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082A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082A
KR20210137082A KR1020217031495A KR20217031495A KR20210137082A KR 20210137082 A KR20210137082 A KR 20210137082A KR 1020217031495 A KR1020217031495 A KR 1020217031495A KR 20217031495 A KR20217031495 A KR 20217031495A KR 20210137082 A KR20210137082 A KR 20210137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weight
pressure
shee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이 오카하라
아마네 사와무라
슈우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4Cellulosic plastic fibres, e.g. ray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5Lignocellulosic fibres, e.g. jute, sisal, hemp, flax, bambo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7Wood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8Animal fibres, e.g. hair, wool, si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섬유 시트와 해당 섬유 시트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이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120℃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와, 연화점이 120℃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섬유 시트는, 두께가 15㎛ 이상 50㎛ 이하이며, 또한 벌크 밀도가 0.25g/㎤ 이상 0.50g/㎤ 이하이다.

Description

점착 시트
본 발명은,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년 3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04100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원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감압 접착제라고도 함. 이하 동일함)는, 실온 부근의 온도역에 있어서 유연한 고체(점탄성체)의 상태를 나타내고, 압력에 의해 간단하게 피착체에 접착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성질을 살려, 점착제는, 작업성이 좋고 접착의 신뢰성이 높은 접합 수단으로서, 가전 제품, 자동차, OA 기기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점착제의 대표적인 조성으로서, 상온에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포함하는 조성을 들 수 있다. 점착 시트에 관한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216852호 공보
특허문헌 1에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그와 같은 점착제층이 섬유 시트(예를 들어 부직포)에 적층된 구성의 점착 시트에서는,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박리 강도를 발휘하는 것이 곤란한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점착제층이 섬유 시트에 적층된 구성이며,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박리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명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 시트는, 섬유 시트와, 해당 섬유 시트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이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120℃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와, 연화점이 120℃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시트는, 두께가 15 내지 50㎛이며, 또한 벌크 밀도가 0.25 내지 0.50g/㎤이다.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는 섬유 시트로서 상기 두께 및 밀도를 충족하는 섬유 시트를 채용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를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시트로서는, 벌크 밀도가 0.35g/㎤를 초과하고 0.50g/㎤ 이하인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벌크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섬유 시트는, 보다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의 실현에 적합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로서는, 평량이 15g/㎡ 이상 25g/㎡ 이하인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평량이 상기 범위에 있는 섬유 시트에 의하면, 보다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다른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로서는, 평량이 10g/㎡ 미만이고, 또한 두께가 15㎛ 이상 25㎛ 이하인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평량 및 두께를 충족하는 섬유 시트에 의하면, 보다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해당 점착 시트의 두께가 상기 섬유 시트의 두께의 4배 이상인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점착 시트의 두께와 섬유 시트의 두께가 상기 관계를 충족하는 점착 시트는, 보다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의 실현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관한 점착 시트는, 스테인리스 강판에 대한 180도 박리 강도가 40N/20㎜ 이상이다. 이와 같은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부재의 접합이나 고정 등의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에 대한 교시와 출원 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모식화되어 있고, 실제로 제공되는 제품의 사이즈나 축척을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온 부근의 온도역에 있어서 유연한 고체(점탄성체)의 상태를 나타내고, 압력에 의해 간단하게 피착체에 접착하는 성질을 갖는 재료를 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제는, 「C. A. Dahlquist, "Adhesion: Fundamental and Practice", McLaren & Sons, (1966) P. 143」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복소 인장 탄성률 E*(1Hz)<107dyne/㎠를 충족하는 성질을 갖는 재료(전형적으로는, 25℃에서 상기 성질을 갖는 재료)일 수 있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란, 해당 점착제에 포함되는 고무상 폴리머(실온 부근의 온도역에 있어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폴리머) 중의 주성분을 말하고, 전형적으로는 상기 고무상 폴리머의 50중량% 초과를 차지하는 성분을 말한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란,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을 주모노머(50중량%를 초과하는 공중합 성분을 말함. 이하 동일함)로 하는 세그먼트(이하 「A 세그먼트」라고도 함)와, 공액 디엔 화합물을 주모노머로 하는 세그먼트(이하 「B 세그먼트」라고도 함)를, 각각 적어도 하나 갖는 폴리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A 세그먼트의 유리 전이 온도는 B 세그먼트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높다. 이러한 폴리머의 대표적인 구조로서, B 세그먼트(소프트 세그먼트)의 양단에 각각 A 세그먼트(하드 세그먼트)를 갖는 트리 블록 구조의 공중합체(A-B-A 구조의 트리 블록체), 하나의 A 세그먼트와 하나의 B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디블록 구조의 공중합체(A-B 구조의 디블록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란,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 블록을 갖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 스티렌 블록이란, 스티렌을 주모노머로 하는 세그먼트를 가리킨다. 실질적으로 스티렌만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는, 여기에서 말하는 스티렌 블록의 전형례이다. 또한,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란,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이소프렌 블록(이소프렌을 주모노머로 하는 세그먼트)을 갖는 폴리머를 말한다.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의 대표예로서, 이소프렌 블록(소프트 세그먼트)의 양단에 각각 스티렌 블록(하드 세그먼트)을 갖는 트리 블록 구조의 공중합체(트리 블록체), 하나의 이소프렌 블록과 하나의 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디블록 구조의 공중합체(디블록체)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란,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부타디엔 블록(부타디엔을 주모노머로 하는 세그먼트)을 갖는 폴리머를 말한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유량」이란, 당해 블록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에 차지하는 스티렌 성분의 중량 비율을 말한다. 상기 스티렌 함유량은, 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디블록체의 비율(이하 「디블록체 비율」 또는 「디블록비」 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은, 다음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즉,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 용해하고, 도소(주)제 GS5000H 및 G4000H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컬럼을 각각 2단씩 합계 4단을 직렬로 연결하고, 이동상으로 THF를 사용하여, 온도 40℃, 유량 1mL/분의 조건 하에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다. 얻어진 차트로부터 디블록체에 대응하는 피크 면적을 측정한다. 그리고, 전체의 피크 면적에 대한 상기 디블록체에 대응하는 피크 면적의 백분율을 산출함으로써, 디블록체 비율이 구해진다.
