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530Y1 -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 Google Patents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530Y1
KR940004530Y1 KR2019940010042U KR19940010042U KR940004530Y1 KR 940004530 Y1 KR940004530 Y1 KR 940004530Y1 KR 2019940010042 U KR2019940010042 U KR 2019940010042U KR 19940010042 U KR19940010042 U KR 19940010042U KR 940004530 Y1 KR940004530 Y1 KR 940004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wound
shaft
shaft portion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토(Fumito Komatsu) 고마츠
Original Assignee
후미토(Fumito Komatsu) 고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65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801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미토(Fumito Komatsu) 고마츠 filed Critical 후미토(Fumito Komatsu) 고마츠
Priority to KR2019940010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50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mechanical linkage, e.g.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 F16D7/02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with a helical band or equivalent member co-operating with a cylindrical torque limiting coupling surfa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9Wrap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2Combinations of elements of not identical elements of the same category, e.g. combinations of not identic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원리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제2도는 장착전의 코일 스프링과 축체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3도는 회전토오크의 변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4도는 회전수명에 의한 토오크의 변동율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5도는 축본체를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을 그 내측에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토오크 조정수단을 가지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정면도.
제7도는 그 좌측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리일대에 응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그 요부를 나타내는 조립도.
제10도는 정토오크 스프링 클러치의 원리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사시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주회전체 11, 111 : 종회전체
12, 112 : 축체부 113 : 고정부
14, 114 : 코일 스프링 15, 16, 115, 116 : 걸어 맞춤단
17, 117 : 플랜지부 18 : 구속편
19 : 해제편 20 : 스토퍼
118, 119 : 걸어맞춤편 122 : 캡릴
123 : 고속 이송용 기어 124 : 회전통
125 : 기어 126 : 통체
150 : 통부 152 : 끼워넣는 부
154 : 긴 홈 156 : 볼록부
A : 감아 붙이는 부분 B :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
본 고안은 저렴한 가격으로 상당히 안정한 일정한 토오크를 얻을 수 있고, 수명이 긴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자는 먼저 제10도의 원리도에서 나타내는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를 개발하고, 특허출원하고 있다(미국특허출원 제07/516,595호, 1990년 4월 30일 출원,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고안자 : 코마츠 후미토(小松文人).
제10도에 나타낸 것은, 코일을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과 감아 붙인 부분(A)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14)을, 종회전체(11)의 축체부(12)상에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에서 감아 붙인 상태로 장착하고, 코일을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의 한쪽의 걸어맞춤단(16)을 주회전체(10)의 플랜지부(17)에 설치한 구속편(18)에 맞닿게 하며, 또 주회전체(10)에 구속편(18) 보다도 각 α만큼 회전후방에 설치한 해제편(19)이 코일을 감아붙인 부분(A)의 한쪽의 걸어맞춤단(15)에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이 느슨해지는 방향으로부터 맞닿도록 설정하고 있다.
주회전체(10) 또는 종회전체(11)가 소정방향으로 상대회전되면, 코일스프링(14)의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이 축체부(12)에 감겨져 있고, 또 코일을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의 단부가 구속편(18)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에서의 코오크가 스프링 특성에 따라 상승한다. 해제편(19)이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에 맞닿으면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이 느슨해지지만, 감아붙이지 않은 부분(B)에서의 토오크는 다시 상승하고, 양자가 균형으로 되면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은, 축체부(12)상에서 미끄러지고 이후는 일정한 토오크로 된다.
코일을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에서 발생하는 토오크가 전체로서의 토오크에 크게 기여하며,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의 감김 직경에 오차가 있어도 토오크의 오차를 낮게 할 수가 있다.
또,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4)을, 구속편(18)과 스토퍼(20) 사이에 감이 붙이지 않은 부분(B)을 미리 설정 토오크 직전까지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셋트하여 두면, 주회전체(10)를 회전시킬때 거의 올바른 설정 토오크에 도달한다.
