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294A - 양말 - Google Patents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294A
KR20230167294A KR1020230032887A KR20230032887A KR20230167294A KR 20230167294 A KR20230167294 A KR 20230167294A KR 1020230032887 A KR1020230032887 A KR 1020230032887A KR 20230032887 A KR20230032887 A KR 20230032887A KR 20230167294 A KR20230167294 A KR 20230167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
body portion
ankle
shows
ankle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히코 토도코
케이지 츠보우치
마사요 오보시
타츠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데상트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상트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상트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2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과제) 발바닥의 아치 구조를 서포트할 수 있고, 또한 발을 과도하게 조르지 않는 양말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발등측의 상면과, 발바닥측의 저면과, 발 내측의 내측면과, 발 외측의 외측면을 갖는 양말(11)로서, 양말(11)은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2)보다 신장 응력이 큰 고 긴체부(13)를 갖고, 고 긴체부(13)는 상면을 기점으로 외측면, 저면, 내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거나, 또는 상면을 기점으로 내측면, 저면, 외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양말{SOCKS}
본 발명은 양말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발바닥에는 뼈, 족저건막, 족저근군에 의해,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아치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의 아치 구조에는 종골(B1)로부터 제 1 중족골(B2)에 걸쳐서 아치를 형성하는 내측 세로 아치와, 종골(B1)로부터 제 5 중족골(B3)에 걸쳐서 아치를 형성하는 외측 세로 아치가 포함되고, 가로 방향의 아치 구조에는 제 1 중족골(B2)로부터 제 5 중족골(B3)에 걸쳐서 아치를 형성하는 가로 아치가 포함된다. 이들 발바닥의 아치 구조는 보행 접지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의 역활을 함과 아울러, 아치 구조의 상하동이 발바닥의 스텝백 동작을 서포트해서 스프링으로 되어 보행시의 추진력에 기여한다.
한편, 장시간 걷거나 달리거나 하면, 족저건막이나 족저근군의 텐션이 약해져서 발바닥의 아치 구조의 서포트가 불충분하게 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발의 충격 흡수 능력이 저하되어 발의 피로나 발의 부상을 초래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발바닥의 아치 구조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 발바닥의 아치 구조를 서포트하기 위한 양말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일본 특허공개 2014-1999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15576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348406호 공보
특허문헌 1∼3에 개시되는 양말은 발바닥부에 긴체력이나 탄성력을 높인 조임부나 서포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나 서포트부가 발등부나 발목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발등부나 발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용 문헌 1∼3의 양말은 이렇게 조임부나 서포트부가 형성됨으로써, 발바닥의 아치 구조가 서포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발바닥 이외의 부분, 예를 들면 발등부나 발목부에서는 조임부나 서포트부에 의해 발등 둘레나 발목 둘레가 과도하게 조여질 우려가 있고, 이것에 의해 발의 피로를 초래하거나, 발목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그 결과, 양말의 착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발바닥의 아치 구조를 서포트할 수 있고, 또한 발을 과도하게 조르지 않는 양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제공한다.
[1]발등측의 상면과, 발바닥측의 저면과, 발 내측의 내측면과, 발 외측의 외측면을 갖는 양말로서, 양말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보다 신장 응력이 큰 고 긴체부를 갖고, 고 긴체부는 상면을 기점으로 외측면, 저면, 내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양말.
[2]고 긴체부는 저면에 있어서, 모지구의(母趾球)의 중심 및 소지구(小趾球)의 중심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양말.
[3]고 긴체부는 상면을 기점으로 외측면, 저면, 내측면, 발목 둘레의 전방측, 발목 둘레의 외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양말.
[4]고 긴체부는 상면을 기점으로 외측면, 저면, 내측면, 발목 둘레의 내측,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양말.
[5]고 긴체부는 저면에 있어서, 후방 또한 내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양말.
[6]양말은 저면의 전후 방향의 신장 응력이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보다 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양말.
상기 실시형태의 양말에 의하면, 고 긴체부에 의해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가 서포트되고, 발의 외반이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고 긴체부에 의해 발이 과도하게 조여지지 않아 양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도 제공한다.
[7]발등측의 상면과, 발바닥측의 저면과, 발 내측의 내측면과, 발 외측의 외측면을 갖는 양말로서, 양말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보다 신장 응력이 큰 고 긴체부를 갖고, 고 긴체부는 상면을 기점으로 내측면, 저면, 외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양말.
[8]고 긴체부는 저면에 있어서, 모지구의 중심 및 소지구의 중심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7]에 기재된 양말.
