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942A -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942A
KR20170062942A KR1020150168759A KR20150168759A KR20170062942A KR 20170062942 A KR20170062942 A KR 20170062942A KR 1020150168759 A KR1020150168759 A KR 1020150168759A KR 20150168759 A KR20150168759 A KR 20150168759A KR 20170062942 A KR20170062942 A KR 2017006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main body
flow path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926B1 (ko
Inventor
류중찬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926B1/ko
Priority to US15/364,957 priority patent/US20170150868A1/en
Publication of KR2017006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926B1/ko
Priority to US17/019,525 priority patent/US1137587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20Other treatments, e.g. dry clea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6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initi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dish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건조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도어가 개방될 경우, 세척조 내부의 습증기가 전방으로 강제 유동하도록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본체의 전방으로 에어 제트를 토출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AIR BLOWER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식기 세척기 내부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예비세척, 본 세척, 헹굼, 건조단계를 거친다. 예비세척단계에서는 세제의 투입 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의 찌꺼기를 제거한다. 본 세척과정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세제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식기 세척기의 구성은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식기를 담으며 세척조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과, 바스켓 상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하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식기를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온수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한 후, 온수로 인하여 식기 등에 남아 있는 잠열이 식기 외부로 발산한다. 이 잠열에 의해 식기 표면에 남아 있는 물기가 증발하여 식기가 건조되거나, 별도의 히터를 이용하여 고온의 공기를 식기에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건조시켰다.
이러한 식기 건조에 있어 잠열을 이용할 경우에는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건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며, 건조상태가 좋지 않았다. 또한, 별도의 히터를 통해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소비가 많아 전기료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 세척기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기 세척기 내부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기 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세척조 내부의 습증기가 전방으로 강제 유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에어 제트를 토출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제트는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자연 배출되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세척조 외측과 상기 본체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향하도록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덕트; 및 상기 송풍덕트와 연통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해 외부 공기를 상기 송풍덕트로 제공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세척조 외측과 상기 본체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을 가지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연통홀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덕트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원심팬, 축류팬, 횡류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세척 행정 종류 후,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주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상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토출구를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송풍팬과 연통되며, 수평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메인 유로; 상기 메인 유로에 분기되어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일측에 위치한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에 분기되어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타측에 위치한 제2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2 유로보다 상기 제1 유로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메인 유로는 상기 제2 유로가 전방에 근접하도록 후방면이 하향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각 유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동하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벽은, 상기 메인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의 후방면과 나란하도록 위치하는 제1 유로 가이드벽; 및 상기 제1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로 가이드벽과 대체로 수직하도록 위치하는 제2 유로 가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벽은, 상기 메인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의 경계 또는 상기 제2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로 가이드벽과 대체로 나란하도록 위치하는 제3 유로 가이드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 행정 종류 후,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주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상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송풍덕트는 내부에 상기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가지며, 상기 유로는 상기 토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복수로 설치되고, 각 송풍장치는 상기 세척조 상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송풍장치는, 식기 세척기의 세척 행정을 종료하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개방시켜 식기 세척기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배출되는 습증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을 향하도록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덕트; 및 상기 송풍덕트에 연통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해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토출구를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송풍팬과 연통되며, 수평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메인 유로; 상기 메인 유로에 분기되어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일측에 위치한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에 분기되어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타측에 위치한 제2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각 유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동하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송풍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송풍장치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송풍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 행정 사이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정 행정 사이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가구나 벽체 사이에 별도의 설치공간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빌트 인 타입(built-in type)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빌트 인이 아닌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프리 스탠딩 타입(free-standing type)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와, 본체(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또는 터브(tub))(도시안함), 본체(2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0), 도어(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 및 도어(30)가 개방될 경우 에어 제트를 분사하는 송풍장치(100)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세척조의 내부에는 식기가 수용되어 식기의 세척 공간이 형성된다. 세척조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전방에 개구가 형성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진다. 또한, 세척조의 하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척조 내에는 상측이 개방되어 식기가 수용되는 수납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식기 바구니는 세척조의 상부 및 하부에 진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식기 바구니는 식기 바구니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에 의해 개방되어 있는 본체(20)의 전면을 통해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다.
