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052A - 작업기계 - Google Patents

작업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052A
KR20170085052A KR1020177013668A KR20177013668A KR20170085052A KR 20170085052 A KR20170085052 A KR 20170085052A KR 1020177013668 A KR1020177013668 A KR 1020177013668A KR 20177013668 A KR20177013668 A KR 20177013668A KR 20170085052 A KR20170085052 A KR 20170085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counterweight
disposed
engine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643B1 (ko
Inventor
요우스케 타나카
켄이치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1)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선회체(3)와, 암(5)과, 일단을 상부선회체(3)에 접속하고, 타단을 암(5)에 접속한 붐(4)과, 선회프레임(3A)의 좌전방에 탑재된 운전석(10)과, 운전석(10)의 후방에 배치된 엔진(11)과, 엔진(11)의 후방에 배치된 연료탱크(20)와, 연료탱크(20)의 후방에 배치된 카운터웨이트(30)를 갖는다. 연료탱크(20)는, 카운터웨이트(30)에 형성된 오목부(31)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작업기계{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 및 연료탱크가 탑재된 작업기계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계는, 상부선회체 상에 운전자가 승차하는 운전석,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 붐 및 암 등의 중량밸런스를 도모하는 카운터웨이트 등을 탑재하고 있다. 연료탱크는 상부선회체의 측방에 배치되고, 카운터웨이트는 상부선회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04651호
작업기계는, 연료의 급유시설로부터 떨어진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연료탱크를 대형화함으로써, 급유시설까지의 이동횟수를 줄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종래 연료탱크가 배치되어 있던 상부선회체의 측방위치에서 연료탱크의 대형화를 도모하고자 한 경우, 연료탱크를 상방을 향하여 확대하거나, 전방을 향하여 확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상부선회체의 연료탱크의 배치측과 반대측의 측방에는 운전석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탱크가 상방 혹은 전방을 향하여 확대되면, 운전자의 시야가 나빠져, 작업성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야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연료탱크의 대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작업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작업기계는,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선회체와, 암과, 일단을 상기 상부선회체에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암에 접속한 붐과, 프레임의 좌전방에 탑재된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된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후방에 배치된 카운터웨이트를 갖고, 상기 연료탱크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상술한 수단에 의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연료탱크의 대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작업기계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구동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상부선회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쇼벨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상부선회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차체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카운터웨이트에 연료탱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카운터웨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연료탱크의 연료탱크용 마운트에 대한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연료탱크의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정적이 아닌 예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작업기계의 일례인 건설기계로서의 쇼벨(굴삭기)의 측면도이다. 쇼벨의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개재하여 상부선회체(3)가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된다.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는 엔드어태치먼트로서의 버킷(6)이 장착된다. 다만, 엔드어태치먼트는 버킷(6)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그래플, 하비스터 등을 장착해도 된다.
붐(4), 암(5), 및 버킷(6)은, 어태치먼트의 일례인 굴삭어태치먼트를 구성하며,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구동된다. 또, 상부선회체(3)에는 운전석(10)이 마련되고 또한 엔진(11) 등의 동력원이 탑재된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계는 이중선, 고압유압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굵은 파선(破線), 전기구동·제어계는 가는 실선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쇼벨의 구동계는, 주로, 엔진(11), 레귤레이터(13),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17), 조작장치(26), 압력센서(29), 컨트롤러(18), 및 잔량센서(32)를 포함한다.
엔진(11)은, 쇼벨의 구동원이다. 엔진(11)에는, 연료탱크(20)로부터 연료가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내연기관으로서 디젤엔진을 이용하고 있다. 또, 엔진(11)의 출력축은,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의 입력축에 접속된다.
메인펌프(14)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펌프(14)는 사판(斜板)식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다.
레귤레이터(13)는, 메인펌프(14)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귤레이터(13)는, 메인펌프(14)의 토출압, 컨트롤러(18)로부터의 제어신호 등에 따라 메인펌프(14)의 사판경전각을 조절함으로써, 메인펌프(14)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럿펌프(15)는 고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는, 쇼벨에 있어서의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밸브(17)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A),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B), 및 선회용 유압모터(2A) 중, 1 또는 복수의 것에 대하여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A),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B), 및 선회용 유압모터(2A)를 집합적으로 “유압액추에이터”라고 칭한다.