[9]고 긴체부는 상면을 기점으로 내측면, 저면, 외측면, 발목 둘레의 전방측, 발목 둘레의 내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7] 또는 [8]에 기재된 양말.
[10]고 긴체부는 상면을 기점으로 내측면, 저면, 외측면, 발목 둘레의 외측,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7] 또는 [8]에 기재된 양말.
[11]고 긴체부는 저면에 있어서, 후방 또한 외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양말.
[12]양말은 저면의 전후 방향의 신장 응력이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보다 큰 [7]∼[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양말.
상기 실시형태의 양말에 의하면, 고 긴체부에 의해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가 서포트되어 발의 내반이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발목의 내반 염좌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고 긴체부에 의해 발이 과도하게 조여지지 않아 양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말에 의하면, 발바닥의 아치 구조를 서포트하면서, 발을 과도하게 조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1(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2(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2(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3(a)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4(a)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4(c)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발끝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4(d)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개구부측(발을 끼워넣는 부분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5(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6(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6(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7(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7(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8(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8(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9(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9(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10(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0(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11(a)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1(b)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12(a)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2(b)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2(c)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발끝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2(d)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13(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3(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14(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4(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15(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5(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6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고, 도 16(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6(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7은 사람 발의 골격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양말은 양말의 저면을 포함하는 부분에 고 긴체부가 형성된 것이며, 고 긴체부에 의해 발바닥의 아치 구조가 서포트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바닥의 아치 구조에는 종골(B1)로부터 제 1 중족골(B2)에 걸쳐서 아치를 형성하는 내측 세로 아치와, 종골(B1)로부터 제 5 중족골(B3)에 걸쳐서 아치를 형성하는 외측 세로 아치가 포함되지만, 본 발명의 양말은 발바닥의 아치 구조 중 내측 세로 아치 또는 외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하도록 고 긴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발바닥에 있어서, 내측 세로 아치의 아치 구조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게 되면, 착지시의 탄력성을 발휘하는 쿠션의 역할(스프링 서포트)이 없어지고, 충격 흡수를 잘 할 수 없어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또한, 종골이 내측으로 기울어져서 발에 잘 체중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몸이 불안정하게 되어 발의 외반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대해서 내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하도록 고 긴체부가 형성되는 경우는 발바닥 장심 부분의 아치 구조가 항상적으로 서포트되기 쉬워져서 발의 외반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양말은 강도가 낮은 운동을 행할 때나 일상의 동작을 행할 때에 착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된다.
한편, 발바닥에 있어서, 외측 세로 아치의 아치 구조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게 되면, 발의 내반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발목의 내반 염좌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외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하도록 고 긴체부가 형성되는 경우는 발목의 내반 염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러한 양말은 내반 염좌의 부상이 많은 운동 강도가 높은 스포츠를 행할 때에 착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양말은 상기와 같이 고 긴체부가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 또는 외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하도록 형성된 뒤에, 고 긴체부가 발등 둘레나 발목 둘레를 과도하게 조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 긴체부가, 발의 발끝측으로부터 발뒤꿈치측을 향해서 발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면서, 발등 둘레나 발목 둘레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상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고 긴체부에 의해 발가락이 과도하게 조여지지 않아 양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처음부터 하기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고,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추가해서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도 1∼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은 고 긴체부에 의해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가 서포트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도 4에는 오른발용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고, 왼발용의 양말은 오른발용의 양말을 거울에 비춘 것 같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착용 상태의 제 1 실시형태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2(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2(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제 1 실시형태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3(a)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배면도)을 나타내고, 도 3(b)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정면도)을 나타내고, 도 4(a)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좌측면도)을 나타내고, 도 4(b)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우측면도)을 나타내고, 도 4(c)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발끝측으로부터 본 도면(평면도)을 나타내고, 도 4(d)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도면(저면도)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서는 고 긴체부를 사선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양말(11)은 발등측의 상면과, 발바닥측의 저면과, 발 내측의 내측면과, 발 외측의 외측면을 갖는다. 양말(11)에 있어서, 상면이란 착용시에 발등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저면이란 착용시에 발바닥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내측면은 발의 내측 즉 모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외측면은 발의 외측 즉 소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양말(11)에 있어서, 전방이란 발끝측의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발뒤꿈치측의 방향을 의미한다. 양말(11)은 또한, 발가락을 덮는 발끝부(14)와, 발뒤꿈치를 덮는 발뒤꿈치부(15)를 갖는다.
