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863A - 화장료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863A
KR20200044863A KR1020207008317A KR20207008317A KR20200044863A KR 20200044863 A KR20200044863 A KR 20200044863A KR 1020207008317 A KR1020207008317 A KR 1020207008317A KR 20207008317 A KR20207008317 A KR 20207008317A KR 20200044863 A KR20200044863 A KR 20200044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stopper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404B1 (ko
Inventor
켄지 노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00044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diaphragm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최후까지 화장료가 케이킹되는 일 없이, 가벼운 터치로 분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 화장료가 도포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해서 화장료 도포량의 제어가 용이하고, 또한 통과 구멍에 화장료가 부착되는 것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료 용기의 제공.
개구를 구비한 용기체와, 해당 용기체의 내측에 있어서 용기체와의 사이에 화장료를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내부 용기와, 해당 내부 용기의 내측에 있어서 내부 용기와 이중 구조가 되는 동시에 내부 용기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부에는 도포체를 수납 가능한 속마개와, 해당 속마개의 개구를 밀봉 가능한 뚜껑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용기 및 상기 속마개의 본체의 일부에는 각각 화장료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속마개의 회동에 따라 해당 화장료 통과구멍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화장료 통과구멍의 개폐가 행해지는 화장료 용기.

Description

화장료 용기
본 발명은 화장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사용 시에 용기 내에 수납된 도포체(applicator)에 화장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화장료 도포량의 제어가 용이하고, 또한 화장료 통과구멍에 부착된 메쉬의 막힘을 방지하는 화장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말 화장료 용기라 하면, 자(jar) 용기 등의 평평한 바닥을 가진 접시형의 용기로, 충전된 화장료의 상부면을, 구멍을 가진 평평한 드랍-뚜껑 형식(drop-lid-type)의 속뚜껑으로 덮은 구조의 것이나, 용기 개구부에 신축성의 망상체를 속뚜껑으로서 부착한 구조의 것이 있고, 구멍이나 망상체를 개재해서 속뚜껑 위로 나온 화장료를 원반 형상의 퍼프(puff)를 사용해서 피부 등에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분말 화장료 용기에서는, 특히 사용하기 시작할 무렵에는 퍼프 등의 도포체에 화장료가 지나치게 붙어, 용기의 외면이나 손, 의복 등에 흘러 내리거나, 비산해서 이들을 더럽히는 경향이 있었다. 또, 반대로 반복해서 사용하는 동안에는, 화장료를 속뚜껑 위로부터 도포체로 몇 번이나 꽉 눌러서 화장료가 점차로 케이킹(고화)되어, 화장료가 도포체에 부착되기 어려워져서 최후까지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분말 화장료에 기대되는 가벼운 터치의 사용감이 얻어지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어, 이러한 결점이 없는 새로운 분말 화장료 용기가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분말 화장료 용기의 개량에 대해서 여러 가지 검토를 행하고 있었던 바, 용기체(container body) 내에 통체를 설치하고, 해당 통체에는 분말 화장료를 통과 가능하게 한 화장료 통과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통체 내에는 도포체를 수납할 수 있는 분말 화장료 용기를 개발하였다(특허문헌 1).
이러한 화장료 용기는, 용기체 내의 분말 화장료를 필요에 따라서 화장료 통과구멍을 개재해서 통체 내에 취해서 도포체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최후까지 화장료가 케이킹되는 일 없이, 가벼운 터치로 분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지만, 이하와 같은 문제도 지니고 있었다.
즉, 이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용기체에 장착되는 통체의 화장료 통과구멍은 항상 열린 상태이며, 사용하지 않을 때여도 용기체 내의 분말 화장료가 통체 내에 들어갈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 통체 내에 들어간 화장료가 도포체에 부착되고, 그 결과, 사용 시에 필요 이상의 화장료가 도포체에 부착되어 버려, 화장료 도포량의 제어가 곤란할 경우가 있었다.
또한, 분말 화장료는 마무리용으로 리퀴드 파운데이션 등을 도포한 후에 사용되는 일이 많아, 사용 중에 도포체로 안면 상의 화장료가 옮겨가는 일이 있으며, 그대로 통체 내에 수납하면 도포체에 부착되어 있던 화장료가 통과 구멍에 부착된 메쉬로 옮겨가, 메쉬 위에 부착되어서 막힘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그 결과, 화장료의 통과를 저해해서 통체 내에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최후까지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분말 화장료에 기대되는 가벼운 터치의 사용감을 얻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었다.