조작장치(26)는, 조작자가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26)는,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 내에 있어서의 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장치(26)는,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공급한다.
파일럿포트의 각각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파일럿압)은,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장치(26)의 레버 또는 페달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이다.
압력센서(29)는, 조작장치(26)의 조작내용을 검출하기 위한 조작내용검출부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센서(29)는,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장치(26)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압력의 형태로 검출하고, 검출한 값을 컨트롤러(18)에 대하여 출력한다.
조작장치(26)의 조작내용은, 각종 조작레버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센서 등, 압력센서 이외의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압력센서(29)는, 좌측 주행레버, 우측 주행레버, 암조작레버, 선회조작레버, 붐조작레버, 버킷조작레버 등의 조작장치(26)의 각각에 장착된다.
잔량센서(32)는, 연료탱크(20) 내의 연료잔량을 검출한다. 잔량센서(32)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트식 센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잔량센서(32)에 접속된 케이블(32a)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판(25)에 마련된 삽통구멍에 삽통됨으로써 엔진실(27) 내의 유압펌프실(27B)로 인출된다. 그리고, 차폐벽(27C)에 마련된 삽통구멍에 삽통됨으로써 에어필터실(51)로 인출되어 운전실 내에 배치된 컨트롤러(18)에 접속된다.
컨트롤러(18)는, 쇼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8)는 CPU, RAM, ROM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된다. 또, 컨트롤러(18)는, 각종 기능요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으로부터 읽어내고 RAM에 로드하여, 각종 기능요소에 대응하는 처리를 CPU에 실행시킨다.
또, 컨트롤러(18)는, 압력센서(29)의 출력에 근거하여 조작장치(26)의 각각의 조작내용을 전기적으로 검출한다. 조작내용은, 예를 들면 레버조작의 유무, 레버조작방향, 레버조작량 등이다.
도 3a, 도 3b, 도 4, 도 5, 도 6은, 상부선회체(3)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화살표 X1로 나타내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화살표 X2로 나타내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방향을 우방향이라고 하고, 화살표 Y2로 나타내는 방향을 좌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상부선회체(3)는, 도 3a, 도 3b,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프레임(3A)을 갖고 있다. 이 선회프레임(3A)에는, 운전석(10), 엔진(11), 작동유탱크(19), 연료탱크(20), 구획판(25), 차폐벽(27C), 카운터웨이트(30), 공구상자(50) 등이 탑재되어 있다.
운전석(10)은 선회프레임(3A)의 좌전방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11)은, 운전석(10)의 후방의 엔진실(27)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엔진(11)의 우방의 유압펌프실(27B) 내에는, 메인펌프(14)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펌프(14)는 엔진(11)에 의하여 구동되며,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한다.
연료탱크(20)는, 엔진(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20)를 대형화하고 있으며, 수일간에 걸쳐 무급유로 쇼벨을 가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연료탱크는 운전석(10)의 우방위치에 배치되지만, 이 배치에 있어서 연료탱크를 대형화하면, 연료탱크를 상방 혹은 전방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어, 운전석(10)으로부터의 시야가 나빠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연료탱크(20)를 엔진(11)의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연료탱크(20)를 대형화해도 운전석(10)으로부터의 시야가 나빠지는 경우는 없다.
구획판(25)은, 엔진(11)과 연료탱크(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획판(25)은, 선회프레임(3A)에 고정된 프레임체에 설치되어 있다. 구획판(25)에 의하여, 엔진(11)이 배치된 엔진실(27)과, 연료탱크(20)가 배치된 연료탱크실(28)을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엔진실(27)에 있어서 엔진(11)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구획판(25)으로 차단되어, 엔진(11) 등의 열이 연료탱크(2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엔진(11)과 연료탱크(20)의 사이에는, 연료탱크(20)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11)에 공급하는 연료호스로서의 공급배관(21)과, 엔진(11)에서 남은 연료를 연료탱크(20)로 되돌리는 연료호스로서의 복귀배관(23)이 마련되어 있다. 공급배관(21)에는, 연료를 연료탱크(20)로부터 엔진(11)을 향하여 압송하기 위한 연료펌프(22)가 마련되어 있다. 복귀배관(23)에는 라디에이터실(27A) 내에 마련된 라디에이터(24)가 접속되어 있으며, 엔진(11)에서 온도상승된 연료를 라디에이터(24)로 냉각한 후, 연료탱크(20)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엔진(11)과 연료탱크(20)의 사이에는 구획판(25)이 마련되어 있는데, 도 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공급배관(21) 및 복귀배관(23)은, 구획판(25)을 관통하고 있다. 즉, 연료호스로서의 공급배관(21)은, 구획판(25)을 관통하여 유압펌프실(27B)로 배선되고, 유압펌프실(27B) 내에 배치된 연료펌프(2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연료호스로서의 복귀배관(23)은, 구획판(25)을 관통하여 연료탱크실(28)로 배선되고, 연료탱크실(28) 내에 배치된 연료탱크(20)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구획판(25)을 마련해도, 엔진(11)과 연료탱크(20)의 사이에서 연료의 공급 및 회수를 행할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30)는, 연료탱크(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조(鑄造)에 의하여 카운터웨이트(30)를 형성하고 있다.
