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815Y1 -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815Y1
KR830001815Y1 KR2019830006301U KR830006301U KR830001815Y1 KR 830001815 Y1 KR830001815 Y1 KR 830001815Y1 KR 2019830006301 U KR2019830006301 U KR 2019830006301U KR 830006301 U KR830006301 U KR 830006301U KR 830001815 Y1 KR830001815 Y1 KR 830001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synthetic resin
block plat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김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영 filed Critical 김덕영
Priority to KR2019830006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A로 표시한 부재들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옹벽면에 본 고안의 합성수지제블록을 고정설치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합성수시제 블록으로 옹벽면에 설치한 녹화층의 단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판 2,2' : 보강돌조
3 : 연접요홈 4 : 돌출부
5 : 고정부재 6 : 인장부재삽통공
7 : 앙카공 8 : 핀공
9 : 들편 9' : 걸림턱
10 : 고정부재 11 : 핀공
12 : 연결부 13 : 핀공
14 : 인장부재 15 : 스폰지
21 : 체결판
본 고안은 석축 또는 콘크리트 옹벽표면에 다수의 합성수지제 블록판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고정설치하고, 그 블록판상에서 잔듸가 생육되게 하여 옹벽면을 녹화시키게 되는 옹벗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선단부를 적당히 상향 만곡시킨 구형의 블록판체를 옹벽면상에 여러단으로 설치하고, 이 여러단의 블록판체에 옹벽의 경사도를 따라 종으로 별설시킨 수개의 나선철봉을 관통시켜서 그 나선철봉의 상하단을 옹벽의 상·하부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하단만을 고정시키고 또 이 철봉의 적당부위를 옹벽면에 일단이 매설되어 있는 앙카보울트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각 나선철봉의 중간중간에 지지너트를 체착하여 이로서 블록판체를 지지하게 하고, 블록판상에 토사를 채우고 토사에서 잔듸가 생육되게 하여 옹벽면을 녹화시키게 한 옹벽녹화공법이 일본공개특허공보 소 55-49429호에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녹화공법에 사용된 블록은 그 블록의 지지구조에 있어 설치작업이 복잡하게 되어 있고, 단일체의 철봉에 수개의 블록판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므로, 이들중의 어느 하나가 파손될시에는 파손되지 않은 블록판은 물론 블록을 고정시키고 있는 철봉과 앙카보울트 등 한조의 설치부재들을 모두 헐어내어 교체시키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교체작업이 거의 불가능할뿐 아니라, 수리시 많은 비용이 들게되어 설치 후 홍수 또는 기타의 외력에 의하여 블록판이 파손되는 경우 교체수리에 문제가 따르는 것이고, 또한 각 블록판은 나선철봉에 나착되어 있는 너트에 의하여 단순히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그 블록판체의 고정상태가 불안정하다.