JPH11-290119 A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분말 화장료 용기의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고, 최후까지 가벼운 터치로 분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 화장료가 도포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해서 화장료 도포량의 제어가 용이하고, 또한, 화장료 통과구멍의 메쉬에 화장료가 부착되는 것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료 용기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개구를 구비한 용기체와, 해당 용기체의 내측에 있어서 용기체와의 사이에 화장료를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내부 용기(inner container)와, 해당 내부 용기의 내측에 있어서 내부 용기와 이중 구조가 되는 동시에 내부 용기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부에는 도포체를 수납 가능한 속마개(inner plug)와, 해당 속마개의 개구를 밀봉 가능한 뚜껑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용기 및 상기 속마개의 본체의 일부에는 각각 화장료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속마개의 회동에 따라 해당 화장료 통과구멍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화장료 통과구멍의 개폐가 행해지는 화장료 용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내부 용기의 화장료 통과구멍에 신축성을 갖는 메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통과구멍이 곡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체에 함께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이들 걸림돌기는 뚜껑체의 개폐 시에 서로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개폐 시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그 걸림이 해제되는 높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는, 속마개의 회동에 따라 내부 용기와 속마개의 화장료 통과구멍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화장료 통과구멍이 개폐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속마개 내에 화장료가 들어가는 일이 없고, 화장료가 도포체에 의도하지 않고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화장료 도포량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에서 화장료 통과구멍에 메쉬를 부착한 것은, 사용 시에 도포체에 부착된 화장료가 수납 시에 메쉬로 옮겨가 버릴 우려가 없어, 메쉬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에서 화장료 통과구멍에 신축성을 갖는 메쉬를 부착한 것은, 속마개의 회동에 따라 속마개의 화장료 통과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메쉬를 내측으로부터 문지르도록 이동되므로, 메쉬에 부착되어 버린 화장료를 긁어 떨어뜨릴 수 있어, 메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에서 속마개와 뚜껑체에 서로 걸림 가능한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은, 뚜껑체의 개폐에 연동해서 속마개가 회동하므로, 뚜껑체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화장료 통과구멍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속마개를 회동시킬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 내부 용기의 정면도, 도 2(b)는 그의 평면도, 도 2(c)는 그의 밑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 속마개의 정면도, 도 3(b)는 그의 평면도, 도 3(c)는 그의 밑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의 볼록부(321)와, 화장료 통과구멍(24)과 화장료 통과구멍(35)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의 걸림돌기(331)와 걸림돌기(411)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의 걸림돌기(331)와 걸림돌기(411)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용기의 메쉬에 부착된 화장료를 속마개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의해 긁어 떨어뜨리는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내부 용기와 속마개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8(b)는 그의 밑면도, 도 8(c)는 그의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내부 용기와 속마개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9(b)는 그의 밑면도, 도 9(c)는 해당 실시형태의 화장료 용기를 조립해서, 내부에 도포체를 수납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는, 상부에 개구(11)를 갖는 용기체(1)와, 해당 용기체(1)의 내측에 있어서 용기체(1)와의 사이에 화장료를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내부 용기(2)와, 해당 내부 용기(2)의 내측에 있어서 내부 용기(2)와 이중 구조가 되는 동시에 내부 용기(2)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부에는 도포체(5)를 수납 가능한 속마개(3)와, 해당 속마개(3)의 개구(31)를 밀봉 가능한 뚜껑체(4)를 포함한다. 이하, 각 부재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용기체(1)는, 상부에 개구(11)를 갖는 대략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화장료가 수납되는 본체(12)와, 본체(12)의 상단으로부터 환 형상으로 늘어뜨려진 목부(neck portion)(13)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본체(12)는, 밑부분측보다도 목부(13) 측의 직경이 크고, 또한, 그 중간부분에 있어서 가장 직경이 커지도록 팽출되어 있지만, 상부에 환 형상의 목부(13)를 가져서 그 내부에 화장료 및 내부 용기(2)를 수납 가능하면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 구 형상, 다각기둥 형상, 원뿔대 형상 등이어도 된다.
목부(13)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내부 용기(2)의 고정 수단으로서 오목부(131)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1)는, 목부(13)의 상단으로부터 거의 직사각 형상으로 다른 목부(13) 부분보다도 얇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131)는, 목부(13)의 둘레방향에 동일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1)의 수는 임의이고 1개여도 되지만, 복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부(13)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속마개(3)의 걸림수단으로서 돌조부(protruded strip)(132)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132)는, 목부(13)의 둘레방향에 환 형상으로 돌출하고, 속마개(3)를 용기체(1)에 장착했을 때에, 속마개(3)의 홈부(3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홈부(342) 내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용기(2)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21)를 가지고, 대략 통 형상의 몸통부 및 대략 반구 형상의 밑부분으로 이루어진 본체(22)와, 본체(22)의 상단으로부터 환 형상으로 늘어진 목부(23)로 이루어지고, 또한, 목부(2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날밑부(233)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22)는, 용기체(1)에 장착되었을 때에 용기체(1)의 본체(12)와의 사이에 화장료를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속마개(3)의 본체(32)를 그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속마개(3)를 본체(22) 내에서 둘레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형상·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본체(22)는, 구 형상, 원기둥 형상, 역원뿔 형상, 역원뿔대 형상과 같이, 그 수평단면형상에 있어서 완전한 원을 형성한다. 