<점착 시트의 구조예>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테이프상 등의 긴 형상의 형태일 수 있음)는, 예를 들어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조를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이 양면 점착 시트(1)는, 섬유 시트(15)와, 섬유 시트(15)의 제1 면측에 적층된 제1 점착제층(11)과, 섬유 시트(15)의 제2 면측에 적층된 제2 점착제층(12)을 구비한다. 사용 전(피착체에 대한 첩부 전)의 양면 점착 시트(1)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21A) 및 배면(21B)이 모두 박리면인 박리 라이너(21)와 중첩되어 와권상으로 권회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양면 점착 시트(1)에서는, 제2 점착제층(12)의 표면(제2 점착면(12A))이 박리 라이너(21)의 전방면(21A)에 의해, 제1 점착제층(11)의 표면(제1 점착면(11A))이 박리 라이너(21)의 배면(21B)에 의해, 각각 보호되고 있다. 혹은, 제1 점착면(11A) 및 제2 점착면(12A)이 2매의 독립된 박리 라이너에 의해 각각 보호된 형태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또한, 섬유 시트와 그 제1 면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섬유 시트의 제2 면측에는 점착제층을 갖지 않는 편면 점착 시트의 형태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의 기재의 표면에 박리 처리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 불소계 폴리머(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나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저접착성 재료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상기 기재를 표면 처리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섬유 시트>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이 섬유 시트에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섬유 시트로서는, 각종 섬유상 물질의 단독 또는 혼방 등에 의한 직포나 부직포, 편물, 네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란, 일반적인 초지기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부직포, 예를 들어 일본 종이나 상질지 등의 종이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개념에는 펠트가 포함된다. 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상기 섬유상 물질의 예에는, 후술과 같은 천연 섬유나 화학 섬유(합성 섬유) 외에, 유리 섬유나 카본 섬유 등의 무기 섬유, 금속 섬유 등이 포함된다. 재질이 다른 2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이 병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섬유 시트는, 점착제층을 보유 지지하는 지지 기재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섬유 시트로서는, 두께가 15㎛ 이상 50㎛ 이하이며, 또한 벌크 밀도가 0.25g/㎤ 이상 0.50g/㎤ 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층이 적층되는 섬유 시트로서 상기 두께 및 벌크 밀도를 충족하는 섬유 시트를 채용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를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로서, 특별히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섬유 시트에 점착제가 함침됨으로써 해당 점착제층이 보강되는 한편, 그 점착제가 상기 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바인더로서 기능함으로써 상기 섬유 시트의 강도를 향상시켜, 점착 시트가 섬유 시트의 두께 내에서 찢어지는 양태로의 박리(이하, 파열 박리라고도 함)가 방지되어 높은 박리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 생각된다. 상기 섬유 시트의 두께가 50㎛ 이하이며, 또한 벌크 밀도가 0.50g/㎤ 이하임으로써, 섬유 시트의 내부까지 점착제를 함침시키기 쉬워져, 상기 파열 박리를 억제하기 쉬워진다. 상기 섬유 시트의 두께가 15㎛ 이상이고, 또한 벌크 밀도가 0.25g/㎤ 이상임으로써, 섬유 시트 자체의 강도가 너무 낮아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섬유 시트의 두께는, 50㎛ 미만이어도 되고, 40㎛ 미만이어도 되고, 30㎛ 미만이어도 되고, 25㎛ 미만이어도 되고, 20㎛ 미만이어도 된다. 섬유 시트의 두께가 작아지면, 해당 섬유 시트의 내부까지 점착제를 함침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두께가 35㎛ 이상 50㎛ 이하, 45㎛ 이상 50㎛ 이하, 또는 45㎛ 이상 50㎛ 미만인 섬유 시트를 사용하는 양태에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섬유 시트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섬유 시트 자체의 강도 향상과, 해당 섬유 시트의 내부까지의 점착제의 함침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킬 수 있다.
섬유 시트의 벌크 밀도는, 0.27g/㎤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0.3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벌크 밀도가 0.35g/㎤를 초과하고 0.50g/㎤ 이하인 섬유 시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섬유 시트의 벌크 밀도가 0.35g/㎤보다 높은 것은, 점착 시트의 제작 시에 섬유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용이하게 너무 찌부러짐으로써 점착제가 함침되기 어려워지는 사태를 방지하여, 점착제가 섬유 시트에 잘 함침된 점착 시트를 실현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섬유 시트의 평량(단위 면적당의 중량)은, 전형적으로는 3.8g/㎡ 이상 25g/㎡ 이하이고, 예를 들어 4.5g/㎡ 이상 25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평량이 상기 범위에 있는 섬유 시트를 사용하여 적합하게 실시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섬유 시트로서는, 두께가 15 내지 50㎛(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예를 들어 45 내지 50㎛)이고, 벌크 밀도가 0.25 내지 0.50g/㎤(바람직하게는 0.35g/㎤를 초과하고 0.5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내지 0.50g/㎤, 예를 들어 0.45 내지 0.50g/㎤)이며, 평량이 15g/㎡ 이상 25g/㎡ 이하(바람직하게는 18g/㎡ 이상 25g/㎡ 이하, 예를 들어 21g/㎡ 이상 25g/㎡ 이하)인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섬유 시트(예를 들어 부직포)에 후술하는 점착제층이 적층된 양태에 의하면,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가 적합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는, 상기 섬유 시트의 두께의 4.0배 내지 8.0배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4.5배 내지 6.5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섬유 시트로서는, 두께가 15 내지 50㎛(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예를 들어 15 내지 20㎛)이고, 벌크 밀도가 0.25 내지 0.50g/㎤(바람직하게는 0.35g/㎤를 초과하고 0.5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g/㎤를 초과하고 0.40g/㎤ 이하)이며, 평량이 10g/㎡ 미만(전형적으로는 4.5g/㎡ 이상 10g/㎡ 미만, 바람직하게는 5.0g/㎡ 이상 10g/㎡ 미만, 예를 들어 5.0g/㎡ 이상 8.00g/㎡ 미만)인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섬유 시트(예를 들어 부직포)에 후술하는 점착제층이 적층된 양태에 의하면,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가 적합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는, 상기 섬유 시트의 두께의 10배 내지 30배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2배 내지 25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배 내지 20배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로서 부직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어 목재 펄프, 마 펄프 등의 펄프류, 면, 마(예를 들어 마닐라마), 울, 견 등의 천연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레이온, 비닐론, 아세테이트 섬유,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등의 화학 섬유(합성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 재질이 다른 2종 이상의 섬유를 병용하여 구성된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의 함침성이나 강도의 관점에서, 목재 펄프나 마 펄프(예를 들어, 마닐라마를 원료로 하는 마 펄프) 등의 종이 펄프를 구성 섬유로 하는 부직포, 울로 구성되는 부직포, PET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다.
