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062A -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062A
KR20200103062A KR1020207021298A KR20207021298A KR20200103062A KR 20200103062 A KR20200103062 A KR 20200103062A KR 1020207021298 A KR1020207021298 A KR 1020207021298A KR 20207021298 A KR20207021298 A KR 20207021298A KR 20200103062 A KR20200103062 A KR 2020010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blank
rolling
stainless steel
composit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총다오 왕
쥔 당
저우위 정
동후이 리
Original Assignee
난징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난징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난징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06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2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6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with interposition of special material to facilitate connection of the parts, e.g. material for absorbing or produc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은 블랭크 선택, 표면 처리, 이형제 브러싱, 블랭크 조립, 전자빔 실링 용접, 가열, 압연, 온라인 담금질, 변형 보정, 및 판 절단 분리 등의 단계를 통해 야금 접합 성능이 우수하고 내식성 및 구조적 강도가 탁월한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을 제조한다. 상기 방법은 TMCP형 공정을 통해 기재 선박판의 우수한 기계적 성능을 보장하고, 압연 후 신속하게 온라인 담금질 및 냉각되며, 복합 재료의 유익하지 않은 석출상 석출을 제어하는 동시에, 온라인 공정으로 대체해 복합 재료의 우수한 내식성을 보장한다. 또한 기재는 저탄소 설계 블랭크를 사용하며, 제조된 복합판은 기재 탄소 당량이 적고 용접 성능이 우수하여 현장 시공이 용이하다. 그 외 복합판은 열처리가 필요 없어 우수한 종합적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금속 복합 제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화학제품 운반선의 건조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화학제품 운반선 액체 화물창 건조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액체 화물창 라이닝 재료(lining material)의 선택이고, 우수한 화학적 내식성은 재료 선택에 중요한 조건이다. 따라서 액체 화물창과 액체 화물 파이프는 대부분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며, 내식성, 용접성 및 경제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은 316L(00Cr17Ni14Mo2), 304L(0Cr18Ni9) 및 2205 복상 스테인리스강(22Cr23Ni5Mo3N)이다. 여기에서 복상 스테인리스강은 구조적 강도를 갖추고 있으며 일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 내식성이 우수하여 화학제품 운반선 운송 부문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기 때문에 복상 스테인리스강의 활용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선 산업의 경쟁 압박이 심화됨에 따라, 제조비용 절감과 성능 개선이라는 이 두 가지 개념의 모순으로 인해 화학제품 운반선 부문에서 단순한 복상 스테인리스강의 적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생산품질을 고려하는 동시에 제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이를 대체할 새로운 재료를 찾는 것이 시급하다.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은 복합판의 연구 및 개발에 이러한 기술과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고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복상 스테인리스강의 우수한 내식성과 구조적 성능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원가절감도 수행할 수 있다. 최신 복합판 기술의 사용으로 복상 스테인리스강의 사용량을 줄여 조선 산업의 운영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시장 전망이 비교적 밝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 복합판은 폭발법과 압연법에 의해 제조된다. 폭발법은 높은 소음, 환경오염 및 날씨의 영향 때문에 지속 가능한 복합판 제조기술이 아니다. 압연법은 원자 간 확산을 이용하여 복합 재료와 기재의 우수한 야금학적 조합을 구현하는 고온 압연법으로,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판은 폭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이다. 따라서 압연법을 채택한 복합판 생산은 향후 개발 추세가 될 것이다.