또한, 목부(23)는 용기체(1)의 목부(13)를 박아넣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22)에는, 용기체(1) 내의 화장료를 내부 용기(2) 내에 받아들이기 위한 화장료 통과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통과구멍(24)은, 본체(22)의 한쪽 측면(도 2에서는 정면측)으로부터 밑부분에 걸쳐서, 거의 원형의 개구로서 1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장료 통과구멍(24)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그 개구를 가로막도록 해서 가장자리부에 메쉬(25)를 부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장료 통과구멍(24)은 1개만 형성되어 있지만, 그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이어도 된다. 화장료 통과구멍(24)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화장료 통과구멍(24)으로부터 내부 용기(2) 내에 화장료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위치이면 제한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본체(22)가 거의 구 형상인 경우에는, 측면에서부터 밑부분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22)가 얕은 접시 형태인 경우에는 밑면이 바람직하고, 원추 형상인 경우에는 측면이 바람직하며, 또한, 원기둥 형상의 밑면이 원뿔로 형성된 것은, 측면과 밑부분의 양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화장료 통과구멍(24)은 곡면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대략 구 형상의 본체의 측면이나 밑부분, 역원뿔 형상이나 역원뿔대 형상의 본체의 측면, 원기둥 형상의 본체의 측면 등의 곡면 상에 형성하면, 후술하는 메쉬(25)에 부착된 화장료의 긁어내기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화장료 통과구멍(24)의 형상과 면적은, 내부 용기(2) 내에 화장료를 넣을 때 지장이 없는 형상과 면적이면 제한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용하는 도포체(5)의 도포부(51)가 식모된 구 형상인 경우, 혹은 입체형상의 칩(chip)인 경우에는, 이러한 도포부(51)를 메쉬(25)에 누르고, 메쉬(25)의 신축성을 이용해서, 화장료 통과구멍(24)으로부터 용기체(1) 안쪽으로 돌출시키도록 해서 화장료를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도포부(51)가 통과 가능한 개구 직경 및 개구 형상의 화장료 통과구멍(24)을 1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부(51)가 평평한 매트(mat)나 퍼프인 경우, 화장료 통과구멍(24)을 통과시켜서 용기체(1) 내측으로 돌출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매트나 퍼프보다도 작은 직경의 통과 구멍을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장료 통과구멍(24)에 메쉬(25)를 부착하고 있지만, 화장료 통과구멍(24) 그 자체를 메쉬 형태로 형성해도 된다. 즉, 화장료 통과구멍(24)을 가는 복수의 구멍의 집합체로 구성되도록 해서 메쉬 형태로 형성해도 되고, 그 경우의 하나의 구멍의 직경은, 화장료가 통과 가능한 정도이면 된다. 이와 같이, 화장료 통과구멍(24)에 메쉬(25)를 부착시키거나, 혹은 화장료 통과구멍(24) 그 자체를 메쉬 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 시에 도포부(51)에 적당히 화장료를 부착시킬 수 있다.
화장료 통과구멍(24)에 부착되는 메쉬(25)의 소재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나일론, 레이온, 폴리올레핀, 셀룰로스, 비단 등의 섬유나 이들의 혼방섬유, 또한 이들의 부직포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터와 폴리우레탄의 혼방섬유가 바람직하다.
또, 목부(23)의 외주면에는, 용기체(1)에의 고정 수단으로서 볼록부(23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31)는, 내부 용기(2)를 용기체(1)에 부착했을 때에 용기체(1)의 오목부(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31)에 삽입 가능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목부(23)의 둘레방향에 동일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31)의 수는 임의이고 1개여도 되지만, 오목부(131)와 동일한 수의 복수가 바람직하다.
또한, 목부(23)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속마개(3)의 볼록부(321)를 삽입 가능한 안내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232)은, 목부(23)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다른 목부(23) 부분보다도 얇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목부(23)의 둘레방향에 소정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목부(23)의 거의 우측 절반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성하는 위치(둘레방향)는 임의이고, 형성하는 범위(둘레방향)는, 속마개(3)가 내부 용기(2)의 화장료 통과구멍(24)을 개구시켜서 폐쇄할 때까지의 회동범위와 대응하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속마개(3)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31)를 가지고, 거의 통 형상의 몸통부 및 대략 반구 형상의 밑부분으로 이루어진 본체(32)와, 본체(32)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플랜지(33), 해당 플랜지(33)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늘어지는 둘레벽(34)으로 이루어진다. 본체(32)는, 내부 용기(2)에 장착되었을 때에, 내부 용기(2)의 본체(22)와의 사이에서 필요 이상의 간극을 형성하지 않는 이중 구조가 되도록 본체(22)와 대략 상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장착된 상태에서 둘레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정도의 유격을 갖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체(32)는 본체(22)와 대략 상사형이고, 또한, 둘레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지만, 적어도, 구 형상, 원기둥 형상, 역원뿔 형상, 역원뿔대 형상과 같이, 그 수평단면형상에 있어서 완전한 원을 형성한다.
본체(32)에는, 화장료 통과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료 통과구멍(35)은, 속마개(3)가 개방 상태의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용기(2)의 화장료 통과구멍(24)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장료 통과구멍(35)은 본체(32)의 한쪽 측면(도 3에서는 정면측)으로부터 밑부분에 걸쳐서, 대략 원형의 개구로서 1개 형성되어 있다.