본체(20) 내측에는 세척수를 세척조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배치된다. 또한, 본체(20)의 상부에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가 매립되며, 이 경우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는 도어(30)를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의 선단부가 개구와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세척조의 개구는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30)는 본체(20)의 전면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세척조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0) 외측에는 사용자가 도어(30)를 수동으로 열 수 있도록 손잡이용 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는 세척이 완료되면 본체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세척실 내부를 건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도어(30)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송풍장치(100)는 본체(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가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에어 제트를 분사하는 토출구(130)를 가지는 덕트(120)와 덕트(120)에 공기의 유동을 제공하는 송풍팬(11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송풍장치(1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송풍덕트(120)는 세척조(60)의 상부와 본체(20) 사이의 공간부에 매립될 수 있다. 송풍팬(110)은 본체(20)와 세척조(60)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20)의 일측면에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일례로, 본체(20)의 일측면에는 에어 브레이크(air brake)(50)가 설치될 수 있다. 에러 브레이크(50)는 공기를 세척조(60) 내로 유입시키거나 세척조(60)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해 세척조(60)와 연통되는 홀(도시안함)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10)은 에어 브레이크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20)는 외부와 본체(20)를 연통하는 연통홀(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통홀(25)은 송풍팬(110)과 에어 브레이크(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110)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송풍덕트(120)로 공급하기 위한 원심팬일 수 있다.
원심팬을 송풍팬(110)으로 이용할 경우, 연통홀(25)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덕트(120)로 공급 가능하다. 또한, 에어 브레이크(50)를 통해 배출된 세척조(60) 내의 고온 다습한 증기를 함께 흡입하여 배출이 가능하므로, 에어 브레이크(50) 내부의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지는 본체(20)와 세척조(60)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송풍덕트(1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공기의 기 설정된 유속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송풍팬(110)이 일측에 설치될 경우,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동일한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인가 장치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송풍팬(110)은 원심팬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체(20)와 세척조(60)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축류팬 또는 횡류팬 등을 이용하여 송풍덕트(120)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덕트(120)는 송풍팬의 일측에 위치하고, 송풍팬(11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송풍덕트(120)는 송풍팬(110)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전방을 향해 분사하도록 토출구(130)를 가진다. 송풍덕트(120)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와 대체로 나란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출구(130)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송풍덕트(120)의 후방면은 수평 방향을 따라 대체로 나란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송풍팬(110)은 송풍덕트(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후방 일측에 수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측에 위치한 토출구를 제1 토출구(131)라고 하며, 타 측에 위치한 토출구를 제2 토출구(132)라고 설명한다.
한편, 제1 토출구(13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토출구(132)도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토출구(130)는 도어(40)가 오픈되어 상부를 향해 배출되는 증기를 전방으로 분사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을 따라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송풍덕트(120) 및 토출구(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토출구는 도어가 개방되어 세척조 내부의 증기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송풍장치의 변형예이다. 이하, 변형예들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송풍장치(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생략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송풍덕트(120A)의 내부에는 격벽(14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격벽(140)은 송풍덕트(120A)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하도록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격벽(140)은 송풍덕트(120A)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으며, 각 토출구(131, 132)를 향해 연장될 경우 토출구(131, 132)를 복수로 구획할 수 있다.