섬유 시트(예를 들어 부직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섬유상 물질 외에, 전분(예를 들어, 양이온화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비스코스, 폴리비닐알코올, 요소 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수지 성분을, 전형적으로는 비섬유상의 형태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성분은, 부직포의 지력 증강제로서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함으로써, 섬유 시트의 강도나 해당 섬유 시트에 대한 점착제의 함침성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섬유 시트는, 그 밖에, 수율 향상제, 여수제, 점도 조정제, 분산제 등의, 섬유 시트(예를 들어 부직포)의 제조에 관한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인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함유할 수 있다.
<점착제층>
(베이스 폴리머)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상기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이란, 비닐기를 갖는 관능기가 방향환에 하나 결합된 화합물을 가리킨다. 상기 방향환의 대표예로서, 벤젠환(비닐기를 갖지 않는 관능기(예를 들어 알킬기)로 치환된 벤젠환일 수 있음)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크실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베이스 폴리머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A 세그먼트(하드 세그먼트)는, 상기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음)의 공중합 비율이 70중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며, 실질적으로 100중량%여도 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B 세그먼트(소프트 세그먼트)는,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음)의 공중합 비율이 70중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며, 실질적으로 100중량%여도 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에 의하면, 보다 고성능의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디블록체, 트리 블록체, 방사상(radial)체, 이들의 혼합물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트리 블록체나 방사상체에 있어서는, 폴리머쇄의 말단에 A 세그먼트(예를 들어 스티렌 블록)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쇄의 말단에 배치된 A 세그먼트는, 모여서 도메인을 형성하기 쉽고, 이에 의해 의사적인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점착제의 응집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박리 강도)의 관점에서, 디블록체 비율이 30중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65중량%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박리 강도의 관점에서, 디블록체 비율이 70중량% 이상인 블록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디블록체 비율이 90중량%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 예를 들어 80중량% 이하)인 블록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블록체 비율이 60 내지 85중량%인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70 내지 85중량%(예를 들어 70 내지 8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폴리머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폴리머가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중,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이 70중량% 이상이거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이 70중량% 이상이거나, 혹은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합계 비율이 7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실질적으로 전부(예를 들어 95 내지 100중량%)가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실질적으로 전부(예를 들어 95 내지 100중량%)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와 같은 조성에 의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적용하는 것의 효과가 보다 잘 발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디블록체, 트리 블록체, 방사상(radial)체, 이들의 혼합물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트리 블록체 및 방사상체에 있어서는, 폴리머쇄의 말단에 스티렌 블록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쇄의 말단에 배치된 스티렌 블록은, 모여서 스티렌 도메인을 형성하기 쉽고, 이에 의해 의사적인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점착제의 응집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박리 강도)의 관점에서, 디블록체 비율이 30중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65중량%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디블록체 비율이 70중량% 이상(예를 들어 75중량% 이상)인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디블록체 비율이 90중량%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 예를 들어 80중량% 이하)인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적용하여 응집성과 저온 내반발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디블록체 비율이 60 내지 85중량%인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70 내지 85중량%(예를 들어 70 내지 80중량%)인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유량은, 예를 들어 5 내지 40중량%일 수 있다. 응집성의 관점에서, 통상은, 스티렌 함유량이 10중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초과, 예를 들어 12중량% 이상)인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 강도의 관점에서, 스티렌 함유량은 35중량% 이하(전형적으로는 3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전형적으로는 20중량% 미만, 예를 들어 18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적용하는 것의 효과를 보다 잘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스티렌 함유량이 12중량% 이상 20중량% 미만인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층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에 더하여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 연화점이 120℃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와, 연화점이 120℃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JIS K5902 및 JIS K2207에 규정하는 연화점 시험 방법(환구법)에 기초하여 측정된 값으로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시료를 가능한 한 저온에서 신속하게 융해하고, 이것을 평평한 금속판 상에 둔 환 중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채운다. 냉각된 후, 조금 가열한 소도로 환의 상단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부풀어오른 부분을 잘라낸다. 다음에, 직경 85㎜ 이상, 높이 127㎜ 이상의 유리 용기(가열욕) 안에 지지기(환대)를 넣고, 글리세린을 깊이 90㎜ 이상으로 될 때까지 주입한다. 다음에, 강구(직경 9.5㎜, 중량 3.5g)와, 시료를 채운 환을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글리세린 중에 침지하고, 글리세린의 온도를 20℃ 플러스 마이너스 5℃로 15분간 유지한다. 다음에, 환 중의 시료의 표면의 중앙에 강구를 얹고, 이것을 지지기 상의 정위치에 둔다. 다음에, 환의 상단으로부터 글리세린면까지의 거리를 50㎜로 유지하고, 온도계를 두고, 온도계의 수은구의 중심의 위치를 환의 중심과 동일한 높이로 하고, 용기를 가열한다. 가열에 사용하는 분젠 버너의 불꽃은, 용기의 바닥의 중심과 테두리의 중간에 닿도록 하여, 가열을 균등하게 한다. 또한, 가열이 시작되고 나서 40 ℃에 도달한 후의 욕온이 상승하는 비율은, 매분 5.0 플러스 마이너스 0.5℃여야만 한다. 시료가 점차로 연화되어 환으로부터 흘러내려, 마침내 저판에 접촉하였을 때의 온도를 읽고, 이것을 연화점으로 한다. 연화점의 측정은, 동시에 2개 이상 행하여, 그 평균값을 채용한다.