화장료 통과구멍(35)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만 형성되어 있지만, 그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형성해도 되고, 또한, 화장료 통과구멍(24)보다도 많게, 또는 적게 형성해도 되지만, 화장료 통과구멍(24)과 같은 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통과구멍(35)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화장료 통과구멍(24)과 거의 동일한 면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장료 통과구멍(24)이 복수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들 복수의 화장료 통과구멍(24)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바와 같은 1개의 화장료 통과구멍(35)으로 해도 된다. 반대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화장료 통과구멍(24)이 1개 형성되어 있을 경우, 그 화장료 통과구멍(24)이 커버하는 영역에 복수의 화장료 통과구멍(35)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용하는 도포체(5)의 도포부(51)가 식모된 구 형상인 경우, 혹은 입체형상의 칩인 경우에는, 도포체(5)의 도포부(51)가 통과 가능한 개구 직경의 화장료 통과구멍(35)을 1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료 통과구멍(35)은 곡면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대략 구 형상의 본체의 측면이나 밑부분, 역원뿔 형상이나 역원뿔대 형상의 본체의 측면, 원기둥 형상의 본체의 측면 등의 곡면 상에 형성하면, 후술하는 메쉬(25)에 부착된 화장료의 긁어내기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둘레벽(34)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뚜껑체(4)의 나사부(421)가 나사결합 가능한 나사부(34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둘레벽(34)의 내주면에는, 용기체(1)의 목부(13)에 형성된 돌조부(132)가 끼워맞춤 가능한 환 형상의 홈부(342)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속마개(3)에는, 플랜지(33)의 상부면에 후술하는 뚜껑체(4)의 걸림돌기(411)에 걸림 가능한 걸림돌기(33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걸림돌기(331)는, 플랜지(33)의 대향하는 위치(도 3(b)에서는 오른쪽과 왼쪽)에 2개 형성되어, 뚜껑체(4)의 개폐 시에 뚜껑체(4)의 걸림돌기(411)와 서로 걸림 가능한 돌출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개폐 시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그 걸림이 해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331)와 걸림돌기(411)의 걸림은, 양자가 접촉하는 측면에 일정 이상의 압압이 가해져서 걸림돌기(411)가 걸림돌기(331)를 넘어가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그 때문에, 걸림돌기(411)가 걸림돌기(331)를 넘어가기 쉽도록, 걸림돌기(331)의 측면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체(32)의 외주면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환 형상의 O링(36)을 부착해도 된다. 이러한 O링은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속마개(3)가 내부 용기(2) 내에 있어서 회동될 때에 본체(22)의 내주면에 슬라이딩해서 적당한 회동저항을 일으킨다.
또한, 본체(32)의 상단부 부근의 외주면에는, 내부 용기(2)의 안내홈(232)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32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볼록부(321)는 플랜지(33)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신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내홈(232) 내에 수납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32)의 배면쪽에 1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뚜껑체(4)는, 속마개(3)의 개구(31)를 밀봉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이나 착탈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속마개(3)의 나사부(341)에 나사결합되고, 그 일부에 도포체(5)의 일부를 수납 가능한 공간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뚜껑체(4)는, 상부벽(41)의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늘어지는 둘레벽(42)의 내주면에 속마개(3)의 나사부(341)에 나사결합 가능하게 나사부(421)가 형성되고, 상부벽(41)으로부터 위쪽으로 세워설치하는 통 형상부(43) 내에, 후술하는 도포체(5)의 축부(52)를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뚜껑체(4)에는, 그 상부벽(41)의 이면에, 속마개(3)의 플랜지(33)의 걸림돌기(331)에 걸림 가능한 걸림돌기(41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411)는, 뚜껑체(4)의 개폐 시에 속마개(3)의 걸림돌기(331)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331)와 서로 걸림 가능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개폐 시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그 걸림이 해제되는 높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돌기(331)와 걸림돌기(411)의 걸림은, 양자가 접촉하는 측면에 일정 이상의 압압이 가해져서 걸림돌기(411)가 걸림돌기(331)를 넘어가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그 때문에, 걸림돌기(411)가 걸림돌기(331)를 넘어가기 쉽도록, 걸림돌기(411)의 측면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에 사용되는 도포체(5)는, 특히 그 종류나 형상 등에 한정은 없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부(51)가 축부(52)의 선단에 설치된 것이나, 도포부만으로 이루어진 퍼프 타입, 또한 도포부(51)로서 봉제 퍼프, 기모 퍼프, 스펀지, 브러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체(1)의 내측에는 내부 용기(2)가 장착되어 있다. 내부 용기(2)는 용기체(1)의 개구(11)로부터 삽입되고, 내부 용기(2)의 날밑부(233)가 용기체(1)의 목부(13)의 상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동시에, 볼록부(231)가 용기체(1)의 오목부(131)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내부 용기(2)는 용기체(1)에 대한 회동이 규제된 상태로 부착된다.
내부 용기(2)의 내측에는 또한 속마개(3)가 장착되어 있다. 속마개(3)는 내부 용기(2)의 개구(21)로부터 삽입되어, 속마개(3)의 플랜지(33)가 내부 용기(2)의 날밑부(233)에 놓이는 동시에, 둘레벽(34)의 내주면의 홈부(342)에 용기체(1)의 돌조부(132)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속마개(3)는 용기체(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속마개(3)의 볼록부(321)는 내부 용기(2)의 안내홈(232)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러한 안내홈(232) 내에 있어서 볼록부(321)가 이동 가능한 범위에서, 속마개(3)는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속마개(3)의 회동 가능한 각도는 볼록부(321)의 이동 가능한 범위에 의해 규제되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속마개(3)의 화장료 통과구멍(35)이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180도의 범위로 제한되어 있다.