송풍덕트(120A)의 후방면(121A)은 송풍팬(11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제2 토출구(132)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송풍덕트(120A)의 측면(122A)은 제2 토출구(132)를 향해 완만한 곡면을 가진다. 아울러, 격벽(140)은 제1 토출구(131)를 구획하도록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격벽(140)은 제2 토출구(132)를 구획하도록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격벽(140)은 송풍덕트(120A)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송풍장치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5에 따르면, 송풍덕트(120B)는 제2 토출구(132)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후방면(121B)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송풍덕트(120B)는 송풍팬(110)과 연통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메인 유로(150)와, 메인 유로(150)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제1 및 제2 유로(160, 170)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유로(150)는 송풍 덕트(120B)의 후방면(121B)과 대응되도록 제2 토출구(132)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로(160)는 제1 토출구(131)와 연통되며,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 유로(170)는 제2 토출구(132)와 연통되며,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송풍팬(110)은 제1 유로(160)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제1 토출구(131)와 제2 토출구(132)의 단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로(170)는 제2 토출구(132)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유로(160)는 제2 유로(170)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각 유로의 내부에는 유로 가이드벽(180)이 설치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벽(180)은 송풍팬(110)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유로 가이드벽(183)은 메인 유로(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덕트(120B)의 후방면(121B)과 나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로 가이드벽(183)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송풍팬(110)과 근접하게 위치할수록 제1 유로 가이드벽(183)이 원거리에 위치한 제1 유로 가이드벽(183)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송풍팬(110)과 근접하게 위치한 제1 유로 가이드벽(183)이 더 큰 길이를 가짐으로써 제2 유로(170)를 향해 공기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안내하여 각 토출구(131, 132)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2 유로 가이드벽(185)은 제1 유로(160) 내부에 설치되며, 제1 유로 가이드벽(183)과 대체로 수직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 가이드벽(185)은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토출구(131)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제1 유로(160) 내에 상이한 위상차를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3 유로 가이드벽(170)은 메인 유로(150)와 제2 유로(170)의 경계, 또는 제2 유로(170) 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설치되며, 제2 유로 가이드벽(185)과 대체로 나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 가이드벽(185)과 마찬가지로, 제3 유로 가이드벽(188)은 제2 유로(170)로 유동한 공기가 제2 토출구(132)를 향해 원활한 흐름을 가지도록 제2 유로(170) 또는 메인 유로(150)와 제2 유로(170)의 경계상에 상이한 위상차를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송풍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6에 따르면, 제2 토출구(132)의 후방에 위치한 송풍덕트(120C)의 타측면(122C)과 후방면(121C)은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송풍팬(110)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송풍덕트(120B)의 내부에는 유로 가이드벽(180C)이 설치될 수 있다.
송풍덕트(120C)의 후방면(121C)이 본체(20)의 전방면과 대체로 평행한 형상을 가질 경우, 유로 가이드벽(180C)은 제1 유로(160C), 그리고 메인유로(150C)와 제2 유로(170C)의 경계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160C)에 설치된 제1 유로 가이드벽(180CA)은 제1 토출구(131)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제1 유로(160C) 내에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메인유로(150C)와 제2 유로(170C)의 경계상에 설치된 제2 유로 가이드벽(150CB)은 송풍덕트(120C)의 원호 형상과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유로 가이드벽(150CB)은 균일한 공기가 제2 토출구(132)로부터 전방에 분사되도록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송풍덕트(200A, 200B)는 세척조(60)의 상부와 본체(20) 사이의 공간부에 매립될 수 있다. 송풍덕트(200A, 200B)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팬(210A, 210B)은 본체(20)와 세척조(60)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송풍팬(210A, 210B)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송풍덕트(200A, 200B)로 공급하기 위한 원심팬일 수 있다. 송풍덕트(200A, 200B)는 송풍팬(210A, 210B)의 일측에 위치하고, 송풍팬(210A, 210B)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송풍덕트(200A, 200B)는 송풍팬(210A. 201B)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전방을 향해 분사하도록 토출구(230A, 230B)를 가진다. 송풍덕트(200A, 200B)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와 대체로 나란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출구(230A, 230B)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210A, 210B)이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강한 공기 유동을 통해 세척조(60)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전방을 향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송풍팬(210A, 210B)은 송풍덕트(200A, 200B)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후방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덕트(200A, 200B)의 후방면은 공기의 유속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전방을 향해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송풍덕트(200A, 200B)는 내부를 구획 가능한 격벽(240)이 설치될 수 있다. 격벽(240)이 토출구(230A, 230B)를 향하도록 설치될 경우, 각 토출구(230A, 230B)는 복수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30A)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토출구(230B)도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토출구(230A, 230B)는 도어(30)가 오픈되어 상부를 향해 배출되는 증기를 전방으로 분사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을 따라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송풍덕트(200A, 200B) 및 토출구(230A, 230B)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송풍덕트(300)는 세척조(60)의 상부와 본체(20) 사이의 공간부에 매립될 수 있다. 송풍덕트(300)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팬(310)은 본체(20)와 세척조(60)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송풍팬(310)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송풍덕트(300)로 공급하기 위한 원심팬일 수 있다. 송풍덕트(300)는 송풍팬(3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송풍팬(31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송풍덕트(300)는 송풍팬(310)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전방을 향해 분사하도록 토출구(330)를 가진다. 송풍덕트(300)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와 대체로 나란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출구(330)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40)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송풍덕트(300)의 내부에는 격벽(34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격벽(340)은 송풍덕트(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하도록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격벽(340)은 송풍덕트(30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으며, 토출구(330)를 향해 연장될 경우 토출구(330)를 복수로 구획할 수 있다.
