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158A - 드론을 활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을 활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158A
KR20200099158A KR1020207019231A KR20207019231A KR20200099158A KR 20200099158 A KR20200099158 A KR 20200099158A KR 1020207019231 A KR1020207019231 A KR 1020207019231A KR 20207019231 A KR20207019231 A KR 20207019231A KR 20200099158 A KR20200099158 A KR 2020009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s
base station
dron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이상림
이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01S1/0428Sig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81Transmission between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6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 D-PRS(Drone-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고, 드론으로부터 D-PRS를 수신하는 단계, PRS 및 D-PRS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 위치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을 활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및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은 1ms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로 디자인 되었으며, 비디오(video)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데이터 요구 지연 시간은 10ms이었다. 그러나, 미래의 5G 기술은 실시간 제어(real-time control) 및 촉감 인터넷(tactile internet)과 같은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으로 더욱 낮은 지연의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고 있으며, 5G 데이터 요구 지연은 1ms까지 낮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래의 5G 기술은 하나의 기지국에 더욱 많은 단말 연결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5G 요구 연결성은 최대 1,000,000/km2까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RAT (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해 향상된 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정성(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UE 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eMBB), massive MTC (m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RAT(radio access technology)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차세대 RAT에 대해서는 편의상 New RAT으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드론(Drone)의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드론 및 기존의 통신 기기들의 효율적인 통신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일 예로, 드론은 무선 전파의 컨트롤 신호에 의해 비행하는 비행 물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론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에 기초하여 드론을 통해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 D-PRS(Drone-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고, 드론으로부터 D-PRS를 수신하는 단계, PRS 및 D-PRS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 위치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와 송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 D-PRS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PRS를 수신하고, 드론으로부터 D-PRS를 수신하고, PRS 및 D-PRS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기지국으로 위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다음 사항들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에 대한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으로 D-PRS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은 드론과 D-PRS와 관련된 정보를 교환한 후, 단말로 D-PRS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과 드론은 D-PRS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PRS의 전송 시점과 D-PRS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은 서로 다른 Cell-ID를 가지는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D-PRS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은 동일한 Cell-ID를 가지는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D-PRS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드론들은 서로 다른 서브밴드를 할당받고, 단말은 할당된 서브밴드에서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D-PRS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이 스레스홀드 거리 이상 이동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 정보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론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OTDOA에 기초하여 드론을 통해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또는, 드론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DL/UL) 슬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uplink, UL)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전송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PRS의 자원 요소 매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드론을 활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드론과 서빙셀이 전송 시점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드론과 서빙셀이 전송 시점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드론과 서빙셀이 전송 시점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드론과 서빙셀이 전송 시점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드론과 서빙셀이 전송 시점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서브밴드에서 D-PRS(Drone-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드론이 단말의 위치 추척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드론이 단말의 위치 추척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LTE-A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 LTE-A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단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AP(Access Point)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5G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데이터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서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전송에 대하여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전송을 하향 링크 전송,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상향링크 전송으로 통칭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 간의 무선 자원을 구분하는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정의하며 주파수 밴드를 하향링크 전송 밴드와 상향링크 전송 밴드로 구분하여 양방향 송수신하는 경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라고 표현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뿐만 아니라, 시간 자원을 하향링크 전송 시간과 상향링크 전송 시간으로 구분하여 양방향 송수신하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 (Time Division Duplex, TDD)와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여 양방향 송수신하는 양방향 듀플렉스 (Full Duplex) 에서도 동작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105)과 하나의 단말(110)을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5)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5), 심볼 변조기(120), 송신기(125), 송수신 안테나(130), 프로세서(180), 메모리(185), 수신기(190), 심볼 복조기(19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65), 심볼 변조기(170), 송신기(175), 송수신 안테나(135), 프로세서(155), 메모리(160), 수신기(140), 심볼 복조기(15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130, 135)가 각각 기지국(105) 및 단말(110)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복수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은 SU-MIMO(Single User-MIMO), MU-MIMO(Multi User-MIMO) 방식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하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하여, 코딩하고, 코딩된 트래픽 데이터를 인터리빙하고 변조하여(또는 심볼 매핑하여), 변조 심볼들("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이 데이터 심볼들과 파일럿 심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다중화하여 이를 송신기 (125)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송신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또는 제로의 신호 값일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 주기에서, 파일럿 심볼들이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분할 다중화(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 심볼일 수 있다.
송신기(12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조절하여(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 컨버팅(upconverting))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하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송신 안테나(130)는 발생된 하향링크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110)의 구성에서, 수신 안테나(135)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140)로 제공한다. 수신기(140)는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고(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한다. 심볼 복조기(145)는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을 복조하여 채널 추정을 위해 이를 프로세서(155)로 제공한다.
또한, 심볼 복조기(145)는 프로세서(155)로부터 하향링크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에 대해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송신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치들인)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획득하고,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50)로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복조(즉, 심볼 디-매핑(demapping))하고,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고, 디코딩하여,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심볼 복조기(145)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에 의한 처리는 각각 기지국(105)에서의 심볼 변조기(120) 및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에 의한 처리에 대해 상보적이다.
단말(110)은 상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65)는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70)는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하여 다중화하고, 변조를 수행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송신기(175)로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17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135)는 발생된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105)으로 전송한다. 단말 및 기지국에서의 송신기 및 수신기는 하나의 RF(Radio Frequency)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지국(105)에서, 단말(11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기(190)는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를 처리되어 샘플들을 획득한다. 이어서, 심볼 복조기(195)는 이 샘플들을 처리하여, 상향링크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처리하여,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단말(110) 및 기지국(105) 각각의 프로세서(155, 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55, 18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160, 185)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60, 185)는 프로세서(18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55, 180)는 컨트롤러 (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 (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 (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5, 18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55, 18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55, 180)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60, 185)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55, 1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이 무선 통신 시스템(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어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레이어를 기초로 제 1 레이어(L1), 제 2 레이어(L2), 및 제 3 레이어(L3)로 분류될 수 있다. 물리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에 속하며, 물리 채널을 통해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는 상기 제 3 레이어에 속하며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 무선 자원들을 제공한다. 단말, 기지국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RRC 레이어를 통해 RRC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의 프로세서(155)와 기지국의 프로세서(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이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 및 저장 기능 등을 제외하고, 신호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특별히 프로세서(155, 180)를 언급하지 않는다. 특별히 프로세서(155, 180)의 언급이 없더라도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이 아닌 데이터 처리 등의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단말(110)은 드론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드론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비행 물체일 수 있다. 일 예로, 드론은 상술한 단말(1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드론은 다른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2(a)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용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용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프레임은 10ms(30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구성된다. 일 무선프레임 내 10개의 서브프레임에는 각각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2048*15kHz)로 표시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일 무선프레임 내에서 20개의 슬롯들은 0부터 19까지 순차적으로 넘버링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의 길이를 가진다. 일 서브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은 전송시간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로 정의된다. 시간 자원은 무선프레임 번호(혹은 무선 프레임 인덱스라고도 함)와 서브프레임 번호(혹은 서브프레임 번호라고도 함), 슬롯 번호(혹은 슬롯 인덱스)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은 듀플레스(duplex) 모드에 따라 다르게 구성(configure)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 모드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은 주파수에 의해 구분되므로, 무선 프레임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하나만을 포함한다. TDD 모드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은 시간에 의해 구분되므로,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 무선 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모두 포함한다.
