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6346A - 도막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막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6346A
KR20240096346A KR1020230145618A KR20230145618A KR20240096346A KR 20240096346 A KR20240096346 A KR 20240096346A KR 1020230145618 A KR1020230145618 A KR 1020230145618A KR 20230145618 A KR20230145618 A KR 20230145618A KR 20240096346 A KR20240096346 A KR 2024009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uncured coating
drying
zon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하시모토
아츠시 오모토
노리아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9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6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52/00Sheets
    • B05D2252/02Sheets of indefinite length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장척 띠 형상의 기재(7)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기재(7)에 재료 용액을 도포해서 미경화 도막(8)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미경화 도막(8)이 형성된 상기 기재(7)를 건조존(Z3)으로 반송해서 상기 미경화 도막(8)을 건조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건조존(Z3)이, 상기 미경화 도막(8)을 풍건하는 풍건존(Z31)과, 상기 풍건존(Z31)의 상기 하류측에 설치된 존으로서 상기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차폐면부(4)가 설치된 건조 완화존(Z32)을 갖고, 상기 풍건존(Z31)이, 상기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을 따라 바람을 분사하고, 상기 기재(7)의 반송 속도 AS와 상기 바람의 풍속 BS가 1≤AS/BS≤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

Description

도막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OAT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에 임의의 도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도막의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장척 띠 형상의 기재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의 반송 도중에 상기 기재의 표면에 재료 용액을 도포해서 미경화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미경화 도막을 건조시킨 후, 상기 미경화 도막을 경화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점도가 0.05Pa·s∼500Pa·s인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한 후, 기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풍속 8m/sec∼50m/sec의 기체를 도막에 분사하여 건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점도의 도포액을 사용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에 상기 기체를 분사함으로써, 두께나 광학 기능의 균일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고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5-215210호 공보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도막의 표면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불균일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경화 도막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을 제조하는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한 도막의 제조 방법은, 장척 띠 형상의 기재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기재에 재료 용액을 도포해서 미경화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미경화 도막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건조존으로 반송해서 상기 미경화 도막을 건조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건조존이 상기 미경화 도막을 풍건하는 풍건존과, 상기 풍건존의 상기 하류측에 설치된 존으로서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차폐면부가 설치된 건조 완화존을 갖고, 상기 풍건존이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을 따라 바람을 분사하고, 상기 기재의 반송 속도 AS와 상기 바람의 풍속 BS가 1≤AS/BS≤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한 도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료 용액을 상기 기재에 도포하는 도포점부터 상기 차폐면부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기재의 반송 길이 L1이 0m를 초과하고 3m 이하이며, 상기 차폐면부가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으로부터 50mm 이상 150mm 이하의 간격 H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2가 0.5m 이상 2m 이하이며, 상기 미경화 도막의 두께 D와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2가 0.5≤D/L2≤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의한 도막의 제조 방법은, 장척 띠 형상의 기재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기재에 재료 용액을 도포해서 미경화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미경화 도막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건조존으로 반송해서 상기 미경화 도막을 건조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건조존이 상기 미경화 도막을 풍건하는 풍건존과, 상기 풍건존의 상기 하류측에 설치된 존으로서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차폐면부가 설치된 건조 완화존을 갖고, 상기 재료 용액을 상기 기재에 도포하는 도포점부터 상기 차폐면부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기재의 반송 길이 L1이 0m를 초과하고 3m 이하이며, 상기 차폐면부가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으로부터 50mm 이상 150mm 이하의 간격 H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2가 0.5m 이상 2m 이하이며, 상기 미경화 도막의 두께 D와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2가 0.5≤D/L2≤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의한 도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공정 후, 상기 미경화 도막을 경화시켜서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4 형태의 도막 및 기재 중 적어도 일방이 광학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미경화 도막에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을 갖는 필름은 광학 필름으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도막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략」이라는 표현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허용되는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한값 X 이상 상한값 Y 이하」로 나타내어지는 수치 범위가 별개로 복수 기재되어 있는 경우, 임의의 하한값과 임의의 상한값을 선택하고, 「임의의 하한값 이상 임의의 상한값 이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막의 제조 방법의 개요]
본 발명의 도막의 제조 방법(형성 방법)은, 장척 띠 형상의 기재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기재에 재료 용액을 도포해서 미경화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미경화 도막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건조존으로 반송해서 상기 미경화 도막을 건조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건조존이 상기 미경화 도막을 풍건하는 풍건존과, 상기 풍건존의 상기 하류측에 설치된 존으로서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차폐면부가 설치된 건조 완화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제 1 특징점은, 상기 풍건존이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측을 따른 소정 풍속의 바람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기재의 반송 속도 AS와 상기 바람의 풍속 BS가 1≤AS/BS≤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다(이하, 이것을 「제 1 특징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점은, 상기 재료 용액을 상기 기재에 도포하는 도포점부터 상기 차폐면부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기재의 반송 길이 L1이 0m를 초과하고 3m 이하이며, 상기 차폐면부가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으로부터 50mm 이상 150mm 이하의 간격 H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미경화 도막의 두께 D와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이 0.5≤D/L2≤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다(이하, 이것을 「제 2 특징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기재>
기재는, 평면으로 볼 때 형상의 관점에서는 장척 띠 형상이다. 상기 장척 띠 형상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보다 충분히 긴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장방형상을 말한다. 장척 띠 형상의 기재는 통상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서 보관·운반된다. 롤 형상으로 감긴 기재는 거기에 도막을 형성할 때에 길이 방향으로 권출된다.
