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593A -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 Google Patents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593A
KR20200131593A KR1020190056403A KR20190056403A KR20200131593A KR 20200131593 A KR20200131593 A KR 20200131593A KR 1020190056403 A KR1020190056403 A KR 1020190056403A KR 20190056403 A KR20190056403 A KR 20190056403A KR 20200131593 A KR20200131593 A KR 2020013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joined
main body
flange
low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삼섭
오성영
유종수
김남주
송재형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해성기공
주식회사 한화건설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주)모아구조기술사사무소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성기공, 주식회사 한화건설,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주)모아구조기술사사무소,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해성기공
Priority to KR102019005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593A/ko
Publication of KR2020013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9Structures with a sloping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 E04C2003/0456H- or I-shaped hollow flanged, i.e. "dogbone" metal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창고, 물류창고, 비행기 격납고, 대공연장, 실내체육관 등 넓은 무주공간이 필요한 대공간 및 장경간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기둥-보 단위 구조물에서 보를, 상하부 플랜지는 각형강관으로 하고 웨브는 얇은 강판을 파형 또는 제형으로 가공한 골형 웨브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중간스티프너로 보강하지 않더라도 골형의 웨브로 전단내력이 확보되어 전단력에 대한 국부좌굴강도가 우수하고, 각형 강관의 플랜지로 휨내력이 확보되어 휨강도와 전단강도가 뛰어난 역학적 성능을 갖도록 하여, 철골자재 물량을 크게 줄이면서 기둥-보 단위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며 일정 높이에 접합 브라켓이 구성되는 철골 기둥과; 강관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와, 파형 또는 제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골형 웨브로 이루어져 H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판 형상의 엔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철골 기둥과 철골 기둥의 사이 중앙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도록 복수개가 철골 기둥에 조립되는 지붕구조용 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Unit Structure Using Light Beam Tubular System}
본 발명은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창고, 물류창고, 비행기 격납고, 대공연장, 실내체육관 등 넓은 무주공간이 필요한 대공간 및 장경간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기둥-보 단위 구조물에서 보를, 상하부 플랜지는 각형강관으로 하고 웨브는 얇은 강판을 파형 또는 제형으로 가공한 골형 웨브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중간스티프너로 보강하지 않더라도 골형의 웨브로 전단내력이 확보되어 전단력에 대한 국부좌굴강도가 우수하고, 각형 강관의 플랜지로 휨내력이 확보되어 휨강도와 전단강도가 뛰어난 역학적 성능을 갖도록 하여, 철골자재 물량을 크게 줄이면서 기둥-보 단위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업용 및 공업용 건축물의 증가추세는 생산제품의 특성과 라인흐름에 지장을 주어서는 안되는 공장(factory), 넓은 공간, 자유로운 물류이동을 필요로 하는 물류센터(warehouse), 이동인원이 많아 이동의 자유로움이 필요한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등의 상업용 건물(commercial building), 한 곳에서 모든 것을 구매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평면구성과 입체적인 진열공간을 필요로 하는 종합 대형 유통상가(marts), 사회체육 활성화로 급진적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실내체육관(gymnasiums) 등의 오픈된 대형 공간을 필요로 하는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무주(無主)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 시스템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에는 공장 건물을 비롯한 장경간이 필요한 건축물에는 일반철골(H-Beam)을 사용함에 따라 건물의 촉과 내부기둥 제거 등에 제약이 있었으나 최근 들어 용접과 절단 기술, 구조 해석 및 설계 기술, 고강도 및 고품질 철강재의 출현, 컴퓨터 시스템의 도입 등으로 유연한 형태의 강구조물인 PEB가 큰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PEB(Pre-Engineered Building)란 철골구조물을 세운 다음 외벽을 샌드위치 패널로 마감하는 공법으로 힘이 많이 걸리는 부분에는 구조부재를 크게 하고 힘이 적게 걸리는 부분에는 부재를 적게 해서 구조부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공법이다.
