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962A - 기능성 내의 - Google Patents
기능성 내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5962A KR20210085962A KR1020190179577A KR20190179577A KR20210085962A KR 20210085962 A KR20210085962 A KR 20210085962A KR 1020190179577 A KR1020190179577 A KR 1020190179577A KR 20190179577 A KR20190179577 A KR 20190179577A KR 20210085962 A KR20210085962 A KR 202100859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ing line
- cover
- crotch
- band
-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2175 menstr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906 menstru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6942 Elas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4258 Elas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9 elas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4—Undergarments characterized by the crotch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3—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 A61F13/49006—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the reusable article being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e.g. slip or panty for light incontinenc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면은 몸매, 속옷의 라인, 생리 패드 라인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기능성 내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기능성 내의은, 사용자의 우측 다리 및 우측 엉덩이를 덮는 우측 전면부와 우측 후면부, 사용자의 좌측 다리 및 좌측 엉덩이를 덮는 좌측 전면부와 좌측 후면부, 상기 우측 전면부, 상기 우측 후면부, 상기 좌측 전면부, 상기 좌측 후면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가랑이를 덮는 가랑이부, 상기 우측 전면부, 상기 우측 후면부, 상기 좌측 전면부, 상기 좌측 후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우측 전면부와 상기 좌측 전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랩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부에는 상기 가랑이부를 덮는 제1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에는 상기 제1 커버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지지 밴드가 설치되되, 상기 지지 밴드는 양단이 상기 제1 커버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기능성 내의은, 사용자의 우측 다리 및 우측 엉덩이를 덮는 우측 전면부와 우측 후면부, 사용자의 좌측 다리 및 좌측 엉덩이를 덮는 좌측 전면부와 좌측 후면부, 상기 우측 전면부, 상기 우측 후면부, 상기 좌측 전면부, 상기 좌측 후면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가랑이를 덮는 가랑이부, 상기 우측 전면부, 상기 우측 후면부, 상기 좌측 전면부, 상기 좌측 후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우측 전면부와 상기 좌측 전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랩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부에는 상기 가랑이부를 덮는 제1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에는 상기 제1 커버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지지 밴드가 설치되되, 상기 지지 밴드는 양단이 상기 제1 커버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여성의 생리 시 착용이 편리한 기능성 내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생리패드는 일자형이라 삼각팬티라인까지만 흡수되도록 되어 있고, 접착제로만 고정시키기 때문에 활동중에 패드가 한쪽으로 쏠려 생리혈이 팬티에 새어 나오고 겉옷까지 묻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생리양이 많은 날이면 일자형 패드를 다 적시고도 모자라 넘쳐 가랑이 사이로 새어버리는 경우도 많다. 이에 따라, 생리혈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점에서 생리혈이 많은 여성들은 생리혈이 생리 패드 밖으로 새어나올것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생리 패드의 착용을 기피하며, 생리 패드의 대체용품인 유아의 기저귀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기저귀의 착용상태가 외부에서 쉽게 식별될 수 있어, 바지와 같은 옷차림의 착용은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리혈이 새지 않도록 다양한 발명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대한민국공개 특허 제2004-00064822호에서는 생리혈이 많은 여성들이 팬티 대용이나 팬티 내부에 편리하게 착용하여 사용하도록 일회용 팬티 생리 패드를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회용 팬티 생리 패드는 흡수성이 양호한 부직포와 통기성 커버를 고주파융착 방식으로 부착시켜 전개된 삼각팬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후방부의 양측단에 각각 접착부가 구성되고, 전방부의 양측단에는 후방부의 접착부와 접착되는 피접착부를 구성하며, 부직포와 통기성 커버 사이에 흡수체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고, 흡수체의 후단부 양측에 부직포와 통기성 커버를 역삼각형 형상으로 고주파 융착시켜 고정부를 형성한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0-0024383호에는 동적인 생활 패턴에 