현재 종래의 선박용 복합판은 일반적으로 폭발법을 채택하므로 작업 기간이 길고 대량 생산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이 개시된 경우가 극히 적고 복상 스테인리스강은 오프라인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공정이 비교적 길고 제조비용이 높다. 이를 바탕으로, 진공 압연법은 온라인 공정을 사용하여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을 생산하므로 상기 복합판의 성능 매칭이 비교적 우수하고 생산비용을 비교적 낮다. 또한 진공 압연법을 채택하여 제조한 복합판은 종래의 공정보다 경쟁력이 더 높다. 종래의 블랭크 조립 공정은 주로 주변을 실링 및 용접 후 드릴링 및 진공 펌핑 처리를 통해 블랭크 조립을 수행하는데, 상기 방식은 실링 및 용접, 드릴링 및 진공 펌핑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정이 비교적 번거롭고 주로 수작업으로 완료해야 하며 이는 압연 제조 성공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 채택하는 신규한 블랭크 조립 방식은 진공 환경에서 전자빔으로 직접 블랭크를 용접하는 것으로, 실링 및 용접 후 드릴링 및 진공 펌핑 처리를 생략하였는데, 예를 들어 특허 공개 번호 CN102069289A 《스테인레스강-탄소강 복합판의 제조방법》에서 개시한 것이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한 복합 블랭크의 진공도가 보장되고 후속 처리 및 야금 접합 등의 성능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며, 사용되는 기재는 저탄소 설계의 선박용 강재이고, 밀봉재를 추가하여 진공 환경 하에서 전자빔으로 밀봉재를 기재에 용접하는 방식으로 블랭크 조립을 수행한 다음, TMCP 공정 압연 및 온라인 담금질, 냉각 공정을 거쳐 우수한 야금학적 결합 성능을 갖는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을 제조함으로써, 온라인 공정에서 복합판 중 기재인 복상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블랭크 제조 과정에서 드릴링 및 진공 펌핑 등 공정이 줄어 공정이 간단하고 압연 성공률이 높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하기와 같다.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1) 블랭크 준비: 2개의 기재 및 2개의 복합 재료를 준비하고, 완성품 복합판의 강재 종류 및 규격에 따라 기재 및 복합 강재 종류 및 규격을 결정한다.
(2) 표면 연삭: 2개의 기재 및 2개의 복합 재료 중 하나의 표면, 즉 기재 및 복합 재료가 접촉하는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을 금속에 완전히 노출시킨다.
(3) 이형제 브러싱: 2개 복합 재료가 서로 접촉하는 일면, 즉 연마되지 않은 표면에 이형제를 브러싱하며, 이형제를 균일하게 브러싱하여 평활도를 동일하게 만들어 건조 처리를 수행한다. 이형제 사용은 상기 제품의 사용 요건에 부합해야 하며, 이형제 사용량은 충분히 보장되어야 하고, 일반적인 이형제에는 주로 유기 실리콘 이형제, 산화알루미늄/산화마그네슘 이형제 등이 있다.
(4) 블랭크 조립 실링: 기재 및 복합 재료를 순차적으로 쌓아서 복합 블랭크를 형성하고,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기재, 복합 재료, 복합 재료, 기재이며, 복합 재료의 크기는 기재보다 작고, 밀봉재를 사용해 복합 블랭크 주위의 오목홈을 실링하며, 밀봉재는 일반적인 탄소강 재질을 선택한다.
(5) 전자빔 실링 및 용접: 조립된 복합 블랭크를 진공실로 이송한 후 진공실에 대하여 진공 펌핑을 수행하고, 진공실 진공도가 10×10-2Pa 이하가 되면 진공 전자빔을 사용하여 밀봉재와 복합 블랭크 사이의 갭을 용접한다.
(6) 가열: 복합 블랭크를 가열로로 이송하여 가열하고, 가열 온도는 1150 내지 1250℃이며, 총 가열 시간은 복합 블랭크 두께에 따라 8 내지 15분/cm으로 제어하고, 태핑(tapping) 온도는 1200 내지 1210℃로 제어한다.
(7) 압연 및 냉각: TMCP 공정을 채택하여 압연을 수행하며, 조압연 단계의 압축비는 ≥2.0이고, 중간 블랭크의 두께는 총 압연 두께의 1.5 내지 3.0배이고,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는 950 내지 1050℃이고, 최종 압연 온도는 ≥920℃로 제어한다. 빠른 속도의 압연을 채택하며, 압연 속도는 2m/s 내지 3m/s로 압연 온도를 보장한다. 압연 후 고속 스로잉(throwing)하고 복합판을 곧바로 급속 냉각 장치에 넣어 10 내지 20℃/s의 속도로 온라인 담금질을 수행하며, 최종 냉각 온도는 400 내지 500℃이다.
(8) 변형 보정: 압연된 강판에 대하여 변형 보정 처리를 하고, 변형 보정 후 냉각상에서 냉각하며, 표면 온도가 300℃ 아래로 떨어지면 오프라인으로 진행한다.