양말(11) 기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발목 양말과 같은 로우 삭스여도 좋고, 하이 삭스나 오버 니 삭스여도 좋다. 도면에 나타낸 양말(11)은 로우 삭스의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양말(11)의 발끝부(14)는 엄지 발가락부터 새끼 발가락까지가 들어가는 1개의 자루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5개의 각 발가락용의 5개의 자루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엄지 발가락용의 자루부와 둘째 발가락부터 새끼 발가락까지가 들어가는 자루부의 2개의 자루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발끝부(14)의 자루부의 수는 3개여도 4개여도 좋다. 도면에 나타낸 양말(11)은 1개의 자루부로 형성된 발끝부(14)를 갖고 있다.
양말(11)은 상대적으로 작은 신장 응력을 나타내는 베이스부(12)와 상대적으로 큰 신장 응력을 나타내는 고 긴체부(13)를 갖는다. 고 긴체부(13)는 베이스부(12)보다 신장 응력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양말(11)에서는 고 긴체부(13)가 상면을 기점으로 외측면, 저면, 내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고 긴체부(13)가 형성됨으로써,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가 고 긴체부(13)에 의해 효과적으로 서포트된다. 즉, 고 긴체부(13)가 저면으로부터 외측면을 지나 상면까지 연장됨과 아울러, 저면으로부터 내측면을 지나 발목 둘레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 긴체부(13)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과 발목 둘레에 위치하는 부분이 앵커가 되어 저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13)에 의해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를 들어 올려져서 서포트된다. 이것에 의해, 발의 외반이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고 긴체부(13)는 상기와 같이 기점과 종점을 갖는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 긴체부(13)가 발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듯한 환형상으로는 형성되지 않고, 고 긴체부(13)에 의해 발등 둘레나 발목 둘레가 과도하게 조여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발이 과도하게 조여지는 것에 의한 피로가 발생하기 어렵고, 또 발목의 움직임이 제한되기 어려워져, 양말(11)의 착용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양말(11)은 강도가 낮은 운동을 행할 때나 일상의 동작을 행할 때에 착용하기에 적합하다.
베이스부(12)는 고 긴체부(13)에 인접해서 형성되고, 양말(11)의 상면, 저면, 내측면, 외측면, 발목 둘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긴체부(13)는 양말(11)의 상면을 기점으로 형성된다. 양말(11)의 상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13)의 기점은 발끝부(1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가락의 밑둥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 긴체부(13)의 기점은 제 1 중족골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중족골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11)의 상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13)의 전방단은 발끝부(1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가락의 밑둥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말(11)의 상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13)(구체적으로는 시점이 되는 상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13))는 제 5 중족골 전반분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11)에 있어서, 상면을 기점으로 해서 형성된 고 긴체부(13)는 외측면을 지나 저면으로 연장된다. 양말(11)의 외측면 및 저면에서는 고 긴체부(13)의 전방단이 발끝부(1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가락의 밑둥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양말(11)의 저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13)의 후방단은 발뒤꿈치부(15)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11)의 외측면에서는 고 긴체부(13)(구체적으로는 시점이 되는 상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13)와 저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13) 사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13))는 제 5 중족골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5 중족골의 전반분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말(11)의 저면에서는 고 긴체부(13)는 중족골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설상골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설상골과 중족골이 동시에 서포트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내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할 수 있다.
양말(11)의 저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13)는 모지구의 중심 및 소지구의 중심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 긴체부(13)가 배치됨으로써, 발가락의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양말(11)을 착용한 상태로 편안히 걷거나 달리거나 할 수 있다. 고 긴체부(13)는 모지구의 전부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좋고, 소지구의 전부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양말(11)의 저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13)는 후방 또한 내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 긴체부(13)가 형성됨으로써,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가 고 긴체부(13)에 의해 효율적으로 들어 올려져서 고 긴체부(13)에 의한 서포트력을 높이기 쉬워진다.