의해 생리 패드가 움직여 생리혈이 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리 패드 고정부분을 고안하여 생리 시에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생활에 편리성을 도모한 안전하고 생리 패드 고정 위생팬티를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6416호에는 일회용 생리 패드팬티를 사이즈별로 제작하여, 일회용 생리 패드팬티의 안쪽에 일반용 생리 패드와 나이트용 생리 패드를 접목하여 허리 둘레와 양쪽 다리 허벅지가 들어가는 곳에 탄력이 좋은 고무 밴드를 부착하여 일회용 생리 패드팬티가 몸에 맞게 착용하여 생리혈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일회용 생리 패드팬티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몸매, 속옷의 라인, 생리 패드 라인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기능성 내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생리 패드의 부착이 용이하고, 생리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내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바람이 불었을 때 가랑이 사이로 치마가 말려 들어가서 y라인이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여 치마 착용시 활동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능성 내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내의은, 사용자의 우측 다리 및 우측 엉덩이를 덮는 우측 전면부와 우측 후면부, 사용자의 좌측 다리 및 좌측 엉덩이를 덮는 좌측 전면부와 좌측 후면부, 상기 우측 전면부, 상기 우측 후면부, 상기 좌측 전면부, 상기 좌측 후면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가랑이를 덮는 가랑이부, 상기 우측 전면부, 상기 우측 후면부, 상기 좌측 전면부, 상기 좌측 후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우측 전면부와 상기 좌측 전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랩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부에는 상기 가랑이부를 덮는 제1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에는 상기 제1 커버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지지 밴드가 설치되되, 상기 지지 밴드는 양단이 상기 제1 커버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내의는 상기 우측 후면부와 상기 좌측 후면부가 연결된 부분을 덮도록 설치된 제2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T자 형상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는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레이어와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이어와 상기 제2 레이어는 열압착에 의하여 접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이어는 0.1㎛~0.2㎛의 직경을 갖는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밴드는 길이 방향 양쪽 단부가 중앙보다 더 큰 폭을 갖되, 흡수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제1밴드층과 제2 밴드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는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보호층과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랩 스커트는 상기 우측 전면부와 우측 후면부가 만나는 부분부터 상기 좌측 전면부와 좌측 후면부가 만나는 부분까지 연장되되, 상기 우측 전면부와 좌측 전면부의 길이 보다는 짧고 상기 가랑이부보다는 하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의 양쪽 측단에는 각각 제1 봉제라인과 제2 봉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봉제라인과 상기 제2 봉제라인 사이에는 제3 봉제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봉제라인과 상기 제2 봉제라인과 상기 제3 봉제 라인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의 양쪽 측단에는 각각 제4 봉제라인과 제5 봉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는 제6 봉제라인과 제7 봉제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제4 봉제라인, 상기 제5 봉제라인, 상기 제6봉제라인, 상기 제7 봉제라인은 돌출 형성되고, 상기 4 봉제라인은 상기 제1 봉제라인, 상기 제2 봉제라인 및 상기 제3 봉제라인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봉제라인과 상기 제2 봉제라인과 상기 제3 봉제라인은 권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능성 내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생리 패드의 부착이 용이하고, 생리 패드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능성 내의는 생리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이 불었을 때 가랑이 사이로 치마가 말려 들어가서 y라인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여 치마 착용시 활동의 편의성을 극대화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에 생리 패드를 부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를 가랑이부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제2 커버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에 생리 패드를 부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를 가랑이부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제2 커버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는 우측 전면부(10), 좌측 전면부(20), 우측 후면부(30), 좌측 후면부(40), 가랑이부(90), 밴드부(70)를 포함한다.