층 구성의 관점에서는, 기재의 층 구성은 단층이어도 좋고, 또는 복층이어도 좋다. 기재가 복층일 경우, 그 층수는 2 이상이며, 그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10 이하이다.
단층의 기재는 광학 기능을 갖는 필름(이하, 광학 기능 필름이라고 한다), 또는 광학 기능 필름 이외의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학 기능 필름으로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광확산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반사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특정한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편광)을 투과하고, 그 이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차단하는 성질을 갖는 필름이다. 위상차 필름은 광학이방성을 나타내는 필름이며, 대표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연신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기능 필름 이외의 필름으로서는 무색 투명한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복층의 기재는, 광학 기능 필름이 복수 적층된 적층 필름, 광학 기능 필름 이외의 필름이 복수 적층된 적층 필름, 1층 또는 복수층의 광학 기능 필름과 1층 또는 복수층의 광학 기능 필름 이외의 필름이 적층된 적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50㎛ 이상 300㎛ 이하이다.
<재료 용액>
재료 용액은 도막의 형성 재료이다. 재료 용액은 형성하는 도막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된다.
재료 용액은 유효 성분과, 상기 유효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용매를 포함한다.
유효 성분은 도막을 형성하는 성분이며, 각종 폴리머나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광학 기능을 갖는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재료 용액의 유효 성분으로서 광학 기능을 발현하는 유효 성분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재료 용액이 사용된다.
상기 폴리머는, 경화 형태에 따라서 예시하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 용매 휘발형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이나 열경화형 등의 반응형 폴리머는 활성 에너지선(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나 열 등에 의해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가 중합하고 폴리머화해서 경화한다. 또한, 반응형 폴리머는, 경화 전(반응 전)에는 일반적으로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상태이지만, 이 경화 전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도 편의상 반응형 폴리머라고 한다. 상기 용매 휘발형 폴리머는, 용매가 휘발함으로써 폴리머끼리의 얽힘이나 배향 등에 의해 경화한다.
용매는, 상기 유효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액상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매로서는, 크게 나누어 유기 용제 등의 소수성 용매; 물; 친수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용매는 물에 대략 균일하게 용해하는 용매이며, 예를 들면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는 이들에서 선택되는 1종 단독이거나,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용매는 상기 유기 용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친수성 용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병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재료 용액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폴리머와, 이것을 용해시키는 용매와, 필요에 따라서 적량 배합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폴리머는 전자선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 가시광선 경화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폴리머는, 경화의 메커니즘의 관점에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라디칼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단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또는 2관능 이상의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자외선 개열 또는 가시광선 개열의 중합 개시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화합물, 방향족 케톤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방향족 케탈계 화합물,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1개 갖는 단관능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 분자 내에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로서는,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비닐에테르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타닐기를 갖는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양이온 중합 개시제가 배합된다. 이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고,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의 에폭시기 등과 중합 반응을 개시한다.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광산 발생제와 광염기 발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재료 용액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너무 작거나 또는 크면, 재료 용액을 기재에 도포할 때에 도포 불균일을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재료 용액의 23℃에서의 점도는, 예를 들면 0.002Pa·s 이상 1.0Pa·s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1Pa·s 이상 0.5Pa·s 이하이다. 상기 점도 범위의 재료 용액은 주로 용매량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재료 용액의 점도는 25℃에서 시판의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한 값을 말한다.