이와 같은, PEB는 내부에 기둥을 세울 필요가 없어 넓은 공간이 필요한 건물을 지을 때 흔히 쓰이는 공법으로 이론적인 오점은 없으나 시공 시 자립이 불가능하므로 지지부재를 철저히 설치해야 하며 현장의 부주의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중에도 예상치 못한 하중이 증가될 경우 최적화 설계된 구조물이 여력의 흡수력이 없어 건물 붕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81976호 "조립식 건축물용 파형 용접빔"(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상부 플랜지(110)와 하부 플랜지(130) 및 웨브(120)로 구성되는 조립식 용접빔에 있어서, a) 상기 웨브(120)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파형의 요철이 구비된 요철부(121)와, 상기 요철부(121)의 양단에 연속된 평판부(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부(121)와 평판부(122)는 서로 다른 강판이 접합되어 일체로 구성되되, 평판부(122)의 두께는 요철부(12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구성되고, 요철부(121)는 파형의 피치(L)와 진폭(K)의 비가 9: 2 이며; b) 상기 상부 플랜지(110)는 상향으로 캠버가 미리 형성되어 제작된 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플랜지(110)에 하중을 가하여 평탄하게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웨브(120)의 상단에 용접으로 접합시킨 후, 상기 하중을 제거시킴으로써 웨브(120)의 상단부에 아코디언효과를 억제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고; c) 상기 하부 플랜지(130)는 상온에서의 길이(ℓ₁)가 이에 접합되는 웨브(120)의 하단 길이(ℓ₂)보다 짧으면서 상향으로 캠버(△)가 형성되어 미리 제작된 강판으로 이루어지되; d) 상기 하부 플랜지(130)에 하중을 가함과 동시에 가열하여 하부 플랜지(130)가 평탄하면서 그 길이가 웨브의 하단 길이와 동일하도록 신장시키고, 웨브(120)의 하단에 상기 신장된 하부 플랜지(130)를 용접으로 접합시킨 후, 상기 하중을 제거하고 이를 급냉시킴으로써, 웨브(120)의 하단부에 아코디언효과를 억제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파형 용접빔'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휨내력의 확보가 어려워 대공간 장견간 구조물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81976호 "조립식 건축물용 파형 용접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장, 창고, 물류창고, 비행기 격납고, 대공연장, 실내체육관 등 넓은 무주공간이 필요한 대공간 및 장경간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기둥-보 단위 구조물에서 보를, 상하부 플랜지는 각형강관으로 하고 웨브는 얇은 강판을 파형 또는 제형으로 가공한 골형 웨브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중간스티프너로 보강하지 않더라도 골형의 웨브로 전단내력이 확보되어 전단력에 대한 국부좌굴강도가 우수하고, 각형 강관의 플랜지로 휨내력이 확보되어 휨강도와 전단강도가 뛰어난 역학적 성능을 갖도록 하여 철골자재 물량을 크게 줄이면서 기둥-보 단위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며 일정 높이에 접합 브라켓이 구성되는 철골 기둥과; 강관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와, 파형 또는 제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골형 웨브로 이루어져 H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판 형상의 엔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철골 기둥과 철골 기둥의 사이 중앙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도록 복수개가 철골 기둥에 조립되는 지붕구조용 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접합 브라켓은 강관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타단부에 접합되는 판형상의 엔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본체의 일단부가 철골 기둥과 접합되고, 접합 브라켓의 엔드 플레이트는 구조용 보의 엔드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접합 브라켓은 철골 기둥과 접합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부로 향하게 경사지는 배치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최상부에서 접합되는 지붕구조용 보와 지붕구조용 보의 엔드 플레이트는 수직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엔드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본체의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되며 각형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고정부가 형성되어, 삽입고정부가 본체의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에 