상기와 같이, 제10도, 제11도에 나타내는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서는, 코일을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의 스프링 특성을 선정하므로서 토오크의 설정을 자유롭게 실행하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고안자가 다시 추구한 바, 상기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14)의 코일을 감아 붙인 부분(A)과 축체부(12) 사이의 마찰 토오크가 열로 반하여 마찰계수 μ가 변화하고, 이 때문에 사용중에 토오크가 올라가버리고 만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앞서 제안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를 개량하고, 안정하게 일정한 토오크가 얻어지며 또 내구성에도 우수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에 의한 본 고안에 관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서는,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와, 이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의 한 쪽에 형성된 축체부와, 이 축체부 상에 감아 붙인 코일 스프링과, 상기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걸림부와,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상기 축체부 상에 장착되어 이루는 스프링 클러치에 있어서, 비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축체부보다 큰 직경의 내경을 이루며, 단단히 감긴 상태에서 상기 축체부 상에 장착된 때, 이 축체부를 소정의 감아 붙임력으로 감아 붙이는 감아 붙이는 부분과 대응하는 축체부의 부위보다 큰 직경의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와, 이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의 한 쪽에 형성된 축체부와, 이 축체부 상에 감아 붙인 코일 스프링과, 상기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걸림부와,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상기 축체부 상에 장착되어 이루는 스프링 클러치에 있어서, 비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축체부보다 작은 직경의 외경을 이루며, 단단히 감긴 상태에서 상기 축체부 내에 장착된 때, 이 축체부 내면에 탄발력이 있게 접하는 감아 붙이는 부분과 대응하는 축체부의 부위보다도 작은 직경의 감아 붙이지 않0은 부분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와, 이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의 한 쪽에 형성된 축체부와, 이 축체부상에 감아 붙인 코일 스프링과, 상기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걸림부와,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상기 축체부 상에 장착되어 구성하는 테이프, 끈, 선재 등을 릴에 감은 권취장치에 있어서, 비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축체부보다 큰 직경의 내경을 이루며, 단단히 감긴 상태에서 상기 축체부 상에 장착된 때, 이 축체부를 소정의 감아 붙임력으로 감아 붙이는 감아 붙이는 부분과 대응하는 축체부의 부위보다는 큰 직경의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와, 이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의 한 쪽에 형성된 축체부와, 이 축체부 상에 감아 붙인 코일 스프링과, 상기 주회전체 및 종회전체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걸림부와,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상기 축체부 상에 장착되어 구성하는 테이프, 끈, 선재 등을 릴에 감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비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축체부보다 작은 직경의 외경을 이루며, 단단히 감긴 상태에서 상기 축체부 내에 장착된 때, 이 축체부 내면에 탄발력이 있게 접하는 감아 붙이는 부분과 대응하는 축체부의 부위보다도 작은 직경의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을 형성하는 선재는, 적어도 상기 축체부에 맞닿는 부위가 평탄하게 형성된 단면형상을 가지면 좋다.
상기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는, 테이프, 끈, 선재등의 감아붙이는 장치에 있어서의 감아 붙임 릴의 동력전달계에 가장 좋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앞서의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를 개량하고, 가동시의 토오크 변동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원리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110은 주회전체, 111은 종회전체이다.
종회전체(111)은 축체부(112)를 가지지만, 설명을 쉽게하기 위하여, 축체부(112)는 고정부(113)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축체부(112)의 바깥면상에 코일 스프링(114)이 감겨져 있다. 이 코일 스프링(114)은, 축체부(112) 바깥면상을 단단히 조여서 부착하고 있는 감아 붙이는 부분(A)과, 이 감아 붙이는 부분(A)에 이어서 축체부(112)의 바깥면과는 간격이 있는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으로 되는 연속한 1개의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4)의 감아 붙이는 부분(A) 및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의 끝 부분은 각각 바깥 쪽으로 구부려져 각각 걸어맞춤단(115)(116)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4)을 형성하고 있는 선재는 축체부(112)의 바깥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평탄한 직사각형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코일 스프링(114)와 축체부(112)를 면접촉시키고, 코일 스프링(114)의 단순히 감은 감김압력을 감소시켜 코일 스프링(114) 및/또는 축체부(112)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 코일 스프링(114)의 선재의 단면형상은 꼭 직사각형읠 필요는 없고, 축체부(112) 바깥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것이라면 어떠한 단면형상이라도 좋다.