[도막 제조 장치 및 도막의 제조 방법]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도막 제조 장치(9)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은 도막 제조 장치(9)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는 도막 제조 장치(9)의 건조존(Z3)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III-III선 및 IV-IV선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풍건존(Z31)만을 나타내고, 도 4에 있어서는 건조 완화존(Z32)만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막 제조 장치 및 도막의 제조 방법의 설명상, 기재의 길이 방향을 「반송 방향」이라고 하고, 기재가 이송되는 측을 「반송 방향 하류측」 또는 「하류측」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반송 방향 상류측」 또는 「상류측」이라고 한다. 기재의 폭 방향은 기재의 면내에 있어서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도막 제조 장치(9)는, 구역별로 나누면,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롤 형상으로 감긴 기재를 권출하는 권출존(Z1)과, 상기 기재의 표면에 재료 용액을 도포해서 미경화 도막을 형성하는 도포존(Z2)과, 상기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미경화 도막을 건조하는 건조존(Z3)과, 상기 건조 후의 미경화 도막을 경화시켜서 도막을 형성하는 경화존(Z4)과, 상기 도막(경화 완료된 도막)을 갖는 기재를 권취하는 권취존(Z5)을 갖는다.
건조존(Z3)은,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미경화 도막을 풍건하는 풍건존(Z31)과, 상기 미경화 도막의 건조를 허용하면서 그 급격한 건조를 방지하는 건조 완화존(Z32)과, 상기 미경화 도막을 열에 의해 건조하는 열건조존(Z33)을 갖는다. 상기 열건조존(Z33)은 필요에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각 존 사이에 임의의 처리를 행하는 존을 갖고 있어도 좋다(도시 생략). 상기 임의의 처리로서는, (a) 기재에 임의의 필름을 적층한다, (b) 기재로부터 임의의 필름을 박리한다, (c) 기재에 임의의 층을 형성한다, (d) 기재를 연신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권출존(Z1)과 도포존(Z2) 사이에, 기재로부터 임의의 필름을 박리하는 존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경화존(Z4)과 권취존(Z5) 사이에, 기재에 임의의 필름을 접합하는 존을 갖고 있어도 좋다.
기계적인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도막 제조 장치(9)는 권출부(11)로부터 권취부(12)까지 기재(7)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1)와, 재료 용액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2)와, 미경화 도막(8)에 바람을 분사하는 송풍 장치(3)와, 미경화 도막(8)의 건조를 완화하는 차폐면부(4)와, 미경화 도막(8)에 열건조하는 열건조 장치(5)와, 미경화 도막(8)을 경화시키는 경화 장치(6)를 갖는다.
<권출존, 권취존 및 반송 장치>
권출존(Z1)은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고, 권취존(Z5)은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권출존(Z1)에 설치된 권출부(11)에 롤 형상으로 감긴 기재(7)가 장전되어 있다. 권출부(11)에 장전된 기재(7)는 반송 장치(1)에 의해 권출되고, 도포존(Z2), 건조존(Z3), 경화존(Z4)으로 순서대로 반송된 후, 권취존(Z5)에 설치된 권취부(12)에 권취된다.
반송 장치(1)는 종래 공지의 것이고, 구동 롤이나 가이드 롤 등을 갖는다. 반송 장치(1)는 장척 띠 형상의 기재(7)를 소정의 반송 속도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한다. 기재(7)의 반송 속도 AS[m/min]는 적절히 설정되고, 예를 들면 5m/min 이상 40m/min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m/min 이상 35m/min 이하이다.
<도포존 및 미경화 도막의 형성 공정>
도포존(Z2)에는 도포 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도포존(Z2)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1)는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기재(7)의 표면에 재료 용액을 연속적으로 도포한다. 재료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기재(7)의 표면에 미경화 도막(8)이 형성된다(형성 공정).
기재(7) 상에 도포된 박막 형상의 재료 용액이 미경화 도막(8)이다. 미경화 도막(8)은 기재(7)의 표면의 대략 전체에 형성된다.
도포 장치(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포 장치(2)로서는, 다이 코터, 그라비어 코터, 리버스 코터, 바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다이 코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1㎛ 이상 5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30㎛ 이하이다.
<건조존 및 건조 공정>
건조존(Z3)에 있어서, 미경화 도막(8) 중에 포함되는 여분의 용매를 휘발시켜, 미경화 도막(8)을 건조한다(건조 공정).