(9) 판 절단 및 분리: 플라즈마 또는 화염 절단 방식을 채택하여 복합판을 절단하고, 헤드, 테일 및 양면을 절단한 후, 2개 복합판 사이에서 상하 양단면 복합판을 분리시킨 다음, 단면 복합판에 대하여 변형 보정 처리를 수행하고, 표면 연마, 성능 테스트 및 패키징 처리를 거친 후, 마지막으로 단면 복합판을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 제품으로 획득한다.
본 발명에서 추가로 한정하는 기술적 해결책은 하기와 같다.
전술한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에서 기재 블랭크는 저탄소 선박용 철강을 채택하며, 이의 화학 성분은 중량백분율에 따라 C≤0.18%, Si≤0.50%, Mn: 0.90 내지 1.60%, P≤0.035%, S≤0.035%, Nb: 0.020 내지 0.050%, V: 0.050 내지 0.10%, Ti≤0.020%, Alt: 0.015 내지 0.035%, Cr≤0.20%, Ni≤0.30%, Cu≤0.35%이고, 나머지는 Fe 및 소량의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전술한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에서 복합 재료 블랭크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의 복상 스테인레스강이고, 이의 화학 성분은 중량백분율에 따라 C≤0.030, Si≤1.00, Mn≤2.00, P≤0.030, S≤0.020%, Ni: 4.50 내지 6.50%, Mo: 3.00 내지 3.50%, Cr: 22.0 내지 23.0%, N: 0.14 내지 0.20%이고, 나머지는 Fe 및 소량의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전술한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9)에서 복상 스테인레스강 복합판 제품의 총 두께는 10 내지 60mm이고, 이의 복합 재료의 두께는 1.0 내지 6.0mm이다.
전술한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4)에서 밀봉재는 탄소강 재질을 채택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기재는 저탄소 설계의 선박용 철강을 채택하며, 제조된 선박용 복상 스테인레스강 복합판은 그 기재의 탄소 당량이 낮고 예열 없이 곧바로 용접할 수 있어 현장 시공이 용이하다. (2) 본 발명은 진공실 환경에서 직접 실링 및 용접하여, 종래 공정의 드릴링, 진공 펌핑 등 공정을 줄였으며 진공도는 더욱 보장된다. (3) 본 발명은 TMCP 공정을 통해 온라인 담금질 공정을 채택하여 종래의 오프라인 공정을 대체함으로써, 복합 재료 복상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및 구조도를 보장하는 동시에, 기재 선박용 철강이 일정한 인성을 갖도록 만들고, 압연 후의 급속 냉각은 복합 재료 복상 스테인리스강 중 내식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δ 석출물이 대량 석출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복합 재료의 우수한 내식성을 보장하고, 복합판은 열처리가 필요 없어 우수한 종합적 성능도 얻을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은 화학제품 운반선의 단순한 스테인레스강의 대체물로서 사용되어 그 실용성 요건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조선 기업의 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므로 시장 측면의 효용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블랭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복합판 계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조직도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기재 블랭크는 두께 94mm의 DH36 강종을 선택하며, 화학 성분은 표 1과 같고, 복합 재료 블랭크는 두께 16mm의 S22053 복상 스테인리스강이고, 압연 완성품은 두께가 4+24mm 인 S22053+DH36 복합판이다.
2개의 DH36 기재 블랭크 및 2개의 S22053 복합 재료 블랭크 중 하나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을 신선한 금속에 완전히 노출시킨다. 복합 재료의 연마되지 않은 표면에 이형제를 브러싱하고 이형제를 건조시킨다. 그 중 하나의 기재에서 표면이 연마된 주변부에 점용접(spot welding)으로 고정 및 실링한다. 2개 복합 재료의 비복합면을 겹쳐 밀봉재로 둘러싸인 홈 내에 거치한 다음, 다른 하나의 기재 복합면은 아래를 향해 2개 복합 재료의 상면을 덮고, 동시에 상하 기재의 4개 측면과 밀봉재 외면을 가지런하게 놓고 실링 및 용접할 복합 블랭크를 구성한다. 조립된 복합 블랭크를 진공실로 보낸 후 진공실에 대하여 진공 펌핑을 수행하고, 진공실 진공도가 6×10-2Pa에 도달하면, 전자빔을 사용하여 미봉재와 기재 사이의 갭을 용접하여 총 두께 220mm의 복합 블랭크를 획득한다.