그리고, 조립설치된 블록판과 블록판의 상호 연접부위가 밀접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아 시공후 연접부위에 틈이 생겨 토사가 유실될 우려가 있고, 또한 블록판에서 빗물이 저장되지 못하고 쉽게 유출되게 되어 있으므로 잔듸에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잔듸의 성장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토사가 적재되는 블록판 하나하나가 조립식으로 간편히 설치 고정되게하여 설치는 물론,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각 블록판이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고정설치될 뿐아니라, 수분을 저장하여 토사에 공급시키게 하므로서 잔듸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녹화층이 장구히 보존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선단부(1')가 상향 만곡되어 옹벽면에 다층으로 조립 설치되는 블록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블록판(1) 저면에 사방주연부와 중간부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보강돌조(2)(2')들을 돌설하며, 일측단부 상면에는 연접요홈(3)을, 그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연접요홈(3)과 계합되는 돌출부(4)를 각기 형성하는 한편, 중간 양측부에 한쌍의 고정부재 삽통공(5)과 인장부재 삽통공(6)을 각각 상·하로 관통되게 천설하여서 된 합성수지제 블록판(1)과 앙카공(7)을 구비하고 전면 하측에는 핀공(8)과 걸림턱(9')을 가진 돌편(9)을 교차방향에 일체로 돌설한 합성수지제 고정부재(10)와, 상단부에 핀공(11)을 가진 연결부(12)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핀공(13)을 천설한 합성수지제 인장부재(14)로 되고, 블록판(1) 상에는 스폰지(15)를 깔고 그 위에 토사가 적재되게 하여 스폰지(15)가 수분을 항시 흡수저장되게한 구조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고정부재(10)를 옹벽면에 고정시키는 앙카보울트이고 17은 고정키이고, 18, 18'는 연결핀이며, 19는 토사, 20은 잔듸를 보인 것이고, 21은 앙카보울트(16)가 나착되는 체결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재들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녹화시공을 하려는 옹벽면(가)에 설치코져하는 높이에서 부터 각단의 앙카구멍 높이의 수평선을 설정하고, 그 수평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앙카구멍위치를 표시한 다음, 잔이 수평선상에 연직선을 내려 앙카구멍 위치를 표시한 후 각 구멍위치에 소정깊이로 앙카공을 천공하여 체결관(21)을 매설한후, 고정부재(10)를 앙카보울트(16)로서 옹벽면(가)에 고정 설치한다. 조립은 윗단부터 시작하여 아래로 내려올 수도 있고, 반대로 아랫단부터 시작하여 윗단으로 올라갈 수도 있는 바, 윗단부터 시작하는 예를 설명하면 먼저 인장부재(14)의 상단연결부(12)을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부재(10)의 돌편(9)에 감합시켜 연결핀(18)을 핀공(8)(11)에 꽂아 연결하고, 그 연장부재(14)의 하단부를 블록판(1)의 인장부재삽통공(6)에 끼워서 연결핀(18')으로 연결한 다음 그 블록판(1)의 후단부를 상측으로 쳐들어 고정부재 삽통고(5)을 고정부재(10)의 돌편(9)에 끼워 올린 후 그 돌편(9)에 다시 딴 인장부재(14)의 상단연결부(12)를 전기한 바와같은 요령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블록판(1)을 내려 고정부재(10)의 하단부와 블록판(1) 상면간의 여유간격에 고정키(17)를 끼워 고정시키며, 같은 요령으로 인접블록판(1)을 조립하여 점차 하단으로 확대하여 설치해 나간다. 인접된 두 블록판(1)(1)은 그 단연부에 형성된 연접요홈(3)과 돌출부(4)가 서로 계합연접되게 설치하며, 이와 같이 하여 수평블록판의 조립이 끝나면 그 블록판 상면에 스폰지(15)를 깐 다음, 양질의 토사(19)를 그 표면이 약 1:1.5의 경사구배로 되게 채우고 그 표면에 잔듸씨를 뿌리거나 잔듸를 이식하고 살수하여 발아 또는 활착시켜 녹화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의 석축 또는 콘크리트 옹벽면(가)에 블록판(1)을 설치함에 있어 블록판(1) 하나하나를 각개의 인장부재(14)와 고정부재(10)에 의하여 고정지지되게 한 것이므로, 설치작업이 간단하고도 용이할뿐 아니라, 블록판의 파손시 파손된 블록만을 간편히 교체 수리할 수 있을뿐 아니라 블록이 날개로 조립되어 옹벽면에 견고하게 설치고정되는 것이고, 또 블록판(1)을 고정시키게 되는 인장부재(14)가 연설되는 고정부재(10)를 고정시키게 되는 앙카보울트(16)가 옹벽면에 매설된 체결관(21)에 나삽되어 결속되게 한 것으로 블록판의 교체가 더욱 간편한 것이다. 