또, 선재의 단면형상에 평탄부를 가지는 것은 코일 스프링(114) 전체에 걸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항상 축체부(112)를 단단히 감고 있는 감아 붙이는 부분(A)에 형성하면 좋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코일 스프링(114)의 선재는 단면이 원형의 것이라도 관계없다.
주회전체(110)는, 축체부(112)상에서, 이것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플랜지(117)를 부착하고 있는 통체에 형성되어 있다.
주회전체(110)는, 에를들면 모터와 같은 외부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된다.
118은 그 양단면이 걸어맞춤부로 되는 걸어맞춤편으로 플랜지(117) 끝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4)은 알맞게 단단히 감겨진 상태로, 그 걸어맞춤단(115), 걸어맞춤단(116)이 걸어맞춤편(117)에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탄력적으로 맞닿도록 하여 축체부(112)상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14)은, 감아 붙이지 않은상태에서 그 감아 붙이는 부분(A)의 내경은 축체부(112) 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그리고 걸어맞춤단(116)이 걸어맞춤편(118)에 탄력적으로 맞닿도록 하여 알맞게 단단히 감겨진 셋트 상태에서, 직경이 줄어든 감아 붙이는 부분(A)이 축체부(112)를 알맞게 단단히 감기는 힘을 가지고 단단히 감겨진 상태로 셋트되는 것이다.
이어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회전체(110)가 D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편(118)이 걸어맞춤단(116)을 압압하여 코일 스프링(114)을 단단히 감도록 하지만, 걸어맞춤편(118)으로부터 걸어맞춤단(116) 까지 이르는 코오크 T1은, 감아붙이는 부분(A)과 축체부(112) 사이의 마찰력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걸어맞춤단(115)가 걸어맞춤편(118)에 탄력적으로 맞닿은 채, 코일스프링(114)은 주회전체(110)와 함께 회전한다.
즉, 감아 붙이는 부분(A)과 축체부(112) 사이에서 거의 즉각적으로 미끄럼이 발생하고 주회전체(110)와 종회전체(111) 사이에 일정한 토오크가 발생한다.
걸어맞춤단(115)가 걸어맞춤편(118)에 탄력적으로 맞닿는 힘 T2는, 주회전체(110)로 부터의 종회전체(111)에의 토오크에 부(負)의 값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주회전체(110)로 부터의 종회전체(111)에의 토오크를 T라 하면, 마찰계수와 감아 붙이는 부분(A)의 감김 수에도 기인하지만, 감아 붙이는 부분(A)의 감김수를 3-5 정도로 하면 대략 T=T1-T2로 되며, 감아 붙이는 부분(A)과 축체부(112)와의 사이의 마찰계수 μ에는 거의 의존하지 않게 된다.
감아 붙이는 부분(A)과 축체부(112) 사이에서는 당연히 마찰력이 작용하고, 양자간의 마찰계수 μ가 상승하지만, 주회전체(110)로부터의 종회전체(111)에의 토오크 T는, T1-T2, 즉 코일 스프링(114)의 축체부(112)에의 초기의 단단히 감은 셋트상태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μ의 변동과 관계없이 일정한 토오크가 얻어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점이 제10도에 나타내는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서는, 회전에 의한 마찰 토오크가 열로 변하고 마찰계수 μ가 반하면, 감아 붙이는 부분(A)의 감아 붙임을 강제적으로 해제하는 해제편(19)의 토오크가 상승하여 가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되며, 먼저 제안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서는 토오크가 급기야는 상승해 버리고 만다.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와 먼저 제안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의 회전 토오크 변동특성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분명해지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서는, 회전 토오크가 거의 변동하지 않는 것임에 대하여, 먼저 제안한 일정한 코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서는 180rpm의 속도로 300 회전하는 사이에 토오크가 15%정도 상승하고 있다.
또, 먼저 제안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서는, 감아 붙이는 부분(A)의 코일 스프링의 감김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부터 해제편(19)에 의하여 단단히 감은 힘을 풀리게 하기 때문에, 스틱슬립이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하여 미세한 토오크 변동이 생기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항상 걸어맞춤단(115)(116)이 걸어맞춤편(118)에 탄력적으로 맞닿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스틱슬립은 전혀 발생하지 않고, 미세한 토오크 변동이 일어나 않으며, 원활한 회전전달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제4도는 회전수명에 의한 회전 토오크 변동특성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분명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에서는, 먼저 제안한 것에 비하여 설정 토오크가 높고, 회전 속도가 빠른 것임에도 불구하고 회전수명에 대한 토오크 변동이 작으며, 내구성에 우수하다.