복합 블랭크를 워킹빔 가열로(walking beam furnace)에 이송하며, 가열 온도는 1220℃이고, 총 가열 시간은 235분이다. TMCP 공정을 채택하여 압연을 진행하고 온라인 담금질 공정에서 냉각하며, 중간 블랭크 두께는 88mm이고,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는 1000℃이고, 최종 압연 온도는 980℃이다. 압연 후 급속 냉각으로 곧바로 진입하여 급속 냉각을 수행하고, 냉각 속도는 18℃/s이고, 셀프 템퍼링(self tempering) 온도는 420℃이다. 압연 후 복합판에 변형 보정을 수행하며, 300℃에서 오프라인 수행 및 헤드, 테일 및 양면을 절단한 후, 상하 2개 단층 복합판을 분리하고, 단층 복합판에 대하여 변형 보정을 수행하고, 복합 재료의 표면을 연마하여 최종적으로 완성품 두께가 4+24mm인 S22053+DH36 복합판 제품을 획득한다.
복합판의 계면 현미경 관찰 조직도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고, 여기에서 복상 스테인리스강과 선박용 철강 사이에 비결합 영역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복합판은 우수한 야금학적 결합 성능을 구현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기재 블랭크는 두께 58.5mm의 DH36 강종을 선택하며, 화학 성분은 표 1과 같고, 복합 재료 블랭크는 두께 16mm의 S22053 복상 스테인리스강이고, 압연 완성품은 두께가 3.2+12mm 인 S22053+DH36 복합판이다.
2개의 DH36 기재 블랭크 및 2개의 S22053 복합 재료 블랭크 중 하나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을 신선한 금속에 완전히 노출시킨다. 복합 재료의 연마되지 않은 표면에 이형제를 브러싱하고 이형제를 건조시킨다. 그 중 하나의 기재에서 표면이 연마된 주변부에 점용접(spot welding)으로 고정 및 실링한다. 2개 복합 재료의 비복합면을 겹쳐 밀봉재로 둘러싸인 홈 내에 거치한 다음, 다른 하나의 기재 복합면은 아래를 향해 2개 복합 재료의 상면을 덮고, 동시에 상하 기재의 4개 측면과 밀봉재 외면을 가지런하게 놓고 실링 및 용접할 복합 블랭크를 구성한다. 조립된 복합 블랭크를 진공실로 보낸 후 진공실에 대하여 진공 펌핑을 수행하고, 진공실 진공도가 6×10-2Pa에 도달하면, 전자빔을 사용하여 미봉재와 기재 사이의 갭을 용접하여 총 두께 149mm의 복합 블랭크를 획득한다.
복합 블랭크를 워킹빔 가열로(walking beam furnace)에 이송하며, 가열 온도는 1210℃이고, 총 가열 시간은 215분이다. TMCP 공정을 채택하여 압연을 진행하고 온라인 담금질 공정에서 냉각하며, 중간 블랭크 두께는 60mm이고,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는 1020℃이고, 최종 압연 온도는 935℃이다. 압연 후 급속 냉각으로 곧바로 진입하여 급속 냉각을 수행하고, 냉각 속도는 15℃/s이고, 셀프 템퍼링(self tempering) 온도는 460℃이다. 압연 후 복합판에 변형 보정을 수행하며, 300℃에서 오프라인 수행 및 헤드, 테일 및 양면을 절단한 후, 상하 2개 단층 복합판을 분리하고, 단층 복합판에 대하여 변형 보정을 수행하고, 복합 재료의 표면을 연마하여 최종적으로 완성품 두께가 3.2+12mm인 S22053+DH36 복합판 제품을 획득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기재 블랭크는 두께 118mm의 DH36 강종을 선택하며, 화학 성분은 표 1과 같고, 복합 재료 블랭크는 두께 20mm의 S22053 복상 스테인리스강이고, 압연 완성품은 두께가 5.0+30mm 인 S22053+DH36 복합판이다.