도시예의 건조존(Z3)은 풍건존(Z31)과, 건조 완화존(Z32)과, 열건조존(Z33)을 갖는다.
(풍건존)
풍건존(Z31)에는 송풍 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 장치(3)는 기재(7)에 형성된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바람을 분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바람은 어느 방향을 향해서 움직이는 기체의 흐름을 말한다. 송풍 장치(3)는 강제적으로 바람을 생기게 하고, 그것을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작용시킨다. 송풍 장치(3)는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한 바람을 분사한다.
송풍 장치(3)는 상기 도포 장치(2)와 후술하는 차폐면부(4) 사이의 존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장치(3)는 도막 제조 장치(9)의 프레임(도시 생략) 등에 고정되어 있다.
송풍 장치(3)는 블로어 등의 송풍기(도시 생략)와,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31)를 갖는 노즐부(32)와, 상기 송풍기와 노즐부(32)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33)(일부를 생략)을 갖는다.
상기 노즐부(32)의 분출구(31)는, 반송되는 기재(7)의 미경화 도막(8)의 표면측을 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32)의 분출구(31)는 기재(7)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개구여도 좋고, 또는 스폿적인 점 형상의 개구여도 좋다. 분출구가 점 형상의 개구인 경우, 기재(7)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노즐부가 배치된다(도시 생략). 도시예의 노즐부(32)의 분출구(31)는 슬릿 형상이며(도 3 참조), 기재(7)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분출구(31)의 폭(기재(7)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분출구(31)의 길이)은 기재(7)의 폭(기재(7)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작아도 좋다. 미경화 도막(8)의 표면 전체에 대략 균등하게 바람을 분사하기 위해서, 도시예와 같이, 분출구(31)의 폭은 기재(7)의 폭보다 크거나 또는 기재(7)의 폭과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7)의 폭보다 큰 분출구(31)인 경우, 분출구(31)의 폭 방향 양 단부가 기재(7)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송풍 장치(3)에 의한 바람의 분출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도가 너무 크면,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측을 따른 바람을 분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의 분출 각도 θ는 45도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이다. 또한, 바람의 분출 각도 θ의 하한은 0도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이다.
바람의 분출 각도 θ는, 도 1에 나타내는 측면으로 볼 때, 바람의 방향과 미경화 도막(8)이 이루는 내각이다. 또한, 분출구(31)로부터 나온 바람은 퍼지므로, 상기 바람의 방향은 미경화 도막(8)의 표면의 설계상의 개소 P2(설계상의 개소 P2는, 미경화 도막(8)의 표면의 어느 개소에 바람의 중심을 맞히는 것을 의도하여, 풍건 장치의 풍향을 설계할 때의 개소를 말한다)와 분출구(31)를 연결한 방향을 말한다.
상기 설계상의 개소 P2는, 후술하는 차폐면부(4)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이다. 송풍 장치(3)에 의한 바람이 차폐면부(4)와 미경화 도막(8)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기 설계상의 개소 P2는, 예를 들면 차폐면부(4)의 전단(4a)으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20cm 이상 300cm 이하의 범위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차폐면부(4)의 전단(4a)으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50cm 이상 150cm 이하의 범위가 된다. 즉, 바람을 맞히는 설계상의 개소 P2와 차폐면부(4)의 전단(4a)의 길이 L3(도 1 참조)이 상기 범위가 된다.
상기 바람의 풍속 BS[m/sec]는 적절히 설정된다. 풍건존(Z31)에서의 풍건에 의해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송풍 장치(3)에 의한 풍속 BS[m/sec]는 기재(7)의 반송 속도 AS[m/min]와의 관계를 고려해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재(7)의 반송 속도 AS[m/min]와 바람의 풍속 BS[m/sec]가 1≤AS/BS≤50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반송되는 기재(7)의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바람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7)의 반송 속도 AS[m/min]와 바람의 풍속 BS[m/sec]가 2≤AS/BS≤50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반송되는 기재(7)의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바람을 분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풍속 BS의 구체적인 값은, 예를 들면 0.3m/sec 이상 50m/sec 이하이다.
또한, 상기 송풍 장치(3)로부터의 바람은, 특별히 가열 등이 행하여지지 않고, 상기 바람의 온도는, 도막 제조 장치(9)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분위기 온도이다. 송풍 장치(3)로부터 분출되는 기체(바람)는 임의이고, 예를 들면 도막 제조 장치(9)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분위기 등이다.