연화점이 120℃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 및 연화점이 120℃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석유 수지, 스티렌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 수지, 변성 테르펜 수지, 로진계 수지, 로진 유도체 수지, 케톤계 수지 등의, 공지의 각종 점착 부여 수지로부터, 조건을 충족하는 연화점을 갖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석유 수지의 예로서는, 지방족계(C5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C9계) 석유 수지, 지방족/방향족 공중합계(C5/C9계) 석유 수지, 이들의 수소 첨가물(예를 들어, 방향족계 석유 수지에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지환족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의 예로서는, 스티렌의 단독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α-메틸스티렌의 단독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비닐톨루엔의 단독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 중 2종 이상을 모노머 조성에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예를 들어,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쿠마론·인덴 수지로서는, 수지의 골격(주쇄)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쿠마론 및 인덴을 포함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쿠마론 및 인덴 이외에 수지의 골격에 포함될 수 있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틸인덴, 비닐톨루엔 등이 예시된다.
테르펜 수지의 예로서는,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디펜텐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테르펜 수지의 예로서는, 상기 테르펜 수지를 변성(페놀 변성, 스티렌 변성, 수소 첨가 변성, 탄화수소 변성 등)한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르펜페놀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등이 예시된다.
상기 「테르펜페놀 수지」란, 테르펜 잔기 및 페놀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가리키고, 테르펜과 페놀 화합물의 공중합체(테르펜-페놀 공중합체 수지)와, 테르펜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테르펜 수지, 전형적으로는 미변성 테르펜 수지)를 페놀 변성한 것(페놀 변성 테르펜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테르펜페놀 수지를 구성하는 테르펜의 적합예로서는, α-피넨, β-피넨, 리모넨(d체, l체 및 d/l체(디펜텐)를 포함함) 등의 모노테르펜을 들 수 있다.
로진계 수지의 구체적으로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로진); 이들 미변성 로진을 수소 첨가화, 불균화, 중합 등에 의해 변성한 변성 로진(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그 밖의 화학적으로 수식된 로진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로진 유도체 수지의 예로서는, 미변성 로진을 알코올류에 의해 에스테르화한 것(즉, 로진의 에스테르화물), 변성 로진(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을 알코올류에 의해 에스테르화한 것(즉, 변성 로진의 에스테르화물) 등의 로진 에스테르류; 미변성 로진이나 변성 로진(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을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한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류; 로진 에스테르류를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한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류;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류 또는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류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를 환원 처리한 로진 알코올류;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 각종 로진 유도체 등의 로진류(특히, 로진 에스테르류)의 금속염; 로진류(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 각종 로진 유도체 등)에 페놀을 산 촉매로 부가시켜 열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로진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점착제층이, 1종 또는 2종 이상의 테르펜페놀 수지를 포함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부여 수지의 총량 중 테르펜페놀 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예를 들어 1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상이며, 3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4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5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의 총량 중 테르펜페놀 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예를 들어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하이고,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6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된다.
점착제층이 점착 부여 수지로서 테르펜페놀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테르펜페놀 수지의 함유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상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예를 들어 10중량부 초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테르펜페놀 수지의 함유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70중량부 이하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이다.
(점착 부여 수지 TH)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120℃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이하, 「점착 부여 수지 TH」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반발성이나 고온 응집성의 관점에서, 점착 부여 수지 TH의 연화점은, 1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5℃ 이상(예를 들어 14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피착체에 대한 박리 강도 등의 관점에서, 점착 부여 수지 TH의 연화점은, 통상, 200℃ 이하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예를 들어 160℃ 이하)이다.
점착 부여 수지 TH로서는, 상술한 석유 수지, 스티렌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변성 테르펜 수지, 로진계 수지, 로진 유도체 수지, 케톤계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페놀 수지, 중합 로진, 중합 로진의 에스테르화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점착 부여 수지 TH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테르펜페놀 수지를 사용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사용하는 테르펜페놀 수지의 연화점은, 예를 들어 125℃ 이상이어도 되고, 내열성이나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5℃ 이상이어도 되고, 140℃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테르펜페놀 수지의 연화점은, 예를 들어 200℃ 이하여도 되고, 점착력 및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 이하여도 되고, 160℃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 TH의 25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예를 들어 60중량% 이상)을 테르펜페놀 수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 TH에 있어서의 테르펜페놀 수지량은, 예를 들어 대략 85중량% 이하여도 되고, 대략 75중량% 이하여도 된다. 혹은,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 TH에 있어서의 테르펜페놀 수지량은, 예를 들어 7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 TH의 실질적으로 전부(예를 들어 95 내지 100중량%, 나아가 99 내지 100중량%)가 테르펜페놀 수지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예를 들어 점착 부여 수지 TH로서, 수산기가가 80mgKOH/g 이상(예를 들어 90mgKOH/g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 H를 포함하는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수산기가가 80mgKOH/g 이상(예를 들어 90mgKOH/g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 TH를 「점착 부여 수지 THO1」이라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 부여 수지 THO1의 수산기가는, 전형적으로는 200mgKOH/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0mgKOH/g 이하이고, 예를 들어 160mgKOH/g 이하이다. 점착 부여 수지 THO1을 포함하는 점착제에 의하면, 보다 고성능의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집성과 다른 특성(예를 들어, 저온 내반발성 등)을 보다 고레벨에서 양립시키는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이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의 수산기의 값으로서는, JIS K0070: 1992에 규정하는 전위차 적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수산기가의 측정 방법]
1. 시약
(1) 아세틸화 시약으로서는, 무수 아세트산 약 12.5g(약 11.8mL)을 취하고, 이것에 피리딘을 첨가하여 전량을 50mL로 하고, 충분히 교반한 것을 사용한다. 또는, 무수 아세트산 약 25g(약 23.5mL)을 취하고, 이것에 피리딘을 첨가하여 전량을 100mL로 하고, 충분히 교반한 것을 사용한다.
(2) 측정 시약으로서는, 0.5mol/L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을 사용한다.
(3) 그 밖에, 톨루엔, 피리딘, 에탄올 및 증류수를 준비한다.
2. 조작
(1) 평저 플라스크에 시료 약 2g을 정칭 채취하고, 아세틸화 시약 5mL 및 피리딘 10mL를 첨가하고, 공기 냉각관을 장착한다.
(2) 상기 플라스크를 100℃의 욕 중에서 70분간 가열한 후, 방랭하고, 냉각관의 상부로부터 용제로서 톨루엔 35mL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증류수 1mL를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무수 아세트산을 분해한다. 분해를 완전하게 하기 위해 다시 욕 중에서 10분간 가열하고, 방랭한다.
(3) 에탄올 5mL로 냉각관을 씻어, 떼어낸다. 다음에, 용제로서 피리딘 50mL를 첨가하여 교반한다.