표 1은 TDD 모드에서, 무선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들의 DL-UL 구성(configuration)을 예시한 것이다.
DL-UL configuration Downlink-to-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 Subframe number
0 1 2 3 4 5 6 7 8 9
0 5ms D S U U U D S U U U
1 5ms D S U U D D S U U D
2 5ms D S U D D D S U D D
3 10ms D S U U U D D D D D
4 10ms D S U U D D D D D D
5 10ms D S U D D D D D D D
6 5ms D S U U U D S U U D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S는 특이(special)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특이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Slot), GP(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Slot)의 3개 필드를 포함한다. DwPTS는 하향링크 전송용으로 유보되는 시간 구간이며, UpPTS는 상향링크 전송용으로 유보되는 시간 구간이다. 표 2는 특이 프레임의 구성(configuration)을 예시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DL/UL) 슬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2는 3GPP LTE/LTE-A 시스템의 자원격자(resource grid)의 구조를 나타낸다. 안테나 포트당 1개의 자원격자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OFDM 심볼은 일 심볼 구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슬롯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Figure pct00002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Figure pct00003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격자(resource grid)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04
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5
은 UL 슬롯에서의 RB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은 DL 전송 대역폭과 UL 전송 대역폭에 각각 의존한다.
Figure pct00008
은 하향링크 슬롯 내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내며,
Figure pct00009
은 UL 슬롯 내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는 하나의 RB를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OFDM 심볼, SC-FDM(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채널 대역폭,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규(normal)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extended)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개수의 OFDM 심볼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OFDM 심볼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Figure pct00011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부반송파의 유형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부반송파,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의 전송 위한 참조신호 부반송파, 가드 밴드(guard band) 및 직류(Direct Current, DC) 성분을 위한 널(null) 부반송파로 나뉠 수 있다. DC 성분을 위한 널 부반송파는 미사용인 채 남겨지는 부반송파로서, OFDM 신호 생성 과정 혹은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에서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 f0)로 맵핑(mapping)된다. 반송파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라고도 한다.
일 RB는 시간 도메인에서
Figure pct00012
개(예를 들어, 7개)의 연속하는 OFDM 심볼로서 정의되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c개(예를 들어, 12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에 의해 정의된다. 참고로, 하나의 OFDM 심볼과 하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 자원을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 혹은 톤(tone)이라고 한다. 따라서, 하나의 RB는
Figure pct00013
개의 자원요소로 구성된다. 자원격자 내 각 자원요소는 일 슬롯 내 인덱스 쌍 (k, 1)에 의해 고유하게 정의될 수 있다. k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0부터
Figure pct00014
-1까지 부여되는 인덱스이며, l은 시간 도메인에서 0부터
Figure pct00015
-1까지 부여되는 인덱스이다.
일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pct00016
개의 연속하는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2개의 슬롯 각각에 1개씩 위치하는 2개의 RB를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쌍(pair)이라고 한다. PRB 쌍을 구성하는 2개의 RB는 동일한 PRB 번호(혹은, PRB 인덱스(index)라고도 함)를 갖는다. VRB는 자원할당을 위해 도입된 일종의 논리적 자원할당 단위이다. VRB는 PRB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VRB를 PRB로 맵핑하는 방식에 따라, VRB는 로컬라이즈(localized) 타입의 VRB와 분산(distributed) 타입의 VRB로 구분된다. 로컬라이즈 타입의 VRB들은 PRB들에 바로 맵핑되어, VRB 번호(VRB 인덱스라고도 함)가 PRB 번호에 바로 대응된다. 즉, nPRB=nVRB가 된다. 로컬라이즈 타입의 VRB들에는 0부터
Figure pct00017
-1순으로 번호가 부여되며,
Figure pct00018
이다. 따라서, 로컬라이즈 맵핑 방식에 의하면,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VRB가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동일 PRB 번호의 PRB에 맵핑된다. 반면, 분산 타입의 VRB는 인터리빙을 거쳐 PRB에 맵핑된다. 따라서,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분산 타입의 VRB는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서로 다른 번호의 PRB에 맵핑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두 슬롯에 1개씩 위치하며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2개의 PRB를 VRB 쌍이라 칭한다.
도 4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L 서브프레임은 시간 도메인에서 제어영역(control region)과 데이터영역(data region)으로 구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앞부분에 위치한 최대 3(혹은 4)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에 대응한다. 이하, DL 서브프레임에서 PDCCH 전송에 이용가능한 자원 영역(resource region)을 PDCCH 영역이라 칭한다. 제어영역으로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이 아닌 남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data region)에 해당한다. 이하, DL 서브프레임에서 PDSCH 전송에 이용가능한 자원 영역을 PDSCH 영역이라 칭한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DL 제어 채널의 예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UL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지칭한다. DCI는 UE 또는 UE 그룹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CI는 DL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UL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임의 접속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upper layer)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정보, UE 그룹 내의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Transmit Control Command Set), 전송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명령,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activation) 지시 정보, DAI(Downlink Assignment Index) 등을 포함한다. DL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전송 포맷(Transmit Format) 및 자원 할당 정보는 DL 스케줄링 정보 혹은 DL 그랜트(DL grant)라고도 불리며, UL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는 UL 스케줄링 정보 혹은 UL 그랜트(UL grant)라고도 불린다. 일 PDCCH가 나르는 DCI는 DCI 포맷에 따라서 그 크기와 용도가 다르며, 부호화율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현재 3GPP LTE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용으로 포맷 0 및 4, 하향링크용으로 포맷 1, 1A, 1B, 1C, 1D, 2, 2A, 2B, 2C, 3, 3A 등의 다양한 포맷이 정의되어 있다. DCI 포맷 각각의 용도에 맞게, 호핑 플래그, RB 할당(RB allocation), MCS(modulation coding scheme), RV(redundancy version), NDI(new data indicator), TPC(transmit power control), 순환 천이 DMRS(cyclic shif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UL 인덱스,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요청, DL 할당 인덱스(DL assignment index), HARQ 프로세스 넘버, TPMI(transmitted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정보 등의 제어정보가 취사 선택된 조합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로서 UE에게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UE에 구성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에 따라 상기 UE에게 전송될 수 있는 DCI 포맷이 달라진다. 다시 말해, 특정 전송 모드로 구성된 UE를 위해서는 모든 DCI 포맷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특정 전송 모드에 대응하는 일정 DCI 포맷(들)만이 사용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들의 집성(aggregation) 상에서 전송된다. CCE는 PDCCH에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한 부호화율(coding rate)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유닛(unit)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CCE는 9개의 REG에 대응되고 하나의 REG는 4개의 RE에 대응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UE을 위해 PDCCH가 위치할 수 있는 CCE 세트를 정의하였다. UE가 자신의 PDCCH를 발견할 수 있는 CCE 세트를 PDCCH 탐색 공간, 간단히 탐색 공간(Search Space, SS)라고 지칭한다. 탐색 공간 내에서 PDCCH가 전송될 수 있는 개별 자원을 PDCCH 후보(candidate)라고 지칭한다. UE가 모니터링(monitoring)할 PDCCH 후보들의 모음은 탐색 공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각각의 DCI 포맷을 위한 탐색 공간은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전용(dedicated) 탐색 공간과 공통(common) 탐색 공간이 정의되어 있다. 전용 탐색 공간은 UE-특정(specific) 탐색 공간이며, 각각의 개별 UE를 위해 구성(configuration)된다. 공통 탐색 공간은 복수의 UE들을 위해 구성된다. 상기 탐색 공간을 정의하는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은 다음과 같다.