뚜껑체(4)는, 나사부(421)가 속마개(3)의 나사부(341)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속마개(3)의 개구(31)를 밀봉한다. 또, 도 4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속마개(3) 내에는 또한 도포체(5)가 수납된다. 속마개(3) 내에 도포체(5)가 완전히 수납되도록 해도 되지만, 뚜껑체(4)의 일부에 도포체(5)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뚜껑체(4)의 상부에 통 형상부(43)를 설치하고, 이러한 통 형상부(43) 내의 공간에 도포체(5)의 일부인 축부(52)를 수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축부(52)를 뚜껑체(4) 내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축부(52)에 화장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화장료 통과구멍(24)의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에 이르는 일련의 상태에 있어서, 볼록부(321)와, 화장료 통과구멍(24)과 화장료 통과구멍(35)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 도면에서는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메쉬(25)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속마개(3)의 볼록부(321)가 안내홈(232)의 가장 뒤쪽(내부 용기(2)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 이상, 속마개(3)를 내부 용기(2)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 속마개(3)의 화장료 통과구멍(35)과 내부 용기(2)의 화장료 통과구멍(24)의 상대적인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도 5a). 이러한 상태에서 화장료 통과구멍(24)과 화장료 통과구멍(35)은 연통하여,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해서는, 속마개(3)를 내부 용기(2)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회동 도중의 상태를 도 5b에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화장료 통과구멍(24)과 화장료 통과구멍(35)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고, 화장료 통과구멍(24)의 좌측의 일부만 연통해서 개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속마개(3)를 내부 용기(2)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시켜, 그 이상 회동하지 않는 위치까지 볼록부(321)를 이동시켜서 볼록부(321)가 안내홈(232)의 가장 앞쪽(내부 용기(2)의 정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도 5c). 이때, 속마개(3)의 화장료 통과구멍(35)은 내부 용기(2)의 화장료 통과구멍(24)에 대해서 본체(22)의 반대쪽에 위치하므로, 화장료 통과구멍(24)은 속마개(3)의 본체(32)에, 또한, 화장료 통과구멍(35)은 내부 용기(2)의 본체(22)에 의해 함께 폐쇄된 상태가 되어, 화장료가 통과 불가능한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속마개(3)의 회동에 따라서, 메쉬(25)에 부착되어 있는 화장료를 긁어 떨어뜨리는 기구에 대해서,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화장료 통과구멍(24, 35)이 곡면 상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화장료 통과구멍(35)의 개구 가장자리부(351)는 속마개(3)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서, 본체(32)의 곡면의 곡률과 같은 궤도(X)에서 이동한다. 한편, 화장료 통과구멍(24)에 부착된 메쉬(25)는, 특히 신축성을 갖는 소재의 경우, 그 장력에 의해 개구 가장자리부(351)의 궤도(X)보다도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속마개(3)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서, 궤도(X)에서 이동하는 개구 가장자리부(35)가 메쉬(25)를 안쪽으로부터 문지르도록 이동하므로, 메쉬(25)에 부착되어 있는 화장료를 긁어 떨어뜨리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뚜껑체(4)의 개폐에 연동해서 속마개(3)가 회동하는 기구는 아래와 같다. 우선, 뚜껑체(4)를 속마개(3)의 나사부(341)에 시계 방향으로 나사결합해서 폐쇄되어 있고, 나사결합이 거의 완료되기 직전이 되면, 뚜껑체(4)의 상부벽(41)의 이면과 속마개(3)의 플랜지(33)가 접근한다. 그래서, 이것에 의해 상부벽(41)의 이면의 걸림돌기(411)가 2개 있는 속마개(3)의 걸림돌기(331) 중 어느 한쪽에 접촉한다. 이때, 걸림돌기(411)는 진행 방향쪽에서부터 걸림돌기(331)에 접촉하므로, 그 상태에서 더욱 뚜껑체(4)를 돌리면 걸림돌기(411)가 걸림돌기(331)를 뚜껑체(4)의 회전 방향으로 눌러서, 속마개(3)도 동일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의 걸림돌기(411)의 걸림돌기(331)에 대한 위치 관계를 도 6(a)의 실선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속마개(3)의 회동범위는 안내홈(232)의 규제에 의한 볼록부(321)의 이동 범위로 제한되므로, 안내홈(232)의 단부까지 볼록부(321)가 도달하면, 속마개(3)는 그 이상 회동하는 일 없이 정지된다. 그 상태에서, 뚜껑체(4)에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걸림돌기(411)와 걸림돌기(331)의 접촉면에 압압이 걸려서 양자의 걸림이 해제되어, 걸림돌기(411)는 걸림돌기(331)를 넘어가서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때의 걸림돌기(411)의 걸림돌기(331)에 대한 위치 관계를 도 6(a)의 파선으로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더 이상, 뚜껑체(4)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도, 속마개(3)는 연동해서 회동하는 일 없이, 그대로 뚜껑체(4)의 장착이 완료된다.