카운터웨이트(30)는,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부벽부(30u), 우측 벽부(30r), 좌측 벽부(30l), 우측 바닥벽부(30br), 중간 바닥벽부(30bc), 좌측 바닥벽부(30bl), 및 후부벽부(30ba)를 갖고 있다.
상부벽부(30u), 우측 벽부(30r), 좌측 벽부(30l), 우측 바닥벽부(30br), 중간 바닥벽부(30bc), 및 좌측 바닥벽부(30bl)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체를 구성하며, 후부벽부(30ba)는 이 프레임체의 한쪽의 개구를 막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30)는, 내부에 오목부(31)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료탱크(20)는, 이 오목부(31) 내에 장착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30)가 상부선회체(3)에 장착되면, 연료탱크(20)는 카운터웨이트(30)에 의하여 덮인다.
여기에서, 연료탱크(20)의 전면은, 카운터웨이트(30)의 전단부와 동일면이 되거나, 혹은 카운터웨이트(30)의 전단부보다 후방이 되도록 배치된다.
연료탱크(20)는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연료가 충전됨으로써 그 중량은 더 무거워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이 무거운 연료탱크(20)를 카운터웨이트(30)의 내부에 장착함으로써, 카운터웨이트(30)의 일부로서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카운터웨이트(30)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부선회체(3)의 선회후단반경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연료탱크(20)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30)의 바닥부는, 우측 바닥벽부(30br)와, 중간 바닥벽부(30bc)와, 좌측 바닥벽부(30bl)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바닥벽부(30br)와 중간 바닥벽부(30bc)의 사이에는, 우측 절결(33r)이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 바닥벽부(30bl)와 중간 바닥벽부(30bc)의 사이에는, 좌측 절결(33l)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우측 절결(33r) 및 좌측 절결(33l)은, 카운터웨이트(30)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31)와 카운터웨이트(30)의 외방을 연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절결(33r) 및 좌측 절결(33l)은, 카운터웨이트(30)의 내측(엔진실(27)과 대향하는 측)의 단면으로부터 후방(화살표 X2방향)을 향하여 후부벽부(30ba)의 앞까지 뻗는 절결구조로 했지만, 후부벽부(30ba)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엔진(11), 연료탱크(20), 및 카운터웨이트(30)는, 선회프레임(3A)의 일부를 구성하는 엔진프레임(34)에 탑재된다.
엔진프레임(34)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35)와, 빔부(36A, 36B)를 갖고 있다. 빔부(36A, 36B)는, 선회프레임(3A) 상에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빔부(36A)와 빔부(36B)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빔부(36A, 36B)의 전방의 단부에는, 붐풋핀(4a)을 개재하여 붐(4)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빔부(36A, 36B)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4개의 엔진용 마운트(37)가 마련되어 있다. 엔진(11)은, 4개의 엔진용 마운트(37) 상에 탑재된다.