고 긴체부(13)는 양말(11)의 저면으로부터 내측면을 지나 발목 둘레까지 연장된다. 양말(11)의 내측면에서는 고 긴체부(13)의 전방단은 발끝부(14)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가락의 밑둥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11)의 내측면에서는 고 긴체부(13)(구체적으로는 저면으로부터 발목 둘레를 향해서 연장되는 고 긴체부(13))는 제 1 중족골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내측 설상골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면을 지난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의 전방측을 향해서 연장되어도 좋고, 발목 둘레의 전방측을 지나지 않고 발목 둘레의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도 좋다.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의 어느 하나의 지점을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의 전방측을 종점으로 해도 좋고, 발목 둘레의 내측 또는 외측을 종점으로 해도 좋고,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종점으로 해도 좋다. 발목 둘레의 전방측, 내측, 외측, 후방측은 발목 둘레를 90°씩 4개로 구분했을 때의 전방측, 내측, 외측, 후방측으로서 정해진다. 발목 둘레로서는 복사뼈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8cm 이내의 범위(보다 바람직하게는 5cm 이내의 범위)로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긴체부(13)가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형성됨으로써, 양말(11)의 발목 둘레보다 상방의 부분이 강하게 조여지지 않아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양말의 발목 둘레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양말을 착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정한 길이를 의미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11A)에서는 고 긴체부(13)는 상면을 기점으로 외측면, 저면, 내측면, 발목 둘레의 전방측, 발목 둘레의 외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고 긴체부(13)가 형성됨으로써, 고 긴체부(13)에 의해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의 서포트력이 높아져서 내측 세로 아치를 보다 높게 들어 올릴 수 있다.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의 외측으로부터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발목 둘레의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를 일주해서 고 긴체부(13)에 접속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양말(11)의 발목 둘레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고 긴체부(13)가 도중에 끊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고 긴체부(13)의 종점의 끝에는 베이스부(12)가 존재하고, 베이스부(12)가 발목 둘레를 상하 방향으로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고 긴체부(13)의 시점의 끝(바로앞)에는 베이스부(12)가 존재하고, 고 긴체부(13)의 시점의 끝(바로앞)은 고 긴체부(13)의 다른 부분에 접속하지 않는다.
고 긴체부(13)는 양말(11)의 상면을 기점으로 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한 띠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띠형상의 고 긴체부(13)의 폭은 5mm 이상이 바람직하고, 8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 긴체부(13)를 형성함으로써, 고 긴체부(13)에 의해 안정되게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할 수 있다. 띠형상의 고 긴체부(13)의 폭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mm 이하, 80mm 이하, 60mm 이하, 40mm 이하 또는 30mm 이하여도 좋다. 또한, 고 긴체부(13)의 폭은 양말을 착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정한 폭을 의미한다.
띠형상의 고 긴체부(13)는 시점부터 종점까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띠형상의 고 긴체부(13)의 양 폭의 외측 가장자리는 예를 들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파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띠형상의 고 긴체부(13)는 폭 방향(고 긴체부(13)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늘어서서 배치된 복수개의 띠형상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양말(11A)에서는 고 긴체부(13)가 발목 둘레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한 바퀴 미만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나선상으로 한 바퀴 이상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렇게 고 긴체부(13)가 배치된 양말의 구성예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5(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6(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6(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양말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11B)에서는 고 긴체부(13)가 발목 둘레에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고 긴체부(13)가 배치되어 있으면, 고 긴체부(13)의 발목 둘레에서의 앵커 효과가 높아져서 고 긴체부(13)에 의해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가 보다 안정되게 서포트된다. 또한, 양말(11B)에 있어서도, 고 긴체부(13)의 종점은 발목 둘레에 위치한다. 또한, 고 긴체부(13)의 종점의 끝에 베이스부(12)가 존재하고, 발목 둘레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고 긴체부(13)가 도중에 끊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는 오른발용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고, 왼발용의 양말은 오른발용의 양말을 거울에 비춘 것 같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는 착용 상태의 제 2 실시형태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7(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7(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8(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8(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양말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11C)도 고 긴체부(13)가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고 긴체부(13)는 상면을 기점으로 외측면, 저면, 내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가 고 긴체부(13)에 의해 서포트되어 발의 외반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11C)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11A)과는 내측면으로부터 발목 둘레에 걸친 고 긴체부(13)의 배치가 다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11C)에서는 고 긴체부(13)는 내측면으로부터 발목 둘레의 내측,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고 긴체부(13)가 형성됨으로써, 고 긴체부(13)에 의해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를 전후 방향으로 넓게 서포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의 후방측으로부터 발목 둘레의 외측을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발목 둘레의 전방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11C)에서도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를 