우측 전면부(10)와 우측 후면부(30)는 사용자의 우측 다리 및 우측 엉덩이를 덮고, 좌측 전면부(20)와 좌측 후면부(40)는 사용자의 좌측 다리 및 좌측 엉덩이를 덮는다. 우측 전면부(10), 우측 후면부(30), 좌측 전면부(20) 및 좌측 후면부(40)는 반드시 재봉선에 의해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속옷을 착용하였을 때 신체의 닿는 부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가랑이부(90)는 우측 전면부(10)와 좌측 전면부(20)가 만나는 부분과 우측 후면부(30)와 좌측 후면부(40)가 만나는 부분을 연결하고 사용자의 가랑이 하측에 위치한다.
밴드부(70)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는 부분으로 속옷을 착용하였을 때 속옷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밴드부(7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무 또는 엘라스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는 우측 전면부(10), 좌측 전면부(20), 우측 후면부(30), 좌측 후면부(40), 가랑이부(90), 밴드부(70)를 포함하는데, 그 형태는 다소 변형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형태는 전체적으로 종래의 반바지 또는 사각팬티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를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에 생리 패드를 부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랑이부(90)에는 제1 커버(52)가 설치되고, 우측 후면부(30), 좌측 후면부(40)가 연결된 부분에는 제2 커버(55)가 설치된다. 제1 커버(52)는 가랑이부(90)를 따라 이어져 형성되며, 제1커버(52)에는 지지 밴드(51)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커버(52)는 다리의 내측을 감싸는 가랑이부(90)의 일측 하단에서 다른 쪽 다리를 감싸는 가랑이부(90)의 타측 하단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를 가랑이부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커버(52)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레이어(521)와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 레이어(5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랑이부(90)는 인견 소재 또는 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레이어(521)와 제2 레이어(522)는 열압착 또는 봉제에 의하여 접착 또는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 레이어(522)는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레이어(522)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레이어(522)에는 0.1㎛~0.2㎛의 직경을 갖는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이어(522)에 0.1㎛~0.2㎛의 직경을 갖는 기공이 형성되면 기체는 통과시키면서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가랑이부(90)에 제1 레이어(521)와 제2 레이어(522)를 갖는 제1 [0043] 커버(52)가 설치되면 생리 패드(80)에서 생리혈이 넘치는 경우에도 제1 커버(52)가 흡수와 동시에 생리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커버(52)에는 지지 밴드(51)가 설치되는데, 지지 밴드(51)는 길이방향 양쪽 단부가 봉재선(53)에 의하여 제1 커버(52)에 고정되며, 중간 부분은 제1 커버(52)에서 이격되도록 제1 커버(52)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 밴드(51)는 제1 커버(52)보다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밴드(51)는 제1 밴드층(511)과 제2 밴드층(5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밴드층(511)과 제2 밴드층(512)은 흡수성을 갖는 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밴드층(511)과 제2 밴드층(512)은 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되지 않고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지지 밴드(51)는 양쪽 길이 방향 단부의 폭이 중앙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밴드(51)는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양쪽 측단이 호형으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밴드(51)와 제1 커버(5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지지 밴드(51)의 양쪽 측단으로 생리 패드(80)의 날개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밴드에 생리 패드가 결합되면 활동 중에도 생리 패드가 움직이거나 생리패드의 날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제2 커버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커버(55)는 우측 후면부(30)와 좌측 후면부(40)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설치되며 기 설정된 폭을 갖는다. 