회전수명에 의한 토오크 변동의 원인으로서, 코일 스프링의 감아 붙이는 부분과축체부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찰로 감아 붙이는 부분의 감아붙임 토오크가 저하하여 간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먼저 제안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의 경우, 공회전 토오크 T는 대략 T=T1+T2(T1: 감아 붙이지 않은부분(B)의 설정 토오크, T2: 감아 붙이는 부분(A)의 끝부분의 단단히 감은 토오크)로 되기 때문에, 감아 붙이는 부분(A)의 토오크가 마모에 의하여 저하하면, T1, T2는 함께 내려감에 따라 공회전 토오크는 급속하게 저하하여 간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공전 토오크 T는 상기 T=T1+T2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T1, T2가 함께 내려가도 T1과 T2의 차이는 그만큼 변동이 없고, 따라서 토오크 변화율이 작다.
또, 먼저 제안한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의 경우, 축체부(12)에 대한 감아 붙이는 부분(A) 감김력의 분포를 생각해 보면, 자체의 감아 붙임력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감겨있기 때문에, 감아 붙이지 않은부분(B)의 감김력이 크게되고, 감아 붙이는 부분(A)의 끝단부측에서는, 해제편(19)의 작용에 의하여 감김력이 거의 영(0)으로 되어있다고 생각되어지며, 이것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14)과 축체부(12)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은 감아 붙이는 부분(A)의 감아 붙이지 않은부분(B)측에 의하여 집중적으로 일어나기 쉽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는, 감아 붙이는 부분(A)의 전영역에 걸쳐서 거의 계산식대로의 감김력으로 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집중화가 일어나기 어려워 마찰을 완만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이유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의 수명특성이 향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 축체부(112)를 회전하여 주회전체(110)에 토오크를 전달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114)을 그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의 지름이 감아 붙이는 부분(A)의 지름보다도 크게 되도록 설정하였으나,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과 감아 붙이는 부분(A)을 같은 지름으로 하고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에 대응하는 부위의 축체부(112)의 지름을 작게하여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과 간격을 갖게하여도 좋다.
또, 코일 스프링(114)은 양측부를 감아 붙이지 않은부분(B)에, 중앙부를 감아 붙이는 부분(A)에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또, 축체부와 감아 붙이는 부분은, 감아 붙이지 않은 상태에서 반드시 감겨진 상태가 아니라도 좋으며 축체부에의 감아 붙이는 부분의 감김력, 감아 붙이는 수, 및 양자 사이의 마찰계수가 일정 조건, 결국 감아 붙이지 않은부분을 회전시킨 때에 감아 붙이는 부분이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다면 감아 붙이는 부분에 처음부터 감아 붙여 두는 방식이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체부(112)를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114)은 감아 붙이는 부분(A)을 큰 지름으로, 감아 붙이지 않은부분(B)을 작은 지름으로 형성하여 축체부(112)내에 삽입하여도 좋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114)은 비장착 상태에서는 감아 붙이는 부분(A)의 외경은 축체부(112)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의 것으로 하고,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에 걸림단(115)(116)을 탄력적으로 맞닿도록 지지하여 장착할때, 코일 스프링(114)을 그 지름이 커지도록 하여 감아 붙이는 부분(A)을 축체부(112) 내면에 탄력적으로 맞닿게하여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어서, 제6도(부분 파단 정면도) 및 제7도(좌측면도)와 함께 구체적인 토오크 조정수단을 설치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회전체(110)는, 축체부(112) 상에서 이것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통체에 형성되어 있다. 주회전체(110)는 통부(150)와 그 좌측의 트인구멍부에 끼워져서 부착된 끼워넣는 부(152)로 이루어진다.
끼워넣는 부(152)에는 축선 ℓ방향으로 긴 홈(154)이 형성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114)의 걸어맞춤단(116)이 긴 홈(154) 내에 삽입되고, 구속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4)의 다른 쪽 단의 걸어맞춤단(116)은 통부(150)의 오른쪽단에 삽입되고 구속되어 있다.