각 빔부(36A, 36B)의 후방의 단부에는, 폭이 넓어진 선단부(38A, 38B)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38A, 38B)는, 연료탱크(20)가 탑재되는 연료탱크용 마운트(39A, 39B)와, 카운터웨이트(30)가 탑재되는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를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프레임(34)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연료탱크용 마운트(39A)는,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의 형성위치보다 좌방측(화살표 Y2측)에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엔진프레임(34)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연료탱크용 마운트(39B)는, 선단부(38B)에 있어서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B)의 형성위치보다 우방측(화살표 Y1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단부(38A, 38B)는, 연료탱크용 마운트(39A, 39B)와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를 좌우방향(차폭방향)으로 이간시키고 또한 좌우방향(차폭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4 및 도 6을 이용하여, 연료탱크(20) 및 카운터웨이트(30)의 엔진프레임(34)에 대한 탑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엔진프레임(34)에 탑재된 연료탱크(20) 및 카운터웨이트(30)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는, 연료탱크(20) 및 카운터웨이트(30)의 하부(바닥부)의 형상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선단부(38A, 38B)의 연료탱크용 마운트(39A, 39B)에 연료탱크(20)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연료탱크(20)는, 하부에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42r) 및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42l)을 갖고 있다. 이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42r) 및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42l)은, 체결부재로서의 볼트(43)를 이용하여 선단부(38A, 38B)에 고정된다.
이로써 연료탱크(20)는,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42r) 및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42l)을 통하여 연료탱크용 마운트(39A, 39B)에 고정된다. 이때, 볼트(43)는, 선단부(38A, 38B)(빔부(36A, 36B))에 형성된 삽통구멍(45A, 45B)에 하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42r) 및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42l)을 연료탱크용 마운트(39A, 39B)에 고정한다.
또, 연료탱크(20)의 하부에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42r) 및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42l)을 마련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20)의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는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42r) 및 선단부(38B)와,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42l) 및 선단부(38A)에 의하여, 우측 공간부(20r), 중앙공간부(20c), 및 좌측 공간부(20l)의 3개의 공간부로 구획형성된다.
엔진(11)과 연료탱크(20)의 사이에는 구획판(25)이 배치되어 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판(25)의 하부에는 공간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프레임(34)의 선단부(38A, 38B)는, 공간부(44)를 통하여 카운터웨이트(30)의 오목부(31) 내에 연장될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30)는, 상기와 같이 바닥부에 우측 절결(33r) 및 좌측 절결(33l)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절결(33r)과 좌측 절결(33l)은, 좌우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우측 절결(33r)의 형성위치는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42r)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좌측 절결(33l)의 형성위치는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42l)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 바닥벽부(30br)의 형성위치는 우측 공간부(20r)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중간 바닥벽부(30bc)의 형성위치는 중앙공간부(20c)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좌측 바닥벽부(30bl)의 형성위치는 좌측 공간부(20l)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30)를 엔진프레임(34)에 탑재할 때, 카운터웨이트(30)는 연료탱크(20)가 탑재된 엔진프레임(34)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여(화살표 X1방향을 향하여) 삽입된다.
카운터웨이트(30)가 엔진프레임(34)에 탑재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42r)은 우측 절결(33r) 내에 삽입되고,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42l)은 좌측 절결(33l) 내에 삽입된다. 또, 우측 바닥벽부(30br)는 우측 공간부(20r) 내에 삽입되고, 중간 바닥벽부(30bc)는 중앙공간부(20c) 내에 삽입되며, 좌측 바닥벽부(30bl)는 좌측 공간부(20l) 내에 삽입된다.
카운터웨이트(30)가 엔진프레임(34)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중간 바닥벽부(30bc)의 좌측(화살표 Y2측)의 소정 부분은 선단부(38A)의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상에 재치된다. 또, 중간 바닥벽부(30bc)의 우측(화살표 Y1측)의 소정 부분도 선단부(38B)의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B) 상에 재치된다.