Search Space SK(L) Number of PDCCH candidates M(L)
Type Aggregation Level L Size[in CCEs]
UE-specific 1 6 6
2 12 6
4 8 2
8 16 2
Common 4 16 4
8 16 2
하나의 PDCCH 후보는 CCE 집성 레벨에 따라 1, 2, 4 또는 8개의 CCE에 대응한다. eNB는 탐색 공간 내의 임의의 PDCCH 후보 상에서 실제 PDCCH (DCI)를 전송하고, UE는 PDCCH (DCI)를 찾기 위해 탐색 공간을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모니터링이라 함은 모든 모니터링되는 DCI 포맷들에 따라 해당 탐색 공간 내의 각 PDCCH의 복호(decoding)를 시도(attempt)하는 것을 의미한다. UE는 상기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하여, 자신의 PDCCH를 검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UE는 자신의 PDCCH가 전송되는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매 서브프레임마다 해당 DCI 포맷의 모든 PDCCH를 자신의 식별자를 가진 PDCCH를 검출할 때까지 PDCCH의 복호를 시도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블라인드 복호(blind decoding, BD))이라고 한다.
eNB는 데이터영역을 통해 UE 혹은 UE 그룹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영역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사용자데이터라 칭하기도 한다. 사용자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영역에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될 수 있다.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는 PDSCH를 통해 전송된다. UE는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복호하여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UE 혹은 UE 그룹에게 전송되는지, 상기 UE 혹은 UE 그룹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호해야 하는지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전송형식정보(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DL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UE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하고, "A"라는 RNTI를 가지고 있는 UE는 PDCCH를 검출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UE가 eNB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복조를 위해서는 데이터 신호와 비교될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RS)가 필요하다. 참조신호라 함은 eNB가 UE로 혹은 UE가 eNB로 전송하는, eNB와 UE가 서로 알고 있는, 기정의된 특별한 파형의 신호를 의미하며, 파일럿(pilot)이라고도 불린다. 참조신호들은 셀 내 모든 UE들에 의해 공용되는 셀-특정(cell-specific) RS와 특정 UE에게 전용되는 복조(demodulation) RS(DM RS)로 구분된다. eNB가 특정 UE를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전송하는 DM RS를 UE-특정적(UE-specific) RS라 특별히 칭하기도 한다. 하향링크에서 DM RS와 CRS는 함께 전송될 수도 있으나 둘 중 한 가지만 전송될 수도 있다. 다만, 하향링크에서 CRS없이 DM RS만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와 동일한 프리코더를 적용하여 전송되는 DM RS는 복조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채널측정용 RS가 별도로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3GPP LTE(-A)에서는 UE가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측정용 RS인 CSI-RS가 상기 UE에게 전송된다. CSI-RS는 채널상태가 상대적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도가 크지 않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는 CRS와 달리,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소정 전송 주기마다 전송된다.
도 5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uplink, UL)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UL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나르기 위해, 상기 제어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기 위해, UL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UL 서브프레임에서는 DC(Direct Current)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거리가 먼 부반송파들이 제어영역으로 활용된다. 다시 말해, UL 전송 대역폭의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부반송파들이 상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된다. DC 부반송파는 신호 전송에 사용되지 않고 남겨지는 성분으로서,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에서 반송파 주파수 f0로 맵핑된다. 일 UE에 대한 PUCCH는 일 서브프레임에서, 일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자원들에 속한 RB 쌍에 할당되며, 상기 RB 쌍에 속한 RB들은 두 개의 슬롯에서 각각 다른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이와 같이 할당되는 PUCCH를, PUCCH에 할당된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 호핑된다고 표현한다. 다만, 주파수 호핑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RB 쌍이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PUCCH는 다음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SR(Scheduling Request): 상향링크 UL-SCH 자원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OOK(On-Off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 HARQ-ACK: PDCCH에 대한 응답 및/또는 PDSCH 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예, 코드워드)에 대한 응답이다. PDCCH 혹은 PDSCH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일 하향링크 코드워드에 대한 응답으로 HARQ-ACK 1비트가 전송되고, 두 개의 하향링크 코드워드에 대한 응답으로 HARQ-ACK 2비트가 전송된다. HARQ-ACK 응답은 포지티브 ACK(간단히, ACK), 네거티브 ACK(이하, NACK),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또는 NACK/DTX를 포함한다. 여기서, HARQ-ACK이라는 용어는 HARQ ACK/NACK, ACK/NACK과 혼용된다.
-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피드백 정보(feedback information)이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관련 피드백 정보는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포함한다.
UE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제어정보(UCI)의 양은 제어 정보 전송에 가용한 SC-FDMA의 개수에 의존한다. UCI에 가용한 SC-FDMA는 서브프레임에서 참조 신호 전송을 위한 SC-FDMA 심볼을 제외하고 남은 SC-FDMA 심볼을 의미하고, SRS(Sounding Reference Signal)가 구성된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 심볼도 제외된다. 참조 신호는 PUCCH의 코히런트(coherent) 검출에 사용된다. PUCCH는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포맷을 지원한다.
표 4는 LTE/LTE-A 시스템에서 PUCCH 포맷과 UCI의 맵핑 관계를 나타낸다.
PUCCH format Modulation scheme Number of bits per subframe Usage Etc.
1 N/A N/A (exist or absent) SR (Scheduling Request)
1a BPSK 1 ACK/NACK orSR + ACK/NACK One codeword
1b QPSK 2 ACK/NACK orSR + ACK/NACK Two codeword
2 QPSK 20 CQI/PMI/RI Joint coding ACK/NACK (extended CP)
2a QPSK+BPSK 21 CQI/PMI/RI + ACK/NACK Normal CP only
2b QPSK+QPSK 22 CQI/PMI/RI + ACK/NACK Normal CP only
3 QPSK 48 ACK/NACK orSR + ACK/NACK orCQI/PMI/RI + ACK/NACK
표 4를 참조하면, PUCCH 포맷 1 계열은 주로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PUCCH 포맷 2 계열은 주로 CQI/PMI/RI 등의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는 데 사용되고, PUCCH 포맷 3 계열은 주로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가 획득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기지국들의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전송 관련 정보를 상위 계층 신호로부터 설정 받고, 단말 주변의 셀들이 전송하는 PRS를 측정하여 참조 기지국에서 전송한 PRS 신호의 수신 시점과 이웃 기지국에서 전송한 PRS 신호의 수신 시점과의 차이인 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를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로 전달해주고, 네트워크는 RSTD 및 그 이외의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에 의한 포지셔닝 기법 방식 등이 존재한다. 그 밖에 A-GNSS(Assis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포지셔닝 기법, E-CID(Enhanced Cell-ID) 기법, UTDOA(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 다른 방식들이 존재하며, 이와 같은 포지셔닝 방식에 의해 각종 위치-기반 서비스(예컨대, 광고, 위치 추적, 비상용 통신 수단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LTE positioning protocol]
LTE 시스템에서는 상기 OTDOA 기법을 지원하기 위해 LPP(LTE positioning protocol)을 정의하였고, LPP에서는 IE(information element)로써 단말에게 아래의 구성을 가지는 OTDOA-ProvideAssistanceData를 알려준다.