스프링 클러치의 토오크 특성을 고르게 하기 위해서는 끼워넣는 부(152)에 대한 통부의 회전각도, 결국 축선 ℓ에 대하여 통부(150)의 회전을 고정한 경우의, 끼워넣는 부(152)의 축선 ℓ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정하므로서 코일 스프링(114)이 단단히 감겨지고, 감아 붙이는 부분(A)이 축체부(112) 상에 감겨서 조여져 오고 제품마다의 토오크 특성을 조정하고 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부(150) 및 끼워넣는 부(152)를, 예를들면 ABS 수지로 형성하고, 끼워넣는 부(152)를 통부(150)에 가볍게 압입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114)의 끼워맞춤단(116)을 끼워넣는 부(152)의 긴 홈(154)에 삽입시킨다.
끼워넣는 부(152)의 통부(150)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정하면서 토오크 특성이 소정의 특성으로 되었다면, 예를들면 용제(예를들면 메틸 에틸 케톤)을 도포하여 양자를 용착, 고정하면 좋다.
또, 끼워넣는 부(152)를 회전시키기 쉽도록 끼우넣는 부(152)의 좌단면은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판형(判形)의 볼록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제8도, 제9도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릴대에 본 고안을 응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캡 릴(122)과 고속 이송용 기어(123)가 고정측 끼워넣기용의 회전통(124) 상에서 압입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캡 릴(122)이 당연히 종외전체로 된다.
125는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측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모터로 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기어이고, 중앙부에 수직설치되어 있는 통체(126)가, 회전통(124) 외벽과 캡 릴(122) 기부 내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에 미끄럽게 맞추어지므로써 회전통(124) 상에서 회전통(124) 상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114)이 감기어 조여지는 상태에서 그 감아 붙이는 부분(A)으로 감아 붙인 상태로 장착되고 감아 붙이는 부분(A)의 걸어맞춤단(115)이 통체(126) 끝단면에 형성된 걸어맞춤편(119), 또는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의 걸어맞춤단(116)이 통체(126) 내벽면에 형성된 여러 개의 걸어맞춤편(118)에 탄력적으로 맞닿도록 되어 있다(제9도).
따라서, 녹음시, 재생시에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 측에 배열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기어(125)가 회전되면 걸어맞춤편(118), (119), 코일 스프링(114)을 통하여 캡 릴(122)이 회전되고 카셋트의 릴이 회전되어 릴상에 테이프가 감겨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캡 릴(122)은 소정 토오크로 회전되고, 테이프 상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테이프를 감는 것이다.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의 토오크 조절은, 걸어맞춤단(116)이 맞닿는 걸어맞춤편(118)을 임의 위치의 것으로 선정하므로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걸어맞춤편(118)에 대응하는 기어(123)의 부위에 투시구멍을 뚫으면, 릴대에 조립하여 붙인 후에도 투시 구멍을 통하여 걸어맞춤단(116)을 임의의 걸어맞춤편(118)에 변화시켜 걸 수 있어 아주 적합하다.