중간 바닥벽부(30bc)는,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에 형성된 삽통구멍(46A, 46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30)를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에 고정하려면,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에 형성된 삽통구멍(46A, 46B)에 하측으로부터 체결부재로서의 볼트를 삽입하여, 중간 바닥벽부(30bc)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고정한다. 이로써 카운터웨이트(30)는,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운터웨이트(30)를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에 고정하는 볼트는, 선단부(38A, 38B)(빔부(36A, 36B))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 상기와 같이, 연료탱크(20)를 연료탱크용 마운트(39A, 39B)에 고정하는 볼트(43)도, 선단부(38A, 38B)(빔부(36A, 36B))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20) 및 카운터웨이트(30)의 외부로부터 고정용 볼트의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료탱크(20) 및 카운터웨이트(30)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20)의 메인터넌스 등에 의하여 카운터웨이트(30)를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로부터 분리했을 때, 연료탱크(20)는 연료탱크용 마운트(39A, 39B)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단부(38A, 38B)(빔부(36A, 36B))에 대하여, 연료탱크(20)와 카운터웨이트(30)를 별개로 탑재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연료탱크(20)와는 별도로 카운터웨이트(30)의 착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조립 시에 있어서는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메인터넌스 등에 의하여 카운터웨이트(30)를 분리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카운터웨이트(30)의 분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에 형성된 삽통구멍(46A, 46B)은, 선단부(38A, 38B)에 있어서 빔부(36A, 36B)의 폭(t)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빔부(36A, 36B)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중심선(48A, 48B)(도 4의 일점쇄선)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삽통구멍(46A, 46B)은, 빔부(36A, 36B)의 폭(t) 내에 배치된다면, 중심선(48A, 48B) 위가 아니어도 된다. 또, 붐(4)은, 그 길이방향으로 뻗는 중심선(4x)이 빔부(36A, 36B)의 중심선(48A, 48B)에 평행하게 뻗도록 붐풋핀(4a)을 개재하여 빔부(36A, 36B)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탱크(20)보다 무거운 카운터웨이트(30)가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에 탑재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하중 및 모멘트는 빔부(36A, 36B)의 강성이 강한 개소에서 받게 된다. 마찬가지로, 굴삭어태치먼트가 발생시키는 하중 및 모멘트도 빔부(36A, 36B)의 강성이 강한 개소에서 받게 된다. 따라서, 중량물인 카운터웨이트(30) 및 굴삭어태치먼트를 엔진프레임(34)에 의하여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연료탱크용 마운트(39A, 39B)는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40A, 40B)에 대하여 외측에 배치된 구성이지만, 연료탱크(20)는 카운터웨이트(30)보다 가볍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원은, 2014년 11월 19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4-23487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임업작업, 해체작업, 토목작업 등에 이용되는 작업기계에 널리 적용이 가능하다.
1: 하부주행체
1A: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
1B: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
2: 선회기구
2A: 선회용 유압모터
3: 상부선회체
3A: 선회프레임
4: 붐
4a: 붐풋핀
5: 암
6: 버킷
7: 붐실린더
8: 암실린더
9: 버킷실린더
10: 운전석
11: 엔진
13: 레귤레이터
14: 메인펌프
15: 파일럿펌프
17: 컨트롤밸브
18: 컨트롤러
19: 작동유탱크
20: 연료탱크
21: 공급배관
22: 연료펌프
23: 복귀배관
24: 라디에이터
25: 구획판
26: 조작장치
27: 엔진실
27A: 라디에이터실
27B: 유압펌프실
27C: 차폐벽
28: 연료탱크실
29: 압력센서
30: 카운터웨이트
30u: 상부벽부
30r: 우측 벽부
30l: 좌측 벽부
30br: 우측 바닥벽부
30bc: 중간 바닥벽부
30bl: 좌측 바닥벽부
31: 오목부
32: 잔량센서
32a: 케이블
33r: 우측 절결
33l: 좌측 절결
34: 엔진프레임
35: 베이스
36A: 빔부
36B: 빔부
37: 엔진용 마운트
38A: 선단부
38B: 선단부
39A: 연료탱크용 마운트
39B: 연료탱크용 마운트
40A: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
40B: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
42r: 탱크고정용 우측 브래킷
42l: 탱크고정용 좌측 브래킷
43: 볼트
44: 공간부
44r: 우측 공간부
44c: 중공간부
44l: 좌측 공간부
50: 공구상자
51: 에어필터실

Claims (10)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선회체와,
    암과,
    일단을 상기 상부선회체에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암에 접속한 붐과,
    프레임의 좌전방에 탑재된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된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후방에 배치된 카운터웨이트를 갖고,
    상기 연료탱크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작업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배치된 공간부와, 상기 연료탱크가 배치된 공간부의 사이에 구획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탑재되는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와 별개로 상기 연료탱크가 탑재되는 연료탱크용 마운트를 갖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와 상기 연료탱크용 마운트는, 각각 별개로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는, 상기 프레임의 빔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에 형성된 삽통구멍은 상기 빔부의 폭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빔부의 중심선과 상기 붐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용 마운트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의 외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용 마운트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마운트는, 차폭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하부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호스는, 상기 구획을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호스는,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유압펌프실로 배선되고, 상기 유압펌프실 내에 배치된 연료 펌프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계.