(4) 0.5mol/L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을, 홀 피펫을 사용하여 25mL 첨가한다.
(5) 0.5mol/L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으로 전위차 적정을 행한다. 얻어진 적정 곡선의 변곡점을 종점으로 한다.
(6) 공시험은, 시료를 넣지 않고 상기 (1) 내지 (5)를 행한다.
3. 계산
이하의 식에 의해 수산기가를 산출한다.
수산기가(mgKOH/g)=[(B-C)×f×28.05]/S+D
여기서,
B: 공시험에 사용한 0.5mol/L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의 양(mL),
C: 시료에 사용한 0.5mol/L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의 양(mL),
f: 0.5mol/L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의 팩터,
S: 시료의 중량(g),
D: 산가,
28.05: 수산화칼륨의 분자량 56.11의 1/2
이다.
점착 부여 수지 THO1로서는, 상술한 각종 점착 부여 수지 중 소정값 이상의 수산기가를 갖는 것을, 단독으로, 혹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점착 부여 수지 THO1로서, 적어도 테르펜페놀 수지를 사용한다. 테르펜페놀 수지는, 페놀의 공중합 비율에 의해 수산기가를 임의로 컨트롤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THO1에 차지하는 테르펜페놀 수지의 비율은, 대략 50중량%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8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THO1의 실질적으로 전부(예를 들어 95 내지 100중량%, 나아가 99 내지 100중량%)가 테르펜페놀 수지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이, 점착 부여 수지 THO1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사용하는 양태에서 실시되는 경우, 전체 점착 부여 수지 중 점착 부여 수지 THO1이 차지하는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비율은,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점착력이나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6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되고, 40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점착제층이, 수산기가 40mgKOH/g 이상 80mgKOH/g 미만의 점착 부여 수지 TH를 포함하는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수산기가가 40mgKOH/g 이상 80mgKOH/g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 TH를 「점착 부여 수지 THO2」라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 부여 수지 THO2의 수산기가는, 45mgKOH/g 이상이어도 되고, 50mgKOH/g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 THO2의 수산기가는, 75mgKOH/g 이하여도 되고, 70mgKOH/g 이하여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 THO2로서는, 상술한 각종 점착 부여 수지 중 소정의 수산기가를 충족하는 것을, 단독으로, 혹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점착 부여 수지 THO2로서, 적어도 테르펜페놀 수지를 사용한다. 점착 부여 수지 THO2에 차지하는 테르펜페놀 수지의 비율은, 대략 50중량%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8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THO2의 실질적으로 전부(예를 들어 95 내지 100중량%, 나아가 99 내지 100중량%)가 테르펜페놀 수지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이, 점착 부여 수지 THO2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사용하는 양태에서 실시되는 경우, 전체 점착 부여 수지 중 점착 부여 수지 THO2가 차지하는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비율은,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점착제의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6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되고, 40중량% 이하여도 된다.
바람직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 THO1과 점착 부여 수지 THO2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THO1과 THO2의 사용량의 관계는, 예를 들어 중량비(THO1:THO2)가 1:5 내지 5:1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1:3 내지 3:1(예를 들어 1:2 내지 2:1)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THO1, THO2가 모두 테르펜페놀 수지인 양태를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 TH는, 방향환을 갖고, 또한 수산기가가 40mgKOH/g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 TH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방향환을 갖고 또한 수산기가가 40mgKOH/g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 TH를 「점착 부여 수지 THR1」이라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 부여 수지 THR1의 수산기가는, 30mgKOH/g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gKOH/g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mgKOH/g 미만이어도 되고, 3mgKOH/g 미만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수산기가가 1mgKOH/g 미만이거나, 혹은 수산기가 검출되지 않는 점착 부여 수지 THR1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방향환을 갖는 점착 부여 수지의 예로서는, 상술한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방향족 공중합계 석유 수지, 스티렌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 수지, 페놀 변성 테르펜 수지, 로진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연화점이 120℃ 이상(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예를 들어 135℃ 이상)이며 상술한 어느 수산기가를 충족하는 것을, 점착 부여 수지 THR1로서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점착 부여 수지 THR1의 예로서, 방향족계 석유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예를 들어,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점착제층이 점착 부여 수지 THR1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양태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 TH는, 방향환을 갖고 또한 이소프렌 단위, 테르펜 골격 및 로진 골격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점착 부여 수지 TH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점착 부여 수지 TH를 「점착 부여 수지 THR2」라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점착 부여 수지 THR2가 이소프렌 단위, 테르펜 골격 및 로진 골격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란, 이들의 구조 부분(즉, 이소프렌 단위, 테르펜 골격 및 로진 골격)이 점착 부여 수지 THR2에 차지하는 비율이 합계 10중량% 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미만, 예를 들어 3중량% 미만)인 것을 말한다. 상기 비율이 0중량%여도 된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 THR2에 차지하는 이소프렌 단위, 테르펜 골격 및 로진 골격의 비율은, 예를 들어 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방향환을 갖고 또한 이소프렌 단위, 테르펜 골격 및 로진 골격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점착 부여 수지의 예로서는, 상술한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방향족 공중합계 석유 수지, 스티렌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연화점이 120℃ 이상(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예를 들어 135℃ 이상)인 것을 점착 부여 수지 THR2로서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점착 부여 수지 THR2로서, 방향족계 석유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예를 들어,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를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THR2로서는, 수산기가가 40mgKOH/g 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30mgKOH/g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mgKOH/g 미만, 예를 들어 5mgKOH/g 미만 또는 3mgKOH/g 미만)인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산기가가 1mgKOH/g 미만이거나, 혹은 수산기가 검출되지 않는 점착 부여 수지 THR2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 부여 수지 THR2로서는, 점착 부여 수지 THR1에도 해당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 부여 수지 THR1로서는, 점착 부여 수지 THR2에도 해당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점착제층이 점착 부여 수지 THR2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양태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 TH의 총량(즉, 연화점 120℃ 이상의 점착 부여 수지의 총량)은, 응집성 향상의 관점에서, 20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30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35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 TH의 총량이 40중량부 이상(예를 들어 50중량부 이상)인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 TH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0중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점착력 및 상용성의 관점에서 9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8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의 총량에 차지하는 점착 부여 수지 TH의 비율은, 응집성 향상의 관점에서, 대략 20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이며, 5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60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비율은, 예를 들어 95중량% 이하로 할 수 있고, 점착력 향상의 관점에서 8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75중량% 이하여도 되고,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65중량% 이하여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 TL)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점착 부여 수지 TH에 더하여, 연화점 120℃ 미만의 점착 부여 수지(이하, 「점착 부여 수지 TL」이라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TH와 점착 부여 수지 TL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점착성과 응집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를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TL의 연화점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은, 연화점이 40℃ 이상(전형적으로는 60℃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성과 응집성을 고레벨로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통상은, 연화점이 8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20℃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 TL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화점이 110℃ 이상 120℃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 TL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TL로서는, 상술한 각종 점착 부여 수지(석유 수지, 스티렌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 수지, 변성 테르펜 수지, 로진계 수지, 로진 유도체 수지, 케톤계 수지 등) 중 연화점이 120℃ 미만인 것을, 단독으로, 혹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점착제가, 석유 수지 및 테르펜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점착 부여 수지 TL로서 포함하는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부여 수지 TL의 주성분(즉, 점착 부여 수지 TL 중 50중량% 초과를 차지하는 성분)이 석유 수지인 조성, 테르펜 수지인 조성, 석유 수지와 테르펜 수지의 조합인 조성 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점착력 및 상용성의 관점에서, 점착 부여 수지 TL의 주성분이 테르펜 수지(예를 들어, β-피넨 중합체)인 양태가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TL의 실질적으로 전부(예를 들어 95질량% 이상)가 테르펜 수지여도 된다.