반대로, 뚜껑체(4)를 속마개(3)의 나사부(341)에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열어갈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체(4)를 닫았을 때에 걸림돌기(331)를 넘어가서 반대쪽으로 이동하고 있던 걸림돌기(411)가 이번에는 반시계방향의 진행 방향쪽에서부터 걸림돌기(331)에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뚜껑체(4)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411)가 걸림돌기(331)를 뚜껑체(4)의 회전 방향으로 눌러서, 속마개(3)도 회동한다. 이때의 걸림돌기(411)의 걸림돌기(331)에 대한 위치 관계를 도 6(b)의 실선으로 나타낸다.
반시계 방향으로 속마개(3)가 회동할 경우에도, 속마개(3)의 회동범위는 안내홈(232)의 규제에 의한 볼록부(321)의 이동 범위로 제한되므로, 안내홈(232)의 단부까지 볼록부(321)가 이동하면, 속마개(3)는 그 이상 회동하는 일 없이 정지한다. 그 상태에서, 뚜껑체(4)에 더욱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걸림돌기(411)와 걸림돌기(331)의 접촉면에 압압이 걸려서 양자의 걸림이 해제되고, 걸림돌기(411)는 걸림돌기(331)를 넘어가서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때의 걸림돌기(411)의 걸림돌기(331)에 대한 위치 관계를 도 6(b)의 파선으로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더 이상, 뚜껑체(4)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도, 속마개(3)는 연동해서 회동하는 일 없이, 그대로 뚜껑체(4)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진행시킴으로써, 뚜껑체(4)의 제거가 완료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뚜껑체(4)의 회전에 연동해서 속마개(3)가 회동하도록 설치하고 있지만, 반드시 뚜껑체(4)와 속마개(3)는 연동하지 않아도 되고, 뚜껑체(4)의 개폐와는 독립적으로 속마개(3)가 회동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뚜껑체(4)를 우선 제거하고, 용기체(1)를 한쪽 손으로 유지하면서 속마개(3)의 일부, 예를 들어, 둘레벽(34)을 손가락으로 유지해서 속마개(3)를 회동시켜도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뚜껑체(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속마개(3)의 나사부(341)와의 나사결합을 해제한다. 이때, 걸림돌기(411)가 걸림돌기(331)를 뚜껑체(4)의 회전과 동일 방향으로 누르므로, 안내홈(232)에 의한 규제의 허용 범위 내에서 속마개(3)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안내홈(232)의 단부까지 볼록부(321)가 이동하면, 속마개(3)는 그 이상 회동하는 일 없이 정지한다.
이때, 볼록부(321)는 안내홈(232)의 가장 뒤쪽(내부 용기(2)의 배면측)에 위치되므로, 속마개(3)의 화장료 통과구멍(35)과 내부 용기(2)의 화장료 통과구멍(24)의 상대적인 위치가 일치되어 연통하고,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도 5a). 한편, 뚜껑체(4)는 걸림돌기(411)의 걸림도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속마개(3)로부터 제거된다.
뚜껑체(4)를 제거하고 나서,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도포체(5)를 꺼내서 메이크업을 행한다. 화장료 통과구멍(24)과 화장료 통과구멍(35)은 개방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통과 구멍으로부터 화장료를 속마개(3) 내에 넣고, 도포체(5)의 도포부(51)에 부착시킨다. 또, 보다 도포부(51)에 화장료를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포부(51)를 화장료 통과구멍(24)과 화장료 통과구멍(35)의 개구 내에 밀어넣듯이 하면, 메쉬(25)가 신장되어, 도포부(51))의 일부가 화장료 통과구멍(24)으로부터 용기체(1)의 내부로 압출되는 형태가 되어, 화장료를 더욱 부착시키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통과구멍(24)과 화장료 통과구멍(35)은, 내부 용기(2)와 속마개(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부(51)에의 부착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도포부(51)의 전체에 빈틈 없이 화장료를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축부(52)를 회전시켜서 도포부(51)를 속마개(3)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면 화장료를 얼룩없이 부착시킬 수 있다.
메이크업이 종료 후, 도포체(5)를 속마개(3) 내에 수납하고, 뚜껑체(4)를 속마개(3)의 나사부(341)에 시계방향으로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뚜껑체(4)의 나사결합이 완료에 근접하면, 걸림돌기(411)가 걸림돌기(331)에 걸려서 뚜껑체(4)의 회전과 동일 방향으로 압압하므로, 안내홈(232)에 의해 규제의 허용 범위 내에서 속마개(3)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볼록부(321)가 안내홈(232) 내에 있어서 이동함에 따라서, 속마개(3)의 화장료 통과구멍(35)과 내부 용기(2)의 화장료 통과구멍(24)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기 시작한다(도 5b). 이때, 속마개(3)의 화장료 통과구멍(35)의 개구 가장자리부(351)가 내부 용기(2)의 메쉬(25)를 내측으로부터 문지르도록 이동하므로, 속마개(3)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메쉬(25)에 부착되어 있는 화장료를 긁어 떨어뜨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안내홈(232)의 단부까지 볼록부(321)가 이동하면, 속마개(3)는 그 이상 회동하는 일 없이 정지한다. 볼록부(321)는, 안내홈(232)의 가장 앞쪽(내부 용기(2)의 정면쪽)에 위치하고, 화장료 통과구멍(24)은 속마개(3)의 본체(32)에, 또한 화장료 통과구멍(35)은 내부 용기(2)의 본체(22)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되고, 이것에 의해, 화장료가 통과 불가능한 폐쇄 상태가 된다(도 5c). 그리고, 뚜껑체(4)의 장착도 완료된다.