2개의 DH36 기재 블랭크 및 2개의 S22053 복합 재료 블랭크 중 하나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을 신선한 금속에 완전히 노출시킨다. 복합 재료의 연마되지 않은 표면에 이형제를 브러싱하고 이형제를 건조시킨다. 그 중 하나의 기재에서 표면이 연마된 주변부에 점용접(spot welding)으로 고정 및 실링한다. 2개 복합 재료의 비복합면을 겹쳐 밀봉재로 둘러싸인 홈 내에 거치한 다음, 다른 하나의 기재 복합면은 아래를 향해 2개 복합 재료의 상면을 덮고, 동시에 상하 기재의 4개 측면과 밀봉재 외면을 가지런하게 놓고 실링 및 용접할 복합 블랭크를 구성한다. 조립된 복합 블랭크를 진공실로 보낸 후 진공실에 대하여 진공 펌핑을 수행하고, 진공실 진공도가 6×10-2Pa에 도달하면, 전자빔을 사용하여 미봉재와 기재 사이의 갭을 용접하여 총 두께 276mm의 복합 블랭크를 획득한다.
복합 블랭크를 워킹빔 가열로(walking beam furnace)에 이송하며, 가열 온도는 1230℃이고, 총 가열 시간은 275분이다. TMCP 공정을 채택하여 압연을 진행하고 온라인 담금질 공정에서 냉각하며, 중간 블랭크 두께는 100mm이고,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는 1010℃이고, 최종 압연 온도는 1005℃이다. 압연 후 급속 냉각으로 곧바로 진입하여 급속 냉각을 수행하고, 냉각 속도는 17℃/s이고, 셀프 템퍼링(self tempering) 온도는 445℃이다. 압연 후 복합판에 변형 보정을 수행하며, 300℃에서 오프라인 수행 및 헤드, 테일 및 양면을 절단한 후, 상하 2개 단층 복합판을 분리하고, 단층 복합판에 대하여 변형 보정을 수행하고, 복합 재료의 표면을 연마하여 최종적으로 완성품 두께가 5.0+30mm인 S22053+DH36 복합판 제품을 획득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기재 블랭크는 두께 78mm의 DH36 강종을 선택하며, 화학 성분은 표 1과 같고, 복합 재료 블랭크는 두께 20mm의 S22053 복상 스테인리스강이고, 압연 완성품은 두께가 2.5+10mm 인 S22053+DH36 복합판이다.
2개의 DH36 기재 블랭크 및 2개의 S22053 복합 재료 블랭크 중 하나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을 신선한 금속에 완전히 노출시킨다. 복합 재료의 연마되지 않은 표면에 이형제를 브러싱하고 이형제를 건조시킨다. 그 중 하나의 기재에서 표면이 연마된 주변부에 점용접(spot welding)으로 고정 및 실링한다. 2개 복합 재료의 비복합면을 겹쳐 밀봉재로 둘러싸인 홈 내에 거치한 다음, 다른 하나의 기재 복합면은 아래를 향해 2개 복합 재료의 상면을 덮고, 동시에 상하 기재의 4개 측면과 밀봉재 외면을 가지런하게 놓고 실링 및 용접할 복합 블랭크를 구성한다. 조립된 복합 블랭크를 진공실로 보낸 후 진공실에 대하여 진공 펌핑을 수행하고, 진공실 진공도가 6×10-2Pa에 도달하면, 전자빔을 사용하여 미봉재와 기재 사이의 갭을 용접하여 총 두께 196mm의 복합 블랭크를 획득한다.
복합 블랭크를 워킹빔 가열로(walking beam furnace)에 이송하며, 가열 온도는 1210℃이고, 총 가열 시간은 225분이다. TMCP 공정을 채택하여 압연을 진행하고 온라인 담금질 공정에서 냉각하며, 중간 블랭크 두께는 70mm이고,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는 1020℃이고, 최종 압연 온도는 930℃이다. 압연 후 급속 냉각으로 곧바로 진입하여 급속 냉각을 수행하고, 냉각 속도는 14℃/s이고, 셀프 템퍼링(self tempering) 온도는 475℃이다. 압연 후 복합판에 변형 보정을 수행하며, 300℃에서 오프라인 수행 및 헤드, 테일 및 양면을 절단한 후, 상하 2개 단층 복합판을 분리하고, 단층 복합판에 대하여 변형 보정을 수행하고, 복합 재료의 표면을 연마하여 최종적으로 완성품 두께가 2.5+10mm인 S22053+DH36 복합판 제품을 획득한다.