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 TL의 총량(즉, 연화점 120℃ 미만의 점착 부여 수지의 총량)은, 응집성 향상의 관점에서, 5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4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 TL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점착성이나 섬유 시트에 대한 함침성 향상의 관점에서 10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총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점착성과 응집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총량은, 통상, 20질량부 이상이 적당하고, 30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40질량부 이상(예를 들어 50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저온 특성(예를 들어 저온 박리 강도) 등의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통상 200질량부 이하가 적당하고, 15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질량부 이하(예를 들어 10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총량은, 점착 부여 수지 TH의 총량과 점착 부여 수지 TL의 총량의 합계량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점착제의 응집성을 향상시켜, 보다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시트의 실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1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말하고,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함)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각종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구체예로서는,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5-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1,5-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1,5-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구체예로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2-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1,2-시클로펜틸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펜틸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시클로펜틸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구체예로서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2-니트로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프로판-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프로판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1분자당 평균하여 3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가 예시된다. 이러한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는,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의 다량체(전형적으로는 2량체 또는 3량체), 유도체(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과 2분자 이상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 반응 생성물), 중합물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2량체나 3량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의 3량체 부가물),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의 시판품으로서는,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제의 상품명 「듀라네이트 TPA-100」, 도소사제의 상품명 「코로네이트 L」, 동 「코로네이트 HL」, 동 「코로네이트 HK」, 동 「코로네이트 HX」, 동 「코로네이트 2096」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를 초과하고 10중량부 이하(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10중량부)로 할 수 있다. 통상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을 0.1 내지 10중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0.1 내지 5중량부(전형적으로는 0.3 내지 3중량부, 예를 들어 0.5 내지 1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성능 밸런스가 우수한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기타 성분)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필요에 따라서,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고무상 폴리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고무상 폴리머는,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고무계,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실리콘계, 폴리아미드계, 불소계 등의 각종 폴리머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점착제층이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고무상 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양태(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당의 함유량이 0 내지 1중량부인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필요에 따라서, 레벨링제, 가교제, 가교 보조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대전 방지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등의,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인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첨가제에 대해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상법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는, 폴리부텐 등의 액상 고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당의 함유량이 1중량부 이하이고, 0중량부여도 됨)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 수지의 합계량이, 해당 점착제의 전체 중량(즉, 이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는 점착제층의 중량)의 9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조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 수지의 합계량이 상기 점착제의 전체 중량의 90 내지 99.8중량%(전형적으로는, 예를 들어 95 내지 99.5중량%)인 양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킬레이트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조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킬레이트 화합물이란, 예를 들어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과, 해당 산화물이 배위 가능한 관능기(수산기, 메틸올기 등)를 갖는 수지(알킬페놀 수지 등)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가리킨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이와 같은 킬레이트 화합물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혹은 해당 킬레이트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1중량% 이하인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보다 점착력이 우수한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의 점착제(점착 성분)를 유기 용매 중에 포함하는 형태(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가 수성 용매에 분산된 형태(수분산형, 전형적으로는 수성 에멀션형)의 점착제 조성물, 핫 멜트형 점착제 조성물 등일 수 있다. 섬유 시트에 대한 함침성 및 점착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상술한 각 성분을 유기 용매 중에 포함하는 용액의 형태로 조제된다. 상기 유기 용매는, 공지 내지 관용의 유기 용매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화합물류(전형적으로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류;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류;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알칸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톤류;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은, 상기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을 고형분(NV) 30 내지 65중량%(예를 들어 40 내지 55중량%)로 조제하는 것이 적당하다. NV가 너무 낮으면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NV가 너무 높으면 도공성 등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점착 시트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을 섬유 시트에 직접 부여(전형적으로는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직접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성이 좋은 표면(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의 표면)에 부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해당 표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점착제층을 섬유 시트에 전사하는 방법(전사법)을 채용해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코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교 반응의 촉진, 제조 효율 향상 등의 관점에서, 점착제 조성물의 건조는 가열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은, 예를 들어 대략 40℃ 내지 150℃(전형적으로는 40℃ 내지 120℃, 예를 들어 50℃ 내지 120℃, 나아가 70℃ 내지 100℃) 정도의 건조 온도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건조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수십초 내지 수분 정도(예를 들어 대략 5분 이내,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2분 정도)로 하면 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추가의 건조 공정을 마련해도 된다.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는 점상, 스트라이프상 등의 규칙적 혹은 랜덤한 패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섬유 시트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두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예를 들어 50㎛ 초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박리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두께가 65㎛ 초과(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초과, 예를 들어 90㎛ 초과)인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에서는, 적절한 두께 및 벌크 밀도를 갖는 섬유 시트에 의해 점착제층이 보강되어 있으므로, 해당 점착제층을 두껍게 함으로써 박리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100㎛ 초과여도 되고, 120㎛ 초과여도 되고, 140㎛ 초과여도 된다. 또한, 점착 시트의 생산성이나 점착제층의 응집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0㎛ 미만이어도 되고, 500㎛ 미만이어도 되고, 250㎛ 미만이어도 되고, 190㎛ 미만이어도 되고, 170㎛ 미만이어도 된다.