제2 커버(55)는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커버(55)는 대략 둔부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제2 커버(55)는 제1 커버(52)와 연결되어 대략 "T"자 형성을 이룬다. 제2 커버(55)는 흡수성을 갖는 면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보호층(551)과 방수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55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우측 후면부(30)와 좌측 후면부(40)는 인견 또는 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보호층(552)은 제1 보호층(551) 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층(551)과 제2 보호층(552)은 접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 보호층(552)은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보호층(552)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보호층(552)에는 0.1㎛~0.2㎛의 직경을 갖는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층(552)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와 같이 제2 커버(55)가 형성되면 생리 패드(80)에서 생리혈이 넘치는 경우에도 제2 커버(55)가 흡수와 동시에 생리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55)는 생리 패드(80)의 흔적을 감추어서 뒤편에서 볼 때에 생리 패드의 착용 흔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우측 전면부(10)와 좌측 전면부(20)의 전면에 전면 랩 스커트(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랩 스커트(60)는 마치 앞치마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전면부(10)와 우측 후면부(30)가 만나는 부분부터 상기 좌측 전면부(20)와 좌측 후면부(40)가 만나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랩 스커트(60)는 우측 전면부(10)와 좌측 전면부(20)를 덮는데, 상기 전면 랩 스커트(60)는 상기 우측 전면부(10)와 좌측 전면부(20)의 길이 보다는 짧고 상기 가랑이부(90) 보다는 하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면 랩 스커트(60)의 길이는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도 사용자의 몸매나 생리 패드라인 등이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 랩 스커트(60)의 하단은 상기 밴드부(7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랩 스커트(60)는 사용자가 몸에 밀착되지 않는 옷을 입는 경우, 바람이 불거나 정전기에 의해 치마가 다리 사이로 말려 들어가는 경우 사용자의 몸매, 속옷의 라인, 생리 패드(80)를 착용한 경우 생리 패드 라인 등 이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는 봉제선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에는 제1 커버(52)와 제2 커버(55)가 설치되며, 제2 커버(55)에는 제1 봉제라인(L1), 제2 봉제라인(L2), 제3 봉제라인(L3)이 형성된다. 제1 봉제라인(L1)과 제2 봉제라인(L2)은 제2 커버(55)의 양쪽 측단에 형성되며, 제3 봉제라인(L3)은 제1 봉제라인(L1)과 제2 봉제라인(L2) 사이에 형성되되, 제2커버(55)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봉제라인(L1), 제2 봉제라인(L2), 제3 봉제라인(L3)은 제2 커버(55)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데, 제1봉제라인(L1), 제2 봉제라인(L2), 제3 봉제라인(L3)은 두겹 내지 세겹으로 권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봉제라인(L1), 제2 봉제라인(L2), 제3 봉제라인(L3)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봉제라인(L1), 제2 봉제라인(L2), 제3 봉제라인(L3)은 실에 의하여 고정 형성된다. 제1 봉제라인(L1), 제2 봉제라인(L2), 제3봉제라인(L3)이 권취된 구조로 이루어지면 이들이 돌출되어 생리혈을 흡수 및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52)에는 제4 봉제라인(L4)과 제5 봉제라인(L5)이 형성되고, 제4 봉제라인(L4)과 제5 봉제라인(L5)은 제1 커버(52)의 양쪽 측단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커버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는 제6 봉제라인(L6)과 제7 봉제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제4 봉제라인(L4), 제5 봉제라인(L5), 제6 봉제라인, 제7 봉제라인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4 봉제라인(L4), 제5 봉제라인(L5), 제6 봉제라인(L6), 제7 봉제라인은 권취된 구조로 이루 어질 수 있다.
제4 봉제라인(L4)은 제1 봉제라인(L1), 제2 봉제라인(L2), 제3 봉제라인(L3)과 맞닿도록 설치된다. 제1 봉제라인(L1), 제3 봉제라인(L3), 및 제4 봉제라인(L4)에 의하여 제1 구역(D1)이 형성되며, 제2 봉제라인(L2), 제3 봉제라인(L3), 제4 봉제라인(L4)에 의하여 제2 구역(D2)이 형성된다.