(건조 완화존)
건조 완화존(Z32)에는 차폐면부(4)가 설치되어 있다. 차폐면부(4)는 기재(7)와 협동하여, 상기 차폐면부(4)와 미경화 도막(8) 사이에, 휘발한 용매가 고농도로 체류하는 공간(S)을 구획한다. 차폐면부(4)에 의해 미경화 도막(8)과의 사이에 상기 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미경화 도막(8)의 건조(용매의 휘발)를 허용하면서 그 급격한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건조를 허용하면서 급격한 건조를 방지하는 것을 「건조 완화」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휘발은 미경화 도막(8) 중의 용매가 기화해서 미경화 도막(8)으로부터 발출되는 것을 말한다.
차폐면부(4)는 반송되는 기재(7)의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차폐면부(4)는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차폐면부(4)와 미경화 도막(8)의 표면의 간격 H는 적절히 설정된다. 이 간격 H는, 휘발한 용매가 고농도로 체류하는 공간(S)의 크기에 영향을 주고 있고, 그것이 너무 크면, 차폐면부(4)를 설치한 의의가 없고, 그것이 너무 작으면, 상기 공간(S) 내에 있어서 휘발한 용매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폐면부(4)와 미경화 도막(8)의 표면의 간격 H는 50mm 이상 150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70mm 이상 120mm 이하이다.
차폐면부(4)는, 상기 간격 H를 가지면서 미경화 도막(8)을 덮는 면을 갖고 있으면, 그 전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예에서는, 차폐면부(4)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판 형상의 부재(41)가 사용되고 있다. 이 판 형상의 부재(41)의 일방면이 차폐면부(4)를 구성하고 있다. 차폐면부(4)(예를 들면 판 형상의 부재(41))의 형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경질 수지,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차폐면부(4)는, 물결 형상 등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도시예에서는, 차폐면부(4)는 평탄 형상이다. 또한, 차폐면부(4)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간격 H를 확정할 때의 차폐면부(4)의 기준은, 그 차폐면부(4)의 요철을 평균화한 평면을 기준으로 한다. 차폐면부(4)는 미경화 도막(8)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차폐면부(4)는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차폐면부(4)가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우, 상기 간격 H는 평균값으로 한다.
차폐면부(4)는, 상기 송풍 장치(3)와 후술하는 열건조 장치(5) 사이의 존에 배치되어 있다. 차폐면부(4)는, 도막 제조 장치(9)의 프레임(도시 생략) 등에 고정되어 있다. 차폐면부(4)는, 특별히 가열 등이 행하여지지 않고, 차폐면부(4) 그 자체의 온도는, 도막 제조 장치(9)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분위기 온도이다.
차폐면부(4)의 배치는 적절히 설정된다. 차폐면부(4)는, 그 전단(4a)이 도포 장치(2)에 의한 재료 용액의 도포점 P1로부터 하류측으로 3m 이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풍건존(Z31)에 의한 미경화 도막(8)의 풍건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차폐면부(4)의 전단(4a)은,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기재(7)가 차폐면부(4) 중 최초로 도달하는 단부이다. 또한, 상기 도포점 P1은, 기재(7)의 표면에 재료 용액이 부착되기 시작하는 개소를 말한다. 상기 차폐면부(4)의 전단(4a)이 도포점 P1로부터 하류측으로 3m 이하에 위치한다란, 상기 도포점 P1로부터 상기 차폐면부(4)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기재(7)의 반송 길이 L1과 동일한 의미이다. 따라서, 그 기재(7)의 반송 길이 L1이 0m를 초과하고 3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7)의 반송 길이 L1은 1m 이상 2.5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폐면부(4)의 폭(기재(7)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차폐면부(4)의 길이)은 기재(7)의 폭보다 작아도 좋다. 미경화 도막(8)의 전체에 걸쳐서 균등한 건조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점에서, 차폐면부(4)의 폭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7)의 폭보다 크거나 또는 기재(7)의 폭과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7)의 폭보다 큰 차폐면부(4)의 경우, 차폐면부(4)의 폭 방향 양 단부가 기재(7)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차폐면부(4)의 전단(4a), 후단(4b) 및 양 측단(4c, 4d)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단과 미경화 도막(8) 사이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차폐면부(4)의 둘레단(전단(4a), 후단(4b) 및 양 측단(4c, 4d))과 미경화 도막(8) 사이는 개방되어 있다. 차폐면부(4)의 적어도 1개의 단과 미경화 도막(8) 사이가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그 개방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용매가 확산된다. 