일주해서 고 긴체부(13)에 접속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양말의 발목 둘레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고 긴체부(13)가 도중에 끊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고 긴체부(13)는 발목 둘레에 있어서 나선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어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도 9∼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은 고 긴체부에 의해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가 서포트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9∼도 12에는 오른발용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고, 왼발용의 양말은 오른발용의 양말을 거울에 비춘 것 같이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착용 상태의 제 3 실시형태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9(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9(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0(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0(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에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제 3 실시형태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1(a)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배면도)을 나타내고, 도 11(b)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정면도)을 나타내고, 도 12(a)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좌측면도)을 나타내고, 도 12(b)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우측면도)을 나타내고, 도 12(c)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발끝측으로부터 본 도면(평면도)을 나타내고, 도 12(d)는 평면형상으로 펴진 상태의 양말을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도면(저면도)을 나타낸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고 긴체부 이외의 설명은 제 1 실시형태의 양말의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양말(21)은 상대적으로 작은 신장 응력을 나타내는 베이스부(22)와 상대적으로 큰 신장 응력을 나타내는 고 긴체부(23)를 갖는다. 고 긴체부(23)는 베이스부(22)보다 신장 응력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양말(21)에서는 고 긴체부(23)가 상면을 기점으로 내측면, 저면, 외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고 긴체부(23)가 형성됨으로써,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가 고 긴체부(23)에 의해 효과적으로 서포트된다. 즉, 고 긴체부(23)가 저면으로부터 내측면을 지나 상면까지 연장됨과 아울러, 저면으로부터 외측면을 지나 발목 둘레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 긴체부(23)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과 발목 둘레에 위치하는 부분이 앵커가 되어 저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23)에 의해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가 서포트된다. 이것에 의해, 발의 내반이 발생하기 어려워져서 내반 염좌의 부상이 많은 운동 강도가 높은 스포츠를 행할 때에 착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되고, 발목의 내반 염좌를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발바닥의 모지구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어 골프 등 모지구에 힘을 들이는 것이 요구되는 스포츠를 행할 때에 적합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고 긴체부(23)는 상기와 같이 기점과 종점을 갖는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 긴체부(23)가 발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환형상으로는 형성되지 않고, 고 긴체부(23)에 의해 발등 둘레나 발목 둘레가 과도하게 조여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발이 과도하게 조여지는 것에 의한 피로가 발생하기 어렵고, 또 발목의 움직임이 제한되기 어려워져 양말(21)의 착용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양말(21)은 운동 강도가 높은 스포츠나, 모지구에 힘을 들이는 것이 요구되는 스포츠를 행할 때에 착용하기에 적합하다.
고 긴체부(23)는 양말(21)의 상면을 기점으로 형성된다. 양말(21)의 상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23)의 기점은 발끝부(2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가락의 밑둥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 긴체부(23)의 기점은 제 5 중족골보다 내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4 중족골보다 내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21)의 상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23)의 전방단은 발끝부(2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가락의 밑둥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말(21)의 상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23)(구체적으로는 시점이 되는 상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23))는 제 1 중족골의 전반분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21)에 있어서, 상면을 기점으로 해서 형성된 고 긴체부(23)는 내측면을 지나 저면으로 연장된다. 양말(21)의 내측면 및 저면에서는 고 긴체부(23)의 전방단이 발끝부(2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가락의 밑둥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양말(21)의 저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23)의 후방단은 발뒤꿈치부(25)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21)의 내측면에서는 고 긴체부(23)(구체적으로는 시점이 되는 상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23)와 저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23) 사이에 위치하는 고 긴체부(23))는 제 1 중족골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중족골의 전반분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말(21)의 저면에서는 고 긴체부(23)는 중족골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설상골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양말(21)의 저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23)는 모지구의 중심 및 소지구의 중심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 긴체부(23)가 배치됨으로써, 발가락의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양말(21)을 착용한 상태에서 편안히 걷거나 달리거나 할 수 있다. 고 긴체부(23)는 모지구의 전부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좋고, 소지구의 전부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양말(21)의 저면에 있어서, 고 긴체부(23)는 후방 또한 외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 긴체부(23)가 형성됨으로써,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가 고 긴체부(23)에 의해 효율적으로 서포트되기 쉬워진다.