표 1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강종의 성분
Figure pct00001
표 2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복합판 완성품의 성능(복합판 관련 표준 요건 충족)
Figure pct00002
표 3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복합판 완성품의 내식성에서 부식 속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3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에는 다른 실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동등한 치환 또는 등가물의 치환으로 형성된 기술적 해결책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5)

  1.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기 단계,
    (1) 블랭크 준비: 2개의 기재 및 2개의 복합 재료를 준비하고, 완성품 복합판의 강재 종류 및 규격에 따라 기재 및 복합 강재 종류 및 규격을 결정하는 단계;
    (2) 표면 연삭: 2개의 기재 및 2개의 복합 재료 중 하나의 표면, 즉 기재 및 복합 재료가 접촉하는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을 금속에 완전히 노출시키는 단계;
    (3) 이형제 브러싱: 2개 복합 재료가 서로 접촉하는 일면, 즉 연마되지 않은 표면에 이형제를 브러싱하며, 이형제를 균일하게 브러싱하여 평활도를 동일하게 만들어 건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4) 블랭크 조립 실링: 기재 및 복합 재료를 순차적으로 쌓아서 복합 블랭크를 형성하고,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기재, 복합 재료, 복합 재료, 기재이며, 복합 재료의 크기는 기재보다 작고, 밀봉재를 사용해 복합 블랭크 주위의 오목홈을 실링하며, 밀봉재는 일반적인 탄소강 재질을 선택하는 단계;
    (5) 전자빔 실링 및 용접: 조립된 복합 블랭크를 진공실로 이송한 후 진공실에 대하여 진공 펌핑을 수행하고, 진공실 진공도가 10×10-2Pa 이하가 되면, 진공 전자빔을 사용하여 밀봉재와 복합 블랭크 사이의 갭을 용접하는 단계;
    (6) 가열: 복합 블랭크를 가열로로 이송하여 가열하고, 가열 온도는 1150 내지 1250℃이며, 총 가열 시간은 복합 블랭크 두께에 따라 8 내지 15분/cm으로 제어하고, 태핑(tapping) 온도는 1200 내지 1210℃로 제어하는 단계;
    (7) 압연 및 냉각: TMCP 공정을 채택하여 압연을 수행하며, 조압연 단계의 압축비는 ≥2.0이고, 중간 블랭크의 두께는 총 압연 두께의 1.5 내지 3.0배이고,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는 950 내지 1050℃이고, 최종 압연 온도는 ≥920℃로 제어하고; 빠른 속도의 압연을 채택하며, 압연 속도는 2m/s 내지 3m/s로 압연 온도를 보장하고; 압연 후 고속 스로잉(throwing)하고 복합판을 곧바로 급속 냉각 장치에 넣어 10 내지 20℃/s의 속도로 온라인 담금질을 수행하며, 최종 냉각 온도는 400 내지 500℃인 단계;
    (8) 변형 보정: 압연된 강판에 대하여 변형 보정 처리를 하고, 변형 보정 후 냉각상에서 냉각하며, 표면 온도가 300℃ 아래로 떨어지면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 단계;
    (9) 판 절단 및 분리: 플라즈마 또는 화염 절단 방식을 채택하여 복합판을 절단하고, 헤드, 테일 및 양면을 절단한 후, 2개 복합판 사이에서 상하 양단면 복합판을 분리시킨 다음, 단면 복합판에 대하여 변형 보정 처리를 수행하고, 표면 연마, 성능 테스트 및 패키징 처리를 거친 후, 마지막으로 단면 복합판을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 제품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기재 블랭크는 저탄소 선박용 철강을 채택하며, 이의 화학 성분은 중량백분율에 따라 C≤0.18%, Si≤0.50%, Mn: 0.90 내지 1.60%, P≤0.035%, S≤0.035%, Nb: 0.020 내지 0.050%, V: 0.050 내지 0.10%, Ti≤0.020%, Alt: 0.015 내지 0.035%, Cr≤0.20%, Ni≤0.30%, Cu≤0.35%이고, 나머지는 Fe 및 소량의 불가피한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복합 재료 블랭크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의 복상 스테인레스강이고, 이의 화학 성분은 중량백분율에 따라 C≤0.030, Si≤1.00, Mn≤2.00, P≤0.030, S≤0.020%, Ni: 4.50 내지 6.50%, Mo: 3.00 내지 3.50%, Cr: 22.0 내지 23.0%, N: 0.14 내지 0.20%이고, 나머지는 Fe 및 소량의 불가피한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9)에서 복상 스테인레스강 복합판 제품의 총 두께는 10 내지 60mm이고, 이의 복합 재료의 두께는 1.0 내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밀봉재는 탄소강 재질을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KR1020207021298A 2017-12-25 2018-09-30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Ceased KR20200103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424997.3 2017-12-25
CN201711424997.3A CN108246825A (zh) 2017-12-25 2017-12-25 一种tmcp型船用双相不锈钢复合板的制备方法