또한, 섬유 시트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경우,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란 편면당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말한다. 섬유 시트의 제1 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제1 점착제층)의 두께와, 해당 섬유 시트의 제2 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제2 점착제층)의 두께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점착제층의 조성(예를 들어, 점착 부여 수지의 종류나 사용량,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종류나 사용량 등)과 제2 점착제층의 조성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점착 시트>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전형적으로는, 해당 점착 시트에 포함되는 섬유 시트의 두께보다 크고, 또한 2000㎛ 미만으로 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예를 들어 1000㎛ 미만이어도 되고, 500㎛ 미만이어도 되고, 400㎛ 미만이어도 되고, 350㎛ 미만이어도 된다. 또한,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예를 들어 60㎛ 이상이어도 되고, 박리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10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초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0㎛ 초과여도 되고, 200㎛ 초과여도 되고, 240㎛ 초과여도 되고, 280㎛ 초과여도 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전형적으로는 해당 점착 시트에 포함되는 섬유 시트의 두께의 1.1배 이상이며, 예를 들어 1.5배 이상일 수 있다. 박리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섬유 시트의 두께의 3.0배 이상인 것이 유리하고, 4.0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배 이상(예를 들어 4.5배 내지 6.5배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섬유 시트의 두께의 7.0배 이상이어도 되고, 10배 이상이어도 되고, 12배 이상(예를 들어 12배 내지 25배 정도)이어도 되고, 15배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예를 들어 섬유 시트의 두께의 50배 이하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시트의 총 두께는, 섬유 시트의 두께의 30배 이하여도 되고, 25배 이하여도 되고, 20배 이하여도 되고, 16배 이하여도 되고, 11배 이하여도 되고, 8.0배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스테인리스 강판에 대한 180도 박리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0N/20㎜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30N/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N/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N/2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상기 180도 박리 강도가, 44N/20㎜ 이상인 양태, 47N/20㎜ 이상인 양태, 또는 50N/20㎜ 이상인 양태에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80도 박리 강도는, 전형적으로는 100N/20㎜ 이하이고, 80N/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N/20㎜ 이하여도 되고, 65N/20㎜ 이하여도 된다.
여기서, 점착 시트의 180도 박리 강도는, 피착체로서의 스테인리스 강판(보다 상세하게는, SUS304BA판)에 압착하여 23℃, 50%RH의 환경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JIS Z 0237에 준하여, 박리 각도 180도, 인장 속도 300㎜/분의 조건에서 180° 박리 점착력을 측정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측정에 있어서는, 점착 시트의 배면(피착체에 첩부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적절한 배접재(예를 들어, 두께 25㎛의 PET 필름)를 첩부하여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의 180도 박리 강도는,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OA 기기, 가전 제품, 자동차 등의 각종 제품에 포함되는 부재의 접합이나 고정의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사항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1) 섬유 시트와 해당 섬유 시트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이며,
상기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120℃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와, 연화점이 120℃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섬유 시트는, 두께가 15㎛ 이상 50㎛ 이하이며, 또한 벌크 밀도가 0.25g/㎤ 이상 0.50g/㎤ 이하인, 점착 시트.
(2) 상기 섬유 시트는, 벌크 밀도가 0.35g/㎤를 초과하고 0.50g/㎤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점착 시트.
(3) 상기 섬유 시트는, 평량이 15g/㎡ 이상 25g/㎡ 이하인, 상기 (2)에 기재된 점착 시트.
(4) 상기 섬유 시트는, 평량이 10g/㎡ 미만이며, 또한 두께가 15㎛ 이상 25㎛ 이하인, 상기 (2)에 기재된 점착 시트.
(5)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는, 상기 섬유 시트의 두께의 4배 이상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6) 스테인리스 강판에 대한 180도 박리 강도가 40N/20㎜ 이상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7) 상기 180도 박리 강도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과 상기 점착 시트의 계면에서 박리가 진행되는, 상기 (6)에 기재된 점착 시트.
(8) 상기 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상 물질이 천연 섬유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9) 상기 섬유 시트는 부직포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10)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00㎛ 초과(예를 들어 120㎛ 초과)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11) 상기 점착 시트의 총 두께가 150㎛ 초과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12) 상기 섬유 시트와, 해당 섬유 시트의 한쪽의 표면(제1 면)측에 적층된 상기 점착제층(제1 점착제층)과, 상기 섬유 시트의 다른 쪽의 표면(제2 면)측에 적층된 상기 점착제층(제2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섬유 시트를 준비하는 것;
상기 베이스 폴리머 및 상기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섬유 시트에 상기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제조 방법.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부」 및 「%」는, 특별히 정함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각 특성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베이스 폴리머로서의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닛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퀸택(Quintac) 3520」, 스티렌 함유량 15%, 디블록체 비율 78%) 100부와, 방향족계 석유 수지(JX 닛코닛세키 에너지사제, 제품명 「닛세키 네오 폴리머 150」, 연화점 155℃, 수산기가 1mgKOH/g 미만) 20부와, 테르펜페놀 수지 40부와, 테르펜 수지 30부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도소사제, 제품명 「코로네이트 L」)을 고형분 기준으로 0.75부와, 노화 방지제 3부와, 용매로서의 톨루엔을 교반 혼합하여, NV50%의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여기서, 테르펜페놀 수지로서는, 야스하라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YS 폴리스타 S145」(연화점 145℃, 수산기가 100mgKOH/g)와, 동사제의 상품명 「YS 폴리스타 T145」(연화점 145℃, 수산기가 60mgKOH/g)의 2종류를, 1:1의 질량비로, 그것들의 합계가 40부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테르펜 수지로서는, 야스하라 케미컬사제의 제품명 「YS 레진 PX1150N」(연화점 115℃, 수산기가 1mgKOH/g 미만)을 사용하였다. 노화 방지제로서는, BASF사제의 제품명 「IRGANOX CB612」(BASF사제의 제품명 「IRGAFOS 168」과 동사제의 제품명 「IRGANOX 565」의 질량비 2:1의 블렌드 배합물)를 사용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작>
(예 1)
상질지의 편면에 두께 25㎛의 폴리에틸렌층이 라미네이트되고, 그 위에 실리콘계 박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시트상의 박리 라이너를 준비하였다. 이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에서 얻은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박리 라이너 상에 두께 15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표 1에 나타내는 두께, 벌크 밀도 및 평량을 갖는 섬유 시트 a의 제1 면에 접합하여 제1 점착제층으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박리 라이너 상에 두께 15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상기 섬유 시트 a의 제2 면에 접합하여 제2 점착제층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섬유 시트의 제1 면 및 제2 면에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이 각각 적층되고, 각 점착제층의 표면이 상기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에 이 적층체를 압력 0.3㎫, 속도 0.5m/분의 조건에서 100℃의 라미네이터에 1회 통과시킨 후, 23℃의 환경 하에서 1시간 양생하여, 본 예에 관한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예 2 내지 7)
섬유 시트 a 대신에 섬유 시트 b 내지 g를 각각 사용한 것 외는 예 1에 관한 점착 시트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 예에 관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섬유 시트 a 내지 f는, a: 목재 펄프 20% 마 펄프 80%의 부직포, b: 펄프계의 부직포, c: 마 펄프 100%의 부직포, d: 펄프계의 부직포, e: 마 펄프 100%의 부직포, f: 펄프계의 부직포이며, 섬유 시트 g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카피 용지를 사용하였다.