송풍덕트(300)의 후방면(301)은 송풍팬(31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송풍팬(310)의 반대방향을 향할수록 전방에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송풍덕트(300)의 측면(302)은 각 토출구(330)를 향해 완만한 곡면을 가진다. 아울러, 격벽(340)은 토출구(330)를 구획하도록 측면(30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 격벽(340)은 송풍덕트(300)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 행정 사이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의 세척 행정은(세척 및 헹굼 행정)은 통상 본 행정과 예비 행정으로 나뉘어 코스에 따라 반복 실시되며, 마지막 헹굼은 고온의 세척수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예비세척 행정(PW1,PW2) 이후에 본 세척 행정(MAIN WASH)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헹굼 행정(RINCE) 후 고온 행굼(HR) 이후에 건조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마지막 헹굼이 끝나는 시점에 맞추어 세척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마지막 헹굼이 시작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히터를 가동하여 세척수를 가열한다. 헹굼이 완료되면 건조 행정이 시작되는데, 종래에는 본체 내부에 설치된 팬을 구동하여 세척조 내부의 습증기를 강제로 배기하는 방식으로 장시간 건조 행정을 가진다.
건조행정의 다른 예로, 세척 및 헹굼시 높은 온도의 물을 사용하고 식기 세척기 내부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세척 및 헹굼시 식기에 묻은 물의 증발을 촉진하거나, 증발된 수증기는 건조(또는 열교환) 덕트에서 응축되거나 흡습제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또는, 건조(또는 열교환) 덕트에 의한 응축과 흡습제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상술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통상 약 30분 이상의 건조 시간으로 인해 식기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건조 과정에서 소요되는 에너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방식들은 건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며, 건조상태가 좋지 않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정 행정 사이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10)는 헹굼 행정이 완료될 경우, 건조 과정을 가진다. 헹굼 행정 이전에, 세척 행정과 헹굼 행정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헹굼의 마지막 단계에서 고온 헹굼(HR)을 가지므로, 고온의 내부 분위기로 잠열 건조를 일정 시간 수행하고, 자동 도어 개폐 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각도로 도어(30)가 개방된다.