도 8(a) 내지 (c) 및 도 9(a) 내지 (c)는,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이다. 도 8의 실시형태는, 내부 용기(2)의 본체(22)와 속마개(3)의 본체(32) 부분이 모두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2, 32)의 측면에는 화장료 통과구멍(24, 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a) 및 (b)에서는,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메쉬(25)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도 9의 실시형태는, 내부 용기(2)의 본체(22)와 속마개(3)의 본체(32) 부분이 모두 역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2, 32)의 하나의 측면과 해당 측면의 반대의 측면에는, 각각 밑면에 걸쳐서 1쌍의 화장료 통과 구멍(24, 35)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장료 통과구멍(24) 내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돌출하는 심재(core material)(26)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심재(26)는, 내부 용기(2)의 밑면(27)과 함께 밑면에서 보아서 완전한 원 형상의 윤곽을 형성하므로, 심재(26)에 씌우는 형태로 메쉬(25)를 화장료 통과구멍(24)에 부착함으로써, 본체(22)와 메쉬(25)는 역원뿔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9(a) 및 (b)에서는,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메쉬(25)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9(c)에서는 브러시 타입의 도포체(5)를 속마개(3) 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체(5)는 속마개(3) 내에 완전히 수납되므로, 뚜껑체(4)는 일반적인 개구를 밀봉하는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체(1), 내부 용기(2), 속마개(3)에 사용되는 재질은, 용기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이 바람직하고, 내부 용기 속마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용기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부 용기와 속마개는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기체(1)는 내부에 수납한 화장료를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에 수납되는 화장료로서는, 크림, 유화액, 미용용 에센스, 아이크림, 립 크림, 리무버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트리트먼트, 헤어 스타일링료, 헤어 염료, 헤어 크림 등의 두발 화장료, 분, 파운데이션, 베이스 크림, 컨실러, 볼연지, 아이 컬러, 립 글로스, 립 컬러, 립 오버코트, 탑코트, 마스카라, 아이브로, 아이라이너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이어도 된다. 또한, 제형으로서는, 점성 액상 화장료, 분말 고체형태 화장료, 유성 고체형태 화장료, 분말 형태 화장료 등을 들 수 있고, 유화형 또는 비유화형이어도 된다. 이 중에서도, 분말 형태 화장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1: 용기체 2: 내부 용기
3: 속마개 4: 뚜껑체
5: 도포체 11: 개구
12: 본체 13: 목부
21: 개구 22: 본체
23: 목부 24: 화장료 통과구멍
25: 메쉬 26: 심재
27: 밑면 31: 개구
32: 본체 33: 플랜지
34: 둘레벽 35: 화장료 통과구멍
41: 상부벽 42: 둘레벽
43: 통 형상부 51: 도포부
52: 축부 131: 오목부
132: 돌조부 231: 볼록부
232: 안내홈 233: 날밑부
321: 볼록부 331: 걸림돌기
341: 나사부 342: 홈부
351: 개구 가장자리부 411: 걸림돌기
421: 나사부 X: 개구 가장자리부의 궤도

Claims (7)

  1. 화장료 용기로서,
    개구(11)를 구비한 용기체(container body)(1)와, 상기 용기체(1)의 내측에 있어서 용기체(1)와의 사이에 화장료를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내부 용기(inner container)(2)와, 상기 내부 용기(2)의 내측에 있어서 내부 용기(2)와 이중 구조가 되는 동시에 내부 용기(2)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부에는 도포체(applicator)(5)를 수납 가능한 속마개(inner plug)(3)와, 상기 속마개(3)의 개구(31)를 밀봉 가능한 뚜껑체(lid body)(4)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용기(2) 및 상기 속마개(3)의 본체(22, 32)의 일부에는 각각 화장료 통과구멍(24, 35)이 형성되고, 상기 속마개(3)의 회동에 따라 상기 화장료 통과구멍(24, 35)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화장료 통과구멍(24)의 개폐가 행해지는, 화장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2)의 화장료 통과구멍(24)에는 신축성을 갖는 메쉬(25)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통과구멍(24, 35)이 곡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2)의 내주면에는 안내홈(232)이 형성되고, 상기 속마개(3)의 본체의 외주면에는 해당 안내홈(232)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321)가 설치되되, 해당 볼록부(321)는 안내홈(232)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속마개(3)의 회동각도는 해당 볼록부(321)의 이동 가능한 범위에 의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3)는, 그 본체(32)의 상단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33)의 상부면에 걸림돌기(331)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뚜껑체(4)는, 그 상부벽(41)의 이면에 상기 걸림돌기(331)에 걸림 가능한 걸림돌기(411)를 구비하고, 이들 걸림돌기(331, 411)는 뚜껑체(4)의 개폐 시에 서로 걸림되는 동시에, 개폐 시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그 걸림이 해제되는 높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5)는 축부(52)와 해당 축부(52)의 일단부에 설치된 도포부(51)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마개(3)는 해당 도포부(51)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4)는, 상기 속마개(3)의 플랜지(33)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늘어지는 둘레벽(34)의 외주면에 설치된 나사부(341)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부(421)를 구비하고, 그 상부벽(41)으로부터 위쪽으로 통 형상부(43)가 세워설치되고, 상기 통 형상부(43) 내에는 도포체(5)의 축부(52)를 수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KR1020207008317A 2017-08-30 2018-08-14 화장료 용기 KR102482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5465 2017-08-30