제4 봉제라인(L4), 제5 봉제라인(L5), 제6 봉제라인(L6), 제7 봉제라인에 의하여 제3 구역(D3)이 형성되며, 제3구역(D3)으로 유출된 생리혈은 제4 봉제라인(L4)과 제5 봉제라인(L5)에 의하여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봉제라인들에 의하여 구역이 형성되면 해당 구역으로 유출된 생리혈이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여기서 봉제라인들은 차단 돌기 및 샘방지층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봉제라인이 각각 구역을 형성하여 생리혈이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내의는 우측 전면부(110), 좌측 전면부(120), 우측 후면부(130), 좌측 후면부(140), 가랑이부(160), 밴드부(170), 및 팬티부(180)를 포함한다. 팬티부(180)를 제외하고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팬티부(180)는 가랑이부(160)에 둘러싸여진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가랑이부(160)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팬티부(180)에는 방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팬티부 및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생리혈이 유출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팬티부(180)는 제1 연결부(181)와 제2 연결부(182)를 별도의 천으로 재봉하여 생리대를 착용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팬티부(180)의 양측에는 재봉선(L5)이 형성되는데, 재봉선(L5)은 방수층에서 조금이라도 생리혈이전파되는 것을 더욱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생리혈은 D1' 영역에 갖혀 D2' 영역으로의 전파가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위생 팬티, 속바지의 역할과 형태를 결합하고 속바지의 앞 부분에 치마를 한 겹더 부착 하는 형태를 결합하여 위생 팬티처럼 착용 할 수 있도록 하여 생리 패드의 부착이 용이하고, 생리 혈이외부로 유출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면서, 생리패드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며, 가랑이부 내측과 엉덩이 후면부에 샘방지층을 형성하여, 가랑이 사이로 새는 생리혈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이 불었을 때 가랑이 사이로 치마가 말려 들어가서 y라인 드러나는 것을 방지 하여 치마 착용시 활동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기능성 내의
10: 우측 전면부
20: 좌측 전면부
30: 우측 후면부
40: 좌측 후면부
51: 지지 밴드
511: 제1 밴드층
512: 제2 밴드층
52: 제1 커버
521: 제1 레이어
522: 제2 레이어
55: 제2 커버
551: 제1 보호층
552: 제2 보호층
70: 밴드부
90: 가랑이부
10: 우측 전면부
20: 좌측 전면부
30: 우측 후면부
40: 좌측 후면부
51: 지지 밴드
511: 제1 밴드층
512: 제2 밴드층
52: 제1 커버
521: 제1 레이어
522: 제2 레이어
55: 제2 커버
551: 제1 보호층
552: 제2 보호층
70: 밴드부
90: 가랑이부
Claims (5)
- 사용자의 우측 다리 및 우측 엉덩이를 덮는 우측 전면부와 우측 후면부;
사용자의 좌측 다리 및 좌측 엉덩이를 덮는 좌측 전면부와 좌측 후면부;
상기 우측 전면부, 상기 우측 후면부, 상기 좌측 전면부, 상기 좌측 후면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가랑이를 덮는 가랑이부;
상기 우측 전면부, 상기 우측 후면부, 상기 좌측 전면부, 상기 좌측 후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우측 전면부와 상기 좌측 전면부의 전면에 밀착 배치되는 치마 형태의 전면 랩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랩 스커트는 상기 우측 전면부와 우측 후면부가 만나는 부분부터 상기 좌측 전면부와 좌측 후면부가 만나는 부분까지 연장되되, 상기 우측 전면부와 좌측 전면부의 길이 보다는 짧고 상기 가랑이부보다는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면에만 형성되고 후면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전면 랩 스커트는 생리 패드 라인이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가랑이부에는 상기 가랑이부를 덮는 제1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에는 상기 제1 커버 보다 더 작은폭을 갖는 지지 밴드가 설치되되, 상기 지지 밴드는 양단이 상기 제1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밴드는 길이 방향 양쪽 단부가 중앙보다 더 큰 폭을 갖으며,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양쪽 측단이 호형으로 만곡 형성되며,