끼워져 접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은 공장, 창고, 물류창고, 비행기 격납고, 대공연장, 실내체육관 등 넓은 무주공간이 필요한 대공간 및 장경간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기둥-보 단위 구조물에서 보를, 상하부 플랜지는 각형강관으로 하고 웨브는 얇은 강판을 파형 또는 제형으로 가공한 골형 웨브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중간스티프너로 보강하지 않더라도 골형의 웨브로 전단내력이 확보되어 전단력에 대한 국부좌굴강도가 우수하고, 각형 강관의 플랜지로 휨내력이 확보되어 휨강도와 전단강도가 뛰어난 역학적 성능을 갖도록 하여 철골자재 물량을 크게 줄이면서 기둥-보 단위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붕구조용 보를 도시한 사시도 및 골형 웨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골 기둥과 지붕구조용 보의 접합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지붕구조용 보 엔드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붕구조용 보를 도시한 사시도 및 골형 웨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은 도 1에서와 같이, 철골 기둥(10)과 복수개의 지붕구조용 보(20)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둥-보 단위 프레임 구조물은 공장에서 규격 생산하여 조립한 뒤 현장에서 기둥-보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일정 간격으로 시공하고 기둥-보 단위 프레임 구조물간을 루프 빔(roof beam)으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대공간 장경간 구조물을 매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철골 기둥(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형 또는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기둥 부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철골 기둥(10)에는 일정 높이에 지붕구조용 보(20)의 접합을 위한 별도의 접합 브라켓(14)이 구성된다.
접합 브라켓(14)은 지붕구조용 보(20)를 접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붕구조용 보(20)의 설치각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붕구조용 보(20)는 H형 단면을 갖는 본체(20a)와 본체(20a)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접합되는 엔드 플레이트(20b)로 이루어지는데, 도 2,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체(20a)는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와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골형 웨브(23)로 이루어져 H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나, 특히,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는 강관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골형 웨브(23)는 도 2에서와 같이 단면이 파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제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붕구조용 보(20)는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를 각형 강관으로 적용하고 웨브는 얇은 강판을 파형 또는 제형으로 가공한 골형 웨브(23)를 사용하여 조립한 경량의 빔으로써, 전단력에 대한 국부좌굴강도가 매우 우수하고, 휨강도와 전단강도에 뛰어난 역학적 성능을 가지므로 장스팬 구조물에 매우 적합하다.
골형 웨브(23)용 강판은 KS D 3503 SS275 강재로서 두께 3.2mm 또는 3.2mm 이상의 강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폭 길이에 적합한 강판을 사용하여 성형하도록 한다.
특히, 상,하부 플랜지(21)(22)와 골형 웨브(23)를 양면 전길이 모살 용접하여 제작하며, 골형 웨브(23) 두께 3.2mm인 경우 용접두께 3mm 양면 전길이 모살용접으로 하고 웨브두께 3.2mm 초과하는 경우는 관련기준에 따른 용접두께를 적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붕구조용 보(20)는 도 1에서와 같이, 철골 기둥(10)과 철골 기둥(10)의 사이 중앙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도록 양측 철골 기둥(10)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철골 기둥(10)과 철골 기둥(10)의 사이 중앙부에서 만나 접합되도록 복수개가 조립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골 기둥과 지붕구조용 보의 접합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지붕구조용 보(20)는 철골 기둥(10)과 지붕구조용 보(20)의 접합시에는 지붕구조용 보(20)의 엔드 플레이트(20b)와 철골 기둥(10)의 접합 브라켓(14)을 볼트 접합 등 공지의 다양한 접합 방법으로 접합하도록 한다.