<180도 박리 강도의 측정>
각 예에 관한 양면 점착 시트의 한쪽의 점착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두께 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첩부하여 배접하였다. 이 배접된 점착 시트를 폭 20㎜, 길이 100㎜의 사이즈로 커트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23℃, 50%RH의 환경 하에서, 상기 시험편의 다른 쪽의 점착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해당 시험편을 피착체의 표면에, 2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이것을 동 환경 하에 30분간 방치한 후, JIS Z 0237에 준하여,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분의 조건에서 180° 박리 점착력(N/20㎜)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 행하고(즉 N=3), 그것들의 산술 평균값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두께가 15㎛ 이상 50㎛ 이하이며, 또한 벌크 밀도가 0.25g/㎤ 이상 0.50g/㎤ 이하인 섬유 시트를 사용한 예 1 내지 4의 점착 시트는, 예 5 내지 7의 점착 시트에 비해 명백하게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냈다. 예 1, 4의 점착 시트에서는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점착 시트
11: 제1 점착제층
11A: 제1 점착면
12: 제2 점착제층
12A: 제2 점착면
15: 섬유 시트
21: 박리 라이너
21B: 배면

Claims (6)

  1. 섬유 시트와 해당 섬유 시트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이며,
    상기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120℃ 미만인 점착 부여 수지와, 연화점이 120℃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섬유 시트는, 두께가 15㎛ 이상 50㎛ 이하이며, 또한 벌크 밀도가 0.25g/㎤ 이상 0.50g/㎤ 이하인,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는, 벌크 밀도가 0.35g/㎤를 초과하고 0.50g/㎤ 이하인, 점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는, 평량이 15g/㎡ 이상 25g/㎡ 이하인, 점착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는, 평량이 10g/㎡ 미만이며, 또한 두께가 15㎛ 이상 25㎛ 이하인, 점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는, 상기 섬유 시트의 두께의 4배 이상인, 점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강판에 대한 180도 박리 강도가 40N/20㎜ 이상인, 점착 시트.
KR1020217031495A 2019-03-06 2020-02-13 점착 시트 KR20210137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1004A JP7320359B2 (ja) 2019-03-06 2019-03-06 粘着シート
JPJP-P-2019-041004 2019-03-06
PCT/JP2020/005531 WO2020179392A1 (ja) 2019-03-06 2020-02-13 粘着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082A true KR20210137082A (ko) 2021-11-17

Family

ID=7233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495A KR20210137082A (ko) 2019-03-06 2020-02-13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62484A1 (ko)
EP (1) EP3936335A4 (ko)
JP (1) JP7320359B2 (ko)
KR (1) KR20210137082A (ko)
CN (1) CN113518713A (ko)
WO (1) WO20201793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852A (ja) 2012-03-16 2013-10-24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251U (ja) * 2001-05-29 2001-12-07 日立化成ポリマー株式会社 リサイクル両面粘着テープ
JP5570704B2 (ja) 2008-05-13 2014-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配線回路基板
JP5438404B2 (ja) * 2009-07-09 2014-03-1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接着性粘着シート
US20130245208A1 (en) * 2012-03-16 2013-09-19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14050662A1 (ja) * 2012-09-28 2014-04-03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接着シート
JP6594606B2 (ja) 2013-01-31 2019-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6454091B2 (ja) * 2013-06-28 2019-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製品
JP6513356B2 (ja) * 2013-09-13 2019-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研磨パッド固定用粘着シート
JP6367599B2 (ja) * 2013-11-22 2018-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2016108438A (ja) * 2014-12-05 2016-06-20 Dic株式会社 熱伝導性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6944766B2 (ja) * 2015-08-31 2021-10-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WO2017038307A1 (ja) 2015-08-31 2017-03-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19041004A (ja) 2017-08-25 2019-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プリント装置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852A (ja) 2012-03-16 2013-10-24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6335A4 (en) 2022-11-16
US20220162484A1 (en) 2022-05-26
JP7320359B2 (ja) 2023-08-03
CN113518713A (zh) 2021-10-19
JP2020143221A (ja) 2020-09-10
WO2020179392A1 (ja) 2020-09-10
EP3936335A1 (en)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652B1 (ko) 점착 시트
JP6513356B2 (ja) 研磨パッド固定用粘着シート
JP6006032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6594606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6016874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6454091B2 (ja) 粘着製品
US2013024519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70090354A (ko) 점착 시트
KR20150031194A (ko) 점착 시트
KR20210137084A (ko) 점착 시트
WO2017038307A1 (ja) 粘着シート
CN111770973B (zh) 热塑性粘接片及其利用
KR20210137082A (ko) 점착 시트
CN102652164A (zh) 水性粘合剂用树脂组合物、水性粘合剂、粘合片及水性粘合剂用组合物的制造方法
CN108300342B (zh) 粘合片
CN115703955A (zh) 粘合剂组合物和粘合片
JP2023024270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