PCT/CN2018/108997 WO2019128363A1 (zh) 2017-12-25 2018-09-30 一种tmcp型船用双相不锈钢复合板的制备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062A true KR20200103062A (ko) 2020-09-01

Family

ID=6272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298A Ceased KR20200103062A (ko) 2017-12-25 2018-09-30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00103062A (ko)
CN (1) CN108246825A (ko)
WO (1) WO2019128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6825A (zh) * 2017-12-25 2018-07-06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tmcp型船用双相不锈钢复合板的制备方法
CN109226293B (zh) * 2018-08-31 2020-06-19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石油天然气管用镍基合金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09532144B (zh) * 2018-11-29 2021-01-1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超级双相不锈钢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CN109624435A (zh) * 2018-12-13 2019-04-16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石油天然气输送管线用不锈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11361235B (zh) * 2018-12-26 2022-06-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蚀船用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CN109652744A (zh) * 2019-01-03 2019-04-19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船用止裂钢e47及其大线能量焊接方法
JP6787534B1 (ja) * 2019-02-27 2020-11-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組立スラ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クラッド鋼材の製造方法
CN111020368B (zh) * 2019-10-30 2021-07-20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海水淡化用双相不锈钢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CN110983164A (zh) * 2019-12-31 2020-04-10 福州大学 一种微合金元素Nb强化的双相不锈钢及其制备方法
JP7054078B2 (ja) * 2020-02-06 2022-04-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157466A1 (ja) * 2020-02-06 2021-08-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28755B2 (ja) * 2020-02-19 2023-02-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CN112643292B (zh) * 2020-12-05 2023-05-12 安徽宝恒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碳钢和304不锈钢单面复合板加工方法
CN112899441A (zh) * 2021-01-18 2021-06-04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复合板的热处理工艺
CN112981251B (zh) * 2021-02-09 2022-06-14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用高耐蚀不锈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12958886B (zh) * 2021-02-09 2022-09-16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厚规格复合坯高效率组坯焊接方法
CN114043178B (zh) * 2021-12-07 2023-02-03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异种金属复合材料真空蠕压复合新方法
CN115026139A (zh) * 2022-08-10 2022-09-09 太原科技大学 一种轧制制备镍-镁复合板的方法
CN115740403A (zh) * 2022-09-15 2023-03-07 燕山大学 一种带夹层不锈钢复合板的制备方法
CN115287416B (zh) * 2022-10-08 2022-12-20 太原科技大学 一种含铜不锈钢及其表面改性的方法