특히, 접합 브라켓(14)은 도 4에서와 같이, 강관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141) 및 하부 플랜지(142)와, 상부 플랜지(141) 및 하부 플랜지(14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웨브(143)로 이루어지는 본체(14a)와, 본체(14a)의 타단부에 접합되는 판형상의 엔드 플레이트(14b)로 이루어지도록 하요, 본체(14a)의 일단부가 철골 기둥(10)과 접합되고, 접합 브라켓(14)의 엔드 플레이트(14b)는 구조용 보(20)의 엔드 플레이트(20b)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접합 브라켓(14)의 본체(14a)는 지붕구조용 보(20)의 본체(20a)의 크기 및 형태와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하여 지붕구조용 보(20)의 본체(20a)와 연속되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웨브(143)의 경우에는 골형 웨브(23)와 동일하게 파형이나 제형을 갖는 골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붕구조용 보(20)는 철골 기둥(10)에서 일정 경사를 갖도록 접합되기 때문에, 접합 브라켓(14)은 철골 기둥(10)과 접합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부로 향하게 경사지는 배치를 이루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의 엔드 플레이트(14b)는 지붕구조용 보(20)의 엔드 플레이트(20b)와 면접하도록 이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지붕구조용 보(20)와 지붕구조용 보(20)의 접합시에는 엔드 플레이트(20b)와 엔드 플레이트(20b)를 볼트 접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가장 높은 부분에 해당하는 지붕구조용 보(20)와 지붕구조용 보(20)의 접합부는 엔드 플레이트(20b)가 수직한 방향으로 본체(20a)에 접합되도록 본체(20a)의 단부를 일부 절삭하고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지붕구조용 보 엔드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에서는 횡좌굴이 크게 작용하는 최상부에서 접합되는 지붕구조용 보(20)와 지붕구조용 보(20)의 엔드 플레이트(20b)에 별도의 삽입고정부(27)를 구성하고 삽입고정부(27)를 본체(20a)의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의 단부에 각각 끼워 접합하도록 함으로써, 보강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20b)의 일측면에는 본체(20a)의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되며 각형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고정부(27)가 형성되도록 하고, 삽입고정부(27)가 본체(20a)의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에 끼워져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삽입고정부(27)는 본체(20a)의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단면 크기는 본체(20a)의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의 엔드 플레이트(20b)는 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최상부에서 접합되는 지붕구조용 보(20)와 지붕구조용 보(20)의 엔드 플레이트(20b)는, 전단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골형 웨브(23)에 접합되는 부분의 양측이 일부 절삭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강재량을 줄이고, 휨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하부 플랜지(22)에 접합되는 부분을 상부 플랜지(21)에 접합되는 부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은 공장, 창고, 물류창고, 비행기 격납고, 대공연장, 실내체육관 등 넓은 무주공간이 필요한 대공간 및 장경간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기둥-보 단위 구조물에서 보를, 상하부 플랜지는 각형강관으로 하고 웨브는 얇은 강판을 파형 또는 제형으로 가공한 골형 웨브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중간스티프너로 보강하지 않더라도 골형의 웨브로 전단내력이 확보되어 전단력에 대한 국부좌굴강도가 우수하고, 각형 강관의 플랜지로 휨내력이 확보되어 휨강도와 전단강도가 뛰어난 역학적 성능을 갖도록 하여 철골자재 물량을 크게 줄이면서 기둥-보 단위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철골 기둥
14 : 접합 브라켓
14a : 본체
14b : 엔드 플레이트
141 : 상부 플랜지
142 : 하부 플랜지
143 : 웨브
20 : 지붕구조용 보
20a : 본체
20b : 엔드 플레이트
21 : 상부 플랜지
22 : 하부 플랜지
23 : 골형 웨브
27 : 삽입고정부

Claims (5)

  1.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며 일정 높이에 접합 브라켓(14)이 구성되는 철골 기둥(10)과;
    강관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와, 파형 또는 제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골형 웨브(23)로 이루어져 H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본체(20a)와, 본체(20a)의 양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판 형상의 엔드 플레이트(20b)로 이루어져, 철골 기둥(10)과 철골 기둥(10)의 사이 중앙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도록 복수개가 철골 기둥(10)에 조립되는 지붕구조용 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접합 브라켓(14)은 강관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141) 및 하부 플랜지(142)와, 상부 플랜지(141) 및 하부 플랜지(14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웨브(143)로 이루어지는 본체(14a)와, 본체(14a)의 타단부에 접합되는 판형상의 엔드 플레이트(14b)로 이루어져,