Figure pct00019
여기서 OTDOA-ReferenceCellInfo는 RSTD 측정의 기준이 되는 셀을 의미하며,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Figure pct00020
여기서, 존재 조건(conditional presence)는 다음과 같다.
존재 조건 설명
NotSameAsServ0 해당 필드는 earfcnRef-v9a0가 존재하면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고 만약 OTDOA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ARFCN이 타깃 장치의 현재 프라이머리 셀의 EARFCN과 같지 않으면, 해당 필드는 필수적으로 존재한다.(This field is absent if earfcnRef-v9a0 is present. Otherwise, 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EARFCN of the OTDOA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is not the same as the EARFCN of the target devices's current primary cell.)
NotSameAsServ1 만약 OTDOA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안테나 설정이 타깃 장치의 현재 프라이머리 셀의 안테나 포트 설정과 같지 않다면, 해당 필드는 존재한다. (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antenna port configuration of the OTDOA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is not the same as the antenna port configuration of the target devices's current primary cell.)
NotSameAsServ2 해당 필드는 earfcnRef가 존재하면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고, 만약 OTDOA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ARFCN이 타깃 장치의 현재 프라이머리 셀의 EARFCN과 같지 않으면 해당 필드는 필수적으로 존재한다.(The field is absent if earfcnRef is present. Otherwise, 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EARFCN of the OTDOA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is not the same as the EARFCN of the target devices's current primary cell.)
PRS 해당 필드는 만약 PRS가 보조 데이터 기준 셀에서 이용가능하면 필수적으로 존재하고, 그렇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 (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are available in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otherwise it is not present. )
또한, 위에서 OTDOA-ReferenceCellInfo의 각 개별 필드는 다음과 같다.
OTDOA-ReferenceCellInfo 필드 설명
physCellId 이 필드는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물리 셀 식별자를 특정한다.(This field specifies the physical cell identity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cellGlobalId이 필드는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CGI, 즉 E-UTRA에서 셀의 글로벌한 고유 식별자를 특정한다. 서버는 phyCellId에 의해 지시되는 셀에서 애매함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고려하면 이 필드를 포함시켜야 한다.(This field specifies the ECGI, the globally unique identity of a cell in E-UTRA,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The server should include this field if it considers that it is needed to resolve ambiguity in the cell indicated by physCellId.)
earfcnRef이 필드는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ARFCN을 특정한다.(This field specifies the EARFCN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antennaPortConfig이 필드는 보조 데이터 기준 셀에서 사용되는 CRS를 위한 안테나 포트가 (1 또는 2) 안테나 포트인지, 또는 4 안테나 포트 인지를 특정한다.(This field specifies whether 1 (or 2) antenna port(s) or 4 antenna ports for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s (CRS) are used in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cpLength이 필드는 prsInfo 필드가 존재하면 보조 데이터 기준 셀 PRS의 CP(cyclic prefix) 길이를 특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 필드는 보조 데이터 기준 셀 CRS의 CP 길이를 특정한다. (This field specifies the cyclic prefix length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PRS if the prsInfo field is present, otherwise this field specifies the cyclic prefix length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CRS.)
prsInfo이 필드는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PRS 설정을 특정한다.(This field specifies the PRS configuration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한편, OTDOA-NeighbourCellInfo는 RSTD 측정의 대상이 되는 셀(예컨대, eNB 또는 TP)들을 의미하며, 최대 3개의 주파수 레이어(Frequency Layer)에 대해서 각 주파수 레이어 별로 최대 24개의 인접 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체 3*24 = 72개 셀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Figure pct00021
여기서, 존재 조건(conditional presence)는 다음과 같다.
존재 조건 설명
NotSameAsRef0 해당 필드는 earfcnRef-v9a0가 존재하면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earfcnRef-v9a0가 존재하지 않으면, OTDOA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ARFCN이 해당 셀의 EARFCN과 같지 않으면, 해당 필드는 필수적으로 존재하고; 그렇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 (The field is absent if earfcn-v9a0 is present. If earfcn-v9a0 is not present, 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EARFCN is not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otherwise it is not present.)
NotSameAsRef1 만약 해당 셀의 CP 길이가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CP 길이와 같지 않으면 이 필드는 필수적으로 존재하고; 그렇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cyclic prefix length is not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otherwise it is not present.)
NotSameAsRef2 만약 해당 셀의 PRS 설정이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PRS 설정과 같지 않으면 이 필드는 필수적으로 존재하고; 그렇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PRS configuration is not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otherwise it is not present.)
NotSameAsRef3 만약 해당 셀의 안테나 포트 설정이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안테나 포트 설정과 같지 않으면 이 필드는 필수적으로 존재하고; 그렇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antenna port configuration is not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otherwise it is not present.)
NotSameAsRef4 만약 해당 셀의 슬롯 타이밍이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슬롯 타이밍과 같지 않으면 이 필드는 필수적으로 존재하고; 그렇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slot timing is not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otherwise it is not present.)
NotSameAsRef5 해당 필드는 earfcn이 존재하면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earfcn이 존재하지 않고, 만약 OTDOA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ARFCN이 해당 셀의 EARFCN과 같지 않으면 해당 필드는 필수적으로 존재한다.(The field is absent if earfcn is present. If earfcn is not present, the field is mandatory present if the EARFCN is not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otherwise it is not present.)
InterFreq 만약 해당 셀의 EARFCN이 OTDOA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ARFCN과 같지 않으면 해당 필드는 선택사항으로 존재하며, 그렇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The field is optionally present, need OP, if the EARFCN is not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otherwise it is not present.)
또한, 위에서 OTDOA-NeighbourCellInfoList의 각 개별 필드는 다음과 같다.