상기에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의 릴대를 예시하였으나, 테이프, 끈, 선재등을 감는 여러가지 권취장치의, 권취동력원과 권취 릴의 동력 전달계 사이에 상기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를 배치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가지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안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개량과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와, 이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의 한 쪽에 형성된 축체부(112)와, 이 축체부(112)상에 감아 붙인 코일 스프링(114)과, 상기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걸림부와,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상기 축체부(112)상에 장착되어 이루는 스프링 클러치에 있어서, 비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축체부(112)보다 큰 직경의 내경을 이루며, 단단히 감긴 상태에서 상기 축체부(112) 상에 장착된 때, 이 축체부(112)를 소정의 감아 붙임력으로 감아 붙이는 감아 붙이는 부분(A)과 대응하는 축체부(112)의 부위보다 큰 직경의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1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2.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와, 이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의 한 쪽에 형성된 축체부(112)와, 이 축체부(112) 상에 감아 붙인 코일 스프링(114)과, 상기 주회전체(111) 및 종회전체(111)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걸림부와,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상기 축체부(112)상에 장착되어 이루는 스프링 클러치에 있어서, 비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축체부(112)보다 작은 직경의 외경을 이루며, 단단히 감긴 상태에서 상기 축체부(112)내에 장착된 때, 이 축체부(112) 내면에 탄발력이 있게 접하는 감아 붙이는 부분(A)과 대응하는 축체부(112)의 부위보다도 작은 직경의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1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3.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와, 이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의 한 쪽에 형성된 축체부(112)와, 이 축체부(112)상에 감아 붙인 코일 스프링(114)과, 상기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걸림부와,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상기 축체부(112) 상에 장착되어 구성하는 테이프, 끈, 선재 등을 릴에 감은 권취장치에 있어서, 비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축체부(112)보다 큰 직경의 내경을 이루며, 단단히 감긴 상태에서 상기 축체부(112) 상에 장착된 때, 이 축체부(112)를 소정의 감아 붙임력으로 감아 붙이는 감아 붙이는 부분(A)과 대응하는 축체부(112)의 부위보다는 큰 직경의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1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4.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와, 이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의 한 쪽에 형성된 축체부(112)와, 이 축체부(112) 상에 감아 붙인 코일 스프링(114)과, 상기 주회전체(110) 및 종회전체(111)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소의 걸림부와,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단단히 감아 붙인 상태로 상기 축체부(112) 상에 장착되어 구성하는 테이프, 끈, 선재 등을 릴에 감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비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축체부(112)보다 작은 직경의 외경을 이루며, 단단히 감긴 상태에서 상기 축체부(112)내에 장착된 때, 이 축체부(112) 내면에 탄발력이 있게 접하는 감아 붙이는 부분(A)과 대응하는 축체부(112)의 부위보다도 작은 직경의 감아 붙이지 않은 부분(B)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1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KR2019940010042U 1990-10-02 1994-05-06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KR940004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042U KR940004530Y1 (ko) 1990-10-02 1994-05-06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65893 1990-10-02
JP2265893A JPH0648014B2 (ja) 1990-10-02 1990-10-02 定トルクスプリングクラッチ
KR1019910017268A KR920008372A (ko) 1990-10-02 1991-10-02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KR2019940010042U KR940004530Y1 (ko) 1990-10-02 1994-05-06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268A Division KR920008372A (ko) 1990-10-02 1991-10-02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30Y1 true KR940004530Y1 (ko) 1994-07-07

Family

ID=2733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042U KR940004530Y1 (ko) 1990-10-02 1994-05-06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5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79B1 (ko) * 1999-09-17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2라인 전화기에서 교류 임피던스 제어의 홀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79B1 (ko) * 1999-09-17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2라인 전화기에서 교류 임피던스 제어의 홀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48014B2 (ja) 定トルクスプリングクラッチ
US6164428A (en) Wrap spring shade operator
US5064137A (en) Fixed torque spring clutch and a winder having the same
EP1000763B1 (en) Roll tensioner
US4341365A (en) Video tape cassette
US4462551A (en) Retractible fly tying bobbin
KR940004530Y1 (ko) 일정한 토오크의 스프링 클러치
JP2000506109A (ja) 転写式ディスペンサの搬送テープを巻き取るスプールのスプールコアを駆動する歯車の構成
JP3563300B2 (ja) テープ・スレッディング装置
US2996264A (en) Spring torque tape transport system
HU193832B (en) Magnetic tape device
US3065925A (en) Take-up reel
US4719992A (en) B-motor with floating locking plug
EP0463248A1 (en) Clutches and winders having clutches
US4827752A (en) Wire drawing machine with wire-relaxing roller
US3335455A (en) Device for counterbalancing window sashes
JPH0312539Y2 (ko)
US3968941A (en) Interbiased double tape spool assembly
US6581867B2 (en) Reel braking apparatus for a tape recorder
US5385315A (en) Tape-spool retention member
JPS5836159B2 (ja) 摩擦平衡型ロ−ルスクリ−ン装置
JPH04119229A (ja) 定トルクスプリングクラッチ
US20210254404A1 (en) Anti-Rotation Clutch Assembly for a Manual Roller Shade
JPH01283438A (ja) フリクション装置
JPS63498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