이 때문에, 차폐면부(4)와 미경화 도막(8) 사이의 공간(S)의 용매 농도가 포화량에 도달하는 일없이, 그 공간(S)에 있어서 건조 완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차폐면부(4)의 길이 L2(기재(7)의 반송 방향에 대응하는 차폐면부(4)의 길이)는 적절히 설정된다. 건조 완화의 관점에서, 차폐면부(4)의 길이 L2는,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와의 관계를 고려해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하게는,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가 크면 상대적으로 미경화 도막(8)으로부터의 용매의 휘발량이 크고,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가 작으면 용매의 휘발량은 작다.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가 클 경우에는, 그것에 대응해서 차폐면부(4)의 길이 L2를 크게 함으로써, 건조 완화존(Z32)에 있어서 적절한 양의 용매를 휘발시킬 수 있다. 한편,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가 작을 경우에는, 그것에 대응해서 차폐면부(4)의 길이 L2를 작게 함으로써, 건조 완화존(Z32)에 있어서 적절한 양의 용매를 휘발시킬 수 있다. 즉,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에 대응해서 차폐면부(4)의 길이 L2의 장단을 설정함으로써, 건조 완화존(Z32)에 있어서,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에 구애받지 않고, 용매를 급격히 휘발시키는 일없이, 적절한 양의 용매를 휘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와 차폐면부(4)의 길이 L2[m]는 0.5≤D/L2≤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와 차폐면부(4)의 길이 L2[m]는 0.8≤D/L2≤3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D/L2≤1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면부(4)의 길이 L2의 구체적인 값은 0.5m 이상 2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m 이상 1.7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건조존)
열건조존(Z33)에는, 열에 의해 미경화 도막(8)을 건조하는 열건조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열건조 장치(5)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븐, 온풍을 분사하는 히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7)를 열건조존(Z33)에 통과시킴으로써, 미경화 도막(8) 중의 용매를 충분히 휘발시킬 수 있다.
<경화존 및 경화 공정>
경화존(Z4)에 있어서, 미경화 도막(8)을 경화시킨다(경화 공정). 이것에 의해, 기재(7)의 표면에 도막(81)(경화 후의 도막(81))이 형성된다.
경화존(Z4)에는 경화 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경화 장치(6)는 재료 용액의 경화 형태에 준한 적절한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재료 용액이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인 경우, 경화 장치(6)로서,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재료 용액이 열경화형인 경우, 경화 장치(6)로서, 가열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열건조존(Z33)의 열에 의해 열경화형의 재료가 경화하는 경우에는 경화 장치(6)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재료 용액이 용매 휘발형인 경우, 상기 열건조존(Z33)에 있어서 미경화 도막(8)이 경화하므로, 경화 장치(6)는 생략된다.
도막이 형성된 기재(7)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 처리가 행하여진 후, 권취부(12)에 권취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81)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미경화 도막(8)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불균일(스트라이프 형상의 볼록 또는 오목)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 있다.
즉, 기재(7)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하면, 미경화 도막(8)의 표면은 그것과 반대를 향한 바람을 받는다. 이 바람은, 기재(7)의 반송에 따라 기재(7)의 표면(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생기는,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한 기체의 흐름이다(이하, 「반송 기류」라고 한다). 도 1에 있어서, 반송 기류의 방향을 흰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이 반송 기류의 강도는 기재(7)의 반송 속도 AS에 비례한다. 또한, 반송 장치(1)의 진동이나 도막 제조 장치(9)의 설치 장소의 분위기(예를 들면, 설치 장소의 공조 설비) 등의 요인으로, 상기 기재(7)의 표면에 작용하는 반송 기류는, 일률적으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한 기체의 흐름이 아니라, 여기저기에서 강약을 생기게 하거나 또는 방향을 미묘하게 변하게 하는 등의 흐트러짐을 생기게 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반송 기류의 흐트러짐은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불균일을 생기게 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풍건존(Z31)은 제 1 특징점을 갖고 있다. 