OTDOA-NeighbourCellInfoList 필드 설명
physCellId 이 필드는 해당 이웃 셀의 물리 셀 식별자를 특정한다.(This field specifies the physical cell identity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cellGlobalId이 필드는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CGI, 즉 E-UTRA에서 셀의 글로벌한 고유 식별자를 특정한다. 서버는 phyCellId에 의해 지시되는 셀에서 애매함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고려하면 이 필드를 포함시켜야한다.(This field specifies the ECGI, the globally unique identity of a cell in E-UTRA,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The server should include this field if it considers that it is needed to resolve ambiguity in the cell indicated by physCellId.)
earfcnRef 이 필드는 해당 이웃 셀의 EARFCN을 특정한다.(This field specifies the EARFCN of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antennaPortConfig 이 필드는 해당 이웃 셀에서 사용되는 CRS를 위한 안테나 포트가 1, 2, 또는 4인지를 특정한다.(This field specifies whether 1 (or 2) antenna port(s) or 4 antenna ports for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s (CRS) are used in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cpLength이 필드는 해당 이웃 셀에서 PRS가 존재하면 해당 이웃 셀 PRS의 CP 길이를 특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해당 이웃 셀의 CRS의 CP 길이를 특정한다. (This field specifies the cyclic prefix length of the neigbour cell PRS if PRS are present in this neighbour cell, otherwise this field specifies the cyclic prefix length of CRS in this neighbour cell.)
prsInfo이 필드는 해당 이웃 셀의 PRS 설정을 특정한다.해당 이웃 셀의 EARFCN이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ARFCN과 동일한 경우, 타깃 장치는 해당 이웃 셀의 각 PRS 포지셔닝 기회가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PRS 포지셔닝 기회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한다고 가정할 수 있고, 전송된 PRS 포지셔닝 기회들 간의 최대 오프셋은 절반 서브프레임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가정될 수 있다. 해당 이웃 셀의 EARFCN이 보조 데이터 기준 셀의 EARFCN과 동일한 경우, 타깃 장치는 이 이웃 셀이 보조 데이터 기준 셀과 동일한 PRS 주기(Tprs)를 갖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This field specifies the PRS configuration of the neighbour cell.When the EARFCN of the neighbour cell is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the target device may assume that each PRS positioning occasion in the neighbour cell at least partially overlaps with a PRS positioning occasion in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where the maximum offset between the transmitted PRS positioning occasions may be assumed to not exceed half a subframe.When the EARFCN of the neighbour cell is the same as for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the target device may assume that this cell has the same PRS periodicity (Tprs) as the assistance data reference cell.)
여기서 OTDOA-ReferenceCellInfo와 OTDOA-NeighbourCellInfo에 포함되는 IE인 PRS-Info에서 PRS 정보를 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PRS Bandwidth, PRS Configuration Index (IPRS), Number of Consecutive Downlink Subframes, PRS Muting Information으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Figure pct00022
도 6은 상기 파라미터들에 따른 PRS 전송 구조를 도시한다.
이때, PRS Periodicity와 PRS Subframe Offset는 PRS Configuration Index (IPRS)의 값에 따라 정해지며, 대응 관계는 다음 표와 같다.
PRS Configuration Index(IPRS) PRS Periodicity(subframes) PRS Subframe Offset(subframes)
0-159 160 IPRS
160-479 320 IPRS-160
480-1119 640 IPRS-480
1120-23399 1280 IPRS-1120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는 160, 320, 640, 또는 1280ms의 주기로 전송 기회 즉, 포지셔닝 기회(positioning occasion)를 가지며, 포지셔닝 기회에 연속된 N개의 DL 서브프레임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1, 2, 4, 또는 6의 값을 가질 수 있다. PRS가 포지셔닝 기회에서 실질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지만, 셀간 간섭 제어 협력을 위하여 뮤팅(muting)될 수도 있다. 이러한 PRS 뮤팅에 대한 정보는 prs-MutingInfo로 UE에게 시그널링된다. PRS의 전송 대역폭은 서빙 기지국의 시스템 대역과 달리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6, 15, 25, 50, 75, 또는 100 RB(resource block)의 주파수 대역에 전송된다. PRS의 전송 시퀀스는 의사 랜덤(pseudo-random) 시퀀스 발생기를 슬롯 인덱스, OFDM 심볼 인덱스, CP(cyclic prefix) 타입, 그리고 셀 ID의 함수로 매 OFDM 심볼 마다 초기화하여 생성된다. 생성된 PRS의 전송 시퀀스들은 일반 CP 인지 확장 CP 인지에 따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에 다르게 맵핑될 수 있다. 맵핑되는 RE의 위치는 주파수축에서 이동(shift)할 수 있는데 이동 값은 셀 ID에 의해 결정된다.
UE는 PRS 측정을 위하여 네트워크의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탐색해야 될 PRS의 리스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지정 받는다. 해당 정보에는 참조셀의 PRS 설정 정보 및 인접 셀들의 PRS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각 PRS의 설정 정보에는 포지셔닝 기회의 발생 주기 및 오프셋, 그리고 하나의 포지셔닝 기회를 구성하는 연속된 DL 서브프레임의 개수, P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된 셀 ID, CP 타입, PRS 맵핑시에 고려된 CRS 안테나 포트의 개수 등이 포함된다. 이에 추가하여 인접 셀들의 PRS 설정 정보에는 인접 셀과 참조 셀의 슬롯 오프셋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 그리고 예상되는 RSTD 및 예상 RSTD의 부정확(Uncertainty)의 정도가 포함되어, 단말기가 인접 셀에서 전송하는 PRS를 검출하기 위하여 어떤 시점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 원도우를 갖고 해당 PRS를 탐색해야 되는지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한다.
일 예로, 도 7은 PRS가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에 매핑되는 것을 나타난 도면이다. 이때, PRS의 전송 시퀀스는 pseudo-random 시퀀스 발생기를 slot index, OFDM symbol index, cyclic prefix(CP) type, 그리고 physical cell ID의 함수로 매 OFDM symbol마다 초기화하여 발생 시킬 수 있다. 발생된 시퀀스들이 normal CP인 경우에는 도 7(a)와 같이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발생된 시퀀스들이 extended CP인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매핑될 수 있다. 매핑되는 RE의 위치는 주파수축에서 시프트할 수 있는데 시프트 값은 physical cell ID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7(a) 및 도 7(b)의 PRS 전송 RE의 위치는 주파수 시프트(frequency shift)가 0인 경우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RSTD는 인접 또는 이웃 셀 j와 참조 셀 i사이의 상대적인 타이밍 차이를 지칭할 수 있다. 즉, 상기 RSTD는 TsubframeRxj - TsubframeRxi 로 표현될 수 있고, TsubframeRxj는 단말이 인접 셀 j로부터의 특정 서브프레임의 시작을 수신한 시점이고, TsubframeRxi는 UE가, 상기 인접 셀 j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 시간 상 가장 가까운, 참조 셀 i로부터의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시작을 수신하는 시점이다. 관찰되는 서브프레임 시간 차이에 대한 기준 포인트는 상기 UE의 안테나 커넥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가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의 A-GNSS(Assis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포지셔닝 기법, E-CID 기법(Enhanced Cell-ID techniques), UTDOA(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 다른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포지셔닝 방식에 의해 각종 LBS(location-based services)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지셔닝 방식들이 이미 3GPP UTRA 및 E-UTRA 표준(e.g., LTE Rel-9)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 다만, 최근 인-빌딩 포지셔닝(in-building positioning)에 대해 보다 정확도가 높은 진보된 포지셔닝 기법이 요구괴고 있다. 일 예로, A-GNSS 방식의 경우, GNSS 수신단이 요구되므로 가격, 복잡도, 배터리 소모 등에 있어서 활용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인-빌딩 포지셔닝에 활용하는데 제약 사항이 있다. 반면에, E-CID, OTDOA, UTDOA와 같은 기술들은 아웃도어/인도어(outdoor/indoor) 환경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포지셔닝 정확도에 오차가 있는바, 정확도를 높일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정확도는 E-CID 방식의 경우 NLOS(Non-Line Of Sight) 환경에서 150m, 그리고 LOS(Line Of Sight)환경에서 50m 정도일 수 있다. 