이 경우, 송풍팬(110)이 구동되어 송풍덕트(120)에 형성된 토출구(13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분사한다. 즉, 세척조(60) 내부의 고온 다습한 습증기가 도어(30)를 통해 상부로 배출될 경우, 전방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통해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따라서, 습증기가 상부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먼지 등)이 다시 세척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송풍팬(110)의 구동은 별도로 연결된 제어장치(도시안함)를 통해 컨트롤할 수 있다. 송풍팬(110)의 구동 시점은 도어(30)가 개방될 경우에만 한정하지 않으며, 일례로, 송풍팬(110)은 건조행정 즉시 구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건조행정이 시작된 이후, 도어 자동 도어 개방 장치(40)에 의해 도어(30)가 개방되기 이전 시점에 송풍팬(110)이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브레이크(50)를 통해 배출된 세척조(60) 내의 습한 공기를 함께 흡입하여 배출이 가능하므로, 에어 브레이크(50) 내부의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에 약 40분간의 건조시간이 소요되었던 것과 달리, 송풍장치(100)를 구현함으로써 세척조(60)내의 습증기를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여 건조시간을 최대 5분 이하로 단축시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 송풍장치(100)는 식기 세척기(10)의 건조시간 단축을 위해 도어(30) 오픈 시 배출되는 습증기가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설치공간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빌트 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10)는 상부에 위치하는 가전제품들과 목조 가구들이 고온의 증기에 의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 자동 도어 개방 장치(40)의 일측에 송풍팬(110)을 마련할 경우, 액츄에이터(도시안함)와 동일 전원선에 의해 전류가 인가되어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제어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뿐만 아니라, 본체(20)와 세척조(60) 사이에 송풍장치(100)를 마련하여 식기 세척기(10)의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식기 세척기 20 : 본체
30 : 도어 40 : 도어 자동 개방 장치
50 : 에어 브레이크 60 : 세척조
100 : 송풍장치 110 : 송풍팬
120 : 송풍덕트 130 : 토출구
140 : 격벽 150 : 메인유로
160 : 제1 유로 170 : 제2 유로
180 : 유로 가이드벽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세척조 내부의 습증기가 전방으로 강제 유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에어 제트를 토출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트는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자연 배출되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토출되는, 식기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세척조 외측과 상기 본체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향하도록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덕트; 및
    상기 송풍덕트와 연통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해 외부 공기를 상기 송풍덕트로 제공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세척조 외측과 상기 본체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을 가지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연통홀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덕트로 배출하는, 식기 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원심팬, 축류팬, 횡류팬 중 어느 하나인, 식기 세척기.
  7. 제3항에 있어서,
    세척 행정 종류 후,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주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상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토출구를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이 내부에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송풍팬과 연통되며, 수평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메인 유로;
    상기 메인 유로에 분기되어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일측에 위치한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에 분기되어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타측에 위치한 제2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2 유로보다 상기 제1 유로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메인 유로는 상기 제2 유로가 전방에 근접하도록 후방면이 하향 경사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각 유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동하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벽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벽은,
    상기 메인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의 후방면과 나란하도록 위치하는 제1 유로 가이드벽; 및
    상기 제1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로 가이드벽과 대체로 수직하도록 위치하는 제2 유로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벽은,
    상기 메인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의 경계 또는 상기 제2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로 가이드벽과 대체로 나란하도록 위치하는 제3 유로 가이드벽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3항에 있어서,
    세척 행정 종류 후,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주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상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내부에 상기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가지며, 상기 유로는 상기 토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복수로 설치되고,
    각 송풍장치는 상기 세척조 상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17. 식기 세척기의 세척 행정을 종료하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개방시켜 식기 세척기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배출되는 습증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을 향하도록 토출구를 가지는 송풍덕트; 및
    상기 송풍덕트에 연통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해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토출구를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이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송풍팬과 연통되며, 수평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메인 유로;
    상기 메인 유로에 분기되어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일측에 위치한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에 분기되어 상기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타측에 위치한 제2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더 포함하는, 송풍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각 유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동하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벽을 더 포함하는, 송풍장치.