    본체(14a)의 일단부가 철골 기둥(10)과 접합되고, 접합 브라켓(14)의 엔드 플레이트(14b)는 구조용 보(20)의 엔드 플레이트(20b)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접합 브라켓(14)은 철골 기둥(10)과 접합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부로 향하게 경사지는 배치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최상부에서 접합되는 지붕구조용 보(20)와 지붕구조용 보(20)의 엔드 플레이트(20b)는 수직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엔드 플레이트(20b)의 일측면에는 본체(20a)의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되며 각형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고정부(27)가 형성되어,
    삽입고정부(27)가 본체(20a)의 상부 플랜지(21) 및 하부 플랜지(22)에 끼워져 접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최상부에서 접합되는 지붕구조용 보(20)와 지붕구조용 보(20)의 엔드 플레이트(20b)는,
    골형 웨브(23)에 접합되는 부분의 양측이 일부 절삭되고, 하부 플랜지(22)에 접합되는 부분이 상부 플랜지(21)에 접합되는 부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KR1020190056403A 2019-05-14 2019-05-14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KR20200131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03A KR20200131593A (ko) 2019-05-14 2019-05-14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03A KR20200131593A (ko) 2019-05-14 2019-05-14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93A true KR20200131593A (ko) 2020-11-24

Family

ID=7367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403A KR20200131593A (ko) 2019-05-14 2019-05-14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5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86B1 (ko) * 2022-08-23 2023-06-21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방음터널 천장부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76B1 (ko) 2013-11-20 2015-01-14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건축물용 파형 용접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76B1 (ko) 2013-11-20 2015-01-14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건축물용 파형 용접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86B1 (ko) * 2022-08-23 2023-06-21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방음터널 천장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1434A (ko) 스팬이 넓은 정적 구조물
US20100005749A1 (en) Steel building frame system
US20070062135A1 (en) Corrugated shear panel and anchor interconnect system
CN107761956B (zh) 一种桁架及之型钢组合建筑***
JP6687681B2 (ja) 木造ユニット式建築構造体、及びその組立て構法
KR101547540B1 (ko)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KR20200131593A (ko) 무주 장경간용 단위 프레임 구조물
CN210562626U (zh) 六边形装配式钢结构模块
CN111997196A (zh) 组合式钢模块结构体系及其建造方法
CN111155709A (zh) 一种装配式屋架体系
JP6274792B2 (ja) 建築物のラーメン架構
US5718093A (en) Floor panel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wooden building with the same
CN113250318B (zh) 一种模块化钢框架连接结构
CN215211792U (zh) 一种装配式钢结构肋板
CN109610640B (zh) 一种基于复合柱肢的门式刚架连接结构
KR101732724B1 (ko) 조립광폭튜브 플랜지를 갖는 공장용 하이브리드 골조
JP5096979B2 (ja) ラーメン構造体の補強構造
CN215053900U (zh) 一种轻钢桁架及其连接构件
KR102314579B1 (ko) 건축 구조물의 구조 부재
JPH10306502A (ja) 建築物の架構構造
CN219012105U (zh) 一种应用大跨度门式刚架的轻钢厂房
JPH11200487A (ja) 斜め補強材、建物及びユニット建物
AU2017402917A1 (en) Building Structure
JPS5934345A (ja) 乱継ぎ型組立床板を用いた無りよう板構造建造物
Patil et al. Practical Approach to Strengthening of Pre-Engineered Building for Additional Futuristic Load using Mild Steel (MS) 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