JPJP-P-2017-165465 2017-08-30
PCT/JP2018/030298 WO2019044495A1 (ja) 2017-08-30 2018-08-14 化粧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863A true KR20200044863A (ko) 2020-04-29
KR102482404B1 KR102482404B1 (ko) 2022-12-29

Family

ID=6552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317A KR102482404B1 (ko) 2017-08-30 2018-08-14 화장료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60832A1 (ko)
JP (1) JP7166260B2 (ko)
KR (1) KR102482404B1 (ko)
CN (1) CN111031841B (ko)
TW (1) TW201919511A (ko)
WO (1) WO2019044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3621B2 (ja) * 2020-04-30 2024-01-16 株式会社コーセー 容器
US20220378171A1 (en) * 2021-05-27 2022-12-01 L'oreal Applicator having three-dimensional surface contact with reservo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119A (ja) 1998-04-09 1999-10-26 Kose Corp 粉末化粧料容器
JP2001275742A (ja) * 2000-03-29 2001-10-09 Kose Corp 非圧縮型粉末化粧料用容器
JP2013067399A (ja) * 2011-09-21 2013-04-18 Nakai Shiki Kogyo Kk 振出容器
JP2017071401A (ja) * 2015-10-05 2017-04-13 三菱鉛筆株式会社 粉体塗布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3851B2 (ja) * 1999-10-22 2010-04-21 株式会社アルビオン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US6926135B1 (en) * 2003-02-10 2005-08-09 Diversified Products, Inc. Eyeglasses case with clip-on glasses compartment
KR200438483Y1 (ko) * 2006-12-13 2008-02-2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고형 파우더 케이스
KR101013327B1 (ko) * 2010-10-27 2011-02-09 정규선 화장품 용기
TWM406973U (en) * 2010-12-29 2011-07-11 jia-sheng Zhang Improved automatic opening-closing structure of cosmetic powder box
KR101559078B1 (ko) * 2013-10-10 2015-10-08 (주)연우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119A (ja) 1998-04-09 1999-10-26 Kose Corp 粉末化粧料容器
JP2001275742A (ja) * 2000-03-29 2001-10-09 Kose Corp 非圧縮型粉末化粧料用容器
JP2013067399A (ja) * 2011-09-21 2013-04-18 Nakai Shiki Kogyo Kk 振出容器
JP2017071401A (ja) * 2015-10-05 2017-04-13 三菱鉛筆株式会社 粉体塗布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1841A (zh) 2020-04-17
TW201919511A (zh) 2019-06-01
WO2019044495A1 (ja) 2019-03-07
JP7166260B2 (ja) 2022-11-07
US20200260832A1 (en) 2020-08-20
KR102482404B1 (ko) 2022-12-29
CN111031841B (zh) 2023-09-05
JPWO2019044495A1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8362B2 (ja) 2つの製品のための収容取出デバイス
EP0941205B1 (en) Simplified unidirectional twist-up dispensing device with incremental dosing
CN103241461B (zh) 具有可旋扭的盖的化妆品盒
US20060207627A1 (en) Dispenser with applicator
US2003008674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20060056905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product equipped with a detachable applicator element
JP2002028026A (ja) 収容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US8517621B2 (en) Cosmetic cap sealing system
KR102482404B1 (ko) 화장료 용기
JP2004049916A (ja) 物質、特に化粧品の包装兼小出し器具
KR20140051254A (ko) 머리카락에 모발관리 제품을 도포하기 위한 기구
US9585457B2 (en) Functional dynamic cosmetic package
KR200479285Y1 (ko) 회전 탈부착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11779096B2 (en) Cosmetic package
KR200477997Y1 (ko) 회전 가능한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2021106672A (ja) 塗布具付容器
CN212754676U (zh) 一种化妆品包装物
JP6379395B2 (ja) 化粧料容器
US11191337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product, notably a liquid cosmetic product
EP3547870B1 (en) Kit for producing an assembly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product, notably a cosmetic product
US20190320855A1 (en) Applicator
KR20170061871A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20210156099A (ko) 화장품 용기
KR20200077687A (ko) 이종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N112568580A (zh) 涂敷部能够向多个方向弯曲的眼线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