KR1020150168759A 2015-11-30 2015-11-30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10212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759A KR102124926B1 (ko) 2015-11-30 2015-11-30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US15/364,957 US20170150868A1 (en) 2015-11-30 2016-11-30 Air blower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US17/019,525 US11375873B2 (en) 2015-11-30 2020-09-14 Air blower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759A KR102124926B1 (ko) 2015-11-30 2015-11-30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942A true KR20170062942A (ko) 2017-06-08
KR102124926B1 KR102124926B1 (ko) 2020-07-07

Family

ID=5877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759A KR102124926B1 (ko) 2015-11-30 2015-11-30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70150868A1 (ko)
KR (1) KR102124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427B (zh) * 2018-04-12 2024-02-02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水槽总成
CN108937800A (zh) * 2018-08-16 2018-12-07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带多功能喷淋枪的水槽
CN109700408B (zh) * 2018-12-20 2023-02-03 宁波欧琳实业有限公司 一种洗碗机安全控制门盖开关的方法及***
KR20210138422A (ko) * 2020-05-12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723512B2 (en) 2021-04-30 2023-08-15 Whirlpool Corporation DOS air barrier with door condens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746A (en) * 1994-10-25 1999-03-16 Whirlpool Europe B.V.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crockery in a dishwasher
KR20070105056A (ko) * 2006-04-25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20100043250A1 (en) * 2007-02-21 2010-02-25 Miele & Cie Kg Method for implementing a drying program section in washing equipment with a condensation dry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036A (en) * 1983-12-12 1987-04-14 Design & Manufacturing Corporation Combination water inlet, vent stack, blower and blower housing assembly for an automatic dishwasher
KR0156129B1 (ko) 1994-06-22 1998-12-15 이헌조 멀티모드 브이씨알의 모드판별방법
KR0147903B1 (ko) 1995-10-31 1998-08-17 배순훈 냉장고의 에어커튼장치
US5660195A (en) * 1996-03-05 1997-08-26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ishwasher vent system
US7731806B2 (en) * 2003-02-25 2010-06-08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atic door for dishwasher
US7887643B2 (en) * 2005-04-18 2011-02-15 Illinois Tool Works, Inc. Dishwasher with counter-convection air flow
KR101202103B1 (ko) 2005-05-23 201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증기 발산 억제 구조 및 억제 방법
DE102008021496B4 (de) * 2008-04-29 2010-03-11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US8313583B2 (en) * 2008-12-22 2012-11-20 Whirlpool Corporation Vented door assembly for a dishwasher
KR20100113730A (ko) * 2009-04-14 2010-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704612B1 (ko) * 2009-11-30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EP2394558B1 (de) * 2010-05-12 2016-09-21 Miele & Cie. KG Spülautomat, insbesondere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automatisch zu öffnenden Tür
WO2011141542A1 (en) * 2010-05-14 2011-11-17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n automatic door opening mechanism
KR101736435B1 (ko) * 2010-06-23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덕트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KR101017596B1 (ko) 2010-12-03 2011-02-28 (주)하인스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US9872598B2 (en) * 2011-07-06 2018-01-23 Viking Range, Llc Drying system for a dishwasher
US20130180553A1 (en) * 2012-01-12 2013-07-18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Dishwasher
US9635997B2 (en) * 2013-02-12 2017-05-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13101861A1 (de) * 2013-02-26 2014-08-28 Miele & Cie. Kg Geschirrspülautomat,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KR102025175B1 (ko) * 2013-09-12 2019-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9750392B2 (en) * 2014-02-28 2017-09-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and vent for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746A (en) * 1994-10-25 1999-03-16 Whirlpool Europe B.V.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crockery in a dishwasher
KR20070105056A (ko) * 2006-04-25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20100043250A1 (en) * 2007-02-21 2010-02-25 Miele & Cie Kg Method for implementing a drying program section in washing equipment with a condensation dry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926B1 (ko) 2020-07-07
US11375873B2 (en) 2022-07-05
US20170150868A1 (en) 2017-06-01
US20200405123A1 (en)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873B2 (en) Air blower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US10568487B2 (en) Heating circulation typ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US9635997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980395B2 (en) Dishwasher
TWI633866B (zh) Tableware cleaning and drying machine
KR102094340B1 (ko)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US3876469A (en) Dish-washer vent system
EP2039819B1 (en) Washer-drier machine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KR101054553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2000166847A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2541159B1 (ko) 식기세척기
KR102530168B1 (ko) 식기세척기
KR101326309B1 (ko) 식기세척기
JP6982734B2 (ja) 食器洗い機
KR10200544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0718A (ko) 식기 세척기
KR100652481B1 (ko)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KR10260118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133935A (ko) 식기세척기
KR100465192B1 (ko) 건조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102598649B1 (ko) 식기세척기
KR20080082500A (ko) 식기 세척기
JP7117600B2 (ja) 食器洗い機
KR20150100435A (ko) 식기세척기의 식기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