KR1020177013668A 2014-11-19 2015-11-16 작업기계 KR102426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4877 2014-11-19
JP2014234877 2014-11-19
PCT/JP2015/082099 WO2016080340A1 (ja) 2014-11-19 2015-11-16 作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052A true KR20170085052A (ko) 2017-07-21
KR102426643B1 KR102426643B1 (ko) 2022-07-27

Family

ID=5601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668A KR102426643B1 (ko) 2014-11-19 2015-11-16 작업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74480B2 (ko)
JP (1) JP6692752B2 (ko)
KR (1) KR102426643B1 (ko)
CN (1) CN107109821A (ko)
WO (1) WO2016080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2752B2 (ja) * 2014-11-19 2020-05-13 住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6497737B2 (ja) * 2015-06-18 2019-04-1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支持構造
WO2024048151A1 (ja) * 2022-08-30 2024-03-07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電動式建設機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205A (ja) * 2000-09-12 2002-03-27 Kubota Corp オイルゲージ装置
JP2003268807A (ja) * 2002-03-12 2003-09-2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旋回型作業機械
JP2004204651A (ja) 2002-12-26 2004-07-2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
JP2006057291A (ja) * 2004-08-18 2006-03-0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WO2006080495A1 (ja) * 2005-01-31 2006-08-03 Komatsu Ltd. 作業車両
JP2008007099A (ja) * 2006-06-28 2008-01-1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建設又は森林装備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追加燃料タンク
JP2009144511A (ja) * 2009-03-30 2009-07-02 Caterpillar Japan Ltd 建設機械の騒音低減構造
JP2009179960A (ja) * 2008-01-29 2009-08-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8742B2 (ja) 2004-12-17 2010-0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ホイールローダ
CN101115884A (zh) * 2005-01-31 2008-01-3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JP2009001088A (ja) 2007-06-20 2009-01-08 Caterpillar Japan Ltd 建設機械における燃料タンク
JP4928474B2 (ja) 2008-01-08 2012-05-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EP2857599A1 (en) * 2012-06-04 2015-04-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KR20160023768A (ko) * 2013-07-08 2016-03-0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JP6692752B2 (ja) * 2014-11-19 2020-05-13 住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205A (ja) * 2000-09-12 2002-03-27 Kubota Corp オイルゲージ装置
JP2003268807A (ja) * 2002-03-12 2003-09-2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旋回型作業機械
JP2004204651A (ja) 2002-12-26 2004-07-2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
JP2006057291A (ja) * 2004-08-18 2006-03-0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WO2006080495A1 (ja) * 2005-01-31 2006-08-03 Komatsu Ltd. 作業車両
JP2008007099A (ja) * 2006-06-28 2008-01-1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建設又は森林装備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追加燃料タンク
JP2009179960A (ja) * 2008-01-29 2009-08-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9144511A (ja) * 2009-03-30 2009-07-02 Caterpillar Japan Ltd 建設機械の騒音低減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74480B2 (en) 2019-01-08
KR102426643B1 (ko) 2022-07-27
WO2016080340A1 (ja) 2016-05-26
JPWO2016080340A1 (ja) 2017-09-07
US20170247858A1 (en) 2017-08-31
JP6692752B2 (ja) 2020-05-13
CN107109821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418B2 (en) Construction machine
CN107859087B (zh) 油压挖掘机驱动***
EP1659225B1 (en) Swiveling work machine
KR102506637B1 (ko) 쇼벨
JP2015094159A (ja) 作業機
JP6692752B2 (ja) 作業機械
JP5028438B2 (ja) 建設機械
WO2017069218A1 (ja) 履帯式トラクタ
JP4247239B2 (ja) 掘削作業機
JP6234330B2 (ja) 作業機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JP2009263985A (ja) 車両のコンソール装置
JP2024011410A (ja) 建設機械
US20240018747A1 (en) Construction machine
JP6411974B2 (ja) 建設機械
JP5001325B2 (ja) 建設機械
JP2011256627A (ja) 建設機械
JP2005194754A (ja) 建設機械の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JP2005171722A (ja) 旋回作業機
JP2018188895A (ja) 作業機
JP2000234348A (ja) ブームを有する建設機械
JP2005163422A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