또한, PRS를 기반으로하는 OTDOA 방식도 기지국 동기화 에러(eNB synchronization error), 멀티패스 전파(multipath propagation)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OTDOA는 참조 셀(reference cell)과 다수의 이웃 셀(neighbor cell)들의 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를 측정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측정한 RSTD 측정 양자화 오차(RSTD measurement quantization error), 시간 오프셋 추정 오차(timing offset estimation error) 등에 의해서 포지셔닝 오차(positioning error)가 100m를 초과할 수도 있는바, 활용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받는 PRS의 신호의 세기가 약할 때에 RSTD의 오차가 많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위치 추적의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RSTD를 측정하는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PRS 신호의 세기가 커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추적에 있어서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의 정확도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에 대한 위치인 높이의 정확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대부분의 기지국들은 높이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기지국들이 보낸 PRS 신호를 이용해 OTDOA 기반의 위치 추적을 하게 되면 수평방향에 비해서 수직 방향의 오차가 훨씬 크게 발생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다양한 높이에 떠 있는 드론들을 활용하여 OTDOA 기반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구체적으로 드론이 PRS 신호(Drone-PRS)를 단말에게 보냄으로써 단말은 기지국들로부터 받는 RSTD보다 좋은 성능을 제공하는 RSTD를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보다 정확한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드론은 이미 네트워크에 등록이 되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드론을 활용하여 OTDOA 기반의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드론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인 비행 물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드론은 기존보다 LOS가 더 확보될 수 있는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즉, 드론은 기존 단말과 동일하게 다른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LOS가 기존 단말보다 뛰어난 장치일 수 있다. 하기에서, 장치 동작과 관련하여, 드론이라 지칭하지만, LOS가 확보되는 단말도 드론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에 대해서 드론말고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드론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 또는 신호의 세기가 약한 해상이나 산에서 조난자가 발생하여 그들의 위치를 추적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기지국으로 커버되지 않는 영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드론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드론은 비행 물체일 수 있는바, 재난 지역과 같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이나 신호의 세기가 약한 해상, 산 등에 비행을 통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비행 물체일 수 있는바, LOS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을 활용하여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기존의 경우보다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OTDOA 기반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810)은 "(1) 단계"에서 단말에게 D-PRS 설정을 위한 정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810)은 단말(830)에게 RSTD를 측정하는 참조 셀(reference cell)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RS(Common Reference Signal) 및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를 측정하여 얻은 신호의 세기(e.g., RSRP)와 특정 드론(e.g., 기지국에 연결된 드론)들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지국(810)에 보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단말(830)은 기지국(810)에서 "(1) 단계" 요청 정보를 "(2) 단계"에서 기지국(810)에 보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810)은 단말(830)이 보고하는 값들을 통해서 기지국(810) 내의 단말(830)들이 RSTD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기지국(810)은 단말(830)들이 RSTD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이웃 셀(neighbor cell)들로부터 받은 PRS의 수신 세기가 작아서 RSTD의 정확도가 떨어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810)은 PRS 수신 세기가 작은 이웃 셀(neighbor cell)의 PRS 패턴을 드론의 PRS 패턴으로 대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830)들이 측정한 드론의 SRS 수신 세기를 통해 다수의 단말(830)들에게 높은 SRS 수신 세기를 제공하는 드론에게 D-PRS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810)은 "(3) 단계"에서 드론(820)으로 D-PRS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810)은 드론(820)에게 D-PRS 전송 요청과 D-PRS 전송을 위한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e.g., 높이를 포함한 현 위치, 속도 등))를 요청할 수 있다. 기지국(810)이 드론(820)에게 요청하는 능력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드론(820)이 PRS 전송을 할 수 있는 자원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와 D-PRS 전송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 및 드론(820)의 최대 송신 파워, 바로미터 센서(barometer sensor) 장착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기지국(810)은 드론(820)에게 높이에 기초한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810)들과 높이 차이가 많이 나는 드론(820)으로 D-PRS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830)의 높이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드론(820)은 GNSS나 바로미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위치와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8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론(820)은 "(4) 단계"에서 D-PRS 설정을 위한 정보를 기지국(810)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이때, 드론(820)은 "(3) 단계"에서 기지국(810)이 드론(820)으로 요청한 정보를 기지국(810)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810)은 이 값을 통해 드론(820)의 D-PRS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810)은 "(5) 단계"에서 단말(830)로 변경된 이웃 셀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810)은 "(4) 단계"에서 설정된 D-PRS에 대한 정보를 단말(830)에게 보내줄 수 있다. 단말(830)은 기지국(810)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해서 RSTD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RSTD를 측정하는 PRS 설정(configure)에 변경이 생기지 않는 경우, 기지국(810)은 별도로 단말에게 D-PRS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일 예로, 단말(830)이 기존에 RSTD를 측정하는 이웃 셀들 중 하나에서 발생하는 PRS가 D-PRS와 일치하도록 설정한 경우, 단말(830)은 별도로 RSTD 측정을 위한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다만, 드론(820)이 D-PRS를 전송하기 시작한 시점 이후에 단말(830)이 측정한 RSTD의 값은 드론(820)의 D-PRS를 통해서 측정된 값이라는 사실을 기지국(810)이 위치 서버(location server)에 보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치 서버는 단말(830)의 위치를 추적할 때 보정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810)은 "(6) 단계"에서 드론(820)으로 D-PRS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810)은 드론(820)이 D-PRS를 전송하기 이전에 D-PRS 설정 정보를 드론(8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는 기존에 PRS 설정(PRS configuration)과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D-PRS 전송 시점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D-PRS 설정 정보에는 드론(820)이 D-PRS의 시퀀스(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한 cell-ID, D-PRS 자원(D-PRS resource) 영역에 대한 정보들과 드론(820)이 D-PRS 전송 시점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기지국(810)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서 통해 설정된 D-PRS 설정대로 드론(820)은 D-PRS를 전송할 수 있다. 드론(820)은 별도로 기지국(810)으로부터 D-PRS 전송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물리 계층 제어 신호로 받기 전까지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드론(820)은 사전에 D-PRS를 전송하는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810)과 드론(820)은 PRS 및 D-PRS를 "(7) 단계"에서 각각 단말(8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기지국(810)과 드론(820)은 각각 D-PRS와 PRS의 동기화가 맞춰진 상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단말(830)은 RSTD를 측정하고, 기지국(810)으로 측정된 RSTD를 "(8) 단계"에서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기존과 마찬가지고 측정된 RSTD를 네트워크 단에 보고하여서 위치 서버가 단말(830)의 위치 추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드론과 서빙셀이 전송 시점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과 드론을 이용하여 RSTD를 측정하고, 이를 보고하는 경우, 다수의 기지국과 드론에서 오는 PRS와 D-PRS의 간섭을 줄여서 RSTD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론의 D-PRS는 기지국의 PRS와 같은 시점에 전송되어야 할 수 있다. D-PRS는 드론의 상향 링크를 통해서 단말에게 전송되는데 드론의 상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점은 서빙 기지국에서 드론과 단말들로부터 받은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일치하도록 TA를 통해서 맞추어져 있다.
