반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상자(113)을 구비한 장치 본체(111)과, 옥내에 배치되고 주방쓰레기를 투입하는 제1투입구(114) 및 일반쓰레기를 투입하는 제2투입구(115)를 갖는 투입구부(130)과, 제1투입구부(114)와 주방쓰레기 처리장치(112)와를 연결하는 제1연결로(116)과, 상기한 제2투입구(115)와 쓰레기상자(113)과를 연결하는 제2연결로(1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1019940011392A 1993-05-26 1994-05-25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970009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24309A JPH06328057A (ja) 1993-05-26 1993-05-26 厨芥処理装置
JP93-124309 1993-05-26
JP12624793A JP3474892B2 (ja) 1993-05-27 1993-05-27 厨芥処理装置
JP93-126247 1993-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585B1 true KR970009585B1 (ko) 1997-06-14

Family

ID=2646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392A KR970009585B1 (ko) 1993-05-26 1994-05-25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58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9177B2 (en) Composting systems and methods
US5123600A (en) Wet refuse disposer apparatus
EP0611742B1 (en) Kitchen garbage disposal system
KR960013342B1 (ko) 유기물 처리방법 및 유기물 처리장치
KR102311767B1 (ko) 폐유기물 처리기
KR970009585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960013343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WO2007019513A2 (en) Composting systems and methods
JPH06246180A (ja) 厨芥処理装置
KR101598944B1 (ko) 개수대 배수관 연결형 발효소멸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286397B2 (ja) 厨芥処理装置
KR102640963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배출수가 없는 액상 발효장치
JP3469612B2 (ja) 厨芥処理装置
JP3474892B2 (ja) 厨芥処理装置
JPH06312167A (ja) 生ごみ処理機
JP3071071B2 (ja) 厨芥処理装置
KR0175779B1 (ko) 액상 분해식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JPH0724436A (ja) 厨芥処理装置
JPH06328057A (ja) 厨芥処理装置
KR19980034610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벌레 퇴치장치
JPH06328059A (ja) 厨芥処理装置
JPH06335668A (ja) 厨芥処理装置
JPH06339671A (ja) 厨芥処理装置
JPH0731960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
JPH06320132A (ja) 厨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