풍건존(Z31)에서, 1≤AS/BS≤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또한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측을 따라 바람을 미경화 도막(8)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송 기류의 흐트러짐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바람을 분사하므로, 미경화 도막(8) 중의 용매의 휘발을 촉진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풍건에 의해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건조를 촉진해도, 미경화 도막(8)은 충분히 건조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풍건존(Z31) 후, 반송 기류에 의해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불균일이 생길 우려가 있다. 특히, 바람을 분사하여 건조가 촉진된 직후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바람을 분사하지 않아도 용매가 휘발하기 쉬운 상태에 있다. 이 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풍건존(Z31)을 반송한 직후에, 제 2 특징점을 갖는 건조 완화존(Z32)으로 기재(7)를 반송하고 있다. 제 2 특징점에 의해, 건조 완화존(Z32)에는, 차폐면부(4)와 미경화 도막(8)의 표면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된다. 이 공간(S) 내에서는 기재(7)의 미경화 도막(8)으로부터 용매가 휘발하지만, 상기 차폐면부(4)에 의해 칸막이된 공간(S) 내에 있어서는 용매 농도가 높아지므로, 용매가 급격하게 휘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급격한 건조를 방지하는 건조 완화존(Z32)을 설치함으로써, 풍건 후, 아직 불안정한 미경화 도막(8)이 천천히 건조되어,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기타]
상기 도막 제조 장치 및 도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특징점을 갖는 풍건존(Z31)과 제 2 특징점을 갖는 건조 완화존(Z32) 쌍방을 설치하고 있지만, 제 1 특징점 또는 제 2 특징점 중 어느 하나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도시 생략). 예를 들면, 제 1 특징점을 갖지 않는 풍건존과 제 2 특징점을 갖는 건조 완화존(Z32)으로, 미경화 도막(8)이 형성된 기재(7)를 반송해도 좋다. 예를 들면, 풍건존에 있어서 송풍 장치로 강제적인 바람을 분사하지 않고 기재(7)를 반송한 후(이 경우의 풍건존에서는, 기재(7)의 반송에 따르는 반송 기류가 미경화 도막(8)의 표면에 작용하고 있다), 제 2 특징점을 갖는 건조 완화존(Z32)으로 기재(7)를 반송해도 좋다. 또는, 풍건존에 있어서 송풍 장치(3)에서 제 1 특징점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바람을 미경화 도막(8)에 분사한 후, 제 2 특징점을 갖는 건조 완화존(Z32)으로 기재(7)를 반송해도 좋다. 또는, 제 1 특징점을 갖는 풍건존(Z31)으로 기재(7)를 반송한 후, 제 2 특징점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차폐면부를 갖는 건조 완화존으로 기재(7)를 반송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
기재는, 두께 6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 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TG60UL」)을 사용했다.
[재료 용액]
재료 용액은 유기 용제(메틸이소부틸케톤)에 자외선 경화형 폴리머(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오사카 유키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비스코트 #300」)을 사용했다. 이 재료 용액의 점도는 25℃에서 0.007Pa·s였다. 상기 점도는 25도에서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도막 제조 장치(9)를 사용했다. 제조 장치의 각 설정은 다음과 같이 했다.
도포 장치(2): 다이 코터.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 15㎛.
송풍 장치(3)의 바람의 분출 각도 θ: 15도.
바람을 맞히는 개소 P2(길이 L3): 100cm.
기재(7)의 반송 속도 AS: 30m/min.
풍속 BS: 1m/sec.
반송 길이 L1: 2m.
차폐면부(4)와 미경화 도막(8)의 간격 H: 100mm.
차폐면부(4)의 길이 L2: 1.5m.
열건조 장치(5): 60℃∼80℃의 오븐.
경화 장치(6): 자외선 조사 장치.
기재(7)를 상기 속도 AS로 반송하고, 도포 장치(2)로 기재(7)의 표면에 두께 D의 미경화 도막(8)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그 기재(7)를 풍건존(Z31), 건조 완화존(Z32) 및 열건조존(Z33)으로 순서대로 반송하고, 경화 장치(6)로 미경화 도막(8)을 경화시킴으로써, 실시예 1의 도막을 얻었다.
도막(경화 후의 도막)의 표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도막 표면의 상태의 난의 「○」는 불균일 형상의 헤이즈를 시인할 수 없는 레벨이었던 것을 나타내고, 「△」는 불균일 형상의 헤이즈를 조금 시인할 수 있었지만, 디스플레이의 표시 품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이었던 것을 나타내고, 「×」는 불균일 무늬를 강하게 시인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의 표시 품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레벨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헤이즈」란, 투명 필름에 있어서, 투명한 부분과 백탁을 시인할 수 있는 부분이 랜덤으로 발생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표 1의 AS/BS의 난 중 소수점이 생긴 수치는 소수점 2자리를 사사오입하고 있다.