일 예로, 도 9는 드론(910)과 기지국(920)에서 상향 링크 프레임(uplink frame) 및 하향 링크 프레임(downlink frame)의 전송 시점과 수신 시점을 보여줄 수 있다. 기지국(920)은 드론(910)을 포함한 단말들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 프레임의 전송 시점과 드론(910)을 포함한 단말들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상향 링크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일치 시킬 수 있다. 이때, 이 시점을 기준으로 드론(910)과 단말들이 보내는 상향링크 신호가 기지국에 상향 링크 프레임 수신 시점에 일치하여 도착할 수 있도록 TA를 통해서 드론(910)과 단말들은 상향 링크 송신 시점을 정할 수 있다.
다만, 드론(910)은 상향 링크 송신 시점에 D-PRS 전송하게 되고, 기지국(920)이 보내는 PRS와 동기화가 맞지 않아서 단말에서는 정확한 RSTD를 측정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920)이 보내는 PRS와 드론(910)이 보내는 D-PRS의 전송 시점이 동기화가 될 수 있도록 드론(910)의 D-PRS 전송 시점을 보정해야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면, 드론(1020)은 기지국(1010)으로부터 받은 하향 링크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D-PRS 전송 시점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드론(1020)이 전송하는 D-PRS는 기지국의 하향 링크 전송 시점과 동기가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드론(1020)은 기지국(1010)으로부터 받은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 t0과 기지국(1010)으로부터 얻은 기지국(1010)의 정보를 이용해 알 수 있는 기지국(1010)과 드론(1020) 사이의 거리 d를 이용하여 td=t0-(d/c) 를 알 수 있다. 이렇게 얻은 td 시점을 기준으로 D-PRS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1010)이 전송하는 PRS의 전송 시점을 고려하여 드론(1020)은 D-P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1을 참조하면, 드론(1110)은 기지국(1120)과 동기화된 상향 링크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D-PRS 전송 시점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드론(1110)이 t0시점에 전송한 상향 링크 신호가 기지국(1120)에 t1에 도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t1은 기지국(1120)의 하향 링크 전송 시점인 td와 정확히 일치해야 할 수 있다. 다만, 드론(1110)이 계속 이동하고 있고, 드론(1110)의 상향 링크 신호 전송 시점을 초기에 TA를 이용하여 설정할 때 발생하는 TA 레졸루션(TA resolution)의 한계로 인해서 정확히 t1과 td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드론(1110)의 D-PRS 전송 시점을 정하기 위해서는 드론(1110)의 위치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드론(1110)의 위치를 알고 있는바, 기지국(1120)에서는 드론(1110)이 보낸 상향 링크 신호가 도착한 시점 t1, 기지국(1120)과 드론(1110) 사이의 거리 d를 통해서 드론이 상향 신호를 전송한 시점인 t0=t1-(d/c)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드론(1110)이 D-PRS를 전송해야 하는 기지국(1120)의 하향 링크 시점(td)과 드론(1110)의 상향링크 시점의 차이 x를 기지국(1120)이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x=td-t0=td-(t1-(d/c))=td-t1+(d/c)
기지국(1120)은 상술한 x값을 양자화하여 드론(1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받은 x값을 통해서 드론(1110)은 전송하던 상향 링크 신호의 전송시점을 기준으로 x만큼 전송 시점을 이동하여 D-P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드론(1110)이 특정 거리 이상으로 움직인 경우, PRS와 D-PRS의 동기화가 어긋나므로 위치 추적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D-PRS 전송 시점을 재설정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드론(1110)이 특정 거리 이상을 움직인 경우, D-RPS 전송 시점을 설정하는 과정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동기화된 D-PRS 전송 시점을 이용하여 D-PRS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드론(1210)이 상향 링크 전송 시점이 변화하지 않고, D-PRS가 전송되는 시점에 해당 OFDM 심볼들에 D-PRS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서와 같이, 드론(1210)은 D-PRS를 하나의 서브 프레임으로 전송할 때, 두 개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 걸쳐서 D-PRS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3을 참조하면, 드론(1310)은 D-PRS를 송신할때와 기지국(1320)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향 링크를 송신할 때, 각각 프레임이 시작되도록 하는 시점으로 프레임 시작 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드론(1310)이 D-PRS를 하나의 서브 프레임으로 전송할 때, 두 개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을 전송할 때 두 개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에 걸쳐서 D-PRS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드론(1310)이 기지국(1320)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전송 시점과 D-PRS 전송을 위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전송 시점을 사전에 인지한 후, 전송하는 상향 링크 프레임에 따라서 전송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전송 시점을 맞추기 위해서 데이터와 D-PRS를 전송하는 사이에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블랭크(Blank) 영역이 필요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블랭크 영역이 있는 경우라면 도 12에서처럼 다수의 서브 프레임에 걸쳐서 D-PRS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블랭크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서, 단말들은 동기화된 PRS와 D-PR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드론과 단말들의 상향 링크 신호가 일치한 상태로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드론이 전송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4를 참조하면, 다수의 드론이 D-P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서로 다른 cell-ID를 이용하여 D-PRS가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드론들이 D-PRS를 생성하는 경우, 단말에서 받은 PRS 수신 세기가 약한 다수개의 cell-ID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cell-ID를 가지고 PRS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최대 특정 cell-ID를 해당하는 PRS가 전송되던 주파수 대역만큼 활용하여 드론이 D-PRS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서로 다른 PRB 자원 영역(PRB resource region)을 할당하여 D-PRS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밴드 D-PRS 전송일 수 있다(subband D-PRS 전송).