고 긴체부(23)는 양말(21)의 저면으로부터 외측면을 지나 발목 둘레까지 연장된다. 양말(21)의 외측면에서는 고 긴체부(23)의 전방단은 발끝부(2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가락의 밑둥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21)의 외측면에서는 고 긴체부(23)(구체적으로는 저면으로부터 발목 둘레를 향해서 연장되는 고 긴체부(23))는 제 5 중족골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입방골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면을 지난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의 전방측을 향해서 연장되어도 좋고, 발목 둘레의 전방측을 지나지 않고 발목 둘레의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어도 좋다.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의 어느 하나의 지점을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의 전방측을 종점으로 해도 좋고, 발목 둘레의 내측 또는 외측을 종점으로 해도 좋고,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종점으로 해도 좋다. 고 긴체부(23)가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형성됨으로써, 양말(21)의 발목 둘레보다 상방의 부분이 강하게 조여지지 않아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21A)에서는 고 긴체부(23)는 상면을 기점으로 내측면, 저면, 외측면, 발목 둘레의 전방측, 발목 둘레의 내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고 긴체부(23)가 형성됨으로써, 고 긴체부(23)에 의해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의 서포트력이 높아져서 발의 내반이 보다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의 내측으로부터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발목 둘레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를 일주해서 고 긴체부(23)에 접속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양말(21)의 발목 둘레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고 긴체부(23)가 도중에 끊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고 긴체부(23)의 종점의 끝에는 베이스부(22)가 존재하고, 베이스부(22)가 발목 둘레를 상하 방향으로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고 긴체부(23)의 시점의 끝(바로앞)에는 베이스부(22)가 존재하고, 고 긴체부(23)의 시점의 끝(바로앞)은 고 긴체부(23)의 다른 부분에 접속하지 않는다.
고 긴체부(23)는 양말(21)의 상면을 기점으로 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한 띠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띠형상의 고 긴체부(23)의 폭은 5mm 이상이 바람직하고, 8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 긴체부(23)를 형성함으로써, 고 긴체부(23)에 의해 안정되게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할 수 있다. 띠형상의 고 긴체부(23)의 폭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mm 이하, 80mm 이하, 60mm 이하, 40mm 이하 또는 30mm 이하여도 좋다. 또한, 고 긴체부(23)의 폭은 양말을 착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정한 폭을 의미한다.
띠형상의 고 긴체부(23)는 시점부터 종점까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띠형상의 고 긴체부(23)의 양 폭의 외측 가장자리는 예를 들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파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띠형상의 고 긴체부(23)는 폭 방향(고 긴체부(23)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늘어서서 배치된 복수개의 띠형상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양말(21A)에서는 고 긴체부(23)가 발목 둘레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한 바퀴 미만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나선상으로 한 바퀴 이상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렇게 고 긴체부(23)가 배치된 양말의 구성예를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3(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3(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4(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4(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의 양말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양말(21B)에서는 고 긴체부(23)가 발목 둘레에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고 긴체부(23)가 배치되어 있으면, 고 긴체부(23)의 발목 둘레에서의 앵커 효과가 높아지고, 고 긴체부(23)에 의해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가 보다 안정되게 서포트된다. 또한, 양말(21B)에 있어서도, 고 긴체부(23)의 종점은 발목 둘레에 위치한다. 또한, 고 긴체부(23)의 종점의 끝에 베이스부(22)가 존재하고, 발목 둘레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고 긴체부(23)가 도중에 끊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어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는 오른발용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고, 왼발용의 양말은 오른발용의 양말을 거울에 비춘 것 같이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6에는 착용 상태의 제 4 실시형태의 양말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5(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저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5(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6(a)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내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2(b)는 착용 상태의 양말을 외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에 대해서,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의 양말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21C)도 고 긴체부(23)가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를 서포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고 긴체부(23)는 상면을 기점으로 내측면, 저면, 외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가 고 긴체부(23)에 의해 서포트되어 발의 내반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21C)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21A)과는 외측면으로부터 발목 둘레에 걸친 고 긴체부(23)의 배치가 다르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21C)에서는 고 긴체부(23)는 외측면으로부터 발목 둘레의 외측,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고 긴체부(23)가 형성됨으로써, 고 긴체부(23)에 의해 발바닥의 외측 세로 아치를 전후 방향으로 넓게 서포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의 후방측으로부터 발목 둘레의 내측을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발목 둘레의 전방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양말(21C)에서도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를 일주해서 고 긴체부(23)에 접속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양말의 발목 둘레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고 긴체부(23)가 도중에 끊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고 긴체부(23)는 발목 둘레에 있어서 나선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의 구성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는 고 긴체부가 베이스부보다 큰 신장 응력을 나타내는 한, 이들의 구성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같은 정도의 길이를 신장시키는데에 베이스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필요로 하고, 고 긴체부는 상대적으로 큰 힘을 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 응력은 예를 들면, 30% 신장시의 응력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대상이 되는 시험편을 인장 시험기로 잡아 당기고, 그 때의 응력을 측정함으로써 구한다. 이 때, 1인치의 폭으로 잘라낸 시험편을 파지 간격이 예를 들면 50mm가 되도록 파스너 사이에 고정한다. 그리고, 시험편을 200mm/분의 인장속도로 잡아 당기면서, 파스너간의 거리가 130mm가 되었을 때의 응력을 측정하고, 이 때의 값을 신장 응력으로 한다.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의 신장 응력의 값은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의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1.5N∼4.0N 정도로 할 수 있다. 고 긴체부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의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1.8N∼6.0N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고 긴체부의 신장 응력은 고 긴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신장시켰을 때의 신장 응력을 의미한다.