그리고, 합성수지제 블록판(1)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직각 교차되는 보강돌조(2)(2')들이 돌설되어 자체의 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부에 적재되는 토사의 중량을 받아 고정부재(10)와 인장부재(14)에 전달하며, 각 블록판(1)의 보강돌조들은 동일 연직면 및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규칙적인 모양을 나타내므로 조경미를 더욱 돋보이게하고, 또 각 블록판(1) 간의 연접부위는 연접요홈(3)과 돌출부(4)가 상호 중첩계합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블록판(1) 사이로 토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블록판(1) 상면에는 스폰지(15)를 깔고 그 위에 토사를 적재하게 하였으므로 스폰지(15)가 수분을 항시 흡수 저장하여 토사에 공급하는 작용을 하게되어 식물성장을 촉진하는 한편 토사의 유실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블록판을 옹벽에 개개로 조립 설치되게 하여 설치는 물론 부분교체 수리가 간단하고도 용이하며, 녹화층이 장구히 보존되어 푸르고 아름다운 경관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저면의 사방주연부와 중간부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보강돌조(2)(2')가 돌설되고 양측단부에 연접요홈(3)과 돌출부(4)를 각각 형성시키고 판체의 후단연부와 중간부 적당위치에 고정부재삽통공(5)과 인장부재 삽통공(6)을 각각 형성한 합성수지제 블록판(1)과, 옹벽면에 앙카로 고정할 수 있게 앙카공(7)이 천공되고, 그 하측에는 핀공(8)과 고정키(17)가 삽지되는 걸림턱(9')을 형성한 돌편(9)이 교차방향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고정부재(10)와, 상단측에 고정부재(10)의 돌편(9)과 유착 연결할 수 있게 핀공(11)을 가진 연결부(1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핀공(13)을 천공시킨 한쌍의 인장부재(14)와, 블록판(1)의 상면에 깔수 있게된 스폰지(15)와로 구성되는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KR2019830006301U 1981-11-28 1983-07-18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KR830001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301U KR830001815Y1 (ko) 1981-11-28 1983-07-18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614 1981-11-28
KR2019830006301U KR830001815Y1 (ko) 1981-11-28 1983-07-18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614 Division 1981-11-28 1981-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15Y1 true KR830001815Y1 (ko) 1983-09-17

Family

ID=2662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301U KR830001815Y1 (ko) 1981-11-28 1983-07-18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8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041A (ko) * 2016-09-29 2019-04-29 정영호 도어용 피봇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041A (ko) * 2016-09-29 2019-04-29 정영호 도어용 피봇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2804B1 (en) A foundation element,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prefabricated structures including these elements, particularly prefabricated tunnels, and prefabricated structures made by these methods
KR100243401B1 (ko) 지하 매설관용 지지구조물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20100053270A (ko) 인장재와 프리캐스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보강구를 구비한 절토부 옹벽 및 그 시공방법
US20070284506A1 (en) Stay-in-place concrete footing forms
KR830001815Y1 (ko) 옹벽녹화용 합성수지제 블록
PT88987B (pt) Sistema de revestimentos para aterros
US3407714A (en) Apparatus for anchoring the margin of synthetic turf
JP2004100157A (ja) 擁壁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施工方法
KR2007000724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HU210631B (en) Railway body
JP2000034731A (ja) 木 柵
KR200436440Y1 (ko) 사다리형 금속 보강재 옹벽 블록
JPH0657756A (ja) 切土法面等の補強土工法
KR20050105768A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218881288U (zh) 一种装配式绿色建筑屋顶
KR1024943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CN215977363U (zh) 一种复合生态景观装配式挡土墙预制构件
CN216379542U (zh) 深厚砂层基坑自稳式双排围护结构
KR100308715B1 (ko) 비탈면 안정공법
ES2267472T3 (es) Procedimiento de refuerzo de un elemento de construccion.
JP2002256576A (ja) プレキャスト擁壁のブロック構造
JP2006138143A (ja) ブロック及びその固定方法
KR20060023600A (ko) 쏘일네일과 끼움틀을 이용한 조립식 사면 보강장치와 그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6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