이때, 드론이 송신하는 D-PRS의 자원 영역은 기존에 단말이 수신 받던 PRS 자원 영역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드론은 정해진 cell-ID를 가지고 D-RPS를 기존 단말이 수신하던 PRS와 같이 전대역에 걸쳐서 생성한 뒤 할당된 특정 서브밴드만으로 D-PRS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드론이 같은 cell-ID를 가지고 동일한 D-PRS를 생성한 뒤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할당 받아 D-P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4를 참조하면, 세 개의 드론이 같은 cell-ID를 통하여 D-PRS를 생성하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드론에 대해서 서로 다른 서브밴드를 할당 받어 D-P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론의 파워 제한으로 인해 전대역에 걸쳐 D-PRS를 전송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드론이 동시에 같은 Cell-ID를 가지고 D-PRS를 생성하여 동시간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5는 단말이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추척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1510)은 단말(1530)으로 D-PRS 설정을 위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D-PRS 설정을 위한 정보 요청은 상술한 "(1)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1510)은 단말(1530)로 주변 셀 및 드론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530)은 기지국(1510)으로 D-PRS 설정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D-PRS 설정을 위한 정보를 전송은 상술한 "(2)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단말(1530)은 상술한 단계에서 요청한 정보를 기지국(15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1510)은 드론(1520)으로 D-PRS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510)은 드론(1520)으로 D-PRS 전송을 위한 능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단계는 "(3)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지국(1510)은 드론(1520)으로 D-PRS 전송을 요청하면서 관련 정보도 함께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론(1520)은 기지국(1510)은 D-PRS 관련 정보 및 능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4)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1510)은 단말(1530)로 변경된 이웃 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5)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510)은 PRS 설정에 변경이 생기지 않으면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기지국(1510)은 드론(1520)으로 D-PRS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1510)이 드론(1520)으로 D-PRS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술한 "(6) 단계"일 수 있다. 기지국(1510)은 드론(1520)이 D-PRS를 전송하기 이전에 D-PRS 설정 정보를 드론(15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1510)은 PRS를 단말(1530)로 전송하고, 드론(1520)은 D-PRS를 단말(15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7) 단계"일 수 있다. 즉, 기지국(1510)과 드론(1520)은 PRS 및 D-PRS를 각각 단말(15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기지국(1510)과 드론(1520)은 각각 D-PRS와 PRS의 동기화가 맞춰진 상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단말(1530)은 RSTD를 측정하고, 기지국(1510)으로 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8)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1510)은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6은 단말이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추척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610) 이때, 도 1 내지 도 1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D-PRS 설정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전송하는 정보는 이웃 셀에 대한 정보 및 드론들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620) 이때, 도 1 내지 도 1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PRS 설정이 변경되거나 필요한 경우에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RS를 수신하고, 드론으로부터 D-PRS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1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전송하는 PRS와 드론이 전송하는 D-PRS는 동기화가 맞춰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D-PRS를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복수의 드론들에 대한 Cell-ID가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복수의 드론들에 대한 Cell-ID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복수의 드론들 각각에 대한 서브밴드를 할당하여 이를 통해 각각의 드론들로부터 D-PRS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단말은 PRS 및 D-PRS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40) 이때, 도 1 내지 도 1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PRS와 D-PRS를 통해 RSTD를 측정할 수 있다.일 예로, 위치 관련 정보는 RSTD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위치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1650) 이때, 도 1 내지 도 1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상술한 RSTD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이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지국과 공유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D-PRS(Drone-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D-P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RS 및 상기 D-PRS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D-PRS 설정에 대한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PRS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드론과 상기 D-PRS와 관련된 정보를 교환한 후, 상기 단말로 상기 D-PRS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드론은 상기 D-PRS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RS의 전송 시점과 상기 D-PRS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하는, 위치 측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서로 다른 Cell-ID를 가지는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D-PRS를 수신하는, 위치 측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동일한 Cell-ID를 가지는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D-PRS를 수신하는, 위치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론들은 서로 다른 서브밴드를 할당받고,
    상기 단말은 상기 할당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상기 D-PRS를 수신하는, 위치 측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이 스레스홀드 거리 이상 이동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D-PRS 설정 정보를 다시 수신하는, 위치 측정 방법.
  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 D-PRS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PRS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RS를 수신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D-PRS를 수신하고,
    상기 PRS 및 상기 D-PRS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D-PRS 설정에 대한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PRS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드론과 상기 D-PRS와 관련된 정보를 교환한 후, 상기 단말로 상기 D-PRS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드론은 상기 D-PRS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RS의 전송 시점과 상기 D-PRS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Cell-ID를 가지는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D-PRS를 수신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Cell-ID를 가지는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D-PRS를 수신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론들은 서로 다른 서브밴드를 할당받고,
    상기 단말은 상기 할당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복수의 드론들로부터 각각 상기 D-PRS를 수신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
KR1020207019231A 2018-01-12 2018-01-12 드론을 활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99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0617 WO2019139191A1 (ko) 2018-01-12 2018-01-12 드론을 활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158A true KR20200099158A (ko) 2020-08-21

Family

ID=6721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231A KR20200099158A (ko) 2018-01-12 2018-01-12 드론을 활용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09193B2 (ko)
EP (1) EP3742828A4 (ko)
KR (1) KR20200099158A (ko)
WO (1) WO20191391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426A (ko) 2021-09-07 2023-03-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시설물의 점검용 드론의 주파수 선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9047B1 (en) * 2017-09-29 2022-1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uplink target receive power adjustment for uplink interference mitigation
US11356804B2 (en) * 2018-02-25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supporting broadcast of location assistance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11191056B2 (en) 2018-08-08 2021-11-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ity time and change notification of broadcast location assistance data
US20200351814A1 (en) 2019-05-02 2020-11-05 Qualcomm Incorporated Group delay timing accuracy for positioning in new radio
EP3970426A1 (en) * 2019-05-15 2022-03-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sitioning measurement reporting for mobile radio network nodes
US11523364B2 (en) * 2019-08-13 2022-12-06 Qualcomm Incorporated Computation complexity framework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ocessing
US11705949B2 (en) * 2020-04-24 2023-07-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transmission triggered by negative acknowledgment (NAC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4816B2 (en) * 2006-05-16 2015-07-28 RedSky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E-LIS) from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US9219541B2 (en) 2012-06-13 2015-12-22 All Purpose Networks LLC Baseb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n LTE wireless base station employing periodically scanning RF beam forming techniques
US9986373B2 (en) * 2015-01-12 2018-05-29 Intel Corporation LTE-A systems and method of DRS based positioning
WO2017091011A1 (ko) 2015-11-24 2017-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셀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964436B (zh) * 2016-04-20 2022-01-14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可配置的参考信号
US10278130B2 (en) 2016-04-26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measurements, and positioning with aid of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US10321461B2 (en) * 2016-05-06 2019-06-11 Bridgewest Finance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pointing and data rate optimization for high throughput broadband access
KR101794457B1 (ko) 2016-08-22 2017-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위치 측위를 위한 효율적인 개체배치방법 및 그 위치측위장치
CN106412046A (zh) * 2016-09-23 2017-02-1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站多机控制方法、装置和***
JP7074063B2 (ja) * 2016-09-27 2022-05-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回路、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US11395253B2 (en) * 2016-12-23 2022-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nodes and methods for relative position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1212019B2 (en) * 2017-03-23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ignal quality measurements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devices
EP3659361B1 (en) * 2017-07-26 2021-03-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measurement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2534919B1 (ko) * 2017-12-30 2023-05-23 인텔 코포레이션 핸드오버 관련 기술, 장치 및 방법
US11137755B2 (en) * 2018-01-10 2021-10-05 Qualcomm Incorporated Aerial vehicle identification based on session connecti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426A (ko) 2021-09-07 2023-03-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시설물의 점검용 드론의 주파수 선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191A1 (ko) 2019-07-18
US11109193B2 (en) 2021-08-31
EP3742828A1 (en) 2020-11-25
EP3742828A4 (en) 2021-07-28
US20200389766A1 (en)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0062B2 (en) Method of performing location tracking us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1025411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결정을 위한 측정 결과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295914B (zh) 在支持侧链路的无线通信***中由终端发送定位信息的方法及其设备
CN109863706B (zh) 在无线通信***中接收或发送下行链路信号的方法和设备
KR10198071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전송, 또는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091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ositioning using drone
US10231207B2 (en) Method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7046992B2 (ja) Pdoaに基づいて位置測定を行う方法及び装置
US10225759B2 (en) Method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method
US111785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WO2016032200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positioning)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70288897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measurement to support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server for supporting positioning,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positioning
US201503040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46947A (ko)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00315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468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position measurement
WO201519939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Positioning)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16630A1 (ko) 장치 대 장치 통신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80310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position using phase information
US111291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osition
US117067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osition using beamfo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