[실시예 2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11]
기재(7)의 반송 속도 AS, 풍속 BS, 반송 길이 L1, 간격 H, 차폐면부(4)의 길이 L2, 및 미경화 도막(8)의 두께 D 중 몇 개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도막을 형성했다. 또한, 비교예 11은 차폐면부를 설치하지 않았다.
그들 도막의 표면 상태의 관찰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4: 차폐면부
7: 기재
8: 미경화 도막
9: 도막 제조 장치
P1: 재료 용액의 도포점
L1: 기재의 반송 길이
L2: 차폐면부의 길이
Z2: 도포존
Z3: 건조존
Z31: 풍건존
Z32: 건조 완화존

Claims (5)

  1. 장척 띠 형상의 기재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기재에 재료 용액을 도포해서 미경화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미경화 도막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건조존으로 반송해서 상기 미경화 도막을 건조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건조존이, 상기 미경화 도막을 풍건하는 풍건존과, 상기 풍건존의 상기 하류측에 설치된 존으로서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차폐면부가 설치된 건조 완화존을 갖고,
    상기 풍건존이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을 따라 바람을 분사하고,
    상기 기재의 반송 속도 AS와 상기 바람의 풍속 BS가 1≤AS/BS≤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도막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용액을 상기 기재에 도포하는 도포점부터 상기 차폐면부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기재의 반송 길이 L1이 0m를 초과하고 3m 이하이며,
    상기 차폐면부가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으로부터 50mm 이상 150mm 이하의 간격 H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2가 0.5m 이상 2m 이하이며,
    상기 미경화 도막의 두께 D와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2가 0.5≤D/L2≤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도막의 제조 방법.
  3. 장척 띠 형상의 기재를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기재에 재료 용액을 도포해서 미경화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미경화 도막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건조존으로 반송해서 상기 미경화 도막을 건조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건조존이, 상기 미경화 도막을 풍건하는 풍건존과, 상기 풍건존의 상기 하류측에 설치된 존으로서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차폐면부가 설치된 건조 완화존을 갖고,
    상기 재료 용액을 상기 기재에 도포하는 도포점부터 상기 차폐면부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기재의 반송 길이 L1이 0m를 초과하고 3m 이하이며,
    상기 차폐면부가 상기 미경화 도막의 표면으로부터 50mm 이상 150mm 이하의 간격 H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2가 0.5m 이상 2m 이하이며,
    상기 미경화 도막의 두께 D와 상기 차폐면부의 길이 L2가 0.5≤D/L2≤5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도막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공정 후, 상기 미경화 도막을 경화시켜서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도막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기재된 상기 도막 및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일방이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30145618A 2022-12-19 2023-10-27 도막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400963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202149 2022-12-19
JP2022202149A JP2024087360A (ja) 2022-12-19 2022-12-19 塗膜の製造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6346A true KR20240096346A (ko) 2024-06-26

Family

ID=9151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5618A KR20240096346A (ko) 2022-12-19 2023-10-27 도막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87360A (ko)
KR (1) KR20240096346A (ko)
CN (1) CN1182182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210A (ja) 2004-01-28 2005-08-11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210A (ja) 2004-01-28 2005-08-11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87360A (ja) 2024-07-01
CN118218216A (zh) 202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22742B (zh) 一种用于在衬底上打印的方法
JP2004151642A (ja) 防眩層の形成方法、防眩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防眩層形成用の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6111060B2 (ja) 初期乾燥装置および初期乾燥方法
US2018016211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film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d film
JP2004325861A (ja) 光拡散層の形成方法、光拡散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光拡散層形成用のインクジェット装置
US20110240211A1 (en)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film
JP5752475B2 (ja) 塗工膜の乾燥方法及び積層体製造システム
KR20240096346A (ko) 도막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5147291B2 (ja) 乾燥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269193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302300A (ja) 塗布膜の乾燥装置および乾燥方法、それらを用いた塗布物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523574B2 (ja) 塗工フイルムの製造方法
TW202426984A (zh) 塗膜之製造方法及光學薄膜之製造方法
JP4121324B2 (ja) 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JP4881750B2 (ja) 塗布膜の形成方法及び形成装置
JP5918419B2 (ja) 塗工膜の乾燥方法及び積層体製造システム
JP5781464B2 (ja) 塗膜付き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269192A (ja)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積層フィルム、積層シート
JP2011173093A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034620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860918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ing film
JP2010070309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335720B2 (ja) 機能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2469508B (zh) 层叠体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JP7200038B2 (ja)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製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