고 긴체부의 신장 응력은 예를 들면, 베이스부의 신장 응력의 1.05배 이상 2.0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1.5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고 긴체부에 의해 발바닥의 내측 세로 아치 또는 외측 세로 아치가 적당하게 서포트됨과 아울러, 고 긴체부에 의해 발이 과도하게 조여지지 않아 양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 긴체부에서의 인장시와 회복시의 응력차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아 고 긴체부에 있어서의 잔류 변형이나 영구성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양말은 또한, 저면의 전후 방향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이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내측 세로 아치 또는 외측 세로 아치가 보다 높게 들어 올려지기 쉬워진다. 양말의 저면의 전후 방향의 신장 응력과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은 저면의 중심(전후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중심)을 기점으로 전후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구한다. 양말의 저면의 전후 방향의 신장 응력은 예를 들면, 양말의 저면의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의 1.1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2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 2.0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1.8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양말의 저면의 전후 방향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의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1.8N∼8.0N 정도로 할 수 있다. 양말의 저면의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의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1.6N∼6.0N 정도로 할 수 있다.
양말은 또한, 저면의 가로 방향의 회복시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이 전후 방향의 회복시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내측 세로 아치 또는 외측 세로 아치 서포트의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양말의 저면의 가로 방향의 회복시의 신장 응력은 예를 들면, 양말의 저면의 전후 방향의 회복시의 신장 응력의 1.5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2.0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 4.0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3.0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양말의 저면의 가로 방향의 회복시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의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1.0N∼5.0N 정도로 할 수 있다. 양말의 저면의 전후 방향의 회복시의 신장 응력(30% 신장시의 응력)의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0.4N∼2.0N 정도로 할 수 있다.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1)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를 신장 응력이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하고, 이들의 재료를 서로 연결시켜서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를 형성하는 방법, (2)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를 각각 직포 또는 편포로 구성하고, 직포의 직조직이나 직밀도를 바꾸거나, 편포의 편조직이나 편밀도를 바꾸거나, 직포 또는 편포를 구성하는 실의 종류(예를 들면, 탄성사의 사용의 유무)나 굵기 등을 바꿈으로써, 신장 응력의 차를 내어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를 형성하는 방법, (3)양말의 기재에 신장 응력이 높은 시트 부재를 부분적으로 부착하고, 상기 시트 부재를 부착한 부분을 고 긴체부, 그 이외의 부분을 베이스부로 하는 방법, (4)양말의 기재에 엘라스토머 재료를 도포하고, 엘라스토머 재료를 도포한 부분을 고 긴체부, 그 이외의 부분을 베이스부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의 방법으로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를 구성하는 재료나, 상기 (3)의 방법이나 상기 (4)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직포, 편포,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는 시트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고 긴체부를 구성하는 실의 종류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면, 종이섬유, 울, 실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3)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신장 응력이 큰 시트 부재의 재료나, 상기 (4)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재료로서는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3)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신장 응력이 큰 시트 부재로서 신축성을 갖는 직포나 편포, 부직포 등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2)의 방법에서는 2종류 이상의 실로 구성된 직포 또는 편포로부터 특정 실을 소정의 패턴으로 제거해서 고 긴체부를 형성해도 좋고, 고 긴체부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특정 실을 전혀 제거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3)이나 상기 (4)의 방법에서는 고 긴체부가 형성되는 영역에 시트 부재나 엘라스토머 재료를 일률적으로 형성해도 좋고, 경사선 형상이나 도트형상 등의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해도 좋다. 고 긴체부는 시점부터 종점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 긴체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일부 단속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단속 부분의 길이는 3mm 이하가 바람직하고, 2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고 긴체부에 의한 효과가 발휘되기 쉬워진다.
발끝부나 발뒤꿈치부는 그 이외의 부분보다 높은 쿠션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높은 그립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베이스부와 고 긴체부는 발끝부나 발뒤꿈치부 이외의 부분으로서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끝부와 발뒤꿈치부는 베이스부보다 신장 응력이 커도 좋고 작아도 좋고 같아도 좋지만, 고 긴체부보다 신장 응력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양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양말은 고 긴체부가 소정의 배치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양말의 전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 긴체부의 배치에 있어서 양말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이다. 고 긴체부는 양말의 상면을 기점으로 외측면, 저면, 내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거나, 양말의 상면을 기점으로 내측면, 저면, 외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도면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는 고 긴체부는 1개의 띠형상부로 구성되어 있지만, 고 긴체부는 복수개의 띠형상부가 병렬로 배치되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원은 2022년 6월 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2-089806호에 의거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22년 6월 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2-089806호의 명세서의 전내용이 본원에 참고를 위해서 원용된다.