CN115958387B (zh) * 2022-11-28 2023-11-07 南京首勤特种材料有限公司 一种不锈钢复合板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CN116001380B (zh) * 2023-02-28 2025-06-13 江苏沙钢钢铁有限公司 370MPa级不锈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16373428A (zh) * 2023-02-28 2023-07-04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特厚不锈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16351871A (zh) * 2023-02-28 2023-06-30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具有优良板形的不锈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16373406A (zh) * 2023-02-28 2023-07-04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345MPa级不锈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16099875B (zh) * 2023-04-12 2023-07-04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板形优异的不锈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16159861B (zh) * 2023-04-25 2023-07-04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界面结合优异的不锈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645A (en) * 1986-04-25 1995-05-09 Weirton Steel Corporation Light-cage composite-coated flat-rolled steel manufacture and product
JPH07108403B2 (ja) * 1986-09-12 1995-11-22 日本鋼管株式会社 多層パツク圧延方法
JPH1157810A (ja) * 1997-08-14 1999-03-02 Nkk Corp チタン合金シート材の製造方法
CN101362148B (zh) * 2008-09-16 2011-04-2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异质难熔金属钼与不锈钢复合板的轧制连接方法
CN102069289B (zh) * 2011-01-27 2012-11-14 东北大学 一种不锈钢-碳钢复合板的制备方法
CN102319732A (zh) * 2011-09-07 2012-01-18 三明天尊不锈钢复合科技有限公司 金属复合板的真空轧制方法
CN103212596B (zh) * 2013-05-10 2015-03-18 山东亚盛重工股份有限公司 复合板轧制前处理工艺
CN104138920B (zh) * 2014-06-26 2017-02-22 济钢集团有限公司 一种基层材料为管线钢的轧制金属复合板制造方法
CN104550233B (zh) * 2014-12-19 2017-01-1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轧复合坯的生产工艺
CN104624702B (zh) * 2015-01-07 2016-08-17 李向民 一种不锈钢双面复合板的制作方法
CN106271414B (zh) * 2016-08-23 2018-06-19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tmcp型桥梁用不锈钢复合板的制备方法
CN108246825A (zh) * 2017-12-25 2018-07-06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tmcp型船用双相不锈钢复合板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8363A1 (zh) 2019-07-04
CN108246825A (zh)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3062A (ko) Tmcp형 선박용 복상 스테인리스강 복합판의 제조방법
WO2021196820A1 (zh) 一种低剩磁、表面质量优异的船用5Ni钢板的制造方法
CN108034885A (zh) 一种低温条件下使用的低裂纹敏感性管件用钢板及其制造方法
WO2022067962A1 (zh) 低成本高性能Q370qE-HPS桥梁钢及生产方法
CN108943911A (zh) 一种tmcp型船用奥氏体不锈钢复合板及制备方法
CN101358319A (zh) 一种低碳610MPa级高强压力容器用钢板及其生产方法
CN107931327A (zh) 一种管线钢和不锈钢热轧复合板的制造方法及应用
CN108411196B (zh) 抗拉强度为680MPa级大型移动式压力容器用钢及生产方法
CN110592473A (zh) 一种高级别特厚双面耐磨复合板及其生产方法
CN105331890B (zh) 一种在线淬火生产高韧性5Ni钢中厚板的方法
CN108998640A (zh) 一种核电站堆芯冷却***安注箱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CN110527907A (zh) 一种550级耐磨复合板及其生产方法
CN107130172A (zh) 布氏硬度400hbw级整体硬化型高韧性易焊接特厚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107937829A (zh) 高压电机用高强度转子轴锻件及热处理方法
CN105483564B (zh) 一种双面抗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107287527B (zh) 一种优良低温韧性的160mm特厚钢板及其生产方法
CN106191686B (zh) 一种800MPa级的船舶用钢及其制备方法
CN118639141A (zh) 一种极寒超深环境用千兆帕级海工钢板及其制造方法
CN110509634B (zh) 一种高级别双面耐磨复合板及其生产方法
CN104726780A (zh) 一种高强度特厚钢板及其生产方法
CN114086072B (zh) 无硼中低镍高强度高淬透性海工钢厚板及其制备方法
CN114769939A (zh) 一种低成本超高强钢激光焊用焊丝
CN116162864A (zh) 具有-70℃低温冲击09MnNiDR钢板及其制造方法
CN108517463A (zh) 一种高延展性的fh500级船板钢及其制备方法
CN108004476B (zh) 一种压水堆核电站结构模块用特厚钢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7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9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20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11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10701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