상기 우측 후면부와 상기 좌측 후면부가 연결된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밴드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의 양쪽 측단에는 각각 제1 봉제라인과 제2 봉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봉제라인과 상기 제2 봉제라인 사이에는 제3 봉제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봉제라인과 상기 제2 봉제라인과 상기 제3 봉제라인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의 양쪽 측단에는 각각 제4 봉제라인과 제5 봉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는 제6 봉제라인과 제7 봉제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제4 봉제라인, 상기 제5 봉제라인, 상기 제6 봉제라인, 상기 제7 봉제라인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4 봉제라인은 상기 제1 봉제라인, 상기 제2 봉제라인 및 상기 제3 봉제라인과 맞닿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내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T자 형상으로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내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밴드는 길이 방향 양쪽 단부가 중앙보다 더 큰 폭을 갖되, 흡수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밴드층과 제2 밴드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내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보호층과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내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내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577A KR20210085962A (ko) | 2019-12-31 | 2019-12-31 | 기능성 내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577A KR20210085962A (ko) | 2019-12-31 | 2019-12-31 | 기능성 내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962A true KR20210085962A (ko) | 2021-07-08 |
Family
ID=7689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9577A Pending KR20210085962A (ko) | 2019-12-31 | 2019-12-31 | 기능성 내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8596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0557A1 (ko) * | 2021-11-03 | 2023-05-11 | 주식회사 더블센스 | 인체 밀착형 샘방지 기능이 탑재된 여성용 팬티 |
GB2622001A (en) * | 2022-08-30 | 2024-03-06 | Wuka Ltd | Garment |
KR20240138311A (ko) | 2023-03-10 | 2024-09-20 | (주)달콤한고래들 | 편의성이 증대된 여성용 드로즈형 팬티 |
-
2019
- 2019-12-31 KR KR1020190179577A patent/KR20210085962A/ko active Pending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0557A1 (ko) * | 2021-11-03 | 2023-05-11 | 주식회사 더블센스 | 인체 밀착형 샘방지 기능이 탑재된 여성용 팬티 |
GB2622001A (en) * | 2022-08-30 | 2024-03-06 | Wuka Ltd | Garment |
GB2622001B (en) * | 2022-08-30 | 2024-09-04 | Wuka Ltd | Garment |
KR20240138311A (ko) | 2023-03-10 | 2024-09-20 | (주)달콤한고래들 | 편의성이 증대된 여성용 드로즈형 팬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92331B2 (en) | Absorbent article with compressed grooves | |
JP4789793B2 (ja) | 吸収性物品 | |
US20110224639A1 (en) | Absorbent Garment | |
JP5866054B1 (ja) | パンツ型着用物品 | |
WO2014147879A1 (ja) | 吸収性物品 | |
KR102179940B1 (ko) | 착용 물품 | |
BR112012007033A2 (pt) | artigo do vestuário | |
EP1096910A1 (en) | Disposable underpants including skewed absorbent core | |
KR101929571B1 (ko) | 여성용 속옷 | |
AU1417099A (en) | Disposable underpants | |
KR20210085962A (ko) | 기능성 내의 | |
JPH11276523A (ja) | パンツ型使いすて着用物品 | |
KR100285104B1 (ko) | 흡수성 제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관형 니트 속옷 | |
ZA200100062B (en) | Disposable underpants including skewed absorbent core. | |
JP4010676B2 (ja) | 女性用ショーツ型吸収性物品 | |
JP3917187B2 (ja) | 使い捨て吸収製品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衣服 | |
JP2012005539A (ja) | 吸収性物品 | |
WO2016205756A1 (en) | Absorbent incontinence article and method with adjustable engaging placement | |
KR20220071478A (ko) | 여성용 속옷 | |
JP2018033733A (ja) | パンツタイプ吸収性物品 | |
JP2017080250A (ja) | パンツ型吸収性物品 | |
MXPA02009110A (es) | Articulo absorbente con medios en forma de y elasticos. | |
KR102528835B1 (ko) | 생리용 팬티 | |
US20240225916A1 (en) | Absorbent article | |
JP2012157512A (ja) | 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