11, 21:양말
12, 22:베이스부
13, 23:고 긴체부
14, 24:발끝부
15, 25:발뒤꿈치부

Claims (12)

  1. 발등측의 상면과, 발바닥측의 저면과, 발 내측의 내측면과, 발 외측의 외측면을 갖는 양말로서,
    상기 양말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보다 신장 응력이 큰 고 긴체부를 갖고,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상면을 기점으로 상기 외측면, 상기 저면, 상기 내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저면에 있어서, 모지구의 중심 및 소지구의 중심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상면을 기점으로 상기 외측면, 상기 저면, 상기 내측면, 발목 둘레의 전방측, 발목 둘레의 외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양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상면을 기점으로 상기 외측면, 상기 저면, 상기 내측면, 발목 둘레의 내측,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양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저면에 있어서, 후방 또한 내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양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은 상기 저면의 전후 방향의 신장 응력이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보다 큰 양말.
  7. 발등측의 상면과, 발바닥측의 저면과, 발 내측의 내측면과, 발 외측의 외측면을 갖는 양말로서,
    상기 양말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보다 신장 응력이 큰 고 긴체부를 갖고,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상면을 기점으로 상기 내측면, 상기 저면, 상기 외측면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저면에 있어서, 모지구의 중심 및 소지구의 중심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말.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상면을 기점으로 상기 내측면, 상기 저면, 상기 외측면, 발목 둘레의 전방측, 발목 둘레의 내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양말.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상면을 기점으로 상기 내측면, 상기 저면, 상기 외측면, 발목 둘레의 외측, 발목 둘레의 후방측을 이 순서로 지나고, 발목 둘레를 종점으로 해서 연장되어 있는 양말.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 긴체부는 상기 저면에 있어서, 후방 또한 외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양말.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은 상기 저면의 전후 방향의 신장 응력이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보다 큰 양말.
KR1020230032887A 2022-06-01 2023-03-14 양말 KR20230167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89806 2022-06-01
JP2022089806 2022-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294A true KR20230167294A (ko) 2023-12-08

Family

ID=8827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887A KR20230167294A (ko) 2022-06-01 2023-03-14 양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77228A (ko)
KR (1) KR20230167294A (ko)
CN (1) CN219813227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406A (ja) 2005-06-14 2006-12-28 Wacoal Corp 足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エア
JP2009155763A (ja) 2007-12-27 2009-07-16 Okamoto Kk 靴下
JP2014019994A (ja) 2012-07-23 2014-02-03 Goldwin Inc 靴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406A (ja) 2005-06-14 2006-12-28 Wacoal Corp 足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エア
JP2009155763A (ja) 2007-12-27 2009-07-16 Okamoto Kk 靴下
JP2014019994A (ja) 2012-07-23 2014-02-03 Goldwin Inc 靴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9813227U (zh) 2023-10-13
JP2023177228A (ja)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5000A (en) Ankle joint bandage
JP4447559B2 (ja) 靴下
US10398584B2 (en) Ankle supporter
AU616265B2 (en) Ankle support apparatus
KR101642852B1 (ko) 하퇴용 서포터
KR101555003B1 (ko) 발 관절 서포터
JP4355364B1 (ja) 足の変形を伴う疾患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サポーター構造体
JP4825119B2 (ja) 靴下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90191A1 (ja) フートウェア
JP4553269B1 (ja) 足部障害用サポーター
JP6364574B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JP6568958B2 (ja) 膝用サポーター及び衣類
JP3137194U (ja) 足のアーチをサポートする靴下およびサポート装置
EP2723279B1 (en) Foot support device
KR101580598B1 (ko) 양말
KR20160129866A (ko) 발목 관절용 붕대
JP2013139662A (ja) 運動用衣服
JP4690931B2 (ja) 足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エア
JP2006225800A (ja) 靴下
KR20230167294A (ko) 양말
JP2010100981A (ja) 靴下
JP5220807B2 (ja) 靴下
JP7217912B2 (ja) 靴下型サポーター
TWI737089B (zh) 襪子
JP2006015172A (ja) 足の健康装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